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240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240A
KR20220122240A KR1020210026611A KR20210026611A KR20220122240A KR 20220122240 A KR20220122240 A KR 20220122240A KR 1020210026611 A KR1020210026611 A KR 1020210026611A KR 20210026611 A KR20210026611 A KR 20210026611A KR 20220122240 A KR20220122240 A KR 20220122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drum
ai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주한
이종민
안용준
김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6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2240A/ko
Priority to TW111107161A priority patent/TWI820617B/zh
Priority to CN202210177712.5A priority patent/CN114960147B/zh
Priority to CN202410907009.4A priority patent/CN118621545A/zh
Priority to EP22158890.8A priority patent/EP4050149A1/en
Priority to US17/681,256 priority patent/US20220275564A1/en
Publication of KR2022012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6Mountings for the rotatin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1/108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having retaining means rotating with the coupling and acting by interengaging parts, i.e. positive coup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0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 F16D2001/103Quick-acting couplings in which the parts are connected by simply bringing them together axially the torque is transmitted via splin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후방측에 리어플레이트가 마련되는 캐비닛, 후방측에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마주보는 드럼후면이 마련되는 드럼 및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방에 마련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구동장착부 및 상기 구동장착부를 둘러싸며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유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동부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포함하고,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동공간이 전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드럼후면은 상기 구동장착부를 마주보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구동연결부 및 상기 구동연결부를 둘러싸며 상기 공기유동부의 개방된 상기 전면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구동부간의 열전달을 억제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NDAU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과 연결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거나 건조하는 등 의류에 다양한 처리과정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세탁기, 건조기, 리프레셔(스타일러) 등을 포함한다.
세탁기는 의류에 물과 세제를 공급하여 의류의 이물질을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는 세탁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건조기는 공기의 순환 여부 등에 따라 배기식 또는 순환식 건조기로 구분될 수 있고, 배기식 및 순환식 건조기는 모두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에 제공함으로써 의류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행정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드럼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관련문헌으로서,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9-0121656호에는 구동부가 캐비닛의 내부에서 하부측에 배치되어 드럼 벨트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기에 해당하고, 드럼의 공기를 전달받아 다시 드럼을 제공하는 순환유로 및 상기 순환유로와 연결되어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트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구동부의 구동축과 드럼의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되지 않으므로, 벨트 등과 같은 별도의 동력전달 매개체를 이용하여 구동부의 동력을 드럼을 제공한다.
구동부가 캐비닛의 바닥상에 위치되고, 벨트를 이용하여 드럼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경우, 구동축 등과 드럼의 직경 차이가 크기 때문에 토크 증가를 위한 별도의 변속기, 예컨대 감속기는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벨트를 이용하여 구동부로부터 드럼으로 회전력을 제공하게 되면 구동축의 회전속도 또는 드럼의 관성에 의해 상기 벨트와 구동부 또는 벨트와 드럼 사이에 슬립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슬립 등에 의해 효율적인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속도 변경이나 회전방향 변경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어 효율적인 드럼의 회전 전략을 적용하기 불리하다.
나아가,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의 하부, 예컨대 캐비닛의 바닥에 마련되는 베이스부에 상기 공기순환부 및 히트펌프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가 배치되므로, 구성간의 배치에 제약이 발생되고 각 구성에 할당될 수 있는 공간에 제약이 발생되어 불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류처리장치와 달리, 구동부를 캐비닛의 하부측이 아니라 상기 드럼의 후방측에 배치시켜 드럼과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와 드럼을 연결하기 위한 벨트 등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관련문헌으로서,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5-081914A,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5-115455A,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7-063724A 및 일본특허공개공보 JPS57-124674A에는 캐비닛의 후면측에 구동부가 고정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구동부가 상기 드럼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고, 따라서 구동부의 구동축과 드럼의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어 벨트 등을 이용하지 않고 구동부가 직접 드럼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벨트 등에서 발생하는 슬립 현상이 해결되고, 구동축의 회전을 직접 드럼으로 전달할 수 있어 드럼의 회전 전략 수립에 유리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건조기에 해당하고, 세탁기와 달리 드럼이 내장되며 물이 수용되는 터브가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구동부가 드럼의 후방에서 캐비닛의 배면패널에 결합된다.
나아가,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건조시키기 위해 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고, 회전하는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원활히 공급하기 위해 드럼의 후방측에 드럼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의 유동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드럼의 후방측에서 구동부와 더불어 공기의 유동부가 마련되고, 상기 구동부와 공기의 유동부를 포함하여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된다.
관련문헌으로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10-2020-0065932호에는 드럼의 후방에 위치되는 캐비닛의 후면에 구동부가 결합되고, 나아가 드럼의 배면을 마주보며 상기 드럼의 배면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공기의 유동부가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후면에서 중앙을 마주보는 캐비닛의 배면상에 구동부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의 주변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부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부는 캐비닛의 후면상에 공기가 유동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덕트가 결합되어 구비되고, 캐비닛의 후면은 상기 덕트의 전방으로 복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 내의 공기가 드럼의 후면으로 공급되도록 마련된다.
다만,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유동부를 형성하기 위해 캐비닛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별도의 덕트부재가 결합되므로 덕트부재의 결합을 위한 추가 고정이 발생되며, 덕트부재와 캐비닛 후면간의 공기 누출이 발생될 수 있어 불리하다.
또한, 캐비닛의 후면에는 상기 덕트부재의 전방에 복수의 홀을 형성하게 되므로 캐비닛의 펀칭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며, 나아가 상기 홀 외의 영역에서 공기의 전방 유동을 방해하게 되어 드럼 후면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데에 불리하다.
한편, 캐비닛의 후면에 결합되는 구동부는 캐비닛의 후면의 후방에 위치되어 캐비닛 후방으로 불필요한 공간의 확보를 요구하게 되거나, 캐비닛의 후면의 전방에 위치되어 캐비닛 내부공간을 감소시키고, 드럼의 용량을 감소시켜 불리할 수 있다.
나아가, 의류의 건조를 위해 가열된 공기가 유동부를 통해 드럼의 내부로 공급되고,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는 유동부의 내측에 위치되어 드럼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동부 및 드럼 내부의 열이 구동부로 전달될 수 있고, 구동부측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은 구동부 및 그 주변의 열해와 구동부의 작동효율에 있어 불리하다.
따라서,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구동부가 드럼의 후방측에 구비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를 설계하고, 드럼의 후면으로 효과적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공기유동부의 효율적인 구조를 구현하며, 나아가 캐비닛의 내부공간은 물론 의류처리장치가 배치되는 배치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구동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고 구동부의 방열 효과가 개선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발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동부와 드럼이 직접 연결되어 구동부의 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드럼의 효율적인 회전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동부가 결합됨과 동시에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유동부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리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비닛의 내부에서 드럼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캐비닛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드럼의 후면이 리어플레이트의 공기유동부를 직접 차폐함으로써 드럼 내부로 공기가 효과적으로 공급되는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어플레이트에 구동부가 결합되며 공간활용성이 우수하여 배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드럼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동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구동부측의 열해를 방지하고 구동부의 작동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동부로의 열전달을 억제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더라도 드럼후면과 리어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동부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구동부측의 열해를 방지하고 구동부의 작동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을 포함하고, 캐비닛의 후방측에는 상기 캐비닛의 일부를 이루는 리어플레이트가 마련된다. 리어플레이트는 의류처리장치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의 중앙에는 구동부가 결합될 수 있으며, 구동부는 리어플레이트의 후방에서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며 드럼의 후면에 연결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는 구동부가 결합되는 구동장착부를 둘러싸는 공기유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동부는 리어플레이트의 프레싱 가공 등을 통해 리어플레이트의 일부로서 성형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는 리어플레이트의 일부가 절곡되거나 휘어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전면이 전방을 향해 개방되고,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유동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은 후방측에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마주보는 드럼후면이 구비될 수 있고, 드럼후면은 구동장착부를 마주보며 구동부의 구동축이 연결되는 구동연결부 및 상기 구동연결부를 둘러싸며 상기 공기유동부를 마주보는 공기통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통과부는 공기유동부로부터 공기통과부를 향해 유출되는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고, 공기통과부를 통과하는 공기는 드럼 내부로 공급되어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드럼후면은 상기 공기통과부가 드럼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공기통과부는 드럼후면으로부터 공기유동부의 개방된 전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의 개방된 전면을 직접 차폐하며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고, 공기통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는 드럼은 공기통과부가 증가되는 만큼 드럼 내부의 공간이 확보되어 의류의 수용 용량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어플레이트에 구동부가 결합되는 구동장착부가 마련될 수 있고, 드럼후면에 구동부가 연결되는 구동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장착부 및 구동연결부는 구동부의 전방을 차폐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드럼 내부의 열기가 구동부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고, 구동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드럼 및 구동부를 포함한다. 캐비닛은 후방측에 리어플레이트가 마련되고, 드럼은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며, 후방측에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마주보는 드럼후면이 마련되고, 구동부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과 연결된다.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구동장착부 및 상기 구동장착부를 둘러싸며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유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동부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포함하고,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동공간이 전방으로 노출된다.
상기 드럼후면은 상기 구동장착부를 마주보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구동연결부 및 상기 구동연결부를 둘러싸며 상기 공기유동부의 개방된 상기 전면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구동부간의 열전달을 억제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구동부 전체에 대해 전방에서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착부는 상기 구동부 전체를 전방에서 차폐하며 상기 구동연결부와 함께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구동부간의 열전달을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구동부 이상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연결부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구동연결부와 함께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의 열전달을 억제하도록 마련되는 축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드럼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착부 및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연결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구동연결부는 내부에서 상기 구동장착부와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전방측에 상기 구동장착부와 결합되는 제1구동파트가 마련되고, 후방측에 상기 제1구동파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파트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제2구동파트가 마련되며, 상기 제1구동파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동연결부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구동파트는 상기 드럼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에 해당하고, 상기 제1구동파트는 상기 제2구동파트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연결부와 연결되는 구동축으로 제공하는 변속부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구동연결부는 연결전면부 및 연결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전면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파트 이상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구동파트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연결측면부는 상기 드럼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전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상기 제2구동파트의 둘레측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착부는 장착전면부 및 장착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전면부는 상기 연결전면부와 상기 제1구동파트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구동파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1구동파트의 전방을 차폐할 수 있다.
장착측면부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전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상기 제2구동파트의 둘레측 전방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착부는 내부에서 상기 제2구동파트와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구동연결부와 연결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이 삽입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드럼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부싱부가 관통하는 축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부싱부는 상기 축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연결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장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후면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결합부 내부에 삽입되는 베어링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내부에 상기 베어링연장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구동축을 향하여 돌출되는 기어치를 포함하는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치형부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치형부와 치합되는 치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축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축결합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치형부가 마련되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축결합홀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단부에 축고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축고정부재는 상기 축결합부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부싱부는 상기 축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구동연결부의 후방에서 상기 구동연결부에 결합되는 드럼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축관통홀을 둘러싸며 상기 드럼결합부가 결합되는 부싱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싱결합부는 상기 구동연결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에서 상기 드럼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구동연결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축결합부를 상기 드럼 내부로부터 차폐하는 축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부싱결합부 및 상기 드럼결합부를 함께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부싱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축캡부는 상기 부싱체결부재를 상기 드럼 내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축캡부를 관통하며 상기 구동축에 삽입되어 상기 축캡부를 상기 구동축에 체결시키는 캡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축관통홀을 둘러싸는 축둘레부에 후크체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축캡부는 상기 축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후크체결부에 결합되는 캡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둘레부는 상기 부싱결합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부싱부는 상기 캡후크부를 마주보는 부분에 후방으로 함몰된 부싱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후크부는 상기 후크체결부에 걸려지는 후크돌기가 상기 축둘레부와 상기 부싱함몰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부는 내부에 상기 유동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리어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절곡되거나 휘어지며 개방된 상기 전면을 가지는 상기 공기유동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후면의 전방에서 상기 드럼을 둘러싸는 드럼둘레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럼후면은 상기 드럼둘레면과 결합되는 둘레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통과부는 상기 둘레연결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의 개방된 상기 전면을 차폐할 수 있다.
상기 공기통과부는 상기 공기유동부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공기통과부에서 상기 유동공간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 드럼 및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구동장착부는 상기 구동부를 전방에서 차폐하고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구동장착부를 전방에서 차폐함으로써,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구동부간의 열전달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드럼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장착부 및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연결부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동부와 드럼이 직접 연결되어 구동부의 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드럼의 효율적인 회전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동부가 결합됨과 동시에 드럼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유동부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리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캐비닛의 내부에서 드럼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고 캐비닛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드럼의 후면이 리어플레이트의 공기유동부를 직접 차폐함으로써 드럼 내부로 공기가 효과적으로 공급되는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리어플레이트에 구동부가 결합되며 공간활용성이 우수하여 배치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드럼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동부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구동부측의 열해를 방지하고 구동부의 작동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동부로의 열전달을 억제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더라도 드럼후면과 리어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동부의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하여 구동부측의 열해를 방지하고 구동부의 작동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공급부와 공기유동부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팬덕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공급부의 공기 유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리어플레이트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리어플레이트의 결합 구성을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리어커버가 결합되는 리어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리어커버를 제거한 리어플레이트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리어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장착브라켓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리어커버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리어커버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리어플레이트에 마련되는 공기유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플레이트의 후방에서 바라본 공기유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플레이트의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 및 리어플레이트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드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의 드럼후면을 분해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후면을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후면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플레이트 내부로 삽입된 드럼후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에서 공기통과부 및 공기유동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후면에 마련되는 공기통과부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후면, 리어플레이트 및 구동부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연결부, 구동장착부 및 구동부를 함께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플레이트에 결합되느 구동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후면으로부터 분리된 축캡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후면에 결합된 부싱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부싱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축캡부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0)의 내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0)은 전방측에 프론트플레이트(102)가 마련될 수 있고, 측방향(Y) 양측에 각각 측면플레이트(109)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측에 상부플레이트(101)가 마련될 수 있고, 하부측에 하부플레이트(103)가 마련될 수 있으며, 후방측에 리어플레이트(110)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02), 측면플레이트(109) 및 리어플레이트(110)는 각각 상하방향(Z)을 따라 지면 또는 하부플레이트(10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들은 서로 연결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함께 상기 캐비닛(10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들은 함께 연결되어 내부에 드럼(200) 등이 구비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02)는 캐비닛(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의류가 내부로 투입되기 위한 의류개구(1021)가 형성될 수 있다. 의류개구(1021)는 프론트플레이트(102)의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의류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의류도어(30)가 프론트플레이트(102)상에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02)는 컨트롤패널을 포함할 수 있고, 컨트롤패널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신호가 입력될 수 있는 조작부 및 의류의 처리과정을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컨트롤패널은 반드시 프론트플레이트(102)에 마련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플레이트(101) 등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은 복수로 마련되어 프론트플레이트(102)와 상부플레이트(101) 등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의류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고, 조작부에는 사용자에 의해 건조행정의 수행명령이 입력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는 컨트롤패널 내부 또는 컨트롤패널과 이격되어 상기 컨트롤패널과 신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컨트롤패널 및 후술할 구동부(400) 등과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400) 등을 제어하며 의류의 건조행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101)는 캐비닛(10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고, 캐비닛(100)의 상부에서 캐비닛(100) 내부를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측면플레이트(109)는 캐비닛(100)의 측방향(Y) 양측면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측면플레이트(109)는 캐비닛(100)의 측방향(Y) 일측면을 형성하는 제1측면플레이트 및 측방향(Y) 타측면을 형성하는 제2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103)는 캐비닛(10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고, 후술할 공기공급부(106) 및 히트펌프가 하부플레이트(103)상에 마련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10)는 캐비닛(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고, 후술할 공기유동부(130) 및 구동장착부(120)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10)의 자세한 얘기는 후술한다.
한편,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200)은 전방측에 드럼전면이 마련되고, 상기 드럼전면에는 의류가 투입되기 위한 드럼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02)에 마련되는 의류개구(1021)를 통해 캐비닛(100) 내부로 투입되는 의류는 상기 드럼개구를 통해 드럼(200)의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드럼(200)은 상기 드럼전면이 전체로서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드럼개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드럼전면의 후방측에 드럼(200)의 내부공간을 둘러싸는 드럼둘레면(290)이 마련될 수 있고, 드럼둘레면(290)의 후방측에 드럼후면(210)이 마련될 수 있다. 드럼후면(210)은 테두리측이 상기 드럼둘레면(290)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200)은 전후방향(X)을 따라 연장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며 전방에서 의류가 투입되는 프론트로더 타입일 수 있다. 프론트로더 타입은 탑로더 타입과 비교할 때 의류의 투입과 인출이 비교적 용이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플레이트(102)는 드럼(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프론트플레이트(102)는 드럼(200)의 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드럼(200)의 전단부는 프론트플레이트(102)에 수용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론트플레이트(102)는 상기 의류개구(1021)의 둘레에서 후방으로 상기 드럼(200)의 전단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의류개구(1021)와 드럼개구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의류개구(1021)와 드럼(200)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플레이트(102)는 상기 의류개구(102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은 드럼(200)의 전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프론트플레이트(102)와 드럼개구 사이에서 공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 또는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스켓은 플라스틱 수지 계열 또는 탄성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실링부재가 가스켓의 내주면에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프론트플레이트(102)에는 드럼(200)의 전단부에 접촉되어 드럼(20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휠이 설치될 수 있다. 전방휠은 드럼개구의 외주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의류개구(1021)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마련되어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전방휠은 드럼(200)의 전단부의 하방에서 상기 드럼(200)을 상방으로 지지할 수 있고, 드럼(200)의 회전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되어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의류의 건조를 위해 공기, 예컨대 온도가 상승하도록 가열된 열풍이 드럼(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드럼(2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는 드럼개구를 통해 드럼(200) 내부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론트플레이트(102)는 전면덕트(102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덕트(1023)는 프론트플레이트(102)에 마련되어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후술할 공기공급부(106)로 전달할 수 있다.
