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608A -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608A
KR20220121608A KR1020210025912A KR20210025912A KR20220121608A KR 20220121608 A KR20220121608 A KR 20220121608A KR 1020210025912 A KR1020210025912 A KR 1020210025912A KR 20210025912 A KR20210025912 A KR 20210025912A KR 20220121608 A KR20220121608 A KR 20220121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llision
hinge
vehicle
sea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민
장래익
김학영
송지운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5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1608A/ko
Publication of KR20220121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transvers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가 착좌한 시트를 충돌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이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충돌시 발생되는 파편도 회피되어 탑승자의 충돌 안정성이 확보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SEAT SAFETY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다양한 충돌 방향에서도 탑승자가 안전하게 보호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주행 성능, 편의성, 기능성과 더불어, 탑승객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안전장치 중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수단으로 에어백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백은 차량 충돌시 운전자 및 탑승자를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차량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센서, 충돌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컨트롤러,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에어백 모듈로 구성되며, 설치 위치나, 보호 대상에 따라 운전자 에어백, 조주석 에어백, 사이드 에어백, 루프 에어백 등으로 분류되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어백만으로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제약이 발생된다. 즉, 에어백의 경우 초기 설계에 맞추어 전개 형상이 결정됨에 따라, 차량의 충돌 방향에 따라 유동적으로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526887 B1 (2015.06.02)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충돌시 차량의 다양한 충돌 방향에서도 탑승자가 안전하게 보호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는 시트프레임 상부에 마련되고 탑승자가 착좌하는 베이스; 시트프레임에 설치되어 베이스의 하측에 마련되고, 복수개로 구성되어 베이스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기 배치되며, 동작시 베이스를 상방으로 거동시키는 리프팅기구; 시트프레임에서 복수개로 마련되어 베이스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동작시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회전기구; 및 차량의 충돌위험 발생시 차량 충돌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고, 충돌위험 발생시 충돌방향에 해당되는 회전기구와 리프팅기구가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베이스가 충돌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시트프레임은 바닥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이스는 시트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며 일측단부와 타측단부가 회전기구를 매개로 시트프레임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프팅기구는 시트프레임에 설치된 리프팅용구동부; 및 리프팅용구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리프팅용구동부의 동작시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베이스를 상방으로 밀어주는 인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기구는 베이스의 일측단부 또는 타측단부에 결합된 힌지부; 시트프레임에서 힌지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고 동작시 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용구동부; 및 회전용구동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힌지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베이스가 힌지부를 매개로 회전되도록 하며, 회전용구동부의 동작시 동력을 전달받아 힌지부에서 이탈되는 힌지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힌지부는 관통홀이 전후방향으로 개통되게 형성되고, 힌지핀부는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관통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기구는 시트프레임에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용구동부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힌지핀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수용홈은 회전용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이동된 힌지핀부가 힌지부에서 완전히 이탈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홈 내부에는 회전용구동부가 동작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힌지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회전용구동부의 동작시 힌지핀부의 이동에 의해 지지부가 좌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충돌위험 발생시 회전기구가 선 동작되어 베이스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하고, 리프팅기구가 후 동작되어 베이스의 회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충돌위험 발생시 충돌 방향이 탑승자의 일측일 경우 시트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된 리프팅기구와 