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686A -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 Google Patents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686A
KR20220117686A KR1020210021338A KR20210021338A KR20220117686A KR 20220117686 A KR20220117686 A KR 20220117686A KR 1020210021338 A KR1020210021338 A KR 1020210021338A KR 20210021338 A KR20210021338 A KR 20210021338A KR 20220117686 A KR20220117686 A KR 20220117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air
pillar
main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우
구동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1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7686A/ko
Priority to PCT/KR2021/019625 priority patent/WO2022177122A1/ko
Publication of KR20220117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6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4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03Adjustable furniture join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29Dowels

Landscapes

  • Handcart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개시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은, 제1기둥, 제2기둥, 제3기둥, 및 제4기둥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과, 일단은 메인 프레임의 제1기둥과 제2기둥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의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측 지지판, 및 일단은 메인 프레임의 제3기둥과 제4기둥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의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우측 지지판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이 평평한 바닥에 위치하면 승강 프레임의 하면이 메인 프레임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여 좌측 지지판과 우측 지지판이 수평 상태가 되고, 메인 프레임을 상승시키면 승강 프레임의 하면이 메인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어 좌측 지지판과 우측 지지판이 경사진다.

Description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Rack with tiltable support plates}
본 개시는 다수의 물품을 격납하는 랙(rack)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경사질 수 있도록 형성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품을 화학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물품을 랙에 적재하고, 다수의 물품이 적재된 랙을 화학 처리를 위한 처리 용액이 담긴 처리조에 담근다.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랙을 처리조에서 꺼내면 다수의 물품에 대해 화학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이러한 랙은 다수의 물품, 예를 들면, 유리, 금속, 섬유 등을 정렬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랙의 하면에 대해 수평하게 배열된 복수의 지지판을 구비한다.
따라서, 다수의 물품이 적재된 랙을 처리조에 담그거나 처리조에서 꺼낼 때 복수의 지지판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한 랙은 지지판에 적재된 물품이 지지판에 대해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침지작업을 완료한 후 처리조에서 랙을 꺼낼 때, 화학 처리를 하기 위한 처리 용액의 특성에 의해 물품의 하단에 처리 용액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이 지지판에 대해 수직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는 처리 용액이 물품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속도가 급상승하여 물품의 표면에 처리 용액이 흐른 자국이 남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품의 표면에 맺힌 처리 용액이나 처리 용액의 흐름 자국은 물품의 표면에 얼룩을 형성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물품을 침지처리할 때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경사지고 랙에 물품을 넣거나 빼는 경우에는 지지판이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은, 제1기둥, 제2기둥, 제3기둥, 및 제4기둥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기둥과 제2기둥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 프레임의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측 지지판; 및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3기둥과 제4기둥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 프레임의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우측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이 평평한 바닥에 위치하면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좌측 지지판과 상기 우측 지지판이 수평 상태가 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을 상승시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면이 상기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면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어 상기 좌측 지지판과 상기 우측 지지판이 경사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측 지지판의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기둥과 제2기둥에 한 쌍의 제1고정 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 프레임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우측 지지판의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3기둥과 제4기둥에 한 쌍의 제2고정 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 프레임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지지판의 타단과 상기 승강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제1링크 핀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과 상기 좌측 지지판의 타단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제1링크 핀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 지지판의 타단과 상기 승강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제2링크 핀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과 상기 우측 지지판의 타단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제2링크 핀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2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장홈 각각은 상기 좌측 지지판의 타단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장홈 각각은 상기 우측 지지판의 타단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장홈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1링크 핀 각각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2장홈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2링크 핀 각각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면의 양단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며 상기 승강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기둥의 하단과 상기 제3기둥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1하단 바 및 상기 제2기둥의 하단과 상기 제4기둥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하단 바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제한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하단 바와 제2하단 바에 의해 간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강 거리는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제한부와 하면 사이의 단차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은,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지지판의 타단과 상기 우측 지지판의 타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지지판의 타단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제1링크 핀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판과 상기 좌측 지지판의 타단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제1링크 핀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 지지판의 타단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제2링크 핀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판과 상기 우측 지지판의 타단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제2링크 핀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2장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은 하면에 설치되는 높이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개의 거리유지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리브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보강 리브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판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에서 수직하게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사이로 연장되는 중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지지판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기둥 및 제2기둥과 상기 승강 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좌측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지지판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3기둥 및 제4기둥과 상기 승강 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우측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기둥과 상기 제2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간 기둥과, 상기 제3기둥과 상기 제4기둥 사이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간 기둥을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제2중간 기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지지판은 상기 제1기둥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간 기둥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지지판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간 기둥과 제2기둥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 좌측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우측 지지판은 상기 제3기둥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제2중간 기둥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측 지지판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제2중간 기둥과 제4기둥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 우측 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이 바닥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을 선 Ⅰ-Ⅰ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을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의 승강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의 지지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지지판에 유리 카세트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의 승강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이 들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의 정면도;
