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403A -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403A
KR20220124403A KR1020210027956A KR20210027956A KR20220124403A KR 20220124403 A KR20220124403 A KR 20220124403A KR 1020210027956 A KR1020210027956 A KR 1020210027956A KR 20210027956 A KR20210027956 A KR 20210027956A KR 20220124403 A KR20220124403 A KR 202201244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livestock
container
shaft
clean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4670B1 (ko
Inventor
임명규
Original Assignee
임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명규 filed Critical 임명규
Priority to KR1020210027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67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4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4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32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scrapers or the like moving to-and-fro or step-by-ste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35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conveyor b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컨테이너를 통해 가축이나 식물 또는 수산물의 생육환경을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수용공간을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농산물, 수산물 및 축산물 중 적어도 하나의 생육공간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복층으로 적층되는 컨테이너본체;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바닥면에 쌓이는 축분을 긁어서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방향으로 포집하는 축분스크레이퍼; 및 상기 컨테이너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축분스크레이퍼에 의해 포집된 축분을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축분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PLATFORM APPARATUS USING CONTAINER FOR AGRICULTURAL, MARINE AND LIVESTOCK}
본 발명은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컨테이너를 통해 가축이나 식물 또는 수산물의 생육환경을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IT/자동화 기술의 진보로 많은 산업분야의 자동화가 이뤄지고 있으며, 농업/수산업 분야에서도 자동화 및 편의 장치가 개발되어 도움을 주고 있으나 기존의 건축물에 편의 장비를 적용하게 되어 많은 비용과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현대의 가축 식물 수산물은 인간의 요구조건에 맞는 단일 유전체(형제/자매관계)로 되어있어서 질병발생 시 시설을 폐쇄하고 모든 자원을 도살처분을 하고 있다.
특히, 가축의 경우 기존의 사육 시설에서는 모든 자원의 도살처리를 필수 불가결한 해결방법이며, 이로 인한 농수축산물의 국가적 신뢰저하와 처리 비용이 매년 천문학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의 가장 큰 요인은 표준화되지 않은 시설에서 농수축산물을 생육하면서 발생하고, 특히 식물이나 동물의 경우 병해충의 90%가 생육환경제어의 실패에서 기인하고 있다.
일례로 가축을 사육하는 경우에는 밀폐된 공간이 필요한데 종래의 축사는 밀폐가 불가능하며 높이가 높아 온도조절시 많은 에너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축사는 밀집사육으로 인하여 질병, 냄새, 위생, 해충 등에 취약하며, 이는 생산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환경파괴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599860호에 제시된 USN센서를 활용한 축사환경지수 및 체온예측관리를 위한 관리시스템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규격화된 밀폐가능한 생육환경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98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밀폐가능하면서 표준화된 생육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질병 발생 시 발생된 공간만 쉽게 폐쇄할 수 있는 섹션형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가축의 축사로 사용할 경우 축분을 용이하게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적층하여 확장시킬 경우에도 각 층의 축분을 용이하게 포집하여 배출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 바닥면을 일방향 이동시에만 긁어서 청소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는, 소정의 수용공간을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농산물, 수산물 및 축산물 중 적어도 하나의 생육공간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복층으로 적층되는 컨테이너본체;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바닥면에 쌓이는 축분을 긁어서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방향으로 포집하는 축분스크레이퍼; 및 상기 컨테이너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축분스크레이퍼에 의해 포집된 축분을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축분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분배출부는,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축분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분배출부는, 상기 배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 이동한 축분을 상기 배출구의 단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내부컨베어어; 및 상기 배출구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한 축분을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본체는, 복수로 구성되어 복층으로 적층형성되어 상기 배출구 및 상기 내부컨베이어가 각각의 층에 구비되고, 상기 축분배출부는, 상기 컨테이너본체 각 층의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면서 상기 배출파이프에 연결되어 축분을 상기 배출파이프로 안내하는 연결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분스크레이퍼는, 상기 컨테이너본체 바닥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는 청소날;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청소날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청소레일; 