회전기구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의 일측이 들어올려져 타측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는 충돌위험 발생시 충돌 방향이 탑승자의 타측일 경우 시트프레임의 타측에 마련된 리프팅기구와 회전기구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의 타측이 들어올려벼 일측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측방으로 전개되는 측방에어백;을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충돌위험 발생시 리프팅기구와 회전기구가 동작되고, 충돌이 발생되면 측방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가 착좌한 시트를 충돌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이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충돌시 발생되는 파편도 회피되어 탑승자의 충돌 안정성이 확보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내지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6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내지 6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100) 상부에 마련되고 탑승자가 착좌하는 베이스(200); 시트프레임(100)에 설치되어 베이스(200)의 하측에 마련되고, 복수개로 구성되어 베이스(20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기 배치되며, 동작시 베이스(200)를 상방으로 거동시키는 리프팅기구(300); 시트프레임(100)에서 복수개로 마련되어 베이스(20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동작시 베이스(200)로부터 이탈되는 회전기구(400); 및 차량의 충돌위험 발생시 차량 충돌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고, 충돌위험 발생시 충돌방향에 해당되는 회전기구(400)와 리프팅기구(300)가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베이스(200)가 충돌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기(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시트프레임(100)은 바닥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시트프레임(100)의 하부에는 이동레일(110)이 마련되고, 바닥면에는 고정레일(120)이 마련되어, 시트프레임(100)이 레일 구조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베이스(200)에는 탑승자가 착좌할 수 있도록 시트쿠션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베이스(200)는 시트프레임(100)의 상부에 안착되며 일측단부와 타측단부가 회전기구(400)를 매개로 시트프레임(10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시트프레임(100)에서 일측의 회전기구(400) 또는 타측의 회전기구(400)를 중심으로 틸팅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기구(400)의 경우 베이스(200)를 시트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과 더불어, 동작시 베이스(200)로부터 이탈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일측의 회전기구(400)가 동작되는 경우, 베이스(200)의 일측단부는 회전이 허용되고 타측단부가 타측의 회전기구(400)를 매개로 회전 동작이 수행됨으로써, 베이스(200)는 일측단부가 상방으로 틸팅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200)의 회전이 허용된 상태에서 베이스(200)가 회전되는 힘을 제공하기 위해 시트프레임(100)에는 리프팅기구(300)가 설치된다. 이러한 리프팅기구(300)는 시트프레임(100)에서 베이스(200)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기 배치되며, 동작시 베이스(200)를 상방으로 거동시킴으로써 베이스(20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회전기구(400)와 리프팅기구(300)는 제어기(500)에 의해 제어되어, 차량 충돌 발생시 베이스(200)가 충격으로부터 회피되도록 한다. 즉, 제어기(500)는 차량의 충돌위험 발생시 차량 충돌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고, 충돌위험 발생시 충돌방향에 해당되는 회전기구(400)와 리프팅기구(300)가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베이스(200)가 충돌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탑승자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가 착좌한 시트가 충돌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틸팅됨으로써, 충격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회피되고, 충돌시 발생되는 파편도 회피되어 탑승자의 충돌 안정성이 확보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리프팅기구(300)는 시트프레임(100)에 설치된 리프팅용구동부(310); 및 리프팅용구동부(310)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리프팅용구동부(310)의 동작시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베이스(200)를 상방으로 밀어주는 인출부(3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리프팅용구동부(310)는 가스리프터 또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고, 인출부(320)가 리프팅용구동부(3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베이스(200)를 상방으로 밀어주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리프팅용구동부(310)는 제어기(500)에 의해 제어되며, 리프팅용구동부(310)의 동작 여부에 따라 인출부(320)가 상방으로 거동됨으로써 베이스(200)의 틸팅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
한편,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기구(400)는 베이스(200)의 일측단부 또는 타측단부에 결합된 힌지부(410); 시트프레임(100)에서 힌지부(4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고 동작시 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용구동부(420); 및 회전용구동부(420)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힌지부(410)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베이스(200)가 힌지부(410)를 매개로 회전되도록 하며, 회전용구동부(420)의 동작시 동력을 전달받아 힌지부(410)에서 이탈되는 힌지핀부(430);를 포함한다.
여기서, 힌지부(410)는 베이스(200)에 일체로 결합되며, 회전용구동부(420)와 힌지핀부(430)는 시트프레임(100)측에 설치된다.
