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440A -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440A
KR20220122440A KR1020210080667A KR20210080667A KR20220122440A KR 20220122440 A KR20220122440 A KR 20220122440A KR 1020210080667 A KR1020210080667 A KR 1020210080667A KR 20210080667 A KR20210080667 A KR 20210080667A KR 20220122440 A KR20220122440 A KR 20220122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lens
support
liquid lens
roto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058B1 (ko
Inventor
후이 왕
종바오 양
얀 젱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122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04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based on a displacement or a deformation of a flui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2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 G02B3/14Fluid-filled or evacuated lenses of variable focal length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4
    • H04N5/225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46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84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other types of actu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를 개시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액체 렌즈, 모터 및 고체 렌즈를 포함하되; 액체 렌즈는 고정체 및 고정체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액체 렌즈에는 제1 광축이 설치되며; 모터는 로터 어셈블리 및 스테이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로터 어셈블리는 지지체와 고정 연결되는 제1 단부를 포함하고, 로터 어셈블리는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대해 제1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액체 렌즈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으며, 스테이터 어셈블리는 고정체와 고정 연결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고체 렌즈는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고정 설치되며 고체 렌즈는 제1 광축과 마주 잇는 제2 광축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는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최적화하여 양산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제조원가를 저하시켜 전자기기가 액체 렌즈를 응용하는 원가를 추가로 저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CAMERA MODULES AND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전자기기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는 전자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 드론 등)가 이미지를 획득함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다. 미관성과 휴대의 편리를 위하여 전자기기의 소형화가 발전이 필요하고, 동일한 초점 범위를 가진 카메라의 사이즈도 점점 작아져야 한다.
액체 렌즈는 무게가 가벼워 전자기기의 소형화 발전 수요에 적용될 수 있고 점점 더 많이 전자기기(예를 들어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등)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액체 렌즈를 응용하는 카메라 모듈의 수율이 낮아 액체 렌즈를 사용하는 전자기기의 원가가 높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이는 카메라 모듈의 구조를 최적화하여 양산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전자기기가 액체 렌즈를 응용하는 원가를 추가로 저하시킬 수 있다.
이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액체 렌즈, 모터 및 고체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액체 렌즈는 고정체 및 고정체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액체 렌즈에는 제1 광축이 설치되며; 모터는 로터 어셈블리 및 스테이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로터 어셈블리는 지지체와 고정 연결되는 제1 단부를 포함하고, 로터 어셈블리는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대해 제1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액체 렌즈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으며, 스테이터 어셈블리는 고정체와 고정 연결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고체 렌즈는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고정 설치되며 고체 렌즈는 제1 광축과 마주 잇는 제2 광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아래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조립할 경우, 고정체와 제2 단부가 고정 연결되고 지지체와 제1 단부가 고정 연결되어 액체 렌즈를 모터에 조립할 수 있으며; 고체 렌즈는 단독으로 모터에 조립되어 제2 광축과 제1 광축이 마주 이어질 수 있다. 이로써, 액체 렌즈와 고체 렌즈가 각각 모터에 조립되어 고체 렌즈의 제조오차 및 모터와의 조립오차가 액체 렌즈의 장착에 조립오차 누적을 초래하지 않아 고체 렌즈의 제2 광축이 액체 렌즈의 제1 광축과 정확히 정렬되어 카메라 모듈의 정확도 요구가 설계 요구에 부합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수율을 향상시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생산원가를 저하시키는데 유리하고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전자기기에 응용하기 편리하여 전자기기 소형화 발전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모터와 통신 연결하는 제어기 및 상술한 임의의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아래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술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함으로써 동일한 초점조절 범위에서, 특히 초근거리의 포커스를 구현할 수 있는 경우, 소형화 설계를 진행할 수 있고; 또,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생산원가가 낮아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생산원가를 저하시키는데 유리하게 된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아래 문장의 세부절차의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부 도면을 구성하여 본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 및 이의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욱 뚜렷이 설명하기 위하여 아래에는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해야 할 도면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아래 설명에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진보적인 창출에 힘쓸 필요가 없이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서 도시한 카메라 모듈의 반단면 모식도이다.
도 2a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한 카메라 모듈의 반단면 모식도이다.
도 2b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한 카메라 모듈의 반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한 카메라 모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조 분해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반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모터와 고체 렌즈의 조립 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모터와 고체 렌즈의 구조 분해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모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액체 렌즈의 저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액체 렌즈의 측면 모식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서 도시한 전자기기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장점을 더 뚜렷하게 하기 위하여 이하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결부하여 본 발명을 추가로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설명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별도로 정의되지 않은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모든 기술적 용어와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구체적인 실시예의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해의 편리를 위하여 아래에서는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적 용어를 해석하고 설명한다.
광축은, 광학 시스템이 광선을 전달하는 방향으로서 참고 중심 시야의 주광선이다. 대칭 투과 시스템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광학 시스템 회전 중심선과 중합된다.
초점 거리(focal length)는 초점 길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광학 시스템에서 빛의 집합 또는 발산을 가늠하는 도량 방식으로서 아주 먼 경물이 렌즈를 통과하여 초점면에서 선명한 이미지를 형성할 때 렌즈의 광학적 중심에서 초점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고정 초점 렌즈에 있어서, 이의 광학적 중심의 위치는 고정 불변하는 것이므로 초점 거리는 고정되고; 줌렌즈에 있어서, 렌즈의 광학적 중심의 변화는 렌즈 초점 거리의 변화를 초래하므로 초점 거리는 조절할 수 있다.