및 상기 청소레일을 따라 상기 청소날을 견인하여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분스크레이퍼는, 상기 청소날을 분할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청소날의 일방향 이동 시 상기 청소날을 접힌상태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청소날의 반대방향 이동 시 상기 청소날을 펴진상태로 이동시키는 경첩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컨테이너 본체를 통해 밀폐가능하면서 표준화된 생육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컨테이너 본체의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의 조립을 통해 생육환경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질병 발생 시 발생된 공간만 쉽게 폐쇄할 수 있는 섹션형 구조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축의 축사로 사용할 경우 축분스크레이퍼를 통해 바닥면의 축분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으며, 축분배출부의 구성을 통해 포집된 축분을 용이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컨테이너본체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분의 배출구에 내부컨베이어 및 배출파이프가 설치될 경우에는 배출구 쪽으로 포집되는 축분이 내부컨베이어의 작동을 통해 배출파이프로 안내되어 배출되므로 좀 더 위생적인 축분의 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축분스크레이퍼를 구성하는 청소날이 구동부재의 견인에 의해 청소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컨테이너본체의 바닥면을 긁으므로 축분이 원활하게 포집될 수 있으며, 청소날이 경첩판에 의해 접히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청소날이 일방향 이동시에만 펴지면서 축분을 포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산용 플랫폼장치(10)는 농산물이나 수산물 또는 축산물의 독립적인 생육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목적에 맞는 최적의 생육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생육과정에서 질병이 발생할 경우, 해당 생육공간만을 격리시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용 플랫폼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본체(100), 축분스크레이퍼(200) 및 축분배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본체(100)는 농산물, 수산물 및 축산물 중 적어도 하나의 생육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소정의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컨테이너본체(100)는 화물수송에 사용되는 통상의 컨테이너를 기반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본체(100)는 규격화된 크기와 부피를 가질 수 있으며, 단수로 구성되면서 단층의 생육공간을 제공하거나 복수로 구성되면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본체(100)는 복수로 구성될 경우에도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면서 단층의 생육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 적층되면서 복층의 생육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본체(100)는 벽체 중 적어도 하나에 도어(100a)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출입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어(100a) 부분을 통해 다른 컨테이너본체(100)와 연결되면서 생육공간이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본체(100)는 내부 공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메라(11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내부 공간의 온도조절과 환기를 수행할 수 있는 공조기(120)가 설치될 수 있고, 내부 공간으로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사료공급기(130)와, 내부 공간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기(14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컨테이너본체(100)는 외부에 미도시된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되어 태양전지모듈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여기서, 컨테이너본체(100)는 복수로 구성되어 적층될 경우에는 축사와 같이 동일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별개의 독립적으로 분리되면서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축분스크레이퍼(200)는 컨테이너본체(100)의 바닥면에 쌓이는 축분을 긁어서 컨테이너본체(100)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방향으로 포집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즉, 축분스크레이퍼(200)는 컨테이너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컨테이너본체(100)의 바닥면에 쌓이게 되는 가축의 축분을 컨테이너본체(100)의 한 쪽으로 긁어서 포집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축분스크레이퍼(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날(210), 청소레일(220) 및 구동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청소날(210)은 컨테이너본체(100)의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외력에 의해 견인되면서 컨테이너본체(100) 바닥면의 축분을 긁어서 포집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청소날(210)은 컨테이너본체(100)의 바닥면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재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컨테이너본체(100)의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청소레일(220)은 청소날(21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청소레일(220)은 컨테이너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청소날(21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청소레일(220)은 샤프트 형태로 형성되어 컨테이너본체(100)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청소날(210)이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청소레일(220)은 이외에도 샤프트형태가 아닌 홈형태로 형성되어 청소날(210)이 끼워져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부재(230)는 청소날(210)을 견인하여 왕복운동시키면서 컨테이너본체(100) 바닥면의 축분을 포집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구동부재(230)는 청소날(210)을 컨테이너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만족할 수 있다.
