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1350B1 -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 - Google Patents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1350B1
KR100891350B1 KR1020070041518A KR20070041518A KR100891350B1 KR 100891350 B1 KR100891350 B1 KR 100891350B1 KR 1020070041518 A KR1020070041518 A KR 1020070041518A KR 20070041518 A KR20070041518 A KR 20070041518A KR 100891350 B1 KR100891350 B1 KR 100891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barn
urine
livestock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6270A (ko
Inventor
이창재
이선경
이은수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이창재
이선경
이은수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재, 이선경, 이은수, 이정우 filed Critical 이창재
Priority to KR1020070041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1350B1/ko
Publication of KR20080096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6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1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1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35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1Cubicle part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05Stable partitions
    • A01K1/0017Gates, d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축을 사육하는 공간으로서,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나뉘며, 각각의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에 출입구가 설치되는 축사와; 상기 축사 공간내의 하측에 설치되며, 통공된 홈을 갖는 뚜껑부와, 분뇨가 분리되는 거름망, 및 뇨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수거조로 이루어지며, 좌우전후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분뇨분리장치와; 상기 다수개의 분뇨분리장치 배출구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유출되는 뇨가 일측 끝부분에 집진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뇨를 외부의 침전조로 흘려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집수로와; 상기 다수개의 집수로 사이에 설치되고, 분뇨분리장치의 외부 하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구동장치를 구비한 컨베이어 또는 롤러로 이루어져 분뇨분리장치를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이동장치와; 상기 이동장치와 집수로에 의해 이송되는 분과 뇨를 각각 저장하도록 축사 외부에 설치되는 저장탱크와 침전조로 이루어진 저장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을 제시한다
축사, 출입구, 분뇨분리장치, 집수로, 이동장치

Description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EXCREAT SEPARATION CATTLE SHED }
도 1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분뇨분리장치의 일실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분뇨분리장치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흡입관을 설치한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이 작동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육하는 가축을 이동시켜 분뇨분리장치를 교체하는 사용 상태도
*주요부호의 설명
10. 축사
11. 칸막이
11a. 출입구
20. 분뇨분리장치
21. 뚜껑부
22. 필터층
23. 거름망
24. 수거조
24a. 배출구
30. 집수로
31. 집진집수로
32. 이송집수로
40. 이동장치
41. 제1이동장치
42. 제2이동장치
50. 흡입관
60. 보강대
100. 분(糞)
200. 뇨(尿)
본 발명은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축사에 가축의 분뇨에서 분과 뇨를 분리시키는 분뇨분리장치를 설치하고, 축사와 축사 사이의 칸막이에 출입구를 설치하여 가축을 좌우로 이동시키며, 가축이 이동되어 빈 축사의 분뇨분리장치에 저장된 분과 뇨를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동시켜 저장고에 모아 퇴비로 만들어내는 축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식생활의 변화에 따라 축산업이 발달하면서 농촌지역에서는 축산분뇨의 배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상기 증가된 축산분뇨를 무분별하게 처리함으로써,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시켰으며, 유용하게 활용될 자원을 낭비하는 폐단이 발생하였다.
즉, 분뇨처리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축산농가에서 방류되는 축산분뇨에 의해 주변환경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동시에 하천의 오염과 부영양화를 유발하여 인체에 심각한 피해를 주었으며, 축산분뇨를 통해 메탄가스의 발생 및 비료로서의 자양분 함유는 활용가능한 유용한 자원임에도 불구하고 전혀 재활용되지 못하였다.
축사에서 가축에 의해 분뇨가 다량으로 배출되는데 이를 제때에 치우지 않을시에는 쌓이게 되고, 분과 뇨 또는 오물 등이 혼합되어 진탕이 되어 더욱 빨리 부패하여져 비위생적인 환경을 만들며, 가축이 그대로 밟고 다닐 때 분뇨에서 만들어진 각종 병원균이 가축의 몸속에 침투하여 병을 유발시키고, 또한 바닥에 쌓인 분뇨로 인해 축사 주변은 악취가 발생되어 주민들에게 혐오감을 주는 등의 폐단이 되었다.