롱 포커스 렌즈는 표준 렌즈의 초점 거리보다 긴 촬영 렌즈를 가리키므로 롱 포커스 렌즈는 원거리 렌즈, 망원 렌즈라고도 한다. 초점 거리는 100mm-800mm로서 상이하고, 심지어 더 길 수도 있다.
현재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카메라, 모니터링 장치, 드론 등과 같은 전자기기는 사람들의 생활에서 점점 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사람들의 생활에 많은 편리와 즐거움을 제공한다. 카메라는 전자기기가 영상을 획득하는 중요한 부분으로서 영상 획득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종류와 브랜드가 다양하여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전자기기가 많으므로 어떻게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고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것인가 하는 것은 제조업체들이 점점 더 중요시하고 있는 문제로 되었다.
미관성과 휴대의 편리를 위하여 전자기기도 소형화 발전 수요에 적응해야 한다. 더 큰 배수의 초점조절을 획득하기 위하여 렌즈의 사이즈도 점점 더 커지고 초점조절 공간의 설치로 인하여 카메라 모듈 부피도 점점 커져 전자기기의 많은 내부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전작기기의 기타 내부소자들의 배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소형화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액체 렌즈가 전자기기(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등)에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액체 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은 수율이 낮아 상기 카메라 모듈의 원가가 높게 되는데 이는 카메라 모듈이 전자기기에 적용되는데 도움이 되지 않고, 나아가 전자기기의 소형화 개발을 제한하고 있다.
이에 기반하여,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조립 구조를 최적화함으로써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양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제조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전자기기가 액체 렌즈를 응용하는 원가를 저하시키는데 유리하게 된다.
이하, 도면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조 투시도이다. 여기서, 도 1은 일 실시예에서 도시한 카메라 모듈의 반단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한 카메라 모듈의 반단면 모식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한 카메라 모듈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구조 분해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반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모터와 고체 렌즈의 조립구조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모터와 고체 렌즈의 구조 분해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모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액체 렌즈의 저면 모식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액체 렌즈의 측면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도 2a, 도2b 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렌즈(100), 모터(200) 및 고체 렌즈(300)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0)을 제공하는데; 액체 렌즈(100)는 고정체(120) 및 고정체(120)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지체(110)를 포함하고, 액체 렌즈(100)에는 제1 광축(130)이 설치되며; 모터(200)는 로터 어셈블리(210) 및 스테이터 어셈블리(220)를 포함하되, 로터 어셈블리(210)는 지지체(110)와 고정 연결되는 제1 단부(211)를 포함하고, 로터 어셈블리(210)는 스테이터 어셈블리(220)에 대해 제1 광축(130)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액체 렌즈(100)의 곡률을 조절할 수 있으며, 스테이터 어셈블리(220)는 고정체(120)와 고정 연결되는 제2 단부(221)를 포함하고; 고체 렌즈(300)는 스테이터 어셈블리(220)에 고정 설치되며 고체 렌즈(300)는 제1 광축(130)과 마주 잇는 제2 광축(310)을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을 조립할 경우, 고정체(120)는 제2 단부(221)와 고정 연결되고 지지체(110)는 제1 단부(211)와 고정 연결되어 액체 렌즈(100)를 모터(200)에 조립하며; 고체 렌즈(300)가 독립적으로 모터(200)에 조립될 경우, 제2 광축(310)이 제1 광축(130)과 마주 잇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액체 렌즈(100)와 고체 렌즈(300)는 각각 모터(200)에 조립되어 고체 렌즈(300)의 제조오차 및 모터(200)와의 조립오차가 액체 렌즈(100)의 장착에 조립오차 누적을 초래하지 않아 액체 렌즈(100)의 장착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고체 렌즈(300)의 제2 광축(310)이 액체 렌즈(100)의 제1 광축(130)과 정확히 정렬되도록 한다. 심지어 액체 렌즈(100)를 장착할 경우, 고체 렌즈(300)의 오차에 따라 액체 렌즈(100)의 장착 오차를 미세 조절하도록 제어하여 액체 렌즈(100)의 제1 광축(130)과 고체 렌즈(300)의 제2 광축(310)의 정렬이 더 정확하도록 하여 카메라 모듈의 정확도 요구가 설계요구에 부합되도록 함으로써 폐기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구조는 오차 누적을 감소시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생산원가를 저하시키고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전자기기에 응용하는데 용이하도록 하여 전자기기의 소형화 발전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액체 렌즈를 응용하였는데, 이는 아래와 같은 장점을 더 구비한다. 액체 렌즈(100)는 곡률을 변화할 수 있는 유체 렌즈로서, 액체 렌즈를 조절하도록 구동하여 광 파워를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장거리에서 근거리까지 연속 포커스를 구현한다. 이러한 포커스 방식은 모터(200) 구동 스트로크에 대한 요구를 감소시켜 매우 가까운 거리의 포커스를 구현할 수 있어 광학 확대 배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SLR 시각에 근접하는 아웃 포커싱 확대 촬영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재료가 초저 굴절률과 초저 분산 특성을 가질 때 SLR 초장 포커스에 사용되는 형석보다 낮아 포커싱하는 과정에서 색수차의 변화를 크게 줄인다. 따라서, 전자 줌과 결합하여 상기 액체 렌즈 (100)는 더 높은 배율로 매크로 이미징을 실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매크로 효과를 보장하면서 전체 모듈의 크기를 완전히 줄일 수 있어 전자 기기의 소형화 개발에 적응할 수 있다.
