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165Y1 -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 - Google Patents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165Y1
KR200261165Y1 KR2020010033523U KR20010033523U KR200261165Y1 KR 200261165 Y1 KR200261165 Y1 KR 200261165Y1 KR 2020010033523 U KR2020010033523 U KR 2020010033523U KR 20010033523 U KR20010033523 U KR 20010033523U KR 200261165 Y1 KR200261165 Y1 KR 200261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n
roof
dirt
livestock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35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일권
Original Assignee
전일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일권 filed Critical 전일권
Priority to KR20200100335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1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165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에 관한 것으로, 지붕의 한쪽 일부를 개폐시키는 한편 일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축사의 바닥에 쌓인 오물을 스크류방식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깨끗이 제거해 주도록 하는 한편 바닥온도를 보일러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축사의 바닥을 처음 시작과 끝부분인 좌,우로 이동하며 축산 오물을 중앙의 배출구로 모아주고 배출구로 모아진 오물은 한쪽으로 이동시켜 처리하는 오물제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축사바닥은 보일러 방식으로 냉,온수가 흐르는 바닥재를 구비하며, 축사의 지붕 천장은 일부가 개폐되게 하되 일부는 투명되게 하여 햇빛에 의한 난방이 가능토록 하는 한편 천장의 밑부분은 스크린으로 가려주어 햇빛을 일조량에 따라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Sanitary for agriculture and stockbreeding cattle shed}
본 고안은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에 관한 것으로, 지붕의 한쪽 일부를 개폐시키는 한편 일조량을 조절 할 수 있도록 하고, 축사의 바닥에 쌓인 오물을 깨끗이 제거해 주도록 하는 한편 바닥온도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 닭, 돼지 등의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는 시멘트 바닥에 우리를 설치하여 가축이 배설하는 오물이 쉽게 배출될 수 있도록 바닥을 경사지게 하거나 톱밥 등을 깔아 주고 주기적으로 청소해 주고는 있으나, 근본적으로 오물을 제거해 주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축사의 천장은 고정시킨 형태에서 창문이나 환풍기를 이용하여 환기를 실시하게 되어 환기에 어려움이 따르고, 태양 빛을 축사에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선출원된 20-2001-0008790호로 친환경위생축사를 출원한 바 있으나, 상기된 선 출원건은 축사바닥의 오물제거가 쉽지 않고, 또한 바닥의 온도를 조절해 주지 못하여 가축의 생육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특히 천장의 개폐가 쉽게 되지 않아 환기가 쉽지 않는 한편 햇빛에 의한 난방을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축사의 천장 지붕중 일부를 개폐되게 하여 환기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천장 지붕을 스크린으로 가려지는 투명재질로 하여 햇빛을 이용한 난방이 가능케 하며, 축사 바닥에는 냉,온수가 흐르는 보일러 방식의 바닥재를 설치하여 축사 내부온도를 맞추어주도록 하고, 축사의 바닥을 이동하며 오물을 배출구로 모아주는 오물제거수단을 구비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은 축사의 바닥을 좌,우로 이동하며 축산 오물을 중앙의 배출구로 모아주고 배출구로 모아진 오물은 한쪽으로 이동시켜 처리하는 오물제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축사바닥은 냉,온수가 흐르는 바닥재를 구비하며, 축사의 천장은 일부가 개폐되게 하되 일부는 투명되게 하여 햇빛에 의한 난방이 봄, 가을, 겨울동안에 가능토록 하는 한편 한쪽 천장은 여름철 스크린으로 가려주어 햇빛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이루어진다.
