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7814B1 -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7814B1
KR102137814B1 KR1020190111221A KR20190111221A KR102137814B1 KR 102137814 B1 KR102137814 B1 KR 102137814B1 KR 1020190111221 A KR1020190111221 A KR 1020190111221A KR 20190111221 A KR20190111221 A KR 20190111221A KR 102137814 B1 KR102137814 B1 KR 102137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module
tube
extinguishing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상수
Original Assignee
육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육상수 filed Critical 육상수
Priority to KR1020190111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78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공동구 내 화재발생시 화재위치를 검출하고, 이를 자동으로 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동구 내 화재발생시 이를 무전원모드로 감지함과 동시에 열감지튜브가 파열됨으로써 소화약제가 배출되어 자동으로 소화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이 어려운 공동구 내에 복수개로 나뉘어 설치됨으로써 화재발생시 근접한 복수개의 iot모듈을 거쳐 화재발생신호를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화재발생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화재발생률이 높은 곳에도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화재발생현장과 인접한 위치에도 화재발생을 안내하여 전력을 미리 차단해 화재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진압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FIRE LOCATION DETECTION AN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N UNDERGROUND COMMON DUCT}
본 발명은 지하공동구 내 화재발생시 화재위치를 검출하고, 이를 자동으로 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동구 내 화재발생시 이를 무전원모드로 감지함과 동시에 열감지튜브가 파열됨으로써 소화약제가 배출되어 자동으로 소화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이 어려운 공동구 내에 복수개로 나뉘어 설치됨으로써 화재발생시 근접한 복수개의 iot모듈을 거쳐 화재발생신호를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화재발생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화재발생률이 높은 곳에도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화재발생현장과 인접한 위치에도 화재발생을 안내하여 전력을 미리 차단해 화재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진압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구란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설비, 하수도시설 등 지하매설물을 공동으로 수용함으로써 미관의 개선, 도로구조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을 뜻한다.
이러한 공동구는 수용된 전기시설 또는 가스시설들을 통해 화재발생의 우려가 존재하고, 공동구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국민의 안전에 직접 심각한 피해를 야기하며, 화재발생 공동구 주변의 인프라를 마비시켜 절전, 통신두절, 단수와 같은 2차적인 피해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공동구의 내부는 좁고 폐쇄적이기 때문에 화재를 파악하더라도 사람의 접근이 어렵고, 작은 화재라도 급속하게 유독가스가 발생하며, 배연이 안되기 때문에 일반 소화기로는 화재를 진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지하 공동구는 초기부터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며, 공기의 흐름이 없기 때문에 불꽃이 보이지 않는 상태로 타들어가는 훈소(燻燒) 상태로 연소가 진행되기 때문에 기존의 불꽃 등을 감지하는 화재감지기로는 화재감지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을 위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9038호에는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은 지상에는 송수구가 설치되고 지하 공동구로는 폼 헤드 어셈블리와 폼소화약제저장탱크가 설치되며 상기 송수구와 폼 헤드 어셈블리는 배관으로 연결되되 상기 배관의 일측으로는 폼소화약제저장탱크의 약제를 흡입 혼합하는 공기폼혼합기로 구성되는 폼소화설비에 관한 것으로, 폼약제의 질식기능과 냉각기능을 기존 연결 살수 소화시스템에 적용하기 편리하고 2차 감전 등의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벤추리작용에 의한 폼약제 흡입 혼합에 따른 폼약제량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에 위치한 연결 송수구에 물만 공급하면 되므로, 진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할 수 없고, 화재발생시 폼소화시스템으로 화재를 진압하기 때문에 폼 형식의 소화약제는 배출 후 화재위치를 벗어나 공동구 내 잔류하기 때문에 케이블 등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공동구 내 환경이 더러워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화재위치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관리자나 외부 소방관이 화재현장을 파악하기 어렵고, 화재발생을 별도로 안내해주지 않아 후처리 작업에도 시간이 걸린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더 나아가 주로 공동구 내 화재가 발생되는 위치는 케이블 간의 접속부나 배전반 등이 되는데 이러한 화재발생률이 높은 위치는 다른 위치에 비해 긴밀하게 화재감지가 되어야 할 필요가 있어 이러한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89038호 (2006.06.14.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소화약제가 내장된 열감지튜브에 의해 화재감지가 빨라 화재 초기진압이 가능하고, 열감지튜브의 상태변화감지를 통한 화재위치를 검출하여 이를 외부로 빠르게 안내할 수 있는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무선통신이 어려운 공동구 내에 복수개로 나뉘어 설치됨으로써 화재발생시 근접한 복수개의 iot모듈을 거쳐 화재발생신호를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화재발생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화재발생률이 높은 곳에도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화재발생현장과 인접한 위치에도 화재발생을 안내하여 전력을 미리 차단해 화재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진압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하공동구 내 화재발생시 화재위치를 검출하고, 이를 자동으로 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지하공동구 내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고, 이를 진압하며, 감지값을 외부로 전달하는 소화부 및 지상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부로부터 받은 감지값을 외부의 관제서버로 전달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며, 상기 소화부를 관리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소화부는 열에 의해 파열되어 내장된 소화약제가 화재장소로 제공되는 튜브소화모듈 및 상기 튜브소화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튜브소화모듈의 파열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감지한 감지값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iot모듈로 구성된다.
