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443A -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443A
KR20220117443A KR1020210020830A KR20210020830A KR20220117443A KR 20220117443 A KR20220117443 A KR 20220117443A KR 1020210020830 A KR1020210020830 A KR 1020210020830A KR 20210020830 A KR20210020830 A KR 20210020830A KR 20220117443 A KR20220117443 A KR 20220117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unit
receiving
delivery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6589B1 (ko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21002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658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6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93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operating with convey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9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cars adapted to travel in storage ais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65G1/1373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for fulfilling orders in ware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은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 보관 장치를 포함하는 물품 보관부; 상기 물품 보관 장치에 보관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이송하거나 상기 물품 보관 장치에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이송하는 물품 이송부; 상기 물품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전달받거나,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상기 물품 이송부로 전달하는 물품 수취부; 및 상기 물품 보관부, 상기 물품 이송부 및 상기 물품 수취부와 통신하여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에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UNTACT DELIVERY SYSTEM}
본 발명은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수취자가 실내에서 비대면으로 물품을 수취 및 발송할 수 있는 물품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직장, 학교 등 일상 생활에 있어서 생활패턴이 바뀜에 따라 온라인을 통한 구매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택배 등과 같은 물품 배송 업무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택배 물량의 경우 배달자가 수취자의 주거지에 방문한 후 수취자에게 물품을 직접 전달하거나 경비실 혹은 수취인의 현관 문 앞에 배송 대상 물품을 두고 가는 방법, 또는 단지내에 구비되어 있는 무인 수취함에 물품을 보관시키면 수취자가 무인 수취함에서 물품을 수령하는 방법으로 배송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택배 배달자가 수취자의 주거지에 직접 방문하는 경우 단지 내 보안 및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무인 수취함의 경우 제3자가 부정한 방법을 통해 보관되어 있는 물품을 부정 수취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택배 등 각종 물품의 배송을 보다 정확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최근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등 대면 접촉을 줄이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더하여, 스마트 시티에 대한 범정부적 차원의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스마트 시티의 일 구성요소로서 물품의 비대면 배송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아파트, 빌라 등 공동 주택, 나아가 업무시설 오피스, 공공 청사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물품에 대한 비대면 수취 및 발송이 가능한 물품 배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면접촉으로 인한 바이러스의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송시간을 단축시켜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물품을 배송할 수 있는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은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 보관 장치를 포함하는 물품 보관부; 상기 물품 보관 장치에 보관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이송하거나 상기 물품 보관 장치에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이송하는 물품 이송부; 상기 물품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전달받거나,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상기 물품 이송부로 전달하는 물품 수취부; 및 상기 물품 보관부, 상기 물품 이송부 및 상기 물품 수취부와 통신하여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에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 보관 장치에 상기 배송대상 물품이 적재되면 상기 단말기에 물품 보관 완료 신호를 발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물품 수취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물품 이송부를 구동시켜 상기 물품 보관 장치에 적재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상기 물품 수취부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 수취부에 상기 반송대상 물품이 적재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물품 반송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물품 이송부를 구동시켜 상기 물품 수취부로부터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상기 물품 보관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물품 보관 장치는, 상기 배송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복수개의 수납 공간이 구비된 보관 선반; 및 상기 배송대상 물품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제어부에 발신하는 물품 정보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의 정보는 배송대상 물품의 종류, 적재위치 및 배송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에 상기 배송대상 물품의 종류, 적재위치 및 배송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발신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물품 수취 신호를 입력받으면, 배송예상 시간을 상기 단말기에 발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물품 수취 신호를 입력 받으면, 상기 물품 이송부를 구동시켜 상기 물품 보관 장치에 적재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상기 물품 수취부에 전달하고, 상기 배송대상 물품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발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송대상 물품이 상기 물품 수취부에 적재되면 물품 도착 완료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발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물품 수취부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물품 수취부에 각각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배송지 정보는 복수개의 상기 물품 수취부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은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 보관부; 상기 물품 보관부에 적재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이송하거나 상기 물품 보관부로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전달하는 물품 이송부; 상기 물품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전달받거나,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상기 물품 이송부로 전달하는 물품 수취부; 및 상기 물품 보관부, 상기 물품 이송부 및 상기 물품 수취부와 통신하여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에 물품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상기 물품 보관부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보관룸; 상기 보관룸에 배치되고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 보관 장치; 및 상기 배송대상 물품 정보 또는 상기 반송대상 물품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물품 