KR20220124562A -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 - Google Patents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562A
KR20220124562A KR1020210028391A KR20210028391A KR20220124562A KR 20220124562 A KR20220124562 A KR 20220124562A KR 1020210028391 A KR1020210028391 A KR 1020210028391A KR 20210028391 A KR20210028391 A KR 20210028391A KR 20220124562 A KR20220124562 A KR 20220124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nt
pallet
base portion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239B1 (ko
Inventor
안기세
Original Assignee
안기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기세 filed Critical 안기세
Priority to KR102021002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23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06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 B65D19/0008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 B65D19/002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a single element forming a continuous plane contact surface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8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or through a curved di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6Pallets comprising a flexible load carrier extending between guide element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6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 B65D2519/0027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made of more than one pie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기둥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다수개의 기둥부재를 구성하여 상판프레임 및 하판프레임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 하판프레임을 경량화하여 보관, 운반 및 작업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몸체부, 제 1연장부, 제 2연장부로 구성되는 기둥부재를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를 배치하되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기둥부재를 용접을 통해 결합하여 파렛트를 구성하는 상판프레임과 하판프레임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기둥부재의 제 1, 2절곡부 및 제 1, 2연장부를 갖는 형상을 통해 무게를 경량화하여 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렛트를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Pallet with improved strength}
본 발명은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기둥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다수개의 기둥부재를 구성하여 상판프레임 및 하판프레임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 하판프레임을 경량화하여 보관, 운반 및 작업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파렛트(pallet)는 각종 적재물이 지면에 긁히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보관용 받침재로 사용되고, 적재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지게차로 운반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파렛트는 용도에 따라 목재, 합성수지 및 금속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파렛트에 적재물이 적재될 시에 상기 적재물의 무게에 대비하여 파렛트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철재 프레임 및 그 철재 프레임이 포함된 파렛트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구조 또한 다양하게 가변되어 사용되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 10-1598550호(특) 다수개의 상판과, 상판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하부에 상판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하판으로 이루어진 스틸 가드 우드 파렛트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내측으로 상판이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
Figure pat00001
"자 형상의 제1보강부재와, 상기 하판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내측으로 하판이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
Figure pat00002
"자 형상의 제3보강부재와, 다수 개의 지지부재 중 양측 끝단부에 위치한 지지부재의 외측에 결합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부와 상,하부를 커버함으로써 상판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ㄷ"자 형상의 제2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판과 하판은 양측 끝단부가 각각 제1,3보강부재의 양측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1,3보강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부 충격 발생시 돌출된 상판과 하판의 양측 끝단부가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양측 끝단부가 제2보강부재의 양측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제2보강부재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외부 충격 발생시 돌출된 지지부재의 양측 끝단부가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상판과 하판 중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판 및 하판의 외측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3보강부재는 상판과 하판의 경사면에 대응되게 일측부가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제1,3보강부재의 서로 대응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부재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다수 개의 돌기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 중 중앙부에 위치하는 지지부재는 "Ⅰ"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4보강부재의 양측부에 지지부재가 끼워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틸 가드 우드 파렛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상판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지지부재에 보강부재를 구비하여 파렛트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상기 지지부재가 각파이프와 같은 솔리드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파렛트의 전체적인 무게가 증가할 수밖에 없으며, 제조 단가 상승 및 작업상의 효율성이 저하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서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몸체부, 제 1연장부, 제 2연장부로 구성되는 기둥부재를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를 배치하되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상기 기둥부재를 용접을 통해 결합하여 파렛트를 구성하는 상판프레임과 하판프레임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기둥부재의 제 1, 2절곡부 및 제 1, 2연장부를 갖는 형상을 통해 무게를 경량화하여 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렛트를 경량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파렛트에 있어서, 베이스부(111)와, 상기 베이스부(11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113)로 구성되는 제 1상부프레임(110)과, 베이스부(121)와, 상기 베이스부(12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123)로 구성되는 제 1하부프레임(120)과,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13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연장부(133)로 구성되는 제 1기둥부재(130)로 구성되고, 상기 제 1기둥부재(130)가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및 제 1하부프레임(12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제 1기둥부재(130) 및 제 1하부프레임(120)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는 상판프레임(100); 베이스부(211)와, 상기 베이스부(11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213)로 구성되는 제 2상부프레임(210)과, 베이스부(221)와, 상기 베이스부(22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223)로 