또한, 소화부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공동구 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공동구 내부를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소화부는 하나의 소화부가 화재 감지시 상기 iot모듈을 통해 상기 감지값을 다른 소화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한다.
또한, 소화부는 화재감지모듈을 추가로 구성하고, 상기 화재감지모듈은 상기 튜브소화모듈의 열을 직접 감지하는 제1 감지유닛 및 상기 튜브소화모듈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튜브소화모듈의 파열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는 제2 감지유닛으로 구성된다.
또한, 튜브소화모듈은 열을 감지하고, 고열에 의해 파열되는 열감지튜브와, 상기 열감지튜브의 일단과 연결되며, 소화약제를 내장하고, 상기 소화약제를 상기 열감지튜브로 제공하는 소화기 및 상기 열감지튜브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열감지튜브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열감지튜브가 파열되어 내부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시 작동되는 압력스위치로 구성된다.
또한, iot모듈은 상기 튜브소화모듈을 감지 및 제어하는 모듈제어유닛 및 다른 상기 소화부의 iot모듈과 직접 통신하여 상기 튜브소화모듈의 상태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유닛으로 구성된다.
이때, iot모듈은 다른 상기 iot모듈과의 통신 방법으로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외부로 디스플레이되어 관리자에게 공동구 내 화재를 안내하는 알림모듈과, 상기 공동구와 연결된 배전반을 관리하는 관리모듈 및 상기 소화부로부터 받은 감지값을 외부의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서버통신모듈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은 소화약제가 내장된 열감지튜브에 의해 화재감지가 빨라 화재 초기진압이 가능하고, 열감지튜브의 상태변화감지를 통한 화재위치를 검출하여 이를 외부로 빠르게 안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이 어려운 공동구 내에 복수개로 나뉘어 설치됨으로써 화재발생시 근접한 복수개의 iot모듈을 거쳐 화재발생신호를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화재발생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화재발생률이 높은 곳에도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화재발생현장과 인접한 위치에도 화재발생을 안내하여 전력을 미리 차단해 화재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진압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의 설치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의 구성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열감지튜브의 설치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인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첨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의 설치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의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의 구성도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열감지튜브의 설치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공동구 내 화재발생시 화재위치를 검출하고, 이를 자동으로 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은 공동구(1) 내 설치되어 공동구(1) 내 화재를 감지 및 진압하며, 감지값을 외부로 전달하는 소화부(100)와, 상기 소화부(100)로부터 받은 감지값을 관제서버(2)로 전달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며, 상기 소화부(100)를 관리하는 제어부(200)로 구성된다.
소화부(100)는 공동구(1) 내 화재발생이 일어날 우려가 있는 케이블측에 구비되어 화재발생을 감지 및 직접소화하는 튜브소화모듈(110) 및 상기 튜브소화모듈(110)을 통해 화재발생을 감지하고, 이를 외부로 알리는 iot모듈(120)로 구성된다.
먼저, 튜브소화모듈(110)은 열감지튜브(111), 소화기(112) 및 압력스위치(113)로 구성된다.
열감지튜브(111)는 내부에 소화약제와 상기 열감지튜브(111)가 파열시 파열된 부분으로 소화약제를 빠르게 배출할 수 있는 고압기체로 충전되어진다.