전면덕트(1023)는 드럼개구 또는 의류개구(1021)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프론트플레이트(102)의 내부에 마련되거나, 캐비닛(100) 내부에서 프론트플레이트(102)의 외부에 서 상기 가스켓을 통해 의류개구(1021)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프론트플레이트(102)의 내부에 마련되는 전면덕트(1023)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드럼(200)은 드럼개구와 의류개구(1021)가 전술한 가스켓 또는 실링부재 등을 통해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전면덕트(1023)는 프론트플레이트(102) 내부에서 의류개구(1021) 및 드럼개구와 연통되어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면덕트(1023)는 프론트플레이트(102) 내부에서 연장되어 캐비닛(100) 내부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캐비닛(100) 내부에 공기공급부(106)가 마련될 수 있고, 공기공급부(106)는 전면덕트(1023)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덕트(102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공기공급부(106)는 캐비닛(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하부플레이트(103)상에 구비될 수 있다. 하부플레이트(103)의 상부에는 공기공급부(106)나 히트펌프가 구비되는 베이스부(10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5)상에는 공기공급부(106) 및 히트펌프 등이 안착될 수 있고, 베이스부(105)는 하부플레이트(103)상에 결합되거나 하부플레이트(103)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105)가 하부플레이트(103)에 해당되어 캐비닛(100)의 하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공기공급부(106)는 유입덕트(1061)를 포함할 수 있고, 유입덕트(1061)는 전면덕트(1023)와 연결될 수 있다. 유입덕트(1061)와 전면덕트(1023)는 별개로 제조되어 결합되거나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유입덕트(1061)를 통해 공기공급부(106)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습 및 가열되어 공급공급부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106)는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위해 히트펌프의 구성 일부가 내장될 수 있으며, 공기의 제습 및 가열의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유입덕트(106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공급부(106) 내부를 유동하여 공기공급부(106)의 유출덕트(1064)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106)는 유출덕트(1064)와 연결되는 송풍부(107)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송풍부(107)는 송풍모터(1073)에 의해 회전되는 송풍팬(1071)을 통해 공기를 공기공급부(106)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즉, 공기공급부(106)는 전면덕트(1023)와 연결되는 유입덕트(1061)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공기공급부(106) 내부를 경유하는 공기는 제습 및 가열되어 유출덕트(1064) 및 송풍부(107)를 통해 공기공급부(106)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리어플레이트(110)는 드럼후면(210)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유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공급부(106)는 상기 공기유동부(130)로 공기를 토출하여 공기유동부(130)를 통해 드럼후면(210)으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공급부(106)는 송풍부(107)와 연결되는 팬덕트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팬덕트부(108)는 송풍부(107)와 공기유동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송풍부(107)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팬덕트부(108)를 경유하여 공기유동부(130)로 공급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10)는 공기유동부(130)로부터 연장되는 유입연장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공기공급부(106)는 유입연장부(138)와 연결되어 상기 공기유동부(130)에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유동부(130)는 공기공급부(106)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내부를 유동하며 드럼후면(210)을 향해 유출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30)는 전면(131)이 개방되어 전방으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드럼후면(210)에는 공기유동부(13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통과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30)는 공기유동부(13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유입 및 통과되어 드럼(200)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공급부(106) 및 공기유동부(130)를 통해 드럼(200)으로 제공되는 공기가 순환되며 지속하여 드럼(2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순환유로가 형성되며, 공기의 순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류의 건조행정이 수행되는 경우, 드럼(200)의 내부에는 공기유동부(13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통과부(230)를 통해 드럼(200) 내부로 공급되고, 드럼(200) 내부의 공기는 드럼개구를 통해 드럼(200) 외부로 유출되며, 드럼(200)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는 전면덕트(1023)를 경유하여 공기공급부(106)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106)는 전면덕트(1023)와 연결되는 유입덕트(1061)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고,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제습 및 가열하도록 마련되며, 제습 및 가열된 공기는 유출덕트(1064)를 통해 송풍부(107)를 경유하며 팬덕트부(108) 내부를 유동하고, 공기유동부(130)는 팬덕트부(108)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다시 드럼(200)의 공기통과부(230)를 통해 드럼(200)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위와 같은 공기의 순환 과정을 통해, 드럼(200) 내부에는 저습 고온의 공기가 지속 제공되고, 의류에 존재하는 수분은 상기 저습 고온의 공기에 의해 증발하여 공기와 함께 드럼(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플레이트(110) 및 드럼후면(210)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어플레이트(110)는 구동장착부(120) 및 공기유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후방으로 개방되어 후방에서 구동부(400)가 결합될 수 있고, 공기유동부(130)는 전방으로 개방되어 드럼후면(210)을 향해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드럼후면(210)은 구동연결부(220) 및 공기통과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는 구동장착부(120)의 전방에서 상기 구동장착부(120)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는 구동장착부(120)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구동부(400)의 구동축(430)이 연결되어 회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30)는 공기유동부(130)를 전방에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으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통과되어 드럼(200) 내부로 공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200)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0)가 리어플레이트(110)의 구동장착부(120)에 결합됨으로써 드럼(200)의 회전축과 구동부(400)의 구동축(430)이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고, 따라서 벨트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어 슬립 등의 발생을 발생이 없이 드럼(20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의 부재가 결합되지 않고 리어플레이트(110) 자체에 공기유동부(130)가 형성됨으로써, 공기유동부(130)로부터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공기유동부(130)의 내부로부터 드럼후면(210)을 향해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가 분해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론트플레이트(102)는 캐비닛(100)의 전방측에 마련되고, 의류가 투입되는 의류개구(102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플레이트(102)의 후방에는 드럼(200)이 배치될 수 있고, 드럼(200)은 전면이 개방되어 드럼개구가 형성되며, 의류개구(1021)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가 드럼개구를 통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드럼(200)은 드럼개구를 둘러싸는 개구둘레부와, 개구둘레부의 후방측에서 드럼(200) 내부를 둘러싸는 드럼둘레면(290)과, 드럼둘레면(290)의 후방에서 드럼둘레면(290)에 결합되는 드럼후면(210)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200)의 후방에는 리어플레이트(110)가 마련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10)는 캐비닛(100)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캐비닛(1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10)는 드럼(200)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유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드럼후면(210)과의 사이에 공기의 누출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리어실러(300)가 배치될 수 있다.
리어실러(300)는 내측실러(310) 및 외측실러(320)를 포함할 수 있고, 내측실러(310)는 공기유동부(130)의 내측 둘레로부터 공기가 공기통과부(23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마련되고, 외측실러(320)는 공기유동부(130)의 외측 둘레로부터 공기가 공기통과부(23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10)는 구동부(400)가 장착되는 구동장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장착부(120)는 전방에서 장착브라켓(126)이 결합될 수 있으며, 후방에서 구동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구동장착부(120)를 통해 장착브라켓(126)과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구동축(430)이 구동장착부(120)를 관통하여 드럼후면(210)의 구동연결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구동장착부(120)에 직접 결합되는 제1구동파트(410), 상기 제1구동파트(410)에 결합되는 제2구동파트(420) 및 제1구동파트(4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동축(430)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10)는 후방에서 리어커버(500)가 결합될 수 있다. 리어커버(500)는 리어플레이트(110)를 후방에서 차폐하며 의류처리장치(10)의 후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리어플레이트(110)의 일부를 후방으로 노출시키도록 마련되어 리어플레이트(110)와 함께 의류처리장치(10)의 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리어커버(500)는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면상에 결합되어 공기유동부(130) 및 구동부(400)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리어커버(500)에 의해 공기유동부(130)를 유동하는 공기의 열손실이 감소될 수 있으며 구동부(400)의 충격이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드럼(200)의 하방에는 베이스부(105)가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부(105)에는 공기공급부(106) 및 히트펌프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106)는 드럼(2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여 공기유동부(130)를 통해 다시 드럼(200)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히트펌프는 적어도 일부가 공기공급부(106) 내부에 배치되어 공기공급부(106)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베이스부(105)와 리어플레이트(110)가 연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송풍부(107)와 공기유동부(130)를 연결하는 팬덕트부(108)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공기공급부(106)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6을 참고하여 공기공급부(106) 및 히트펌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는 베이스부(105)를 상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공기공급부(106)에서 프론트플레이트(102)의 전면덕트(1023)와 연결되는 유입덕트(1061)가 도시되어 있다.
유입덕트(1061)는 프론트플레이트(102)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프론트플레이트(102)의 외부에서 전면덕트(1023)와 연결될 수 있다. 유입덕트(1061)는 전면덕트(1023)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106)는 베이스부(105)상에 배치되고, 프론트플레이트(102)로부터 리어플레이트(110)를 향해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에는 전후방향(X)을 따라 연장되고, 베이스부(105)에서 측방향(Y) 일측에 가깝게 배치된 공기공급부(106)가 도시되어 있다.
공기공급부(106)는 드럼(2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캐비닛(100)의 측방향(Y) 일측, 예컨대 캐비닛(100)의 측방향(Y) 양측에 배치되는 제1측면플레이트 및 제2측면플레이트 중 제1측면플레이트에 인접하게 위치됨에 따라, 드럼(200)의 최하단부와 이격거리를 확보하고 상호 물리적 간섭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베이스부(105)상에서 공기공급부(106)는 프론트플레이트(102)로부터 리어플레이트(110)를 향해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공기공급부(106)로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공급부(106)의 연장방향을 따라 전방에서 후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즉, 공기공급부(106)의 공기는 프론트플레이트(102)측에서 리어플레이트(110)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106)는 후방측에 유출덕트(1064)가 구비될 수 있고, 유출덕트(1064)는 송풍부(107)와 연결될 수 있다. 송풍부(107)는 송풍팬(1071)이 내장되는 송풍팬하우징 및 송풍팬(1071)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송풍모터(1073)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107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의 공기가 순환되는 유동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107)는 일측에서 유출덕트(1064)와 연결되고, 타측에서 팬덕트부(108)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송풍팬(1071)에 의해 공기공급부(106) 및 송풍부(107)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팬덕트부(108) 내부로 유입되어 유동될 수 있다.
팬덕트부(108)는 송풍부(107)와 공기유동부(130)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30)는 드럼후면(2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송풍부(107)는 드럼(200)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바, 팬덕트부(108)는 송풍부(107)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공기유동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팬덕트부(108)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송풍부(107)는 송풍팬(1071)의 회전으로 공기가 송풍팬하우징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송풍팬(1071)은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송풍부(107)는 공기유동부(130)보다 하방에 위치되며, 송풍팬(1071)은 상방에 위치되는 공기유동부(130)로 공기를 원활히 송풍할 수 있도록, 전후방향(X)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송풍부(107)의 상방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107)는 송풍팬(1071)의 상방측에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팬덕트부(108)는 상기 개구에 연결되어 공기를 전달받을 수 있다. 팬덕트부(108)는 송풍부(107)로부터 공기유동부(130)를 향해 연장되며, 공기유동부(130)에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덕트부(108)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 형성되고, 공기유동부(130)를 향하는 일단부에 공기가 토출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팬덕트부(108)의 상기 일단부는 리어플레이트(110)에 결합될 수 있고, 송풍부(107)를 향하는 타단부는 송풍부(107)에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리어플레이트(110)는 공기유동부(130)로부터 연장되는 유입연장부(138)를 포함할 수 있고, 유입연장부(138)는 공기유동부(130) 내부에 형성되는 유동공간(135)으로부터 연장되는 연장공간(1381)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연장부(138)는 공기유동부(130)로부터 공기공급부(106)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유입연장부(138)는 전방으로 개방되어 송풍부(107)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공간(1381)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공급부(106)는 팬덕트부(108)의 적어도 일부와 송풍부(107)의 적어도 일부가 연장공간(1381)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방으로 개방된 유동공간(135)을 포함하는 공기유동부(130)가 도시되어 있으며, 환형으로 마련되는 공기유동부(130)의 중앙측에는 구동장착부(12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환형이란 내측으로 폐단면을 형성하는 고리 형상을 의미하며, 원형은 물론 다각형의 둘레와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후방에서 결합되는 구동부(400)에 의해 관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구동축(430) 및 구동축(430)을 둘러싸는 베어링연장부(4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축(430) 및 베어링연장부(440)는 함께 구동장착부(120)를 관통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베이스부(105)에 마련되는 히트펌프가 도시되어 있다. 히트펌프는 복수의 열교환기와 압축기(1066)를 포함하여 상기 압축기(1066)를 통해 압축되는 유체가 상기 복수의 열교환기를 경유하며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트펌프는 제1열교환기(1062), 제2열교환기(1063) 및 압축기(1066)를 포함할 수 있다. 히트펌프는 상기 제1열교환기(1062), 제2열교환기(1063) 및 압축기(1066)를 순환하는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공기공급부(106)에 내장되는 히트펌프의 제1열교환기(1062) 및 제2열교환기(1063)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공기공급부(106) 외측에 위치되는 압축기(1066)가 도 4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제1열교환기(1062)는 외부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에 해당될 수 있고, 제2열교환기(1063)는 외부로 열을 방출하는 응축기에 해당할 수 있다. 제1열교환기(1062) 및 제2열교환기(1063)는 공기공급부(106)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상에 배치되어 공기를 제습 및 가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공급부(106)의 공기 유로상에서 제1열교환기(1062)는 제2열교환기(1063)보다 상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열교환기(1062)는 제2열교환기(1063)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제1열교환기(1062)는 유입덕트(1061)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106)에서 유입덕트(106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1열교환기(1062)를 지나도록 유동될 수 있다. 드럼(200) 내부로부터 배출되어 유입덕트(106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의류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다량 포함할 수 있다.
유입덕트(106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제1열교환기(1062)를 지나가게 되고, 제1열교환기(1062)에 의해 열을 빼앗기는 공기 중의 수증기는 제1열교환기(1062)에서 응축되어 물방울의 형태로 변화하며 공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공기공급부(106)는 제1열교환기(1062)에서 응축되는 응축수를 공기공급부(106) 외부에 배치되는 집수부(1065)로 전달할 수 있다. 즉, 집수부(1065)는 공기공급부(106)의 제1열교환기(1062)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2열교환기(1063)는 제1열교환기(1062)보다 공기공급부(106)의 하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열교환기(1063)는 제1열교환기(106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송풍부(107) 또는 유출덕트(1064)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열교환기(1063)는 유체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응축기에 해당될 수 있으며, 제2열교환기(1063)를 경유하는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1063)에 의해 가열되어 송풍부(107)로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2열교환기(1063)가 제1열교환기(1062)보다 하류측에 위치됨에 따라, 제1열교환기(1062)를 통해 냉각되어 제습된 공기가 제2열교환기(1063)를 통해 다시 가열된 상태로 공기공급부(106)로부터 토출될 수 있다.
도 6에는 제2열교환기(1063)를 경유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송풍부(107)의 송풍팬(1071)이 도시되어 있고, 송풍팬(1071)의 후방에서 송풍팬(1071)과 연결되는 송풍모터(1073)가 도시되어 있다. 송풍팬(1071)과 송풍모터(1073)는 적어도 일부가 전술한 유입연장부(138)의 연장공간(138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열교환기(1062)를 통해 공기중으로부터 제거된 응축수가 저장되는 집수부(1065)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5)에서 공기공급부(106)는 측방향(Y) 일측에 위치될 수 있고, 집수부(1065) 및 압축기(1066)는 베이스부(105)에서 측방향(Y)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2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400)가 리어플레이트(110)에 배치됨에 따라, 구동부(400)가 베이스부(105)상에 배치되는 경우와 대비하여 베이스부(105)상의 공간이 효과적으로 확보될 수 있고, 집수부(1065)의 크기 및 용량이 효과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1066)는 집수부(1065)의 후방에 위치되며, 이에 따라 압축기(1066)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의류처리장치(10)의 전방에서 의류처리장치(10)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다양한 구성이 결합되는 리어플레이트(110)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리어플레이트(110)에 결합되는 다양한 구성을 분해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8을 참고하여 리어플레이트(110)를 중심으로 리어플레이트(110)에 결합 또는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어플레이트(110)는 캐비닛(100)의 후방측에 위치되어 캐비닛(100)의 후면을 이룰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10)는 드럼후면(210)을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구동부(400)가 장착되는 구동장착부(120)와 드럼(200)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유동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10)의 전방에는 공기유동부(130)로부터 공기통과부(230)를 제외한 외부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어실러(3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리어실러(300)는 리어플레이트(110)의 전면상에 안착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30)는 환형으로 마련되어 구동장착부(12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리어실러(300)는 내측실러(310) 및 외측실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실러(310)는 공기유동부(13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외측실러(320)는 공기유동부(1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외측실러(320)는 공기유동부(13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공기유동부(130)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내측실러(310)는 공기유동부(13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구동장착부(120)를 향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10)는 공기유동부(130)로부터 공기공급부(106)를 향해 연장되는 유입연장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공기유동부(130)의 외측 둘레는 유입연장부(138)측에서 개방될 수 있으나, 외측실러(320)는 폐단면을 형성하는 환형으로 마련되어 공기유동부(130)와 유입연장부(138)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편, 팬덕트부(108)는 리어플레이트(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유입연장부(138)를 통해 공기유동부(130) 내부의 유동공간(135)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팬덕트부(108)는 유입연장부(138) 내부의 연장공간(1381)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공기유동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팬덕트부(108)는 공기공급부(106)의 송풍부(107)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송풍부(107)와 더불어 리어플레이트(1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장착브라켓(126)은 구동장착부(120)의 전방에서 구동장착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장착브라켓(126)은 구동장착부(120)의 전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브라켓(126)에 의해 구동장착부(120)의 강도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고, 구동부(400)의 결합 안정성이 강화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구동부(400)에 의해 중앙측이 관통될 수 있고, 장착브라켓(126) 또한 중앙측이 구동부(40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즉, 장착브라켓(126)은 구동장착부(1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구동부(4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장착브라켓(126)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0)는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에서 리어플레이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리어플레이트(110)의 구동장착부(120)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구동장착부(120)를 통해 장착브라켓(126)과의 결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동부(400)는 후술할 내용과 같이 제1구동파트(410) 및 제2구동파트(4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구동파트(410)가 구동장착부(120)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며, 제2구동파트(420)는 제1구동파트(41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동축(430) 및 구동축(430)의 일부를 둘러싸는 베어링연장부(440)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축(430)은 베어링연장부(440)를 관통하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동축(430) 및 베어링연장부(440)는 구동장착부(120) 및 장착브라켓(126)을 관통하며 드럼후면(210)의 구동연결부(2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에는 리어커버(500)가 마련될 수 있다. 리어커버(500)는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에서 리어플레이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리어커버(500)는 리어플레이트(110) 전체를 덮도록 마련되거나, 공기유동부(130) 및 구동부(400) 등 일부를 차폐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9에는 리어커버(500)가 결합되는 리어플레이트(110)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9의 리어플레이트(110)에서 리어커버(500)를 제거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10을 참고하면, 리어플레이트(110)는 후술할 내용과 같이 공기유동부(130) 및 유입연장부(138)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기유동부(130) 및 유입연장부(138)보다 더 넓은 단면적을 가지는 후방돌출부(140)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커버(500)는 리어플레이트(110)에 결합되어 상기 후방돌출부(140), 공기유동부(130) 및 유입연장부(138)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에서 리어커버(500)에 의해 덮히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리어플레이트(110)의 일부는 리어기준면에 해당될 수 있으며, 후방돌출부(140) 및 공기유동부(130)는 리어기준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의 후방에서 상기 구동장착부(120)의 내부로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동부(400)는 리어커버(500)에 의해 외부로부터 차폐될 수 있다. 즉, 구동부(400)는 전방에 구동장착부(120)가 위치되고, 후방에 리어커버(500)가 위치되며, 둘레측에 공기유동부(130)가 위치되어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리어커버(500)는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돌출부(140), 공기유동부(130) 및 유입연장부(13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리어커버(500)는 후방돌출부(14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돌출커버부와, 상기 돌출커버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유동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커버부는 다시 공기유동부(130)의 후방에 위치되는 커버둘레부(510)와, 상기 커버둘레부(510)의 중앙측에 배치되어 구동부(400)의 후방에 위치되는 중앙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커버(500)의 자세한 내용을 후술한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장착부(120) 및 장착브라켓(126)이 도시되어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리어플레이트(1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후방에서 구동부(400)가 결합되어 구동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구동장착부(12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리어플레이트(1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구동장착부(120)의 둘레를 형성하는 장착측면부(124)와, 상기 장착측면부(124)의 전단에 연결되어 후방에서 구동부(400)가 결합되는 구동장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전면상에 상기 장착브라켓(126)이 결합될 수 있는 브라켓안착부(128)가 마련될 수 있다.
