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143A - 집게용 필기구 꽂이 - Google Patents
집게용 필기구 꽂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1143A KR20220121143A KR1020210060184A KR20210060184A KR20220121143A KR 20220121143 A KR20220121143 A KR 20220121143A KR 1020210060184 A KR1020210060184 A KR 1020210060184A KR 20210060184 A KR20210060184 A KR 20210060184A KR 20220121143 A KR20220121143 A KR 202201211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s
- writing instrument
- piece
- connecting piece
- fixing pa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9/00—Filing appliances with devices clamping file edges; Covers with clamping backs
- B42F9/001—Clip boards
- B42F9/002—Clip boards combined with auxiliary devices, e.g. penc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06—Fasteners comprising two co-operating jaws closed by spring action and that can be manually opened, e.g. cla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16—Books or filing applian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42P2241/18—Books or filing applian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writing instruments
Landscapes
- Catalysts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양한 사용 편의성을 가지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를 제공한다. 여기서, 집게용 필기구 꽂이는 내측에 문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지며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본체와, 집게본체에 결합되고 집게본체가 벌어지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가지는 집게에 탈착 가능한 집게용 필기구 꽂이로서, 몸체부, 고정부 그리고 필기구고정부를 포함한다. 몸체부는 삽입공간에 구비되고 집게본체의 내면에 밀착된다. 고정부는 몸체부와 연결되고, 집게본체의 외면에 위치되어 몸체부를 집게본체에 고정시킨다. 필기구고정부는 몸체부와 연결되고, 집게본체의 외측으로 연장 구비되며, 필기구가 삽입 고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집게용 필기구 꽂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용 편의성을 가지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에 관한 것이다.
종이 클램프 또는 바인더 클립이라고도 불리는 집게는 통상적으로 집게본체에 한 쌍의 손잡이가 장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눌러 집게본체를 벌릴 수 있으며, 집게는 여러 장의 문서를 집어 합본하는 등의 용도로 사용된다.
그런데, 집게에 필기구를 부착하는 기능이 부재함에 따라 문서와 별도로 필기구를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집게는 주로 금속으로 제작된다. 따라서 집게가 딱딱하고 매끈한 표면에 놓여 있을 때 쉽게 미끄러지는 문제가 있고, 딱딱한 표면에 집게가 부딪힐 때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사용 편의성을 가지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측에 문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지며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본체와, 상기 집게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본체가 벌어지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가지는 집게에 탈착 가능한 집게용 필기구 꽂이로서, 상기 삽입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집게본체의 내면에 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집게본체의 외면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집게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집게본체의 외측으로 연장 구비되며, 필기구가 삽입 고정되는 필기구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결편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편의 외면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편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단부는 상기 연결편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결편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필기구고정부는 상기 연결편의 외측으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필기구고정부의 외측 폭은 상기 연결편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결편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편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편의 외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고정부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필기구를 가압하는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고정부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집게용 필기구 꽂이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결편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필기구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결편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선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의 외면에 상기 연결편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내측에 문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지며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본체와, 상기 집게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본체가 벌어지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가지는 집게에 탈착 가능한 집게용 필기구 꽂이로서, 상기 삽입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집게본체의 내면에 밀착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집게본체의 외면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집게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연결편의 사이에는 필기구가 삽입 고정되는 필기구고정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선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집게용 필기구 꽂이는 탄성 및 마찰력을 가지는 유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어 집게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집게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집게용 필기구 꽂이에는 필기구가 고정될 수 있고, 집게와 책상바닥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미끄러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라벨 고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 및 집게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에 필기구가 결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의 몸체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의 필기구고정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의 필기구고정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에 필기구가 결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의 몸체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의 필기구고정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의 필기구고정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 및 집게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에 필기구가 결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는 집게(10)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집게(10)는 통상적으로 종이 클램프, 집게 클립 또는 바인더 클립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는, 내측에 문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23)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지는 집게본체(20)와, 집게본체(20)에 결합되고 집게본체(20)가 벌어지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손잡이(30)를 가지는 집게(1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집게본체(20)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집게편(21)과, 집게편(21)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편(22)을 가질 수 있다.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는 몸체부(110), 고정부(120) 그리고 필기구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10), 고정부(120) 및 필기구고정부(130)는 탄성 및 마찰력을 가지는 유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소재로는 예를 들면, 고무 또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집게본체(20)의 연결편(2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집게본체(20)의 외부에서 삽입공간(23)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일단부(111)는 블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몸체부(110)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평판 형상의 몸체부(110)와 이격된 상태에서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120) 및 몸체부(110)의 사이에는 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간(121)으로는 집게본체(20)의 연결편(22)이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120)는 몸체부(110)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0)의 일단부가 고정부(120)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0)는 연결편(22)의 제1길이(L1)보다 짧은 제2길이(L2)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부(120)의 타단부(123)는 자유단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고정부(120)의 타단부(123)는 들어 올려져 연결편(22)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고정부(120)는 라벨이 부착될 수 있도록 기능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집게본체(20)의 외측에서 몸체부(110)가 집게본체(20)의 삽입공간(23)으로 삽입되고, 집게본체(20)의 연결편(22)이 고정부(120) 및 몸체부(110)의 사이의 공간(121)으로 삽입되면, 몸체부(110)는 연결편(22)의 내면(22b)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20)는 연결편(22)의 외면(22a)에 위치되어 몸체부(110)가 집게본체(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120)는 연결편(22)의 외면(22a)에 밀착될 수 있다.