예컨대, 구동부재(23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와이어나 벨트형태로 이루어져 청소날(210) 및 구동모터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을 통해 와이어나 벨트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청소날(210)을 왕복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구동부재(23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청소날(210) 및 구동모터를 연결하는 볼스크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의 작동을 통해 본스크류를 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키면서 청소날(210)을 왕복운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축분스크레이퍼(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판(240)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첩판(240)은 청소날(210)의 일방향 이동시에만 축분이 포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경우, 청소날(210)은 복수로 분할 형성되면서 컨테이너본체(100) 바닥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경첩판(2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첩판(240)은 분할된 청소날(210)을 힌지핀으로 연결함으로써 청소날(210)들이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접힐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경첩판(240)은 청소날(210)들이 양방향 모두로 접히지 않고 한 쪽 방향으로만 접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청소날(210)은 구동부재(23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접힘이 허용되어 접힌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후술되는 배출구(310)의 반대편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동하는 과정에서 접혀져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청소날(210)은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접힘이 억제되어 펴진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컨테이너본체(100) 바닥면의 축분을 긁어서 후술되는 배출구(310)로 포집할 수 있다.
상기 축분배출부(300)는 전술한 축분스크레이퍼(200)에 의해 컨테이너본체(100)의 한 쪽으로 포집된 축분을 컨테이너본체(1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축분배출부(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구(310)는 컨테이너본체(100)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어 축분의 배출경로를 제공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본체(10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청소날(210)에 의해 포집된 축분을 컨테이너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310)는 미도시된 커버를 통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축분을 배출할 경우에만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축분배출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컨베이어(320) 및 배출파이프(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컨베이어(320)는 청소날(210)에 의해 배출구(310)로 이동한 축분을 배출구(310)의 한 쪽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내부컨베이어(320)는 배출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동력에 의해 작동면서 축분을 배출구(310)의 한 쪽 단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내부컨베이어(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스크류와,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의 작동을 통해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배출구(310)의 축분을 배출구(310)의 단부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내부컨베이어(320)는 무한궤도형태를 이루면서 배출구(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컨베이어벨트와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구동모터에 의한 컨베이어벨트의 회전을 통해 축분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내부컨베이어(320)는 미작동시에는 배출구(310)를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배출파이프(330)는 내부컨베이어(320)에 의해 이동한 축분을 컨테이너본체(10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배출파이프(330)는 배출구(310)의 단부에 설치된 상태로 컨테이너본체(100)의 외부로 연장되면서 축분을 컨테이너본체(100)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컨테이너본체(100) 바닥면에 쌓인 축분은 구동부재(230)에 의해 이동하는 청소날(210)에 의해 배출구(310)로 이동한 후, 내부컨베이어(320)의 작동에 의해 배출파이프(330)로 이동하여 컨테이너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축분배출부(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340)는 