이에 종래에는 우사와 돈사에 가축의 배설물이 쌓일 때마다 일일이 사람이 직접 고압의 물을 쏘아가며 청소를 하여 삽 등의 연장으로 긁어 모아 리어커나 운반차량의 적재함에 실어 소정의 장소로 이동시켰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인력이 부족한 낙농가에서 사방에 퍼져 있는 분뇨를 긁어 모으기 위해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었고, 바닥에 달라붙은 분뇨의 제거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고온고압의 물을 사용함으로써, 이에 의해 발생하는 수증기와 물 튀김은 작업자에게 불쾌감을 주며 작업피로감을 증가시켰다. 또한, 청소시에 다량의 물이 소비됨으로 관리비용이 증가되었고, 분뇨에 물이 첨가되어 순수분뇨의 양보다 증가됨으로 이를 처리하기 위한 인력과 시간과 비용이 낭비되었으며, 분뇨에 다량의 물이 첨가되므로 이를 퇴비로 재활용하는 이용률이 절감되어 해양상에 투기함으로서 환경오염을 유발하였다.
이에 축사의 바닥에 통공된 바닥판을 설치하여 분뇨를 통과시켜 저장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상기 방법은 분과 뇨 또는 오물등이 혼합된 배설물이 묽은 액체상태로 그대로 배출된 혼합된 상태로 더욱 빨리 부패되어 바닥판 하측에서 악취가 발생하였고, 저장된 분뇨를 이동시키기 위해 별도의 저장통에 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배출된 분뇨를 모아 농사를 위한 자원으로 재활용 하기 위해 볏짚 및 잡풀 등에 분뇨를 섞어 적재시켜 놓는 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퇴비로 재활용 하였는데, 상기와 같이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묽은 액체상태로 혼합된 배설물을 수거하여 이에 배설물과 볏짚을 켜켜이 적층한 후에 고르게 섞어 주어야 하는 작업을 해야함으로 악취가 발생하는 열악한 환경에서 작업자가 장시간 작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축사의 분뇨를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축사에 있는 가축을 모두 이동시켜 가축을 외부에 임시로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하였으며, 작업자가 분뇨분리장치의 교체와 가축의 관리를 동시에 해야하는 등 비효율적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우사와 돈사의 바닥에 가축의 배설물이 쌓이지 않도록 바닥에 분뇨를 분리하는 분뇨 분리 장치를 설치하여, 분뇨가 가축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여 가축의 위생 상태를 향상시키며, 질병 예방하고, 이에 상기 질병이 미리 예방됨으로써 수의약품비용을 절약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분뇨의 분과 뇨를 분리하여 저장함으로써 축사 내에서 배설물이 더딘 속도로 부패시켜 축사의 환경을 개선하고, 분리 저장된 분과 뇨가 자동 이송되도록 이동장치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분뇨분리장치에 이물질이 여과되도록 볏짚을 설치하여 상기 볏짚에 분이 쌓이도록 하고, 볏짚과 분을 동시에 수거하여 퇴비로 재활용함으로써, 배설물과 볏짚을 켜켜이 적층하는 작업을 줄임으로써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축사와 축사 사이의 칸막이에 출입구를 설치하여 가축을 편리하게 좌우측으로 이동시켜 관리를 편리하게 하며, 가축이 이동된 빈 축사부터 순차적으로 이동장치를 가동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분뇨를 이동시켜 비료로 만드는데 목적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처리수단을 갖는 위생적인 처리방식을 통해 축산분뇨의 에너지화 효율을 극대화하여 오염발생의 원인을 차단하고 분뇨의 재활용에 따른 경제적인 이득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을 갖는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은 가축을 사육하는 공간으로서,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나뉘며, 각각의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에 출입구가 설치되는 축사; 상기 구획된 각각의 축사 공간 내의 하측에 설치되어, 가축으로부터 배설되는 분뇨를 받아 분과 뇨로 분리하여 분은 저장하고 뇨는 외부로 배출하며, 좌우전후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분뇨분리장치; 상기 다수개의 분뇨분리장치 배출구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유출되는 뇨가 일측 끝 부분에 집진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뇨를 외부의 침전조로 흘려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집수로; 상기 다수개의 집수로 사이에 설치되고, 분뇨분리장치의 외부 하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구동장치를 구비한 롤러로 이루어져 분뇨분리장치를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와 집수로에 의해 이송되는 분과 뇨를 각각 저장하도록 축사 외부에 설치되는 저장탱크와 침전조로 이루어진 저장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뇨분리장치는 