구성되는 제 2하부프레임(220)과, 몸체부(231)와, 상기 몸체부(23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연장부(233)로 구성되는 제 2기둥부재(230)로 구성되고, 상기 제 2기둥부재(230)가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 및 제 2하부프레임(22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 제 2기둥부재(230) 및 제 2하부프레임(220)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는 하판프레임(200);로 구성되어, 상기 상판프레임(100)이 상호 평행을 이루며 다수개가 이격을 이루며 배치되어 구성될 시에 상기 상판프레임(100)의 하부에 상기 하판프레임(200)이 상판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결합되되 상기 하판프레임(200)이 상판프레임(100)과 수직을 이루며 결합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은, 상기 베이스부(111)의 상부 일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는 요부(111a)와, 상기 각각의 제 1절곡부(11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절곡부(115)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하부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부(121)의 하부 일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는 요부(121a)와, 상기 각각의 제 1절곡부(12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절곡부(125)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1기둥부재(130)는, 상기 몸체부(131)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요부(111a) 및 요부(121a)에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는 홈부(131a)와, 상기 각각의 제 1연장부(13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연장부(135)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은, 상기 베이스부(211)의 상부 일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밴드삽입홈(211a)과, 상기 각각의 제 1절곡부(21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절곡부(215)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2하부프레임(220)은, 상기 베이스부(221)의 하부 일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밴드삽입홈(221a)과, 상기 각각의 제 1절곡부(22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절곡부(225)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2기둥부재(230)는, 상기 몸체부(231)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밴드삽입홈(211a) 및 밴드삽입홈(221a)에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는 홈부(231a)와, 상기 각각의 제 1연장부(23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연장부(235)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에 의하면,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기둥부재를 결합하여 파렛트를 구성하는 상판프레임 및 하판프레임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기둥부재를 종래의 일반적인 각파이프와 같은 솔리드 형태의 기둥부 대비 경량화시켜 파렛트의 전체적인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상호 이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기둥부재를 구성하여 파렛트의 전체적인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상판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제 1기둥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상판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상판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도 및 정면도
도 5는 도 4의 (A ㅡ A’)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제 1기둥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상판프레임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 중 하판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제 2기둥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구성 중 하판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구성 중 하판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도 및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기둥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키되,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다수개의 기둥부재를 구성하여 상판프레임 및 하판프레임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 하판프레임을 경량화하여 보관, 운반 및 작업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12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파렛트에 있어서, 베이스부(111)와, 상기 베이스부(11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113)로 구성되는 제 1상부프레임(110)과, 베이스부(121)와, 상기 베이스부(12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123)로 구성되는 제 1하부프레임(120)과,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13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연장부(133)로 구성되는 제 1기둥부재(130)로 구성되고, 상기 제 1기둥부재(130)가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및 제 1하부프레임(12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제 1기둥부재(130) 및 제 1하부프레임(120)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는 상판프레임(100); 베이스부(211)와, 상기 베이스부(11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213)로 구성되는 제 2상부프레임(210)과, 베이스부(221)와, 상기 베이스부(22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223)로 구성되는 제 2하부프레임(220)과, 몸체부(231)와, 상기 몸체부(23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연장부(233)로 구성되는 제 2기둥부재(230)로 구성되고, 상기 제 2기둥부재(230)가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 및 제 2하부프레임(22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 제 2기둥부재(230) 및 제 2하부프레임(220)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는 하판프레임(200);로 구성되어, 상기 상판프레임(100)이 상호 평행을 이루며 다수개가 이격을 이루며 배치되어 구성될 시에 상기 상판프레임(100)의 하부에 상기 하판프레임(200)이 상판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결합되되 상기 하판프레임(200)이 상판프레임(100)과 수직을 이루며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상판프레임(100)은 제 1상부프레임(110), 제 1하부프레임(120) 및 제 1기둥부재(13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은 베이스부(111)와, 상기 베이스부(11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1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11)는 길이방향을 길게 구성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에는, 상기 베이스부(111)의 상부 일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는 요부(111a)와, 상기 각각의 제 1절곡부(11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절곡부(11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1하부프레임(120)은 베이스부(121)와, 상기 베이스부(12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1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하부프레임(120)은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베이스부(121) 또한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의 베이스부(111)와 동일한 형상인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성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하부프레임(120)에는, 상기 베이스부(121)의 하부 일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는 요부(121a)와, 상기 각각의 제 1절곡부(12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절곡부(12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1기둥부재(130)는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13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연장부(133)로 구성된다.
