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629B1 -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629B1
KR102462629B1 KR1020200043420A KR20200043420A KR102462629B1 KR 102462629 B1 KR102462629 B1 KR 102462629B1 KR 1020200043420 A KR1020200043420 A KR 1020200043420A KR 20200043420 A KR20200043420 A KR 20200043420A KR 102462629 B1 KR102462629 B1 KR 102462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craper
barn
livestock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783A (ko
Inventor
최영숙
Original Assignee
벤코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코코리아(주) filed Critical 벤코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00043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629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conveying belt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28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scrapers or the like moving continuous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35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46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manure-loaders, manure-ramps or manure-elevators associated with in-house removal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7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livestock or poult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닭, 오리 등 가금류 사육용 고상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다수 가금류들의 배설물이 사육공간 하부 지지대인 고상식바닥재 아래 형성된 배설물적재부에 축적되면 다수 스크래퍼에 의하여 축사 전후 길이방향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구와 대면하여 축사 일 끝단 하부로 구성되는 축분이송기 유닛으로 축분을 이송시키고, 축분이송기 유닛의 디스크와이어가 축사 좌우 폭방향으로 라인 이동시 디스크와이어에 체결 연동된 움직임을 갖는 앵글에 의하여 축분을 수거/이송시켜 축사 외부 배출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상향식 컨테이너를 통하여 건조/교반 공정 전단계인 축분저장부로 이송/적재시키는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Description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POULTRY MANURE TRANSFERRING SYSTEM WITH SPACED APART BARN FROM FLOOR}
본 발명은 닭, 오리, 오리 등 가금류 사육용 고상식 축사에서 사육되는 다수 가금류의 배설물이 사육공간 하부 지지대인 고상식바닥재 아래 형성된 배설물적재부에 축적되면 다수 스크래퍼에 의하여 축사 전후 길이방향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구와 대면하여 축사 일 끝단 하부로 구성되는 축분이송기 유닛으로 이송시키고, 축분이송기 유닛의 디스크와이어가 축사 좌우 폭방향으로 라인 이동시 디스크와이어에 체결 연동된 움직임을 갖는 앵글에 의하여 축분을 수거 이송시켜 축사 외부 배출공간 내부에 설치되는 상향식 컨테이너를 통하여 건조 교반 공정 전단계인 축분저장부로 이송 적재시키는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 농장이 바닥에 깔린 왕겨, 톱밥 등의 깔짚을 깔고 사육하는 평사 사육인데 반하여 고상식 축사는 바닥으로부터 약 60cm 정도의 바닥재(슬랫, 망 등)를 깔아 가금류는 바닥재 위에서 생활하도록 하되 축분은 바닥재 밑으로 떨어트려 스크래퍼나 축분벨트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축사를 말한다.
이러한 고상식 축사는 깔짚을 전혀 깔지 않고 친환경, 무항생제로 큰 닭, 오리를 얼마든지 사육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갖는다. 특히 유해가스, 먼지, 낙하세균, 약품비 경감으로 축사 내부환경을 양호하게 관리할 수 있고 관리자는 물론 가금류의 건강을 촉진시켜 축사 내 가금류 사육효율을 크게 개선시킨다.
주지된 바와 같이 축사는 닭, 오리, 거위 등의 가축을 사육하는 것으로, 이러한 축사는 가축을 사육하는 사육공간을 구비하도록 지붕이 구비된 일정 공간에 벽체, 펜스 또는 구획망 등으로 구획되어 있다.
특히, 대량으로 닭이나 오리를 키우는 축사의 경우 사육공간으로써 종래의 축사는 사육 공간의 바닥으로 벽체와 벽체의 상부를 덮는 지붕으로 구성되며, 사육공간의 바닥으로는 왕겨, 톱밥 등의 깔짚이 깔리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즉, 축사 바닥 평지에서 사육하는 방식이었다.
상기 깔짚은 바닥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였으나 수시로 배출되는 가금류 배설물 때문에 적절한 주기로 새로운 깔짚으로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깔짚 교체비용, 인건비용 등 경제적 측면만이 아니라 축사 내부 유해가스 발생 및 비청결도 및 축사 내구성, 생산성 악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이용되는 고상식 축사는 축사 바닥의 상층에 사육공간 구획으로 케이지를 설치하여 닭, 오리를 사육하고, 하층에는 축분이 떨어져 축적되도록 설계한 형태의 축사를 말하며, 축분은 자연 환기로 인하여 자연 반건 상태를 유지하며, 축사 바닥의 높이에 따라 저상식 축사, 중상식 축사, 고상식 축사로 나뉜다.
고상식 축사는 지상에서 대략 60cm 내지 80cm 높이에 설치된 슬랫 위에서 닭이나 오리를 사육하는 방식으로 사육공간인 플라스틱 슬랫 위에서 생활하는 닭, 오리의 축분이 슬랫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하부인 배설물적재부에 떨어지도록 설계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떨어진 축분은 다수 스크래퍼나 축분벨트 등에 의해 외부 축분 저장탱크로 배출시킴으로써 닭이나 오리의 사육공간에서 축분을 분리시키기 때문에 가금류는 출하될 때까지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생산성을 증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준다.
환기는 상층부로 인입된 공기가 축사 내 상층부의 따뜻한 공기와 혼합되어 닭이나 오리에게 배분되고, 축사 내부에 있는 유해가스를 하단부의 환기용 환풍기를 통해 밖으로 배출한다. 이러한 환기로 축사 내부의 급격한 온도변화를 차단하고, 내부 공기의 청정화 유지는 물론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해 사육비와 농장 운영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러한 동물 복지형 고상식 축사는 대형 닭이나 오리를 생산하는데 최적화된 시설이다.