가축으로부터 배설되는 분뇨가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를 통과한 분뇨를 받아서 분은 저장하고, 뇨는 여과하도록 볏짚으로 이루어진 필터층; 상기 필터층에서 여과된 뇨를 최종적으로 여과하도록 다수개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고 필터층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조틀이 되는 거름망; 상기 거름망에서 최종 여과된 뇨를 지면에 설치된 집수로로 배출하도록 내부 바닥면이 경사지며, 상기 경사진 내부 바닥면의 끝 부분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수거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거조의 외부 측면부를 감싸도록 보강대를 설치하되, 상기 보강대의 높이는 뚜껑부와 수거조가 맞닿지 않도록 수거조 보다 높게 형성하며, 수거조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보강대 상측 벽면에는 수거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배출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이 형성된 보강대 상측의 내부에는 흡입장치에 연결된 흡입관이 수평으로 설치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먼저, 도 1은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를 도시한 평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분뇨분리장치의 일실시예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분뇨분리장치의 측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작동되는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작동되는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육하는 가축을 이동시켜 분뇨분리장치를 교체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축사(10)에서 사육되는 가축의 분뇨(糞尿)를 분(糞)과 뇨(尿)로 분리하고, 이를 롤러로 구성된 이동장치(40)를 이용하여 저장조로 자동 이동시켜 퇴비로 이용하는 축사(10)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축사(10)는 가축을 사육하는 공간으로서,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각각의 축사(10)의 전방과 후방에 주출입구를 설치하며, 축사(10)와 축사(10) 사이에 칸막이(11)를 설치하여 상기 칸막이(11)에도 출입구(11a)를 설치한다.
상기 출입구(11a)는 가축이 좌우 칸막이(11)로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미서기와 미닫이, 여닫이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며, 실시예는 축사(10) 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상부로 들어올리는 형태로 출입구(11a)를 형성한다.
축사(10) 내에 분뇨를 제거하기 위해 가축을 이동시킬 때 상기 칸막이(11)의 출입구(11a)를 이용하여 좌우측에 근접한 축사(10)로 가축을 이동시킴으로써, 가축의 이동동선을 짧게 하여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다.
축사(10) 내의 하측에 가축의 분뇨를 자원으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분(100)과 뇨(200)로 분리하는 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분뇨분리장치(20)는 다양한 크기의 축사(10)에 좌우전후면이 연장되도록 다수개 설치하며, 도시된 본 발명이 형성된 정방형태는 좌우전후의 연결이 용이한 기본형태이며, 이외에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이용이 가능하다.
실시예의 분뇨분리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축으로부터 배설되는 분뇨가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부(21)와; 상기 뚜껑부(21)를 통과한 분뇨를 받아서 분(100)은 저장하고, 뇨(200)는 여과하는 볏짚으로 이루어진 필터층(22)과; 상기 필터층(22)에서 여과된 뇨(200)를 최종적으로 여과하는 다수개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고, 볏짚으로 이루어진 필터층(22)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조틀이 되는 거름망(23)과; 상기 거름망(23)에서 최종 여과된 뇨(200)를 지면에 설치된 집수로(30)로 배출하도록 내부 바닥면이 경사지며, 상기 경사진 내부 바닥면의 끝부분에 배출구(24a)가 형성되는 수거조(24);로 구성된다.
상기 뚜껑부(21)는 일정한 크기와 간격으로 통공을 뚫어서 전체적으로 볼 때 배출 공간을 형성하며, 수거조(24)의 상부에 거치되어 가축이 직접 접촉되는 축사(10)의 바닥부로서 가축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튼튼한 재질로서, 뚜껑부(21)의 내부에 동력장치에 연결된 열선을 설치하여 동절기에 축사(10)를 보온하여 가축을 보호할 수 있다.
뚜껑부(21)의 통공의 크기는 사육되는 가축의 발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 내지는 조절할 수 있다.