회전용구동부(420)는 힌지부(410)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고, 가스리프터 또는 모터로 구성되어 힌지핀부(430)가 이동될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킨다. 힌지핀부(430)는 회전용구동부(420)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힌지부(410)를 관통하도록 연장됨으로써, 힌지부(410)가 힌지핀부(430)를 매개로 회전될 수 있다. 특히, 힌지핀부(430)는 회전용구동부(420)의 동작시 힌지부(410)에서 이탈되도록 이동됨으로써 베이스(200)와 시트프레임(100) 간의 연결이 해제됨에 따라 베이스(200)의 틸팅이 허용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힌지부(410)는 관통홀(411)이 전후방향으로 개통되게 형성되고, 힌지핀부(430)는 관통홀(411)을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관통홀(411)에 삽입된다. 여기서, 관통홀(411)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힌지핀부(4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힌지부(410)가 힌지핀부(430)를 매개로 회전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힌지부(410)는 힌지핀부(430)에서 회전됨에 따라 베이스(200)의 회전 동작이 수행될 수 있으며, 회전용구동부(420)의 동작시 힌지핀부(430)가 힌지부(410)에서 원활히 이탈될 수 있다.
한편, 회전기구(400)는 시트프레임(100)에서 힌지부(410)를 중심으로 회전용구동부(420)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힌지핀부(430)가 수용되도록 수용홈(441)이 형성된 가이드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핀부(430)는 일단이 회전용구동부(420)에 연결되고 타단이 가이드부(440)의 수용홈(441)에 일부 삽입됨에 따라 힌지핀부(430)의 강건성이 확보되어 힌지부(410)를 안정적으로 회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핀부(430)가 회전용구동부(420)의 동작에 의해 이동시, 가이드부(440)의 수용홈(441)을 통해 이동이 가이드되어 힌지부(410)에서 원활히 이탈될 수 있다. 또한, 힌지핀부(430)가 힌지부(410)에서 이탈된 후 가이드부(440)의 수용홈(441)에 내장됨에 따라, 힌지핀부(430)가 파편으로 작용됨에 따른 탑승자의 2차 상해가 방지된다.
이러한 가이드부(44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수용홈(441)은 회전용구동부(420)의 동작에 의해 이동된 힌지핀부(430)가 힌지부(410)에서 완전히 이탈되도록 연장된다. 이로 인해, 힌지핀부(430)는 회전용구동부(420)의 동작에 의해 힌지부(410)에서 이탈시 가이드부(440)의 수용홈(441)으로 삽입되면서 힌지부(410)로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힌지부(410)는 힌지핀부(43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됨으로써, 베이스(200)의 틸팅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수용홈(441) 내부에는 회전용구동부(420)가 동작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힌지부(4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부(442)가 형성되고, 회전용구동부(420)의 동작시 힌지핀부(430)의 이동에 의해 지지부(442)가 좌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442)는 힌지핀부(430)보다 강성이 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힌지핀부(430)는 회전용구동부(420)가 동작되지 않는 초기 상태에서는 일단이 회전용구동부(420)에 연결되고, 타단이 수용홈(441)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부(442)에 지지됨에 따라 이동이 제한되어 힌지부(410)가 힌지핀부(430)를 매개로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이후, 회전용구동부(420)가 동작되면, 힌지핀부(430)가 이동되면서 가이드부(440)의 수용홈(441)에 삽입되되 지지부(442)를 좌굴시키면서 이동됨으로써, 힌지부(410)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어 가이드부(440)의 수용홈(441)에 삽입된다.
한편, 상술한 리프팅기구(300)와 회전기구(400)를 제어하는 제어기(500)는 하기와 같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500)는 충돌위험 발생시 회전기구(400)가 선 동작되어 베이스(200)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하고, 리프팅기구(300)가 후 동작되어 베이스(200)의 회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즉, 제어기(500)는 각종 센서를 통해 차량과 주변 장애물 간의 충돌을 예측할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위험 발생시 차량 충돌에 따른 정보를 토대로 충돌 방향을 파악한다. 이렇게, 제어기(500)는 충돌위험이 발생될 것으로 파악되면, 회전기구(400)가 동작되도록 하여 베이스(200)의 틸팅 동작이 허용되도록 하고, 베이스(200)의 틸팅 동작이 허용되면 리프팅기구(300)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200)가 틸팅되도록 한다. 이렇게, 제어기(500)는 회전기구(400)와 리프팅기구(300)의 순차적인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베이스(200)가 안정적으로 틸팅 동작되도록 한다.