정보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물품 보관 장치는,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 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수납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 및 수의 상기 수납공간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물품 정보 입력 장치는 상기 배송대상 물품의 적재 위치 및 배송지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발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물품 수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물품 정보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배송대상 물품의 적재위치 및 배송지 정보를 상기 물품 이송부에 발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물품 이송부는 기 물품 보관 장치의 상기 파레트와 연결되어 상기 파레트 상부에 적재된 배송대상 물품을 이송하는 제1 이송 로봇; 기 물품 수취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송 대상 물품을 상기 물품 수취부로 전달하는 이송 타워; 및 기 이송 로봇으로부터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파지하여 상기 이송 타워에 안착시키는 제2 이송 로봇;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이송 로봇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배송대상 물품의 적재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송 타워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배송대상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보관룸의 저면에는 가이드 라인이 구비되고, 기 제1 이송 로봇은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이송 로봇은, 이드 슬릿이 형성된 바디; 기 가이드 슬릿을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파레트에 체결되어 상기 파레트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파레트 파지부; 및 기 바디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라인을 인식하여 상기 가이드 라인을 따라 상기 바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이송로봇은 상기 제1 이송 로봇으로부터 전달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이 안착되는 안착 컨베이어 벨트; 및 기 안착 컨베이어 벨트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안착 컨베이어 벨트에 안착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파지하여 상기 이송 타워로 전달하는 암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이송 타워는 상기 배송대상 물품 또는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수직 컨베이어부; 및 상기 수직 컨베이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물품 수취부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전달하거나 상기 물품 수취부로부터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수취하는 수평 컨베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은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 보관부; 상기 물품 보관부에 적재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이송하거나 상기 물품 보관부로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전달하는 물품 이송부; 상기 물품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전달받거나,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상기 물품 이송부로 전달하는 물품 수취부; 및 상기 물품 보관부, 상기 물품 이송부 및 상기 물품 수취부와 통신하여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에 물품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수취부는, 개방된 전단이 사용자의 거주공간에 연결된 수취함; 상기 수취함의 개방된 전단에 회전이동 또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수취함의 개방된 전단을 개폐하는 개폐도어; 상기 물품 수취부 내부 공간을 제1 수취 공간과 제2 수취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물품 수취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폐 패널; 상기 수취함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송대상 물품 또는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이송하는 이송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이송 롤러부는, 상기 제2 수취 공간에 상기 배송대상 물품이 안착되는 경우 상기 배송대상물품을 상기 제1 수취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수취 공간에 상기 반송대상 물품이 안착되는 경우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상기 제2 수취공간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이송 롤러부는, 결합홈이 구비된 샤프트; 사익 샤프트가 삽입되는 중공이 구비되고, 상기 중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부가 돌출 구비된 몰드부; 및 상기 몰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몰드부에 사출 성형된 패킹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몰드부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패킹부와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이 구비되고, 상기 언더컷은 상기 몰드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 넓이가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에서 상기 차폐 패널은, 상기 물품 수취부를 상기 제1 수취 공간과 상기 제2 수취 공간으로 구획하고 일면에 기어이가 형성된 가림막; 상기 물품 수취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주면이 상기 기어이와 치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림막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 기어; 및 상기 물품 수취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 기어에 의해 상기 가림막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림막이 수용되는 가림막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수취부의 내면에는 상기 가림막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은 아파트, 빌라 등 공동 주택에 적용될 수 있으며, 물품에 대한 비대면 수취 및 발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은 배달자와 거주민들 사이에 비대면으로 배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은 대면 접촉으로 인한 바이러스의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은 배송 작업 시 소요되는 불필요한 노동력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은 거주 공간에 제3자가 출입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제3자로 인한 안전 사고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물품 배송시스템은 거주민이 거주공간 내에서 편리하게 물품을 수취 및 발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송 시스템에 대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송 로봇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 로봇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타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타워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타워 및 이송 로봇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0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수취부의 개략 단면도이다.