이러한 열감지튜브(111)는 일정온도 이상의 열을 받게 되면 파열되는 것으로, 화재 발생을 열감지튜브(111)를 통해 감지하고, 파열된 부분으로 소화약제를 주변으로 배출하면서 공동구(1) 내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력과 같은 별도의 동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무전원 모드에서도 자동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어 화재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열감지튜브(111)의 일단은 소화약제를 제공하는 소화기(112)와 연결되고, 타단은 열감지튜브(111) 내 압력변화에 따라 작동되는 압력스위치(113)가 구비된다. 따라서, 화재로 인해 파열된 열감지튜브(111)는 소화약제 배출을 통한 화재진압과 동시에 열감지튜브(111) 내 압력변화로 인한 압력스위치(113)가 작동되고 iot모듈(120)로 스위치신호가 전달되어 화재발생을 감지 및 안내하게 된다.
한편, 열감지튜브(111)는 공동구(1)의 내부 길이에 따라 알맞게 복수 개로 나뉘어져 설치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약 50m의 길이 정도로 직선형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개별적으로 튜브소화모듈(110)이 설치되어야 할 공간, 즉 접속부(1a), 배전반(1b) 등에는 접속부(1a) 또는 배전반(1b) 등의 공간에 알맞은 길이의 열감지튜브(111)를 갖도록 한다.
열감지튜브(111) 내 내장되는 소화약제는 주로 전선의 접속부쪽에 발생되는 화재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비절연성, 비전도성을 갖는 소화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화 후 소화약제가 공동구 내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친환경 청정약제를 사용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소화약제로는 할로겐화합물 청정소화약제인 'FK-5-1-12(화학식
Figure 112019092388240-pat00001
)'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는 칼륨 등이 함유된 소화약제를 사용할 경우 소화약제에 전도성이 있어 전선에 남아있는 약한 전류로도 화재가 재발생되거나 전선에 안좋은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으며, 폼(foam) 타입의 소화약제를 사용할 경우 소화약제가 화재발생위치를 벗어나 주변까지 흘러들어갈 수 있어 공동구(1) 내 설비를 부식시키거나 공동구(1) 내 환경을 어지럽힌다는 단점이 존재하기에 친환경 소화약제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소화기(112)는 이러한 소화약제가 충전되어 있는 것으로, 열감지튜브(111)가 파열되면 충분히 소화약제를 배출할 수 있도록 대용량으로 제작된 소화기(112)를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도 4와 같이 공동구(1) 내 전력구나 통신구(이하, 와이어)가 다층 또는 양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열감지튜브(111)는 설치되는 공동구(1) 내 환경과 대응되도록 다층으로 구비되거나, 양측 모두 화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거나(도 4의 (A) 참조), 복수 개의 와이어가 구비될 경우 이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 개의 열감지튜브(111)를 와이어마다 각각 인접하게 구비하도록 한다. 따라서, 열감지튜브(111)를 상술된 내용과 같이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구간에 구비된 다수의 전력구 및 통신구를 함께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압력스위치(113)는 iot모듈(120)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압력스위치(113)의 작동상태가 iot모듈(120)로 전달되어지며, 이때, iot모듈(120)은 압력스위치(113)의 작동신호를 받아 주변 iot모듈(120)로 화재발생신호를 전달하여 제어부(200) 및 관리자가 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화재발생신호가 처음 발생되는 iot모듈(120)을 파악하여 화재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주변 iot모듈(120)로 안내하여 화재발생위치의 주변 iot모듈(120)과 연결된다.
iot모듈(120)은 튜브소화모듈(110)과 연결되어 화재발생을 감지하고, 이를 외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iot모듈(120)은 모듈제어유닛(121) 및 통신유닛(122)으로 구성된다.
먼저, 모듈제어유닛(121)은 튜브소화모듈(110)을 제어하는 것으로, 압력스위치(113)의 신호를 받고 이를 통해 iot모듈(120)의 작동 및 통신상태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모듈제어유닛(121)은 튜브소화모듈(110)을 감지하고, 사용에 따라 소화기(112)의 작동 등을 on/off 시킬 수 있다.
통신유닛(122)은 공동구(1) 내부를 따라 구비되는 iot모듈(120)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모듈제어유닛(121)으로부터 감지된 튜브소화모듈(110)의 상태를 다른 iot모듈(120) 및 제어부(200)로 전달함으로써 화재발생여부를 관리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때, 통신유닛(122)을 통해 iot모듈(120)간의 통신방법으로는 무선통신 중 하나인 지그비(ZigBee) 통신 방법을 사용하도록 한다.