등록특허 제10-0786770호의 "고상식 축사"를 통하여. 축사 내부에 사육자의 보행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중앙통로의 양측으로 구비된 사육공간, 상기 축사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고상에서 가금류를 사육하기 위하여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면서 사육되는 가금류의 배설물을 바닥으로 낙하시키는 고상식 바닥재, 상기 고상식 바닥재를 통하여 낙하되는 가금류의 배설물을 담도록 사육공간의 바닥으로 설치되는 배설 트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때, 상기 각각의 사육공간은 축사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획블록으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블록으로 구획된 사육용 배설 트레이가 각각 설치된 고상식 축사를 개시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637245호의 "고상식 축사"에서는 가금류의 사육공간을 조성하기 위하여 벽체를 구비하는 축사에 있어서, 상부면에 축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형성된 통공과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복수개로 구비되며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마련되는 슬랫을 구비하되, 상기 슬랫의 한쪽 모서리와 반대편 모서리에는 요부와 철부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되, 연속되어 설치되는 슬랫의 요부와 철부가 서로 치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요부와 철부의 저면으로는 나란하게 하측 방향으로 개방된 삽입홈이 형성되고,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수평방향으로 반복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삽입홈에 프레임이 끼움됨으로써 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고상식 축사 구조를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는 고상식 축사 내부구조 및 사육공간 자동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수시로 발생하는 축분을 건조나 교반작용 전 축분저장부로 이송시키는 축분이송 시스템에 관련해서는 그 프로세스가 미진하여 효율적인 측면에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축사 내 사육공간에서의 한 라인 끝단 배출구로 각각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배출시키면 각각의 라인 배출구에 대면하는 일정 깊이를 갖는 축분 배출 저장공간 내 설치된 상향식 컨베이어를 통하여 외부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시스템으로, 이 경우에는 축분 이송에 따른 부가장치가 다수 필요하여 경제적인 면이나 축분이송 효율적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사 하부 배설물적재부로 낙하된 축분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별도의 축분이송유닛의 축분이송적재부에 수거/이송 낙하시키고 축분이송유닛의 이송수단인 디스크와이어 및 다수 앵글의 라인 이동을 통하여 상향이동 컨베이어로 적재시킨 후 외부의 축분 저장부로 연속되는 공정으로 이송 저장시킴으로써 전술한 축사 내 사육환경 개선만이 아니라 인접하는 다수 축사의 축분 처리 효율을 높이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은 고상식 축사 내부에서 발생하는 축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축분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축사 내부에서 사육자 통행 및 자재 이송공간인 통로의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어 있는 사육공간; 상기 축사 내부 바닥으로부터 600~800mm 높이로 이격 설치되며 다수의 슬랫으로 구성되는 고상식바닥재; 상기 고상식바닥재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을 관통하여 낙하된 축분이 쌓이며, 상기 축사 내부 바닥에 구획 형성되는 배설물적재부; 상기 배설물적재부의 바닥에 적재된 축분을 소정 높이를 갖는 삽날을 이용하여 긁어 이송시켜 축사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낙하시키는 다수의 스크래퍼; 상기 스크래퍼에 의하여 낙하된 축분을 이송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설치되어 낙하된 축분을 축사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축분이송유닛; 상기 축분이송유닛에 의해 배출되는 축분을 외부에 설치된 축분저장조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향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 상기 다수의 스크래퍼, 축분이송유닛 및 컨베이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 구동수단; 및 상기 각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축분이송기유닛은, 상기 배설물적재부에서 이송되어 배출된 축분이 일정 높이에서 낙하되도록 축사 바닥에서 일정 깊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축사의 좌우 폭방향으로 이송된 축분이 적재되는 축분이송적재부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 샤프트에 축연결된 구동드럼을 포함하는 이송기 구동부와; 상기 구동드럼에 권취되어 축사 좌우방향으로 반복되는 직선 방향 움직임을 갖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디스크가 결합되어 상기 축분이송적재부에 쌓인 축분을 이동시키는 수단인 디스크와이어; 상기 디스크와이어에 밀착되어 얹어진 형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며 1.1~1.3m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축분이송적재부에 있는 축분을 긁어 이송시키기 위한 ㄱ자 형태의 다수개의 앵글; 및 상기 이송기 구동부가 위치하는 반대 방향의 디스크와이어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와이어의 회전방향 축전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래퍼 구동수단은, 상기 배설물적재부의 길이 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에 원판 형상으로 수직 설치되어 회전하는 스크래퍼 가이드롤러; 상기 스크래퍼 가이드롤러에 복식으로 연결되는 스크래퍼 중 어느 하나가 전진 이동시 다른 하나는 후진 이동하도록 기능하며 상기 스크래퍼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스크래퍼가 연동 움직임을 갖도록 축사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는 PP 재질의 와이어로프; 상기 와이어로프를 구동시키고 상기 와이어로프가 일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로프를 권취하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축연결된 체인; 및 상기 체인이 연결된 구동축을 회전시켜 상기 스크래퍼를 동력에 의하여 전후진 이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스크래퍼는 축사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상기 와이어로프 일측에 중심부가 체결고정되는 스크래퍼본체와, 상기 스크래퍼본체 좌우측면에서 진행 사선방향으로 일정길이 뻗어 스크래퍼본체 폭이 닿지 않는 벽체 가장자리 부분의 축분을 스크래퍼본체 방향으로 모으는 스크래퍼날개부 및 상기 스크래퍼본체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배설물적재부 바닥의 축분을 긁어내는 유동가능한 삽날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퍼 전진시에는 상기 스크래퍼날개부가 벽체를 향하여 전진 사선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삽날은 세워진 상태로 상기 배설물적재부 바닥의 축분을 긁어 이송 배출시키고, 후진시에는 상기 스크래퍼날개부가 스크래퍼본체 방향으로 일정 각도 접혀지고 상기 삽날이 들려진 상태로 원위치되도록 하며, 좌우측 스크래퍼가 각각 전후진을 완료하면 전원 차단 후 상기 구동모터를 역회전하여 상기 스크래퍼가 축분을 교호적으로 긁어내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앵글은 상기 컨베이어 방향으로 전진시에는 ┓형상으로 상기 축분이송적재부 바닥의 축분을 긁어서 이송 배출시키고, 배출되는 상기 가이드롤러에 형성된 톱니 형상에 상기 디스크가 맞물려 상기 디스크 와이어 상방향으로 옮겨져 후진방향으로 연동 움직임을 갖는 경우에는 ┗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삭제