즉,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기둥부재(130)의 몸체부(131)는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및 제 1하부프레임(120)에 수직을 이루며 배치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및 제 1하부프레임(120)에 배치되어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및 제 1하부프레임(120)과 결합될 시, 상측 단부는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의 베이스부(111) 하부면에 맞닿고 하측 단부는 상기 제 1하부프레임(120)의 상부면에 맞닿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연장부(133)는 상측 단부는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의 베이스부(111) 하부면에 맞닿고 하측 단부는 상기 제 1하부프레임(120)의 상부면에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제 1기둥부재(130)의 몸체부(131), 제 1연장부(133) 및 하기될 제 2연장부(135)가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에 적재되는 적재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 1기둥부재(130)는, 상기 몸체부(131)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요부(111a) 및 요부(121a)에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는 홈부(131a)와, 상기 각각의 제 1연장부(13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연장부(13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기둥부재(130)가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및 제 1하부프레임(120)에 배치되어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및 제 1하부프레임(120)과 결합될 시, 상기 요부(111a) 및 요부(121a)가 상기 각각의 홈부(131a)에 각각 삽입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기둥부재(130)는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및 제 1하부프레임(12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배치되되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및 제 1하부프레임(120)에 용접(w)에 의해 결합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기둥부재(130)의 제 1연장부(133)와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의 제 1절곡부(113) 및 상기 제 1하부프레임(120)의 제 1절곡부(123)가 상호 맞닿는 부분이 용접(w)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도 1,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기둥부재(130)는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및 제 1하부프레임(12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배치되되 양 끝 단부에 배치되는 제 1기둥부재(130)가 상호 대향을 이루며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31)의 전면부에는, 상기 요부(111a) 및 요부(121a)에 대응되는 홈부(131a)와 대응되며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힘살부(131b)가 형성된다.
즉, 상기 힘살부(131b)는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적재물이 적재될 시에 제 1상부프레임(110)의 요부(111a)로부터 힘을 받아 지지하는 상기 몸체부(131)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연장부(133)의 측면에는 하나 또는 상호 이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힘살부(133a)가 형성된다.
즉, 상기 힘살부(133a)는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의 상부에 적재물이 적재될 시에 제 1상부프레임(110)로부터 힘을 받아 지지하는 상기 제 1연장부(133)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판프레임(200)은 제 2상부프레임(210), 제 2하부프레임(220) 및 제 2기둥부재(230)로 구성된다.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은 상부 일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밴드삽입홈(211a)이 형성되는 베이스부(211)와, 상기 베이스부(11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213)와, 상기 각각의 제 1절곡부(21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절곡부(215)로 구성된다.
상기 제 2하부프레임(220)은 하부 일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밴드삽입홈(221a)이 형성되는 베이스부(221)와, 상기 베이스부(22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223)와, 상기 각각의 제 1절곡부(22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절곡부(22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밴드삽입홈(211a) 및 밴드삽입홈(221a)은 상기 상판프레임(100)의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을 밴딩할 시에 상기 밴드삽입홈(211a) 또는 밴드삽입홈(221a)을 통해 밴드를 삽입하여 적재물을 파렛트(10)에 견고하게 밴딩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기둥부재(230)는 상부 및 하부 일 측에 상기 밴드삽입홈(211a) 및 밴드삽입홈(221a)에 대응되는 홈부(231a)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부(231)와, 상기 몸체부(23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연장부(233)와, 상기 각각의 제 1연장부(23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연장부(23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기둥부재(230)가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 및 제 2하부프레임(22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배치되되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 및 제 2하부프레임(220)에 용접(w)에 의해 결합되어 하판프레임(20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기둥부재(230)의 제 2연장부(233)와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의 제 2절곡부(213) 및 상기 제 2하부프레임(220)의 제 2절곡부(223)가 상호 맞닿는 부분이 용접(w)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원발명인 파렛트(10)는 상기 상판프레임(100)이 상호 평행을 이루며 다수개가 이격을 이루며 배치되어 구성될 시에 상기 상판프레임(100)의 하부에 상기 하판프레임(200)이 상판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용접에 의해 결합되되 상기 하판프레임(200)이 상판프레임(100)과 수직을 이루며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8, 10,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기둥부재(230)는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 및 제 2하부프레임(22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배치되되 양 끝 단부에 상호 대향을 이루며 마주하는 두 개의 제 2기둥부재(230)가 각각 구성된다.