지그비 통신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저전력으로도 구동되어지기 때문에 별도로 구비된 배터리 등을 통해 장기간 구동이 가능하고, 상호호환성이 높으며, 사용 조건의 제약이 없기 때문에 각각의 iot모듈(120)간의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저비용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지그비 통신은 단거리 무선통신을 지향하는 편인데 이는 일정간격마다 설치되어야 하는 iot모듈(120)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iot모듈(120) 간에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은 화재발생시 근원지와 인접한 다른 iot모듈(120)에도 불이 붙을 우려가 존재하는데, 이때 iot모듈(120)간에 유선으로 연결될 경우 연결된 케이블을 타고 화재가 번져 다량의 iot모듈(12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iot모듈(120)은 압력스위치(113)와 전선 등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해 iot모듈(120)이 화재로 손실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iot모듈(120)은 블랙박스 타입으로 제작함으로써 내화, 내열, 방폭 기능을 갖게 설계제작되도록 한다.
따라서, 소형 화재로 인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대형 화재 발생시 전원 및 통신이 끊어지면 저절로 차단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다른 소화부(100) 구성으로 화재를 전달하지 않아 화재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부(100)는 튜브소화모듈(110)을 통해 무전원모드에도 소화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단순 시설노화 등으로 인해 열감지튜브(111)가 파열되거나 충전가스 누출 등으로 열감지튜브(111) 내 압력이 점차 감소하는 등의 상황으로 압력스위치(113)가 작동될 경우 화재발생으로 판단하여 오작동, 오판단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모듈(130)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화재감지모듈(130)은 감지유닛의 종류에 따라 제1 감지유닛(131) 및 제2 감지유닛(132)으로 구성된다.
제1 감지유닛(131)은 열감지튜브(111)의 열을 파악할 수 있는 온도센서로 열감지튜브(111)의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감지유닛(132)은 열감지튜브(111) 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로 화재발생으로 인해 열감지튜브(111)가 파열되는 경우는 급격하게 압력이 변화되기 때문에 화재발생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열감지튜브(111)의 미세한 누출 등으로 인해 서서히 열감지튜브(111) 내 압력이 감소하는 경우는 화재발생으로 인한 압력감소가 아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압력변화는 제2 감지유닛(132)이 감지하여 화재발생으로 오판단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iot모듈(120)에는 감지모듈제어유닛(121)을 추가로 형성하여, 상술된 화재감지모듈(130)의 감지값을 받아 이를 화재발생 또는 시설노화로 인한 환경변화로 판단하여 이를 통신유닛(122)을 통해 외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감지모듈제어유닛(121)은 화재감지모듈(130)의 구동상태, 화재감지모듈(130)의 감지값을 통한 화재판단여부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부(100)는 공동구(1) 내부를 따라 하나의 소화부(100)를 가질 수 있으나 열감지튜브(111)의 충진압력 및 튜브길이 등으로 인해 공동구(1) 내부를 따라 하나의 열감지튜브(111)로 구성되기는 어려우며, 이를 통해 공동구 내 화재발생을 긴밀하게 감지하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열감지튜브(111)는 일정한 길이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열감지튜브(111)의 길이에 따라 소화부(100)는 공동구(1) 내부를 따라 복수 개로 설치된다.
상술된 소화부(100)는 공동구(1) 내부를 따라 설치되되, 화재발생 가능성이 높은 접속부(1a)나, 주요 설비가 구비되는 배전반(1b) 등에는 각각 소화부(100)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빠른 화재 초기진압을 수행하고, 화재발생위험도가 높거나 빠른 진압이 필요하며 별도의 관리가 필요한 구역에는 구역별로 하나의 소화부(100)가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일반 전선 등의 케이블이 연장되어 구비되는 공동구(1)에는 일정간격마다 소화부(100)가 설치되도록 하여 소화부(100)가 효율적으로 설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소화부(100)를 통해 관제서버(2)는 화재 장소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되는 소화부(100)는 정전이 되어도 자동으로 소화가 가능하고, 하나의 소화부(100)가 화재 등으로 정전이 되더라도 인접한 iot모듈(120)로 화재신호가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화재로 인해 하나의 소화부(100)가 손상되더라도 인접한 다른 소화부(100)로 각각 화재신호를 통신하여 제어부(200)가 동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제어부(200)는 지면에 구비되어 공동구(1) 내 복수개의 iot모듈(120)을 거쳐 받은 화재발생신호를 외부로 안내하고, 이에 따라 연결된 배전반(1b)의 구동을 on/off하여 화재발생시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화재발생이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00)는 알림모듈(210), 관리모듈(220), 서버통신모듈(230)로 구성된다.
