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257A - 소화설비 - Google Patents

소화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257A
KR20220122257A KR1020210026651A KR20210026651A KR20220122257A KR 20220122257 A KR20220122257 A KR 20220122257A KR 1020210026651 A KR1020210026651 A KR 1020210026651A KR 20210026651 A KR20210026651 A KR 20210026651A KR 20220122257 A KR20220122257 A KR 20220122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gas
cabinet
assembly pip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원에프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원에프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원에프엔씨
Priority to KR1020210026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2257A/ko
Publication of KR2022012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2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18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gases or vapours that do not support combustion, e.g. steam, carbon dioxi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부와 천정부 및 측벽부에 의해 정의되는 방호구역에 배치되며, 관통구를 가지는 캐비닛,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소화가스를 저장하고, 소화가스 유출구를 가지는 소화가스실린더, 소화가스실린더의 소화가스 유출구에서 관통구로 연장된 메인관, 메인관의 단부에 연결된 결합모듈, 및 결합모듈에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조립관을 포함하여, 설치가 간단하여 설치 비용을 절약하면서도, 방호구역의 넓이에 따라 소화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소방 성능 인증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화설비{THE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본 발명은 소화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용이성 및 비용 절감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소방법상 성능인증을 획득할 수 있는 소화설비에 관한 것이다.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으로 소화기구, 자동소화장치, 옥내소화전설비, 옥외소화전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소화설비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소화기구에는 소화기와 에어로졸식 소화용구, 투척용 소화용구, 소화약제 등을 포함한 간이소화용구 그리고 자동확산소화기가 있으며, 투척용 소화기는 기존 소화기보다 사용이 용이하여 지하철역사 등 다중이용시설의 투척용 소화기함 설치가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스프링클러설비가 많이 설치되나, 스프링클러설비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소화가스(소화약제)를 분사하는 소화기기이다. 이러한 소화기기에는 캐비닛형 소화기기와 소화설비가 있다. 캐비닛형 소화기기는 소화가스 실린더가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된 형태로 방호구역에 배치된다. 캐비닛형 소화기기는 크기를 크게 증대시킨 소화기로 볼 수 있다. 캐비닛형 소화기기는 설치는 간편하나, 배관 연장이나, 캐비닛 수량 확장이 불가능한 형식승인 소화기기이다. 즉, 설치는 간편하나 넓은 방호구역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소화설비는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화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소화설비는 자유로운 배관 연장이 가능하고, 소화가스 분사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의 소화가스 실린더를 연결하는 확장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복수의 소화가스를 실린더에서 연장되는 개별관(2)들을 집합관(3)에 용접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설치도 까다롭고 인건비도 상승된다. 또한, 방호구역의 특정 위치에 배치된 분사헤드에 집합관(3)을 연결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분사헤드는 하향식을 설치해야 하므로, 천정반자를 통과시켜 2개의 엘보를 설치한 후 천정부에 부착해야 한다. 즉, 소화설비는 설치가 번거롭고, 그에 따른 인건비도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설치 용이성 및 비용 절감을 확보할 수 있으면서 소방법상 성능인증을 획득할 수 있는 소화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설비는, 바닥부와 천정부 및 측벽부에 의해 정의되는 방호구역에 배치되며, 관통구를 가지는 캐비닛,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소화가스를 저장하고, 소화가스 유출구를 가지는 소화가스실린더, 소화가스실린더의 소화가스 유출구에서 관통구로 연장된 메인관, 메인관의 단부에 연결된 결합모듈, 및 결합모듈에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조립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립관의 단부에 배치되며,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분사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립관은 캐비닛의 상면으로부터 천정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분사헤드는 천정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30cm인 위치와 같거나 높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사헤드는 상향식 분사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소화가스는 조립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분사헤드를 통해 조립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모듈은 관통구에 배치되어 캐비닛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결합모듈은 조립관과 나사 체결되는 제1나사부를 포함하며, 조립관은 제1나사부와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방법상 규정에 따른 소화기기나 소화설비의 장점을 융합하여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방호구역의 넓이에 따라 소화용량을 확장할 수 있는 성능인증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소화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화설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화설비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결합모듈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분사헤드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사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분사헤드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 목적으로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구성 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가 단수로 표현된 경우,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한다. 또한,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시적인 용어인 "위" 또는 "상"은 위와 아래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라는 표현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설비(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화설비(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화설비(1)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설비(1)는 캐비닛(10), 소화가스 실린더(20), 메인관(30), 결합모듈(40) 및 조립관(5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은 관통구를 가지며, 방호구역에 배치된다. 방호구역은 바닥부(100), 천정부(110) 및 측벽부(120)에 의해 정의되는 소정의 공간이다. 방호구역은 소방법상 화재를 방재하기 위한 구역일 수 있다. 소화가스실린더(2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소화가스실린더(20)는 소화가스를 저장하고, 소화가스 유출구를 가진다.