도 11은 도 9의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을 선 Ⅲ-Ⅲ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이 처리조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을 선 Ⅳ-Ⅳ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한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하단'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해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이 바닥에 놓여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을 선 Ⅰ-Ⅰ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을 선 Ⅱ-Ⅱ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의 승강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의 지지판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은 메인 프레임(10), 승강 프레임(50), 좌측 지지판(70), 우측 지지판(8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제1기둥(11), 제2기둥(12), 제3기둥(13), 및 제4기둥(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둥(11), 제2기둥(12), 제3기둥(13), 및 제4기둥(14)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메인 프레임(10)의 4개의 수직한 모서리를 형성할 수 있다. 제1기둥(11), 제2기둥(12), 제3기둥(13), 및 제4기둥(14)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기둥(11), 제2기둥(12), 제3기둥(13), 및 제4기둥(14)은 각각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제1기둥(11), 제2기둥(12), 제3기둥(13), 및 제4기둥(14)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4개의 상단 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기둥(11)의 상단과 제3기둥(13)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상단 바(21), 제2기둥(12)의 상단과 제4기둥(14)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2상단 바(22), 제1기둥(11)의 상단과 제2기둥(12)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3상단 바(23), 및 제3기둥(13)의 상단과 제4기둥(14)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4상단 바(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0)은 제1기둥(11), 제2기둥(12), 제3기둥(13), 및 제4기둥(14) 각각의 하단을 연결하는 4개의 하단 바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기둥(11)의 하단과 제3기둥(13)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1하단 바(31), 제2기둥(12)의 하단과 제4기둥(14)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하단 바(32), 제1기둥(11)의 하단과 제2기둥(12)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3하단 바(33), 및 제3기둥(13)의 하단과 제4기둥(14)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4하단 바(34)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의 전면, 후면, 좌측면, 우측면, 상면, 및 하면은 모두 개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프레임(10)의 전면은 제1기둥(11), 제3기둥(13), 제1상단 바(21), 및 제1하단 바(31)에 의해 내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의 후면은 제2기둥(12), 제4기둥(14), 제2상단 바(22), 및 제2하단 바(32)에 의해 내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의 좌측면은 제1기둥(11), 제2기둥(12), 제3상단 바(23), 및 제3하단 바(33)에 의해 내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의 우측면은 제3기둥(13), 제4기둥(14), 제4상단 바(24), 및 제4하단 바(34)에 의해 내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의 상면은 제1상단 바(21), 제2상단 바(22), 제3상단 바(23), 및 제4상단 바(24)에 의해 내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은 제1하단 바(31), 제2하단 바(32), 제3하단 바(33), 및 제4하단 바(34)에 의해 내부가 개방된 직사각형 형상의 틀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제1기둥(11)과 제2기둥(12) 사이에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간 기둥(15)을 설치하고, 제3기둥(13)과 제4기둥(14) 사이에 적어도 한 개의 제2중간 기둥(16)을 설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제2중간 기둥(16)은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간 기둥(15)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메인 프레임(10)은 제1기둥(11)과 제2기둥(12) 사이에 설치된 한 개의 제1중간 기둥(15)과 제3기둥(13)과 제4기둥(14) 사이에 설치된 한 개의 제2중간 기둥(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중간 기둥(15)은 제1기둥(11)과 제2기둥(12) 사이의 중앙에 제1기둥(11) 및 제2기둥(12)에 평행하게 설치되며, 제2중간 기둥은 제3기둥(13)과 제4기둥(14) 사이의 중앙에 제3기둥(13) 및 제4기둥(14)에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의 상면에는 메인 프레임(1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2개의 이송바(40)가 설치될 수 있다. 2개의 이송바(40)는 제1상단 바(21)와 제2상단 바(22)에 설치된 한 쌍의 이송판(41,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2개의 이송바(40)는 양단이 한 쌍의 이송판(41,42)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크레인과 같은 인양장치로 한 쌍의 이동판(40)을 들어올리면, 메인 프레임(1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승강 프레임(50)은 메인 프레임(1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승강 프레임(50)은 베이스판(51)과 한 쌍의 수직판(52,53)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51)은 승강 프레임(50)의 하면을 형성하며,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이 수직판(52,53)은 베이스판(51)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판(52,53)은 서로 평행하며, 각각 승강 프레임(50)의 전면과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수직판(52,53)은 베이스판(51)의 전단에 설치되는 전방 수직판(52)과 베이스판(51)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방 수직판(5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판(52,53)은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판(52,53) 각각에는 복수의 개구(52a,53a)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52a,53a)는 승강 프레임(50)의 무게를 가볍게 할 수 있고, 처리 용액이 흐르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이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간 기둥(15)과 적어도 한 개의 제2중간 기둥(16)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승강 프레임(50)은 한 쌍의 수직판(52,53) 사이에 적어도 한 개의 제1 및 제2중간 기둥(15,16)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 개의 중간판(54)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중간판(54)은 메인 프레임(10)의 적어도 한 개의 제1 및 제2중간 기둥(15,16)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메인 프레임(10)이 한 개의 제1중간 기둥(15)과 제2중간 기둥(16)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승강 프레임(50)은 한 개의 중간판(54)을 포함한다. 중간판(54)은 메인 프레임(10)의 제1중간 기둥(15)과 제2중간 기둥(16)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중간판(54)은 베이스판(51)의 길이를 2등분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판(51)의 하면에는 높이 블록(55)이 설치될 수 있다. 높이 블록(55)은 베이스판(51)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 프레임(50)은 한 쌍의 수직판(52,53)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개의 거리유지바(56)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한 개의 거리유지바(56)는 베이스판(51)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한 쌍의 수직판(52,53)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거리유지바(56)는 원형 단면을 갖는 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 프레임(50)이 중간판(54)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거리유지바(56)는 중간판(54)을 관통하며, 중간판(54)과 한 쌍의 수직판(52,53)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승강 프레임(50)은 한 쌍의 수직판(52,53) 사이에 3개의 거리유지바(56)가 마련된다. 그러나, 거리유지바(56)의 개수는 이에 한 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는, 승강 프레임(50)의 크기에 따라 한 쌍의 수직판 (52,53)사이에 1개, 2개, 또는 4개 이상의 거리유지바(5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승강 프레임(50)은 보강 리브(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리브(57)는 베이스판(51)의 상면과 한 쌍의 수직판(52,53)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 리브(57)는 베이스판(51)의 상면에 베이스판(51)의 폭의 중심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 리브(57)의 하면은 베이스판(51)의 상면에 접촉하고, 보강 리브(57)의 양단은 한 쌍의 수직판(52,53)에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강 리브(57)는 얇은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50)이 중간판(54)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보강 리브(57)는 중간판(54)과 한 쌍의 수직판(52,53) 사이에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한 개의 보강 리브(57)는 전방 수직판(52)과 중간판(54) 사이에 설치되고, 다른 한 개의 보강 리브(57)는 후방 수직판(53)과 중간판(54)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승강 프레임(50)은 하강 거리를 제한하며, 승강 프레임(50)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는 제한부(58,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부(58,59)는 승강 프레임(50)의 하강을 제한할 수 있도록 승강 프레임(50)의 하면의 양단에 마련될 수 있다. 승강 프레임(50)의 제한부(58,59)는 메인 프레임(10)의 전면의 제1하단 바(31)와 후면의 제2하단 바(32)에 의해 간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한부(58,59)는 승강 프레임(50)의 하면의 양단, 즉 베이스판(51)의 전단과 후단에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판(51)의 전단에 마련되는 전방 제한부(58)는 메인 프레임(10)의 제1하단 바(31)와 간섭되고, 베이스판(51)의 후단에 마련되는 후방 제한부(59)는 메인 프레임(10)의 제2하단 바(32)에 의해 간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한부(58,59)는 베이스판(51)과 단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부(58,59)가 메인 프레임(10)의 제1하단 바(31)의 상면과 제2하단 바(32)의 상면에 접촉하면, 베이스판(51)은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한부(58,59)는 베이스판(51)의 하면과 평행을 이루며, 베이스판(51)의 하면보다 상측으로 일정 거리 높은 위치에 마련된다.
