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188A -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0188A KR20220120188A KR1020210023973A KR20210023973A KR20220120188A KR 20220120188 A KR20220120188 A KR 20220120188A KR 1020210023973 A KR1020210023973 A KR 1020210023973A KR 20210023973 A KR20210023973 A KR 20210023973A KR 20220120188 A KR20220120188 A KR 202201201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stines
- squid
- support
- mantle
- tong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22C25/145—Eviscerating fish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2—Arranging fish, e.g.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head and tail
-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할복된 오징어에서 내장을 제거하는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1)는, 할복된 오징어(2)가 올려져 세팅되는 트레이(20); 트레이(20)에 세팅된 할복된 오징어(2)에 대해, 내장(2g)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펼쳐져 있는 외투막(2a)의 양측을 가압함으로써, 내장(2g)을 제거할 때 외투막(2a)의 유동을 방지하는 구속기구(30); 및 내장(2g)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가로로 형성되고, 벌어진 상태에서 내장(2g)의 양측에서 외투막(2a)의 표면에 접하도록 하강한 다음에, 수평으로 외투막(2a)과 내장(2g) 사이로 진입하여 내장(2g)의 하부를 집은 후에 위로 상승함으로써, 외투막(2a)에서 내장(2g)을 뜯어 적출하는 집게부재(41), 집게부재(41)에 연결된 연결로드(42), 연결로드(4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43), 연결로드(42)에 설치되어 집게부재(41)의 집게 작동을 가동시키는 집게용 액추에이터(44), 및 집게부재(41)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45, 50, 70)를 포함하며, 외투막(2a)에서 내장(2g)을 적출하는 내장적출기구(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징어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할복된 오징어에서 내장을 제거하는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오징어는, 살아 있는 상태로 공급하거나, 가공 없이 냉동, 냉장 또는 건조 상태로 공급하기도 하지만, 용도에 맞게 적절히 가공하여 공급하기도 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징어(2)는, 외투막(몸통: 2a), 머리(2b), 다리(2c), 목부(2d: 외투막과 머리 경계의 좁은 부분), 지느러미(2e: '귀'라고도 함), 눈(2f) 및 내장(2g) 등의 기관이 있다.
오징어(2)는, 외투막(2a)을 할복하는 가공, 외투막(2a)에서 내장(2g)을 분리하는 가공, 머리(2b)에서 눈(2f)을 제거하는 가공, 머리(2b)를 절개하는 가공, 외투막(2a)과 다리(2c)를 분리하는 가공, 외투막(2a)에서 지느러미(2e)를 분리하는 가공, 외투막(2a)에 칼집을 내는 과정 등, 사용 목적에 맞게 다양하게 가공되고 있으며, 이에 수반하여 오징어를 가공하는 각종 가공장치들이 개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오징어의 가공은 외투막(2a)을 할복하는 가공으로부터 시작한다고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의 특허 제10-0713581호, 특허 제10-1609044호, 특허 제10-1767462호, 및 특허 제10-1863663호 등의 ‘오징어 할복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오징어 가공장치 중에 외투막에서 내장을 제거하는 것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제10-0244684호의 ‘오징어 할복 및 내장 제거장치’, 대한민국 특허 제10-0367172호의 ‘오징어 내장제거 및 귀 절단장치’, 대한민국 특허 제10-0367173호의 ‘오징어 가공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100151호의 ‘오징어 가공기’, 대한민국 특허 제10-0509172호의 ‘오징어 가공기’, 대한민국 특허 제10-0713580호의 ‘오징어 내장/다리 분리장치’, 대한민국 특허 제10-1197291호의 ‘오징어 가공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88978호의 ‘오징어 자동 가공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는 단위시간당 내장을 제거하는 작업속도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내장을 실패 없이 확실하게 제거하는 것에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 본 발명자의 할복장치에, 내장을 제거하는 장치와 눈을 제거하는 장치 등, 다른 가공장치들을 통합적으로 적용한 종합적인 오징어 가공 장치를 구축하기 위해 수년간 지속적으로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물의 하나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15830호의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상기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는, 단위시간당 가공 속도는 향상되었으나, 가공 정밀도가 충분히 만족스럽지 못한 측면이 있었기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더욱 연구할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할복된 오징어에서 내장을 신속하고 정밀도 있게 제거할 수 있는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는, 트레이, 구속기구 및 내장적출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트레이는, 할복된 오징어가 올려져 세팅된다.
상기 구속기구는, 상기 트레이에 세팅된 할복된 오징어에 대해, 내장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펼쳐져 있는 외투막의 양측을 가압함으로써, 내장을 제거할 때 외투막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내정적출기구는, 외투막에서 내장을 적출하며, 집게부재, 연결로드, 지지대, 집게용 액추에이터, 및 승강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집게부재는, 내장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가로로 형성되고, 벌어진 상태에서 내장의 양측에서 외투막의 표면에 접하도록 하강한 다음에, 수평으로 외투막과 내장 사이로 진입하여 내장의 하부를 집은 후에 위로 상승함으로써, 외투막에서 내장을 뜯어 적출한다.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집게부재에 연결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연결로드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집게용 액추에이터는,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집게부재의 집게 작동을 가동시킨다.