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수취부에 구비되는 이송 롤러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 및 패킹부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송 시스템에 대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송 시스템(1)은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 보관 장치(110, 도 2 및 도 3참조)를 포함하는 물품 보관부(100), 물품 보관 장치(110)에 보관된 배송대상 물품을 이송하거나 물품 보관 장치(110)에 반송대상 물품을 이송하는 물품 이송부(200), 물품 이송부(200)를 통해 이송된 배송대상 물품을 전달받거나, 반송대상 물품을 물품 이송부(200)로 전달하는 물품 수취부(300) 및 물품 보관부(100), 물품 이송부(200) 및 물품 수취부(300)와 통신하여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단말기(M)와 통신하여 단말기(M)에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 대상 물품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물품 배송 시스템(1)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를 포함하는 연산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물품 보관 장치(110)에 배송대상 물품이 적재되면 사용자의 단말기(M)에 물품 보관 완료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단말기(M)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어부(400)는 별도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의 무선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기(M)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 tooth)를 통해 연결되거나 별도의 인터넷 서버를 매개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기(M)는 이동 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잇는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M)는 태블릿 PC(Table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제어부(400)는 단말기(M)로부터 물품 수취 신호를 입력 받으면 물품 이송부(200)를 구동시켜 물품 보관 장치(110)에 적재된 배송 대상 물품을 물품 수취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물품 수취부(300)에 반송대상 물품이 적재되고, 단말기(M)로부터 물품 반송 신호를 입력 받으면 물품 이송부(200)를 구동시켜 물품 수취부(300)로부터 반송대상 물품을 물품 보관 장치(11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부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 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물품 보관부(100)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보관룸(120), 보관룸(120)에 배치되고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 보관 장치(110) 및 배송대상 물품 정보 또는 반송대상 물품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하는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 보관룸(120)은 내부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보관룸(120)은 공동 주택의 지하실 또는 별도의 룸을 활용하여 구비될 수 있다.
물품 보관 장치(110)는 보관룸(120)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물품 보관 장치(110)의 크기는 보관룸(120)의 크기 및 구조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물품 보관 장치(110)는 외형을 구성하는 하우징(111), 하우징(111)의 내부 공간을 복수의 수납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112) 및 복수의 수납 공간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파레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 보관 장치(110)의 수납 공간에는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이 적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은 파레트(113)의 상면에 적재될 수 있다.
파레트(113)는 하우징(111)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레트(113)에는 물품 이송부(200)와 연결되는 파지홀(113a)이 구비될 수 있으며, 물품 이송부(200)의 제1 이송 로봇(210, 도 4참조)의 파지부(212)가 파지홀(113a)에 삽입되어 파레트(113)를 하우징(111)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제1 이송 로봇(210)이 파레트(113)를 하우징(111)으로부터 분리하면 파레트(113)의 상면에 안착된 배송대상 물품도 파레트(113)와 함께 하우징(1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한편, 물품 보관 장치(110)의 수납 공간 크기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1)의 상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의 크기가 하우징(111)의 하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는 물품 보관 장치(110)와 일체로 구비되거나 별도의 구조물로 구비될 수 있다.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가 별도의 구조물로 구비되는 경우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는 물품 보관 장치(110)에 연결되거나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는 예를 들어 키오스크로 구비될 수 있다.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는 정보를 입력받거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1)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입출력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1)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 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 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 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송자는 배송대상 물품을 물품 보관 장치(110)에 적재한 후,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에 해당 배송대상 물품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에 입력되는 정보는 배송대상 물품의 종류, 배송대상 물품의 적재위치, 다시 말해, 배송대상 물품이 적재된 물품 보관 장치(110)의 수납공간 또는 파레트의 위치정보 및 배송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송지 정보는 배송대상 물품 수취자의 주소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는 입력 받은 정보를 제어부(400)에 발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수신된 정보를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는 입력 받은 정보에 대응하는 2차원 바코드, QR코드 등을 포함하는 출력물을 발행할 수 있다. 배송자는 필요에 따라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에서 출력된 출력물을 배송대상 물품에 부착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물품 보관 장치(110)에 배송대상 물품이 적재되면 사용자의 단말기(M)에 배송대상 물품의 종류, 적재위치 및 배송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발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입력 받은 정보 중 배송대상 물품의 배송지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기(M)에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세대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의 경우 각각의 세대는 세대의 주소에 대응하는 고유 배송지 코드를 할당 받을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고유 배송지 코드에 등록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입력받은 배송대상 물품의 배송지 정보와, 고유 배송지 코드를 매칭하고 매칭된 고유 배송지 코드에 등록된 단말기(M)에 정보를 발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단말기(M)로부터 물품 수취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제어부(400)가 단말기(M)로부터 물품 수취 신호를 입력 받으면, 제어부(400)는 배송대상 물품의 배송예상 시간, 다시 말해, 배송대상 물품이 물품 수취부(300)에 도달하는 예상 시간 또는 배송 예상 순위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단말기(M)에 발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 보관부(100)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 보관룸(120), 보관룸(120)에 배치되고 배송 대상 물품 또는 반송 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 보관 장치(110) 및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하는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물품 보관 장치(110) 및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의 세부 구성은 전술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물품 보관 장치 및 물품 정보 입력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전술한 설명에 갈음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룸(120)은 배달자가 출입가능한 공간인 제1 공간(S1)과 배달자가 출입 불가능한 공간인 제2 공간(S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룸(120)은 물품 보관 장치(110)에 의해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격벽(110a)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보관룸(120)은 물품 보관 장치(110)와 필요에 따라 격벽(110a)을 포함하여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으로 구획될 수 있다.