더욱이,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10) 및 고정부(120)는 마찰력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연결편(22)의 내면(22b)에 밀착된 몸체부(110)와, 연결편(22)의 외면(22a)에 밀착된 고정부(120) 사이에서는 미끄러짐이 감소되어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는 집게본체(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필기구고정부(130)는 몸체부(1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몸체부(110) 및 고정부(120)가 집게본체(20)에 결합되었을 때 집게본체(20)의 외측으로 연장 구비될 수 있다. 필기구고정부(130) 및 몸체부(11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0), 고정부(120) 및 필기구고정부(130)는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구고정부(130)는 양단부가 각각 몸체부(110)에 연결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필기구고정부(130)는 유연 소재로 형성되어 탄성복원력을 가질 수 있으며, 필기구고정부(130)의 내측으로 필기구(50)가 삽입되면 필기구(5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집게(10)의 삽입공간(23)에 문서가 고정되더라도 문서와 필기구(50)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필기구(5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의 몸체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편(22)의 외측에 구비되는 몸체부(110)의 일단부(111)의 외측단부(112)는 연결편(2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0)의 외측단부(112)는 연결편(22)의 제1폭(W1)보다 넓은 제2폭(W2)으로 형성되어 연결편(22)의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집게(10)가 바닥 등에 놓여져 있을 때, 몸체부(110)의 외측단부(112)가 바닥에 먼저 닿게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집게(1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집게(10)가 바닥 등에 부딪히거나 끌리면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몸체부(110)의 외측단부(112)가 연결편(22)보다 더 돌출되면 몸체부(110)의 외측단부(112)가 바닥 등에 닿게 되기 때문에, 이러한 소음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소음 발생 방지는 필기구고정부(130)를 통해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의 필기구고정부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먼저,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기구고정부(130a)는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필기구고정부(130a)는 외측 폭(W3)이 연결편(22)의 제1폭(W1)보다 더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기구고정부(130b)는 적어도 한 쌍의 돌출단(131)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돌출단(131)의 외측 폭(W4)이 연결편(22)의 제1폭(W1)보다 더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집게본체(20)대신 돌출단(131)이 바닥 등에 닿게 되기 때문에 소음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의 필기구고정부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평면예시도이다.
먼저,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기구고정부(130)는 돌기(132)를 가질 수 있다. 돌기(132)는 필기구고정부(13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되는 필기구를 가압하여 필기구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돌기(132)는 복수개가 필기구고정부(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도 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기구고정부(130)는 내주면이 주름(133)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주름(133)은 삽입되는 필기구를 가압하여 필기구가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기구고정부(130)의 내주면이 절개되어 절개선을 갖추는 등 다양한 형태로 필기구가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의 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는 결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140)는 필기구고정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40)는 필기구고정부(130)에 감기도록 구비되는 밴드(141)와, 밴드(141)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결합구(142) 및 밴드(141)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제1결합구(142)와 결합 및 해제될 수 있는 제2결합구(143)를 가질 수 있다. 어느 하나의 필기구고정부(130)에 결합된 결합부(140)는 다른 필기구고정부(130)에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복수의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는 결합부(14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각각 문서가 고정된 다수의 집게(10)가 서로 닿도록 쌓아진 상태인 경우에도, 집게(10)가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연관성 있는 서류끼리 집게를 결합시켜 합본한 상태로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제1결합구(142) 및 제2결합구(143)는 단추 형태, 패스너(Fastener)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a)는 몸체부(110), 고정부(120) 및 필기구고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부(110)는 집게본체(20, 도 1 참조)의 연결편(22, 도 1 참조)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20) 및 필기구고정부(130)는 몸체부(110)의 양단부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12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한 쌍의 고정부(120)는 연결편(22)의 외면(22a)에서 라벨(60)의 양단부를 고정시켜 라벨(60)이 연결편(22)의 외면(22a)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몸체부(110)의 양단부에 고정부(120) 및 필기구고정부(130)가 구비된다는 점에서만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내용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b)는 몸체부(110b), 고정부(120a) 및 필기구고정부(130)를 가질 수 있다.