이 밖에,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액체 렌즈(100)를 응용하여 원경으로부터 클로즈업으로의 FOV(촬영각) 변화를 더 감소시키며, 원경으로부터 일반적인 클로즈업까지 호흡 효과가 거의 없어 영화 촬영에 적합하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조립은 우선 고체 렌즈(300)를 장착한 다음 다시 액체 렌즈(100)를 장착할 수도 있고; 액체 렌즈(100)를 장착한 다음 다시 고체 렌즈(300)를 장착할 경우, 고체 렌즈(300)의 장착 위치를 미세 조절하여 액체 렌즈(100)의 제1 광축(130)과 고체 렌즈(300)의 제2 광축(310)의 정렬이 더 정확하도록 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액체 렌즈(100)"의 구체적인 구현방식은 여러 가지 선택이 있을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액체 렌즈(100)는 렌즈 본체(미표시) 및 렌즈 본체 내에 설치되는 액체(미도시)를 포함하고, 렌즈 본체에는 이동 가능한 지지체(110)가 설치된다. 이로써, 로터 어셈블리(210)의 운동을 통해 지지체(110)를 압출하거나 드래그하여 렌즈 본체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렌즈 본체 내부의 액체의 형상을 조절하여 액체 렌즈(100)의 곡률을 조절함으로써 액체 렌즈(100)의 초점 거리가 이에 따라 변화하도록 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스테이터 어셈블리(220)와 고정체(120) 사이의 "고정 연결"의 구체적인 구현방식은 걸림 고정, 나사 연결 고정, 접착 고정, 용접 고정, 융접 고정 등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등가적으로, 로터 어셈블리(210)와 지지체(110) 사이의 "고정 연결"의 구체적인 구현방식은 걸림 고정, 나사 연결 고정, 접착 고정, 용접 고정, 융접 고정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통적인 카메라 모듈은 주요하게 고체 렌즈(300)로 구성되고, 고체 렌즈(300)는 다수의 렌즈(미도시)로 조성된 렌즈 그룹을 포함하며, 모터(200)는 직접 렌즈 그룹이 고정된 경통 전체가 일정한 거리를 이동하거나 또는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도록 이끌어 자동 포커스 및/또는 광학 이미지 안정화를 구현할 수 있다.
전통적인 고체 렌즈에서의 렌즈 재료는 유리, 광학 플라스틱으로 조성되고, 가공하여 성형된 후 곡률 반경은 고정불변한다. 모터(200)에 탑재되어 구동하고, 광학 축방향에서 이동하여 포커스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원경으로부터 클로즈업까지의 연속적인 포커스를 구현한다. 이의 제한성은, 렌즈 그룹이 이동하여 매크로 이미징을 구현할 경우, 스트로크 이동량이 증가하는 바, 특히 롱 포커스 렌즈가 초 클로즈업 이미징에 필요한 이동량이 너무 크게 되는데, 모터(200) 스트로크가 한정되거나 또는 전자기기 내부 공간이 한정되어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등 전자기기에서 구현할 수 없게 된다. 특히, 고체 렌즈(300)를 이용하여 롱 포커스 조절을 구현할 경우, 모터(200)의 스트로크가 충분히 길어야 하고 전자기기의 내부도 충분히 많은 공간을 남겨야 하므로 전자기기의 소형화 발전에 불리하거나 또는 소형 전자기기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도 1, 도 2a, 도2b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스테이터 어셈블리(220)는 제2 단부(221)가 설치되는 쉘(223)을 포함하고, 쉘(223)에는 수용 챔버(2231) 및 수용 챔버(2231)와 연통되는 제1 개구(2232)가 설치되며, 제1 개구(2232)는 제2 단부(221)에 설치되고; 로터 어셈블리(210)는 수용 챔버(2231) 내에 설치되며, 지지체(110)는 제1 개구(2232)를 관통하여 로터 어셈블리(210)와 고정 연결된다. 이로써, 로터 어셈블리(210)를 수용 챔버(2231) 내에 설치하고, 쉘(223)을 이용하여 보호함으로써 로터 어셈블리(210)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키고 운행 과정에서의 간섭을 감소할 수 있으며, 나아가 모터(200)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또는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스테이터 어셈블리(220)는 수용 챔버(2231)의 측벽에 설치되는 자석 모듈(224)을 포함하고; 로터 어셈블리(210)는 이동 지지대(213) 및 이동 지지대(213)에 설치되는 보이스 코일 모듈(214)을 포함하며, 이동 지지대(213)는 수용 챔버(2231)의 측벽과 이격되게 설치하고, 이동 지지대(213)의 단부는 지지체(110)와 접착 고정되며, 보이스 코일 모듈(214)은 자석 모듈(224)과 자기 여자하도록 배합한다. 이로써, 보이스 코일 모듈(214)과 자석 모듈(224)이 자기 여자하도록 배합함으로써 보이스 코일이 자석 모듈(224)에 대해 이동하여 이동 지지대(213)가 이동하도록 이끌며, 최종적으로 변위력을 지지체(110)에 전달하여 모터(200)가 액체 렌즈(100)의 곡률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결합하면, 일 실시예에서, 로터 어셈블리(210)는 탄성편(212)을 더 포함하는데, 탄성편(212)은 이동 지지대(213)와 고정 연결되고, 이동 지지대(213)는 탄성편(212)을 통해 지지체(110)와 고정 연결되어 이동 지지대(213)가 탄성편(212)을 통해 액체 렌즈(100)를 압출하거나 드래그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 지지대(213)는 상술한 실시예의 탄성편(212)과 결합하여 액체 렌즈(100)에 대한 압출 또는 드래그를 실현하고 렌즈 본체 내부의 액체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자석 모듈(224)이 발생한 구동력이 해제된 후, 상기 탄성편(212)은 자동으로 리셋하여 액체 렌즈(100) 및 이동 지지대(213), 보이스 코일 모듈(214)이 리셋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쉘(223)은 수용 챔버(2231) 내에 설치된 걸림부(203)를 포함하고; 고체 렌즈(300)는 적어도 일부가 수용 챔버(2231) 내에 설치되며, 고체 렌즈(300)는 걸림부(203)와 걸림 배합되는 버클부(320)를 포함한다. 