배달자는 제1 공간(S1)으로 진입하여 물품 보관 장치(120)에 배송 대상 물품을 보관시킨 후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를 통해 해당 배송 대상 물품이 적재된 위치, 배송지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배달자는 제1 공간(S1)으로 진입하여,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를 통해 해당 배송 대상 물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 후,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보관 장치(110)의 특정 위치에 배송 대상 물품을 보관시킬 수 있다.
한편, 반송 대상 물품의 반송의 경우, 제1 및 제2 이송 로봇(210, 220)을 경유하여, 물품이 물품 보관 장치(110)에 전달되면, 해당 반송 대상 물품이 적재된 위치 등을 포함하는 정보는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로 발신될 수 있으며, 배달자는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를 통해 반송 대상 물품을 확인한 후 제1 공간(S1)에서 반송대상 물품을 수취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 보관 장치(110)는 일면에만 개폐 도어(120a)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물품 보관 장치(110)가 제1 공간(S1)과 대향하는 일면에는 개폐 도어(110a)가 구비될 수 있으며, 물품 보관 장치(120)가 제2 공간(S2)과 대향하는 일면은 개방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배달자는 개폐 도어(110a)가 개폐가능한 경우에 한해서만 배송 대상 물품을 물품 보관 장치(110)에 전달하거나, 반송 대상 물품을 물품 보관 장치(11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관룸(120)을 배달자가 출입 가능한 제1 공간(S1)과 출입 불가능한 제2 공간(S2)으로 구획함으로써, 물품 배송/반송 과정에서 제3 자가 거주공간 내부로 출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이송 로봇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송 로봇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타워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타워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400)가 단말기(M)로부터 물품 수취 신호를 입력 받으면, 물품 이송부(200)를 구동시켜 물품 보관 장치(110)에 적재된 배송 대상 물품을 물품 수취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물품 이송부(200) 및 물품 수취부(300) 구동 시 배송대상 물품의 실시간 위치정보를 단말기(M)에 전송할 수 있다.
물품 이송부(200)는 일예로 물품 보관 장치(110)의 파레트(113)와 연결되어 파레트(113) 상부에 적재된 배송대상 물품을 이송하는 제1 이송 로봇(210), 물품 수취부(300)에 연결되어 배송대상 물품을 물품 수취부(300)로 전달하는 이송 타워(230) 및 제1 이송 로봇으로부터 배송대상 물품을 파지하여 이송 타워(230)에 안착시키는 제2 이송 로봇(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 로봇(210)은 물품 보관 장치(110)에 적재된 배송대상 물품을 제2 이송 로봇(2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송 로봇(210)은 제어부(400)로부터 배송대상 물품의 적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해당 위치 정보에 적재된 배송대상 물품을 제2 이송 로봇(2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이송 로봇(210)은 일 예로, 가이드 슬릿(211a)이 형성된 바디(211), 가이드 슬릿(211a)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파레트(113)에 체결되어 파레트를 하우징(111)으로부터 분리하는 파레트 파지부(212) 및 바디(211)의 저면에 형성되고 보관룸(120)의 가이드 라인(121)을 인식하여 가이드 라인(121)을 따라 바디(211)를 이동시키는 구동부(213)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1)는 물품 보관 장치(110)의 높이에 대응하게 규격이 정해질 수 있으며, 바디(211)의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슬릿(211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211a)에는 파레트 파지부(212)가 승강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파레트 파지부(212)는 파지암(212a)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암(212a)은 파레트(113)의 파지홀(113a)에 삽입될 수 있다. 파지암(212a)이 파레트(113)의 파지홀(113a)에 삽입되면, 파레트 파지부(212)는 소정높이 상승할 수 있다. 