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1264A -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1264A
KR20050101264A KR1020040026402A KR20040026402A KR20050101264A KR 20050101264 A KR20050101264 A KR 20050101264A KR 1020040026402 A KR1020040026402 A KR 1020040026402A KR 20040026402 A KR20040026402 A KR 20040026402A KR 20050101264 A KR20050101264 A KR 20050101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fire
underground
water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9038B1 (ko
Inventor
김윤제
김홍식
김유재
황인주
김태형
박양원
노고섭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40026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038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0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conveying belts for removing excr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공동구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폼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공동구 내부에 2개의 방화벽으로 공간을 구성하여 화재의 전파를 차단하는 동시에, 이 공간 내부에 기존 연결 살수식 소화계통에 폼 헤드와 공기폼혼합기의 구성을 채택한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foam extinguishing fire system for repressing fire of underground common tunnel}
본 발명은 지하공동구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폼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하공동구 내부에 2개의 방화벽으로 공간을 구성하여 화재의 전파를 차단하는 동시에, 이 공간 내부에 기존 연결 살수식 소화계통에 폼 헤드와 공기폼혼합기의 구성을 채택한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지하공동구라 함은 도로의 노면 굴착을 수반하는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설비, 하수도시설 등의 지하매설물을 공동으로 수용함으로써 도시 미관을 개선하고, 도로 구조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기하기 위해서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이러한 지하공동구는 각종 케이블과 배관이 수용될 수 있도록 터널형상으로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전기합선이나 기타의 내/외부의 원인 등으로 지하공동구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가연성 물질인 케이블이나 배관 및 공동구 벽면을 타고 화염이 급속하게 전파되어, 결국은 서로 연결된 도시의 전체 지하공동구로 화재가 확대되고, 이로 인하여 다른 도시의 다른 구역에까지 화재가 전파되는 등 막대한 손해를 입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화재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최근에는 지하공동구내에 소방설비를 갖추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지하공동구에 설치되는 소방설비는 대체로 정온식 감지선형감지기, 광전식축적형 연기감지기, 차동식 감지기 등의 화재감지시스템과, 연결살수설비, 방화문, 연소방지도료 등의 화재차단시스템과, 분말소화기 등의 화재진압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는데, 화재감지시스템의 경우 지하공동구에 화재 발생시 화원의 위치 정도만을 중앙통제실로 표시하여 줄 뿐 별다른 기능이 없고, 화재차단시스템의 경우 부분 차단 효과는 있으나 지하공동구 전체에서 보면 실질적인 효과는 크지 않으며, 화재진압시스템을 이루는 분말소화기는 수동식이어서 실제 지하공동구 화재 발생시 사람의 접근이 불가능한 것을 감안하면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가 있었다.
지하공동구에서의 화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화재와는 달리 화염이 지하공동구의 벽면을 타고 빠른 시간 내에 전파되어 대형화재로 번질 수 있으므로 빠른 소화진압도 중요하지만 화재발생 지점에서 다른 구역으로의 전파를 우선적으로 차단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며, 이를 위해 현재에는 방화벽과 같은 시설물을 갖추는 추세에 있지만 그 수가 한정되어 있고, 이러한 시설물 역시 그 기능에 한계가 있어 완벽한 구역차단의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특히, 지하공동구의 일종인 전력구 내에는 154㎸ 등에 사용되는 절연유가 대량으로 저장되어 있어 이러한 전력구 내에서의 화재 발생시 B급화재(유류화재)로 분류되어, 많은 연기와 유독가스가 분출되고 빠른 시간 내에 화재가 다른 구역으로 전파되므로, 지하공동구 화재 중 가장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이러한 지하공동구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시스템으로는 크게 연결 살수식 소화시스템과 폼소화시스템이 있다.