이로써, 걸림부(203)와 버클부(320)의 걸림 배합을 통해 고체 렌즈(300)는 걸림 고정의 방식을 통해 수용 챔버(2231) 내에 설치되어 장착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더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쉘(223)에는 수용 챔버(2231)와 연통되는 제2 개구(2233)가 설치되고, 제2 개구(2233)는 제1 개구(2232)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걸림부(203)는 제1 개구(2232)와 인접되게 설치된다. 이로써, 제2 개구(2233)를 고체 렌즈(300)의 장착 입구로 함으로써, 고체 렌즈(300)가 제2 개구(2233)로부터 수용 챔버(2231)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하고, 버클부(320)과 걸림부(203)가 걸림 고정되도록 한다.
이 밖에, 일 실시예에서, 고체 렌즈(300)는 버클부(320)와 대향되게 설치된 제3 단부(330)를 포함하고, 제3 단부(330)는 제2 개구(2233)에 설치되며 쉘(223)과 접착 고정된다. 이로써, 고체 렌즈(300)가 버클부(320)를 통해 걸림부(203)와 배합하여 쉘(223) 내에 고정될 경우,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체 렌즈(300)를 더 고정함으로써 고체 렌즈(300)와 쉘(223)의 고정이 더 견고하도록 하고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의 내충격 성능을 향상시키며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고체 렌즈(300)가 쉘(223)에 고정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쉘(223)은 환형 케이싱(2234) 및 베이스(2235)를 포함하고, 환형 케이싱(2234)은 중공 형상을 이루며, 환형 케이싱(2234)의 일단에는 제1 개구(2232)가 설치되고, 고체 렌즈(300)는 베이스(2235)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베이스(2235)는 환형 케이싱의 타단에 설치되며, 환형 케이싱(2234)과 고정 연결되어 수용 챔버(2231)를 이룬다. 이로써, 고체 렌즈(300)는 베이스(2235)에 모듈화되게 조립될 수 있고, 스테이터 어셈블리(220) 및 로터 어셈블리(210)는 환형 케이싱(2234)에 모듈화되게 조립될 수 있으며, 그 다음 다시 베이스(2235)를 환형 케이싱(2234)에 조립하여 고체 렌즈(300)를 모터(200)에 조립하는 것을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쉘(223)에는 가이드부(2236)가 설치되고, 가이드부(2236)의 가이드 방향은 수용 챔버(2231)의 깊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지지체(110)는 리미팅부(111)를 포함하되, 리미팅부(111)는 가이드부(2236)와 가이드되게 배합하여 지지체(110)가 제1 광축(130) 축방향에서의 이동범위를 한정한다. 이로써, 리미팅부(111)와 가이드부(2236)의 배합을 이용하여 지지체(110)의 이동범위를 한정할 수 있어 액체 렌즈(100)의 초점 조절 과정의 신뢰도를 담보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236)와 리미팅부(111)의 구체적인 배합구조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 바,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블록, 슬라이드 홈과 슬라이드 블록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체 렌즈(300)는 액체 렌즈(100)와 배합하여 롱 포커스 렌즈 구조를 형성한다. 이로써, 전통적인 롱 포커스 렌즈와 비교하여 이동 스트로크를 감소할 수 있으며; 매크로 효과를 담보하는 동시에 모듈 사이즈를 충분히 감소시키고; 전통적인 홀 센서를 이용하여 고체 렌즈(300)의 실제 위치를 정확히 감응하여 응용 원가를 저하시키는데 유리하게 된다.
일 예시에서, 롱 포커스 렌즈의 포커스 범위의 제일 가까운 포커스 거리는 F≥1cm이다. 이로써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초 매크로 조절을 구현할 수 있어 더 우수한 이미지 획득 성능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포커스 범위의 제일 가까운 포커스 거리 F는 1cm이고, 대응되는 포커스 범위는 1cm 내지 무한대 이거나; 또는, 상기 포커스 범위의 제일 가까운 포커스 거리 F는 1.5cm이고 대응되는 포커스 범위는 1.5cm 내지 무한대 이거나; 또는 상기 포커스 범위의 제일 가까운 포커스 거리 F는 2cm이고 대응되는 포커스 범위는 2cm 내지 무한대 이거나; 또는 상기 포커스 범위의 제일 가까운 포커스 거리 F는 3cm이고 대응되는 포커스 범위는 3cm 내지 무한대 이거나; 또는 상기 포커스 범위의 제일 가까운 포커스 거리 F는 7cm이고 대응되는 포커스 범위는 7cm 내지 무한대 이거나; 또는 상기 포커스 범위의 제일 가까운 포커스 거리 F는 10cm이고 대응되는 포커스 범위는 10cm 내지 무한대 이거나; 또는 상기 포커스 범위의 제일 가까운 포커스 거리 F는 20cm이고 대응되는 포커스 범위는 20cm 내지 무한대 이거나; 또는 상기 포커스 범위의 제일 가까운 포커스 거리 F는 30cm이고 대응되는 포커스 범위는 30cm 내지 무한대 등일 수 있다.