상기한 시스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분 이송 시스템 적용시에는, 고상식 축사 하부 배설물적재부로 낙하된 축분을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별도의 축분 이송 유닛의 이송적재부에 수거/이송 낙하시키고 구동부에 의한 디스크와이어 동작 및 이에 연동되는 다수 앵글 등의 축분 수거/이송수단을 통하여 릴레이 이송하여 외부 배출구에 설치된 상향이동 컨베이어로 적재시키거나 저장탱크 적재 후 분뇨펌프에 의하여 외부의 축분 저장부로의 투입으로 이어지는 연속되는 이송공정으로 전술한 축사 내 사육환경 개선만이 아니라 축분 처리 효율을 높이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축사에서 발생하는 배설물을 수시로 외부로 방출시켜 가축의 위생상태를 청결하게 유지시켜, 질병예방 효과와 약품비용 절감효과가 매우 높으며 배설물이 가축에 묻지 않아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해 털이나 발을 상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축분의 경우 별도의 건조기를 이용해 펠릿 형태로 제조하여 겨울철 난방연료로 사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상식 축사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분이송 시스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설물적재부 내 스크래퍼 이동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래퍼구동부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래퍼 전진 이동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분이송유닛 구성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분이송유닛 구동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분이송유닛 끝단 배출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축분이송시스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축분이송 시스템에 있어서의 공정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박스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상식 축사에 있어서의 축분 이송 시스템에 관한 구체적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고상식 축사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특허공보에 이미 개시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축분이송 시스템이 적용되는 고상식 축사에 대한 내용을 먼저 간단하게 설명한다. 아울러 고상식 축사 내부 구성 환경은 본 출원인에 의한 종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고상식 축사(100)의 전체적인 외형 프레임은 다수 벽체와 상기 벽체 상부를 덮는 지붕으로 구성되고, 내부로는 지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부의 사육공간바닥(120)은 고상식바닥재(110) 형태로 상하로 배설물이 낙하되도록 구멍이 형성된 다수 슬랫이 수평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사육자 보행통로가 하나 이상 확보되어야 하며, 보행통로의 좌우 측으로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전후 길이 방향으로 별도의 구획용 구조물로 다수 사육공간(120)이 마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육공간(12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100) 전후 길이방향을 3등분하여 그물망 등으로 중간칸막이를 설치하여 칸막이로 구획되는 공간에서 사육되는 가금류의 수를 20 내지 30수 범위로 한정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상식 축사(100) 내부 환기는 굴뚝휀(150), 에어인렛, 터널휀 등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축사(100) 벽체에는 다수의 흡기덕트, 배기덕트(160), 냉방기 및 환풍기가 구비되어 축사(100) 내 공기 흐름을 적절 온도와 습도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축사(100) 내부 온도 및 습도를 포함한 적절한 사육 환경을 조성하고 있으며, 모든 축사(100)에는 고상식 사육공간과 스크래퍼를 각각 3세트 설치한다. 하지만, 이러한 내부 사육공간 구성은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이러한 내부 구획 구조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축사(100) 내부 바닥으로부터 600 내지 800 mm 이격되어 다수 PP 슬랫으로 구성되는 고상식바닥재(110)를 설치하며, 설치된 고상식바닥재(110)에서 사육되는 가금류 배설물이 하부 배설물적재부(200)로 낙하됨에 따라서 가금류 사육공간인 상기 고상식바닥재(110)는 항상 청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고상식바닥재(110)는 PP슬랫, FRP 프레임으로 구성함으로써, 강도가 높고 반영구적이며 화학 변화가 일어나지 않으며 축분이 잘 빠지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며, 평철로 간단히 조립 분해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사육공간을 구획하는 옹벽은 PVC 파이프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만들어 설치/분해 편리성을 제고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육공간(120)은 축사(100)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구획블록에 의하여 구획되며 구획블록의 상단부로는 양측 하향으로 테이퍼진 배설면을 형성하여 상기 고상식바닥재(110)을 통하여 낙하되는 가금류 배설물을 하부의 배설물적재부(2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설물적재부(200) 일측 끝단부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축사(100) 끝단부 내부로 설치된 축분이송적재부(310)로 이송된 배설물을 배출시킨다.
상기 배설물적재부(200)에 담긴 배설물이 포화 상태를 이루면 개방부를 통하여 축분이송적재부(310)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축사(100)의 벽체에는 개방부에 연이어져 배출구가 형성되고 이 배출구의 단속을 개폐하는 배출도어가 탄성체로 구성되어 배설물적재부(200)로 배설물이 적체되면 다수 스크래퍼(240)를 이용하여 개방부로 배설물을 밀어 상기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동 단위로 축사(100)의 후면 내측에 축분이송유닛(300)을 설치하여 릴레이로 축분을 이송하고, 축분저장조(500)에 모인 축분은 수시로 교반기(600)에 끌어올려지며, 상기 교반기(600)에는 수분조절제(절단볏짚 등 농업부산물)를 미리 넣어두고, 상기 교반기(600)는 무인자동으로 왕복하여 작동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발효된 축분비료는 수시로 외부로 배출한다.
이어서, 상기 축사(100) 바닥에 형성되는 배설물적재부(200)에 낙하되어 쌓인 축분을 축사 전후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이송부재는 다수 스크래퍼(240)를 이용하는 것인데, 상기 스크래퍼 구동수단 및 스크래퍼(240) 외형은,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스크래퍼(240)가 축사(100) 전후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 하부 삽날(243)을 이용하여 상기 배설물적재부(200) 바닥에 쌓인 축분을 긁어내어 수거한 후 일측 끝단부인 개방부를 통하여 후면 내측에 축사(100) 좌우 폭방향으로 구비된 축분이송적재부(310) 상면으로 수거 이송된 축분을 소정 높이로 낙하 적재시키게 된다.
