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750B1 -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750B1
KR102312750B1 KR1020190174839A KR20190174839A KR102312750B1 KR 102312750 B1 KR102312750 B1 KR 102312750B1 KR 1020190174839 A KR1020190174839 A KR 1020190174839A KR 20190174839 A KR20190174839 A KR 20190174839A KR 102312750 B1 KR102312750 B1 KR 102312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m
storage tank
film generating
generating device
mobil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2666A (ko
Inventor
김한기
황인영
이완호
Original Assignee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국가스공사
Priority to KR102019017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750B1/ko
Publication of KR2021008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2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annular, tubular or hollow con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B05B17/085Fountains designed to produce sheets or curtains of liquid, e.g. water wa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불과 같은 화재 발생 지역에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 지역 인근의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는 지면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는 평면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마련되며 수막 형성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의 벽에 마련되며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저장 탱크의 벽에 마련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저장 탱크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MOVABLE APPARATUS FOR GENERATING WATER CURTAIN}
본 발명은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불과 같은 화재 발생 지역에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 지역 인근의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비에 적용되는 소방관계법령의 소방시설은 크기 및 용도에 따라 소화전설비, 분말소화설비, 살수설비, FM200, CO2설비 등 화재진압용 소화설비를 반드시 법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법적 소화설비들은 화재가 발생할 시 자체 진화용으로 개발되고 운영중이다.
LNG 등과 같이 가연성 물질을 다루는 설비가 산간지역 또는 야산 인근 지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산간지역 또는 야산에 산불 발생 시 LNG 탱크로리 출하설비 등이 산불에 직접 노출되지 않더라도 화재지역으로부터 복사열 또는 불씨 등을 전달받아 추가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산간지역 또는 야산 인근 지역이 아니라도 화재는 발생할 수 있으며, 화재로부터 설비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필요하다.
상기 안전장치 중 하나로 화재지역에서 발생하는 열이 설비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막 생성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수막의 경우 열의 전달을 차단뿐만 아니라, 불꽃 등과 같은 불씨 또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설비 인근에 수막 생성 장치가 마련될 경우 안정적으로 설비 운영할 수 있다.
하지만, 수막 생성 장치가 고정 구조물로서 마련될 경우 유동적인 화재 사고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체하기 어려울뿐더러, 야외에 설치되는 수막 생성 장치의 유지 보수에 대한 비용 또한 무시할 수 없다. 또한, 설치공간의 협소 등의 이유로 적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불과 같은 화재 발생 지역에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여, 화재 발생 지역 인근의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는 지면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는 평면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마련되며 수막 형성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의 벽에 마련되며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저장 탱크의 벽에 마련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저장 탱크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에서 상기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저장 탱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저장 탱크의 단면은 반원이며, 상기 노즐은 상기 반원의 지름 방향으로 상기 저장 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장 탱크 외부로 분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에서 상기 노즐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반원의 원호 상에서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반원의 중심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가상의 평면을 제1 가상면이라 할 때, 상기 노즐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반원의 원호 상에서 상기 제1 가상면을 기준으로 면대칭의 위치에 배열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에서 상기 노즐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의 일부는 제1 지점에서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상기 저장 탱크의 벽이 형성하는 원호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제2 지점에서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상기 저장 탱크의 벽이 형성하는 원호를 따라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상기 노즐에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 구멍은 출구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에서 상기 저장 탱크 및 상기 노즐의 재질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은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중 하나를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라 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중 다른 하나를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라 할 때, 상기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저장 탱크의 벽에는 상기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로 물을 전달하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주입구는 상기 제1 방향 상에서 상기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저장 탱크의 일측 벽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배출구는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저장 탱크의 양측 벽에 각각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주입구는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저장 탱크의 일측 벽에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상기 저장 탱크의 상기 제1 방향 상에서 타측 벽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는 화재 발생지역에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로, 유동적인 화재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고, 유지보수 비용이 최소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는 산불 및 인접설비의 화재로부터의 보호 대상 설비를 보호할 수 있으며, 고정 구조물의 수막 생성 장치의 설치가 어려운 장소에 적용하여, 화재로부터 수막(Water-Curtain)을 형성하여 열기 및 화염 등을 차단함으로써 화재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 대상 설비 자체의 화재도 일부 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정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저장 탱크 상에서 노즐의 위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다른 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유의하여야 할 점은 용어 "중심",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내측", "외측", “일면”, “타면” 등이 지시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서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 관계, 또는 평소에 본 발명 제품을 사용할 시 배치하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에 기초한 것이고, 본 발명의 설명과 간략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표시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고 특정된 방위로 구성되거나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제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의 정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저장 탱크(100) 상에서 노즐(300)의 위치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의 측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의 다른 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B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 및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좌표의 X 축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며, Y 축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는 지면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는 평면의 베이스 플레이트(200),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마련되며 수막 형성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100), 저장 탱크(100)의 벽에 마련되며 저장 탱크(100)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는 노즐(300), 및 저장 탱크(100)의 벽에 마련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저장 탱크(100)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1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평판의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내부식성의 재질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200)는 저면이 지면과 밀착되어 지지되어, 베이스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위치하는 저장 탱크(100) 벽에 위치하는 노즐(300)에서 물을 분사할 때,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가 분사압에 의해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할 때, 저장 탱크(100)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저장 탱크(100)의 단면은 반원일 수 있다.