연결 살수식 소화시스템에서는 화재 발생시 출동한 소방차에 저장된 소화수를 연결 송수구에 연결하여 소방펌프를 구동하면 지하공동구 내부에 설치된 배관과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하여 방출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지하공동구의 사용 환경을 보면, 주로 고전압 케이블, 통신선, 지역난방배관, 가스 배관, 상하수도관 등을 내부에 설치하고 있어 물과 같은 소화약제를 다량으로 방출할 경우에는 피해의 확대와 더불어 2차적인 감전이 발생하여 현장에서 소방 활동의 제한이나 사후 현장 수습에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한편, 폼소화시스템으로는 예컨대 본 출원인이 출원한 등록실용신안 제295783호 및 공개특허 제2001-2895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공보의 폼소화시스템은 유류탱크의 화재 진압용으로서 그 장치가 매우 복잡하여 고가이고 또한, 지하공동구에 설치하기에는 공간을 너무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라인 푸로포셔너라는 폼약제혼합장치를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이 라인 푸로포셔너는 벤추리작용에 의해 약액을 흡입 혼합하기 때문에, 약제낭비나 환경오염은 방지되지만, 라인 푸로포셔너의 출구부의 방출 유량에 따라서 부압 발생이 일정하지 않으며, 물의 역류에 의해 부압이 발생하지 않아, 약제흡입구를 통해서 물이 역류되어 고가의 약제를 쓸모 없게 만드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폼 소화 설비를 기존 연결 살수식 소화시스템에 적용하여, 혼합액의 방출 유량에 따라 부압 발생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물의 역류를 방지할 뿐 아니라, 다량의 물에 의한 피해 확대나 감전 우려를 확실히 해소시킬 수 있는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하공동구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폼소화시스템에 있어서,
지상에 배치되는 송수구; 상기 지하공동구에 배치되는 복수의 폼 헤드; 상기 송수구에 접속되는 배관; 상기 지하공동구에 설치되는 폼소화약제저장탱크; 상기 배관과 상기 폼 헤드에 접속되어 상기 폼소화약제저장탱크의 약제를 흡입 혼합하는 공기폼혼합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폼 소화 설비인 폼 헤드, 폼소화약제저장탱크, 공기폼혼합기를 기존 연결 살수식 소화시스템에 적용하여, 다량의 물에 의한 피해 확대나 감전 우려를 확실히 해소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지하공동구에 소정 간격마다 방화벽이 더 설치되면, 폼소화약제가 방화벽과 방화벽 사이에 완전히 가두어지기 때문에 케이블을 타고 화재가 이전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폼혼합기는 배관접속부와, 폼헤드접속부와, 상기 배관접속부와 폼헤드접속부 사이에 개재되는 폼혼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폼혼합부는 물에 유속을 발생시키는 제1벤추리와, 상기 제1벤추리에서 방사되는 물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어 폼약제를 흡입 혼합하는 제2벤추리와, 상기 폼혼합부의 물유입구측에서 혼합액토출구측으로 관통하는 사이드물방출구로 구성되는 것이, 사이드물방출구에 의해 제2벤추리의 방출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물이 약제흡입구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폼헤드접속부에 공기유입관통구가 더 설치되면, 폼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폼 헤드는 상기 폼헤드접속부에 체결되는 노즐부, 디플렉터, 상기 노즐부와 상기 디플렉터를 연결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상기 노즐부에 장착되는 와류생성노즐과, 원호단면의 폼생성망, 상기 폼생성망을 상기 디플렉터의 외주면을 감싼 채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상에 지지시키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디플렉터의 중심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폼생성망의 중심 상에 배치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와 체결되어 상기 폼생성망을 지지하는 볼트로 구성되면, 너트에 의해 디플렉터와 폼생성망과의 간극을 두어 폼생성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하공동구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지하공동구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폼소화시스템(200)은 송수구(210), 지하공동구에 배치되는 복수의 폼 헤드 어셈블리(220), 송수구(210)와 폼 헤드 어셈블리(220)를 연결하는 배관(230), 지하공동구에 설치되며, 폼 헤드 어셈블리(200)에 접속되는 폼소화약제저장탱크(240)로 구성되어 있다.
송수구(210)는 지상에 배치되어,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기(미도시)와 연동하여 출동한 소방펌프차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폼 헤드 어셈블리(2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폼혼합기(100)와 폼 스프링클러 헤드(10)로 구성되어 있다.
공기폼혼합기(100)는 배관접속부(110), 폼헤드접속부(130), 배관접속부(110)와 폼헤드접속부(130) 사이에 개재되는 폼혼합부(150)로 이루어진다.
배관접속부(110)는 암나사부(115)를 통해 배관(미도시)에 체결 고정되는 소켓으로, 물유입챔버(110a)가 형성되어 있다.