메인관(30)은 소화가스실린더(20)의 소화가스 유출구에서 캐비닛의 관통구로 연장될 수 있다. 메인관(30)은 캐비닛(10)의 내부에서 적어도 한번 굴곡된 굴곡부를 가질 수 있다. 메인관(30)의 일단은 소화가스실린더(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캐비닛(10)의 관통구에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관통구를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모듈(40)은 메인관(30)의 단부에 연결된다. 조립관(50)은 결합모듈(40)에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소화기기나 소화설비는 소방법상 규정에 따라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소화기기나 소화설비는 소방법상 규정에 부합하는 성능, 구조, 설치 등에 따른 성능인증 받아야 한다. 즉, 일부라도 규정을 벗어나는 변경은 불가하다. 따라서, 캐비닛형 소화기기가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비용이 절감된다고 하여, 넓은 방호구역에 복수로 배치할 수 없다. 넓은 방호구역에 대해서는 성능인증 받은 소화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화설비는 복수의 소화가스 실린더의 개별관들을 집합관에 용접해야 한다. 또한, 소화설비는 분사헤드를 천정으로부터 30 cm 이내에 설치해야 하므로, 하향식 분사헤드가 설치되게 된다. 또한, 소화설비는 엘보와 천정반자 등으로 집합관을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렵고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설비(1)는 집합관이나, 엘보 천정반자 등이 불필요하다. 즉, 캐비닛형 소화기기처럼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설비는 소방법상 분사헤드의 설치 위치 규정(천정에서 30cm(D) 이내)을 만족할 수 있으므로, 성능인증 확보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화설비는 넓은 방호구역에 대응하여 복수의 소화가스 실린더를 설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비용이 절감되며, 방호구역의 크기에 상관없이 방호구역에 대응하는 용량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설비(1)는 분사헤드(60)를 더 포함한다. 분사헤드(60)는 조립관(50)의 단부에 배치된다. 소화가스실린더(20)에서 분출된 소화가스가 메인관(30) 및 조립관(50)을 거쳐 분사헤드(60)에서 분사된다. 분사헤드(60)는 상향식 분사헤드이다. 따라서, 소화가스는 조립관(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분사헤드(60)를 통해 조립관(5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사된다. 이에 의해, 소방법상 규정에 따른 집합관과 하향식 분사헤드를 설치하기 위한 용접 작업이나 천정반자, 엘보 등의 설치가 필요없다.
한편, 조립관(50)은 캐비닛(10)의 상면으로부터 천정부(110)를 향하여 소정 길이로 연장된다. 조립관(50)은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분사헤드(60)는 천정부(1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30cm인 위치와 같거나 높게 배치된다. 즉, 분사헤드(60)는 천정부(110)의 하면으로부터 30cm 이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간단한 방법으로 소화설비로 성능인증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결합모듈(40)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결합모듈(40)은 캐비닛(10)의 관통구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모듈(40)은 캐비닛(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모듈(40)은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립관(50)이 위치를 고정되게 유지하여 분사헤드(60)를 천정부(110)의 하부 30cm 이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물론, 결합모듈(40)이 관통구를 통해 캐비닛(1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경우에도, 결합모듈(40) 자체가 캐비닛(10)에 고정되거나, 메인관(30)이 캐비닛(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분사헤드(6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결합모듈(40)은 제1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관(50)은 제1나사부에 대응하는 제2나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관(50)은 결합모듈(40)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소화설비(1)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특히, 조립관(50)은 필요에 따라 다른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천정부(110)의 높이에 따라 분사헤드(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결합모듈(40)과 메인관(30)은 나사 체결되거나, 용접 등의 방법으로 체결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분사헤드(60)의 일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분사헤드(60)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분사헤드(60)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분사헤드(60)는 천정부(110)를 향하여 상향식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분사헤드(60)의 높이를 조립관(50)으로 조절하여 성능인증을 받을 수 있으면서, 소화가스의 분사가 조립관(50)에서 분사헤드(60)로 배출되어 방호구역 전체에 살포될 수 있다. 특히, 분사헤드(60)는 180ㅀ로 분사되는 180ㅀ분사헤드이다. 이에 의해, 벽에 단순히 배치되어도, 방호구역 전체로 소화가스가 분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분사헤드(60)는 조립관연결부(600), 노즐바디(610) 및 엔드플레이트(620)를 포함한다. 분사헤드(60)는 중심축(A)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조립관연결부(600)는 조립관(50)의 단부에 체결된다. 조립관연결부(600)는 조립관(50)과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노즐바디(610)는 그 내부에 유로를 가지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또한, 노즐바디(610)는 그 일측에 형성된 개구(O)를 가진다. 노즐바디(610)의 단부에는 엔드플레이트(620)가 배치된다. 엔드플레이트(620)는 노즐바디(610)의 단부를 차단하여 소화가스를 중심축(A)에 수직한 방향으로 유동시킨다. 엔드플레이트(620)는 원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노즐바디(610)는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개구(O)를 가진다. 개구(O)는 제1노즐측벽(611), 제2노즐측벽(612), 노즐하벽(613) 및 엔드플레이트의 하면(614)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노즐측벽(611)은 노즐바디(6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제2노즐측벽(612)은 노즐바디(6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중심축(A)을 기준으로 제1노즐측벽(611)으로부터 평면상 180ㅀ의 각도로 이격된다.
노즐하벽(613)은 제1노즐측벽(611)의 하단에서 제2노즐측벽(612)의 하단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노즐하벽(613)은 노즐바디(61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갈수록 중심축(A)을 따라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에 의해, 소화가스의 적어도 일부가 노즐하벽(613)의 경사를 따라 하방향으로 향하게 분사될 수 있다. 즉, 소화가스가 분사헤드(60)에 인접한 위치에서 방호구역의 먼 위치까지 전체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엔드플레이트의 하면(614)은 제1노즐측벽(611)에서 제2노즐측벽(612)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소화가스가 천정부(110)를 향하여 분사되지 않고, 방호구역의 공간 상으로 분사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소화설비
10 : 캐비닛
100 : 바닥부
110 : 천정부
120 : 측벽부
20 : 소화가스 실린더
30 : 메인관
40 : 결합모듈
50 : 조립관
60 : 분사헤드
600 : 조립관연결부
610 : 노즐바디
620 : 엔드플레이트