저장 탱크(100)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마찬가지로 내부식성의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 탱크(100)는 반원통 형상으로 일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오목부가 베이스 플레이트(200)와 대면하도록 결합하여, 물이 저장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형성할 수 할 수 있다. 즉, 저장 탱크(100)는 반원통이 베이트 플레이트에 누워있는 형상일 수 있다.
저장 탱크(100)의 내경은 100 mm 내지 200 mm로 형성되며, 저장 탱크(100)의 벽의 두께는 2 mm 내지 10 m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탱크(100)의 내경은 150 mm 로 형성되며, 저장 탱크(100)의 벽의 두께는 5 mm 일 수 있다.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는 10 kg 이하의 중량으로 마련되어, 휴대성을 우수하며, 화재 발생시 신속하여 필요지역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300)은 저장 탱크(100)의 단면이 형성하는 반원의 지름 방향으로 저장 탱크(1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저장 탱크(100)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노즐(300)은 복수로 마련되며, 복수의 노즐(300)은 반원의 원호 상에서 등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에 수직하고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하고, 제2 방향 상에서 반원의 중심을 포함하고 제2 방향과 수직한 가상의 평면을 제1 가상면 S 라 할 때, 복수의 노즐(300)은 반원의 원호 상에서 제1 가상면 S를 기준으로 면대칭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점 P의 위치에 노즐(300)이 마련될 경우 제1 가상면 S를 기준으로 점 P의 면대칭의 위치인 점 P'의 위치에도 노즐(30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노즐(300)이 저장 탱크(100)에 배치됨으로써, 노즐(300)에서 분사되는 수압에 의해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가 본래의 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는 노즐(300)로부터 약 5 mm의 거리 물이 분사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노즐(300)에서는 고압의 물이 분사될 수 있고, 노즐(300)이 저장 탱크(100)의 일측에 치우쳐 배치될 경우, 노즐(300)에서 분사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이동 수막 생성 장치가 본래의 위치를 이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는 복수의 노즐(300)에서 분사되는 물의 방향을 고려하여, 각 노즐(300)의 물의 분사에 의한 수압을 상쇄시켜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가 초기 설치된 고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노즐(300)의 일부는 제1 지점 P1에서의 제1 방향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저장 탱크(100)의 벽이 형성하는 원호를 따라 배치되고, 복수의 노즐(300)의 나머지 일부는 제1 지점 P1에서 제1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제2 지점 P2에서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저장 탱크(100)의 벽이 형성하는 원호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300)을 9개로 마련되며, 제1 지점 P1에서의 원호에 5개가 마련되고, 제2 지점 P2에서의 원호에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점 P1에서의 원호와 제2 지점 P2에서의 원호를 제1 방향으로 중첩시켜 바라볼때, 9개의 노즐(300)은 원호 상에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300)은 내부에 저장 탱크(100)의 단면이 형성하는 반원의 지름 방향으로 유로(310)를 형성하고, 유로(310)의 일단부에 저장 탱크(100)의 물이 유로(310)로 유입되는 유입 구멍과, 유로(310)의 타단부에 유로(310)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 구멍(330)이 마련될 수 있다.