도 1 은 본 고안 축사의 내부를 보인 측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개폐지붕의 개폐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개폐지붕의 개방상태 측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지붕개폐를 위한 실시예 설명도
도 5 는 본 고안의 바닥재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바닥재 연결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 바닥재의 연결상태 종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오물제거수단 일부절결 평면도
도 9 은 본 고안 오물제거수단의 내부를 보인 정면도
도 10 은 본 고안 오물제거수단의 측단면도
도 11 은 본 고안의 이중이송스크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 는 본 고안 이중이송스크류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축사 2,3 : 지붕 4 : 고정빔
7 : 우리 8 : 배출구 10 : 모터
11 회전축 12 : 고정끈 20 : 바닥재
21 : 삽입홈 22 : 배관 30 : 오물제거수단
31 : 구동축 33 : 체인 34 : 이송레일
37,38 : 이송스크류 40 : 덮개 41 : 노즐
42,43,44 : 모터 50 : 이중이송스크류 51 : 솔스크류
본 고안은 축사(1)의 지붕(2)(3)을 개량하여 환기와 난방이 가능토록 한 것으로, 지붕(2)(3)을 투명재질로 제작하여 햇빛이 자유롭게 축사(1)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지붕(2)(3)의 저면에는 개폐 가능한 스크린(4a)(4b)을 설치하여 스크린(4a)(4b)으로 햇빛을 가리거나 보온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지붕(2)(3)은 고정지붕(2)과 개폐지붕(3)으로 나뉘게 되며, 개폐지붕(3)에는 고정끈(12)이 고정된 고정봉(13)을 설치하고, 상기 개폐지붕(3)의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지붕(2)에는 모터(10)와 , 상기 모터(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1)과, 상기 회전축(11)에 감기고 고정봉(13)에 선단이 고정되는 고정끈(12)이 설치된다.
이때 개폐지붕(3)은 벽체(5)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6)로 고정되게 되며 회전축(11)에서 고정끈(12)을 당기거나 풀어주는 것에 의하여 개폐지붕(3)은 힌지(6)를 중심으로 고정지붕(2)사이에서 개폐되게 한다.
즉 모터(10)의 회전방향과 회전량을 조절하면 회전축(11)이 회전하여 고정끈(12)을 당기거나 풀게 되고, 상기 고정끈(12)의 당김이나 풀림에 따라 개폐지붕(3)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따라서 축사(1)내부의 환기가 필요한 경우 개폐지붕(3)을 열고 닫음에 따라 환기가 이루어지게 하므로, 축사(1)의 환기를 빠르게 원하는 만큼 할 수 있으며, 환기가 불필요한 경우는 개폐지붕(3)을 닫으면 된다.
상기 지붕(2)(3)의 하부에는 스크린(4a)(4b)을 설치하되, 상기 스크린(4a)(4b)은 개폐 가능케 하여 햇빛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여름철이나 야간에는 스크린(4a)(4b)을 설치하여 햇빛을 가리거나 보온이 되도록 하고, 주간에는 스크린(4a)(4b)을 개방하여 투명한 지붕(2)(3)을 통하여 햇빛이 축사(1)내부로 비추어지게 하여 축사(1)내부 온도를 상승시켜 난방비를 감소시키는 한편 축사(1)내부의 살균이 되게 하여 병충해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즉 스크린(4a)(4b)을 접어 햇빛이 축사(1)내부로 비추어지게 하므로써 봄, 가을, 겨울철 축사(1)내부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햇빛에 의한 살균이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햇빛이 오물을 건조시켜 오물의 발생량을 줄이도록 하며, 여름철이나 야간에는 스크린(4a)(4b)을 펼쳐 지붕(1)의 하부를 가려주어 햇빛이 축사(1)내부로 비추어지지 못하게 하므로써 축사(1)내부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한편 축사(1)내부의 보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된 개폐지붕(3)과 스크린(4a)(4b)은 온도센서나 광량 감지센서에 연동시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별도의 조작이 없이도 온도나 광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지붕(3)과 스크린(4a)(4b)을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축사(1)의 바닥을 중앙에 배출구(8)가 형성되게 설치하되 상기 배출구(8)를 제외한 바닥에는 바닥재(20)를 깔아주고, 상기 바닥재(20)에는 배관(22)을 끼워주어 난방과 냉방이 가능하도록 한다.
기존의 축사(1)바닥은 철망이나 별도의 망체를 이층공간으로 설치하여 오물이 망체를 통하여 하부로 빠지게 하고, 하부로 빠진 오물은 별도의 스크레퍼를 이용하여 제거해 주도록 되어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설치비가 많이드는 한편 바닥의 온도가 낮거나 가스의 발생으로 냄새 및 호흡기 질병으로 가축생육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바닥을 편평하게 하되 바닥에 배관(22)이 내장된 바닥재(20)를 깔아주도록 한 것으로, 바닥재(20)는 삽입홈(21)이 형성되어 상하 마주보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삽입홈(21)에 배관(22)을 깔고 고정볼트(23)로 고정시켜 주도록 되어있는 것으로, 바닥재(20)의 일측을 서로 엇갈리는 형태로 맞물리게 한 후 엇갈린 곳에서 고정볼트(23)로 고정되게 한다.