상기 승강기구는, 상기 집게부재를 승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는, 상기 집게부재를 수평상태와 그 선단이 상승한 경사상태로 상호 변각시키는 변각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각기구에 의하여, 상기 집게부재는, 수평상태로 내장의 하부를 집은 후에, 상기 선단이 상승한 경사상태로 변각함으로써, 일부의 내장을 먼저 적출하고, 이어서 나머지의 내장을 적출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집게부재가 연결된 제1 지지대, 상기 승강기구가 연결된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에 대해 상기 제1 지지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각기구는, 상기 제2 지지대에 대해 상기 제1 지지대를 회동시켜서 상기 집게부재를 변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는, 상기 트레이에 올려진 할복된 오징어의 외투막을 상기 구속기구로 가압하여 오징어가 유동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내장적출기구의 상기 집게부재를 외투막과 내장 사이의 틈새로 수평으로 진입시켜 내장의 하부를 집게로 집듯이 집은 후에, 상기 집게부재를 위로 상승시킴으로써, 외투막에서 내장을 상측으로 뜯어내는 방식으로 내장을 적출하게 되므로, 외투막에서 내장을 매우 신속하고 실패 없이 정밀도 있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가공 대상이 되는 오징어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요부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요부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트레이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예시적인 집게부재의 집게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예시적인 집게부재의 승강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예시적인 집게부재의 변각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예시적인 작동 순서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요부 측면도.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14와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예시적인 작동 순서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집게부재의 집게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요부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요부 측면도.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트레이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예시적인 집게부재의 집게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예시적인 집게부재의 승강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예시적인 집게부재의 변각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예시적인 작동 순서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요부 측면도.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14와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예시적인 작동 순서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집게부재의 집게 작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2 내지 도1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1)는, 도1에 도시된 할복된 오징어(2)의 외투막(2a)에서 내장(2g)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어, 다리(2c)를 선두로 이송되는 오징어(2)의 외투막(2a)을 다리(2c) 쪽에서 지느러미(2e) 쪽으로 할복하는 할복장치(예, 본 발명자의 특허 제10-1767462호 등의 할복장치)의 하류에 설치하여, 할복된 오징어(2)의 외투막(2a)에서 내장(2g)을 제거하는 가공에 적용할 수 있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1)는, 할복장치와의 연계 없이 단독으로 적용할 수도 있고, 할복장치 이외의 다른 오징어 가공장치들과 연계하여 적용할 수 있는 등, 상황에 맞게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1)는, 작업하기 좋게 형성된 스탠드(3: 프레임)에 컨베이어(10)와 함께 설치할 수 있고, 기본적으로 트레이(20), 구속기구(30) 및 내장적출기구(4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상기 컨베이어(10)는, 도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2g)을 제거할 할복된 오징어(2)를 가공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기구이다.
컨베이어(10)는, 오징어(2)를 내장 제거 가공 위치로 이송할 수 있는 기구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다수의 트레이(20)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하고, 트레이(20)들을 일정한 속도로 상류에서 하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예를 들어 순환 회전하는 체인방식의 컨베이어를 적용할 수 있으며, 자동화기계에 널리 적용되는 통상의 컨베이어를 본 발명에 맞게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20)는, 도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2g)을 제거하기 좋은 상태로 오징어(2)를 올려 세팅하기 위한 판상의 부재로서, 예를 들어 컨베이어(10)에 설치하여, 컨베이어(10)에 의해 이송할 수 있다.
컨베이어(10)에는 하나의 트레이(20)만을 적용하는 것도 배제되지 않지만, 연속 작업을 통해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트레이(20)를 설치할 수 있다.
컨베이어(10)에 다수의 트레이(20)를 적용할 경우, 컨베이어(10)가 회전하면, 트레이(20)들이 일정한 속도와 시간 간격으로 상기 내장적출기구(40)의 위치를 통과하면서, 연속적으로 오징어(2)에서 내장(2g)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트레이(20)는, 내장(2g)을 제거할 수 있는 상태로 오징어(2)를 올려 세팅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1)과 고정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21)은, 오징어(2)가 올려짐으로써 오징어(2)를 아래에서 받쳐주는 판상의 부재이며, 예를 들어 사각형의 플라스틱 합성수지판을 적용할 수 있다.
받침판(21)은, 그 위에 세팅된 오징어(2)가 의도하지 않게 미끄러지거나 이동되지 않도록, 표면마찰저항이 높은 소재를 적용하거나, 표면에 논슬립 처리를 하거나, 논슬립 요철 무늬(21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22)는, 받침판(21) 위에 세팅된 오징어(2)를 어느 정도 고정시켜 줌으로써, 오징어가 의도하지 않게 제자리를 쉽게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부재이다.