브라켓안착부(128)는 강성의 보강을 위해 장착전면부(122)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착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보강부는 브라켓안착부(128) 또는 장착전면부(122)의 일부가 절곡되거나 휘어지면서 형성될 수 있고, 일측이 개방된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보강부가 일측이 개방된 환형으로 마련되는 경우, 장착보강부는 일단 및 타단이 이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일단 및 타단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영역은 후방에 구동부(400)의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포트가 배치될 수 있다.
장착브라켓(126)은 통합체결부재를 통해 장착전면부(122) 및 구동부(400)가 함께 결합되는 통합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장착체결부재를 통해 구동부(400)를 제외하고 장착전면부(122)와 결합되는 장착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브라켓(126)은 상기 장착보강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장착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착가이드부는 장착브라켓(126)의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거나 휘어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장착가이드부는 장착보강부에 삽입되어 장착브라켓(126)의 결합 위치를 가이드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장착가이드부는 장착보강부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환형을 가질 수 있고, 개방된 상기 일측에 의해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장착브라켓(126)의 결합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커버(500)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도 12의 리어커버(500)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 및 13을 참고하면, 리어커버(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어플레이트(110) 후면상에 결합되어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돌출부(140) 및 구동유동부를 덮어 외부로부터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커버(500)는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돌출부(140)를 덮도록 마련되는 돌출커버부 및 구동유동부와 구동장착부(120)를 덮도록 마련되는 유동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커버부는 공기유동부(130)를 덮도록 마련되는 둘레커버부 및 구동부(400)의 후방을 차폐하는 중앙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커버부는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돌출부(140)의 외주면에 해당하는 후방외주면(148)을 둘러싸는 돌출커버외주면을 포함할 수 있고, 후방돌출부(140)의 후면에 해당하는 후방돌출면(149)을 후방에서 차폐하는 돌출커버후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커버는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돌출부(14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전방에서 내부로 상기 후방돌출부(140)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후방돌출부(14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유동커버부는 상기 돌출커버부의 돌출커버후방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내부에 공기유동부(130) 및 구동부(400)가 삽입될 수 있다.
유동커버부의 둘레커버부는 구동부(400)의 외측에 위치되며, 공기유동부(130) 및 유입연장부(138)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둘레커버부는 돌출커버후방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유동커버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유동커버외주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유동부(130)를 후방에서 차폐하는 유동커버후방면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동커버부의 중앙커버부(520)는 둘레커버부에 의해 둘레싸인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전방에 구동부(400)가 위치될 수 있다. 중앙커버부(520)는 구동부(400)를 후방에서 차폐하는 구동커버면(522) 및 상기 구동커버면(522)과 둘레커버부 사이에서 구동커버면(52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구동둘레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둘레부(524)는 중앙커버부(52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구동둘레부(524)는 적어도 일부가 구동장착부(1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구동둘레부(524)는 구동부(400)와 장착측면부(124) 사이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둘레부(524)는 중앙커버부(52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구동부(40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리브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둘레부(524)는 환형으로 마련되어 구동부(400)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동둘레부(524)는 유동커버부에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은 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구동둘레부(524)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후면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동둘레부(524)는 구동커버면(522)의 둘레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동내주면(5241) 및 유동커버후방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동외주면(524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내주면(5241) 및 구동외주면(5243)은 전단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구동둘레부(524)는 구동내주면(5241) 및 구동외주면(5243) 사이에 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내주면(5241)은 구동부(400)를 마주보고 구동외주면(5243)은 장착측면부(124) 또는 공기유동부(130)를 마주볼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의 구동부(400)는 구동둘레부(524)에 의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며, 구동내주면(5241)은 구동부(400)와 이격되어 구동부(400)의 회전 등 구동부(400)의 작동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구동내주면(5241)에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개구에 의해 구동부(400)가 위치되는 공간과 구동둘레부(524) 내부의 공간이 연통될 수 있다. 구동내주면(5241)의 개구는 구동커버면(522)에서 구동장착부(120)를 향해 연장된 형상일 수 있으며, 복수로 마련되어 구동둘레부(524)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400)가 위치되는 구동장착부(120) 내부의 공간은 구동내주면(5241)의 개구를 통해 구동둘레부(524) 내부와 연통되고, 구동둘레부(524) 내부의 공간은 후방으로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되므로, 구동장착부(120) 내부의 공간은 구동둘레부(524)를 통해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작동과정에서 열이 발생될 수 있고, 구동부(400)측에 열이 증가되는 경우 구동부(400) 및 주변에 열해가 발생하는 등 구동부(400)의 작동상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부(400)의 둘레를 둘러싸는 구동둘레부(524)의 구동내주면(5241)에 개구를 형성하고, 구동둘레부(524)의 내부에 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구동부(400)와 외부의 열교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동부(400)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0)의 후방에 위치되는 구동커버면(522)에는 구동장착부(120)에서 구동부(400)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구동부(400)의 방열이 용이해지도록 복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외주면(5243)은 구동둘레부(524) 내부의 공간을 외측에서 둘러싸며, 공기유동부(130)가 위치되는 공간과 구동장착부(120)가 위치되는 공간을 서로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30)는 내부에 유동공간(135)이 형성되고, 유동공간(135)에는 공기공급부(106)에서 가열된 공기가 유동하게 되며, 공기유동부(130)를 유동하는 공기로부터 열손실이 발생하게 되면 의류의 건조과정에 있어서 불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400)는 작동상 열이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며 구동부(400)의 방열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구동부(400)의 작동상 유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둘레부(524)에 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구동내주면(5241)에는 구동장착부(120)와 구동둘레부(524) 내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를 형성하며, 구동커버부에는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구동부(400)의 방열효과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구동외주면(5243)을 통해 공기유동부(130)측과 구동부(400)측을 서로 구획하여 공기유동부(130)의 열손실을 줄이고 공기유동부(130)측에서 구동부(400)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에서 리어플레이트(110)의 공기유동부(130)를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리어플레이트(110)의 공기유동부(130)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리어플레이트(110)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 내지 16을 참고하여 리어플레이트(11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캐비닛(100), 드럼(200) 및 구동부(400)를 포함하고, 캐비닛(100)은 후방측에 리어플레이트(110)가 마련되며, 드럼(200)은 상기 캐비닛(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며, 후방측에 상기 리어플레이트(110)를 마주보는 드럼후면(210)이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리어플레이트(110)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2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4 내지 16을 참고하면, 리어플레이트(110)는 상기 구동부(400)가 결합되는 구동장착부(120) 및 상기 구동장착부(120)를 둘러싸며 상기 드럼(200)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유동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동부(13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135)을 포함하고, 전면(131)이 개방되어 상기 유동공간(135)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200)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400)가 캐비닛(100) 내부에 위치되지 않으며,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리어플레이트(110)의 구동장착부(120)에 결합되는 구동부(400)의 구동축(430)은 드럼(200)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구동축(430)이 드럼(200)에 결합되어 드럼(20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400)가 캐비닛(100)의 내부, 예컨대 베이스부(105) 등에 마련되는 경우, 베이스부(105)의 공기공급부(106) 및 히트펌프와 더불어 구동부(400)의 배치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므로 공기공급부(106)와 히트펌프의 배치 구조에 설계적인 제약이 발생될 수 있고, 공간이 협소해져서 각 구성의 크기를 필요한 만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구동부(400)의 구동축(430)과 드럼(200)의 회전축이 서로 분리되고, 이에 따라 구동축(430)으로부터 드럼(20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전달수단, 예컨대 벨트 등이 요구되며, 벨트를 이용하여 드럼(20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면 벨트의 슬립 현상 등에 의해 구동축(43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제어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400)를 드럼(200)의 후방에 배치하여 구동부(400)의 구동축(430)을 드럼(200)의 회전축과 일치시키더라도, 구동부(400)가 캐비닛(100)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구동부(400)의 배치공간 확보를 위해 드럼(200)의 용량이 감소되므로 불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어플레이트(110)에 구동장착부(120)를 마련하고, 구동부(400)가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에서 구동장착부(120)에 결합되므로, 캐비닛(100)에 내부에서 구동부(400)가 제거되어 각 구성의 배치 용이성이 향상되고 드럼(200)의 용량확보에 유리하며, 드럼(200)과 구동부(400)가 직결되므로 구동부(40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제어에 유리하여 드럼(200)의 효율적인 회전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플레이트(110)는 공기유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동부(130)는 내부에서 의류의 건조를 위해 드럼(200) 내부로 제공되기 위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즉, 공기유동부(130)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13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는 유동공간(135)을 포함하는 공기유동부(130)가 도시되어 있다.
공기유동부(130)는 리어플레이트(110)에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조되어 리어플레이트(1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4 내지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기유동부(130)가 리어플레이트(110)의 일체로서 성형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공기유동부(130)가 리어플레이트(110)와 일체로 성형되는 경우, 공기유동부(130)와 리어플레이트(110)간의 결합부위에서 공기가 누출되는 상황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어 유리하다.
또한, 공기유동부(130)는 전면(131)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30)는 전면(131)이 개방되어 내부의 유동공간(135)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동공간(135)을 유동하는 공기는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을 통해 전방으로 유출되어 드럼후면(210)의 공기통과부(230)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 자체가 개방된 형태를 가지므로 전방으로 유출되는 공기의 유동 형성에 유리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기유동부(130)의 전면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전면에 복수의 홀이 형성되거나 상기 전면이 그릴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공기가 전방으로 유출되는 과정에서 홀 외의 부분에 의한 유동 저항이 발생될 수 있고, 드럼후면(210)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 자체가 전체로서 개방됨에 따라, 유동공간(135)을 유동하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전방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서는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 중 일부만을 개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유동부(130)는 내부에 상기 유동공간(135)이 형성되도록 상기 리어플레이트(1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공기유동부(130)는 리어플레이트(1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131)이 개방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30)는 리어플레이트(110)와 별도로 제작되어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면상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 14 내지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리어플레이트(110)의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되어 공기유동부(130)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유동부(130)가 리어플레이트(11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후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유동공간(135)이 형성됨에 따라, 캐비닛(100) 내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드럼(200)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유동부(13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110)가 절곡되거나 휘어지면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전방으로 개방되는 상기 유동공간(135)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유동부(130)는 리어플레이트(110)의 일부로서 마련될 수 있다. 즉, 리어플레이트(110)의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되어 공기유동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어플레이트(110)의 프레싱 공정 등을 통해 리어플레이트(110)의 일부, 예컨대 구동장착부(120)의 둘레 외측을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함으로써, 공기유동부(130)가 리어플레이트(110)와 일체로 성형되어 유동공간(135)에서 공기가 누출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공기유동부(130)를 별도로 제작하여 리어플레이트(110)에 결합하는 경우, 공기유동부(130)의 제조 공정, 공기유동부(130)의 결합 공정 및 공기유동부(130)와 리어플레이트(110)간의 실링 공정 등이 필요하고,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어플레이트(110)의 가공 과정에서 공기유동부(130)를 리어플레이트(110)의 일부로서 성형함으로써 위와 같은 제조 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유리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공기유동부(130)는 유동내주면(133), 유동외주면(134) 및 유동함몰면(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유동부(130)는 구동장착부(120)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고,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유동내주면(133)은 리어플레이트(11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고, 유동공간(135)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동내주면(133)은 환형으로 마련되어 구동장착부(120)를 둘러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유동내주면(133)은 리어플레이트(1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구동부(400)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동내주면(133)의 구체적은 단면 형상은 구동장착부(12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유동외주면(134)은 리어플레이트(110)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유동공간(135)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동외주면(134)은 유동내주면(133)과 이격되어 상기 유동내주면(133)과의 사이에 유동공간(135)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동외주면(134)은 환형으로 마련되는 공기유동부(13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유동 내주면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폐단면을 형성하거나 일측이 개방되어 후술할 유입연장부(138)의 유입둘레부와 연결될 수 있다.
연장함몰면(1383)은 드럼후면(210)의 후방에 위치되며,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연장함몰면(1383)의 내측 둘레는 유동내주면(133)과 연결되고 외측 둘레는 유동외주면(134)과 연결되어 유동공간(135)의 정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장함몰면(1383)은 전방에 드럼후면(210)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드럼후면(210)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장함몰면(1383)은 후술할 공기통과부(230)를 마주할 수 있으며, 연장함몰면(1383)은 개방된 전면(131)을 통해 공기통과부(230)를 직접 마주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유동부(130)는 리어플레이트(110)의 일부가 후방으로 절곡되거나 휘어지며 성형될 수 있고, 유동내주면(133), 유동외주면(134), 유동함몰면(132) 및 개방된 전면(13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동내주면(133), 유동외주면(134) 및 유동함몰면(132)에 의해 정의되는 유동공간(135)이 개방된 전면(131)을 통해 드럼후면(210)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돌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동부(130)는 상기 후방돌출부(14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돌출부(140)는 리어플레이트(1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방돌출부(140)는 별개로 제조되어 리어플레이트(110)에 결합되거나, 도 14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플레이트(110)의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되어 후방돌출부(140)가 형성될 수도 있다.
후방돌출부(14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은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캐비닛(100)의 내부공간은 후방돌출부(140)가 리어플레이트(1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만큼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어플레이트(110)에 후방돌출부(140)가 마련됨에 따라, 제한된 캐비닛(100)의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나아가 드럼(200)의 후방에서 공간이 증가됨에 따라 드럼(200)의 크기 및 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방돌출부(140)는 후방외주면(148) 및 후방돌출면(149)을 포함할 수 있다. 후방외주면(148)은 상기 리어플레이트(1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후방돌출부(140)를 둘러싸고, 후방돌출면(149)은 상기 후방돌출부(140)의 후방측에서 상기 후방외주면(148)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동부(130)는 상기 후방돌출면(149)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외주면(148)은 리어플레이트(110)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방돌출부(140)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후방외주면(148)은 후방돌출부(140) 내부의 공간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4 내지 16을 살펴보면, 리어플레이트(110)는 후방돌출부(140) 외측에 위치되는 리어기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기준면은 평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후방돌출부(14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기준면은 후방돌출부(140) 및 공기유동부(130)의 위치를 정의하기 위한 기준이 될 수 있다.