같은 도리로, 본 발명의 롱 포커스 렌즈의 포커스 범위의 제일 가까운 포커스 거리 F는 또 ≥2cm; ≥3cm; ≥7cm; ≥10cm; ≥20cm; ≥30cm 등 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단부(211)와 지지체(110)는 접착 고정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을 조립할 경우, 제1 단부(211)와 지지체(110)가 접착 고정하는 과정에서, 우선 접착 초기 고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여전히 액체 렌즈(100)의 이동부품과 모터(200)의 운동부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바, 즉 로터 어셈블리(210)와 지지체(11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다. 액체 렌즈(100)와 모터(200)의 위치가 장착 요구를 만족시킬 경우, 다시 접착 고정시킨다. 나아가, 액체 렌즈(100)와 모터(200)의 포지셔닝 오차 및/또는 제조 오차 등을 보정하여 카메라 모듈의 정확도 요구가 설계 요구에 부합되도록 액체 렌즈(100)와 모터(200)의 조립오차가 생산 요구에 부합되도록 함으로써, 나아가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수율을 향상시키고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의 생산원가를 저하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a, 도 2b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시에서, 카메라 모듈(10)은 제1 접착층(11)을 더 포함하되, 제1 단부(211)는 제1 접착층(11)을 통해 지지체(110)와 접착 고정된다. 이로써, 제1 접착층(11)을 이용하여 로터 어셈블리(210)와 지지체(110)의 고정을 진행하는데 용이하게 된다. 고체 또는 액체 등 접착제, 또는 양면 비스코스를 로터 어셈블리(210)에 설치하여 포지셔닝 오차 또는 제조 오차 등을 보정하도록 초기 고정이 용이하게 한 다음, 다시 경화를 거쳐 로터 어셈블리(210)와 지지체(1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접착층(11)은 접착제를 통해 응고하여 형성된다. 이로써, 접착제를 이용하여 로터 어셈블리(210)와 지지체(110)의 초기 고정을 진행한 후, 점차적으로 응고하는 시간 내에 양자의 조립오차가 요구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는데, 만약 요구를 만족시키지 않으면 미세 조절을 더 진행하여 액체 렌즈(100)와 모터(200)의 조립오차가 생산 요구에 부합되도록 하여 카메라 모듈의 정확도 요구를 담보할 수 있다. 접착제는 열경화 접착제 또는 자외선 경화 접착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임의의 한 실시예의 기초상에,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단부(221)는 고정체(120)와 접착 고정된다. 이로써, 스테이터 어셈블리(220)와 고정체(120)도 초보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적응되게 미세 조절하여 액체 렌즈(100)와 모터(200) 사이의 조절 원활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더 큰 제조 오차를 보정하여 제조 오차 누적으로 인하여 장착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2a, 도 2b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시에서, 카메라 모듈(10)은 제2 접착층(12)을 더 포함하되, 제2 단부(221)는 제2 접착층(12)을 통해 고정체(120)와 접착 고정된다. 이로써, 제2 접착층(12)을 이용하여 스테이터 어셈블리(220)와 고정체(120)를 접착 고정을 진행하는데 용이하게 된다. 고체 또는 액체 등 접착제, 또는 양면 비스코스를 스테이터 어셈블리(220)에 설치하여 포지셔닝 오차 또는 제조 오차 등을 보정하도록 초기 고정이 용이하게 한 다음, 다시 경화를 거쳐 스테이터 어셈블리(220)와 고정체(1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접착층(12)은 접착제를 통해 응고하여 형성된다. 이로써, 접착제를 이용하여 스테이터 어셈블리(220)와 고정체(120)의 초기 고정을 진행한 후, 점차적으로 응고하는 시간 내에 양자의 조립오차가 요구를 만족시키는지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는데, 만약 요구를 만족시키지 않으면 미세 조절을 더 진행하여 액체 렌즈(100)와 모터(200)의 조립오차가 생산 요구에 부합되도록 하여 카메라 모듈의 정확도 요구를 담보할 수 있다. 접착제는 열경화 접착제 또는 자외선 경화 접착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등가적으로, 고체 렌즈(300)와 스테이터 어셈블리(220)의 고정방식은 비스코스의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는데, 먼저 초기 고정을 진행한 다음 다시 경화하여 경화 과정에서 미세 조절을 진행하기 용이하여 고체 렌즈(300)와 스테이터 어셈블리(220)의 장착 정확도를 향상시켜 카메라 모듈이 이미지를 획득하는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로터 어셈블리(210)는 탄성편(212)을 더 포함하되, 제1 단부(211)는 탄성편(212)을 통해 지지체(110)와 고정 연결되고, 로터 어셈블리(210)는 탄성편(212)을 통해 액체 렌즈(100)를 압출하거나 드래그 할 수 있다. 탄성편(212)을 이용하여 액체 렌즈(100)를 압출하거나 드래그하고 렌즈 본체 내부의 액체의 형상을 조절하는데; 로터 어셈블리(210)가 발생한 구동력이 해제된 후, 상기 탄성편(212)은 자동으로 리셋하여 액체 렌즈(100)가 리셋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탄성편(212)은 지지체(110)와 접착 고정된다. 이로써, 제1 단부(211)는 탄성편(212)을 통해 지지체(110)와 접착 고정되어 지지체(110)가 접착 고정되는 과정에서 먼저 접착 초기 고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여전히 액체 렌즈(100)의 이동부품과 모터(200)의 운동부품 사이의 위치 관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바, 즉 로터 어셈블리(210)와 지지체(11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미세 조절할 수 있다. 액체 렌즈(100)와 모터(200)의 위치가 장착 요구를 만족시킬 경우, 다시 접착 고정시켜 액체 렌즈(100)가 자동으로 탄성 리셋되어 장착의 정확도가 높다.