고정부재(22)는, 받침판(21)의 선단 쪽에 형성할 수 있고, 고정부재(22)에는 오징어(2)의 외투막(2a)과 머리(2b) 사이의 좁은 목부(2d)가 삽입되며, 이로써 트레이(20)에 세팅된 오징어(2)는 쉽게 제자리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22)는, 오징어(2)의 목부(2d)를 구속하여, 받침판(21) 위에 세팅된 오징어(2)가 의도하지 않게 제자리를 벗어나는 않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구체예의 고정부재(22)는, 받침판(21)의 선단에서 일정거리 후단 쪽으로 이격된 위치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1쌍의 고정핀(22a)을 적용한 예로서, 2개의 고정핀(22a) 사이에 외투막(2a)과 머리(2b) 사이의 좁은 목부(2d)가 끼워짐으로써, 오징어(2)는 외투막(2a)과 머리(2b)는 받침판(21)에 올려지고 다리(2c)는 아래로 늘어진 상태로 받침판(21) 위에 세팅되며, 이렇게 세팅된 오징어(2)는 정해진 위치를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
고정핀(22a)은, 세로로 돌출된 ‘1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하부에 세로로 뻗은 세로부(22b)를 형성하고, 상부에 세로부(22b)에서 선단 쪽으로 가로로 굴곡된 가로부(22c)를 형성한, 대략 ‘기역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시된 구체예의 트레이(20)에 의하면, 목부(2d)가 고정부재(22)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오징어(2)가 받침판(21) 위에 세팅됨으로써, 오징어(2)가 제자리를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되고, 다리(2c)는 받침판(21)의 선단 아래로 자연스럽게 늘어져 있으면서, 머리(2b)는 고정부재(22)의 전방에 있는 받침판(21) 위에 올려지고 외투막(2a)은 고정부재(22)의 후방에 있는 받침판(21) 위에 올려진 상태로 세팅됨으로써, 다리가 흩어져 위치하는 것에 의하여 오징어에서 내장을 제거하는 공정이 방해받거나, 내장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다리의 일부가 손상되어 오징어의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받침판(21)의 선단에는 고정부재(22)와의 사이에 안쪽으로 오목하게 안착요부(23)를 형성할 수 있다. 안착요부(23)는 아래로 늘어진 다리(2c)가 좌우로 흐트러지지 않고 모이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런 안착요부(23)에 의하면, ‘다리가 흩어져 있고 의도하지 않게 다리의 일부가 받침대 위에 올려져 있게 되는 것’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내장 제거 과정의 방해나 다리 절단에 의한 상품성 저하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트레이(20)는, 받침판(21)을 컨베이어(10)에 결속하기 위한 체결대(24)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대(24)는 받침판(21)의 하면에 일정간격으로 2개소에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각 체결대(24)의 양단을 앞서 예시한 컨베이어(10)에 결속하면, 트레이(20)는 컨베이어(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컨베이어(10)의 회전에 의하여 상류에서 하류로 이송된다.
상기 구속기구(30)는, 트레이(20) 위에 세팅된 할복된 오징어(2)에 대해, 내장(2g)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펼쳐져 있는 외투막(2a)의 양측을 트레이(20)의 받침판(21) 쪽으로 가압하여 의도하지 않게 움직이지 못하게 함으로써, 내장(2g)을 적출하는 중에, 오징어(2), 특히 외투막(2a)이 의도하지 않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구이다.
구속기구(30)는, 내장을 적출하는 과정에서 외투막(2a)의 양측을 트레이(20)의 받침판(21)에 가압하여 외투막(2a)이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기구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도2와 도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투막(2a)의 양측을 받침판(21)에 대해 가압하는, 가로로 길게 신장된 1쌍의 가압판(31)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각각의 가압판(31)은, 받침판(21) 위에 내장(2g)을 중심으로 펼쳐진 양측 외투막(2a)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마치 스키와 같은 형상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가압판(31)은, 자체의 무게에 의해서, 또는 예를 들어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도시 생략)에 의해서, 또는 기계적인 가압에 의해서, 받침판(21) 위에 놓인 외투막(2a)을 아래로 가압하여 구속한다.
도2에 도시된 가압판(31)은, 예를 들어 가압판(31)의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는 4개의 연결대(32)를 적용하여 스탠드(3: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1)에 있어서, 외투막(2a)으로부터 내장(2g)의 적출 가공은, 도2 내지 도1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징어(2)가 세팅된 트레이(20)가 컨베이어(10)를 따라 상류에서 하류로 이송되고 있는 상태에서 실행할 수도 있고, 도12 내지 도1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오징어(2)가 세팅된 트레이(20)가 이송되지 않고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가압판(31)이 외투막(2a)을 위에서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레이(20)에 세팅된 오징어(2)가 트레이(20)와 함께 가압판(31)의 아래에서 상류에서 하류로 이송되고 있는 중에, 내장(2g)을 적출하는 것이므로, 이 과정에서는 오징어(2)의 상류에서 하류로의 이송이, 위에서 가압하고 있는 가압판(31)에 의해 저항을 받게 된다.
이런 이유로, 외투막(2a)의 저면이 접하는 받침판(21)의 표면은, 그 위의 외투막(2a)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예를 들어 전술한 논슬립 요철 무늬(21a) 등을 형성하는 한편, 외투막(2a)의 표면에 접하는 가압판(31)의 저면은 마찰저항을 최소화하여 잘 미끄러질 수 있도록, 마찰저항이 낮은 소재(예, 매끄럽게 가공된 스테인리스스틸 강판)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오징어(2)에서 내장(2g)을 제거하는 공정은, 외투막(2a)과 가압판(31) 등이 물로 적셔진 상태에서 진행되는 공정이므로, 트레이(20)에 세팅된 외투막(2a)은, 받침판(21)에 대해 미끄러짐 없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가압판(31)에 대해서는 잘 미끄러지게 되므로, 가압판(31)이 외투막(2a)을 가압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징어(2)는 트레이(20)와 함께 상류에서 하류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도2 내지 도4에 예시된 가압판(31)의 구속기구(30)에 의하면, 할복된 오징어(2)가 트레이(20)에 세팅되고 외투막(2b)이 받침판(21)과 가압판(31) 사이에 끼어 구속된 상태로, 상류에서 하류로 원활하게 이송됨과 아울러, 내장(2g)을 적출하는 과정에서 외투막(2b)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외투막(2a)이 제자리를 이탈하지 않게 된다.