컨테이너본체(100)가 복층으로 적층될 경우 각 층의 배출구(310)를 연결하면서 축분을 배출파이프(330)로 안내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연결파이프(340)는 복층을 이루는 컨테이너본체(100)의 각 층의 배출구(310)를 연결하는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출파이프(330)에 연결됨으로써 상층의 내부컨베이어(320)를 통해 배출되는 축분을 배출파이프(300)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축분배출부(300)는 컨테이너본체(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미도시된 외부컨베이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부컨베이어는 배출파이프(300)로 배출된 축분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외부컨베이어는 내부컨베이어와 동일하게 스크류 및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축분을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축분은 배출파이프(300)로 배출된 후 외부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하면서 별도의 공간이나 운반장치에 적재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10)는, 컨테이너 본체(100)의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의 조립을 통해 생육환경을 용이하게 확장시킴과 아울러 질병 발생 시 발생된 공간만 쉽게 폐쇄할 수 있으며, 가축의 축사로 사용할 경우 축분스크레이퍼(200)를 통해 바닥면의 축분을 용이하게 포집하여 축분배출부(300)의 구성을 통해 포집된 축분을 용이하게 배출시킴으로써 컨테이너본체(100)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
100 : 컨테이너본체
100a : 도어
110 : 커메라
120 : 공조기
130 : 사료공급기
140 : 물공급기
200 : 축분스크레이퍼
210 : 청소날
220 : 청소레일
230 : 구동부재
240 : 경첩판
300 : 축분배출부
310 : 배출구
320 : 내부컨베이어
330 : 배출파이프
340 : 연결파이프

Claims (6)

  1. 소정의 수용공간을 함체형으로 형성되어 농산물, 수산물 및 축산물 중 적어도 하나의 생육공간을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 단층으로 형성되거나 복층으로 적층되는 컨테이너본체;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바닥면에 쌓이는 축분을 긁어서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방향으로 포집하는 축분스크레이퍼; 및
    상기 컨테이너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축분스크레이퍼에 의해 포집된 축분을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축분배출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분배출부는,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축분의 배출경로를 제공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분배출부는,
    상기 배출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로 이동한 축분을 상기 배출구의 단부측으로 이동시키는 내부컨베어어; 및
    상기 배출구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컨베이어에 의해 이동한 축분을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본체는,
    복수로 구성되어 복층으로 적층형성되어 상기 배출구 및 상기 내부컨베이어가 각각의 층에 구비되고,
    상기 축분배출부는,
    상기 컨테이너본체 각 층의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면서 상기 배출파이프에 연결되어 축분을 상기 배출파이프로 안내하는 연결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분스크레이퍼는,
    상기 컨테이너본체 바닥면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면에 밀착되는 청소날;
    상기 컨테이너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청소날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청소레일; 및
    상기 청소레일을 따라 상기 청소날을 견인하여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분스크레이퍼는,
    상기 청소날을 분할하여 접힘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청소날의 일방향 이동 시 상기 청소날을 접힌상태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청소날의 반대방향 이동 시 상기 청소날을 펴진상태로 이동시키는 경첩판을 더 포함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
KR1020210027956A 2021-03-03 2021-03-03 컨테이너를 이용한 축산용 플랫폼장치 KR102654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956A KR102654670B1 (ko) 2021-03-03 2021-03-03 컨테이너를 이용한 축산용 플랫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956A KR102654670B1 (ko) 2021-03-03 2021-03-03 컨테이너를 이용한 축산용 플랫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403A true KR20220124403A (ko) 2022-09-14
KR102654670B1 KR102654670B1 (ko) 2024-04-04

Family