몸체부(110b)는 집게본체(20)의 연결편(2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b)가 집게본체(20)에 결합되었을 때, 몸체부(110b)는 연결편(22)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고, 몸체부(110b)의 양단부는 연결편(22)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고정부(120a)는 몸체부(110b)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선(11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절개선(115)은 몸체부(1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부(120a)는 몸체부(110b)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선(115)은 연결편(2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절개선(115)의 사이로, 집게(10)의 손잡이(30), 집게편(21) 및 연결편(22)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b)는 집게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b) 및 집게본체(20)의 결합이 완료되면, 몸체부(110b)는 연결편(22)의 하면에 밀착되고, 고정부(120a)는 연결편(22)의 외면(22a)에 연결편(22)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가 집게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c)는 몸체부(110c) 및 고정부(120c)를 가질 수 있다.
몸체부(110c)는 집게본체(20)의 연결편(2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c)가 집게본체(20)에 결합되었을 때, 몸체부(110c)는 삽입공간(23, 도 1 참조)에 위치할 수 있고, 고정부(120c)는 연결편(22)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부(120c)는 몸체부(110c)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선(115c)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절개선(115c)은 몸체부(110c)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부(120c)는 몸체부(110c)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개선(115c)은 연결편(22)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절개선(115c)의 사이로, 집게(10)의 손잡이(30), 집게편(21) 및 연결편(22)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c)는 집게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집게용 필기구 꽂이(100c) 및 집게본체(20)의 결합이 완료되면, 몸체부(110c)는 삽입공간(23)에 고정되고, 고정부(120c)는 연결편(22)의 외면(22c)에 연결편(22)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c)의 길이(L3)가 연결편(22)의 길이(L1, 도 2 참조)보다 길어서 몸체부(110c)의 양단부(111c)는 연결편(22)의 양단부에 밀착될 수 있고, 고정부(120c)와 연결편(22) 사이에는 필기구(50)가 삽입 고정되는 필기구고정공간(15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편(22) 위에 위치하는 고정부(120c)의 길이(L4)는 연결편(22)의 길이보다 짧아서 연결편(22)의 양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편(22)을 따라서 손쉽게 필기구(50)를 끼우거나 뺄 수 있으며, 몸체부(110c)와 고정부(120c)를 연결하는 탄력부(160)의 탄력성으로 늘어나고 줄어들면서 필기구의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120c)는 몸체부(110c)를 집게본체(20)에 고정하는 동시에 필기구를 고정하는 필기구고정부로 작용할 수 있다. 탄력부(160)의 탄력성이 증가될 수 있도록, 탄력부(160)는 주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필기구고정공간(150)에 삽입되는 필기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고정부(120c)의 내면에는 고정돌기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120c)가 주름지게 형성되어 필기구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집게
20: 집게본체
21: 집게편 22: 연결편
30: 손잡이 50: 필기구
60: 라벨 100: 집게용 필기구 꽂이
110: 몸체부 115: 절개선
120: 고정부 130: 필기구고정부
131: 돌출단 132: 돌기
133: 주름 140: 결합부
150: 필기구고정공간 160: 탄력부
21: 집게편 22: 연결편
30: 손잡이 50: 필기구
60: 라벨 100: 집게용 필기구 꽂이
110: 몸체부 115: 절개선
120: 고정부 130: 필기구고정부
131: 돌출단 132: 돌기
133: 주름 140: 결합부
150: 필기구고정공간 160: 탄력부
Claims (10)
- 내측에 문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지며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본체와, 상기 집게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본체가 벌어지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가지는 집게에 탈착 가능한 집게용 필기구 꽂이로서,
상기 삽입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집게본체의 내면에 밀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집게본체의 외면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집게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집게본체의 외측으로 연장 구비되며, 필기구가 삽입 고정되는 필기구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결편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편의 외면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편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단부는 상기 연결편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결편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필기구고정부는 상기 연결편의 외측으로 연장 구비되고, 상기 필기구고정부의 외측 폭은 상기 연결편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결편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편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편의 외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고정부는 내주면에 형성되어 삽입되는 필기구를 