제한부(58,59)와 베이스판(51)의 하면 사이의 높이차(또는 단차)에 의해 승강 프레임(50)의 하강 거리가 정해질 수 있다. 승강 프레임(50)의 제한부(58,59)가 메인 프레임(10)의 제1하단 바(31)와 제2하단 바(32)에 걸리면, 승강 프레임(50)의 하중은 메인 프레임(10)의 제1하단 바(31)와 제2하단 바(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한부(58,59)는 수직판(52,53)을 90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수직판(52)의 하단부를 90도 절곡하여 전방 제한부(58)를 형성하고, 전방 제한부(58)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결부(58a)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전방 수직판(52)을 90도로 2회 절곡하면, 전방 제한부(58)와 연결부(58a)를 형성할 수 있다. 전방 수직판(52)의 연결부(58a)를 베이스판(51)의 전단에 결합하면, 전방 수직판(52)과 베이스판(51)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제한부(59)는 후방 수직판(53)의 하단부를 90도 절곡하여 형성하고, 후방 제한부(59)의 끝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결부(59a)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후방 수직판(53)을 90도로 2회 절곡하면 후방 제한부(59)와 연결부(59a)를 형성할 수 있다. 후방 수직판(53)의 연결부(59a)를 베이스판(51)의 후단에 결합하면, 후방 수직판(53)과 베이스판(51)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제한부(58,59)는 베이스판(51)의 양단을 90도로 2회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방 수직판(52)은 전방 제한부(58)의 선단에 결합되고, 후방 수직판(53)은 후방 제한부(59)의 선단에 결합될 수 있다.
좌측 지지판(70)은 물품을 지지하며, 일단은 메인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에 회동 가능하며, 승강 프레임(50)에 대해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지지판(70)의 일단은 메인 프레임(10)의 제1기둥(11)과 제2기둥(12)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의 한 쌍의 수직판(52,53), 즉 전방 수직판(52)과 후방 수직판(53)의 일측에 한 쌍의 수직판(52,53)에 대해 회동 가능하며,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좌측 지지판(70)의 일단은 메인 프레임(10)의 제1기둥(11)과 제2기둥(12)에 한 쌍의 고정 핀(71,7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의 한 쌍의 수직판(52,53)에 한 쌍의 링크 핀(73,74)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좌측 지지판(70)의 일단에는 한 쌍의 고정 핀(71,72)이 설치되고, 제1기둥(11)과 제2기둥(12) 각각에는 고정 핀(71,72)이 삽입되는 고정 구멍(11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지지판(70)의 일단의 전면에 설치된 고정 핀(71)은 제1기둥(11)의 고정 구멍(1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좌측 지지판(70)의 일단의 후면에 설치된 고정 핀(72)은 제2기둥(12)의 고정 구멍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좌측 지지판(70)은 한 쌍의 고정 핀(71,72)을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10)의 제1기둥(11)과 제2기둥(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좌측 지지판(70)은 메인 프레임(10)의 제1기둥(11)과 제2기둥(12)에 대해 직선 이동하지 않는다.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에는 한 쌍의 링크 핀(73,74)이 설치되고, 승강 프레임(50)의 한 쌍의 수직판(52,53) 각각에는 링크 핀(73,74)이 삽입되는 장홈(52b,53b)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의 전면에 설치된 링크 핀(73)은 전방 수직판(52)의 장홈(52b)에 삽입되고,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의 후면에 설치된 링크 핀(74)은 후방 수직판(53)의 장홈(53b)에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판(52,53)에 형성되는 장홈(52b,53b)은 링크 핀(73,74)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링크 핀(73,74)은 장홈(52b,53b)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하면서 장홈(52b,53b)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핀(73,74)이 마련된 좌측 지지판(70)이 장홈(52b,53b)이 마련된 한 쌍의 수직판(52,53)에 대해 선회하면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장홈(52b,53b)은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의 이동 경로, 즉 좌측 지지판(70)의 링크 핀(73,74)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장홈(52b,53b)은 링크 핀(73,74)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장홈(52b,53b)의 크기와 형상으로 승강 프레임(50)의 하강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지지판(70)의 일단에 제1기둥(11)과 제2기둥(12)의 고정 구멍(11a)에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 핀(71,72)을 설치하고,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에 한 쌍의 수직판(52,53)의 장홈(52b,53b)에 삽입되는 한 쌍의 링크 핀(73,74)을 설치하면, 좌측 지지판(70)이 한 쌍의 고정 핀(71,7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즉, 좌측 지지판(70)의 링크 핀(73,74)이 고정 핀(71,72)을 중심으로 승강 프레임(50)에 형성된 장홈(52b,53b) 안에서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의 제1기둥(11)과 제2기둥(12) 사이에는 복수의 좌측 지지판(70)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좌측 지지판(70)의 각각의 일단은 제1기둥(11)과 제2기둥(12)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에 선회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4개의 좌측 지지판(70)이 층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좌측 지지판(7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좌측 지지판(70)은 복수의 유리 카세트(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지지판(70)은 3개의 유리 카세트(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지지판에 유리 카세트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유리 카세트(100)는 다수의 유리 제품(110)을 수직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리 제품(110)은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를 덮는 전면 유리,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덮는 전면 유리, 스마트폰의 후면을 보호하는 후면 유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리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지지판(70)은 전면과 후면 사이를 구획하는 2개의 격판(75)을 포함한다. 2개의 격판(75)은 좌측 지지판(70)의 상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며, 유리 카세트(100)가 적재되는 수용부를 형성한다.