이후 제1 이송 로봇(210)의 이동 동작으로 파레트(113) 및 파레트(113)의 상부에 적재된 배송대상 물품은 하우징(1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구동부(213)는 바디(21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213)는 모터와 같은 별도의 동력원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제1 이송 로봇(210)은 제어부(400)로부터 수신한 적재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물품 보관 장치(110)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13)는 보관룸(120)의 저면에 구비된 가이드 라인(12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라인(121)은 마그네틱 소재 또는 금속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물품 보관 장치(110)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213)에는 가이드 라인(121)을 인식할 수 있는 별도의 센서가 구비되어 가이드 라인(121)을 따라 바디(2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이송 로봇(220)은 제1 이송 로봇(210)으로부터 배송대상 물품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2 이송 로봇(220)은 제1 이송 로봇(210)으로부터 전달된 배송대상 물품이 안착되는 안착 컨베이어 벨트(221) 및 안착 컨베이어 벨트(221)의 일측에 배치되고 안착 컨베이어 벨트(221)에 안착된 배송대상 물품을 파지하여 이송 타워(230)로 전달하는 암 로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암 로드(222)는 다관절 로봇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로드(222)는 회전 관절을 포함하는 제1 암로드 파트(222a), 제1 암로드 파트(222a)에 1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암로드 파트(222b), 제2 암로드 파트(222b)에 1축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3 암로드 파트(222c) 및 제3 암로드 파트(222c)의 단부에 구비되어 배송대상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 파트(222d)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 파트(222d)는 안착 컨베이어 벨트(221)에 전달된 배송 대상 물품을 이송 타워(23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송 시스템(1)에서 물품 이송부(200)는 제2 이송 로봇(22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물품 이송부(200)는 제1 이송 로봇(210)만을 포함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품 이송부(200)가 제1 이송 로봇(210)만 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이송 로봇(210)은 물품 보관 장치(110)에서 물품을 수취한 후 직접 이송 타워(230)로 전달하거나 이송 타워(230)로부터 물품을 수취하여 물품 보관 장치(110)에 전달할 수 있다.
이송 타워(230)는 물품 수취부(300)에 연결되어 물품 수취부(300)로 배송대상 물품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 타워(230)는 제어부(400)로부터 배송대상 물품의 배송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배송지 정보에 대응하는 물품 수취부(300)에 배송대상 물품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동주택의 경우 각각의 세대는 각각의 물품 수취부(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물품 수취부(300)는 세대별로 할당된 고유 배송지 코드를 가질 수 있다. 이송 타워(230)는 제어부(400)로부터 수신한 배송지 정보와 고유 배송지 코드를 매칭시킨다음, 해당 고유 배송지 코드가 포함된 물품 수취부(300)로 배송대상 물품을 전달할 수 있다.
이송 타워(230)는 예를 들어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 대상 물품을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수직 컨베이어부(231) 및 수직 컨베이어부(231)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물품 수취부(230)로 배송대상 물품을 전달하거나 물품 수취부(230)로부터 반송대상 물품을 수취하는 수평 컨베이어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 로봇(220)에 의해 이송 타워(230)로 배송대상 물품이 전달되면, 이송 타워(230)의 수직 컨베이어부(231)는 배송대상 물품이 배송되어야할 물품 수취부(230)가 위치한 층으로 배송대상 물품을 승강시킬 수 있다.
수직 컨베이어부(231)는 외관을 구성하고 복수의 개구(231d)가 형성된 타워 하우징(231a) 및 타워 하우징(231a)의 내부에 배치되는 수직 컨베이어 벨트(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컨베이어 벨트(231b)에는 복수의 배송 블레이드(231c)가 구비될 수 있다. 배송대상 물품은 배송 블레이드(231c)에 안착되어 승강할 수 있으며, 개구(231d)를 통해 수평 컨베이어부(232)로 이동할 수 있다.
수평 컨베이어부(232)의 일측 단부에는 물품 수취부(2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수평 컨베이어부(232)를 따라 이동한 배송대상 물품은 물품 수취부(23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타워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송 타워는(230)는 승강기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송 타워(230)는 승강 케이블(231), 승강 케이블(231)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저면에 이송롤러(232a)가 구비된 승강기(232) 및 승강기(232)가 소정 위치에 정지하는 경우 이송롤러(232a)와 연속된 통로를 형성하는 수취함(233)을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232)는 제어부(400)의 신호에 대응하여 상하로 승강할 수 있으며, 내부에 배송 대상 물품 또는 반송 대상 물품(p)을 적재할 수 있다.