일 예시에서, 탄성편(212)의 중부에는 통공(2121)이 설치되고, 탄성편(212)과 액체 렌즈(100) 사이에는 제1 회피공간(230)이 설치되며, 제1 회피공간(230)과 통공(2121)은 연통된다. 이로써, 고체 렌즈(300)는 통공(2121)을 관통하여 제1 회피공간(230) 내에 설치되어 공간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어 카메라 모듈의 구조가 더 컴팩트하도록 하여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 설계에 유리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액체 렌즈(100)의 변형은 제1 회피공간(230)을 이용하여 진행할 수도 있어 카메라 모듈의 내부 공간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제2 단부(221)는 제1 접착제 베어링면(201) 및 접수면(202)을 포함하되, 제1 접착제 베어링면(201)은 제2 단부(221)의 단면에 설치되고, 접수면(202)은 제1 접착제 베어링면(201)의 아래에 설치되며; 고정체(120)는 제1 접착제 베어링면(201)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 접착제 베어링면(121) 및 접수면(202)과 접촉하는 배합면(122)을 포함한다. 이로써, 제1 접착제 베어링면(201) 및/또는 제2 접착제 베어링면(121)을 이용하여 접착제를 담을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접착제를 제1 접착제 베어링면(201)에 설치한 다음 고정체(120)의 배합면(122)을 접수면(202)에 설치하여 제2 접착제 베어링면(121)과 제1 접착제 베어링면(201)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되기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접수면(202)을 이용하여 배합면(122)과 배합함으로써 액체 렌즈가 과도하게 드래그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포지셔닝 구조를 이용하여 액체 렌즈(100)와 모터(200)의 정렬을 더 양호하게 구현하여 양자의 장착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211)에는 제1 포지셔닝부(204)가 설치되고, 지지체(110)에는 제1 포지셔닝부와 포지셔닝되게 배합하는 제2 포지셔닝부(112)가 설치된다. 이로써, 제1 포지셔닝부(204)를 이용한 제2 포지셔닝부(112)와의 포지셔닝 배합은 제1 단부(211)와 지지체(110)의 장착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제2 단부(221)에는 제3 포지셔닝부(222)가 설치되고, 고정체(120)에는 제3 포지셔닝부와 포지셔닝되게 배합하는 제4 포지셔닝부(123)가 설치된다. 이로써, 제3 포지셔닝부(222)를 이용한 제4 포지셔닝부와의 포지셔닝 배합은 제2 단부(221)와 고정체(120)의 장착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 포지셔닝부”와 “제2 포지셔닝부” 사이 및 “제3 포지셔닝부”와 “제4 포지셔닝부” 사이의 구체적인 구조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는 바, 포지셔닝 돌기와 포지셔닝 함몰부, 포지셔닝 돌기와 포지셔닝 홀 등에서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제3 포지셔닝부(222)에는 요부가 설치되고, 제4 포지셔닝부(123)에는 함몰부와 적합한 돌기부가 설치된다. 이로써, 돌기부와 함몰부의 배합을 이용하여 고정체(120)와 제2 단부(221)를 조립할 때의 포지셔닝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제한 작용도 할 수 있으며, 나아가 양자의 조립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양자가 고정되는 견고성도 향상시킨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은 기판(400)을 더 포함하되, 기판(400)은 스테이터 어셈블리(22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기판(400)에는 필터(410)가 설치되며, 필터(410)와 고체 렌즈(300)는 이격되게 설치되어 제2 회피공간(420)을 이룬다. 이로써, 기판(400)을 통해 필터(410)를 스테이터 어셈블리(220)에 고정시키고 고체 렌즈(300)가 출력한 광선을 필터링하여 간섭을 줄임으로써 이미지 센서(520)가 획득한 유효 광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2 회피공간(420)을 이용하여 고체 렌즈(300)의 초점조절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고체 렌즈(300)에 대해 초점조절을 진행하는데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필터(410)는 적외선 필터(410)로서, 적외선을 필터링하여 적외선이 특정된 이미지를 획득하는데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일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싱 어셈블리(500)를 더 포함하되, 이미지 센싱 어셈블리(500)는 이미지 전송 회로 기판(510) 및 이미지 전송 회로 기판(510)에 설치된 이미지 센서(520)를 포함하고, 이미지 센서(520)는 필터(410)의 바로 아래에 설치된다. 이로써, 상기 이미지 센싱 어셈블리(500)는 직접 카메라 모듈에 집적될 수 있어 전자기기의 조립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며, 전자기기가 이미지 정보를 획득함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이 전자기기 내에서의 조립오차로 인한 간섭을 받지 않도록 담보할 수 있어 전자기기가 획득한 이미지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1)를 더 제공하는데, 이는 모터와 통신 연결하는 제어기(20) 및 상술한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기(1)는 상술한 카메라 모듈(10)을 이용함으로써 동일한 초점조절 범위에서, 특히 초근거리의 포커스를 구현할 수 있는 경우, 소형화 설계를 진행할 수 있고; 또,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0)의 생산원가가 낮아 본 발명의 전자기기(1)의 생산원가를 저하시키는데 유리하게 된다.