폼헤드접속부(130)에는 암나사부(135)를 통해 전술한 폼 헤드나 후술되는 폼 스프링클러 헤드(10)의 노즐부(3)가 체결 고정되는 소켓으로, 혼합액토출챔버(130a)가 형성되어 있다.
폼혼합부(150)는 물에 유속을 발생시키는 제1벤추리(151), 제1벤추리(151)에서 방사되는 물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어 폼소화약제저장탱크(240)의 폼약제를 흡입 혼합하는 제2벤추리(153), 물유입구측에서 혼합액토출구측으로 관통하는 사이드물방출구(155)로 구성되어 있다.
제1벤추리(151)의 주변에는 폼약제흡입구(160a)와 연통하는 연통부(15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통부(157)의 선단에는 제2벤추리(1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벤추리(153)와 혼합액토출챔버(130a) 사이에는 관통공(15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벤추리(151)는 물유입챔버(110a)를 통해 유입된 물에 유속을 발생시키고, 제2벤추리(153)는 제1벤추리(151)에서 방사되는 물에 의해 부압이 형성된다. 이 부압은 폼약제흡입관(160)을 통해 폼약제를 흡입하고, 제2벤추리(153)에서 물과 1차 혼합하게 된다. 이 1차 혼합액은 관통공(154)을 통해 혼합액토출챔버(130a)로 방출된다.
사이드물방출구(155)는 물유입챔버(110a)측에서 혼합액토출챔버(130a)측 사이의 폼혼합부(15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물방출구(155)는 관통구(154)를 통해 방출되는 혼합액을 폼헤드접속부(130)측으로 밀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 밀어주는 기능에 의해, 제2벤추리(153)의 부압 발생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전술한 관통구(154)를 통해 방출되는 혼합액의 큰 유량 변화에도 부압 발생을 일정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밀어주는 기능을 원활하게 행하도록 유동되는 방향으로 집속되게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물방출구(155)는 제1벤추리(151)로 물의 유입이 원활히 행해지도록 도와주는 기능을 한다. 즉, 물유입챔버(110a)는 제1벤추리(151)의 입구(151a)에 비해 크다. 따라서, 물유입챔버(110a)에서 입구(151a)로 물의 유동이 어렵게 되어, 제1벤추리(151)에서의 물의 유속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이드물방출구(155)로도 물이 통과하도록 하면 물 통과율이 크게 되어, 입구(151a)로의 물 유입이 원활히 행해질 수 있다.
폼헤드접속부(130)에는 혼합액토출챔버(130a)와 연통하는 공기유입관통구(140)가 천공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혼합액토출챔버(130a)에서 폼이 충분히 발포하는 제2차 혼합을 행하게 할 수 있다.
폼 스프링클러 헤드(10)는 살수식 스프링클러 헤드(1), 폼생성망(11) 및 폼생성망을 스프링클러 헤드(1)에 지지시키는 지지부재(13)로 구성된다.
한편, 스프링클러 헤드(1)는 폼헤드접속부(130)에 접속되는 노즐부(3), 디플렉터(5), 노즐부(3)와 디플렉터(5)를 연결하는 프레임(7)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즐부(3)는 그 외주면에 수나사부(3a)가 형성되어, 폼헤드접속부(130)의 암나사부(135a)에 체결 결합되게 된다. 또한, 노즐부(3)는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분출되는 약제를 디플렉터(5)에 집중시키기 위함이다.
디플렉터(5)는 프레임(7)에 형성된 연결부(6)에 체결요소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폼생성망(11)은 원호단면형상으로, 외관으로 볼 때 디플렉터(5)를 감싼 채 배치되어 있다. 이 폼생성망(11)의 하면 중심에는 후술된 볼트(15)가 관통되는 관통공(미도시)이 천공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폼생성망(11)을 통과할 때, 물과 폼의 혼합약제가 거품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 거품이 불씨를 덮기 때문에 산소와 차단함으로써 재발화의 우려는 전혀 없게 된다. 또한, 거품인 관계로 감전사고의 우려를 줄일 수 있다.