승강기(232)는 물품을 수취함(233)으로 밀어주는 물품 가압부(232b)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 가압부(232b)는 승강기(232)가 소정 위치에 정지하는 경우 물품을 가압하여, 수취함(233)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일 예로 물품 가압부(232b)는 유압 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물품을 수취함(233)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하는 한 물품 가압부(232b)는 당업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물품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승강기(232)의 저면에는 이송롤러(232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이송롤러(232a)를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자체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경우 물품 가압부(232b)는 생략 가능하다.
이송 타워(230)는 살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부(240)는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 대상 물품에 살균제를 분사하여 살균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송 타워(23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살균부(240)가 구비되는 위치는 물품에 살균제를 분사할 수 있는 위치에 해당하는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살균부(240)를 승강기(232) 내측에 구비하거나 수취함(233)에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취함(233)은 승강기(232)로부터 물품을 전달받는 제1 수취부(233a) 및 제1 수취부(233a)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함에 따라 제1 수취부(233a)와 거주공간(S3)을 연통시키는 제2 수취부(2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취부(233a)는 승강기(232)가 정지하는 경우 승강기(232)의 저면과 연결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물품 배송을 위해, 승강기(232)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는 경우, 제2 수취부(233b)는 회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강기(232)의 저면과, 제1 수취부(233a) 및 제2 수취부(233b)는 연결된 하나의 이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후, 승강기(232)의 물품 가압부(232b)가 물품을 가압하여 물품을 제2 수취부(233b)의 상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수취부의 개략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수취부에 구비되는 이송 롤러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부 및 패킹부의 측면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물품 수취부(300)는 적어도 일부가 공동주택의 거주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 수취부(300)는 선택적으로 개방가능한 전단부가 공동주택의 세대공간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물품 수취부(300)는 공동 주택의 세대 공간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물품 수취부(300)에 배송대상 물품이 전달되면 물품 수취부(30)는 제어부(400)에 물품 도착 완료 신호를 발신할 수 있으며 제어부(400)는 단말기(M)와 통신하여, 물품의 배송 완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물품 수취부(300)는 일예로 개방된 전단이 사용자의 거주 공간에 연결된 수취함(310), 수취함(310)의 개방된 전단에 회전이동 또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수취함(310)의 개방된 전단을 개폐하는 개폐 도어(320), 물품 수취부(300) 내부 공간을 제1 수취 공간(S1)과 제2 수취 공간(S2)으로 구획하고, 물품 수취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폐 패널(330), 수취함(310)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을 이송하는 이송 롤러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 패널(330)은 물품 수취함(310)를 제1 수취 공간(S1)과 제2 수취 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여기서, 차폐 패널(330)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1 수취 공간(S1)과 제2 수취 공간 (S2)을 연통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다.
차폐 패널(330)은 일 예로, 물품 수취부(300)를 제1 수취 공간(S1)과 제2 수취 공간(S2)으로 구획하고 일면에 기어이(331a)가 형성된 가림막(331), 물품 수취부(3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주면이 가림막(331)의 기어이(331a)와 치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가림막(331)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 기어(332) 및 물품 수취부(300)에 구비되고 구동 기어(332)에 의해 가림막(331)이 슬라이드이동하는 경우 가림막(331)이 수용되는 가림막 수용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 수취부(330)의 내면에는 가림막(331)의 이동을 안내하는 별도의 가이드 슬릿(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송 롤러부(340)는 제2 수취 공간(S2)에 배송대상 물품이 안착되는 경우 배송대상 물품을 제1 수취 공간(S1)으로 이동시키고, 제1 수취 공간(S1)에 반송대상 물품이 안착되는 경우 반송대상 물품을 제2 수취 공간(S2)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 롤러부(340)는 예를 들어 결합홈(341a)이 구비된 샤프트(341), 샤프트(341)가 삽입되는 중공(342a)이 구비되고, 중공(342a)의 둘레를 따라 결합홈(341a)에 삽입되는 돌기부(342b)가 돌출 구비된 몰드부(342) 및 몰드부(342)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몰드부(342)에서 사출 성형된 패킹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41)에는 결합홈(341a)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홈(341a)은 샤프트(341)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소정거리 인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결합홈(341a)은 샤프트(341)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결합홈(341a)은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홈(341a)은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소정거리 어긋나게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342b)는 중공(342a)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돌출되고, 내면이 샤프트(341)의 외주면에 접하는 접촉부(342c)와 접촉부(342c)에서 샤프트(341)가 제공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결합홈(341a)에 삽입되는 삽입부(342d)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342c)는 중공(342a)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부(342c)는 몰드부(342)의 중공(342a) 양측 단부의 둘레를 따라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몰드부(342)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접촉부(342c)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몰드부(342)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구비될 수 있다.