상기 스크래퍼(240) 구동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크래퍼 구동수단은, 상기 배설물적재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에 원판 형상으로 바닥에 수직 설치되어 90° 방향 전환하여 축사(100) 전후 길이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매개하는 스크래퍼 가이드롤러(220)와, 상기 스크래퍼 가이드롤러(220)에 복식으로 연결되는 스크래퍼(240) 중 어느 하나가 전진 이동시 다른 하나는 후진 이동하도록 기능하며 상기 스크래퍼(240)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스크래퍼(240)가 연동 움직임을 갖도록 축사(100)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는 PP 재질의 와이어로프(216), 상기 와이어로프(216)를 구동시키고 상기 와이어로프(216)가 일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로프(216)를 권취하는 권취드럼(215), 상기 권취드럼(215)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축연결된 체인(214) 및 상기 체인(214)이 체인카플링(213)에 의해 연결된 구동축을 회전시켜 상기 스크래퍼(240)를 동력에 의하여 전후진 이동시키는 구동모터(211)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스크래퍼(240)를 축사 전후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11)가 축사(100) 전후 길이방향 끝단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211)에 축연결된 구동드럼이 감속기(212) 구동드럼과 체인카플링(213)을 매개로 하여 체인(214) 연결되어 맞물려 구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11) 옆 또는 상부로 구성되는 감속기(212)는 한 축에서 다른 축으로 동력을 전달할 때 회전속도를 줄이는 장치로 본 발명에서는 톱니바퀴식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즉, 상기 체인(214) 구동축 일측은 상기 스크래퍼(240) 구동을 매개하는 와이어로프(216)가 권취되어 있는 권취드럼(215)과 축연결되어 구동모터(211)에 의한 체인 구동력에 의하여 감겨져 있는 와이어로프(216)가 풀리거나 풀린 상태에서 감기면서 구동부 좌측 스크래퍼(240)와 우측 스크래퍼(240)의 전/후진 방향의 교호적 움직임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로프(216)는 상기 배설물적재부(200)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으로 폭 중앙에 설치된 스크래퍼 가이드롤러(220)에 의하여 상기 축사(100) 길이 방향으로 90° 꺽인 다음 축사(100)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배설물적재부(200)에 인접한 배설물적재부(200)로의 스크래퍼 가이드롤러(220) 및 와이어로프(216) 구성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스크래퍼 구동부 하나에 인접하는 배설물적재부(200)로의 스크래퍼(240)가 각기 설치되어 복수개의 스크래퍼(240)가 상기 와이어로프(216)의 축사(100) 길이 방향 움직임에 연동된다. 이에 따라서 일측 스크래퍼(240)가 배출방향으로 전진시에는 타측 스크래퍼(240)는 축사(100) 전면부로 후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스크래퍼(240) 구조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스크래퍼(240)는 축사(100)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상기 와이어로프(216) 일측에 중심부가 체결고정되는 스크래퍼본체(241)와, 상기 스크래퍼본체(241) 좌우측면에서 진행 사선방향으로 일정길이 뻗어 스크래퍼본체(241) 폭이 닿지 않는 벽체 가장자리 부분의 축분을 스크래퍼본체(241) 방향으로 모으는 스크래퍼날개부(242), 및 스크래퍼본체(241) 하부에 쳬결되어 상기 배설물적재부(200) 바닥의 축분을 긁어내는 유동가능한 삽날(243)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스크래퍼(240)는 모두 복식으로 설치하고 삽날(243) 높이는 H180mm, 길이는 2,000mm 이내로 각각 양쪽 끝에 설치하며 지그재그로 동작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스크래퍼(240)는 전진시에는 상기 스크래퍼날개부(242)가 벽체를 향하여 전진 사선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삽날(243)은 세워진 상태로 상기 배설물적재부(200) 바닥의 축분을 긁어 이송/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형상은 상기 배설물적재부(200) 벽면 구석으로 위치하는 축분을 진행방향 중앙으로 끌어모으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설물적재부(200) 내 쌓여있는 축분의 수거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스크래퍼본체(241) 후진시에는 상기 스크래퍼날개부(242)가 스크래퍼본체(241) 방향으로 일정 각도 접혀지고 삽날(243)이 들려진 상태로 원위치되도록 하며 다음 전진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즉, 상기 스크래퍼(240)는 스크래퍼 구동모터(211) 1대에 좌/우 스크래퍼(240) 1쌍이 연동되어 반대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갖도록 한 쌍으로 복식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스크래퍼(240)가 배출구를 향하여 배설물을 전진 이동시켜 배출시키고 다른 하나의 스크래퍼(240)는 배설물적재부(200) 구동부모터(211)가 있는 전방으로 후진 이동되어 배설물 배출을 위한 축사(100) 후면 내측의 축분이송 적재부(310)로의 배설물 전진이동을 위한 준비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인접하는 좌우측 스크래퍼(240)가 각각 전후진을 완료하면 전원 차단 후 상기 구동모터(211)를 역회전하여 상기 스크래퍼(240)가 상기 배설물적재부(200)에 쌓인 축분을 교호적으로 긁어내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진시에는 스크래퍼 하부에 설치된 일정 높이의 삽날(243)을 세워 바닥에 쌓인 분비물을 긁어내어 축사 후면으로 이동시켜 배출하고, 후진시에는 삽날(243)을 수평방향으로 하여 스크래퍼(240)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지그재그 움직임은 배설물적재부(200) 폭을 고려하여 최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크래퍼 길이로써 축분 수거효율을 높이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배설물적재부(200) 바닥은 수평면상으로 고르게 마무리하여 축분 이송 효율을 높이고 스크래퍼(240) 구동시 삽날 마모를 최대한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일측 권취드럼(215)이 동력에 의하여 와이어로프(216)를 감을 때 타측 권취드럼은 공회전하면서 와이어로프를 풀어주도록 하여 정회전/역회전에 따른 스크래퍼(240)의 전진/후진 동작이 연동되도록 한다.