지지부재(13)는 디플렉터(5)와 폼생성망(11) 사이에 배치되는 너트(14)와 이 너트(14)와 체결되어 폼생성망(11)을 지지하는 볼트(15)로 구성된다. 너트(14)의 일단은 용접 등에 의해 디플렉터(5)의 중심 예컨대 연결부(6)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너트(14)는 디플렉터(5)와 폼생성망(11) 사이에 간격 예컨대 10 mm 정도 띄우는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디플렉터(5)와 폼생성망(11)이 붙어 있는 곳으로는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와류생성노즐(17)이 노즐부(3)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와류생성노즐(17)에는 45도 각도의 와류생성공(17a)이 형성되어 있으면, 와류생성노즐(17)의 측면은 노즐부(3)와 같은 경사면으로 되어 있어 노즐부(3)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와류생성노즐(17)의 두께는 5 mm 정도를 가지며, 와류생성공(17a)은 혼합액의 흐름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가장 큰 직경으로 제작한다. 따라서, 혼합액을 회전시키거나 난동을 주어 혼합이나 확산을 더욱 증가시키는 와류생성노즐(17)을 통과하면서, 혼합액은 회오리를 치면서 노즐부(3)로 유입되기 때문에, 혼합액의 혼합효율이 증가되어 폼(거품)의 발포를 더욱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것은, 물에 세제를 타서 휘저으면 거품이 잘 일어나는 원리와 같다.
이와 같이, 각각 다른 방출 특성으로 가지는 물과 폼을 하나의 폼 스프링클러 헤드를 이용하여 지하 공동구와 같이 단면이 비교적 작은 경우에 만족스러운 화재 진압을 구현할 수 있고,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폼 스프링클러 헤드(10) 대신에 폼 헤드(일례로 일본 공개특허2002-291921호 공보 참조)가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폼 헤드 어셈블리(220)의 설치 위치에 대해 설명한다.
폼 헤드 어셈블리(220)의 위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 라이프 라인(Life-line) 시설 공간의 천장 중앙에서 케이블 방향으로 60도의 각도를 주어 양쪽 방향으로 2개를 설치하고, 측면에는 바닥에서 2/3, 1/3 높이에 케이블(270) 트레이(280)만큼 벽에서 띄어서 서로 엇갈리게 양쪽 벽면에 4개를 설치한다. 폼 헤드 어셈블리(220)의 개수는 2m ㅧ 2m ㅧ 2m 공간을 폼으로 채우는 시간에 따라 측면에 폼 헤드 어셈블리(220)의 설치를 추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폼소화약제를 통한 질식작용과 냉각작용으로 화재를 확실히 진압하면서 감전 등의 불상사를 억제시킬 수 있다.
한편, 폼방출의 소화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방화벽(26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방화벽(260)은 불길의 확산을 차단하는 기능도 하지만, 폼약제를 가두는 효과가 있어 케이블을 타고 화재가 번지는 것을 확실히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방화벽(260)은 300m 마다 있는 케이블(270) 접속부의 양쪽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지하공동구의 화재 전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화재 우려가 큰 공동구를 30~300m 단위로 각각의 구역을 분할하고, 그 분할된 구역의 경계부위(케이블 접속부)에 2개의 방화벽으로 구성한다. 이 방화벽이 구성된 공간 내에는 연결 살수식 소화기능을 그대로 가지면서, 물 공급 배관(230)과 폼 헤드 어셈블리(120)의 폼 방출식 소화시스템과 복합적으로 구성된 소화시스템을 설치하여, 지하공동구 화재시 일반화재와 유류화재에 상관없이 질식효과와 냉각효과를 통해 빠른 시간 내에 차단한다. 또한, 방화벽(260)과 폼 방출식 소화시스템과 연계하여 구성된 복합적인 화재진압시스템을 지하공동구 내부의 다수의 구간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구역별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일정한 구간에서 추가적인 화재 전파를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스프링클러 헤드는 개방형으로 설명하였으나 폐쇄형인 경우에도 구현될 수 있음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상에 배치되는 송수구, 지하공동구에 배치되는 복수의 폼 헤드, 송수구에 접속되는 배관, 지하공동구에 설치되는 폼소화약제저장탱크, 배관과 폼 헤드에 접속되어 폼소화약제저장탱크의 약제를 흡입 혼합하는 공기폼혼합기로 구성됨으로써, ①폼약제의 질식기능과 냉각기능을 기존 연결 살수 소화시스템에 적용하기 편리하고 2차 감전 등의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②벤추리작용에 의한 폼약제 흡입 혼합에 따른 폼약제량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③지상에 위치한 연결 송수구에 물만 공급하면 되므로, 진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지하공동구 내에 2개의 방화벽으로 일정한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그 자체로도 화재의 전파를 차단할 뿐 아니라 방출된 폼을 가두는 기능을 하여 케이블을 타고 화재가 전파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다.