알림모듈(210)은 제어부(200)의 외관에 구비되어 디스플레이 창을 별도로 구비하여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거나, 스피커 등을 통해 경고음 등으로 알림을 출력하여 공동구(1) 내 화재가 발생됨을 인근 관리자에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모듈(220)은 iot모듈(120)과 연결된 배전반(1b)의 구동상태, 구동모드 등을 변경 및 제어하여 화재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통신모듈(230)은 제어부(200)와 연결된 별도의 관제서버(2) 등으로 화재발생여부 등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연결되는 관제서버(2)는 관제센터나 화재발생된 공동구(1)와 인접한 관할소방서 등과 연동되어 화재발생시 화재가 발생된 지하공동구의 제어부(200)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받는다.
따라서, 상술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인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은 화재위치를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동구 내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이를 감지하고, 열감지튜브가 파열됨으로써 소화약제가 배출되어 자동으로 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무선통신이 어려운 공동구 내에 복수개로 나뉘어 설치됨으로써 화재발생시 근접한 복수개의 iot모듈을 거쳐 화재발생신호를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화재발생신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화재발생위치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고, 화재발생률이 높은 곳에도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며, 화재발생현장과 인접한 위치에도 화재발생을 안내하여 전력을 미리 차단해 화재가 대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진압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4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4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공동구 1a: 접속부
1b: 배전반 2: 관제서버
100: 소화부 110: 튜브소화모듈
111: 열감지튜브 112: 소화기
113: 압력스위치 120: iot모듈
121: 모듈제어유닛 122: 통신유닛
123: 감지모듈제어유닛 130: 화재감지모듈
131: 제1 감지유닛 132: 제2 감지유닛
200: 제어부 210: 알림모듈
220: 관리모듈 230: 서버통신모듈

Claims (8)

  1. 지하공동구 내 화재발생시 화재위치를 검출하고, 이를 자동으로 소화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로 구성되며, 지하공동구 내부를 따라 일정간격 설치되되, 화재발생률이 높은 곳에 개별적으로도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고, 이를 진압하며, 감지값을 외부로 전달하는 소화부; 및
    상기 소화부를 관리하며, 지상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부로부터 받은 감지값을 외부의 관제서버로 화재발생신호를 전달하고, 이를 관리자에게 알리며, 연결된 배전반의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소화부는,
    열에 의해 파열되어 내장된 소화약제가 화재장소로 제공되는 튜브소화모듈; 및 상기 튜브소화모듈과 연동되어 상기 튜브소화모듈의 파열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감지한 감지값을 제어부로 전달하는 iot모듈;로 구성되고,
    복수개의 상기 소화부는 하나의 소화부가 화재 감지시 상기 iot모듈을 통해 상기 감지값을 다른 소화부로 전달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며,
    상기 튜브소화모듈은
    열을 감지하고, 고열에 의해 파열되는 열감지튜브;
    상기 열감지튜브의 일단과 연결되며, 소화약제를 내장하고, 상기 소화약제를 상기 열감지튜브로 제공하는 소화기; 및
    상기 열감지튜브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열감지튜브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고, 상기 열감지튜브가 파열되어 내부 압력이 급격하게 변화시 작동되는 압력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열감지튜브는 하나의 상기 소화부에 위치한 상기 지하공동구 내 전선과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전선과 인접하여 설치되어 다수개의 상기 전선을 함께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는 화재감지모듈;을 추가로 구성하고,
    상기 화재감지모듈은
    상기 튜브소화모듈의 열을 직접 감지하는 제1 감지유닛; 및
    상기 튜브소화모듈의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튜브소화모듈의 파열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는 제2 감지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ot모듈은
    상기 튜브소화모듈을 감지 및 제어하는 모듈제어유닛; 및
    다른 상기 소화부의 iot모듈과 직접 통신하여 상기 튜브소화모듈의 상태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통신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ot모듈은 다른 상기 iot모듈과의 통신 방법으로 지그비 통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로 디스플레이되어 관리자에게 공동구 내 화재를 안내하는 알림모듈;
    상기 공동구와 연결된 배전반을 관리하는 관리모듈; 및