즉, 좌측 스크래퍼(240)와 우측 스크래퍼가 각각 전후진을 완료하게 되면 솔레노이드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시킨 후 구동모터(211)를 역회전시키고, 상기 구동모터(211)가 정회전 역회전을 반복함에 따라서 스크래퍼(240) 하단에 설치된 삽날(243)을 통하여 배설물적재부(200) 바닥의 축분을 번갈아가면서 긁어내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회전속도를 줄이거나 조절하기 위하여 톱니바퀴식 나사산이 형성된 감속기(212)를 더 구성한다.
요약하면, 구동모터(211) 구동으로 구동드럼이 회전하여 구동드럼에 샤프트 축연결된 스크래퍼 가이드롤러(220)에 연결된 와이어로프(216)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동작시키고 상기 와이어로프(216) 작동에 의하여 상기 스크래퍼(240)를 전진 이동시켜 상기 배설물적재부(200)에 쌓인 배설물을 축사(100) 후면 내측에 설치된 축분이송기유닛(300)의 축분이송적재부(310) 상면으로 릴레이 이송시켜 배출시키게 된다.
전술하였듯이 상기 스크래퍼(240)는 배설물적재부(200) 바닥을 긁고 수거한 후 배설물을 이송시키는데 이를 위하여 설계시 체인(213)의 장력과 파단강도 등을 고려하여야 하며 삽날(243)은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습기에 의한 부식 방지를 위한 내습성 재질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커버를 이용하여 부식 방지 및 완벽한 방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날(243)은 임의적 롤링을 방지하기 위하여 회전각을 90°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표면은 용융 도금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스크래퍼(240) 구동에 관련된 전기인가 신호 및 타이머 설정 등은 별도로 설치되는 컨트롤박스(700)에서 제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스크래퍼(240) 구동시 구동 전에 스크래퍼구동부(210), 체인(214), PP로프(와이어)(216), 삽날(243) 등이 문제가 없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스크래퍼구동부 체인(214)에는 그리스를 발라 녹슴을 방지하고 원활한 구동이 가능하도록 관리하고 구동부의 느슨한 벨트는 즉시 교체하고 삽날(243)의 전후좌우에는 설치된 풀리가 정상적인지 확인하며, 후미에 설치된 리미트센서(740)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래퍼(240)의 고정은 스크래퍼본체(241) 중앙부에 위치한 와이어로프홀더(216a)에 와이어로프(216)를 관통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어서, 축분이송 수단인 상기 스크래퍼구동부(210)에 의하여 축사(100) 전후 길이방향으로 축분을 이송시켜 축분을 외부 축분저장부(500)로의 이송을 위한 상향식 컨베이어벨트(400)로 수거/이송시키 위한 축분이송기유닛(3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축분이송기유닛(300)은, 축분이송 적재부(310)와 이송기 구동부(320), 디스크와이어(330) 및 가이드축(코너롤러, 350)을 포함하며, 이송 방식은 상기 디스크와이어(330)에 체결되어 연동 움직임을 갖는 다수 앵글(340) 구동방식을 사용하고,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를 자세히 분설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축사(100) 후단 내측으로는 축사 좌우 폭방향으로 축사(100) 내 바닥으로부터 일정 깊이의 골을 형성하여 상기 배설물적재부(200)에서 상기 스크래퍼(240)에 의하여 배출되는 축분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인 축분이송적재부(310)를 형성한다.
상기 축분이송적재부(310)는 상기 배설물적재부(200)에서 이송되어 배출된 축분이 일정 높이에서 낙하될 수 있도록 축사(100) 후면 내측으로 설치되며 축사(100) 바닥에서 소정 깊이를 갖고 축사(100) 좌우 폭방향으로 축분이 적재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상기 축분이송적재부(310) 좌우 벽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평지지대를 설치 고정하고 상기 수평지지대와 체결되는 수직지지대는 축분이송 진행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상하 가이드프레임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근접하여 디스크와이어(330)가 축분이송 진행 방향으로 평행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디스크와이어(330)가 일정 장력을 유지하여 이송시 일정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디스크와이어(330)에 장착되는 다수 앵글(340)에 의한 축분 수거/이송 효율을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인접하는 3~4개의 다수 축사(100) 후면 형상은 동일하게 그 위치와 모양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축분이송유닛(300) 프로세스가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여 축분이송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출된 축분의 릴레이 이송 시작 부위 일측에는 이송기구동부(320)를 구성하는데, 이러한 구동모터(321)를 포함한 이송기구동부(320)는 이송방향 끝 부분에도 설치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배출구가 위치하는 끝 부분은 별도의 구동모터(321)에 의한 축 구동이 아닌 베어링유니트(328)에 의한 연동 회전구동으로 동작시켜 모터(321) 구동시 동작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기구동부(320)가 위치하는 곳에 근접하는 부위의 좌우 가이드롤러(350) 전면부에는 상기 축분이송적재부(310)에 쌓인 축분이 구동 샤프트(326), 가이드롤러(350) 및 디스크와이어(330)로 확산되어 롤링 구동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병풍 모양의 축분유입방지판(327)을 더 구성한다.