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에는 측벽(76)이 마련되고, 일단은 개방된다. 따라서, 유리 카세트(100)는 좌측 지지판(70)의 일단의 개방부를 통해 수용부에 적재될 수 있다. 적재할 때, 유리 카세트(100)의 이동 거리는 측벽(76)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지지판(70)의 수용부에는 유리 카세트(100)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한 쌍의 슬라이드 봉(77)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슬라이드 봉(77)은 좌측 지지판(70)의 상면에 서로 평행하게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유리 카세트(100)를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유리 카세트(100)를 좌측 지지판(70)에 넣거나 뺄 때 유리 카세트(100)는 한 쌍의 슬라이드 봉(77)에 의해 안내되므로, 유리 카세트(100)를 넣거나 빼는 작업이 용이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좌측 지지판(70)이 유리 카세트(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좌측 지지판(70)의 구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좌측 지지판(70)은 랙(1)에 적재되는 물품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에 한 쌍의 링크 핀(73,74)이 형성되고, 승강 프레임(50)의 한 쌍의 수직판(52,53)에 한 쌍의 장홈(52b,53b)이 형성되어 있으나, 링크 핀과 장홈의 설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에 한 쌍의 장홈을 형성하고, 승강 프레임(50)의 한 쌍의 수직판(52,53)에 한 쌍의 링크 핀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메인 프레임(10)이 제1기둥(11)과 제2기둥(12) 사이에 마련된 제1중간 기둥(15)과 제3기둥(13)과 제4기둥(14) 사이에 마련된 제2중간 기둥(16)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1기둥(11)과 제2기둥(12)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2개의 좌측 지지판(7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기둥(11)과 제1중간 기둥(15) 사이에 한 개의 좌측 지지판(70)이 설치되고, 제1중간 기둥(15)과 제2기둥(12) 사이에 다른 한 개의 좌측 지지판(70)이 설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중간 기둥(15)과 제2기둥(12) 사이에 설치된 좌측 지지판(70)은 후방 좌측 지지판(70-1)이라 한다. 후방 좌측 지지판(70-1)은 좌측 지지판(7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좌측 지지판(70)의 일단은 메인 프레임(10)의 제1기둥(11)과 제1중간 기둥(15)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의 전방 수직판(52)과 중간판(54) 사이에 회동 가능하며,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좌측 지지판(70)의 일단, 예를 들며, 도 1에서 좌측 지지판(70)의 좌측단에는 한 쌍의 고정 핀(71,72)이 설치되고, 제1기둥(11)과 제1중간 기둥(15) 각각에는 고정 핀(71,72)이 삽입되는 고정 구멍(11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지지판(70)의 일단의 전면에 설치된 고정 핀(71)은 제1기둥(11)의 고정 구멍(11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좌측 지지판(70)의 일단의 후면에 설치된 고정 핀(72)은 제1중간 기둥(15)의 고정 구멍(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좌측 지지판(70)은 한 쌍의 고정 핀(71,72)을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10)의 제1기둥(11)과 제1중간 기둥(15)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좌측 지지판(70)은 메인 프레임(10)의 제1기둥(11)과 제1중간 기둥(15)에 대해 직선 이동하지 않는다.
좌측 지지판(70)의 타단, 예를 들면, 도 1에서 좌측 지지판(70)의 우측단에는 한 쌍의 링크 핀(73,74)이 설치되고, 승강 프레임(50)의 전방 수직판(52)과 중간판(54)에는 링크 핀(73,74)이 삽입되는 장홈(52b,54b)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의 전면에 설치된 링크 핀(73)은 전방 수직판(52)의 장홈(52a)에 삽입되고,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의 후면에 설치된 링크 핀(74)은 중간판(54)의 장홈(54b)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좌측 지지판(70)은 한 쌍의 고정 핀(71,72)을 중심으로 승강 프레임(50)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좌측 지지판(70-1)의 일단은 메인 프레임(10)의 제1중간 기둥(15)과 제2기둥(12)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의 중간판(54)과 후방 수직판(53) 사이에 회동 가능하며,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방 좌측 지지판(70-1)의 일단에는 한 쌍의 고정 핀(71,72)이 설치되고, 제1중간 기둥(15)과 제2기둥(12) 각각에는 고정 핀(71,72)이 삽입되는 고정 구멍(54b,53b)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좌측 지지판(70-1)의 일단의 전면에 설치된 고정 핀(71)은 제1중간 기둥(15)의 고정 구멍(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후방 좌측 지지판(70-1)의 일단의 후면에 설치된 고정 핀(72)은 제2기둥(12)의 고정 구멍(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후방 좌측 지지판(70-1)은 한 쌍의 고정 핀(71,72)을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10)의 제1중간 기둥(15)과 제2기둥(12)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후방 좌측 지지판(70-1)은 메인 프레임(10)의 제1중간 기둥(15)과 제2기둥(12)에 대해 직선 이동하지 않는다.