후방외주면(148)은 리어플레이트(110)의 리어기준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다. 후방외주면(148)은 후방돌출부(14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후방외주면(148)은 후방돌출부(140) 내부의 공간을 둘러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후방외주면(148)은 폐단면을 형성하는 환형으로 마련되거나, 상기 환형에서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후방외주면(148)은 공기유동부(1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에서 바라볼 때, 후방외주면(148)은 공기유동부(130)의 유동외주면(134)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공기유동부(130) 및 유입연장부(138)를 둘러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편, 후방돌출면(149)은 리어기준면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리어기준면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후방돌출면(149)은 후방외주면(148)과 연결되고, 후방돌출부(140) 내부의 공간을 후방에서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30)는 후방돌출부(14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며, 따라서 공기유동부(130)의 연장함몰면(1383)은 후방돌출부(140)의 후방돌출면(149)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30)의 유동외주면(134)은 공기유동부(13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외주면(148)과 동일하거나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유동외주면(134)은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유동내주면(133)은 후방외주면(148)보다 내측에 위치되며,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유동내주면(133) 및 유동외주면(134)이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동일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어플레이트(110)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돌출부(140)가 마련됨에 따라 드럼(200)의 후방으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드럼(200)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후술할 내용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후면(210)의 적어도 일부가 드럼(20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드럼(200) 내부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방돌출부(140)의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공기유동부(130)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드럼(200)의 적어도 일부가 후방돌출부(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드럼후면(210)에 공기유동부(130)의 공기가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장착부(120)는 리어플레이트(1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후방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상기 후방돌출부(14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기통과부(23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후방돌출부(140)의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후방돌출부(140)에서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장착측면부(124) 및 후방돌출면(149)보다 전방에 위치되어 장착측면부(124)와 연결되는 장착전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측면부(124)는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연장될 수 있고, 구동장착부(12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장착측면부(124)는 구동장착부(120)의 둘레면을 형성할 수 있다. 장착측면부(124)는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에서 구동장착부(120)에 결합되는 구동부(400)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측면부(124)는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측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전면부(122)는 상기 공간을 전방에서 차폐할 수 있다.
장착전면부(122)는 후방에서 구동부(400)가 결합되고, 전방에서 전술한 장착브라켓(126)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장착부(120)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이 후방으로 개방되어 구동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결합됨으로써, 리어플레이트(110)에서 구동부(400)가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구동부(400)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후방돌출부(14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이 경우 장착전면부(122)는 리어기준면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플레이트(110)는 공기유동부(130)로부터 연장되는 유입연장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연장부(138)는 리어기준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방돌출부(140)의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14 내지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유입연장부(138)가 도시되어 있다. 유입연장부(138)는 내부에 연장공간(1381)이 형성되도록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장공간(1381)은 공기유동부(130)의 유동공간(135)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유입연장부(138)는 연장함몰면(1383) 및 연장둘레면(1385)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함몰면(1383)은 연장공간(1381)의 후방에서 상기 연장공간(1381)을 차폐할 수 있다. 연장함몰면(1383)은 유동함몰면(13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즉, 연장함몰면(1383)과 유동함몰면(132)은 후방돌출면(149)의 후방에 위치되는 하나의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둘레면(1385)은 연장공간(1381)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장함몰면(1383)은 연장둘레면(1385)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연장둘레면(1385)은 공기유동부(130)의 유동외주면(134)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유동외주면(134)은 공기유동부(130)와 유입연장부(138)의 사이에서 개방된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유동외주면(134)은 일측과 타측 사이가 개방되어 유동공간(135)과 연장공간(1381)이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동둘레면은 유동외주면(134)의 상기 일측 및 상기 타측과 연결되며 연장공간(138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유동둘레면은 유동외주면(134)과 함께 공기유동부(130) 및 유입연장부(138)를 포함하는 하나의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유동둘레면이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유동외주면(134)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플레이트(110)는 후방돌출부(140) 및 공기유동부(130)가 형성되면서 측방에서 바라볼 때 단차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6에는 후방돌출부(140) 및 공기유동부(130) 등에 의해 단차진 리어플레이트(110)의 단면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유동부(130)에는 공기유도부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30)는 유동공간(135) 내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유동공간(135)에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도부는 공기유동부(130)에서 유동공간(135)을 향하는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공기유도부는 공기유동부(130)의 유동내주면(133), 유동외주면(134) 또는 유동함몰면(132)에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도부는 유출유도부(136) 및 유입유도부(13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 내지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기유동부(130) 내부에 마련되는 유출유도부(136) 및 유입유도부(137)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유출유도부(136)는 유동함몰면(132)으로부터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을 향해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유출유도부(136)는 유동함몰면(132)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공기유동부(13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4 내지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동함몰면(132)과 일체로 성형되는 유출유도부(136)가 도시되어 있다. 유출유도부(136)는 유동함몰면(132)의 일부가 개방된 전면(131), 즉 드럼후면(210)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출유도부(136)는 유동공간(135)에서 드럼후면(210)을 향해 돌출되고, 이에 따라 유동공간(135)을 유동하는 공기는 유출유도부(136)를 지나면서 드럼후면(210)을 향한 상승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동부(130)는 유입연장부(138)와 연결되는 공기공급부(106)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공간(135)에서 상기 공기가 유동하게 되며, 공기유동부(130) 내에 유출유도부(136)가 마련됨에 따라 공기의 유량 또는 유압이 부족한 부분에서 드럼후면(210)을 향한 공기 유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드럼후면(210)에 공급되는 공기의 균일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출유도부(136)는 유동함몰면(132)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유동함몰면(132)이 절곡되거나 휘어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출유도부(136)는 유동함몰면(132)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유동내주면(133) 및/또는 유동내주면(133)과 연결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유동공간(135)에서 유출유도부(136)는 유동내주면(133), 유동외주면(134) 및 유동함몰면(132)과의 사이에서 이격된 부분없이 마련됨으로써, 유출유도부(136)는 지나가는 공기를 전체로서 효과적으로 전방, 즉 드럼후면(210)을 향해 유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동함몰면(132), 유동내주면(133) 및 유동외주면(134)의 절곡되거나 휘어지면서 유출유도부(136)가 형성됨에 따라, 유출유도부(136)를 형성하는 데에 별도의 공정없이 리어플레이트(110)의 성형 공정만으로 유출유도부(136)가 형성될 수 있어 제조효율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유출유도부(136)는 유동공간(135)에서 공기유동부(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유도중앙부 및 유도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중앙부는 유출유도부(136)에서 최대로 돌출되는 부분을 포함하고, 유도경사부는 유도중앙부로부터 공기유동부(13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유도중앙부는 유출유도부(136)에서 최대로 돌출된 부분에 해당될 수 있으며, 유출유도부(136)가 마련되지 않은 유동함몰면(132) 또는 리어기준면 또는 드럼후면(210)과 나란한 일면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경사부는 유도중앙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유동함몰면(132)에서의 돌출된 높이가 점차 감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유도경사부는 유도중앙부로부터 유동함몰면(132)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유도경사부는 공기유동부(13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유동중앙부의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유도경사부는 유도중앙부로부터 공기유동부(130)의 둘레방향을 따른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각각 연장될 수 있고, 유도중앙부는 한 쌍의 유도경사부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출유도부(136)는 중앙의 유도중앙부로부터 멀어지며 돌출된 높이가 감소하는 유도경사부가 마련됨에 따라, 유출유도부(136)를 경유하는 공기가 유출유도부(136)에 충돌하여 난류성 유동을 형성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며 공기의 전방 유동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출유도부(136)는 제1유출유도부 및 제2유출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에는 제1유출유도부 및 제2유출유도부가 마련되는 공기유동부(130)가 도시되어 있다.
제1유출유도부는 환형으로 마련되는 공기유동부(130)의 중앙을 기준으로 공기공급부(106) 또는 유입연장부(138)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유출유도부는 구동장착부(120)를 기준으로 공기공급부(106) 또는 유입연장부(138)의 반대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유동부(130) 또는 유동공간(135)은 환형으로 마련되어 공기공급부(106)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유동하게 되며, 상기 공기공급부(106)가 공기유동부(130)의 일측에 위치됨에 따라, 공기는 공기유동부(130)의 둘레방향 중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분리되어 유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입연장부(138)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제1연장유로로 정의할 수 있고,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제2연장유로로 정의할 수 있다.
즉, 공기유동부(130)는 유입연장부(138)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유로 및 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유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는 유입연장부(138)의 반대측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는 함께 환형의 공기유동부(130)를 이룰 수 있다.
유입연장부(138)에 위치되는 공기공급부(106)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는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를 따라 유동하게 되며, 공기유동부(1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유입연장부(138)의 반대측에서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를 각각 유동하는 공기가 서로 만나게 된다.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서로 반대되는 유동방향을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유동부(130)에서 공기공급부(106)의 반대측에는 서로 대향하는 유동방향을 가지는 공기가 서로 부딪히게 되며, 이에 따라 스톨 및 소음이 발생될 수 있으며 드럼후면(210)을 향하는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데에 불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유동부(130)에서 유입연장부(138)의 반대측에 제1유출유도부를 배치함으로써, 서로 대향하는 공기가 제1유출유도부에서 드럼후면(210)을 향해 유동되도록 하고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부딪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도 14에는 제1유출유도부가 유입연장부(138)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1유출유도부의 위치는 팬덕트부(108)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이나 공기유동부(130)의 구체적인 설계에 따라 구체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1유출유도부는 유동함몰면(132)으로부터 돌출된 높이가 공기유동부(130)의 깊이와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유출유도부의 돌출된 높이는 유동내주면(133) 또는 유동외주면(134)이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유출유도부의 돌출된 높이는 공기유동부(130)의 유동공간(135)의 깊이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유출유도부가 유동공간(135)의 둘레방향에서 바라본 유동공간(135)의 단면을 전체로서 차폐하도록 마련됨에 따라, 상기 제1유출유도부에서 서로 대항하는 유동방향을 가지는 공기가 서로 부딪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공기의 전방 유동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제2유출유도부는 공기유동부(13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제1유출유도부와 유입연장부(13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2유출유도부는 제1연장유로 및/또는 제2연장유로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유출유도부는 유동공간(135)을 유동하는 공기가 드럼후면(210)을 향해 유동하도록 공기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유출유도부는 공기유동부(130)에서 상대적으로 드럼(200)을 향한 공기 유동이 적거나 약한 부분에 마련되어 공기유동부(130) 전체의 공기 유출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유출유도부는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에 각각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고, 제1연장유로 또는 제2연장유로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연장유로에 제2유출유도부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송풍부(107)의 송풍팬(1071)에 의해 팬덕트부(108)로부터 유동공간(135)으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고, 송풍부(107)는 송풍팬(1071)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송풍부(107)는 송풍팬(1071)에 의한 공기의 토출이 용이하도록 송풍팬하우징에서 송풍팬(1071)의 접선방향에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며, 팬덕트부(108)는 상기 개구에 연결되어 송풍팬(1071)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팬덕트부(108)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송풍팬(1071)의 접선방향과 나란한 유동방향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송풍팬(1071)의 접선방향 중 어느 하나에 집중되어 토출되고 상기 어느 하나로부터 멀어질수록 유량이 감소되는 토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팬덕트부(108)는 공기의 토출방향이 구조적으로 정해질 수 있고, 상기 토출방향은 공기유동부(130)의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 중 어느 하나에 더 가깝게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팬덕트부(108)로부터 유동공간(135)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다양한 원인으로 어느 일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고, 따라서 환형을 가지는 공기유동부(130)의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 각각에 동일한 공기 유량이 제공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공급부(106)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유량이 적은 연장유로에 제2유출유도부를 배치함으로써,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에서 전방으로 유출되는 공기 유량의 편차를 줄이고 공기유동부(130) 전체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균일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라 공기유동부(130)의 둘레방향 중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대략 공기공급부(106)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유로에 팬덕트부(108)가 더 많은 공기 유량을 제공하며, 제2연장유로에는 제2유출유도부가 마련되어 부족한 공기 유량을 보완하고 드럼후면(210)을 향해 유출되는 공기량을 향상시킨 공기유동부(130)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연장유로에도 제2유출유도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에는 복수의 제2유출유도부가 마련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제2연장유로에 배치되는 제2유출유도부의 수는 제1연장유로에 배치되는 제2유출유도부의 수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유출유도부의 구체적인 위치 및 개수의 결정은 유동공간(135)을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해석이나 드럼후면(21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균일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유동부(130)의 공기유도부는 유입유도부(137)를 포함할 수 있고, 유입유도부(137)는 팬덕트부(108)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유입유도부(137)는 공기유동부(130)의 내부에서 상기 팬덕트부(108) 또는 유입연장부(138)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팬덕트부(108)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이분하여 유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팬덕트부(108)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다양한 이유로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 중 어느 하나에 집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공기 유량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팬덕트부(108)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제1연장유로에 집중될 수 있고, 제2연장유로에는 비교적 적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유동부(130)에 상기 팬덕트부(108)를 향해 돌출되는 유입유도부(137)를 마련하고, 상기 유입유도부(137)를 통해 상기 제1연장유로를 향하는 공기의 일부가 제2연장유로를 향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의 공기유량 편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유입유도부(137)는 공기유동부(130)의 중앙과 팬덕트부(108)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유입유도부(137)는 팬덕트부(108)를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공기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유입유도부(137)는 유동함몰면(132)상에 마련되거나 유동내주면(133)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동내주면(133)에서 팬덕트부(108)를 마주하는 부분에 유입유도부(137)가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유입유도부(137)는 독립적으로 제조되어 유동내주면(133)상에 결합되거나, 유동내주면(133)의 일부가 팬덕트부(108)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에는 유동내주면(133)에서 팬덕트부(108)를 향하는 일부가 팬덕트부(108)에 가깝도록 돌출되어 유입유도부(137)가 형성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동내주면(133)의 일부가 팬덕트부(108)를 향해 돌출되도록 절곡되거나 휘어지며 상기 유입유도부(137)를 형성함으로써, 리어플레이트(110)의 성형 공정 외에 별도의 공정없이 유입유도부(137)가 마련될 수 있어 제조상 유리하다.
도 14를 참고하면, 유동내주면(133)은 유입유도부(137)를 이루는 영역에서 대략 직선으로 연장되고, 나머지 영역에서 대략 원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유동내주면(133)은 유입유도부(137)의 돌출된 단부를 향할수록 뾰족해지는 유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입유도부(137)는 팬덕트부(108)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가르며 난류성 유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는 유동내주면(133) 및 유동외주면(134)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고, 제1연장유로의 일부는 유입유도부(137)와 유동외주면(134)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으며, 제2연장유로의 일부는 유입유도부(137)와 유동외주면(134) 사이에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 각각에서 팬덕트부(108)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영역은 유입유도부(137)와 유동외주면(1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유입유도부(137)는 제1연장유로의 유입영역이 가지는 폭이 제2연장유로의 유입영역이 가지는 폭보다 더 좁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연장유로의 유입영역은 유입유도부(137)에 의해 제2연장유로의 유입영역보다 좁은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폭은 유입유도부(137)와 유동외주면(134) 사이의 거리로 이해될 수 있다.
유입유도부(137)는 돌출된 단부가 팬덕트로부터 토출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유동방향을 제2연장유로측으로 유도하여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의 공기 유량 균일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제1연장유로의 유입영역 폭이 제2연장유로의 유입영역 폭보다 좁아지도록 함으로서 제1연장유로로 유입되는 공기 유량을 줄이고 제2연장유로로 유입되는 공기 유량을 증가시켜 전체 유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다만, 팬덕트부(108) 및 송풍부(107)의 특성에 따라 유입유도부(137)의 돌출된 방향이나 제1연장유로 및 제2연장유로의 폭 조절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7에는 리어플레이트(110)의 전방으로 이격시킨 드럼(2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드럼(200)의 내부를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200)은 리어플레이트(110)의 전방에 위치되며, 리어플레이트(110)의 공기유동부(13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는 드럼후면(210)을 통과하여 드럼(200) 내부로 제공될 수 있다.
드럼(200)은 전방측에 드럼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드럼개구를 둘러싸는 드럼(200)전방부를 포함하며, 드럼(200)전방부는 프론트플레이트(10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드럼(200)전방부의 후방에는 드럼(200)의 내부를 둘러싸는 드럼둘레면(290)이 위치될 수 있다. 드럼둘레면(290)은 드럼(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전단이 드럼(200)전방부와 결합되거나 상기 전단에 드럼(200)전방부가 일체로 마련될 수도 있다.
드럼둘레면(290)에 의해 둘러싸이는 드럼(200)의 내부 공간에는 프론트플레이트(102)의 의류개구(1021)를 통해 투입되는 의류가 수용될 수 있으며, 드럼둘레면(290)에서 드럼(200)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에는 드럼(200)의 회전 시 의류를 리프팅하기 위한 의류리프터(280)가 마련될 수 있다.
드럼둘레면(290)의 후방에는 드럼후면(210)이 마련될 수 있고, 드럼후면(210)은 드럼둘레면(290)과 일체로 성형되거나 별도로 제작되어 드럼둘레면(290)과 결합될 수 있다.
드럼후면(210)은 공기유동부(130)로부터 유출되어 드럼(200) 내부를 향하는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과부(230)를 포함하며, 구동부(400)와 연결되는 구동연결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는 드럼후면(210)이 공기유동부(130) 전방에 위치되는 배치관계가 나타나 있고, 도 18에는 드럼후면(210)에 마련되는 공기통과부(230) 및 구동연결부(220)가 나타나 있다.