노즐(300) 내부에 마련되는 유로(310)의 내경은 약 4 mm 이며, 노즐(300)에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 구멍(330)은 출구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분사 구멍(33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25도 내지 35도, 예를 들어 약 30도의 폭을 가지며 분사될 수 있다. 노즐(300)에서 분사되는 물은 노즐(300)로부터 약 5 m 정도 분사된 후 인접 노즐(300)에서 분사되는 물과 중첩되어야 한다. 따라서, 노즐(300)에서 분사되는 물은 약 30도의 폭을 가지고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노즐(300)의 재질 또한 내부식성의 재질로 마련되며,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시스템은 복수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시스템에서 복수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는 제2 방향으로 3 mm 내지 6 mm, 예를 들어, 5 mm 의 거리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시스템은 예를 들어 3개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를 포함할 수 있고, 3개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는 약 5 mm 거리로 서로 이격되어 약 10 mm 폭의 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 중 하나를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라 하고, 복수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 중 다른 하나를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b)라 할 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의 저장 탱크(100)의 벽에는 상기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b)로 물을 전달하기 위한 배출구(1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는 수막 생성을 위한 물을 소화전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의 주입구(110)에는 소화전의 호스가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가 마련되고, 모든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에 직접 소화전의 호스를 연결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은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에는 소화전의 호스를 직접 연결하여 물을 공급하고,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b)에는 소화전의 호스가 연결된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는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b)로 물을 전달하기 위한 배출구(12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는 소화전의 물을 직접 공급받고,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b)는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 및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b)는 제1 방향 상에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야 효과적으로 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의 주입구(110)는 제1 방향 상에서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의 저장 탱크(100)의 일측 벽에 마련되고,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의 배출구(120)는 제2 방향 상에서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의 저장 탱크(100)의 양측 벽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와 대응되도록,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b)의 주입구(110)는 제2 방향 상에서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b)의 저장 탱크(100)의 일측 벽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의 주입구(110)의 구경은 배출구(120)의 구경보다 클 수 있다.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의 주입구(110)는 구경이 50 mm 내지 80 mm 로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저장 탱크(100)의 벽으로부터 50 mm 내지 150 mm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의 주입구(110)는 구경이 약 65 mm 로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저장 탱크(100)의 벽으로부터 100 mm 돌출될 수 있다.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의 배출구(120) 및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b)의 주입구(110)는 구경이 30 mm 내지 50 mm 로 형성되고, 제2 방향으로 저장 탱크(100)의 벽으로부터 100 mm 내지 200 mm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의 배출구(120) 및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b)의 주입구(110)는 구경이 약 40 mm 로 형성되고, 제2 방향으로 저장 탱크(100)의 벽으로부터 150 mm 돌출될 수 있다.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의 저장 탱크(100)의 벽에는 손잡이(130)가 마련되어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의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손잡이(130)는 저장 탱크(100)의 외측 면 중 제1 방향 상의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10a)의 경우 제1 방향 상에서 저장 탱크(100)의 일측 벽에 주입구(110)가 마련되면, 제1 방향 상에서 타측 벽에 손잡이(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10a...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10b...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100...저장 탱크
110...주입구 120...배출구
130...손잡이 200...베이스 플레이트
300...노즐 310...유로
330...분사 구멍

Claims (12)

  1. 지면에 의해 저면이 지지되는 평면의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마련되며 수막 형성을 위한 물이 저장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의 벽에 마련되며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는 노즐; 및
    상기 저장 탱크의 벽에 마련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저장 탱크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저장 탱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반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상기 저장 탱크의 단면은 반원이며,
    상기 노즐은 상기 반원의 지름 방향으로 상기 저장 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저장 탱크 외부로 분사하고,
    상기 노즐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노즐의 일부는 제1 지점에서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상기 저장 탱크의 벽이 형성하는 원호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제2 지점에서의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상기 저장 탱크의 벽이 형성하는 원호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원호와 상기 제2 지점에서의 원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중첩시켜 바라볼 때, 상기 복수의 노즐은 원호 상에 등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노즐에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 구멍은 출구 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분사 구멍을 통해 분사되는 물은 25도 내지 35도의 폭을 가지며 분사되는 것인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반원의 중심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가상의 평면을 제1 가상면이라 할 때,
    상기 노즐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은 상기 반원의 원호 상에서 상기 제1 가상면을 기준으로 면대칭의 위치에 배열되는 것인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탱크 및 상기 노즐의 재질은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8. 제1항, 제4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을 따르는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중 하나를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라 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중 다른 하나를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라 할 때,
    상기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저장 탱크의 벽에는 상기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로 물을 전달하기 위한 배출구가 마련되는 것인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고 상기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할 때,
    상기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주입구는 상기 제1 방향 상에서 상기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저장 탱크의 일측 벽에 마련되고,
    상기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배출구는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저장 탱크의 양측 벽에 각각 마련되는 것인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주입구는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제2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저장 탱크의 일측 벽에 마련되는 것인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의 상기 저장 탱크의 상기 제1 방향 상에서 타측 벽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인 이동형 수막 생성 시스템.