후방 좌측 지지판(70-1)의 타단에는 한 쌍의 링크 핀(73,74)이 설치되고, 승강 프레임(50)의 중간판(54)과 후방 수직판(53)에는 링크 핀(73,74)이 삽입되는 장홈(54b,53b)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좌측 지지판(70-1)의 타단의 전면에 설치된 링크 핀(73)은 중간판(54)의 장홈(54b)에 삽입되고, 후방 좌측 지지판(70-1)의 타단의 후면에 설치된 링크 핀(74)은 후방 수직판(53)의 장홈(53b)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후방 좌측 지지판(70-1)은 한 쌍의 고정 핀(71,72)을 중심으로 승강 프레임(50)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기둥(11)과 제1중간 기둥(15) 사이에 설치되는 좌측 지지판(70)의 타단의 후면에 설치된 링크 핀(74)과 제1중간 기둥(15)과 제2기둥(12) 사이에 설치되는 후방 좌측 지지판(70-1)의 타단의 전면에 설치된 링크 핀(73)은 한 개의 링크 핀(61)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 핀(61)은 중간판(54)에 형성된 장홈(54b)을 관통하며, 링크 핀(61)의 일단은 좌측 지지판(70)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후방 좌측 지지판(70-1)의 전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하면, 좌측 지지판(70)과 후방 좌측 지지판(70-1)이 승강 프레임(50)의 중간판(54)에 대해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우측 지지판(80)은 물품을 지지하며, 일단은 메인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에 회동 가능하며, 승강 프레임(50)에 대해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우측 지지판(80)은 승강 프레임(50)의 중심면을 기준으로 좌측 지지판(70)에 대해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 지지판(80)의 일단은 메인 프레임(10)의 제3기둥(13)과 제4기둥(14)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우측 지지판(80)의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의 한 쌍의 수직판(52,53), 즉 전방 수직판(52)과 후방 수직판(53)의 타측에 한 쌍의 수직판(52,53)에 대해 회동 가능하며,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측 지지판(80)의 일단은 메인 프레임(10)의 제3기둥(13)과 제4기둥(14)에 한 쌍의 고정 핀(81,8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우측 지지판(80)의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의 한 쌍의 수직판(52,53)에 한 쌍의 링크 핀(83,84)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으며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우측 지지판(80)의 일단, 예를 들면, 도 1에서 우측 지지판(80)의 우측단에는 한 쌍의 고정 핀(81,82)이 설치되고, 제3기둥(13)과 제4기둥(14) 각각에는 고정 핀(81,82)이 삽입되는 고정 구멍(13a,14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 지지판(80)의 일단의 전면에 설치된 고정 핀(81)은 제3기둥(13)의 고정 구멍(13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우측 지지판(80)의 일단의 후면에 설치된 고정 핀(82)은 제4기둥(14)의 고정 구멍(14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우측 지지판(80)은 한 쌍의 고정 핀(81,82)을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10)의 제3기둥(13)과 제4기둥(14)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우측 지지판(80)은 메인 프레임(10)의 제3기둥(13)과 제4기둥(14)에 대해 직선 이동하지 않는다.
우측 지지판(80)의 타단, 예를 들면, 도 1에서 우측 지지판(80)의 좌측단에는 한 쌍의 링크 핀(83,84)이 설치되고, 승강 프레임(50)의 한 쌍의 수직판(52,53) 각각에는 링크 핀(83,84)이 삽입되는 장홈(52c,53c)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 지지판(80)의 타단의 전면에 설치된 링크 핀(83)은 전방 수직판(52)의 장홈(52c)에 삽입되고, 우측 지지판(80)의 타단의 후면에 설치된 링크 핀(84)은 후방 수직판(53)의 장홈(53c)에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판(52,53)에 형성되는 장홈(52c,53c)은 링크 핀(83,84)의 단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링크 핀(83,84)은 장홈(52c,53c)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하면서 장홈(52c,53c)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핀(83,84)이 마련된 우측 지지판(80)이 장홈(52c,53c)이 마련된 한 쌍의 수직판(52,53)에 대해 선회하면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장홈(52c,53c)은 우측 지지판(80)의 타단의 이동 경로, 즉 우측 지지판(80)의 링크 핀(83,84)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장홈(52c,53c)은 링크 핀(83,84)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으로 형성할 수 있다. 장홈(52c,53c)의 크기와 형상으로 승강 프레임(50)의 하강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 지지판(80)의 일단에 제3기둥(13)과 제4기둥(14)의 고정 구멍(13a,14a)에 삽입되는 한 쌍의 고정 핀(81,82)을 설치하고, 우측 지지판(80)의 타단에 한 쌍의 수직판(52,53)의 장홈(52c,53c)에 삽입되는 한 쌍의 링크 핀(83,84)을 설치하면, 우측 지지판(80)이 한 쌍의 고정 핀(81,82)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즉, 우측 지지판(80)의 링크 핀(83,84)이 고정 핀(81,82)을 중심으로 승강 프레임(50)에 형성된 장홈(52c,53c) 안에서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의 제3기둥(13)과 제4기둥(14) 사이에는 복수의 우측 지지판(80)이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우측 지지판(80)의 각각의 일단은 제3기둥(13)과 제4기둥(1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에 선회 및 직선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복수의 우측 지지판(80)은 복수의 좌측 지지판(70)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4개의 우측 지지판(80)이 층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우측 지지판(8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서, 우측 지지판(80)은 복수의 유리 카세트(1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지지판(8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좌측 지지판(70)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우측 지지판(80)의 타단에 한 쌍의 링크 핀(83,84)이 형성되고, 승강 프레임(50)의 한 쌍의 수직판(52,53)에 한 쌍의 장홈(52c,53c)이 형성되어 있으나, 링크 핀(83,84)과 장홈(52c,53c)의 설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우측 지지판(80)의 타단에 한 쌍의 장홈을 형성하고, 승강 프레임(50)의 한 쌍의 수직판(52,53)에 한 쌍의 링크 핀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와 같이 메인 프레임(10)이 제1기둥(11)과 제2기둥(12) 사이에 마련된 제1중간 기둥(15)과 제3기둥(13)과 제4기둥(14) 사이에 마련된 제2중간 기둥(16)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3기둥(13)과 제4기둥(14)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2개의 우측 지지판(8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제3기둥(13)과 제2중간 기둥(16) 사이에 한 개의 우측 지지판(80)이 설치되고, 제2중간 기둥(16)과 제4기둥(14) 사이에 다른 한 개의 우측 지지판(80)이 설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중간 기둥(16)과 제4기둥(14) 사이에 설치된 우측 지지판(80)은 후방 우측 지지판(80-1)이라 한다.