한편, 도 19에는 드럼(200)에서 분리한 드럼후면(210)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에는 드럼후면(210)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21에는 드럼후면(210)의 단면을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9 내지 2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후면(210)은 상기 구동장착부(120)를 마주보며 상기 구동부(400)와 연결되는 구동연결부(220) 및 상기 구동연결부(220)를 둘러싸며 상기 공기유동부(130)에서 제공되는 공기가 통과되어 상기 드럼(2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통과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는 구동장착부(120)의 전방에 위치되어 구동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구동축(430)이 구동장착부(120)를 관통하며 연장되어 구동연결부(220)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드럼후면(210)의 중앙측에 위치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에 연결되는 구동축(430)은 드럼후면(210)의 중앙에서 구동연결부(220)와 연결되어 드럼(200)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30)는 공기유동부(130)의 전방에 위치되며, 공기유동부(130)에서 제공되는 공기는 공기통과부(230)의 적어도 일부를 통과하여 드럼(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30)는 구동연결부(220)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통과부(230)는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을 차폐하며, 공기유동부(13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가 공기통과부(230)로 유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유동부(130)는 전면(131)이 개방되고, 개방된 상기 전면(131) 전체에서 공기가 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을 개방함으로써 공기유동부(130)의 전체 두께가 감소되어 드럼(200)의 후방으로 드럼(200) 내부의 공간을 확장하는 데에 유리하고, 공기유동부(130)로부터 공기통과부(230)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저항이 최소화되며 공기통과부(230)로 공급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30)는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을 전방에서 차폐할 수 있다. 즉,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은 공기통과부(230)에 의해 직접 차폐됨으로써 공기유동부(130)로부터 유출된 공기가 공기통과부(230)에 제공되는 것에 유리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을 개방하고, 드럼후면(210)의 공기통과부(230)가 직접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상에 배치됨으로써, 드럼(200) 내부로 공급되기 위한 공기의 유동 저항이 최소화되고, 공기유동부(130)에서 유출되는 공기의 유동손실 및 유량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유동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동공간(135)의 후방을 차폐하는 유동함몰면(132)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통과부(230)는 상기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상기 전면(131)을 통해 상기 유동함몰면(132)을 직접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동함몰면(132)과 공기통과부(230)는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고, 공기유동부(130)는 전면(131)이 개방되므로 공기통과부(230)와 유동함몰면(132)은 서로 직접 마주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통과부(230)는 상기 드럼후면(2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통과부(230)는 상기 드럼후면(2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상기 전면(131)을 차폐할 수 있다.
드럼후면(210)은 전체로서 후방으로 돌출되거나, 공기통과부(230)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가 나머지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공기통과부(230)는 드럼후면(210)에서 드럼둘레면(290)과 결합되는 둘레연결부(240) 또는 구동부(400)가 연결되는 구동연결부(220)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드럼후면(2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내부에는 드럼(200) 내부 공간의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200)은 구동부(400)의 의해 회전하며, 드럼(200)의 회전에 대한 구조적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리어플레이트(110)로부터 소정의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상에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그릴면 등이 마련되는 경우, 상기 그릴면의 두께만큼 드럼(200)과의 사이에서 공간이 소비되고, 나아가 드럼(200) 회전을 위해 공기통과부(230)는 그릴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이 전체로서 개방될 수 있고, 따라서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상에 그릴면 등이 마련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공기통과부(230)가 드럼후면(210)으로부터 상기 그릴면의 두께만큼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그릴면과의 이격거리 확보가 필요없게 되어 후방으로 돌출되기 더욱 유리하다.
드럼(200)은 공기통과부(230)가 후방으로 돌출되는 만큼 내부 공간이 확장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후면(210)으로부터 공기통과부(230)로 후방으로 돌출되어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을 차폐함으로써, 드럼(200) 내부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이 개방됨에 따라 드럼(200)의 회전 시 드럼후면(210)과 리어플레이트(110)간의 구조적 간섭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9 내지 2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드럼후면(2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공기통과부(23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2에는 드럼후면(210)과 리어플레이트(110)를 측방에서 바라본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3에는 도 22에서 공기유동부(130) 및 공기통과부(230)를 확대하여 나타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2 및 2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통과부(2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어플레이트(110)에 삽입되어 상기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상기 전면(131)을 차폐할 수 있다.
드럼후면(21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공기통과부(230)는 리어플레이트(110)의 내부에 정의되는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리어플레이트(110)는 전술한 후방돌출부(140) 또는 공기유동부(130)에 의해 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공기통과부(230)가 전방으로부터 상기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30)는 공기유동부(1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공기유동부(130)의 유동공간(135)에 삽입되거나, 전술한 후방돌출부(140) 내부에 삽입되어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을 차폐할 수 있다.
도 22 및 2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기통과부(230)가 후방돌출부(14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을 전방에서 차폐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공기통과부(230)는 직접 공기유동부(130)에 삽입되거나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며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을 전방에서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후면(210)에서 공기통과부(230)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됨으로써 드럼(200) 내부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고, 공기통과부(230)가 리어플레이트(110)의 내부, 예컨대 후방돌출부(140) 또는 공기유동부(130)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전후방향(X)에 따른 캐비닛(100)의 전장을 최소화하면서 캐비닛(100)의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나아가, 드럼(200) 내부로 제공되기 위한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과부(230)가 리어플레이트(110) 내부에 삽입되어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상에 배치됨으로써, 공기통과부(230)와 공기유동부(130)의 상기 개방된 전면(131)간의 거리가 최소화되어 공기통과부(230)의 공기 유입 성능이 효과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리어플레이트(110)의 구동장착부(120)는 공기유동부(130)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리어플레이트(1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리어플레이트(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공기통과부(230)는 환형을 가지며 상기 구동장착부(12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드럼후면(210)에서 공기통과부(230)는 구동연결부(220)보다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구동연결부(220)는 공기통과부(230)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드럼후면(2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후방에서 구동부(400)가 결합되고, 전방에 구동연결부(220)가 위치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적어도 일부가 구동연결부(220)의 후방에서 구동연결부(2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후면(2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리어플레이트(110) 내부로 삽입되는 공기통과부(230)는 구동장착부(12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는 구동부(400)의 전방에 위치되는 연결전면부(222) 및 구동연결부(220)의 내부를 둘러싸는 연결측면부(226)를 포함할 수 있고, 연결측면부(226)는 공기통과부(230)의 내주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구동연결부(220)의 연결측면부(226)는 구동장착부(120)의 둘레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통과부(230)는 상기 구동연결부(220)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기유동부(130)의 상기 전면(131)을 차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통과부(230)는 드럼후면(210)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구동연결부(220)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연결부(220)는 후술할 내용과 같이 드럼후면(210)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연결부(220)는 공기통과부(230)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드럼(200)은 상기 드럼후면(210)의 전방에서 상기 드럼후면(210)과 연결되는 드럼둘레면(290)을 포함하고, 상기 드럼후면(210)의 테두리에는 상기 드럼둘레면(290)과 연결되는 둘레연결부(240)가 마련되며, 상기 공기통과부(230)는 상기 둘레연결부(240)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기유동부(130)의 상기 전면(131)을 차폐할 수 있다.
도 22 및 23을 참고하면, 드럼후면(210)의 테두리는 드럼둘레면(290)과 결합되는 둘레연결부(240)가 마련될 수 있다. 둘레연결부(240)에서 드럼둘레면(290)이 결합되는 방식을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둘레연결부(240)는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드럼둘레면(290)의 후단과 결합될 수 있고, 도 22 및 23에 도시된 것처럼 둘레연결부(240)는 드럼둘레면(290)과 함께 감겨지면서 기구적으로 상기 드럼둘레면(290)과 결합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30)는 둘레연결부(240)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드럼후면(210)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30)는 둘레연결부(24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공기통과부(230)의 둘레를 감싸는 통과외주면(238)을 포함할 수 있고, 공기통과부(230)의 후방측에서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을 마주하는 공기통과면(239)을 포함할 수 있다.
통과외주면(238)은 공기통과부(230)의 외주면에 해당할 수 있다. 공기통과부(230)는 구동연결부(220)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통과외주면(238)은 드럼둘레면(29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공기통과부(230)의 내부공간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통과면(239)은 외측 둘레가 통과외주면(238)의 후단과 연결될 수 있고, 환형으로 마련되어 중앙측에 구동연결부(220)가 위치될 수 있다. 공기통과면(239)은 공기가 통과되기 위한 복수의 통기홀(234)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통과면(239)은 유동함몰면(132)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유동함몰면(13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통과면(239)은 환형으로 마련되어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의 전방에 위치되고 개방된 상기 전면(131)을 전방으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공기통과부(230)의 내주면은 구동연결부(220)의 연결측면부(226)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공기통과면(239)의 내측 둘레는 구동연결부(220)의 연결측면부(226)와 연결되고, 공기통과부(230)의 내부에는 통과외주면(238), 공기통과면(239) 및 연결측면부(226)에 의해 둘러싸이고 드럼(200) 내부를 향해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후면(210)에서 공기통과부(230)는 둘레연결부(240)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공기유동부(130)의 전면(131)을 차폐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리어플레이트(11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통과부(230)가 둘레연결부(240)보다 후방으로 돌출되어 드럼(200)의 내부공간이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고, 공기통과부(230)에 의해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이 효과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통과부(230)는 상기 둘레연결부(240)로부터 절곡되거나 휘어지면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30) 및 구동연결부(220)는 드럼후면(210)의 일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절곡되거나 휘어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통과부(230)는 드럼(200) 내부와 연통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고 구동연결부(220)는 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후면(210)의 일부가 절곡되거나 휘어지며 공기통과부(230) 및 구동연결부(220)가 형성됨으로써, 드럼후면(210)의 성형 공정에서 공기통과부(230) 및 구동연결부(220)가 동시에 성형될 수 있어 제조상 유리할 수 있다. 나아가, 드럼후면(210)에서 공기통과부(230) 및 구동연결부(220)의 결합부위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드럼(200)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리어플레이트(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돌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동부(130)는 상기 후방돌출부(14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장착부(120)는 상기 후방돌출부(14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기통과부(230)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통과부(230)는 상기 드럼후면(2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방돌출부(140)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공기유동부(130)의 상기 전면(131)을 차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리어플레이트(110)는 후방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후방돌출부(140)는 전방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드럼후면(2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공기통과부(23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후방돌출부(140)에 삽입되고, 후방돌출부(140)의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공기유동부(130)는 후방돌출부(140) 내부에 삽입되는 공기통과부(230)의 공기통과면(239)에 의해 개방된 전면(131)이 차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둘레연결부(240)는 상기 공기통과부(230)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드럼(20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후방돌출부(140)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통과부(230)는 통과외주면(238)이 둘레연결부(24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 둘레연결부(240)는 공기통과부(230)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둘레연결부(240)는 통과외주면(238)의 전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둘레연결부(240)는 후방돌출부(140)의 후방외주면(148)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드럼후면(210)은 둘레연결부(240)가 후방돌출부(140)의 전방에 위치되고, 둘레연결부(24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공기통과부(230)의 통과외주면(238)은 후방돌출부(14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둘레연결부(240)는 드럼(20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후방돌출부(140)보다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둘레연결부(240)는 후방돌출부(140)의 후방외주면(148)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드럼(200)은 전후방향(X)을 따라 전장의 길이가 증가되거나 직경이 증가될수록 내부공간이 증가되어 의류 수용량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어플레이트(110)에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돌출부(140)가 형성되고, 드럼후면(210)의 공기통과부(230)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후방돌출부(140) 내에 삽입됨으로써 드럼(200)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드럼후면(210)에서 드럼둘레면(290)과 연결되는 둘레연결부(240)가 후방돌출부(140)에 삽입되면 드럼(200)의 전체 단면적이 후방돌출부(140)의 후방외주면(148)이 이루는 단면적보다 작게 되고, 이는 드럼(200)의 내부공간을 증가시키는데에 불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후면(210)의 둘레연결부(240)다 후방외주면(148)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드럼(200) 내부 용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공기통과부(230)가 드럼후면(210)에서 후방을 돌출 형성됨으로써 드럼(200) 내부 용량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통과부(230)의 상기 통과외주면(238)은 상기 후방돌출부(14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후방외주면(148)을 내측에서 마주볼 수 있다.
통과외주면(238)은 후방외주면(148)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후방돌출부(14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공기통과부(230)의 통과외주면(238)은 후방외주면(148)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통과외주면(238)은 드럼후면(210)의 일부에 해당되어 드럼(200)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후방외주면(148)은 통과외주면(238)과의 물리적 간섭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통과외주면(238)으로부터 드럼(2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후방돌출부(140)는 후방외주면(148)이 드럼후면(210)의 통과외주면(238)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연장되는 후방둘레영역과, 상기 통과외주면(238)과의 이격거리가 상기 후방둘레영역보다 증가되는 확장둘레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0)은 내부에는 드럼(200) 및 다양한 구성이 배치되고, 따라서 캐비닛(100)의 내부공간은 상기 다양한 구성을 배치하는 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방돌출부(140)는 전방에서 공기통과부(230)가 삽입되고 공기유동부(130) 및 유입연장부(138)가 후방으로 돌출되기 위한 후방둘레영역과, 상기 공기통과부(230) 외에 다양한 장치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확장둘레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는 후방돌출부(140)가 도시되어 있으며, 공기유동부(130)의 유동외주면(134)으로부터 후방외주면(148)이 제1거리만큼 외측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후방둘레영역과, 상기 유동외주면(134)으로부터 제1거리보다 큰 거리만큼 외측으로 이격되어 연장되는 확장둘레영역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서 확장둘레영역은 후방돌출부(140)의 측방향(Y) 일측의 상부 및 하부에 마련된 모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확장둘레영역의 구체적인 위치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캐비닛(100)의 내부로부터 인출되는 연장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연장홀을 포함하는 확장둘레영역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재는 집수부(1065)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방돌출부(140)를 형성함으로써 캐비닛(100)의 내부공간을 효과적으로 확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드럼(200)의 용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며 다양한 구성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통과부(230)의 공기통과면(239)은 상기 공기통과부(230)의 후방측에서 상기 통과외주면(238)과 연결되며 상기 후방돌출부(14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공기통과면(239)은 상기 후방돌출면(149)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상기 전면(131)을 차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통과면(239)은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 또는 유동함몰면(132)과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고, 공기통과부(230)는 후방돌출부(14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공기통과면(239)이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2 및 23을 참고하면, 공기통과부(230)는 후방돌출부(140)의 후방외주면(148)이 통과외주면(238)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후방돌출부(140) 내부로 삽입되고, 공기통과면(239)은 공기유동부(130)의 전방에 위치되어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에서 유출되는 공기가 직접 공기통과면(239)을 통과하여 드럼(200) 내부로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통과면(239)은 드럼후면(210)의 일부로서 드럼(20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고, 따라서 공기통과면(239)은 공기유동부(130)의 전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통과면(239)이 후방돌출부(140) 내부로 삽입되어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되어 공기의 유량손실 및 유동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후방돌출부(140)의 후방돌출면(149)과 공기통과면(239) 사이에는 전술한 리어실러(300), 즉 공기유동부(130)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내측실러(310) 및 공기유동부(130)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외측실러(320)가 배치되어 후방돌출면(149)과 공기통과면(239) 사이에서 외부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유동부(130)는 상기 후방돌출면(149)에서 후방으로 함몰되는 유동함몰면(132)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공간(135)은 상기 유동함몰면(132)과 상기 공기통과면(239)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동공간(135)은 전방으로 공기통과면(239)을 직접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기통과부(230)에 마련되는 통기부(232)가 도시되어 있다. 도 24를 참고하면, 상기 공기통과부(230)는 통기부(23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통기부(232)는 공기가 통과되는 복수의 통기홀(234)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통과면(239)에서 상기 유동공간(135)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공기통과면(239)은 전체로서 통기부(232)에 해당하거나, 일부영역에 상기 통기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통과면(239)은 전체에서 공기가 통과되도록 마련되거나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부(232)에 해당되는 일부 영역에서만 공기가 통과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통기부(232)는 공기유동부(130)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복수의 통기홀(234)을 통해 드럼(200)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기부(232)는 상기 공기통과부(230)에서 상기 유동공간(135)을 향해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통기부(232)는 공기통과면(239)보다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공기유동부(130)의 유동공간(135)에 삽입되거나 개방된 전면(13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통과면(239)은 드럼후면(210)의 일부로서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후방돌출부(140)의 후방돌출면(149)과 접촉이 방지되도록 상기 후방돌출면(149)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필요가 있다.
한편, 공기통과부(230)에서 공기가 통과되는 통기부(232)가 공기유동부(130)의 유동공간(135)에 인접할수록 공기의 유동손실 및 유량손실을 최소화하는 데에 유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통과면(239)으로부터 통기부(232)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공기유동부(130)와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통과면(239)은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드럼(20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공기통과면(239)의 폭은 공기유동부(130)의 폭보다 더 넓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통과면(239)과 후방돌출면(149) 사이에서 리어실러(30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등 공기통과부(230) 외측으로의 공기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통기부(232)는 후방돌출면(149)과의 관계에서 후방 돌출에 대한 제한을 가지는 공기통과면(239)으로부터 통기부(232)가 추가적으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통과되는 통기부(232)와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간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통기부(232)는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의 전방에 위치되거나, 상기 개방된 전면(131)상에 위치되거나, 상기 개방된 전면(131)을 통과하여 적어도 일부가 유동공간(135)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통과면(239)에서 공기가 직접 통과되는 통기부(232)가 상기 공기통과면(239)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통기부(232)와 공기유동부(130)간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고 공기유동부(130)의 공기가 통기부(232)에 효율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기부(232)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공기통과부(230) 상기 공기통과면(239)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기부(232)는 복수의 통기홀(234)을 포함하며, 따라서 공기통과면(239)에서 통기부(23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보다 통기부(232)의 강성이 더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통과면(239) 전체에 통기홀(234)을 형성하지 않고, 통기홀(234)을 포함하는 영역에 해당되며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상에 위치되는 통기부(232)를 복수로 마련하고, 복수의 통기부(232)를 서로 이격 배치함으로써, 통기부(232)를 포함하는 공기통과면(239)의 전체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통기부(232)는 공기유동부(130)의 유동내주면(133)과 유동외주면(1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드럼(20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통기부(232)의 너비는 공기유동부(130) 또는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보다 작게 마련되어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통과부(230)는 상기 통기부(232)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통기부(232)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는 보강리브(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통과부(230)는 전술한 공기통과면(239)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통기부(232)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강리브(236)는 통기홀(234)이 배제되며, 따라서 통기부(232)와의 관계에서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한편, 공기통과부(230)는 드럼후면(210)에서 드럼(200)과 구동축(430)이 연결되는 구동연결부(220)와 높은 하중을 가지는 드럼둘레면(290)이 결합되는 둘레연결부(240) 사이에서 상기 구동연결부(220)와 상기 둘레연결부(240)를 연결하는 영역일 수 있다.