즉, 상기 밴드삽입홈(221a)을 통해 밴드가 삽입되어 상기 상판프레임(100)에 적재되는 적재물을 파렛트(10)에 견고하게 밴딩할 시에 상기 하판프레임(200)의 양 끝 단부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하판프레임(200)의 양 끝 단부가 튀틀리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파렛트(10)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9,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기둥부재(230)의 몸체부(231)의 전면부에는 힘살부(231b)가 형성된다.
즉, 상기 힘살부(231b)는 상기 상판프레임(100)의 상부에 적재물이 적재될 시에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으로부터 힘을 받아 지지하는 상기 몸체부(231)의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에 의하면,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기둥부재를 결합하여 파렛트를 구성하는 상판프레임 및 하판프레임으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기둥부재를 종래의 일반적인 각파이프와 같은 솔리드 형태의 기둥부 대비 경량화시켜 파렛트의 전체적인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사이에 상호 이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기둥부재를 구성하여 파렛트의 전체적인 강도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파렛트
100 : 상판프레임
110 : 제 1상부프레임
111 : 베이스부 111a : 요부
113 : 제 1절곡부
115 : 제 2절곡부
120 : 제 1하부프레임
121 : 베이스부 121a : 요부
123 : 제 1절곡부
125 : 제 2절곡부
130 : 제 1기둥부재
131 : 몸체부
131a : 홈부 131b : 힘살부
133 : 제 1연장부
135 : 제 2연장부
200 : 하판프레임
210 : 제 2상부프레임
211 : 베이스부 211a : 밴드삽입홈
213 : 제 1절곡부
215 : 제 2절곡부
220 : 제 2하부프레임
221 : 베이스부 221a : 밴드삽입홈
223 : 제 1절곡부
225 : 제 2절곡부
230 : 제 2기둥부재
231 : 몸체부
231a : 홈부 231b : 힘살부
233 : 제 1연장부
235 : 제 2연장부
w : 용접

Claims (6)

  1. 파렛트에 있어서,
    베이스부(111)와, 상기 베이스부(11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113)로 구성되는 제 1상부프레임(110)과,
    베이스부(121)와, 상기 베이스부(12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123)로 구성되는 제 1하부프레임(120)과,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13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연장부(133)로 구성되는 제 1기둥부재(130)로 구성되고,
    상기 제 1기둥부재(130)가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및 제 1하부프레임(12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제 1기둥부재(130) 및 제 1하부프레임(120)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는 상판프레임(100);
    베이스부(211)와, 상기 베이스부(11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213)로 구성되는 제 2상부프레임(210)과,
    베이스부(221)와, 상기 베이스부(22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상부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절곡부(223)로 구성되는 제 2하부프레임(220)과,
    몸체부(231)와, 상기 몸체부(231)의 양 측 단부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1연장부(233)로 구성되는 제 2기둥부재(230)로 구성되고,
    상기 제 2기둥부재(230)가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 및 제 2하부프레임(22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 제 2기둥부재(230) 및 제 2하부프레임(220)이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는 하판프레임(200);로 구성되어,
    상기 상판프레임(100)이 상호 평행을 이루며 다수개가 이격을 이루며 배치되어 구성될 시에 상기 상판프레임(100)의 하부에 상기 하판프레임(200)이 상판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결합되되 상기 하판프레임(200)이 상판프레임(100)과 수직을 이루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은,
    상기 베이스부(111)의 상부 일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는 요부(111a)와,
    상기 각각의 제 1절곡부(11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절곡부(115)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1하부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부(121)의 하부 일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다수개가 형성되는 요부(121a)와,
    상기 각각의 제 1절곡부(12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절곡부(125)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1기둥부재(130)는,
    상기 몸체부(131)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요부(111a) 및 요부(121a)에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는 홈부(131a)와,
    상기 각각의 제 1연장부(13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연장부(135)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은,
    상기 베이스부(211)의 상부 일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밴드삽입홈(211a)과,