상세하게, 제어기(500)는 충돌위험 발생시 충돌 방향이 탑승자의 일측일 경우 시트프레임(100)의 일측에 마련된 리프팅기구(300)와 회전기구(400)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200)의 일측이 들어올려져 타측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즉,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기(500)는 탑승자의 일측으로 충돌이 발생될 것으로 파악되면, 시트프레임(100)의 일측에 마련된 회전기구(400)가 동작되도록 하여 베이스(200)가 타측의 회전기구(400)를 매개로 회전되도록 하고, 이후 시트프레임(100)의 일측에 마련된 리프팅기구(300)가 동작되도록 하여 베이스(200)의 일측이 들어올려지면서 틸팅되도록 한다.
반대로, 제어기(500)는 충돌위험 발생시 충돌 방향이 탑승자의 타측일 경우 시트프레임(100)의 타측에 마련된 리프팅기구(300)와 회전기구(400)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200)의 타측이 들어올려져 일측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즉,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제어기(500)는 탑승자의 타측으로 충돌이 발생될 것으로 파악되면, 시트프레임(100)의 타측에 마련된 회전기구(400)가 동작되도록 하여 베이스(200)는 일측의 회전기구(400)를 매개로 회전되도록 하고, 이후 시트프레임(100)의 타측에 마련된 리프팅기구(300)가 동작되도록 하여 베이스(200)의 타측이 들어올려지면서 틸팅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탑승자는 충돌이 발생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직접적인 충격이 회피되고, 충돌시 발생되는 파편에 의한 피해가 최소화된다.
한편,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측방으로 전개되는 측방에어백(600);을 더 포함하고, 제어기(500)는 충돌위험 발생시 리프팅기구(300)와 회전기구(400)가 동작되고, 충돌이 발생되면 측방에어백(600)이 전개되도록 한다.
이러한 측방에어백(600)은 사이드에어백 또는 센터에어백이 될 수 있으며, 전개시 탑승자의 측방에 위치됨에 따라 탑승자를 측방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측방에어백(600)은 차량 충돌이 발생되면 전개됨으로써, 탑승자를 추가적으로 안전하게 보호한다. 즉, 제어기(500)는 충돌위험이 있을 경우 리프팅기구(300)와 회전기구(400)가 동작되도록 하여 탑승자를 충격으로부터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이동시키고, 충돌이 발생되는 경우 측방에어백(600)이 전개되어 탑승자를 직접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는 차량 충돌시 탑승자가 착좌한 시트를 충돌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이 탑승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충돌시 발생되는 파편도 회피되어 탑승자의 충돌 안정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시트프레임 200:베이스
300:리프팅기구 310:리프팅용구동부
320:인출부 400:회전기구
410:힌지부 411:관통홀
420:회전용구동부 430:힌지핀부
440:가이드부 441:수용홈
442:지지부 500:제어기
600:측방에어백

Claims (12)

  1. 시트프레임 상부에 마련되고 탑승자가 착좌하는 베이스;
    시트프레임에 설치되어 베이스의 하측에 마련되고, 복수개로 구성되어 베이스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기 배치되며, 동작시 베이스를 상방으로 거동시키는 리프팅기구;
    시트프레임에서 복수개로 마련되어 베이스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동작시 베이스로부터 이탈되는 회전기구; 및
    차량의 충돌위험 발생시 차량 충돌에 따른 정보를 입력받고, 충돌위험 발생시 충돌방향에 해당되는 회전기구와 리프팅기구가 동작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베이스가 충돌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프레임은 바닥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이스는 시트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며 일측단부와 타측단부가 회전기구를 매개로 시트프레임의 일측단부와 타측단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리프팅기구는 시트프레임에 설치된 리프팅용구동부; 및
    리프팅용구동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리프팅용구동부의 동작시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베이스를 상방으로 밀어주는 인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기구는 베이스의 일측단부 또는 타측단부에 결합된 힌지부;
    시트프레임에서 힌지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되고 동작시 동력을 발생시키는 회전용구동부; 및
    회전용구동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힌지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베이스가 힌지부를 매개로 회전되도록 하며, 회전용구동부의 동작시 동력을 전달받아 힌지부에서 이탈되는 힌지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힌지부는 관통홀이 전후방향으로 개통되게 형성되고,