가압하는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고정부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집게용 필기구 꽂이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결편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필기구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연결편의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선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의 외면에 상기 연결편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 - 내측에 문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가지도록 절곡 형성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오므려지며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본체와, 상기 집게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집게본체가 벌어지도록 가압하는 한 쌍의 손잡이를 가지는 집게에 탈착 가능한 집게용 필기구 꽂이로서,
상기 삽입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집게본체의 내면에 밀착되는 몸체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집게본체의 외면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부를 상기 집게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연결편의 사이에는 필기구가 삽입 고정되는 필기구고정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본체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문서를 가압하는 집게편과, 상기 집게편을 연결하는 연결편을 가지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절개선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용 필기구 꽂이.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1/015548 WO2022181925A1 (ko) | 2021-02-24 | 2021-11-01 | 집게용 필기구 꽂이 |
JP2023547144A JP2024506287A (ja) | 2021-02-24 | 2021-11-01 | ダブルクリップ用筆記具ホルダー |
US18/235,331 US12005729B2 (en) | 2021-02-24 | 2023-08-17 | Writing instrument holder for cli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10000621 | 2021-02-24 | ||
KR20210000621 | 2021-02-24 | ||
KR20210001170 | 2021-04-14 | ||
KR2020210001170 | 2021-04-1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1143A true KR20220121143A (ko) | 2022-08-31 |
KR102563370B1 KR102563370B1 (ko) | 2023-08-04 |
Family
ID=8306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60184A KR102563370B1 (ko) | 2021-02-24 | 2021-05-10 | 집게용 필기구 꽂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56337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4459B1 (ko) | 1998-06-12 | 2000-12-15 | 구자홍 | 인버터의 과전류 검출회로 |
JP2002048111A (ja) * | 2000-08-01 | 2002-02-15 | Masanori Suzuki | クリップ用アタッチメント |
JP2007090720A (ja) * | 2005-09-29 | 2007-04-12 | Shachihata Inc | ダブルクリップ用アタッチメント |
CN102079194A (zh) * | 2010-12-22 | 2011-06-01 | 林春海 | 一种结构改良的带笔夹的文件夹 |
CN201931781U (zh) * | 2010-12-22 | 2011-08-17 | 林春海 | 带笔夹的夹子和文件夹 |
KR20170001872U (ko) * | 2015-11-20 | 2017-05-30 | 윤범종 | 필기구 홀더를 갖는 서류 고정 집게 |
-
2021
- 2021-05-10 KR KR1020210060184A patent/KR1025633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4459B1 (ko) | 1998-06-12 | 2000-12-15 | 구자홍 | 인버터의 과전류 검출회로 |
JP2002048111A (ja) * | 2000-08-01 | 2002-02-15 | Masanori Suzuki | クリップ用アタッチメント |
JP2007090720A (ja) * | 2005-09-29 | 2007-04-12 | Shachihata Inc | ダブルクリップ用アタッチメント |
CN102079194A (zh) * | 2010-12-22 | 2011-06-01 | 林春海 | 一种结构改良的带笔夹的文件夹 |
CN201931781U (zh) * | 2010-12-22 | 2011-08-17 | 林春海 | 带笔夹的夹子和文件夹 |
KR20170001872U (ko) * | 2015-11-20 | 2017-05-30 | 윤범종 | 필기구 홀더를 갖는 서류 고정 집게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63370B1 (ko) | 2023-08-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04315B1 (ko) | 집게용 논슬립 조립체 | |
KR20220121143A (ko) | 집게용 필기구 꽂이 | |
KR100838465B1 (ko) | 내부안내지가 구비된 종이 클립 | |
CN101282844A (zh) | 用于固定线型书签的夹子 | |
EP4137329A1 (en) | Clamping tool | |
US12005729B2 (en) | Writing instrument holder for clip | |
JP2009012241A (ja) | クリップ | |
KR102130462B1 (ko) | 다이어리 고정클립 | |
JP3152472U (ja) | クリップ | |
KR200421295Y1 (ko) | 문서보호용 파일 | |
JP4889111B2 (ja) | スライドクリップの除去器具 | |
KR200298533Y1 (ko) | 종이클립 | |
JP7475619B2 (ja) | ダブルクリップ用ノンスリップ組立体 | |
JP2004122627A (ja) | 筆記具保持構造を有するフォルダー及びフォルダー用筆記具保持具 | |
KR101282514B1 (ko) | 문서 클램핑 기구 | |
KR200406386Y1 (ko) | 서류 고정용 고리 | |
JPH07329471A (ja) | 指掛け部付きクリップ | |
KR200186087Y1 (ko) | 클립 | |
JP5963366B2 (ja) | 金属クリップ | |
JP2001191670A (ja) | シート状ガイド付きクリップ | |
KR200355844Y1 (ko) | 띠지 케이스 | |
JPH09150593A (ja) | クリップ | |
KR200312506Y1 (ko) | 파일홀더 | |
KR200343753Y1 (ko) | 서류집게 | |
JP3068045U (ja) | クリ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