KR1020190174839A 2019-12-26 2019-12-26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KR10231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839A KR102312750B1 (ko) 2019-12-26 2019-12-26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839A KR102312750B1 (ko) 2019-12-26 2019-12-26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666A KR20210082666A (ko) 2021-07-06
KR102312750B1 true KR102312750B1 (ko) 2021-10-14

Family

ID=7686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839A KR102312750B1 (ko) 2019-12-26 2019-12-26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893B1 (ko) * 2021-10-07 2023-12-29 국립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중심 투입형 소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774Y1 (ko) * 2000-06-26 2000-12-15 이경환 산불 진화용 물 방벽
CN1391966A (zh) * 2002-07-26 2003-01-22 张立国 消防水幕器
KR101343779B1 (ko) * 2013-07-02 2013-12-20 정우진 이동식 건축물용 소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6558U (ko) * 2007-12-26 2009-07-0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찰 문화재 보호를 위해 수막을 형성하는 소방밸브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774Y1 (ko) * 2000-06-26 2000-12-15 이경환 산불 진화용 물 방벽
CN1391966A (zh) * 2002-07-26 2003-01-22 张立国 消防水幕器
KR101343779B1 (ko) * 2013-07-02 2013-12-20 정우진 이동식 건축물용 소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2666A (ko) 202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78567C (en) Fire fighting nozzle for projecting fog cloud
KR20090092790A (ko) 고속 저압 이미터를 사용하는 이중 화재 억제 시스템
KR102312750B1 (ko) 이동형 수막 생성 장치
CN115591152A (zh) 应用于开敞空间的远程气体灭火抑爆系统及其使用方法
TWI488667B (zh) 具有多劑排放能力之雙模用劑排放系統
KR100589038B1 (ko) 지하공동구의 화재 진압용 폼소화시스템
KR101342127B1 (ko) 건축물용 소방장치
RU2721355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на крупных резервуарах с легковоспламеняющимися и горючими жидкостям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18171248A (ja) 放水型泡消火装置及び放水型泡消火方法
KR20130028391A (ko) 선박의 화물탱크 초기화재 진압용 살수장치.
KR102630703B1 (ko) 수벽 노즐장치
KR101035019B1 (ko) 화재진압용 미분무수 노즐
KR101045660B1 (ko)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JP4789981B2 (ja) 消火用ミスト放出装置
RU2718784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на резервуарах с легковоспламеняющимися и горючими жидкостям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664266C1 (ru) Устройство с гидроосциллятором для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и пожаровзрыво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еной низкой и средней кратности
US11203023B2 (en) Modular fluid spray nozzl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215938858U (zh) 一种屏幕水枪
RU19310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на резервуарах с легковоспламеняющимися и горючими жидкостями
KR102643892B1 (ko) 광폭 터널 소화용 스프링클러 노즐 시스템
JP6109034B2 (ja) 消火設備
CN213491651U (zh) 加油站加油机投影式灭火喷射装置
KR20190088769A (ko) 선박용 소화장치
US20220088620A1 (en) Modular fluid spray nozzl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JP2008012158A (ja) プール火災の消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