상기 전자기기는 핸드 헬드 기기, 차량용 기기, 웨어러블 기기, 모니터링 기기, 셀룰러 폰(smart wristband), 스마트 폰(smart phone),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랩톱 컴퓨터(laptop computer), 비디오 카메라, 비디오 레코더, 카메라,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팔찌(smart wristband), 차량용 컴퓨터 및 기타 이미징 기능을 가지는 전자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의 각 기술적 특징은 임의로 조합할 수 있으나 설명의 간결함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에서의 각 기술적 특징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모두 설명하지 않았는 바, 이러한 기술적 특징의 조합이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모두 본 명세서에 기재된 범위로 간주되어야 한다.
이상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바, 이의 설명은 비교적 구체적이고 상세하지만 이로써 발명의 특허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하지 말아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의 구상을 벗어나지 않는 전제하에 약간의 변형과 개선을 진행할 수 있고 이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는 것을 응당 지적해야 한다.
10: 카메라 모듈 11: 제1 접착층
12: 제2 접착층 100: 액체 렌즈
110: 지지체 111: 리미팅부
112: 제1 포지셔닝부 130: 제1 광축
120: 고정체 121: 제2 접착제 베어링면
122: 배합면 123: 제4 포지셔닝부
200: 모터 210: 로터 어셈블리
211: 제1 단부 204: 제2 포지셔닝부
212: 탄성편 2121: 통공
213: 이동 지지대 214: 보이스 코일 모듈
220: 스테이터 어셈블리 221: 제2 단부
201: 제1 접착제 베어링면 202: 접수면
222: 제3 포지셔닝부 223: 쉘
203: 걸림부 2231: 수용 챔버
2232: 제1 개구 2233: 제2 개구
2234: 환형 케이싱 2235: 베이스
2236: 가이드부 224: 자석 모듈
230: 제1 회피공간 300: 고체 렌즈
310: 제2 광축 320: 버클부
330: 제3 단부 400: 기판
410: 필터 420: 제2 회피공간
500: 이미지 센싱 어셈블리 510: 이미지 전송 회로 기판
520: 이미지 센서

Claims (20)

  1. 고정체 및 상기 고정체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지체를 포함하고, 제1 광축이 설치되는 액체 렌즈;
    로터 어셈블리 및 스테이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로터 어셈블리는 상기 지지체와 고정 연결되는 제1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 어셈블리는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대해 상기 제1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액체 렌즈의 곡률을 조절하며,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체와 고정 연결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모터; 및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 광축과 마주 잇은 제2 광축을 포함하는 고체 렌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지지체는 접착 고정되고; 및/또는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고정체와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1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1 접착층을 통해 상기 지지체와 접착 고정되고; 및/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제2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접착층을 통해 상기 고정체와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어셈블리는 탄성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탄성편을 통해 상기 지지체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로터 어셈블리는 상기 탄성편을 통해 상기 액체 렌즈를 압출하거나 드래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지지체와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의 중부에는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탄성편과 상기 액체 렌즈 사이에는 제1 회피공간이 설치되며, 상기 제1 회피 공간은 상기 통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는 제1 접착제 베어링면 및 접수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제 베어링면은 상기 제2 단부의 단면에 설치되고, 상기 접수면은 상기 제1 접착제 베어링면의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1 접착제 베어링면과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 접착제 베어링면 및 상기 접수면과 접촉되는 배합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에는 제1 포지셔닝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에는 상기 제1 포지셔닝부와 포지셔닝되게 배합하는 제2 포지셔닝부가 설치되며; 및/또는
    상기 제2 단부에는 제3 포지셔닝부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제3 포지셔닝부와 포지셔닝되게 배합하는 제4 포지셔닝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렌즈는 상기 액체 렌즈와 서로 배합하여 롱 포커스 렌즈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롱 포커스 렌즈의 포커스 범위의 제일 가까운 포커스 거리는 F≥1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필터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는 상기 고체 렌즈와 이격되게 설치되어 제2 회피공간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2 단부가 설치되는 쉘을 포함하고, 상기 쉘에는 수용 챔버 및 상기 수용 챔버와 연통되는 제1 개구가 설치되며, 상기 제1 개구는 상기 제2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로터 어셈블리는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로터 어셈블리와 고정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쉘에는 가이드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가이드 방향은 상기 수용 챔버의 깊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지지체는 리미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미팅부는 상기 가이드부와 가이드되도록 배합하여 상기 지지체가 상기 제1 광축의 축방향에서의 이동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설치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렌즈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 챔버 내에 설치되며, 상기 고체 렌즈는 상기 걸림부와 걸림 배합하는 버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쉘에는 상기 수용 챔버와 연통되는 제2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제1 개구와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개구와 가까이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렌즈는 상기 버클부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3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부는 상기 제2 개구에 설치되어 상기 쉘과 접착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환형 케이싱 