우측 지지판(80)의 일단은 메인 프레임(10)의 제3기둥(13)과 제2중간 기둥(16)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의 전방 수직판(52)과 중간판(54) 사이에 회동 가능하며,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측 지지판(80)의 일단에는 한 쌍의 고정 핀(81,82)이 설치되고, 제3기둥(13)과 제2중간 기둥(16) 각각에는 고정 핀(81,82)이 삽입되는 고정 구멍(13a,16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 지지판(80)의 일단의 전면에 설치된 고정 핀(81)은 제3기둥(13)의 고정 구멍(13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우측 지지판(80)의 일단의 후면에 설치된 고정 핀(82)은 제2중간 기둥(16)의 고정 구멍(16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우측 지지판(80)은 한 쌍의 고정 핀(81,82)을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10)의 제3기둥(13)과 제2중간 기둥(16)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우측 지지판(80)은 메인 프레임(10)의 제3기둥(13)과 제2중간 기둥(16)에 대해 직선 이동하지 않는다.
우측 지지판(80)의 타단에는 한 쌍의 링크 핀(83,84)이 설치되고, 승강 프레임(50)의 전방 수직판(52)과 중간판(54)에는 링크 핀(83,84)이 삽입되는 장홈(52c,54c)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우측 지지판(80)의 타단의 전면에 설치된 링크 핀(83)은 전방 수직판(52)의 장홈(52c)에 삽입되고, 우측 지지판(80)의 타단의 후면에 설치된 링크 핀(84)은 중간판(54)의 장홈(54c)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우측 지지판(80)은 한 쌍의 고정 핀(81,82)을 중심으로 승강 프레임(50)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우측 지지판(80-1)의 일단은 메인 프레임(10)의 제2중간 기둥(16)과 제4기둥(14)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의 중간판(54)과 후방 수직판(53) 사이에 회동 가능하며, 직선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후방 우측 지지판(80-1)의 일단에는 한 쌍의 고정 핀(81,82)이 설치되고, 제2중간 기둥(16)과 제4기둥(14) 각각에는 고정 핀(81,82)이 삽입되는 고정 구멍(16a,14a)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우측 지지판(80-1)의 일단의 전면에 설치된 고정 핀(81)은 제2중간 기둥(16)의 고정 구멍(16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후방 우측 지지판(80-1)의 일단의 후면에 설치된 고정 핀(82)은 제4기둥(14)의 고정 구멍(14a)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후방 우측 지지판(80-1)은 한 쌍의 고정 핀(81,82)을 중심으로 메인 프레임(10)의 제2중간 기둥(16)과 제4기둥(14)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후방 우측 지지판(80-1)은 메인 프레임(10)의 제2중간 기둥(16)과 제4기둥(14)에 대해 직선 이동하지 않는다.
후방 우측 지지판(80-1)의 타단에는 한 쌍의 링크 핀(83,84)이 설치되고, 승강 프레임(50)의 중간판(54)과 후방 수직판(53)에는 링크 핀(83,84)이 삽입되는 장홈(54c,53c)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우측 지지판(80-1)의 타단의 전면에 설치된 링크 핀(83)은 중간판(54)의 장홈(54c)에 삽입되고, 후방 우측 지지판(80-1)의 타단의 후면에 설치된 링크 핀(84)은 후방 수직판(53)의 장홈(53c)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후방 우측 지지판(80-1)은 한 쌍의 고정 핀(81,82)을 중심으로 승강 프레임(50)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좌측 지지판(70)의 링크 핀(61)과 유사하게 제3기둥(13)과 제2중간 기둥(16) 사이에 설치되는 우측 지지판(80)의 타단의 후면에 설치된 링크 핀(84)과 제2중간 기둥(16)과 제4기둥(14) 사이에 설치되는 후방 우측 지지판(80-1)의 타단의 전면에 설치된 링크 핀(83)은 한 개의 링크 핀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링크 핀은 중간판(54)에 형성된 장홈(54c)을 관통하며, 링크 핀의 일단은 우측 지지판(80)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후방 우측 지지판(80-1)의 전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하면, 우측 지지판(80)과 후방 우측 지지판(80-1)이 승강 프레임(50)의 중간판(54)에 대해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승강 프레임(50)의 양측에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을 설치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프레임(50)이 상하로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의 승강 프레임의 상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은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은 승강 프레임(50)과 메인 프레임(10)에 대해 대략 직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 프레임(50)에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을 연결하는 링크 핀(73,83)은 메인 프레임(10)에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을 연결하는 고정 핀(71,81)과 동일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메인 프레임(10)의 하면과 승강 프레임(50)의 하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메인 프레임(10)과 승강 프레임(50)이 평평한 바닥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은 경사질 수 있다. 즉,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이 승강 프레임(50) 또는 메인 프레임(10)에 대해 90도가 아닌 일정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이 경우, 승강 프레임(50)에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을 연결하는 링크 핀(73,83)은 메인 프레임(10)에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을 연결하는 고정 핀(71,81)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이때, 메인 프레임(10)은 상승하여,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이 바닥에서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0)을 들어올려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이 바닥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면, 승강 프레임(50)이 일정 거리 하강하여 승강 프레임(50)의 하면이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된다. 따라서,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이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진다. 한편,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이 평평한 바닥에 위치하면 승강 프레임(50)의 하면이 메인 프레임(10)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여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이 수평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이 경사진 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이 들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을 선 Ⅲ-Ⅲ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10)이 바닥에서 일정 거리 상승하여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이 바닥에서 떨어지면, 승강 프레임(50)의 하면이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에서 일정 거리 돌출된다. 승강 프레임(50)의 베이스판(51)에 높이 블록(55)이 마련된 경우에는, 메인 프레임(10)이 상승하면, 높이 블록(55)이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바(40)를 이용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을 들어 올리면, 승강 프레임(50)은 바닥에 위치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10)만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승강 프레임(50)의 양측에 마련된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이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에 대해 경사지게 된다.