셋째, 폼혼합부가 물에 유속을 발생시키는 제1벤추리에서 방사되는 물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어 폼약제를 흡입 혼합하는 제2벤추리와, 폼혼합부의 물유입구측에서 혼합액토출구측으로 관통하는 사이드물방출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이드물방출구에서 토출되는 물이 혼합액토출구로 토출되는 혼합액을 밀어주는 기능을 하여, ①제2벤추리에서의 부압 발생을 극대화시키고, ②토출 혼합액의 유량의 큰 변화에도 부압 발생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③서브-물유입구로서의 기능을 통해 제1벤추리의 메인-물유입구로의 기능을 원활하게 행하도록 하여, 제2벤추리에 물을 방사하여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의 유속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넷째, 폼헤드접속부에 공기유입관통구가 더 설치됨으로써, 물과 폼소화약제의 혼합액의 발포를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다섯째, ①기존 연결 살수 소화시스템의 스프링클러 헤드에 폼 헤드를 채택 결합함으로써, 기존 시설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폼소화시스템으로 간단히 전환시킬 수 있고, ②와류생성노즐이 노즐부에 더 장착됨으로써, 혼합액을 회전시키거나 난동을 주어 혼합이나 확산을 더욱 증가된 상태로 노즐부로 유입되기 때문에, 혼합액의 비율이 증가되어 폼(거품)의 생성을 보다 활발하게 형성시키고, ③디플렉터와 폼생성망 사이의 간격을 띄우는 너트의 구성이 채택 결합됨으로써, 물을 사용할 경우 디플렉터와 폼생성망이 서로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살수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폼생성망의 지지 기능도 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지하공동구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지하공동구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폼 헤드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와류생성노즐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프링클러 헤드 3 : 노즐부
5 : 디플렉터 6 : 연결부
7 : 프레임 10,10a,10b : 폼 스프링클러 헤드
11 : 폼생성망 13,13a : 지지부재
17,17b : 와류생성노즐 100 : 공기폼혼합기
110 : 배관접속부 130 : 폼헤드접속부
140 : 공기유입관통구 150 : 폼혼합부
151 : 제1벤추리 153 : 제2벤추리
155 : 사이드물방출구 200 : 폼소화시스템
210 : 송수구 220 : 폼 헤드 어셈블리
230 : 배관 250 : 폼소화약제저장탱크
260 : 방화벽 270 : 케이블
280 : 트레이

Claims (5)

  1. 지하공동구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폼소화시스템에 있어서,
    지상에 배치되는 송수구;
    상기 지하공동구에 배치되는 복수의 폼 헤드;
    상기 송수구에 접속되는 배관;
    상기 지하공동구에 설치되는 폼소화약제저장탱크;
    상기 배관과 상기 폼 헤드에 접속되어 상기 폼소화약제저장탱크의 약제를 흡입 혼합하는 공기폼혼합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공동구에 소정 간격마다 방화벽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폼혼합기는 배관접속부와, 폼헤드접속부와, 상기 배관접속부와 폼헤드접속부 사이에 개재되는 폼혼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폼혼합부는 물에 유속을 발생시키는 제1벤추리와, 상기 제1벤추리에서 방사되는 물에 의해 부압이 형성되어 폼약제를 흡입 혼합하는 제2벤추리와, 상기 폼혼합부의 물유입구측에서 혼합액토출구측으로 관통하는 사이드물방출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폼헤드접속부에 공기유입관통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폼 헤드는 상기 폼헤드접속부에 체결되는 노즐부, 디플렉터, 상기 노즐부와 상기 디플렉터를 연결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와, 상기 노즐부에 장착되는 와류생성노즐과, 원호단면의 폼생성망, 상기 폼생성망을 상기 디플렉터의 외주면을 감싼 채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 상에 지지시키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디플렉터의 중심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폼생성망의 중심 상에 배치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와 체결되어 상기 폼생성망을 지지하는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KR1020040026402A 2004-04-17 2004-04-17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KR100589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402A KR100589038B1 (ko) 2004-04-17 2004-04-17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402A KR100589038B1 (ko) 2004-04-17 2004-04-17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264A true KR20050101264A (ko) 2005-10-21
KR100589038B1 KR100589038B1 (ko) 2006-06-14

Family

ID=37279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402A KR100589038B1 (ko) 2004-04-17 2004-04-17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90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965B1 (ko) * 2005-12-02 2007-04-06 신화전자주식회사 광센서 선형 화재감지기 연결장치