    상기 소화부로부터 받은 감지값을 외부의 관제서버로 전송하는 서버통신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KR1020190111221A 2019-09-09 2019-09-09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KR102137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21A KR102137814B1 (ko) 2019-09-09 2019-09-09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221A KR102137814B1 (ko) 2019-09-09 2019-09-09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814B1 true KR102137814B1 (ko) 2020-07-24

Family

ID=7189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221A KR102137814B1 (ko) 2019-09-09 2019-09-09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78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087B1 (ko) 2021-09-29 2022-03-02 (주)캐스트윈 지하공동구 위치파악 방법 및 시스템
KR102403275B1 (ko) 2021-08-17 2022-05-3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용 지하 공동구 화재진압 및 전기시설보호설비
KR20220076813A (ko) 2020-12-01 2022-06-08 (주)청보 지하 공동구 내에서의 자동 화재 진압 장치
KR102465278B1 (ko) 2022-07-22 2022-11-10 (주)대성종합기술단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진압 소방구조물
KR102571452B1 (ko) 2022-10-17 2023-08-28 (주) 한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534A (ko) * 2004-02-10 2004-04-01 정재묵 선형 화재감지튜브 및 무전원 자동 소화시스템
KR100589038B1 (ko) 2004-04-17 2006-06-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KR101294798B1 (ko) * 2013-04-29 2013-08-08 박순섭 지상배전함에 대한 지중전선 커넥터
KR101669940B1 (ko) * 2015-08-20 2016-10-27 박세용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소화기 위치 알림 거치대
KR20180133103A (ko) * 2017-06-05 2018-12-13 김병열 사물인터넷 기반의 캡슐형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534A (ko) * 2004-02-10 2004-04-01 정재묵 선형 화재감지튜브 및 무전원 자동 소화시스템
KR100589038B1 (ko) 2004-04-17 2006-06-1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KR101294798B1 (ko) * 2013-04-29 2013-08-08 박순섭 지상배전함에 대한 지중전선 커넥터
KR101669940B1 (ko) * 2015-08-20 2016-10-27 박세용 전자식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소화기 위치 알림 거치대
KR20180133103A (ko) * 2017-06-05 2018-12-13 김병열 사물인터넷 기반의 캡슐형 소화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813A (ko) 2020-12-01 2022-06-08 (주)청보 지하 공동구 내에서의 자동 화재 진압 장치
KR102403275B1 (ko) 2021-08-17 2022-05-30 (주)케이제이종합감리 공동주택용 지하 공동구 화재진압 및 전기시설보호설비
KR102369087B1 (ko) 2021-09-29 2022-03-02 (주)캐스트윈 지하공동구 위치파악 방법 및 시스템
KR102465278B1 (ko) 2022-07-22 2022-11-10 (주)대성종합기술단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진압 소방구조물
KR102571452B1 (ko) 2022-10-17 2023-08-28 (주) 한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7814B1 (ko) 공동구 내 화재위치 검출 및 자동소화 시스템
KR101725774B1 (ko)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KR101792766B1 (ko) 스마트 화재 감지 장치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KR101647990B1 (ko) 화재 진화용 소방장치를 구비한 장대터널
KR101853631B1 (ko) 다중감시 및 선택 진화기능을 가진 자동소화장치
MXPA04008791A (es) Sistema de seguridad.
KR1018513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경보 장치
KR101853291B1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KR101704409B1 (ko) 공동주택의 스프링클러 소방용수 공급장치
KR102173033B1 (ko) 주거용 주방소화 시스템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1880756B1 (ko)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안전 전원공급장치
JP2016120035A (ja) ガス系消火設備
KR102008618B1 (ko) 소방설비의 선로저항측정기
JP5911143B2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KR20130059248A (ko) 자동 소화 시스템
KR20170000100A (ko) 다중영역 관리용 소화시스템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KR101828028B1 (ko) 불연가스인 질소가스 또는 ig-541를 사용하는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1750933B1 (ko) 공동주택의 소방감지와 소방서 자동신고시스템
CN113012382A (zh) 一种古建筑防火预警装置及系统
CN102462919A (zh) 一种自动灭火系统
KR102190155B1 (ko) 소화약제 연장 방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