뚜껑부(21)와 수거조(24)가 한 쌍을 이루도록 뚜껑부(21)의 상측은 수거조(24)와 같은 크기로 형성하고, 뚜껑부(21)의 하측은 수거조(24) 상측 내부에 끼움되도록 작은 크기로 형성하여 뚜껑부(21) 둘레부의 상하를 이격되게 하거나 또는, 뚜껑부(21)의 크기를 4개의 수거조(24)에 덮이도록 형성한 후에, 각각의 뚜껑부(21)의 둘레부의 좌우전후면에 상하로 이격되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각각의 좌우전후 뚜껑부(21)의 걸림턱이 맞물리도록 설치하여 수거조(24)와 완전히 분리된 상태의 뚜껑부(21)가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뚜껑부(21)를 통과한 분뇨가 처음 여과되는 필터층(22)은 거름망(23)의 미세한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분뇨를 일차로 여과시키고, 거치된 분을 별도로 떼어내지 않고 혼합하여 퇴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통상의 볏짚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볏짚을 목초액에 담그거나 목초액을 뿌려서 수거조(24)에서 올라오는 병균과 세균 등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볏짚을 거름망(23)의 하부와 측면부가 감싸지도록 일정 두께로 무작위로 흩뿌려 거름망(23)에 내재시키거나, 또는 볏짚을 바구니 형태로 성형하여 거름망(23)에 내재시켜 이용한다. 뚜껑부(21)를 통과한 분뇨가 필터층(22)에 낙하되면 뇨(200)는 여과되고, 분(100)은 남아 저장되며, 어느 정도 일정량의 분(100)이 저장되면 필터층(22)을 들어내어 퇴비로 사용하고, 다른 필터층(22)을 거름망(23)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거름망(23)은 필터층(22)에 의해 일차로 여과된 뇨(200)를 최종적으로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개의 미세한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재나 철망으로 구성되어 볏짚으로 이루어진 필터층(22)이 수거조(24)의 배출구(24a)를 막는 것을 방지하며, 무작위로 흩뿌려진 필터층(22)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조틀을 이룬다.
거름망(23)에서 여과된 뇨(200)는 수거조(24)에 모이게 되며, 상기 수거조(24)는 뇨(200)가 외부로 흘러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도록 밀폐된 측면부와, 분뇨가 유입되도록 개구된 상측과, 지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집수로(30) 내에 뇨가 유입되도록 배출구(24a)가 형성된 하측으로 구성되며, 집수로(30)와 수거조(24)의 배출구(24a)가 일치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수거조(24) 하측의 내부 바닥면은 집수로(30)로 뇨가 잘 배출되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가 있도록 형성되며, 실시예는 바닥면의 좌우측 끝부분에 배출구(24a)를 형성하여 좌우측 끝 부분으로 뇨가 배출되도록 바닥면의 중앙부를 높여줌으로써 경사지게 하였으며, 실시된 예 이외에 바닥면의 중앙부에 배출구(24a)를 형성하고, 바닥면의 좌우측 끝부분보다 중앙부을 낮춰줌으로서 경사지게 하여 뇨를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집수로(30)의 위치도 분뇨분리장치(2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상기 배출구(24a)의 수는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할 수 있으며, 다수개로 형성할때는 집수로(30)에 평형하게 배열하여 뇨의 배출이 용이하게 한다.
수거조(24)의 내부 바닥면과 거름망(23)의 외부 바닥면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어 거름망(23)으로부터 뇨가 여과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거조(24)의 내부 바닥면에도 경사진 다수개의 수평홈을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외부로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평홈의 경사진 끝부분에 배출구(24a)를 형성한다.
또한, 분뇨가 필터층(22)에 다량으로 높이 쌓여 거름망(23)의 하측의 미세한 구멍으로 뇨를 여과하지 못하고 측면의 미세한 구멍으로 뇨를 여과시킬 때 수거조(24)의 내부 측면과 거름망(23)의 외부 측면이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어 거름망(23)으로부터 뇨과 여과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거조(24)의 내부 측면부에 다수개의 수직홈을 형성할 수 있다.
수거조(24) 상측 내부 벽면에 고정홈을 형성하여 거름망(23)과 연결부재로 결착시켜 필터층(22)을 교체할 때 거름망(23)이 같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거조(24)는 가축의 무게를 지탱하도록 강한 내력의 재료로 구성되어야 하며, 수거조(24)의 외부 측면을 감싸는 보강대(60)를 설치하여 수거조(24)의 내력을 향상시킬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대(60)는 수거조(24)의 측면을 감싸는 수직의 틀로서, 상기 보강대(6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뚜껑부(21)를 보강대(60) 상부에 상치하며, 뚜껑부(21) 하측과 수거조(24) 상측이 맞닿지 않도록 보강대(60) 높이를 형성하고, 보강대(60)의 상측 벽면에 홈을 내고, 보강대(60) 상측의 내부에 흡입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흡입관(50)을 수거조(24)에 수평으로 설치하여 수거조(24)에서 배출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분뇨분리장치(20)에서 분리 배출되는 분과 뇨를 이송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뇨분리장치(20) 배출구(24a) 하측에 집수로(30)를 설치하며, 상기 집수로(30)는 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24a)에서 유출되는 뇨가 일측 끝부분에 집진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집진집수로(31)와, 상기 집진집수로(31)의 경사진 끝부분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연결되고, 축사(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집진집수로(31)의 뇨를 외부의 침전조(도시되지 않은)로 흘려 이송시키는 이송집수로(32)로 이루어진다.