몰드부(342)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되어 패킹부(343)와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이 구비될 수 있으며, 언더컷은 몰드부(342)의 반경방향외측으로 갈수록 단면 넓이가 감소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송 시스템(1)에서 배송대상 물품이 수취자에게 전달되는 과정 및 반송대상 물품이 반송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배송대상 물품이 수취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배달자는 배송대상 물품을 물품 보관부(100)의 물품 보관장치(110)에 적재할 수 있다. 이후 배송자가 배송대상 물품의 관련정보를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에 입력하면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는 입력 받은 정보를 제어부(400)에 발신할 수 있다. 제어부(400)가 물품 정보 입력 장치(130)로부터 배송대상 물품 관련 정보를 입력 받으면,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단말기(M)에 해당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기(M)를 통해 물품 수취 신호를 발신하면 제어부(400)는 물품 이송부(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제1 이송 로봇(210)은 물품 보관 장치(110)에 적재된 배송대상 물품을 제2 이송 로봇(220)으로 전달할 수 있고, 제2 이송 로봇(220)은 배송대상 물품을 이송 타워(2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송 타워(230)로 전달된 배송대상 물품은 물품 수취부(300)에 전달될 수 있다. 물품 수취부(300)에 배송대상 물품이 전달되면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단말기(M)에 물품 배송 완료 신호를 발신하여 사용자에게 배송이 완료되었음을 알릴수 있다.
반송대상 물품이 반송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물품 수취부(300)에 반송대상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제1 수취 공간(S1)에 반송대상 물품을 적재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단말기(M)를 통해 물품 반송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달하면 제어부(400)는 물품 수취부(300)를 구동시켜 반송대상 물품을 이송 타워(2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송 타워(230)에 전달된 반송대상 물품은 제2 이송 로봇(220)으로 전달되고, 이후 제1 이송 로봇(220)은 반송대상 물품을 물품 보관 장치(1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물품 보관 장치(110)는 반송대상 물품만을 분류하여 적재하는 별도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 배송 시스템(1)은 아파트, 빌라 등 공동 주택에 적용될 수 있으며 물품에 대한 무인 수취 및 발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물품 배송 시스템 100: 물품 보관부
110: 물품 보관 장치 200: 물품 이송부
210: 제1 이송 로봇 220: 제2 이송 로봇
230: 이송 타워 300: 물품 수취부
310: 수취함 320: 개폐 도어
330: 차폐 패널 340: 이송 롤러부

Claims (6)

  1.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 보관부;
    상기 물품 보관부에 적재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이송하거나 상기 물품 보관부로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전달하는 물품 이송부;
    상기 물품 이송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전달받거나,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상기 물품 이송부로 전달하는 물품 수취부; 및
    상기 물품 보관부, 상기 물품 이송부 및 상기 물품 수취부와 통신하여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단말기에 물품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수취부는,
    개방된 전단이 사용자의 거주공간에 연결된 수취함;
    상기 수취함의 개방된 전단에 회전이동 또는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수취함의 개방된 전단을 개폐하는 개폐도어;
    상기 물품 수취부 내부 공간을 제1 수취 공간과 제2 수취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물품 수취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차폐 패널;
    상기 수취함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배송대상 물품 또는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이송하는 이송 롤러부;를 포함하는,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부는,
    상기 제2 수취 공간에 상기 배송대상 물품이 안착되는 경우 상기 배송대상물품을 상기 제1 수취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1 수취 공간에 상기 반송대상 물품이 안착되는 경우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상기 제2 수취공간으로 이동시키는,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롤러부는,
    결합홈이 구비된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중공이 구비되고, 상기 중공의 둘레를 따라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부가 돌출 구비된 몰드부; 및
    상기 몰드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몰드부에 사출 성형된 패킹부;를 포함하는,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의 외주면에는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패킹부와의 결속력을 강화하는 적어도 하나의 언더컷이 구비되고,
    상기 언더컷은 상기 몰드부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 넓이가 감소하도록 구비되는,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패널은,
    상기 수취함을 상기 제1 수취 공간과 상기 제2 수취 공간으로 구획하고 일면에 기어이가 형성된 가림막;
    상기 물품 수취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외주면이 상기 기어이와 치합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림막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구동 기어; 및