메인 프레임(10)이 일정 높이 이상 상승하면, 승강 프레임(50)도 메인 프레임(10)과 함께 상승하게 된다. 메인 프레임(10)이 상승하여 메인 프레임(10)의 제1하단 바(31)와 제2하단 바(32)가 승강 프레임(50)의 제한부(58,59)에 걸리면, 승강 프레임(50)이 메인 프레임(10)과 함께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0)의 제1하단 바(31)와 제2하단 바(32)가 승강 프레임(50)을 지지하게 된다.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이 경사지면,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에 적재된 물품의 하중은 좌측 지지판(70) 및 우측 지지판(80)을 승강 프레임(50)에 연결하는 링크 핀(73,74,83,84)에 걸리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승강 프레임(50)의 제한부(58,59)를 메인 프레임(10)의 제1하단 바(31)와 제2하단 바(32)로 지지하면, 링크 핀(73,74,83,84)에 인가되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0)에 대한 승강 프레임(50)의 하강 거리는 제한부(58,59)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승강 프레임(50)의 하강 거리는 메인 프레임(10)의 제1하단 바(31)(또는 제2하단 바(32))와 승강 프레임(50)의 제한부(58,59) 사이의 간격으로 정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을 일정 높이로 들어 올린 후,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1)을 처리 용액(Q)이 담긴 처리조(120)에 담글 수 있다. 여기서, 처리 용액(Q)은 물품, 예를 들면, 전면 유리와 같은 유리 제품의 표면 처리를 위한 코팅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이 처리조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조(120)에 수용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은 지지판, 즉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이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에 대해 경사져 있으므로, 처리 용액(Q)이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에 적재된 물품의 하단에 맺히지 않고 경사진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을 따라 흐르게 된다.
또한,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이 경사지게 되면, 물품이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에 대해 수직 상태를 이루고 있는 경우에 비해 처리 용액(Q)이 물품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속도가 감소하므로 물품의 표면에 처리 용액(Q)이 흐른 자국이 발생하지 않거나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에 의하면, 침지작업에 의해 물품의 표면에 생기는 얼룩을 줄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은 바닥에 놓였을 경우에는 좌측 지지판(70)과 우측 지지판(8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므로, 종래기술에 의한 랙과 동일하게 랙의 지지판에 물품을 넣거나 빼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승강 프레임(50)의 좌측에 복수의 좌측 지지판(70)과 복수의 후방 좌측 지지판(70-1)이 마련되고, 승강 프레임(50)의 우측에 복수의 우측 지지판(80)과 복수의 후방 우측 지지판(80-1)이 마련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은 복수의 좌측 지지판(70)과 복수의 우측 지지판(80)만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을 선 Ⅳ-Ⅳ를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은 메인 프레임(10), 승강 프레임(50), 복수의 좌측 지지판(70), 복수의 우측 지지판(8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내부가 빈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제1기둥(11), 제2기둥(12), 제3기둥(13), 및 제4기둥(14)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은 제1중간 기둥(15)과 제2중간 기둥(16)을 포함하지 않는 것 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의 메인 프레임(1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승강 프레임(50)은 메인 프레임(10)의 내부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승강 프레임(50)은 베이스판(51)과 한 쌍의 수직판(52,53)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 프레임(50)은 중간판(54)을 포함하지 않는 것 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의 승강 프레임(5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좌측 지지판(70) 각각의 일단은 메인 프레임(10)의 제1기둥(11)과 제2기둥(12)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좌측 지지판(70) 각각의 타단은 승강 프레임(50)의 한 쌍의 수직판, 즉 전방 수직판(52)과 후방 수직판(53)의 일측에 한 쌍의 수직판(52,53)에 대해 회동 가능하며,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좌측 지지판(70) 각각은 일단이 메인 프레임(10)의 제1기둥(11)과 제2기둥(12)에 연결되고, 타단이 승강 프레임(50)의 한 쌍의 수직판(52,53)에 연결된 것 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의 좌측 지지판(7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우측 지지판(80) 각각은 일단이 메인 프레임(10)의 제3기둥(13)과 제4기둥(14)에 연결되고, 타단이 승강 프레임(50)의 한 쌍의 수직판(52,53)에 연결된 것 외에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의 우측 지지판(80)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과 동일하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1')도 메인 프레임(10)을 상승시키면, 승강 프레임(50)이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복수의 좌측 지지판(70)과 복수의 우측 지지판(80)이 메인 프레임(10)의 하면에 대해 경사진 상태가 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10)을 평평한 바닥에 놓으면, 승강 프레임(50)의 하면이 메인 프레임(10)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므로, 복수의 좌측 지지판(70)과 복수의 우측 지지판(80)이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은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자중에 의해 복수의 지지판이 경사진 상태가 되어 처리 용액에 의해 물품에 얼룩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바닥에 놓은 경우에는 복수의 지지판이 수평 상태가 되므로 랙에 물품을 넣거나 빼는 것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개시는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는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1';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10; 메인 프레임 11,12,13,14; 기둥
11a,13a; 고정 구멍 15,16; 중간 기둥
21,22,23,24; 상단 바 31,32,33,34; 상단 바
40; 이송바 50; 승강 프레임
51; 베이스판 52,53; 수직판
54; 중간판 55; 높이 블록
58,59; 제한부 70; 좌측 지지판
71,72; 고정 핀 73,74; 링크 핀
80; 우측 지지판 81,82; 고정 핀
83,84; 링크 핀 120; 처리조

Claims (16)

  1. 제1기둥, 제2기둥, 제3기둥, 및 제4기둥을 갖는 직육면체 형상의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기둥과 제2기둥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 프레임의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좌측 지지판; 및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3기둥과 제4기둥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 프레임의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우측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이 평평한 바닥에 위치하면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여 상기 좌측 지지판과 상기 우측 지지판이 수평 상태가 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을 상승시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면이 상기 바닥으로부터 떨어지도록하면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면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어 상기 좌측 지지판과 상기 우측 지지판이 경사지게 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판의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기둥과 제2기둥에 한 쌍의 제1고정 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 프레임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우측 지지판의 일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3기둥과 제4기둥에 한 쌍의 제2고정 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 프레임에 대해 일정 각도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판의 타단과 상기 승강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제1링크 핀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과 