    힌지핀부는 관통홀을 통과하도록 연장되어 관통홀에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회전기구는 시트프레임에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전용구동부의 반대편에 설치되고 힌지핀부가 수용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수용홈은 회전용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이동된 힌지핀부가 힌지부에서 완전히 이탈되도록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수용홈 내부에는 회전용구동부가 동작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힌지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지지부가 형성되고, 회전용구동부의 동작시 힌지핀부의 이동에 의해 지지부가 좌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기는 충돌위험 발생시 회전기구가 선 동작되어 베이스의 회전이 허용되도록 하고, 리프팅기구가 후 동작되어 베이스의 회전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기는 충돌위험 발생시 충돌 방향이 탑승자의 일측일 경우 시트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된 리프팅기구와 회전기구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의 일측이 들어올려져 타측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기는 충돌위험 발생시 충돌 방향이 탑승자의 타측일 경우 시트프레임의 타측에 마련된 리프팅기구와 회전기구가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베이스의 타측이 들어올려벼 일측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측방으로 전개되는 측방에어백;을 더 포함하고,
    제어기는 충돌위험 발생시 리프팅기구와 회전기구가 동작되고, 충돌이 발생되면 측방에어백이 전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KR1020210025912A 2021-02-25 2021-02-25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KR20220121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912A KR20220121608A (ko) 2021-02-25 2021-02-25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912A KR20220121608A (ko) 2021-02-25 2021-02-25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608A true KR20220121608A (ko) 2022-09-01

Family

ID=8328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912A KR20220121608A (ko) 2021-02-25 2021-02-25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160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87B1 (ko) 2014-04-30 2015-06-09 (주)티에프에스 차량시트용 슬라이딩 무단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87B1 (ko) 2014-04-30 2015-06-09 (주)티에프에스 차량시트용 슬라이딩 무단록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684B2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and startup method of same
JP6172165B2 (ja) エアバッグ装置
EP1604874B1 (en) Controller for collision object protection device
KR101611087B1 (ko) 차량용 승객 보호시스템 및 방법
KR20190142506A (ko) 차량용 에어백
KR20190093952A (ko) 차량용 센터 커튼 에어백
CN110770073B (zh) 车辆座椅
EP3530526B1 (en) Airbag apparatus for vehicle
CN112265513A (zh) 车顶安全气囊装置
KR20220026388A (ko) 차량용 에어백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06504563A (ja) 分離ユニットの形態の乗員室を備えた自動車
EP0733518A1 (en) Side impact airbag installation
JP2007523006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20121608A (ko) 차량용 시트 안전 장치
KR102096845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20050029833A (ko) 자동차의 후석용 에어백
CN114763087A (zh) 车辆用座椅装置
KR102043045B1 (ko) 자동차의 에어백 장치
KR100510362B1 (ko) 자동차 탑승객의 측면이동 구속장치
KR100494787B1 (ko) 차량의 충돌 발생시의 윈도우 글래스 하강장치
KR19980083798A (ko) 자동차의 좌석제어장치
KR20110027418A (ko) 커튼에어백 장치
KR100599574B1 (ko) 무개차량용 사이드 에어백의 쿠션부 지지장치
JP3135604B2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20080036390A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