Claims (7)

  1. 바닥부와 천정부 및 측벽부에 의해 정의되는 방호구역에 배치되며, 관통구를 가지는 캐비닛;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며, 소화가스를 저장하고, 소화가스 유출구를 가지는 소화가스실린더;
    소화가스실린더의 소화가스 유출구에서 관통구로 연장된 메인관;
    메인관의 단부에 연결된 결합모듈; 및
    결합모듈에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연결된 조립관을 포함하는 소화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조립관의 단부에 배치되며, 소화가스를 분사하는 분사헤드를 더 포함하는 소화설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조립관은 캐비닛의 상면으로부터 천정부를 향하여 연장되며,
    분사헤드는 천정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30cm인 위치와 같거나 높게 배치된 소화설비.
  4. 제 2 항에 있어서,
    분사헤드는 상향식 분사헤드인 소화설비.
  5. 제 4 항에 있어서,
    소화가스는 조립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하여, 분사헤드를 통해 조립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분사되는 소화설비.
  6.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모듈은 관통구에 배치되어 캐비닛에 고정된 소화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결합모듈은 조립관과 나사 체결되는 제1나사부를 포함하며,
    조립관은 제1나사부와 나사 체결되는 제2나사부를 포함하는 소화설비.
KR1020210026651A 2021-02-26 2021-02-26 소화설비 KR202201222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651A KR20220122257A (ko) 2021-02-26 2021-02-26 소화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651A KR20220122257A (ko) 2021-02-26 2021-02-26 소화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257A true KR20220122257A (ko) 2022-09-02

Family

ID=8328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651A KR20220122257A (ko) 2021-02-26 2021-02-26 소화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22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0062B (zh) 自动控制水流的用于喷洒管的分支三通和包括分支三通的喷洒管系统
KR101737755B1 (ko)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
KR101185109B1 (ko) 화재진압용 노즐장치
KR101662590B1 (ko)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RU2337445C1 (ru) Защита от пожара
KR101796309B1 (ko)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20220122257A (ko) 소화설비
KR101928361B1 (ko)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KR101342127B1 (ko) 건축물용 소방장치
KR100932322B1 (ko) 주변의 화재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기 위한 수막설비시스템
RU2302272C2 (ru) Распы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20050029365A1 (en) Wire connecting fitting attaching body fixing tool and attaching body
JP2002291921A (ja) フォームヘッド
KR102286749B1 (ko) 건축물 화재진화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구조
KR101236828B1 (ko) 화재 방재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0179786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KR20050101264A (ko)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CN214435976U (zh) 一种多柜体联动消防装置
JP2002058752A (ja) 泡水溶液噴霧ヘッド
KR102619957B1 (ko) 건축물 소방수 급배수 장치
KR200267135Y1 (ko) 화재 진압용 물분사 장치
KR102641995B1 (ko) 소방 호스 조립체
JP2852594B2 (ja) 消火設備
KR101322751B1 (ko) 살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CN220213771U (zh) 建筑物外墙灭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