상기 좌측 지지판의 타단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제1링크 핀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 지지판의 타단과 상기 승강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제2링크 핀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과 상기 우측 지지판의 타단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제2링크 핀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2장홈이 형성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장홈 각각은 상기 좌측 지지판의 타단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장홈 각각은 상기 우측 지지판의 타단의 이동 경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장홈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1링크 핀 각각보다 큰 지름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제2장홈 각각은 상기 한 쌍의 제2링크 핀 각각보다 큰 지름을 갖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면의 양단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강 거리를 제한하며 상기 승강 프레임을 지지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기둥의 하단과 상기 제3기둥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1하단 바 및 상기 제2기둥의 하단과 상기 제4기둥의 하단을 연결하는 제2하단 바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제한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하단 바와 제2하단 바에 의해 간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강 거리는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제한부와 하면 사이의 단차에 의해 정해지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판;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 지지판의 타단과 상기 우측 지지판의 타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판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판의 타단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제1링크 핀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판과 상기 좌측 지지판의 타단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제1링크 핀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1장홈이 형성되며,
    상기 우측 지지판의 타단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중 어느 하나에는 한 쌍의 제2링크 핀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판과 상기 우측 지지판의 타단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한 쌍의 제2링크 핀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2장홈이 형성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하면에 설치되는 높이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사이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개의 거리유지바;를 더 포함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과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리브의 하면은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접촉하고, 상기 보강 리브의 양단은 상기 한 쌍의 수직판에 접촉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판의 중앙에서 수직하게 상기 한 쌍의 수직판 사이로 연장되는 중간판;을 더 포함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판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1기둥 및 제2기둥과 상기 승강 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좌측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우측 지지판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제3기둥 및 제4기둥과 상기 승강 프레임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우측 지지판을 포함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1기둥과 상기 제2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간 기둥과, 상기 제3기둥과 상기 제4기둥 사이의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간 기둥을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개의 제2중간 기둥을 더 포함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지지판은 상기 제1기둥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간 기둥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측 지지판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제1중간 기둥과 제2기둥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 좌측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우측 지지판은 상기 제3기둥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제2중간 기둥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우측 지지판과 상기 적어도 한 개의 제2중간 기둥과 제4기둥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 우측 지지판을 포함하는,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KR1020210021338A 2021-02-17 2021-02-17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KR2022011768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338A KR20220117686A (ko) 2021-02-17 2021-02-17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PCT/KR2021/019625 WO2022177122A1 (ko) 2021-02-17 2021-12-22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338A KR20220117686A (ko) 2021-02-17 2021-02-17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686A true KR20220117686A (ko) 2022-08-24

Family

ID=8293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338A KR20220117686A (ko) 2021-02-17 2021-02-17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17686A (ko)
WO (1) WO2022177122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1788A (en) * 1973-10-24 1975-08-26 Dare Pafco Inc Cup plating rack
US4746416A (en) * 1986-03-07 1988-05-24 Western Industries Inc. Hanger for use in electrocoating
CA2648710A1 (en) * 2006-04-07 2007-10-18 Innocraft Llc Rack for transportation and display of plants
KR101609752B1 (ko) * 2015-11-10 2016-04-06 주식회사 티아이텍 아노다이징 처리용 렉크
CN109518261B (zh) * 2018-12-29 2020-09-15 上海裕继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电镀夹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7122A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96102B2 (ja) 基板収納用カセット
JP2009001406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KR20120067964A (ko) 스태커 크레인
US3283924A (en) Extractor apparatus with curved guides
KR20220117686A (ko) 경사질 수 있는 지지판을 구비한 랙
US3635173A (en) Self-leveling dispenser
JP5283002B2 (ja) 運搬装置
US10709245B2 (en) Article falling prevention device
US20230249908A1 (en) Storage rack with a vertically movable compartment system
ES2585390T3 (es) Una planta para el almacenamiento de productos
KR101239825B1 (ko) 엘씨디 글래스 적재용 카세트장치
KR20090100144A (ko) 인출이 용이한 판유리 적재용 보관대
KR102079642B1 (ko) 적재대
KR101000598B1 (ko) 박판유리 강화열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유리 적재 카세트용 랙장치
KR101944499B1 (ko) 글라스 적재용 버퍼장치
JP4577589B2 (ja) 物品搬送装置
JP2013151359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CN110803433A (zh) 货架装置和装载组件
JP2000302214A (ja) 自動倉庫のラック装置の物品収納棚
KR102573026B1 (ko) 금형 보관이 가능한 호이스트 크레인 설비
JPH0539107A (ja) 円筒状物品の立体倉庫
CN218791571U (zh) 自动升降型展示架的加强结构
CN216612434U (zh) 一种可堆叠的型材物料架
JP2005298201A (ja) 物品保管設備
KR101974402B1 (ko) 디스플레이용 필름 제품 스태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