상기 이송기구동부(32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구동모터(321) 일측면 하부에 좌우 수평 방향의 샤프트(326)가 열결되고 중앙의 샤프트플랜지(326a)를 중심으로 좌우 소정거리 이격되게 디스크와이어(330) 가이드롤러(350)가 축사(100)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 및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샤프트(326)는 좌우측 끝단의 베어링유니트(328)에 결합되어 연동 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롤러(350)의 외주면에 다수 형성된 나사산(350a)에 맞물리도록 연결된 디스크와이어(330)는 로프 형상의 와이어에 원형 PP 플라스틱인 디스크(331)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고정되도록 하여 구성한다. 이는 상기 디스크와이어(330)의 적절한 텐션 유지 및 다수 앵글(340) 고정을 위한 구성으로 PP 재질로 구성하여 분뇨 이송에 따른 습한 환경에서의 녹슴이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350)의 양 측면 벽체 쪽으로 형성되는 베어링유니트(328)는 베어링플레이트(328a) 또는 지지브라켓(328b) 등에 의하여 측면 벽체에 고정되게 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의 가이드롤러(350)의 나사산에 걸림 회전되어 축사(100)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을 갖는 상기 디스크와이어(330)가 구동모터(321)에 의한 회전운동시 연동하여 축사(100) 전후 길이방향으로 움직임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크와이어(330)에는 다수 앵글(340)을 대략 1.2m 간격으로 설치 고정시키는데 이는 축분이송적재부(310) 내 바닥의 축분을 긁어 수거/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앵글(340)은 상기 상향식 컨베이어벨트(400) 방향으로 전진시에는 ┓형상으로 상기 축분이송적재부(310) 바닥의 축분을 긁어서 이송/배출시키고, 배출되는 상기 가이드롤러(350)에 형성된 톱니 형상에 상기 디스크(331)가 맞물려 상기 디스크와이어(330) 상방향으로 옮겨져 후진방향으로 연동 움직임을 갖는 경우에는 ┗ 형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모양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앵글(340) 길이는 상기 가이드롤러(350)에 체결되고 상기 축분이송적재부(310) 바닥을 커버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롤러(350) 간격보다 크고 상기 축분이송적재부(310) 바닥 폭보다는 조금 적은 길이로 구성하며, 상기 가이드롤러(350)에 회전구동하는 디스크와이어(330) 일측과 이와 대면하는 평행 방향의 타측 디스크와이어(330) 상에 별도 체결부재(345)에 의하여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이송기구동부(320)는 동력 발생장치인 구동모터(321)와 상기 구동모터 샤프트에 축연결된 구동드럼(322)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구동모터 샤프트에 연결된 감속기(323)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는데 상기 감속기(323)는 기어 형상을 가지고 모터 회전수를 필요한 만큼 감속하여 부품 마모도를 줄이고 더 큰 힘(토크)를 얻을 수 있도록 기어드모터(321)에 장착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드럼(322)에 권취되어 축사(100) 좌우 폭방향으로 일직선 연장되어 상기 축분이송적재부(310)에 쌓인 축분을 수평 방향에서 수거/이동시키기 위한 디스크와이어(330)를 폭방향 좌우 측면으로 수직 설치한다. 상기 디스크와이어(330)는 축사(100) 좌우 폭방향 일직선으로 양측에 설치하며, 상기 축분이송적재부(310)로 쌓여진 축분을 축분저장조(500) 내부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다수 앵글(340)을 전술하였듯이 상기 디스크와이어(330)에 장착시킨다.
한편, 상기 이송기구동부(320)가 위치하는 반대 방향의 디스크와이어(330) 일측 끝단부로는 가이드롤러(350)을 구성하여 상기 디스크와이어(330)의 회전방향에서의 축전환 움직임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롤러(350)는 고탄력 고부하에 강한 MC 재질로 사출성형 또는 압출성형함으로써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일종으로써 절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하도록 하고 케이스는 용융도금을 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컨베이어(400)는 상기 축분이송유닛(300)에서 이송된 축분을 후처리 공정인 건조/교반 공정을 위하여 저장하는 공간인 축분저장조(500)로 상방향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재로서, 전체 외형은 바닥벨트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사이드프레임으로 구성된 일자형 몸체로 형성되며 상기 바닥벨트 상면으로는 수거/이송된 축분을 순차적으로 릴레이 이송하여 축분저장조 일측에 형성된 호퍼등의 내부로 쏟아내어 축분을 이송시킨다.
이송을 위하여 회전용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모터에 축연결된 구동롤러 및 구동벨트를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모터를 정회전시켜 바닥벨트의 상향 움직임을 매개하고 길이방향 양측 끝단에는 구동벨트의 감김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축이 구비되며, 일련의 정회전 동작이 완료되면 리미트스위치(740)에 의하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컨베이어 기본 구성 및 구동 방식은 이미 동종업에서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는 구성 및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축분이송 시스템 내에서 연속되는 일련의 릴레이 공정시 사용되는 리미트스위치(740)를 포함한 다수 스위치(720), 센서 및 디스플레이부(710)로 형성되어 제어부를 구성하는 컨트롤박스(7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컨트롤박스(700)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각각의 동력 발생장치인 상기 스크래퍼 구동모터(211), 축분이송유닛 구동모터(321), 컨베이어 구동모터(미도시됨) 등에 대한 구동(정회전/역회전) 제어를 위한 ON/OFF 스위치(720), 본 발명에 따른 축분이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 및 유닛을 통하여 연속되는 릴레이 이송을 위한 구동시간 설정 타이머(730)등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러한 컨트롤박스(700)는 각각의 장치 구동을 위하여 별개로 장치별로 장치 외측에 설치할 수도 있고, 전체 공정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관리자가 별도로 중앙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일련의 과정들이 릴레이 방식으로 순차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축분이송 시스템 공정상 개별장치에 대한 개별제어 및 중앙제어를 병행하여 통합적으로 시스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타이머, 리미트스위치, 구동력 인가 제어스위치(푸시버튼방식 또는 터치방식) 등을 포함하여 시스템을 구성하는 스위치를 포함한 다수 전기인가 장치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740)는 상기 스크래퍼본체(241)가 전진 이동을 완료하는 때 동작하도록 하여 셋팅된 시간에서 스크래퍼(240) 구동이 반복되어 진행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디스크와이어(330)가 구동부 드럼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 스위치(740)를 포함한 컨트롤박스(700)는 축분에서 유발되는 유해가스나 수분 침투를 막아주어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표면 처리하고, 케이스 틈을 최대한 줄여 다수 전기스위치 및 제어 컨트롤러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트롤박스(700)는 반드시 1세트씩 교대로 가능하도록 하여 이송시 이송축분량 및 전력량 등을 고려하여 동시에 작동되는 것을 피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컨트롤박스(700)는 각 동에 1세트씩 처리할 수 있도록 제작한다.