복수의 통기홀(234)이 형성되는 공기통과면(239)은 드럼후면(210)에서 나머지 부분 대비 강성이 더 낮아지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통과면(239)은 통기부(232)를 제외한 영역에서 보강리브(236)가 형성되어 공기통과면(239) 전체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둘레연결부(240)와 구동연결부(220) 사이를 견고히 연결할 수 있다.
보강리브(236)는 통기부(232)와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보강리브(236)는 공기통과면(239)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통기부(232)에 의해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이거나, 공기통과면(239)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통기부(232)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보강리브(236)는 후면보강리브(2362), 내측보강리브(2364) 및 외측보강리브(236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럼후면(210)에 마련되는 후면보강리브(2362), 내측보강리브(2364) 및 외측보강리브(2366)가 도시되어 있다.
후면보강리브(2362)는 상기 복수의 통기부(23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통기부(232)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통기부(232)는 드럼(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후면보강리브(2362)는 드럼(200)의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통기부(232)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다. 후면보강리브(2362)의 구체적인 형상은 통기부(232)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4에는 드럼후면(210)을 전방에서 바라볼 때 공기통과면(239)으로부터 후방으로 만입되는 통기부(232)가 도시되어 있으며, 통기부(232)와의 상대적인 관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후면보강리브(2362)가 드럼(20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복수의 통기부(232) 사이에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내측보강리브(2364)는 상기 통기부(232)와 상기 구동연결부(22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통기부(232)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드럼(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내측보강리브(2364)는 공기통과면(239)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환형으로 마련되어 구동연결부(220)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통과부(230)의 돌출된 내주면은 구동연결부(220)의 연결측면부(226)에 대응될 수 있고, 따라서 내측보강리브(2364)는 연결측면부(226)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측보강리브(2364)는 통기부(232)의 둘레 중 구동연결부(220)를 향하는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내측보강리브(2364)가 통기부(232)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전술한 후면보강리브(2362)와 동일할 수 있다.
내측보강리브(2364)는 후면보강리브(2362)와 연결되어 함께 통기부(232)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측보강리브(2364)가 연장된 형상은 구동연결부(22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될 수 있고, 도 24에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구동연결부(220)와 대응되도록 원형의 둘레에 대응되는 환형으로 마련된 내측보강리브(2364)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외측보강리브(2366)는 상기 통기부(232)와 상기 둘레연결부(24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통기부(232)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드럼(2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외측보강리브(2366)는 공기통과부(230)에서 둘레연결부(240)와 통기부(23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외측보강리브(2366)는 공기통과부(230)의 통과외주면(238)과 통기부(232)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환형으로 마련되어 공기통과면(239)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외측보강리브(2366)의 연장된 형상은 공기통과면(239)의 외측 둘레가 가지는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4에는 원형 둘레의 형상을 가지는 공기통과면(239)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라 원형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환형으로 마련되는 외측보강리브(2366)가 도시되어 있다.
보강리브(236)는 후면보강리브(2362), 외측보강리브(2366) 및 내측보강리브(2364)가 함께 연결되어 통기부(232)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환형으로 마련되는 내측보강리브(2364)와 상기 내측보강리브(2364)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환형으로 마련되는 외측보강리브(2366)는 후면보강리브(2362)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통기부(232)는 드럼(20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내측보강리브(2364)와 외측보강리브(2366)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드럼(200)의 둘레방향을 기준으로 한 쌍의 후면보강리브(236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후면보강리브(2362), 내측보강리브(2364) 및 외측보강리브(236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보강리브(236)를 통해 통기부(232)가 형성되는 공기통과면(239)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드럼(200)의 회전 시 공기통과면(239)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구동연결부(220)와 둘레연결부(240)를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어실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실러(300)는 상기 공기통과부(230) 및 상기 공기유동부(130)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유동부(130)를 둘러싸며 상기 공기유동부(130)로부터 제공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통과부(23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리어실러(300)는 상기 공기통과면(239)과 상기 후방돌출면(149)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유동부(130)에서 제공되는 공기가 상기 공기통과면(239)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기통과부(230)는 후방돌출부(140)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공기통과면(239)이 후방돌출면(149)의 전방에서 상기 후방돌출면(149)을 마주볼 수 있다. 다만, 드럼(20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공기통과면(239)은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는데, 리어실러(300)는 후방돌출면(149) 또는 공기통과면(239)상에 마련되어 공기통과면(239)과 후방돌출면(149)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공기유동부(130)의 유동공간(135)은 공기통과면(239)과 리어실러(300)를 통해 전방에서 폐쇄될 수 있다. 유동공간(135)에서 전방으로 유출되는 공기는 리어실러(300)에 의해 공기통과면(239)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공기통과면(239)을 통해 드럼(200) 내부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리어실러(300)는 후방돌출면(149)상에 마련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유동공간(135)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후방돌출면(149)상에 마련되어 공기유동부(130)의 내측 둘레 및 외측 둘레를 각각 둘러싸는 리어실러(30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리어실러(300)는 외측실러(320) 및 내측실러(310)를 포함할 수 있고, 외측실러(320)는 상기 공기유동부(1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공기유동부(130) 또는 유동공간(135)을 둘러싸며, 내측실러(310)는 상기 공기유동부(130)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내측으로 상기 구동장착부(120)를 둘러싸고 외측으로 상기 공기유동부(130)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측실러(320) 및 내측실러(310)는 공기유동부(130) 또는 후방돌출면(149)의 전면에 안착되는 실러바디부 및 상기 실러바디부에 마련되어 공기통과면(239)과 접촉되는 드럼(200)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후면(210)의 공기통과부(230)가 리어플레이트(110)의 후방돌출부(140) 내부로 삽입되고, 공기통과부(230)의 공기통과면(239)이 공기유동부(130)의 개방된 전면(131)을 전방에서 차폐하며, 내측실러(310) 및 외측실러(320)를 이용하여 공기통과면(239)과 후방돌출면(149) 사이를 밀폐함으로써, 공기유동부(130)의 공기가 온전히 공기통과면(239)을 통과하여 드럼(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25에는 드럼후면(210)의 구동연결부(220), 리어플레이트(110)의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부(400)가 분리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26에는 구동연결부(220),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부(400)가 결합된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5 및 2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드럼후면(210)은 구동연결부(220)를 포함하고, 구동연결부(220)는 구동부(400)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드럼(200) 내부와 상기 구동부(400)간의 열전달을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플레이트(110)는 전술한 구동장착부(120)의 후방에서 구동부(400)가 결합되고, 구동연결부(220)는 구동장착부(120)의 전방에 위치되어 구동부(400)의 구동축(430)과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400)는 작동과정에서 열이 발생될 수 있고, 구동부(400)의 열이 증가될수록 열해 등이 발생되거나 구동부(400)의 작동 효율을 저해할 수 있어 구동부(400)측의 방열이 중요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드럼(200) 내부에 수용된 의류의 건조를 위해 공기공급부(106)에 의해 제습 및 가열된 공기가 공기유동부(130)를 경유하여 드럼(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즉, 공기유동부(130)의 공기가 공급되는 드럼(200) 내부는 의류의 건조를 위해 고온을 형성하게 되고, 드럼(200) 내부의 열이 구동부(400)로 전달되는 것은 구동부(400)측의 열해나 작동효율을 감소시키므로, 구동부(400)와 드럼(200) 내부간의 열전달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연결부(220)가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부(400)의 전방을 가리도록 마련됨으로써, 구동연결부(220)가 드럼(200)의 내부에서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부(400)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연결부(220)는 상기 구동부(400) 전체에 대해 전방에서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연결부(220)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기 구동부(400) 이상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4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는 후방에서 구동부(400)의 구동축(430)이 연결되는 부위에 해당할 수 있다. 드럼(200) 내부의 열기는 구동연결부(220)의 후방으로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부(400)에 전달될 수 있고, 이러한 열전달은 구동부(400)의 작동상 불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어플레이트(110)의 공기유동부(130)에서 고온의 공기가 유동하고, 공기유동부(130)가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부(400)의 둘레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바,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부(400)의 열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연결부(220)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구동부(400) 전체에 대해 중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연결부(220)에 의해 드럼(200) 내부의 열기가 드럼(200) 내부에서 구동부(400)를 향하여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장착부(120)는 상기 구동부(400) 전체를 전방에서 차폐하며 상기 구동연결부(220)와 함께 상기 드럼(200) 내부와 상기 구동부(400)간의 열전달을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어플레이트(110)의 리어기준면 또는 후방돌출부(140)의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에서 구동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구동부(400) 전체와 중첩되도록 구비되어 구동부(400)의 전방을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구동부(400)보다 넓은 단면적을 가지며 구동부(400)의 전방을 차폐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전방에서 바라본 단면의 직경이 구동부(400) 이상으로 마련되어 구동부(4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400)의 전방에 구동장착부(120)가 위치되고, 구동장착부(120)의 전방에 구동연결부(220)에 위치됨에 따라, 구동부(400)는 전방에서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연결부(220)가 드럼(200) 내부로부터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 또는 억제할 수 있고, 구동부(400)측의 열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연결부(220)는 상기 드럼후면(2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는 공기통과부(230)의 공기통과면(239)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드럼후면(210)의 둘레연결부(240)와 동일하게 위치되거나 둘레연결부(240)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부(400)가 리어플레이트(110)상에 구비되어 구동부(400)의 구동축(430)과 드럼(200)의 회전축이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고, 구동부(400)와 드럼(200)이 벨트 등을 이용하여 연결되지 않으므로 구동축(430) 및 드럼(200)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 변경에 유리하고 드럼(200)의 다양한 회전패턴을 적용하는 데에 유리하다.
다만, 의류를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 등의 의류처리장치(10)에 있어서 드럼(200)의 내부공간을 증가시켜 충분한 의류 수용량을 확보하는 것은 중요하며, 드럼(200)의 후방에 구동부(400)가 위치되며 드럼(200)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은 의류처리장치(10) 전체의 전후방향(X)에 따른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어 공간활용 측면에 불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리어플레이트(110)의 구동장착부(120) 후방에 구동부(400)가 배치됨과 동시에, 드럼후면(210)의 구동연결부(220)가 드럼후면(2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후방에서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부(400)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부(400)는 각각의 전단을 포함하는 적어도 일부가 구동연결부(220)의 내부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후면(210)에서 후방으로 구동부(400)가 돌출되는 길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공기통과부(230)는 드럼후면(2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됨으로써 드럼(200)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연결부(220)는 내부에서 구동장착부(120)와 이격될 수 있다. 즉, 구동연결부(220)의 내부에 위치되는 구동장착부(120)는 구동연결부(220)와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는 드럼후면(2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후방으로 개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공간을 바라보며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내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내측면이 구동장착부(120)와 이격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는 드럼후면(210), 예컨대 공기통과면(239)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구동연결부(220)의 둘레를 형성하는 연결측면부(226) 및 상기 연결측면부(226)의 전단에 연결되고 구동장착부(120)의 전방을 차폐하는 연결전면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측면부(226)는 구동장착부(120)의 장착측면부(124)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연결전면부(222)는 구동장착부(120)의 장착전면부(12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는 구동장착부(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구동장착부(12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는 상기 연결측면부(226) 및 상기 연결전면부(222)가 구동장착부(120)와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연결부(220)와 구동장착부(120)의 직접적인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구동연결부(220)로부터 열전도를 통해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부(400)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연결부(220)와 구동장착부(120)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구동연결부(220)를 지나 구동장착부(120)로 열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격공간이 단열효과를 가짐으로써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부(400)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2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400)가 도시되어 있고, 도 28에는 구동장착부(120)에 결합된 구동부(400)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7 및 2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구동부(400)는 전방측에 상기 구동장착부(120)와 결합되는 제1구동파트(410)가 마련되고, 후방측에 상기 제1구동파트(410)에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파트(410)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제2구동파트(420)가 마련되며, 상기 제1구동파트(41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동연결부(22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부(400)의 구동축(430)이 드럼(200)에 직접 결합되므로, 비교적 높은 하중을 가지는 드럼(200)을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축(43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고 충분한 토크를 확보하기 위해 변속기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400)는 상기 제2구동파트(420)가 상기 드럼(200)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에 해당하고, 상기 제1구동파트(410)는 상기 제2구동파트(420)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연결부(220)와 연결되는 구동축(430)으로 제공하는 변속부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구동부(400)의 제1구동파트(410)는 변속기, 예컨대 구동축(430)의 회전속도를 감속하고 토크를 증가시키는 감속기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제2구동파트(420)는 전력을 소비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등의 동력부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동력부에 해당하는 제2구동파트(420)에서 회전력이 발생되고, 제2구동파트(420)의 동력축이 제1구동파트(410)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이 감속기에 해당하는 제1구동파트(410)로 전달되며, 제1구동파트(410)는 제2구동파트(420)의 동력축의 회전속도 및 토크를 조절하여 구동축(430)을 회전시키고, 구동축(430)은 제1구동파트(410)에서 연장되어 구동연결부(220)에 연결되어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다만, 반드시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구동파트(410)가 동력부에 해당하고 제2구동파트(420)가 감속기에 해당할 수도 있다.
구동부(400)는 전방측에 제1구동파트(410)가 마련되고 후방측에 제2구동파트(420)가 마련될 수 있다. 구동부(400)의 제1구동파트(410)는 구동장착부(120)의 장착전면부(122)를 마주보며 상기 장착전면부(122)에 결합될 수 있고, 제2구동파트(420)는 제1구동파트(410)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27에는 구동장착부(120)에 결합되는 상기 제1구동파트(410)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구동파트(420)는 동력부에 해당할 수 있고, 상기 제2구동파트(420)는 제1구동파트(410)에 고정되는 스테이터부와, 상기 스테이터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로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부는 제1구동파트(410)에 결합되고, 로터부는 스테이터부의 둘레를 감사며 상기 스테이터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구동파트(420)의 동력축은 스테이터부에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부와 함께 회전되며, 전력을 소비하여 로터부에 대한 상대회전이 발생하는 스테이터부의 회전력이 동력축을 통해 변속부에 해당하는 제1구동파트(410)에 전달될 수 있다.
변속부는 내부에 변속을 위한 기어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변속부는 선기어, 유성기어 및 링기어를 포함하는 위성기어세트가 내장될 수 있으며, 동력축은 상기 위성기어세트에 연결되어 감속될 수 있다.
구동부(400)의 구동축(430)은 제1구동파트(410)의 상기 위성기어세트와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으며, 동력축과의 관계에서 회전속도가 감소되고 토크는 증가될 수 있다. 구동축(430)은 제1구동파트(410)에서 연장되어 구동연결부(220)에 연결되어 드럼(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구동파트(410)의 후방에 제2구동파트(420)가 결합되는 형태의 구동부(400)가 마련되고, 제1구동파트(410)의 적어도 일부는 전방으로 함몰되는 구동장착부(120)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리어플레이트(1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구동부(400)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구동부(4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연결부(220)의 연결전면부(222)는 상기 구동부(400)와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파트(410) 이상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구동파트(410)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연결측면부(226)는 상기 드럼후면(21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전면부(222)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전면부(22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상기 제2구동파트(420)의 둘레측 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즉, 구동연결부(220)는 연결측면부(226)의 적어도 일부가 연결전면부(222)보다 넓은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후단으로 갈수록 연결전면부(222)보다 더 넓은 단면적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연결부(220)의 내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연결전면부(222)보다 더 넓은 직경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연결전면부(222)의 직경(D11)은 제1구동파트(410) 이상의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어 제1구동파트(410)의 전면을 전체로서 차폐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21에는 구동연결부(220)의 직경(D1)이 표시되어 있고, 도 22에는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부(400)의 직경(D3)이 표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구동파트(410)의 후방측에 결합되는 제2구동파트(420)는 제1구동파트(410) 이상의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연결부(220)의 연결측면부(226)는 전단에서 연결전면부(222)의 직경(D11)과 동일하고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연결측면부(226)의 직경(D12)은 연결측면부(226)의 후단, 즉 연결측면부(226)에서 가장 큰 직경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연결측면부(226)의 직경(D12)이 구동연결부(220)의 직경(D1)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연결측면부(226)의 직경(D12)은 제2구동파트(420)의 직경(D32)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연결측면부(226)는 제1구동파트(410) 외에 제2구동파트(420)를 전방에서 차폐할 수 있다. 즉, 구동연결부(220)의 직경(D1)은 구동부(400)의 직경(D3) 이상으로 마련되어 구동부(400) 전체를 전방에서 가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연결부(220)가 구동부(400)의 전방에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드럼(200) 내부의 열기가 구동부(400)를 향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연결측면부(226)가 후단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증가되도록 마련됨으로써, 구동연결부(220) 전체의 직경을 증가시켜 공간을 차지하지 않더라도 구동부(400)의 제1구동파트(410) 및 제2구동파트(420)의 전방을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연결부(220)는 연결전면부(222)의 직경(D11)이 구동부(400)의 직경(D3)보다 작게 마련되더라도, 연결측면부(226)의 직경(D12)이 구동부(400)의 직경(D3)보다 크게 마련됨으로써, 구동부(400) 전체를 전방에서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고, 구동부(4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동연결부(220) 내에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장착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전면부(122) 및 장착측면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전면부(122)는 상기 연결전면부(222)와 상기 제1구동파트(4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구동파트(410)가 결합되고, 상기 제1구동파트(410)의 전방을 차폐할 수 있다.
장착측면부(124)는 상기 리어플레이트(110)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전면부(122)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전면부(12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상기 제2구동파트(420)의 둘레측 전방을 차폐할 수 있다.
구동장착부(120)의 직경(D2)은 구동부(400)의 직경(D3)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도 2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측면부(124)와 구동부(400)의 직경(D3)이 표시되어 있다.