    상기 물품 수취부에 구비되고 상기 구동 기어에 의해 상기 가림막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가림막이 수용되는 가림막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수취부의 내면에는 상기 가림막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슬릿이 돌출 형성된,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6. 배송대상 물품 또는 반송대상 물품이 적재되는 물품 보관부; 및
    상기 물품 보관부에 적재된 상기 배송대상 물품을 이송하거나 상기 물품 보관부로 상기 반송대상 물품을 전달하는 물품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 이송부는,
    물품 보관부의 상기 배송 대상 물품을 이송하는 제1 이송로봇; 및
    상기 제1 이송 로봇으로부터 상기 배송 대상 물품을 전달받아, 상기 배송 대상 물품을 전달하는 이송타워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타워는,
    승강 케이블;
    상기 승강 케이블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저면에 이송롤러가 구비된 승강기; 및
    상기 승강기가 소정 위치에 정지하는 경우 상기 이송롤러와 연속된 통로를 형성하는 수취함을 포함하고,
    상기 수취함은,
    상기 승강기로부터 상기 배송 대상 물품을 전달 받는 제1 수취부; 및
    상기 제1 수취부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수취부와 거주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수취부를 포함하는,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KR1020210020830A 2021-02-17 2021-02-17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KR102616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30A KR102616589B1 (ko) 2021-02-17 2021-02-17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30A KR102616589B1 (ko) 2021-02-17 2021-02-17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443A true KR20220117443A (ko) 2022-08-24
KR102616589B1 KR102616589B1 (ko) 2023-12-20

Family

ID=83111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830A KR102616589B1 (ko) 2021-02-17 2021-02-17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65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367B1 (ko) * 2022-08-30 2023-06-20 주식회사 다홈 수면용품 쇼케이스를 이용하여 판매자와 구매자의 직거래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4197A (ja) * 2003-02-17 2004-09-02 Hitachi Ltd 物流システム
KR20170079258A (ko) * 2015-12-30 2017-07-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이송 롤러 어셈블리
KR101917629B1 (ko) * 2017-09-05 2018-11-13 제갈헌 공동주택 반입물품 무인 전달 시스템
JP2020185191A (ja) * 2019-05-14 2020-11-19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宅配ボック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44197A (ja) * 2003-02-17 2004-09-02 Hitachi Ltd 物流システム
KR20170079258A (ko) * 2015-12-30 2017-07-10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이송 롤러 어셈블리
KR101917629B1 (ko) * 2017-09-05 2018-11-13 제갈헌 공동주택 반입물품 무인 전달 시스템
JP2020185191A (ja) * 2019-05-14 2020-11-19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宅配ボック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367B1 (ko) * 2022-08-30 2023-06-20 주식회사 다홈 수면용품 쇼케이스를 이용하여 판매자와 구매자의 직거래를 지원하는 플랫폼을 운영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6589B1 (ko) 202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163949B (zh) 连结空中运输的自主输送带
CN104590802B (zh) 快递件自动收发装置
US10954067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elivery of items from one container to another container in a hybrid environment
CN109422061B (zh) 公寓配送物品自动化系统
CN110902386B (zh) 一种基于社区型云服务的自动化物品运输系统
CN108974760B (zh) 物品输送装置及物品输送设备
US10589932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elivery of items from one container to another container
KR20220117443A (ko)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US11427405B1 (en) System and method of retrieving containers in a hybrid environment
US11097897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elivery of items from one container to another container via robot movement control to indicate recipient container
CN110751782A (zh) 一种自动货柜
CN111771205A (zh) 用于扫描rfid标记的物品的移动式高密度读取室
CN107758573A (zh) 吸取货柜内部货物的叉车
US20240017296A1 (en) Article 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multilevel sorter
KR20220117442A (ko)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KR20220117858A (ko) 비대면 물품 배송 시스템
CN216486613U (zh) 一种取货柜
KR102269503B1 (ko) 배송 물품 보관 스테이션
CN112897284A (zh) 一种楼层货物配送系统
JP7364684B2 (ja) ストッカ及びストッカシステム
CN210028804U (zh) 一种自动货柜
US11597596B1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an elevator system for mobile robots
CN210133566U (zh) 一种货物入户系统
US11905130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delivery of items from one container to another container using a suction attachment system
CN114408546B (zh) 基于物联网的快递智能配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