이러한 축분이송 공정에서는, 축분이송 동작시 상기 배설물 적재부(200)에서 스크래퍼(240)에 의한 분뇨 이송시 사전에 점검하고 최소 10분 이상 공회전을 실시하여 작동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컨베이어벨트(400) 작동상태, 벨트상태 및 장력을 점검하여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 효율적 이송이 가능하도록 적극적으로 체크하여야 한다.
즉, 상기 스크래퍼(240)를 작동할 경우 축분이송기 구동부(320)와 컨베어벨트(400)는 사전에 항상 작동하도록 하여 축분이 적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축분이송기 유닛(30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상기 스크래퍼(240)를 순차적으로 가동시켜 많은 양의 축분이 동시에 상기 축분이송적재부(310)로 떨어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효율적인 축분이송 시스템에서의 축분이송의 공정 흐름을 순서에 의거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상식바닥재(110) 상의 다수 사육공간(120)에서 닭이 무리지어 생활하면서 배출하는 분뇨 및 분비물은 상기 고상식바닥재(110)을 구성하는 팰릿 형상의 구멍을 통하여 하부의 배설물적재부(200) 내부로 축분이 투척된다.(S810)
그리고, 상기 배설물적재부(200) 내 쌓인 축분은 축사(100) 전후 길이방향으로 구동모터(211)에 의한 와이어로프(216) 권취방향에 따라서 이와 연동되는 이웃하는 스크래퍼(240)가 전후진 동작을 서로 어긋나게 수행하면서 축분이송적재부(310)로 수거/이송시킨다.(S820)
이어서, 상기 축분이송적재부(310)에 쌓인 축분은 구동모터(321)에 의한 디스크와이어(330) 이동 및 이와 결합되어 연동 움직임을 갖는 다수 앵글(340)을 통하여 축사(100) 좌우 폭방향으로 릴레이 수거/이송하여 컨베이어벨트(400) 또는 분뇨펌프로 이송시킨다.(S830)
마지막으로, 상기 이송된 축분을 상기 컨베이어벨트(400)를 이용하여 상향 이동시켜 축분저장부(500)로 축분을 쏟아부으면(S840) 상기 축분저장부(500)를 거쳐 인접한 교반기(600)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S850)
이상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고상식 축사 110: 고상식바닥재
200: 배설물적재부 210: 스크래퍼구동부
211: 구동모터 213: 체인
215: 권취드럼 216: 와이어로프
216a: 와이어로프홀더 220: 스크래퍼가이드롤러
240: 스크래퍼 241: 스크래퍼본체
242: 스크래퍼날개부 243: 삽날
300: 축분이송기유닛 310: 축분이송적재부
320: 이송기구동부 321: 구동모터
322: 구동드럼 323: 감속기
324: 권취드럼 321a: 기어모터플레이트
326a: 샤프트플랜지 327: 축분유입방지판
330: 디스크와이어 340: 앵글
350: 가이드롤러 400: 컨베이어벨트
500: 축분저장조 600: 교반기

Claims (6)

  1. 고상식 축사(100) 내부에서 발생하는 축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축분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축사 내부에서 사육자 통행 및 자재 이송공간인 통로의 좌우 양측으로 구비되어 있는 사육공간(120);
    상기 축사 내부 바닥으로부터 600~800mm 높이로 이격 설치되며 다수의 슬랫으로 구성되는 고상식바닥재(110);
    상기 고상식바닥재(110)에 형성된 다수의 배출공을 관통하여 낙하된 축분이 쌓이며, 상기 축사 내부 바닥에 구획 형성되는 배설물적재부(200);
    상기 배설물적재부(200)의 바닥에 적재된 축분을 소정 높이를 갖는 삽날(243)을 이용하여 긁어 이송시켜 축사의 길이방향 일측 끝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하여 낙하시키는 다수의 스크래퍼(240);
    상기 스크래퍼(240)에 의하여 낙하된 축분을 이송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설치되어 낙하된 축분을 축사 좌우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축분이송유닛(300);
    상기 축분이송유닛(300)에 의해 배출되는 축분을 외부에 설치된 축분저장조(500)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상향으로 설치되는 컨베이어(400);
    상기 다수의 스크래퍼(240), 축분이송유닛(300) 및 컨베이어(4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각 구동수단; 및
    상기 각 구동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박스(700);를 포함하되,
    상기 축분이송유닛(300)은,
    상기 배설물적재부(200)에서 이송되어 배출된 축분이 일정 높이에서 낙하되도록 축사 바닥에서 일정 깊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축사의 좌우 폭방향으로 이송된 축분이 적재되는 축분이송적재부(310)와;
    구동모터(321)와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 샤프트에 축연결된 구동드럼(322)을 포함하는 이송기 구동부(320)와;
    상기 구동드럼(322)에 권취되어 축사 좌우방향으로 반복되는 직선 방향 움직임을 갖고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디스크(331)가 결합되어 상기 축분이송적재부(310)에 쌓인 축분을 이동시키는 수단인 디스크와이어(330);
    상기 디스크와이어(330)에 밀착되어 얹어진 형태에서 체결부재(345)에 의하여 고정되며 1.1~1.3m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축분이송적재부(310)에 있는 축분을 긁어 이송시키기 위한 ㄱ자 형태의 다수개의 앵글(340); 및
    상기 이송기 구동부(320)가 위치하는 반대 방향의 디스크와이어(330) 일측 끝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와이어(330)의 회전방향 축전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240) 구동수단은,
    상기 배설물적재부(200)의 길이 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에 원판 형상으로 수직 설치되어 회전하는 스크래퍼 가이드롤러(220);
    상기 스크래퍼 가이드롤러(220)에 복식으로 연결되는 스크래퍼(240) 중 어느 하나가 전진 이동시 다른 하나는 후진 이동하도록 기능하며 상기 스크래퍼(240)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스크래퍼(240)가 연동 움직임을 갖도록 축사(100)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되는 PP 재질의 와이어로프(216);
    상기 와이어로프(216)를 구동시키고 상기 와이어로프(216)가 일정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로프(216)를 권취하는 권취드럼(215);
    상기 권취드럼(215)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축연결된 체인(213); 및