이때 바닥재(20)는 폐비닐과 돌가루등을 혼합하여 사출 제작하게 되는 것으로, 한번 사용한 후 분리하여 재사용 할 수 있어,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시멘트를 사용하지 않아 시멘트의 독성으로부터 가축을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재(20)의 표면은 엠보싱처리를 하여 가축이 움직일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의 바닥재(20)에 삽입된 배관(22)에는 온수나 냉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장치를 연결하여 여름철에는 냉수를 배관(22)에 유입시키고 겨울철에는 온수를 배관(22)에 유입시켜 바닥재(20)를 이용한 냉난방이 가능케 한다.
가축은 여름철에는 더위를 타고, 겨울철에는 추위를 타게 되는 것으로, 환기를 이용하여 축사(1)의 내부온도를 낮추어주는 데도 한계가 있고, 햇빛을 이용한 난방에도 한계가 있어, 가축이 더위와 추위를 느끼게 되므로, 본 고안에서는 바닥재(20)에 삽입된 배관(22)에 냉수나 온수를 유입시켜 바닥재(20)를 차갑게 하거나 따뜻하게 하여 가축이 더위나 추위를 느끼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축사(1)의 바닥에 바닥재(20)를 깔아주게 평편하게 하되 중앙에 오물이 모이는 배출구(8)를 낮게 형성시키며, 상기 배출구(8)를 중심으로 양측에 깔린 바닥재(20)에 우리(7)를 설치하여 가축을 기르도록 한다.
본 고안의 우리(7)는 축사(1)를 가로질러 설치된 고정빔(4)에 고정시키되 바닥재(20)와 우리(7)사이에 오물제거수단(30)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정공간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즉 기존 축사의 우리는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본 고안에서는 우리(7)를 고정빔(4)에 고정시키되 공중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하여 우리(7)의 하부를 통하여 오물제거수단(3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오물제거수단(30)은 축사(1)의 바닥 좌,우로 설치된 이송레일(34)과, 상기 이송레일(34)에 평행하게 설치된 체인(33)과, 상기 체인(33)을 타고 이동하는 스프라켓(32)을 구동시키는 구동축(31)과, 상기 이송레일(34)을 타고 이동하는 이송롤러(35)와, 상기 구동축(31)의 좌우측으로 설치된 이송스크류(37)(38)와, 상기 구동축(31) 및 이송스크류(37)(38)를 감싸는 덮개(40)와, 상기 덮개(40)상부에 설치되고 구동축(31)과 이송스크류(37)(38)를 회전시키는 모터(42)(43)(44)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송레일(34)과 체인(33)은 축사(1)의 바닥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모터(42)로 구동축(31)을 회전시키면 구동축(31)의 양단에 고정된 스프라켓(32)이 회전하여 체인(33)에 치합되어 이동하게 되며, 이송롤러(35)가 이송레일(34)을 타고 이동하여 체인(33)과 스프라켓(32)의 이탈을 방지한다.
즉 오물제거수단(30)은 구동축(31)의 회전에 의해 이동동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송롤러(35)가 이송레일(34)을 타고 이동하게 되므로써 덮개(40)로 씌워진 이송스크류(37)(38)가 일정한 속도로 천천히 이동하게 된다.
이송스크류(37)(38)는 배출구(8)를 중심으로 좌우의 날개 방향을 반대로 하여 이송스크류(37)(38)가 회전하면 오물을 중앙의 배출구(8)로 모아주도록 하며,이송스크류(37)(38)는 모터(43)(44)에 의해 구동되도록 한다.
덮개(40)의 내부에는 노즐(41)을 설치하여 오물을 닦아 내도록 하는 한편 각종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게 되며 소독 및 습도조절로 이용할 수 있다.