구동장착부(120)는 구동연결부(220)와 대응되도록 장착전면부(122)로부터 후방을 향할수록 장착측면부(124)의 직경(D22)이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전면부(122)는 구동연결부(220)의 연결전면부(222)와 구동부(400), 즉 제1구동파트(410)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장착전면부(122)의 직경(D21)은 제1구동파트(410)의 직경(D31)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장착전면부(122)는 연결전면부(222)와 함께 제1구동파트(410)의 전방에 위치되어 드럼(200) 내부와 구동부(400)간의 열전달을 차단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장착전면부(122)의 직경(D21)은 연결전면부(222)의 직경(D11) 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장착전면부(122)의 직경(D21)이 연결전면부(222)의 직경(D11)보다 크게 마련될 수도 있다.
장착측면부(124)는 리어플레이트(11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장착측면부(124)는 후방돌출부(140)의 후방돌출면(149)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장착측면부(124)는 공기유동부(130)의 유동내주면(133)에 대응될 수도 있고, 상기 유동내주면(133)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장착측면부(124)는 장착전면부(122)로부터 후방돌출면(149)을 향할수록 직경이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장착측면부(124)의 후단이 가지는 직경은 제2구동파트(420)의 직경(D32)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착측면부(124)의 직경(D22)은 장착측면부(124) 후단의 직경, 즉 장착측면부(124)가 가지는 최대 직경으로 정의될 수 있고, 구동장착부(120)의 직경(D2)은 상기 장착측면부(124)의 직경(D22)과 동일하게 정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착측면부(124)의 직경(D22)은 제2구동파트(420)의 직경(D32)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400)의 직경(D3)은 구동부(400)가 가지는 최대 직경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400)는 제2구동파트(420)의 직경(D32)이 제1구동파트(410)의 직경(D31)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따라서 구동부(400)의 직경(D3)은 제2구동파트(420)의 직경(D32)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장착측면부(124)의 직경(D22)이 구동부(400)의 직경(D3), 즉 제2구동파트(420)의 직경(D32) 이상으로 마련됨에 따라, 장착전면부(122)가 구동부(400)의 직경(D3)보다 작더라도 장착측면부(124)에 의해 제2구동파트(420)를 포함하는 구동부(400) 전체의 전방이 구동장착부(120)에 의해 효과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장착측면부(124)의 직경(D22)은 구동연결부(220)의 연결측면부(226)와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장착측면부(124)의 직경(D22)은 연결측면부(226)의 직경(D12)과 동일하거나 연결측면부(226)의 직경(D12)보다 클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 및 장착측면부(124)는 연결전면부(222)와 장착전면부(122)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연결측면부(226)와 장착측면부(124)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구동연결부(220)의 내부에 장착측면부(124)가 효과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구동연결부(220) 및 장착측면부(124)가 함께 구동부(400)의 전방을 차폐하여 열전달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장착부(120)는 내부에서 상기 제2구동파트(420)와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6 및 2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동장착부(120)로부터 이격된 제2구동파트(420)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400)는 제1구동파트(410) 및 제2구동파트(42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구동파트(410)는 구동장착부(120)의 장착전면부(12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구동파트(420)는 제1구동파트(410)의 후방측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구동파트(420)는 구동장착부(120)에 직접 결합되지 않을 수 있고, 구동장착부(120)의 장착전면부(122) 및 장착측면부(124)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구동파트(420)와 구동장착부(120)간의 접촉이 배제되어 열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착부(120)는 물론 구동연결부(220) 또한 제2구동파트(420)가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므로 불필요하게 내부의 공간을 확장할 필요가 없어 공간활용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으며, 구동부(400)와 구동장착부(120)간의 접촉영역이 최소화될 수 있어 열전달의 억제에 효과적이다.
한편, 도 2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드럼(200)의 구동연결부(220)에 결합된 부싱부(270)를 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고, 도 30에는 도 29의 부싱부(270)를 후방측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싱부(27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9 내지 3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400)는 상기 리어플레이트(110)를 관통하며 상기 구동연결부(220)와 연결되는 구동축(430)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싱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싱부(270)는 상기 구동연결부(220)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430)이 삽입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430)으로부터 상기 드럼(200)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400)는 구동축(430)이 드럼(200)과 연결되어 드럼(200)으로 직접 회전력을 전달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드럼후면(210)의 구동연결부(220)가 구동축(430)과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구동연결부(220)의 연결전면부(222)에 구동축(430)이 직접 결합되는 경우, 구동연결부(220) 자체의 강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거나, 회전하는 구동축(430)과의 충분한 결합력이 확보되지 못하여 구조적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연결부(220)에 부싱부(270)가 결합되고, 부싱부(270)와 구동축(430)이 결합되어 구동축(430)의 회전력이 부싱부(270)를 통해 구동연결부(220) 또는 드럼후면(2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부싱부(270)는 구동축(43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또는 관통되어 상기 구동축(430)과 결합관계를 형성하고, 둘레측에서 구동연결부(220)와 결합되어 구동연결부(220)와 함께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부싱부(270)는 구동축(430)이 직접 구동연결부(220)에 결합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동연결부(220)와의 결합면적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더 강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어 안정적인 결합구조의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연결부(220)는 상기 부싱부(270)가 관통하는 축관통홀(223)을 포함하고, 상기 부싱부(270)는 상기 축관통홀(223)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연결부(220)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축(430)이 삽입되는 축결합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연결부(220)는 부싱부(270)에 의해 관통되는 축관통홀(223)을 포함할 수 있다. 축관통홀(223)은 구동연결부(220)의 연결전면부(222)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부싱부(270)의 축결합부(272)가 상기 축관통홀(223)을 관통할 수 있다.
부싱부(270)의 축결합부(272)는 상기 축관통홀(223)을 통해 구동연결부(220), 즉 연결전면부(222)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축결합부(272)는 후방에서 구동축(43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400)는 구동장착부(120)에 결합되어 구동축(430)이 전방으로 연장되고, 구동장착부(120) 및 구동부(400)의 적어도 일부는 구동연결부(220)의 내부에 후방에서 삽입될 수 있다.
다만, 구동부(400)는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동축(430)을 지지하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베어링연장부(440)를 포함하는 등, 구동부(400)에서 구동축(430)이 기계적으로 안정하게 구비되기 위한 최소 길이가 요구될 수 있다.
즉, 구동부(400)에서 구동축(430)은 구동부(40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최소길이가 확보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부싱부(270)는 전방으로 돌출 연장되는 축결합부(272)가 마련됨으로써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구동축(430)이 내부에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연결부(220)는 부싱부(270)를 통해 구동축(430)과 결합관계를 형성하더라도 상기 축결합부(272)가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도록 연결전면부(222)에 축관통홀(223)이 마련되고, 이에 따라 부싱부(270)의 축결합부(272)가 축관통홀(223)을 통해 전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어 구동축(430)이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400)는 전술한 베어링연장부(440)를 포함할 수 있고, 베어링연장부(440)는 상기 구동장착부(120)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후면(210)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구동축(430)을 지지하는 베어링(442)을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결합부(272)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베어링연장부(440)가 구동부(400)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는 구동축(430)보다 짧을 수 있으며, 베어링연장부(440)는 구동축(430)의 후단부를 감싸며 상기 후단부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연장부(440)는 구동축(430)을 일부를 둘러싸며 구동축(4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구동축(430)의 기계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베어링연장부(440)의 내부에는 구동축(4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베어링(442)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어링연장부(440)의 내부에 볼 타입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베어링(442)이 구동축(43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배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축(430)의 기계적 강성을 확보하며 구동축(430)을 지지하기 위해 베어링연장부(440)가 구동부(4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부싱부(270)는 축결합부(272) 내부에서 상기 베어링연장부(440)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400)의 축방향을 기준으로 부싱부(270)를 포함한 구동부(400) 결합 구조의 전장이 증가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콤팩트한 사이즈에서 기구적으로 안정한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축결합부(27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리어플레이트(110)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내부에 상기 베어링연장부(44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싱부(270)의 축결합부(272)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후방에서 구동축(430) 및 베어링연장부(440)가 삽입될 수 있다. 다만, 베어링연장부(440)는 구동축(430)의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따라서 베어링연장부(440)는 구동축(430)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베어링연장부(440)는 구동축(430)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며 구동축(430)의 후단부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축결합부(272)의 내부는 구동부(400)를 향하는 후단측에서 직경이 큰 공간이 확보될 필요가 있으며, 드럼(200) 내부를 향하는 전단측에서는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직경의 공간이 확보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결합부(272)는 내부에 구동부(400)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증가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구동부(400) 및 베어링연장부(440)가 효과적으로 상기 공간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축결합부(272)는 길이방향 전체에서 직경이 변화하도록 마련되거나, 적어도 일부에서 직경이 변화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3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축결합부(272)의 외측 둘레 직경이 구동부(400)를 향할수록 증가되는 형태의 부싱부(27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결합부(272)는 치형부(2724)를 포함할 수 있고, 구동축(430)은 치합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치형부(2724)는 상기 구동축(430)을 향하여 돌출되는 기어치를 포함하고, 치합부(432)는 상기 치형부(2724)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치형부(2724)와 치합될 수 있다.
도 2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동축(430)에 마련되는 치합부(432)가 도시되어 있고, 도 3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축결합부(272)에 마련된 치형부(2724)가 도시되어 있다.
치형부(2724)는 구동축(430)과 치합되도록 마련되며, 이를 위해 치형부(2724)에서 구동축(430)을 향하는 일면상에는 구동축(430)을 향해 돌출되는 기어치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결합부(272)는 구동축(430)을 향해는 내주면상에 복수의 기어치가 형성되어 치형부(2724)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구동축(430)의 치합부(432)는 상기 치형부(2724)의 내측에 삽입되어 치형부(2724)와 치합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동축(430)의 치합부(432)는 상기 구동축(43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기어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회전체에 해당하는 구동축(430)과 부싱부(270)의 축결합부(272)가 치합됨으로써 상호 체결됨에 따라, 구동축(430)이 길이방향을 따라 축결합부(272)에 삽입되는 것만으로 상호간의 회전이 구속되는 결합관계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축결합부(272)는 상기 구동축(430)이 관통하는 축결합홀(2722)을 포함하고, 상기 축결합홀(2722)의 내주면에는 상기 치형부(2724)가 마련되며, 상기 구동축(430)은 상기 축결합홀(2722)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단부에 축고정부재(435)가 결합되고, 상기 축고정부재(435)는 상기 축결합부(272)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축결합부(272)의 전단부에는 구동축(430)이 관통하는 축결합홀(2722)이 마련될 수 있다. 즉, 구동축(430)은 축결합부(272) 내부로 삽입되어 전단이 상기 축결합홀(2722)을 관통하며 축결합부(27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치형부(2724)는 축결합홀(2722)의 내주면상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축결합홀(2722)의 내주면에는 중앙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치형부(2724)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구동축(430)은 축결합부(27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축결합홀(2722)의 내주면을 마주보는 외주면상에 복수의 기어치가 형성되어 치합부(432)가 형성될 수 있다. 구동축(430)은 치합부(432)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단부에 축고정부재(435)가 결합될 수 있다.
축고정부재(435)는 축결합부(272)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될 수 있다. 즉, 축고정부재(435)는 축결합홀(2722) 이상의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축고정부재(435)는 축결합부(272)의 전단상에 위치되어 상기 축결합부(272)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28 및 2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축결합홀(2722)을 관통한 구동축(430)의 전단부에 축고정부재(435)가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축결합부(272)를 관통한 구동축(430)의 전단부에 축고정부재(435)가 결합되고, 상기 축고정부재(435)가 축결합부(272)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되도록 마련됨으로써, 구동축(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동축(430)과 부싱부(270)간의 결합 및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동부(400)의 구동축(430)은 작동특성상 구동축(430)의 길이방향으로 추력이 발생될 수 있고, 축고정부재(435)가 구동축(430)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축결합부(272)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됨에 따라 상기 구동축(430)에 발생되는 추력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부싱부(270)는 드럼결합부(274)를 포함할 수 있고, 드럼결합부(274)는 상기 축결합부(27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구동연결부(220)의 후방에서 상기 구동연결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드럼결합부(274)는 축결합부(272)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축결합부(272)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드럼결합부(274)는 환형으로 마련되어 축결합부(272)를 둘러싸고, 축결합부(272)는 드럼결합부(27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싱부(270)의 드럼결합부(274)를 통해 구동축(430)과 드럼후면(210)이 연결됨으로써, 부싱부(270)가 드럼결합부(274)를 통해 구동축(430) 또는 축결합부(272)보다 더 넓은 결합면적을 제공할 수 있어 결합력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연결부(220)는 상기 축관통홀(223)을 둘러싸며 상기 드럼결합부(274)가 결합되는 부싱결합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싱결합부(224)는 상기 구동연결부(22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에서 상기 드럼결합부(274)가 삽입될 수 있다.
부싱결합부(224)는 드럼결합부(274)가 후면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부싱결합부(224)는 구동연결부(220)의 연결전면부(222)상에 마련될 수 있다. 부싱결합부(224)는 연결전면부(222)에 형성되는 축관통홀(223)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부싱결합부(224)의 형상은 드럼결합부(274)와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부싱결합부(224)는 드럼결합부(274)와 대응되는 환형으로 마련되어 후방에서 상기 드럼결합부(274)가 안착될 수 있다.
부싱결합부(224)는 연결전면부(22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부싱결합부(224)는 후방에서 바라볼 때 연결전면부(222)로부터 전방으로 함입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전면부(222)에서 전방으로 만입되는 부싱결합부(224)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결전면부(22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싱결합부(224)가 마련됨에 따라, 부싱부(270)의 드럼결합부(274)가 연결전면부(222)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어 유리하다.
한편, 드럼결합부(274)와 부싱결합부(224)의 결합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컨대, 드럼결합부(274)는 후크를 포함하여 부싱결합부(224)와 후크방식으로 결합되거나, 후술할 내용과 같이 부싱체결부재(2245)를 통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축캡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축캡부(260)는 상기 구동연결부(22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연결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구동연결부(220)와 함께 상기 드럼(200) 내부와 상기 구동부(400) 사이의 열전달을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축캡부(260)는 드럼(2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구동연결부(22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축캡부(260)는 구동연결부(220)의 연결전면부(222)상에 위치될 수 있다.
축캡부(260)는 구동연결부(220)의 전방에서 구동연결부(220)의 적어도 일부를 전방으로부터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축캡부(260)는 구동연결부(220) 전체를 드럼(200) 내부로부터 차폐하도록 마련되거나, 연결전면부(222) 전체를 차폐하도록 마련되거나, 연결전면부(222)의 일부를 차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할 내용과 같이 축캡부(260)는 축관통홀(223)을 통해 돌출되는 부싱부(270)의 축결합부(272) 및 연결전면부(222)에 마련되는 부싱결합부(224)를 드럼(200) 내부로부터 차폐하도록 상기 축결합부(272) 및 상기 부싱결합부(224)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드럼(200) 내부에서 고온의 공기가 공급될 수 있고, 구동연결부(220) 및 구동장착부(120)는 구동부(400)의 전방에 위치되어 드럼(200) 내부의 열기가 구동부(400)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연결부(220)의 전방에 축캡부(260)가 마련됨으로써, 드럼(200) 내부의 열기가 구동부(400)로 전달되는 것을 상기 축캡부(260)를 통해 억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동축(430)의 전단부 또는 부싱부(270)의 축결합부(272)가 드럼(200) 내부에 위치될 수 있고, 따라서 드럼(200) 내부의 고온의 공기에 직접 노출될 여지가 있는 바, 축캡부(260)는 구동연결부(220)의 전방에서 구동연결부(220)를 차폐함으로써 상기 고온의 공기에 의해 구동축(430) 또는 축결합부(272)가 가열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캡부(260)는 상기 구동연결부(220)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축결합부(272)를 상기 드럼(200) 내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즉, 축캡부(260)는 드럼(200) 내부에서 축결합부(272)를 덮도록 마련되어 드럼(200) 내부의 고온의 공기가 직접 축결합부(272)에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축결합부(272)는 연결전면부(222)의 축관통홀(223)을 통해 전방으로 연장되는 바, 축캡부(260)는 내부에 상기 축결합부(272)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축캡부(260)는 연결전면부(222)상에 결합되어 상기 축결합부(272)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축결합부(272)를 상기 드럼(200) 내부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200) 내부의 열기가 축결합부(272) 및 구동축(430)을 통해 구동부(400)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축결합부(272)의 전방에는 축고정부재(435)가 마련될 수 있고, 축결합부(272) 및 축고정부재(435)는 드럼(200)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드럼(200)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와의 접촉 시 상기 의류의 손상을 유발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축캡부(260)를 이용하여 축결합부(272)를 드럼(200) 내부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의류와 축결합부(272) 등의 접촉에 따른 의류의 손상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상기 부싱결합부(224) 및 상기 드럼결합부(274)를 함께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부싱체결부재(224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축캡부(260)는 상기 부싱체결부재(2245)를 상기 드럼(200) 내부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전술한 부싱결합부(224) 및 드럼결합부(274)는 부싱체결부재(2245)를 통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부싱체결부재(2245)는 부싱결합부(224)와 드럼결합부(274)를 함께 관통하며 양자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부싱체결부재(2245)는 볼트 등의 형태로 마련되어 부싱결합부(224) 및 드럼결합부(27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관통할 수 있다.
부싱체결부재(2245)의 일부는 드럼결합부(274)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고, 드럼결합부(274)의 전면상에 지지될 수 있다. 드럼(200) 내부에 배치되는 부싱체결부재(2245)의 일부는 드럼(200)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와의 접촉 시 의류의 손상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축캡부(260)가 축결합부(272)는 물론 상기 부싱체결부재(2245)를 덮도록 마련됨으로써, 드럼(200) 내부의 의류와 부싱체결부재(2245)간의 접촉을 방지하고 의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는 캡체결부재(262)를 포함할 수 있고, 캡체결부재(262)는 상기 축캡부(260)를 관통하며 상기 구동축(430)에 삽입되어 상기 축캡부(260)를 상기 구동축(430)에 체결시킬 수 있다.