KR101348998B1 (ko) * 2012-06-28 2014-02-03 김성우 벤투리 제연 스프링클러 및 연기 및 유독가스 제거 장치
US9700826B2 (en) 2011-12-27 2017-07-11 Sung Woo Kim Venturi sprinkler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oke generated by fire
KR20200037709A (ko) 2018-10-01 2020-04-09 한국전력공사 전력구 소화설비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CN112972942A (zh) * 2021-03-18 2021-06-18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电缆沟防火封堵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480B1 (ko) 2009-05-18 2009-08-17 협성개발(주)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 장치
KR101365674B1 (ko) 2013-10-25 2014-02-20 (주)선진이엔지 지하 전력구 또는 공동구내 케이블 방화장치
KR101944319B1 (ko) 2018-03-07 2019-01-31 탱크테크 주식회사 지하공간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KR102137814B1 (ko) 2019-09-09 2020-07-24 육상수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531A (ko) * 1998-06-01 2000-01-15 곽만훈 생선회 접시
JP3852918B2 (ja) * 2001-12-20 2006-12-06 能美防災株式会社 消火設備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965B1 (ko) * 2005-12-02 2007-04-06 신화전자주식회사 광센서 선형 화재감지기 연결장치
US9700826B2 (en) 2011-12-27 2017-07-11 Sung Woo Kim Venturi sprinkler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oke generated by fire
KR101348998B1 (ko) * 2012-06-28 2014-02-03 김성우 벤투리 제연 스프링클러 및 연기 및 유독가스 제거 장치
KR20200037709A (ko) 2018-10-01 2020-04-09 한국전력공사 전력구 소화설비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CN112972942A (zh) * 2021-03-18 2021-06-18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电缆沟防火封堵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9038B1 (ko) 200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58207B2 (en) Fixed systems and methods for extinguishing industrial tank fires, with and without fixed roof, including aerated foam projecting nozzles and center directed nozzles
US20140338927A1 (en) Modular, permanently installed tunnel fire protection system
KR100589038B1 (ko)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RU26576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их огнетушащих веществ на высоту
KR101700211B1 (ko) 정역회전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EP1192973A1 (en) Usmanov&#39;s protection enclosure
KR101365674B1 (ko) 지하 전력구 또는 공동구내 케이블 방화장치
KR101331616B1 (ko) 산불방지용 수막타워
US20170021211A1 (en) Ambient Mist Sprinkler Head
KR100912480B1 (ko)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 장치
CN209900480U (zh) 一种适用于地下车库的消防系统
Kim et al. Application of a Newly-developed compressed-air-foam fire suppression system
KR100907495B1 (ko) 소방 방재용 혼합물 및 혼합 살수장치가 포함된 살수 소방차
KR102312750B1 (ko)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RU2721355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на крупных резервуарах с легковоспламеняющимися и горючими жидкостям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im et al. A comparison of the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of compressed-air foam and foam-water sprinkler systems for Class B hazards
KR100589037B1 (ko) 공기폼혼합기와 이를 채택한 폼 헤드 어셈블리
KR102630703B1 (ko) 수벽 노즐장치
KR200297747Y1 (ko) 다선출력 화재감지기 및 포소화약제를 이용한 구역차단식지하공동구 화재진압시스템
US7748469B1 (en) Firefighting system
JPH01151468A (ja) 泡消火器
JP3094704U (ja) 消火装置及び消火装置用放水部材
RU2226415C2 (ru) Способ локального объем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641450C1 (ru) Пожарный ствол
Menon et al. Handbook on Building Fire C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