가압판(31)의 선단(상류쪽 단부)에는, 위로 만곡된 만곡부(31a)를 형성함으로써, 외투막(2b)이 가압판(31)에 걸리지 않고 받침판(21)과 가압판(31) 사이로 원활하게 진입되도록 할 수 있다.
구속기구(30)로서는, 가압판(31) 대신에, 예를 들어 외투막 위에 접하면서 회전하는 벨트(도시생략)를 설치하여 벨트가 외투막을 가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1)를, 도12 내지 도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징어(2)가 세팅된 트레이(20)가 정지된 상태에서 내장(2g)을 적출하도록 구성할 경우, 가압판(31)의 저면을 마찰저항이 낮은 소재로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오히려 마찰저항이 높은 소재를 적용하여 구속기구(30)에 의한 외투막(2a)의 구속을 강화할 수도 있다.
상기 내장적출기구(40)는, 외투막(2b)이 구속기구(3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외투막(2b)에서 내장(2g)을 적출하여 제거하는 기구이다.
내장적출기구(40)는, 도2 내지 도4 및 도6 내지 도1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재(41), 연결로드(42), 지지대(43), 집게용 액추에이터(44) 및 승강기구(45)를 포함한다.
상기 집게부재(41)는, 내장(2g)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가로로 길게 신장되어, 내장(2g)을 집게로 집듯이 집을 수 있는 부재이다.
집게부재(41)는, 외투막(2a)과 내장(2g) 사이의 틈새로 큰 저항 없이 잘 진입할 수 있는 행태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2 내지 도4 및 도6 내지 도16에 예시된 구체예에는, 집게부재(41)로서, 2개의 나란한 원형-봉을 적용한 예이지만, 외투막(2a)과 내장(2g) 사이의 틈새로 큰 저항 없이 잘 진입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납작한 판 형태 등 다른 형태도 적용 가능하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재(41)의 상류 선단에는 위로 만곡된 만곡부(선단: 41a)를 형성할 수 있으며, 만곡부(41a)는 집게부재(41)의 선단이 의도하지 않게 외투막(2a)이나 내장(2g)에 걸리는 것을 최소화한다.
집게부재(41)는, 내장(2g)의 직경 보다 넓은 폭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내장(2g)의 양측에서 외투막(2a)의 표면에 접하도록 하강한 다음에, 수평으로 외투막(2a)과 내장(2g) 사이의 틈으로 진입하여 내장(2g)의 하부를 마치 집게로 집는 것과 같이 파지한 상태에서 위로 상승하며, 이로써 내장(2g)은 집게로 집어 뜯어내는 방식으로 외투막(2a)에서 적출된다.
상기 연결로드(42)는, 집게용 액추에이터(43)의 가동을 집게부재(41)에 전달하는 로드이다.
도시된 구체예의 연결로드(42)는, 가로부재인 집게부재(41)의 후단에 세로로 연결되어 집게부재(41)의 집게 작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집게용 액추에이터(44)의 가동을 집게부재(41)에 전달하도록 한 것이며,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지지대(43)는, 연결로드(42)와 집게부재(41) 등의 설치를 위한 지지부재이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2개의 연결로드(42)는 힌지(42a)에 의해 지지대(4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로써 연결로드(42)가 회동하는 것에 의하여, 집게부재(41)는 벌어지고 오므라지는 집게 작동(개폐 작동)을 하게 된다.
연결로드(42)에는 서로 맞물려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상호 맞물리는 톱니(42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집게용 액추에이터(44)는, 연결로드(42)에 설치되며, 집게부재(41)의 집게 작동을 가동시키는 액추에이터이다.
집게용 액추에이터(44)는, 연결로드(42)를 회동시킴으로써 집게부재(41)가 집게 작동을 실행하도록 하는 기구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도시된 구체예는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에어실린더를 적용하는 한편, 연결로드(42)의 하단에 집게부재(41)를 설치하고 상단에 걸쳐 에어실린더(44)를 설치한 예이다.
상기 승강기구(45)는 집게부재(41)를 승강시키는 기구이다.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는 승강기구(45)는, 집게부재(41)를 직간접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기구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2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오징어(2)가 세팅된 트레이(20)가 컨베이어(10)를 따라 상류에서 하류로 이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내장(2g)을 적출하는 내장적출기구(40)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승강기구(45, 50)에 대해 설명한다.
본 구체예의 승강기구(50, 45)는, 상기 구속기구(30)에 대응하는 위치에 컨베이어(10)와 나란하게 일정 길이에 걸쳐 스탠드(3)에 가로로 설치된 왕복가이드(51), 왕복가이드(51)를 따라 상하류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왕복이동블록(52), 왕복이동블록(52)을 왕복 이동시키는 전동체인(53), 왕복이동블록(52)에 설치된 브래킷(54), 브래킷(54)에 형성된 안내관(54a)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단에 상기 지지대(43)가 설치된 승강로드(55), 지지대(43)에서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승강롤러(56), 승강롤러(56)가 주행 가능하게 왕복가이드(51)에 나란히 설치되고 승강롤러(56)가 상승된 상태에서 주행하는 하류 측의 고위레일부(57a)와 승강롤러(56)가 점차 하강 또는 상승 주행하는 중류 측의 경사레일부(57b)와 승강롤러(56)가 하강된 상태에서 주행하는 상류 측의 저위레일부(57c)를 구비한 승강레일(57)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내지 도4 등에 예시된 승강기구(50, 45)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1)의 내장 제거 과정을 도2, 도3 및 도9 내지 도1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오징어(2)가 세팅된 트레이(20)가 회전하는 컨베이어(10)에 의하여 상류에서 하류로 이송되어 왕복가이드(51)의 상류단 위치에 이르러, 구속기구(30)에 도달하면, 예시된 가압판(31)에 의해 외투막(2a)이 가압되어 구속된다(도2 및 도3).