캡체결부재(262)는 축캡부(260)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별개로 제조되어 상기 축캡부(260)에 결합될 수 있다. 캡체결부재(262)는 축캡부(260)를 관통하여 구동축(430)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축캡부(260)의 내부에는 축결합부(272) 및 상기 축결합부(272)를 관통하는 구동축(430)의 전단부가 위치될 수 있고, 구동축(430)의 상기 전단부에 결합되는 축고정부재(435)가 위치될 수 있다.
캡체결부재(262)는 드럼(200) 내부에서 상기 캡체결부재(262)를 관통하며 상기 축결합부(272), 구동축(430) 또는 축고정부재(435) 중 어느 하나에 삽입 및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9에는 축캡부(260)가 분리된 상태에서 구동축(430)에 삽입된 캡체결부재(262)가 도시되어 있다.
캡체결부재(262)가 구동축(430)에 결합되는 경우, 구동축(430)의 전단부는 축캡부(260)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고, 캡체결부재(262)는 축캡부(260)의 중앙을 관통하여 구동축(430)의 전단부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캡체결부재(262)는 볼트 등의 형태로 마련되어 축캡부(260)를 관통하여 구동축(430)의 전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캡부(260)는 캡체결부재(262)를 통해 구동축(430)에 결합됨으로써, 드럼(200)을 기준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430)과 축캡부(260)가 직접 결합될 수 있고 드럼(200)의 회전 시 축캡부(260)와 드럼(200) 및 구동축(430)간 상호간의 회전이 구속되어 축캡부(260)의 상대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연결부(220)는 상기 축관통홀(223)을 둘러싸는 축둘레부(225)에 후크체결부(2255)가 마련되고, 상기 축캡부(260)는 상기 축관통홀(223)에 삽입되어 상기 후크체결부(2255)에 결합되는 캡후크부(2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크체결부(2255) 및 캡후크부(264)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32에는 캡후크부(264)를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후크체결부(2255)는 축관통홀(223)의 축둘레부(225)에 마련될 수 있다. 즉, 후크체결부(2255)는 축관통홀(223)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고, 후크체결부(2255)는 연결전면부(222)에서 축관통홀(223)을 둘러싸는 축둘레부(225)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축관통홀(223)을 둘러싸며 후방에서 드럼결합부(274)가 안착되는 부싱결합부(224)가 연결전면부(222)에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축둘레부(225)는 부싱결합부(224)에서 축관통홀(223)을 둘러싸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으며, 따라서 후크체결부(2255)는 축관통홀(223)을 둘러싸는 부싱결합부(224)의 내주면상에 마련될 수 있다.
후크체결부(2255)는 축캡부(260)의 캡후크부(264)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캡후크부(264)와 결합관계가 형성되거나, 후크체결부(2255)에 캡후크부(264)의 후크돌기(265)가 걸려지도록 마련되어 결합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캡후크부(264)는 축캡부(260)로부터 후크체결부(2255)를 향해 연장되어 후크체결부(2255)에 결합될 수 있다. 캡후크부(264)는 축캡부(260)의 둘레에 마련되거나 축캡부(260)에서 구동축(430)을 향해는 내측면에 마련되어 후크체결부(2255)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축캡부(260)는 전술한 캡체결부재(262) 및 캡후크부(26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드럼(2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캡체결부재(262) 및 캡후크부(264)에 의해 고정축 및 드럼후면(210)에 결합되는 축캡부(260)가 도시되어 있고, 도 3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축캡부(260)의 내측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후크체결부(2255)에 체결되는 캡후크부(264)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축둘레부(225)는 상기 부싱결합부(224)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부싱부(270)는 상기 캡후크부(264)를 마주보는 부분에 후방으로 함몰된 부싱함몰부(276)가 형성되며, 상기 캡후크부(264)는 상기 후크체결부(2255)에 걸려지는 후크돌기(265)가 상기 축둘레부(225)와 상기 부싱함몰부(276)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크체결부(2255)는 축관통홀(223)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고, 캡후크부(264)는 축캡부(260)의 내부에서 후크체결부(2255)를 향해 연장되며, 후크체결부(2255)를 향하는 단부에는 축캡부(260) 또는 축둘레부(225)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크돌기(265)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캡후크부(264)는 축캡부(260)로부터 연장되어 부싱부(270)의 축결합부(272)와 축관통홀(223)의 내주면 사이로 삽입될 수 있고, 캡후크부(264)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후크돌기(265)가 축관통홀(223)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후크체결부(2255)에 걸려지며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26을 참고하면, 연결전면부(222)의 축둘레부(225)는 드럼결합부(274)의 내측 둘레에 대응될 수 있고, 축둘레부(225)는 연결전면부(22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축둘레부(225)는 연결전면부(222)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싱결합부(22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연결전면부(222)는 축관통홀(223)을 둘러싸는 축둘레부(225)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후크체결부(2255)를 포함하는 축둘레부(225)가 연결전면부(222) 또는 부싱결합부(224)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후크체결부(2255)에 삽입되기 위한 캡후크부(264)의 연장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부싱부(270)는 축결합부(272)와 드럼결합부(274)의 사이에서 후방으로 함몰되는 부싱함몰부(276)를 포함할 수 있다. 부싱함몰부(276)는 환형으로 마련되어 축결합부(272)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부싱함몰부(276)는 드럼결합부(274)의 내측 둘레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부싱함몰부(276)는 드럼결합부(27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부싱함몰부(276)는 드럼결합부(274)의 내측 둘레에 형성되고 환형으로 마련되며 후방으로 함입될 수 있다.
부싱함몰부(276)의 전방에는 상기 축둘레부(225) 또는 후크체결부(2255)가 위치될 수 있다. 즉, 부싱함몰부(276)는 후크체결부(2255)의 후방에 위치되어 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체결부(2255)와 부싱함몰부(276) 사이 및/또는 부싱함몰부(276)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캡후크부(264)는 후단에 후크돌기(265)가 마련될 수 있고, 후크체결부(2255)를 관통하거나 축관통홀(223)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후크돌기(265)가 후크체결부(2255)에 걸려지며 후크체결부(2255)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캡후크부(264)는 후크돌기(265)가 후크체결부(2255)의 후단에 걸려 결합될 수 있다.
부싱부(270)는 구동연결부(220)의 연결전면부(222)의 후면상에 안착되며 결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결전면부(222)의 축둘레부(225)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후방으로 공간이 형성되고, 축둘레부(225)의 후방에 위치되는 부싱함몰부(276) 또한 축둘레부(225)의 사이에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결전면부(222)의 후크체결부(2255)와 부싱부(27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후크체결부(2255)에 걸려지는 캡후크부(264)의 후크돌기(265)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의류처리장치 30 : 의류도어
100 : 캐비닛 101 : 상부플레이트
102 : 프론트플레이트 1021 : 의류개구
1023 : 전면덕트 103 : 하부플레이트
105 : 베이스부 106 : 공기공급부
1061 : 유입덕트 1062 : 제1열교환기
1063 : 제2열교환기 1064 : 유출덕트
1065 : 집수부 1066 : 압축기
107 : 송풍부 1071 : 송풍팬
1073 : 송풍모터 108 : 팬덕트부
109 : 측면플레이트 110 : 리어플레이트
120 : 구동장착부 122 : 장착전면부
124 : 장착측면부 126 : 장착브라켓
128 : 브라켓안착부 130 : 공기유동부
132 : 유동함몰면 133 : 유동내주면
134 : 유동외주면 135 : 유동공간
136 : 유출유도부 137 : 유입유도부
138 : 유입연장부 1381 : 연장공간
1383 : 연장함몰면 1385 : 연장둘레면
140 : 후방돌출부 148 : 후방외주면
149 : 후방돌출면 200 : 드럼
210 : 드럼후면 220 : 구동연결부
222 : 연결전면부 223 : 축관통홀
224 : 부싱결합부 2245 : 부싱체결부재
225 : 축둘레부 2255 : 후크체결부
226 : 연결측면부 230 : 공기통과부
232 : 통기부 234 : 통기홀
236 : 보강리브 2362 : 후면보강리브
2364 : 내측보강리브 2366 : 외측보강리브
238 : 통과외주면 239 : 공기통과면
240 : 둘레연결부 260 : 축캡부
262 : 캡체결부재 264 : 캡후크부
265 : 후크돌기 270 : 부싱부
272 : 축결합부 2722 : 축결합홀
2724 : 치형부 274 : 드럼결합부
276 : 부싱함몰부 280 : 의류리프터
290 : 드럼둘레면 300 : 리어실러
310 : 내측실러 320 : 외측실러
400 : 구동부 410 : 제1구동파트
420 : 제2구동파트 430 : 구동축
432 : 치합부 435 : 축고정부재
440 : 베어링연장부 442 : 베어링
500 : 리어커버 510 : 커버둘레부
520 : 중앙커버부 522 : 구동커버면
524 : 구동둘레부 5241 : 구동내주면
5243 : 구동외주면

Claims (32)

  1. 후방측에 리어플레이트가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며, 후방측에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마주보는 드럼후면이 마련되는 드럼; 및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과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구동장착부 및 상기 구동장착부를 둘러싸며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유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동부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포함하고,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동공간이 전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드럼후면은 상기 구동장착부를 마주보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구동연결부 및 상기 구동연결부를 둘러싸며 상기 공기유동부의 개방된 상기 전면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의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구동부간의 열전달을 억제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구동부 전체에 대해 전방에서 중첩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착부는 상기 구동부 전체를 전방에서 차폐하며 상기 구동연결부와 함께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구동부간의 열전달을 억제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구동부 이상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구동연결부와 함께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구동부 사이의 열전달을 억제하도록 마련되는 축캡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드럼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착부 및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연결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는 내부에서 상기 구동장착부와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전방측에 상기 구동장착부와 결합되는 제1구동파트가 마련되고, 후방측에 상기 제1구동파트에 결합되며 상기 제1구동파트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제2구동파트가 마련되며,
    상기 제1구동파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구동연결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파트는 상기 드럼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부에 해당하고,
    상기 제1구동파트는 상기 제2구동파트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연결부와 연결되는 구동축으로 제공하는 변속부에 해당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구동파트 이상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구동파트 전방을 커버하는 연결전면부; 및
    상기 드럼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전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연결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상기 제2구동파트의 둘레측 전방을 커버하는 연결측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착부는,
    상기 연결전면부와 상기 제1구동파트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1구동파트가 결합되고, 상기 제1구동파트의 전방을 차폐하는 장착전면부; 및
    상기 리어플레이트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장착전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장착전면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며, 후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상기 제2구동파트의 둘레측 전방을 차폐하는 장착측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착부는 내부에서 상기 제2구동파트와 이격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며 상기 구동연결부와 연결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연결부에 결합되고, 상기 구동축이 삽입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으로부터 상기 드럼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부싱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부싱부가 관통하는 축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부싱부는,
    상기 축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연결부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축이 삽입되는 축결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장착부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후면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축결합부 내부에 삽입되는 베어링연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리어플레이트에 가까울수록 직경이 증가되며 내부에 상기 베어링연장부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구동축을 향하여 돌출되는 기어치를 포함하는 치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치형부 내부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기어치가 마련되어 상기 치형부와 치합되는 치합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축결합부는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축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축결합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치형부가 마련되며,
    상기 구동축은 상기 축결합홀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단부에 축고정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축고정부재는 상기 축결합부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부는,
    상기 축결합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구동연결부의 후방에서 상기 구동연결부에 결합되는 드럼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축관통홀을 둘러싸며 상기 드럼결합부가 결합되는 부싱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싱결합부는 상기 구동연결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에서 상기 드럼결합부가 삽입되는 의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축결합부를 상기 드럼 내부로부터 차폐하는 축캡부;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결합부 및 상기 드럼결합부를 함께 관통하여 체결시키는 부싱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캡부는 상기 부싱체결부재를 상기 드럼 내부로부터 차폐하는 의류처리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축캡부를 관통하며 상기 구동축에 삽입되어 상기 축캡부를 상기 구동축에 체결시키는 캡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축관통홀을 둘러싸는 축둘레부에 후크체결부가 마련되고,
    상기 축캡부는 상기 축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후크체결부에 결합되는 캡후크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축둘레부는 상기 부싱결합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부싱부는 상기 캡후크부를 마주보는 부분에 후방으로 함몰된 부싱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캡후크부는 상기 후크체결부에 걸려지는 후크돌기가 상기 축둘레부와 상기 부싱함몰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부는 내부에 상기 유동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리어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부를 둘러싸는 의류처리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절곡되거나 휘어지며 개방된 상기 전면을 가지는 상기 공기유동부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2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드럼후면의 전방에서 상기 드럼을 둘러싸는 드럼둘레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드럼후면은 상기 드럼둘레면과 결합되는 둘레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통과부는 상기 둘레연결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기유동부의 개방된 상기 전면을 차폐하는 의류처리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과부는 상기 공기유동부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기부는 상기 공기통과부에서 상기 유동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의류처리장치.
  31. 후방측에 리어플레이트가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며, 후방측에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마주보는 드럼후면이 마련되는 드럼; 및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과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구동장착부 및 상기 구동장착부를 둘러싸며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유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동부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포함하고,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동공간이 전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드럼후면은 상기 구동장착부를 마주보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구동연결부 및 상기 구동연결부를 둘러싸며 상기 공기유동부의 상기 전면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과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착부는 상기 구동부를 전방에서 차폐하고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구동장착부를 전방에서 차폐함으로써, 상기 드럼 내부와 상기 구동부간의 열전달이 억제되는 의류처리장치.
  32. 후방측에 리어플레이트가 마련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며, 후방측에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마주보는 드럼후면이 마련되는 드럼; 및
    상기 리어플레이트의 후방에 마련되고, 상기 리어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과 연결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부가 결합되는 구동장착부 및 상기 구동장착부를 둘러싸며 상기 드럼 내부로 공기를 제공하는 공기유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유동부는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공간을 포함하고, 전면이 개방되어 상기 유동공간이 전방으로 노출되며,
    상기 드럼후면은 상기 구동장착부를 마주보며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는 구동연결부 및 상기 구동연결부를 둘러싸며 상기 공기유동부의 상기 전면을 통해 유출되는 공기가 통과되는 공기통과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드럼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장착부 및 상기 구동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연결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10026611A 2021-02-26 2021-02-26 의류처리장치 KR20220122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611A KR20220122240A (ko) 2021-02-26 2021-02-26 의류처리장치
TW111107161A TWI820617B (zh) 2021-02-26 2022-02-25 衣物處理裝置
CN202210177712.5A CN114960147B (zh) 2021-02-26 2022-02-25 衣物处理装置
CN202410907009.4A CN118621545A (zh) 2021-02-26 2022-02-25 衣物处理装置
EP22158890.8A EP4050149A1 (en) 2021-02-26 2022-02-25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7/681,256 US20220275564A1 (en) 2021-02-26 2022-02-25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611A KR20220122240A (ko) 2021-02-26 2021-02-2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240A true KR20220122240A (ko) 2022-09-02

Family

ID=8046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611A KR20220122240A (ko) 2021-02-26 2021-02-26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75564A1 (ko)
EP (1) EP4050149A1 (ko)
KR (1) KR20220122240A (ko)
CN (2) CN114960147B (ko)
TW (1) TWI82061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592A1 (ko) 2022-09-27 2024-04-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통신 이상 상황의 대응을 위한 배터리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0593A (en) * 1959-08-07 1962-10-30 Gen Motors Corp Clothes drier
JPH06134187A (ja) * 1992-10-28 1994-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乾燥機
JP3564319B2 (ja) * 1999-03-29 2004-09-08 株式会社東芝 ドラム式洗濯機
AU753411B2 (en) * 1999-10-19 2002-10-17 Lg Electronics Inc. Structure of driving unit i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2006122697A (ja) * 2005-12-26 2006-05-18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101186157B1 (ko) * 2006-01-13 2012-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JP2010240224A (ja) * 2009-04-08 2010-10-28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乾燥機および洗濯機
ES2400462T3 (es) * 2010-03-18 2013-04-10 Askoll Holding S.R.L. Conjunto de motor y ventiladores para secadora de ropa por condensación y secadora de ropa por condensación que contiene dicho conjunto
CN203212887U (zh) * 2013-04-07 2013-09-25 海尔集团公司 一种干衣机
CN104562602B (zh) * 2013-10-12 2018-10-12 海尔集团公司 一种干衣机冷凝水引流结构及干衣机
US10443178B2 (en) * 2017-09-01 2019-10-15 Whirlpool Corporation Rear panel and basement damping treatments for a laundry appliance
KR102534478B1 (ko) * 2018-07-06 2023-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WO2020111817A1 (ko) * 2018-11-30 2020-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20200065931A (ko) * 2018-11-30 2020-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CN109972368B (zh) * 2019-04-22 2024-05-07 浙江工业职业技术学院 滚筒式毛巾烘干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592A1 (ko) 2022-09-27 2024-04-0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통신 이상 상황의 대응을 위한 배터리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50149A1 (en) 2022-08-31
CN114960147A (zh) 2022-08-30
TW202237931A (zh) 2022-10-01
CN114960147B (zh) 2024-07-26
TWI820617B (zh) 2023-11-01
US20220275564A1 (en) 2022-09-01
CN118621545A (zh) 202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908534B (zh) 衣物处理装置
CN114908532B (zh) 衣物处理装置
KR20220122240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224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6429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642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6428A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126430A (ko) 의류처리장치
TWI857276B (zh) 衣物處理裝置
CN114908538B (zh) 衣物处理装置
KR20220114271A (ko) 의류처리장치
KR20230007049A (ko) 의류 처리장치
KR20230000174A (ko) 의류 처리장치
KR20230007050A (ko) 의류 처리장치
KR20220121511A (ko) 의류처리장치
CN114908533A (zh) 衣物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