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2319A -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제작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작된 소프트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제작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작된 소프트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2319A
KR20220112319A KR1020210015227A KR20210015227A KR20220112319A KR 20220112319 A KR20220112319 A KR 20220112319A KR 1020210015227 A KR1020210015227 A KR 1020210015227A KR 20210015227 A KR20210015227 A KR 20210015227A KR 20220112319 A KR20220112319 A KR 20220112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piece
teeth
cover
soft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891B1 (ko
Inventor
정다이
Original Assignee
정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다이 filed Critical 정다이
Priority to KR1020210015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891B1/ko
Publication of KR20220112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2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20Post-treatment, e.g. curing, coating or pol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2018/2035Beam shaping or redirecting; Optical components therefor
    • A61B2018/20351Scanning mechanisms
    • A61B2018/20353Scanning in three dimensions [3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53Medical equipment;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04Biomedical image processing
    • G06T2207/30036Dent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Pulmon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제작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작된 소프트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소프트 마우스피스 제작방법은, 치과용 스캐너를 이용해 환자의 치아 및 잇몸을 스캐닝하는 스캐닝단계와; 상기 스캐닝단계를 통해 얻은 정보를 데이터화하는 데이터처리단계와; 상기 데이터처리단계를 통해 확보된 데이터를 기초로, 컴퓨터상에서, 환자의 치아 모양에 대응하는 마우스피스의 3차원 형상을 구현하는 치아 모델링단계와; 3D프린터를 이용해 실리콘을 재료로 삼아, 치아 모델링된 마우스피스를 제작하는 3D프린팅단계와; 3D프린팅단계를 통해 출력된 마우스피스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후처리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는, 칫수 정밀성이 뛰어나 치아(齒牙)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하고, 소프트한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얇고 이물감이 없으며 치아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Description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제작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작된 소프트 마우스피스{Method for manufacturing soft mouthpiece for teeth grinding patient and Soft mouthpiece manufactu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이갈이 환자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D프린팅 방식으로 성형 제작되므로 칫수 정밀성이 뛰어나 치아(齒牙)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하고, 소프트한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얇게 제작 가능하고 이물감이 거의 없으며 치아에 무리를 주지 않는,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제작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작된 소프트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수면 중 본인도 모르게 이를 갈거나 강하게 악무는 이갈이는, 수면장애의 일종으로서, 치아는 물론 턱관절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갈이의 원인은 다양하며, 가령, 스트레스나, 영양부족, 알러지나, 대사장애, 뇌질환 등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갈이가 계속되면, 치아가 점차 마모됨은 물론 치아 배열 자체도 틀어져 개방교합이나 안면비대칭에 이를 수 있고, 혀나 볼의 내측 점막에 압흔이 생기며, 턱관절에도 이상이 발생하여 퇴행성 골관절염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이외에도, 이갈이는 주변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는 소음을 발생한다. 가령 한 공간에서 여러 명이 수면을 취할 때, 한 사람이 이를 갈면, 이 가는 소리가 여러 사람의 숙면을 방해하는 것이다.
상기한 이갈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구로서, 수면 시 입에 무는 마우스피스가 알려져 있다. 마우스피스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며 자기 전에 윗니와 아랫니에 끼워 치아를 보호한다.
그런데 종래의 마우스피스는, 그 제작공정이 번거롭고 제작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갖는다. (제작 시간은 보통 일주일 이상 소요된다.) 이를테면, 마우스피스를 제작하기 위해, 고무나 알지네이트로 환자의 인상을 채득하고, 채득인상을 이용해 석고로 치아의 모양을 만든 후, 이를 기공소로 보내어 레진으로 마우스피스를 성형하고 후가공을 하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 마우스피스는 경질의 레진으로 제작되며 두께가 두꺼워, 착용 시 이물감이 크고 불편하다. 어린이의 경우 마우스피스를 착용한 상태로 잠자리에 들더라도, 수면 중 마우스피스를 무의식적으로 뱉어내는 경우가 많다.