이와 동시에, 전동체인(53)에 의하여 왕복이동블록(52)은 왕복가이드(51)의 상류 쪽으로 이동하고, 고위레일부(57a)를 따라 주행하던 승강롤러(56)는, 경사레일부(57b)를 따라 하강 주행하여 저위레일부(57c)에 이르게 된다(도9).
다음에, 승강롤러(56)가 경사레일부(57b)를 따라 하강하면, 이에 연동하여 지지대(43)가 하강한다(도9의 B). 이런 지지대(43)의 하강은 브래킷(54)의 안내관(54a)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승강로드(55)의 하강에 의해 허용된다.
다음에, 지지대(43)가 하강하면, 집게용 액추에이터(44)에 의해 벌어진 상태의 집게부재(41)는 내장(2g)의 양측에서 외투막(2a)의 표면에 접하는 위치까지 하강한다(도9의 C 및 도10의 D).
다음에, 집게부재(41)는, 집게용 액추에이터(44)의 작용에 의해 수평으로 외투막(2a)과 내장(2g) 사이의 틈새로 진입하여 내장(2g)의 하부를 집는다(도10의 E).
다음에, 전동체인(53)에 의하여 왕복이동블록(52)은 왕복가이드(51)의 상류단 위치에서 하류단 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이로써 저위레일부(57c)에 위치하던 승강롤러(56)는 경사레일부(57b)를 타고 승강한 후에 고위레일부(57a)를 따라 주행하게 된다(도10의 F 내지 도11).
다음에, 승강롤러(56)가 승강함에 따라, 이에 연동하여 지지대(43)가 상승하고, 지지대(43)의 상승은 브래킷(54)의 안내관(54a)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승강로드(55)의 상승에 의해 허용된다(도11의 G).
다음에, 지지대(43)가 상승함에 따라 내장(2g)의 최하 부위를 집고 있는 집게부재(41)가 상승하게 되며, 이로써 집게부재(41)는 외투막(2a)에서 내장(2g)을 뜯어내어 적출한다(도10의 F 내지 도11의 G).
다음에, 집게부재(41)가 적출된 내장(2g)을 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왕복이동블록(52)은 전동체인(53)에 의하여 트레이(20)의 하류로의 이동 속도 보다 빠르게 왕복가이드(51)의 하류단 쪽으로 이동한다(도11의 H).
다음에, 집게부재(41)가 왕복가이드(51)의 하류단에 근접하면, 집게용 액추에이터(44)의 작용으로 집게부재(41)가 벌어지면서 파지하고 있던 내장(2g)을 낙하시키고, 낙하된 내장은 예를 들어 아래의 수거통(도시생략) 등에 담겨진다(도11의 I).
마지막으로, 왕복이동블록(52)은 전동체인(53)에 의하여 왕복가이드(51)의 상류단 위치로 다시 이동함으로써, 후속하는 트레이(20)에 세팅된 오징어에 대한 내장 적출을 다시 진행한다(도9).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1)는, 오징어(2)가 세팅된 트레이(20)들이 컨베이어(10)를 따라 상류에서 하류로 이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내장(2g)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정 간격을 두고 컨베이어(10)를 따라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트레이(20)들에 세팅된 오징어(2)에 대해 내장 제거 가공을 연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집게부재(41)로 외투막(2a)에서 내장(2g)을 적출함에 있어서, 집게부재(41)를 수평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그대로 수직으로 상승시켜 내장을 뜯어낼 경우는, 내장(2g) 전체를 외투막(2a)에서 단 한 번에 뜯어내는 것으로서, 내장(2g)을 외투막(2a)에 결합하고 있는 조직이 전체적으로 일시에 저항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는 거의 그러하지 않지만, 내장 적출을 실패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외투막(2a)에서 내장(2g)을 적출함에 있어서는, 내장 전체를 한꺼번에 적출하기 보다는, 예를 들어 지느러미(2e) 쪽의 일부 내장을 먼저 적출하고 이어서 머리(2b) 쪽의 나머지 내장을 적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내장적출기구(40)는, 도2 내지 도1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재(41)를 수평상태와 만곡부인 선단(41a: 만곡부)이 상승한 경사상태로 상호 변각시키는 변각기구(6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변각기구(60)는, 집게부재(41)를 수평상태와 만곡부(41a: 선단)가 상승한 경사상태로 상호 변각시킬 수 있는 기구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도시된 구체예의 경우, 지지대(43)를 집게부재(41)가 연결된 제1 지지대(43a)와 승강기구(45, 50)의 승강로드(55)가 연결된 제2 지지대(43b)로 2개로 분할 형성하고, 힌지(43c)에 의해 일정 각도 내에서 제2 지지대(43b)에 대해 제1 지지대(43a)가 회동할 수 있게 연결함과 아울러,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유로운 상태에서는 집게부재(41)가 선단(41a)의 만곡부를 약간 위로 들어 올린 경사상태를 유지하도록 무게 중심으로 설정하고, 제2 지지대(43b)에는 전술한 승강롤러(56)를 형성하는 한편, 변각기구(60)로서 제1 지지대(43a)에 설치된 변각캠핀(61)과 승강레일(57)의 경사레일부(57b)에 인접하여 설치된 홈캠판(62)을 추가한 예이다.