분(100)이 담긴 분뇨분리장치(20)를 이송하기 위해 분뇨분리장치(20)의 외부 하측면에 접하도록 이동장치(40)가 설치되며, 상기 이동장치(40)는 집진집수로(31)의 사이에 위치되고, 자동 구동장치를 구비한 롤러로 이루어져 분뇨분리장치(20)를 축사(10)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하는 다수개의 제1이동장치(41)와, 상기 제1이동장치(41)와 수직으로 연결되고 축사(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어 각각의 축사(10)에서 나오는 분뇨분리장치(20)를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로 이송하는 제2이동장치(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이동장치(42)는 축사(10)의 전방과 후방에 하나 또는 두 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동장치(40)를 이루는 롤러는 다수개의 회전봉이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어 상치되는 물체를 전후로 이송시키는 통상의 것으로서, 상기 롤러에 상치되는 분뇨분리장치(20)를 축사(10)에 배출 또는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장치(40)와 집수로(30)에 의해 이송되는 분과 뇨는 저장조에 투입되며, 분은 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되고, 뇨는 침전조(도시되지 않음)에 각각 별도로 저장함으로서 일정기간의 숙성시간을 거쳐 메탄가스 및 퇴비로 만들어 가축분뇨의 회수 및 재활용을 극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육하는 가축을 이동시켜 분뇨분리장치(20)를 교체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축사(10)와 축사(10)사이의 칸막이(11)에 설치된 출입구(11a)를 열어 좌측으로 가축을 이동시키고, 가축이 이동된 빈 축사(10)의 이동장치(40)를 가동하여 분뇨분리장치(20)를 회수하여 분과 필터망을 교체하여 새것으로 끼운 뒤, 다시 분뇨분리장치(20)를 이동장치(40)에 상치하여 축사(10)내에 투입시킨다. 이후 또 축사(10)와 축사(10) 사이의 칸막이(11)에 설치된 출입구(11a)를 열어 비어있던 축사(10)에 가축을 이동시키고, 가축이 이동되어 빈 축사(10)의 분뇨분리장치(20)의 필터망을 순차적으로 교체하여 위생적으로 축사(10)를 관리한다.
본 발명은 우사와 돈사의 바닥판에 배설물이 쌓이지 않도록 상부에 통공된 홈이 있는 분뇨분리장치를 설치하여 축사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 가축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 및 질병 예방의 효과가 있으며, 이에 약물치료 비용의 발생을 배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우사와 돈사의 바닥판에 쌓인 배설물을 일일이 긁어 모아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모여진 분뇨분리장치를 컨베이어 벨트등의 이동장치로 자동 이동시킴으로서, 분뇨처리 작업공정이 매우 쉽고 간편하여 인력과 시간의 낭비를 줄일수 있으며, 뇨는 별도로 집수로에 연결된 저장통으로 배출하여 악취 발생을 해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볏짚과 분을 동시에 수거하여 퇴비로 재활용 함으로서, 배설물과 볏짚을 켜켜이 적층하는 작업을 줄임으로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축사 하단에 별도로 넓은 공간의 분뇨저장 시설이 필요하지 않아 축사 신축시에 다층으로 건설이 가능하며, 간단한 구조로 설치되어 건축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렴한 관리 및 유지비용으로 환경오염의 우려없이 축산 분뇨의 에너지화 효율을 극대화함은 물론 퇴비화를 통해 자원의 재활용을 구현하는등 경제적인 유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축사에 설치된 분뇨분리장치를 교체할 때 가축의 이동경로가 최소화 되도록 축사와 축사사이의 칸막이에 출입구를 설치하여 작업의 능율을 좋게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가축을 사육하는 공간으로서,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나뉘며, 각각의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에 출입구가 설치되는 축사;
    상기 구획된 각각의 축사 공간 내의 하측에 설치되어, 가축으로부터 배설되는 분뇨를 받아 분과 뇨로 분리하여 분은 저장하고 뇨는 외부로 배출하며, 좌우전후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분뇨분리장치;
    상기 다수개의 분뇨분리장치 배출구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유출되는 뇨가 일측 끝 부분에 집진되도록 길이방향으로 경사진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뇨를 외부의 침전조로 흘려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집수로;