및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환형 케이싱은 중공 형상을 이루며, 상기 환형 케이싱의 일단에는 상기 제1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고체 렌즈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환형 케이싱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환형 케이싱과 고정 연결되어 상기 수용 챔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터 어셈블리는 자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 모듈은 상기 수용 챔버의 측벽에 설치되고; 상기 로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단부가 설치되는 이동 지지대 및 상기 이동 지지대에 설치되는 보이스 코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 지지대는 상기 수용 챔버의 측벽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보이스 코일 모듈은 상기 자석 모듈과 자기 여자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 어셈블리는 탄성편을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편은 상기 이동 지지대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이동 지지대는 상기 탄성편을 통해 상기 지지체와 고정 연결되어 상기 이동 지지대가 상기 탄성편을 통해 상기 액체 렌즈를 압출하거나 드래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20. 전자기기에 있어서,
    제어기; 및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모터와 통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210080667A 2021-02-26 2021-06-22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 KR102573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0433671.2 2021-02-26
CN202120433671.2U CN214591601U (zh) 2021-02-26 2021-02-26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440A true KR20220122440A (ko) 2022-09-02
KR102573058B1 KR102573058B1 (ko) 2023-08-31

Family

ID=7662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667A KR102573058B1 (ko) 2021-02-26 2021-06-22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76413A1 (ko)
EP (1) EP4050382B1 (ko)
JP (1) JP2022132017A (ko)
KR (1) KR102573058B1 (ko)
CN (1) CN21459160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57784A (zh) * 2021-11-26 2022-03-08 昆山丘钛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摄像模组及终端设备
CN117175888B (zh) * 2023-10-30 2024-04-05 荣耀终端有限公司 马达、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275A (ja) * 2001-10-15 2003-04-25 Ricoh Co Ltd 被写体像調整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40073255A (ko) * 2012-12-06 2014-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972302B1 (ko) * 2017-05-08 2019-04-25 주식회사 엠씨넥스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KR20190089600A (ko) * 2018-01-23 2019-07-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0967783A (zh) * 2019-04-18 2020-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驱动液态镜头的马达组件、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49795B (zh) * 2007-07-20 2010-09-22 菱光科技股份有限公司 液态镜头自动对焦模块的组装方法
US11579435B2 (en) * 2017-06-23 2023-02-14 Optotune Consumer Ag Optical device, particularly camera, particularly comprising autofocus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US11105962B2 (en) * 2018-01-25 2021-08-31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optical system
EP4130836A3 (en) * 2018-12-27 2023-05-24 Tdk Taiwan Corp. Optical system
CN111736243A (zh) * 2019-02-28 2020-10-02 华为技术有限公司 驱动液体镜头的音圈马达及具有音圈马达的镜头组件
JP7295403B2 (ja) * 2019-05-22 2023-06-2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CN210927762U (zh) * 2020-01-10 2020-07-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镜头模组、拍摄装置及移动终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5275A (ja) * 2001-10-15 2003-04-25 Ricoh Co Ltd 被写体像調整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40073255A (ko) * 2012-12-06 2014-06-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972302B1 (ko) * 2017-05-08 2019-04-25 주식회사 엠씨넥스 자동 초점 카메라 모듈
KR20190089600A (ko) * 2018-01-23 2019-07-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0967783A (zh) * 2019-04-18 2020-04-07 华为技术有限公司 驱动液态镜头的马达组件、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76413A1 (en) 2022-09-01
KR102573058B1 (ko) 2023-08-31
EP4050382B1 (en) 2024-01-10
JP2022132017A (ja) 2022-09-07
EP4050382A1 (en) 2022-08-31
CN214591601U (zh) 2021-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236826B (zh) 变焦镜头、相机模组和电子装置
US20200249420A1 (en) Optical driving mechanism
US9635264B2 (en) Imaging apparatus
US8837929B2 (en) Imaging apparatus
US8090252B1 (en) Lens barrel assembly for a camera
CN209992790U (zh) 相机模块及便携式电子设备
CN208581286U (zh) 潜望式摄像模组、阵列摄像模组和电子设备
WO2021136280A1 (zh) 变焦镜头、相机模组和电子装置
US9025945B2 (en) Imaging apparatus
EP2653901A1 (en) Imaging apparatus
KR20220122440A (ko) 카메라 모듈 및 전자기기
CN213423566U (zh) 光学系统
TW202011068A (zh) 相機模組及電子裝置
WO2021213216A1 (zh) 潜望式摄像模组、多摄摄像模组和摄像模组的组装方法
EP4343426A1 (en) Iris diaphragm, camera module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0873941B (zh) 透镜装置和相机系统
CN112327467B (zh) 光学镜头、相机模组及拍摄设备
CN112505877A (zh) 一种伸缩式变焦镜头
CN115128795B (zh) 镜头组件及电子设备
CN113625444B (zh) 镜头和电子设备
CN216485721U (zh) 一种镜头模组及摄像设备
CN213814098U (zh) 一种伸缩式变焦镜头
EP4141540A1 (en) Camera module and mobile terminal
CN115714902A (zh) 一种音圈马达、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20230021738A (ko) 구동 장치, 카메라 모듈 및 전자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