홈캠판(62)에 형성된 캠홈은, 경사레일부(57b)의 경사와 나란하게 경사진 제1 경사캠홈(62a), 제1 경사캠홈(62a)에서 V자로 위로 꺾인 제2 경사캠홈(62b) 및 제2 경사캠홈(62b)에서 수평으로 뻗은 수평캠홈(62c)을 구비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각캠핀(61)과 홈캠판(62) 등을 구비하는 변각기구(60)를 포함한 내장적출기구(40)에 의하면, 승강롤러(56)가 경사레일부(57b)를 따라 하강 주행할 때, 변각캠핀(61)은 제1 경사캠홈(62a)을 따라 하강 주행하고(도9의 B), 이후 집게부재(41)는 선단의 만곡부(41a)를 들어 올인 상태로 외투막(2a)에 접하게 됨에 따라 연결로드(42)가 연결된 부분인 후단(41b)이 먼저 외투막(2a)에 접하게 되며(도9의 C), 이후 변각캠핀(61)은 순차적으로 제2 경사캠홈(62b)과 수평캠홈(62c)을 주행하는 것에 의하여, 제2 지지대(43b)에 대해 제1 지지대(43a)가 회동하게 되고, 이런 과정에서 경사상태의 집게부재(41)는 수평상태로 변각되면서(도10의 D), 수평으로 외투막(2a)과 내장(2g) 사이의 틈새로 진입하여 내장(2g)의 하부를 집게 된다(도10의 E).
다음에, 저위레일부(57c)에 위치하던 승강롤러(56)가 경사레일부(57b)를 타고 승강하기 시작하여, 수평캠홈(62c)에 있던 변각캠핀(61)이 제2 경사캠홈(62b)을 주행하기 시작할 때, 집게부재(41)는 다시 선단의 만곡부(41a)를 들어 올린 상태로 변각되면서, 집게부재(41)는 지느러미(2e) 쪽의 일부 내장을 먼저 적출하고(도10의 F), 바로 이어서 승강롤러(56)의 상승에 따른, 지지대(43)의 상승에 의하여, 머리 쪽의 나머지 내장을 포함한 전체의 내장(2g)을 외투막(2a)에서 뜯어내어 적출하며(도11의 G), 이후의 과정은 앞서의 과정과 동일하다(도11의 H 및 I).
결국, 변각캠핀(61)과 홈캠판(62)을 포함하는 변각기구(60)를 부가한 내장적출기구(40)에 의하면, 내장(2g)을 외투막(2a)에 결합하고 있는 조직의 저항을 전후로 분산하여 전후 2단계로 내장(2g)을 적출하게 되므로, 상기 조직의 저항으로 인한 내장 적출 실패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체예는, 집게부재(41)의 승강 작동과 변격 작동에, 승강롤러(56), 승강레일(57), 변각캠핀(61) 및 홈캠판(62) 등을 적용하고 있지만, 집게부재(41)의 승강과 변각에 에어실린더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적용하고, 트레이(20)의 위치를 기계적 또는 전자적으로 감지하여, 필요한 시점에 집게부재(41)를 승강 및 변각시키는 구성에 의해서도 승강 및 변각 작동을 실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1)에 의한 내장의 적출은, 오징어(2)가 세팅된 트레이(20)가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실행할 수 있다.
도12와 도13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구체예는, 오징어(2)가 세팅된 트레이(20)가 이송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에서 내장을 적출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1)로서, 본 구체예의 승강기구(45)로서는 승강용 액추에이터(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2와 도13의 구체예에서, 지지대(43)에는 에어실린더와 같은 승강용 액추에이터(45, 70)가 연결되어 있으며, 승강용 액추에이터(45, 70)의 작동으로 지지대(43)가 승강하고, 결과적으로 집게부재(41)가 승강한다. 승강용 액추에이터(45, 70)는 그 가이드봉(71)과 함께 스탠드(3)에 설치된 설치대(72)에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도14와 도15를 참조하여 도12와 도13에 예시된 구체예의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트레이(20)에 세팅된 할복된 오징어(2)가 구속기구(30)에 의해 구속된 상태에서, 벌어진 상태로 상승되어 있던 내장적출기구(40)의 집게부재(41)는, 승강용 액추에이터(45, 70)의 하강 작동에 의하여, 내장(2g)의 양측에 있는 외투막(2a)의 표면에 접하는 위치까지 하강한다(도14의 A 및 B).
다음에, 하강한 집게부재(41)는, 집게용 액추에이터(44)의 오므리는 작동에 의하여.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외투막(2a)과 내장(2g) 사이의 틈새로 진입하여 내장(2g)의 하측을 집게로 집는 것과 같이 집는다(도15의 C).
다음에, 내장을 집은 상태의 집게부재(41)는, 승강용 액추에이터(45, 70)의 상승 작동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고, 이로써 집게부재(41)는 내장(2g)을 외투막(2a)에서 뜯어내어 적출하게 된다(도15의 D).