    상기 다수개의 집수로 사이에 설치되고, 분뇨분리장치의 외부 하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구동장치를 구비한 롤러로 이루어져 분뇨분리장치를 저장탱크로 이송하는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와 집수로에 의해 이송되는 분과 뇨를 각각 저장하도록 축사 외부에 설치되는 저장탱크와 침전조로 이루어진 저장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뇨분리장치는 가축으로부터 배설되는 분뇨가 통과되도록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뚜껑부; 상기 뚜껑부를 통과한 분뇨를 받아서 분은 저장하고, 뇨는 여과하도록 볏짚으로 이루어진 필터층; 상기 필터층에서 여과된 뇨를 최종적으로 여과하도록 다수개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고 필터층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조틀이 되는 거름망; 상기 거름망에서 최종 여과된 뇨를 지면에 설치된 집수로로 배출하도록 내부 바닥면이 경사지며, 상기 경사진 내부 바닥면의 끝 부분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수거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조의 외부 측면부를 감싸도록 보강대를 설치하되, 상기 보강대의 높이는 뚜껑부와 수거조가 맞닿지 않도록 수거조 보다 높게 형성하며, 수거조 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보강대 상측 벽면에는 수거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배출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이 형성된 보강대 상측의 내부에는 흡입장치에 연결된 흡입관이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
KR1020070041518A 2007-04-27 2007-04-27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 KR100891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18A KR100891350B1 (ko) 2007-04-27 2007-04-27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1518A KR100891350B1 (ko) 2007-04-27 2007-04-27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270A KR20080096270A (ko) 2008-10-30
KR100891350B1 true KR100891350B1 (ko) 2009-04-07

Family

ID=4015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1518A KR100891350B1 (ko) 2007-04-27 2007-04-27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1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6698B1 (ko) * 2014-02-27 2015-01-2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태초의 자연으로 가축용 분뇨처리장치
CN107691238B (zh) * 2017-11-06 2021-09-21 山西农业大学 一种实验动物活体运输装置
KR200487290Y1 (ko) * 2018-07-02 2018-08-3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리치피그 분뇨 배출이 가능한 돈사 및 그 돈사에 설치된 분뇨 배출판
KR20210055490A (ko) 2019-11-07 2021-05-17 주식회사 청류 오물 처리 시스템
KR102462629B1 (ko) * 2020-04-09 2022-11-03 벤코코리아(주) 고상식 축사의 축분이송 시스템
KR102477872B1 (ko) * 2021-06-07 2022-12-15 주식회사 그린우전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스마트 축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497B1 (ko) 2002-05-15 2004-12-29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497B1 (ko) 2002-05-15 2004-12-29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조립식 여과용 바닥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6270A (ko) 2008-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1350B1 (ko) 분뇨를 분리하여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축사 구조물
US20030143728A1 (en) Disposal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bio-converting putrescent wastes
CN210352573U (zh) 一种室内养殖场除粪清洁装置
TW201221050A (en) Pig toilet excrement and urine separation and collection system
CN112154921A (zh) 一种楼房猪舍
KR101304164B1 (ko) 아파트형 농장
CN213214738U (zh) 一种便于排污的环保养牛场
CN212138792U (zh) 一种智能化防疫猪场
CA2439391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waste
CN203661772U (zh) 猪舍粪污自动排放清理结构
KR100891348B1 (ko) 축사분뇨 분리장치
CN105961209A (zh) 多层楼房式家畜粪尿自动清理收集系统及其收集方法
KR20120088086A (ko) 아파트형 농장
CN205922376U (zh) 多层楼房式家畜饲养粪尿自动清理收集装置
CN209882755U (zh) 一种铲车清粪的可拆装网床生态羊舍
CN206238026U (zh) 猪场排粪干湿分离系统
CN202179022U (zh) 一种节能低排的新式笼具
CN203851589U (zh) 猪用隔离器
CN214709492U (zh) 一种畜牧兽医用畜牧幼崽专用保温设备
KR20050012084A (ko) 집단 주거형 건물의 음식물 쓰레기 일괄 수집 및 처리 장치
CN219205520U (zh) 一种畜禽粪污一体化处理装置
CN218184685U (zh) 养鸡场清粪装置
CN211847662U (zh) 一种带排水的畜牧养殖场粪便槽
CN218527174U (zh) 一种实验动物粪尿无害化收集处理系统
CN217694762U (zh) 一种隔离病猪的猪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