이같이 오물제거수단(30)은 모터(42)로 구동축(31)을 회전시켜 스프라켓(32)이 체인(33)에 물리면서 이동시키되 이송롤러(35)가 이송레일(34)을 타고 이동되게 하여 부드럽게 이동되도록 하며, 모터(43)(44)를 회전시켜 이송스크류(37)(38)를 회전시키는 한편 분사노즐(41)을 작동시켜 물이나 소독약을 분사시키게 된다.
이때 오물제거수단(30)의 이동속도는 조절가능하며 축사(1)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이동이 완료되면 도시되지 아니한 리미트스위치에 의하여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주도록 하므로써 연속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송스크류(37)(38)는 스크류의 방향이 배출구(8)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가 되어 이송스크류(37)(38)의 회전시 바닥에 깔린 오물은 중앙의 배출구(8)로 모아지게 된다.
배출구(8)로 모아진 오물은 오물제거수단(30)에 결합된 스크레퍼(39)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 모아져 배출되며, 스크레퍼(39)에 의해 배출된 오물은 탈수기에서 오물과 분뇨가 분리된 후 처리되는 것으로, 오물제거수단(30)이 주기적으로 작동하게 되어 배출되는 오물의 양이 적게 되어 적은 용량의 오물처리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오물제거수단(30)이 작동하여 오물을 제거시키게 되므로 축사(1)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폐수처리용량이 적더라도 많은 량의 오물을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오물제거수단(30)에서 이송스크류(37)(38)대신에 이중이송스크류(5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중이송스크류(50)는 솔로된 솔 스크류(51)와 금속으로된 금속 스크류(52)를 이중으로 설치한 것이다.
이중이송스크류(50)를 설치한 경우 금속스크류(52)만으로 오물을 제거하는 경우보다 솔 스크류(51)로도 오물을 제거해 주게 되므로 오물을 깨끗이 제거해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솔 스크류(51)에 의해 오물의 제거와 함께 바닥도 깨끗이 닦아 줄 수 있어 효과적이다.
본 고안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축사의 지붕을 개폐 가능케 하는 한편 지붕의 하부에 스크린을 설치하여 개폐되게 하므로써 축사의 환기가 지붕의 개폐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지붕을 통한 태양난방과 축사내부의 자외선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축사의 바닥에 깔린 바닥재에 냉온수가 흐르는 배관을 삽입시켜 냉난방이 가능케 하여 가축의 생육을 도와주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축사의 바닥을 주기적으로 이동하여 가며 오물을 제거해 주게 되므로 축사의 오물제거가 용이하고 소량의 오물을 자주 제거해주어 축사를 청결하게 해주는 한편 소량의 오물처리로 인하여 적은 용량의 오물처리기를 사용할 수 있어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투명재질로 축사(1)의 지붕(1)(2)을 형성하되 개폐지붕(3)은 벽체(5)에 힌지(6)결합된 상태로 지붕(2)의 하측에 고정된 모터(10)에 의해 당겨지는 고정끈(12)에 결합되어 지붕(2)의 하측에서 상하 회동되며 지붕(2)(3)사이를 개폐시키도록 하고,
    상기 축사(1)의 바닥은 배관(22)이 삽입된 바닥재(20)를 연결하여 설치하되 상기 바닥의 중앙은 배출구(8)를 형성시키고,
    상기 바닥의 상부에는 축사(1)의 고정빔(4)에 고정된 우리(7)를 설치하되 상기 바닥과 우리(7)사이는 일정공간을 형성시키도록 하며,
    상기 바닥의 상부에는 축사(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며 오물을 배출구(8)로 이동시키는 오물제거수단(3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
  2. 제 1 항에 있어서, 오물제거수단(30)은 축사(1)의 바닥 좌우로 설치된 이송레일(34)과, 상기 이송레일(34)에 평행하게 설치된 체인(33)과, 상기 체인(33)을 타고 이동하는 스프라켓(32)을 구동시키는 구동축(31)과, 상기 이송레일(34)을 타고 이동하는 이송롤러(35)와, 상기 구동축(31)의 좌우측으로 설치되고 바닥의 오물을 배출구(8)로 이동시키는 이송스크류(37)(38)와, 상기 구동축(31) 및 이송스크류(37)(38)를 감싸는 덮개(40)와, 상기 덮개(40)의 상부에 설치되고 구동축(31)과 이송스크류(37)(38)를 회전시키는 모터(42)(43)(44)와, 상기 덮개(40)에 설치되어 분사시키는 노즐(41)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