마지막으로, 내장(2g)이 제거된 오징어가 세팅된 트레이(20)가 하류로 이송하면, 집게용 액추에이터(44)의 벌리는 작동에 의하여 집게부재(41)에 파지되어 있던 내장(2g)은 아래로 낙하하고, 낙하된 내장(2g)은 수거통 등에 담겨 수거된다.
본 구체예의 경우에도, 지지대(43)를, 집게부재(41)가 연결된 제1 지지대(43a)와 승강용 액추에이터(45, 70)가 연결된 제2 지지대(43b)로 2개로 분할 형성하고, 힌지에 의해 일정 각도 내에서 제2 지지대(43b)에 대해 제1 지지대(43a)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집게부재(41)가 내장(2g)을 뜯어내기 시작할 때, 즉, 집게부재(41)를 상승시키기 직전에, 예를 들어 에어실린더와 같은 제3의 액추에이터(도시 생략) 등을 적용하여, 집게부재(41)의 만곡부(41a: 선단)를 먼저 들어 올려 변각시키는 것에 의하여, 지느러미(2e) 쪽의 일부 내장을 먼저 적출하고, 바로 이어서 승강용 액추에이터(45, 70)의 상승 작동에 따른 지지대(43)의 상승에 의하여, 머리 쪽의 나머지 내장을 포함한 전체의 내장(2g)을 외투막(2a)에서 뜯어내어 적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집게부재(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장(2g)을 집게로 집듯이 집을 수 있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도16과 같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6 등에 예시된 구체예는, 각각의 후단(41b)이 각각의 연결로드(42)에 연결된 2개의 원형-봉으로 된 집게부재(41)가 그 선단(41a)이 분리된 상태로 나란히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지만, 도16에 예시된 구체예는 2개의 원형-봉으로 된 집게부재(41)의 선단(41a)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연결된 삼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16의 구체예에서, 집게부재(41)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소재가 가지는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후단(41b)이 벌어진 삼각형 상태를 유지한다.
도16에 예시된 집게부재(41)에 의하면, 집게부재(41)의 후단(41b)이 벌어진 삼각형 상태에서, 외투막(2a)에서 내장(2g)을 적출하기 위해, 도10의 E나 도15의 C에서와 같이 집게용 액추에이터(44)가 집게 작동을 하게 되면, 집게부재(41)의 벌어진 후단(41b)이 평행하게 모아지면서, 수평으로 외투막(2a)과 내장(2g) 사이의 틈새로 진입하여 내장(2g)의 하부를 집게 된다.
도16에 예시된 집게부재(41)가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1)의 경우, 집게부재(41)의 벌어진 후단(41b) 사이에 내장(2g)이 확실하게 위치되도록, 집게부재(41)를 지느러미(2e) 쪽에서 내장(2g)에 접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본 발명의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 2: 오징어
2a: 외투막 2b: 머리
2c: 다리 2d: 목부
2e: 지느러미 2f: 눈
2g: 내장 3: 프레임
10: 컨베이어 20: 트레이
21: 받침판 21a: 요철무늬
22: 고정부재 22a: 고정핀
22b: 세로부 22c: 가로부
23: 안착요부 24: 체결대
30: 구속기구 31: 가압판
31a: 만곡부 40: 내장적출기구
41: 집게부재 41a: 집게부재의 만곡부(선단)
41b: 집게부재의 후단 42: 연결로드
42a: 힌지 43: 지지대
43a: 제1 지지대 43b: 제2 지지대
43c: 힌지 44: 집게용 액추에이터(에어실린더)
45, 50, 70: 승강기구 51: 왕복가이드
52: 왕복이동블록 53: 전동체인
54: 브래킷 54a: 안내관
55: 승강로드 56: 승강롤러
57: 승강레일 57a: 고위레일부
57b: 경사레일부 57c: 저위레일부
60: 변각기구 61: 변각캠핀
62: 홈캠판 62a: 제1 경사캠홈
62b: 제2 경사캠홈 62c: 수평캠홈
70: 승강용 액추에이터(에어실린더)
2a: 외투막 2b: 머리
2c: 다리 2d: 목부
2e: 지느러미 2f: 눈
2g: 내장 3: 프레임
10: 컨베이어 20: 트레이
21: 받침판 21a: 요철무늬
22: 고정부재 22a: 고정핀
22b: 세로부 22c: 가로부
23: 안착요부 24: 체결대
30: 구속기구 31: 가압판
31a: 만곡부 40: 내장적출기구
41: 집게부재 41a: 집게부재의 만곡부(선단)
41b: 집게부재의 후단 42: 연결로드
42a: 힌지 43: 지지대
43a: 제1 지지대 43b: 제2 지지대
43c: 힌지 44: 집게용 액추에이터(에어실린더)
45, 50, 70: 승강기구 51: 왕복가이드
52: 왕복이동블록 53: 전동체인
54: 브래킷 54a: 안내관
55: 승강로드 56: 승강롤러
57: 승강레일 57a: 고위레일부
57b: 경사레일부 57c: 저위레일부
60: 변각기구 61: 변각캠핀
62: 홈캠판 62a: 제1 경사캠홈
62b: 제2 경사캠홈 62c: 수평캠홈
70: 승강용 액추에이터(에어실린더)
Claims (3)
- 할복된 오징어가 올려져 세팅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에 세팅된 할복된 오징어에 대해, 내장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펼쳐져 있는 외투막의 양측을 가압함으로써, 내장을 제거할 때 외투막의 유동을 방지하는 구속기구; 및
내장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가로로 형성되고, 벌어진 상태에서 내장의 양측에서 외투막의 표면에 접하도록 하강한 다음에, 수평으로 외투막과 내장 사이로 진입하여 내장의 하부를 집은 후에 위로 상승함으로써, 외투막에서 내장을 뜯어 적출하는 집게부재, 상기 집게부재에 연결된 연결로드, 상기 연결로드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연결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집게부재의 집게 작동을 가동시키는 집게용 액추에이터, 및 상기 집게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를 포함하며, 오징어의 외투막에서 내장을 적출하는 내장적출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재를 수평상태와 그 선단이 상승한 경사상태로 상호 변각시키는 변각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변각기구에 의하여, 상기 집게부재는, 수평상태로 내장의 하부를 집은 후에, 상기 선단)이 상승한 경사상태로 변각함으로써, 일부의 내장을 먼저 적출하고, 이어서 나머지의 내장을 적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집게부재가 연결된 제1 지지대, 상기 승강기구가 연결된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2 지지대에 대해 상기 제1 지지대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변각기구는, 상기 제2 지지대에 대해 상기 제1 지지대를 회동시켜서 상기 집게부재를 변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3973A KR102583333B1 (ko) | 2021-02-23 | 2021-02-23 |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 |