    상기 각각의 제 1절곡부(21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절곡부(215)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2하부프레임(220)은,
    상기 베이스부(221)의 하부 일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밴드삽입홈(221a)과,
    상기 각각의 제 1절곡부(22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절곡부(225)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 2기둥부재(230)는,
    상기 몸체부(231)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밴드삽입홈(211a) 및 밴드삽입홈(221a)에 대응되게 각각 형성되는 홈부(231a)와,
    상기 각각의 제 1연장부(233) 끝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제 2연장부(235)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31)의 전면부에는,
    상기 요부(111a) 및 요부(121a)에 대응되는 홈부(131a)와 대응되며 동일 선상에 위치되는 힘살부(13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연장부(133)의 측면에는 하나 또는 상호 이격을 이루는 다수개의 힘살부(133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둥부재(130)는 상기 제 1상부프레임(110) 및 제 1하부프레임(12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배치되되 양 끝 단부에 배치되는 제 1기둥부재(130)가 상호 대향을 이루며 마주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기둥부재(230)는 상기 제 2상부프레임(210) 및 제 2하부프레임(220)의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을 이루며 다수개가 배치되되 양 끝 단부에 상호 대향을 이루며 마주하는 두 개의 제 2기둥부재(230)가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이 포함된 파렛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기둥부재(230)의 몸체부(231)의 전면부에는 힘살부(23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
KR1020210028391A 2021-03-03 2021-03-03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 KR102536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391A KR102536239B1 (ko) 2021-03-03 2021-03-03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8391A KR102536239B1 (ko) 2021-03-03 2021-03-03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562A true KR20220124562A (ko) 2022-09-14
KR102536239B1 KR102536239B1 (ko) 2023-05-26

Family

ID=8327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8391A KR102536239B1 (ko) 2021-03-03 2021-03-03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2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850Y1 (ko) * 2000-01-31 2000-07-15 주식회사태경파레트 철재파렛트의 받침구
CN201447107U (zh) * 2009-08-04 2010-05-05 薛廷武 一种栈板脚可穿打包带的包装箱
KR101222932B1 (ko) * 2010-09-30 2013-01-31 이희만 조립식 팔레트
KR101976485B1 (ko) * 2018-03-23 2019-05-14 (주)우연엘에프파레트 분해조립 및 운반적재가 용이한 팔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850Y1 (ko) * 2000-01-31 2000-07-15 주식회사태경파레트 철재파렛트의 받침구
CN201447107U (zh) * 2009-08-04 2010-05-05 薛廷武 一种栈板脚可穿打包带的包装箱
KR101222932B1 (ko) * 2010-09-30 2013-01-31 이희만 조립식 팔레트
KR101976485B1 (ko) * 2018-03-23 2019-05-14 (주)우연엘에프파레트 분해조립 및 운반적재가 용이한 팔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239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239B2 (en) Reinforced plastic pallet
US4869179A (en) Interchangeable part plastic pallet
US3031227A (en) Chair
US7712421B2 (en) Pallet
KR101222932B1 (ko) 조립식 팔레트
CA2463099A1 (en) Reinforced pallet
US20060096508A1 (en) Modular pallet
KR100993800B1 (ko) 복공판
JP6927620B2 (ja) 組み立て式パレット
KR20220124562A (ko) 강도를 향상시킨 파렛트
US2306752A (en) Sheet metal pallet construction
KR20220124559A (ko)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US6370719B1 (en) Dock leveler lip construction
KR20170048857A (ko) 조립식 파레트
US20050081764A1 (en) Pallet assembly
KR102608135B1 (ko) 철재 프레임을 이용한 대형 코일용 파렛트
KR20220124553A (ko) 파렛트용 철재 프레임 및 그 프레임을 포함하는 소형 코일용 파렛트
EP0675048A1 (en) Pallet incorporating empty cans
KR102157417B1 (ko) 난간시스템
JP4012555B2 (ja) 積み重ね可能な棚構造
KR102232208B1 (ko) 금속 판재로 만들어진 그레이팅 구성품을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그레이팅 및, 그 설치 구조
JP2009046135A (ja) 搬送パレット
JP2009263060A (ja) パレット用支持棚
CN112777084A (zh) 货盘
KR100714398B1 (ko) 조립식 플라스틱 팔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