  3. 제 2 항에 있어서, 이송스크류(37)(38)는 솔로된 솔 스크류(51)와 금속으로된 금속 스크류(52)를 이중으로 평행되게 설치한 이중이송스크류(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
KR2020010033523U 2001-11-01 2001-11-01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 KR200261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523U KR200261165Y1 (ko) 2001-11-01 2001-11-01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3523U KR200261165Y1 (ko) 2001-11-01 2001-11-01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165Y1 true KR200261165Y1 (ko) 2002-01-19

Family

ID=7307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3523U KR200261165Y1 (ko) 2001-11-01 2001-11-01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16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4926A1 (ko) * 2009-07-10 2011-01-13 Kim Soon Yeong 가금류 사육장
KR101075984B1 (ko) 2010-10-06 2011-10-21 박종식 가축 사육용 축사
KR101901746B1 (ko) 2016-10-27 2018-09-28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악취 및 폐사 저감 친환경 축사
KR20200062107A (ko) * 2020-05-21 2020-06-03 민승기 실내 정화용 태양광가열장치가 구비된 축사용 시설물
KR20210092353A (ko) 2020-01-15 2021-07-26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에너지제로 생태순환형 농수축산 통합생산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4926A1 (ko) * 2009-07-10 2011-01-13 Kim Soon Yeong 가금류 사육장
KR101075984B1 (ko) 2010-10-06 2011-10-21 박종식 가축 사육용 축사
KR101901746B1 (ko) 2016-10-27 2018-09-28 주식회사 태성환경연구소 악취 및 폐사 저감 친환경 축사
KR20210092353A (ko) 2020-01-15 2021-07-26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에너지제로 생태순환형 농수축산 통합생산시스템
KR20220036920A (ko) 2020-01-15 2022-03-23 주식회사 네오엔비즈 에너지제로 생태순환형 농수축산 통합생산시스템
KR20200062107A (ko) * 2020-05-21 2020-06-03 민승기 실내 정화용 태양광가열장치가 구비된 축사용 시설물
KR102217384B1 (ko) * 2020-05-21 2021-02-18 민승기 실내 정화용 태양광가열장치가 구비된 축사용 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5810B2 (en) Intelligent automatic livestock rearing system
US11363794B2 (en) Animal waste disposal apparatus
CN109874691B (zh) 一种羊用自动饲喂系统
CN107711521B (zh) 一种除氨环保型畜牧饲养舍以及基于饲养舍的养殖场
CN208047731U (zh) 一种雏鸭养殖系统
KR102224223B1 (ko) 병아리 사육장의 환기장치
CN106172022B (zh) 一种多层楼房式家畜饲养系统及饲养方法
CN208940638U (zh) 一种绵羊养殖自动化管理系统
CN109618939B (zh) 一种牛舍
KR102372625B1 (ko) 반려견용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CN207400142U (zh) 一种圈养牲畜用露天多功能运动舍
KR200261165Y1 (ko) 친환경 농축산 위생축사
CN106417041B (zh) 一种新型环保妊娠母猪舍及饲养方法
CN110679508A (zh) 一种智能化育雏鸭笼
CN107318659A (zh) 一种新型羊舍
CN213549070U (zh) 一种便于清洁的多功能鸽子养殖笼
KR100357052B1 (ko)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CN111838008B (zh) 一种可进行清理除臭的鸡舍
CN212937253U (zh) 设有自动刮粪器的生猪养殖场猪舍
CN107691230B (zh) 一种香猪养殖用猪舍
KR200238748Y1 (ko) 친환경 위생축사
RU174935U1 (ru) Малогабаритный репродукторный свинарник
CN206602990U (zh) 一种生态养牛场
CN210017358U (zh) 一种山羊养殖用具有除湿功能的羊圈
CN219182394U (zh) 一种可清洗、调温湿度的宠物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