ID=83278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956A KR102654670B1 (ko) 2021-03-03 2021-03-03 컨테이너를 이용한 축산용 플랫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670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105U (ko) * 1996-08-30 1998-06-05 김광희 이동식 돈사
KR19980069693A (ko) * 1997-02-28 1998-10-26 천상석 이동식 조기 이유자돈사
KR100200931B1 (ko) * 1997-02-28 1999-06-15 천상석 조립형 이동식 조기 이유자돈사
KR20010048567A (ko) * 1999-11-27 2001-06-15 김용채 가축사육용 컨테이너 축사
KR200238748Y1 (ko) * 2001-03-29 2001-10-26 전일권 친환경 위생축사
KR20030086007A (ko) * 2002-05-03 2003-11-07 윤광호 축산분뇨 이송 시스템
KR20040019412A (ko) * 2002-08-26 2004-03-06 주식회사 대진시스템 이유기의 가축 사육을 위한 축사
KR100826972B1 (ko) * 2007-02-23 2008-05-02 글로벌에스텍(주) 축사용 분뇨 컨테이너
KR20130024429A (ko) * 2011-08-31 2013-03-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돈슬러리의 지하 혐기발효공정을 포함한 돈사 시스템
KR101577305B1 (ko) * 2015-05-20 2015-12-15 농업회사법인(유)설천농장 어린 자돈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베이비하우스
KR101599860B1 (ko) 2013-07-30 2016-03-21 주식회사 유코리아 Usn 센서를 활용한 축사환경지수 및 체온예측관리를 위한 웹/모바일기반 관리시스템
KR20160118875A (ko) * 2015-04-03 2016-10-12 (주)지에스엘바이오 동물 분뇨 순환처리를 위한 축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3105U (ko) * 1996-08-30 1998-06-05 김광희 이동식 돈사
KR19980069693A (ko) * 1997-02-28 1998-10-26 천상석 이동식 조기 이유자돈사
KR100200931B1 (ko) * 1997-02-28 1999-06-15 천상석 조립형 이동식 조기 이유자돈사
KR20010048567A (ko) * 1999-11-27 2001-06-15 김용채 가축사육용 컨테이너 축사
KR200238748Y1 (ko) * 2001-03-29 2001-10-26 전일권 친환경 위생축사
KR20030086007A (ko) * 2002-05-03 2003-11-07 윤광호 축산분뇨 이송 시스템
KR20040019412A (ko) * 2002-08-26 2004-03-06 주식회사 대진시스템 이유기의 가축 사육을 위한 축사
KR100826972B1 (ko) * 2007-02-23 2008-05-02 글로벌에스텍(주) 축사용 분뇨 컨테이너
KR20130024429A (ko) * 2011-08-31 2013-03-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돈슬러리의 지하 혐기발효공정을 포함한 돈사 시스템
KR101599860B1 (ko) 2013-07-30 2016-03-21 주식회사 유코리아 Usn 센서를 활용한 축사환경지수 및 체온예측관리를 위한 웹/모바일기반 관리시스템
KR20160118875A (ko) * 2015-04-03 2016-10-12 (주)지에스엘바이오 동물 분뇨 순환처리를 위한 축사 시스템
KR101577305B1 (ko) * 2015-05-20 2015-12-15 농업회사법인(유)설천농장 어린 자돈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베이비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670B1 (ko)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939190B (zh) 自动昆虫饲养系统和容器
DK3171693T3 (en) CONTINUOUS PRODUCTION SYSTEM FOR CULTIVATION OF COLLECTED INSECTS
KR20200051812A (ko) 곤충 유충 사육
US20220217957A1 (en) Unit, building and method for rearing insect larvae
WO2020188506A9 (ja) 自動養蚕システム、自動養蚕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20100052007A (ko) 육계사육장치
KR20100000253A (ko) 동애등에 유충을 이용한 회전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 장치및 그 방법
US20190350173A1 (en) Eggoist multi-level system of floor equipment for commercial poultry maintenance
KR20220124403A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농수축산용 플랫폼장치
KR102462629B1 (ko)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EP0740900B1 (en) A battery for breeding chickens
RU2154939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кролик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TWM643635U (zh) 規模化循環經濟生物自動養殖收成系統
KR20030080309A (ko) 다층식 지렁이 사육 시스템
CN116685199A (zh) 饲养装置
NL2026684B1 (en) Method and assembly for harvesting insect eggs and for farming insects
KR101626815B1 (ko) 아파트형 케이지의 사료 공급장치
CN211793843U (zh) 一种黑水虻养殖及幼虫分离设备
CN217564624U (zh) 多层有机固废昆虫养殖系统
CN216363090U (zh) 一种畜牧养殖用自动清洁装置
RU2002107716A (ru) Конвейерная система универсальная блочно-интегрально-секционная зооагроперерабатывающая (ксу-бис)
CN215380878U (zh) 昆虫幼虫的养殖装置及养殖系统
CN217075241U (zh) 一种新型便于快速投喂和运输的实验小鼠箱
CN213486328U (zh) 一种畜牧兽医用病畜隔离笼
CN215684109U (zh) 一种养殖场无人值守自动喂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