PCT/KR2022/002249 WO2022182049A1 (ko) | 2021-02-23 | 2022-02-16 |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23973A KR102583333B1 (ko) | 2021-02-23 | 2021-02-23 |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0188A true KR20220120188A (ko) | 2022-08-30 |
KR102583333B1 KR102583333B1 (ko) | 2023-09-27 |
Family
ID=8304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23973A KR102583333B1 (ko) | 2021-02-23 | 2021-02-23 |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83333B1 (ko) |
WO (1) | WO2022182049A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53163B1 (ko) * | 1997-10-27 | 2000-04-15 | 박종근 | 오징어 할복장치 |
JP2002045111A (ja) * | 2000-05-25 | 2002-02-12 | Mayekawa Mfg Co Ltd | イカ処理方法とその装置 |
KR101863663B1 (ko) * | 2017-01-10 | 2018-06-04 | 김흥대 | 오징어 할복장치 |
KR20190015830A (ko) * | 2017-08-07 | 2019-02-15 | 김흥대 | 오징어 내장제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2695A (ko) * | 2002-01-18 | 2003-07-28 | 유영환 | 오징어 할복 및 내장 적출장치 |
JP2009000009A (ja) * | 2007-06-19 | 2009-01-08 | Asuka Foods Corp | イカの加工装置 |
KR101767462B1 (ko) * | 2015-07-10 | 2017-08-11 | 김흥대 | 오징어 할복장치 |
-
2021
- 2021-02-23 KR KR1020210023973A patent/KR1025833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2-16 WO PCT/KR2022/002249 patent/WO202218204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53163B1 (ko) * | 1997-10-27 | 2000-04-15 | 박종근 | 오징어 할복장치 |
JP2002045111A (ja) * | 2000-05-25 | 2002-02-12 | Mayekawa Mfg Co Ltd | イカ処理方法とその装置 |
KR101863663B1 (ko) * | 2017-01-10 | 2018-06-04 | 김흥대 | 오징어 할복장치 |
KR20190015830A (ko) * | 2017-08-07 | 2019-02-15 | 김흥대 | 오징어 내장제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83333B1 (ko) | 2023-09-27 |
WO2022182049A1 (ko) | 2022-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164167A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the neck of a headless plucked fowl | |
US8210586B2 (en) | Pick and place handling device | |
NL2013250B1 (en) | Method and device for evisceration of slaughtered poultry. | |
US7127840B2 (en) | Laundry article spreader apparatus and method | |
DK2996481T3 (en) | PROCEDURE, SYSTEM AND LEADING DEVICE FOR SEPARATION OF INGESTION KITS SELECTED FROM Slaughtered Poultry | |
EP0545995B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eparing a packaged substance for smoking and/or other treatment | |
NL9300815A (nl) |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verwijderen en verwerken van een organenpakket van een slachtdier. | |
CA3048940A1 (en) | A gripper device and a method for picking up and re-positioning an item carried by a support surface | |
WO2008150764A1 (en) | Linen spreader apparatus and method | |
NL2021483B1 (en) | Intestines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ntestines package | |
US7827709B2 (en) | Linen spreader apparatus and method | |
KR20220120188A (ko) | 오징어 내장 제거장치 | |
KR20220153933A (ko) | 오징어 외투막 구속장치 | |
US4249841A (en) | Wire picking from a wire bundle | |
KR101554175B1 (ko) | 필름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pcb 부착기 | |
GB2435252A (en) | Improved pick and place handling device | |
KR20220153940A (ko) | 오징어 머리 절개장치 | |
US2694219A (en) | Poultry tendon puller | |
DK172331B1 (da) | Apparat til udskillelse af nedhængende vævelidser eller -lameller | |
NL8104877A (nl) | Inrichting voor het uithalen van slachtvogels. | |
KR101863658B1 (ko) | 오징어 할복장치의 외투막입구 형성장치 | |
KR101863663B1 (ko) | 오징어 할복장치 | |
KR20240081116A (ko) | 오징어 눈 제거장치 | |
KR20220120194A (ko) | 오징어 눈 제거장치 | |
NL2018174B1 (en) | Eviscera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eviscerating sus-pended poultr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