    상기 체인(213)이 연결된 구동축을 회전시켜 상기 스크래퍼(240)를 동력에 의하여 전후진 이동시키는 구동모터(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240)는 축사(100)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상기 와이어로프(216) 일측에 중심부가 체결고정되는 스크래퍼본체(241)와, 상기 스크래퍼본체(241) 좌우측면에서 진행 사선방향으로 일정길이 뻗어 스크래퍼본체 폭이 닿지 않는 벽체 가장자리 부분의 축분을 스크래퍼본체 방향으로 모으는 스크래퍼날개부(242) 및 상기 스크래퍼본체(241) 하부에 체결되어 상기 배설물적재부(200) 바닥의 축분을 긁어내는 유동가능한 삽날(243)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래퍼(240) 전진시에는 상기 스크래퍼날개부(242)가 벽체를 향하여 전진 사선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삽날(243)은 세워진 상태로 상기 배설물적재부(200) 바닥의 축분을 긁어 이송 배출시키고, 후진시에는 상기 스크래퍼날개부(242)가 스크래퍼본체(241) 방향으로 일정 각도 접혀지고 상기 삽날(243)이 들려진 상태로 원위치되도록 하며, 좌우측 스크래퍼(240)가 각각 전후진을 완료하면 전원 차단 후 상기 구동모터(211)를 역회전하여 상기 스크래퍼(240)가 축분을 교호적으로 긁어내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은 상기 컨베이어(400) 방향으로 전진시에는 ┓형상으로 상기 축분이송적재부(310) 바닥의 축분을 긁어서 이송 배출시키고, 배출되는 상기 가이드롤러(350)에 형성된 톱니 형상에 상기 디스크(331)가 맞물려 상기 디스크 와이어(330) 상방향으로 옮겨져 후진방향으로 연동 움직임을 갖는 경우에는 ┗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식 축사의 축분 이송 시스템.





  6. 삭제
KR1020200043420A 2020-04-09 2020-04-09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KR102462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420A KR102462629B1 (ko) 2020-04-09 2020-04-09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420A KR102462629B1 (ko) 2020-04-09 2020-04-09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783A KR20210125783A (ko) 2021-10-19
KR102462629B1 true KR102462629B1 (ko) 2022-11-03

Family

ID=78228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420A KR102462629B1 (ko) 2020-04-09 2020-04-09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6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68654B (zh) * 2022-05-09 2023-04-11 大智农牧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畜牧周期分散式养殖场地的循环引导系统及引导方法
CN117645396B (zh) * 2024-01-29 2024-04-30 安徽华荣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清理的玻璃钢化粪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2266B2 (ja) * 1993-04-28 2001-04-03 株式会社トーキン 電源トランス用巻枠
JP2003164232A (ja) * 2001-12-03 2003-06-10 Sugiura Torahiko 飼鶏舎の鶏糞脱臭法とその装置
KR100786770B1 (ko) * 2006-07-07 2007-12-18 주식회사 건지 고상식 축사
JP3152266U (ja) * 2009-05-13 2009-07-23 アスカバイオ株式会社 溝の清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350B1 (ko) * 2007-04-27 2009-04-07 이창재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
KR101237774B1 (ko) * 2010-05-26 2013-03-29 주식회사 건지 가금 자동 출하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고상식 축사
KR101257487B1 (ko) * 2010-09-01 2013-04-2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 분뇨 제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2266B2 (ja) * 1993-04-28 2001-04-03 株式会社トーキン 電源トランス用巻枠
JP2003164232A (ja) * 2001-12-03 2003-06-10 Sugiura Torahiko 飼鶏舎の鶏糞脱臭法とその装置
KR100786770B1 (ko) * 2006-07-07 2007-12-18 주식회사 건지 고상식 축사
JP3152266U (ja) * 2009-05-13 2009-07-23 アスカバイオ株式会社 溝の清掃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783A (ko) 202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810B2 (en) Intelligent automatic livestock rearing system
KR102462629B1 (ko)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US3396703A (en) Poultry hatching apparatus
US11041655B2 (en) Aviary ventilation system and method
CN106172022B (zh) 一种多层楼房式家畜饲养系统及饲养方法
US201303193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ring Insect Larvae
CN112400809B (zh) 一种巷道式黑水虻饲养方法
JPH0634662B2 (ja) 家禽飼育用の飼育舎
KR20090077363A (ko) 가금류 사육장
KR100786770B1 (ko) 고상식 축사
JP3877335B2 (ja) 家畜飼育用小屋
CN205431537U (zh) 一种层叠式高密度鹌鹑养殖自动化设备
US3662714A (en) Structure for housing animals
US3948219A (en) Battery farming equipment
JP3743766B2 (ja) 家畜の排泄物の乾燥室および乾燥装置
CN112335612A (zh) 一种巷道式黑水虻自动化饲养系统
CN209806761U (zh) 一种清洁型实验鼠饲养装置
US3191577A (en) Livestock barn
CN112273276A (zh) 一种家禽养殖的自动养殖系统
WO2011004926A1 (ko) 가금류 사육장
JPH06510694A (ja) 集卵装置
KR20030043563A (ko) 지렁이 자동사육 및 분변토 배출장치
KR200261165Y1 (ko)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
JP5002312B2 (ja) 家畜の排泄物の乾燥システム
CN210641946U (zh) 一种移动格板畜牧自动养殖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