이갈이 방지기구에 관한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13971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이갈이 방지 기구는, 사용자의 아래 앞니만 지지되는 제1지지부가 형성되고, 상면이 평평한 제1지지 부재; 사용자의 위 앞니만 지지되는 제2지지부가 형성되고, 하면이 평평한 제2지지 부재; 제1지지 부재에서 제1지지 부재의 상측으로 돌출된 제1걸림 부재; 제2지지 부재에서 제2지지 부재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제1걸림 부재에 걸리는 제2걸림 부재 및 제2걸림 부재를 사용자의 앞 또는 뒤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지지 부재와 제2지지 부재에 지지되는 사용자의 아랫니와 윗니의 앞뒤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 장치를 포함하고, 제1지지 부재의 앞부분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1가이드 프레임 및 제2지지 부재의 앞 부분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제2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13971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칫수 정밀성이 뛰어나 치아(齒牙)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하고, 얇고 이물감이 없으며 치아에 무리를 주지 않는,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제작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작된 소프트 마우스피스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제작방법은, 치과용 스캐너를 이용해 환자의 치아 및 잇몸을 스캐닝하는 스캐닝단계와; 상기 스캐닝단계를 통해 얻은 정보를 데이터화하는 데이터처리단계와; 상기 데이터처리단계를 통해 확보된 데이터를 기초로, 컴퓨터상에서, 환자의 치아 모양에 대응하는 마우스피스의 3차원 형상을 구현하는 치아 모델링단계와; 3D프린터를 이용해 실리콘을 재료로 삼아, 치아 모델링된 마우스피스를 제작하는 3D프린팅단계와; 3D프린팅단계를 통해 출력된 마우스피스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우스피스는; 윗니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접하는 벽부를 포함하며 윗니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윗니커버와, 아랫니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접하는 벽부를 가지며 아랫니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아랫니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모델링단계와 3D프린팅단계의 사이에 진행되는 과정으로서, 컴퓨터상에서, 상기 벽부의 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착용 시 잇몸을 커버할 수 있는 잇몸커버부를 추가하여, 출력된 마우스피스에 잇몸커버부가 형성되게 하는 잇몸 모델링단계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는, 치과용 스캐너를 이용해 환자의 치아 및 잇몸을 스캐닝하는 스캐닝단계와; 상기 스캐닝단계를 통해 얻은 정보를 데이터화하는 데이터처리단계와; 상기 데이터처리단계를 통해 확보된 데이터를 기초로, 컴퓨터상에서, 환자의 치아 모양에 대응하는 마우스피스의 3차원 형상을 구현하는 치아 모델링단계와; 3D프린터를 이용해 실리콘을 재료로 삼아, 치아 모델링된 마우스피스를 제작하는 3D프린팅단계와; 3D프린팅단계를 통해 출력된 마우스피스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후처리단계를 통해 제작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는, 윗니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접하는 벽부를 가지고, 치아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며, 3D프린터를 통해 실리콘으로 제작된 윗니커버와; 아랫니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접하는 벽부를 가지고, 치아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며 3D프린터를 통해 실리콘으로 제작된 아랫니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윗니커버 및 아랫니커버의 벽부에는, 착용 시 환자의 잇몸에 밀착 가능한 잇몸커버부가 더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벽부와 잇몸커버부의 사이에는, 벽부로부터 잇몸커버부를 절제할 때 사용하는 절제용노치가 더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는, 칫수 정밀성이 뛰어나 치아(齒牙)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하고, 소프트한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얇고 이물감이 없으며 치아에 무리를 주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소프트 마우스피스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마우스피스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마우스피스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마우스피스는, 실리콘을 3D프린팅 하여 제작되는 만큼 두께가 얇고 말랑말랑하다. 두께가 얇으므로 이물감이 적고 말랑말랑 하므로 치아의 부담이 적다.
종전의 레진으로 제작된 마우스피스는, 마우스피스 자체가 두껍고 경질이어서, 마우스피스가 치아의 움직임을 받아주지 못하여, 사용 중 치아의 부담이 있었고 저작근까지 피곤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마우스피스를 윗니나 아랫니에만 착용한 경우, 치아가 마우스피스와 마찰하여 마우스피스가 깨지거나 스크래치가 발생하기도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마우스피스 제작방법은, 스캐닝단계(101), 데이터처리단계(103), 치아 모델링단계(105), 잇몸 모델링단계(106), 3D프린팅단계(107), 후처리단계(109)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작방법은, 3D프린팅 기술을 적용한 것으로서 마우스피스의 총 제작시간은 몇 시간 정도 소요될 뿐이다. 종전에 일주일 이상 소요되던 제작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스캐닝단계(101)는, 치과용 스캐너를 이용해 환자의 치아 및 잇몸을 스캐닝 하는 과정이다. 스캐너 자체는 치과의사에 의해 다루어지는 일반적인 촬영 장비이다. 스캐너가 촬영한 내용은, 스캐너 장비 자체의 소프트웨어를 통해 모니터에 일차적으로 또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의사는 모니터를 통해, 현재 스캐닝 되고 있는 치아와 잇몸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단계(103)는, 스캐닝단계를 통해 얻은 영상 정보를 데이터화하는 단계이다. 데이터처리단계(103)를 통해, 스캔 영상 정보가, 3D프린터를 구동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편집 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치아 모델링단계(105)는, 데이터처리단계(103)를 통해 확보된 데이터를 기초로, 컴퓨터상에서, 환자의 치아 모양에 대응하는 마우스피스의 3차원 형상을 구현하는 과정이다. 말하자면,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도 2에 도시한 마우스피스(10)의 모양을 구현하는 것이다. (도 2에는, 설명의 편의상, 아랫니커버(30)가 절제 사시도로 표현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절제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피스(10)는 윗니커버(20)와 아랫니버(30)로 구성된다. 도 2에서는 윗니커버(20)와 아랫니커버(30)를 모두 나타내었으나,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 윗니커버(20)만 필요하다거나 아랫니커버(30)만 필요할 경우, 즉, 윗니커버(20)나 아랫니커버(30)만 제작할 경우에는, 윗니커버나 아랫니커버만 모델링한다.
3D프린터는, 모델링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하여, 컴퓨터 모니터에 구현된 모양 그대로를 출력한다.
잇몸 모델링단계(106)는, 컴퓨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된 벽부(도 4의 23a)의 단부에 잇몸커버부(25,27)를 추가하는 과정이다. 벽부에 잇몸커버부를 추가함으로서, 실제 제작되는 제품, 즉 윗니커버(20)와 아랫니커버(30)에는 잇몸커버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잇몸 모델링단계(106)도 치아 모델링단계(105)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스캐닝단계(101)를 통해 채득된 잇몸 정보를 데이터처리하고, 데이터 정보를, 모델링 전용 소프트웨어로 구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치아 모델링단계(105)와 잇몸 모델링단계(106)를 따로 진행하는 이유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잇몸커버부가 필요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잇몸커버부(25,27)가 굳이 필요 없는 환자용 마우스피스의 제작 단계는, 치아 모델링단계(105) 후 3D프린팅단계(107)로 바로 넘어간다. 이에 비해 잇몸커버부가 필요한 환자용 마우스피스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치아 모델링단계(105)와 잇몸 모델링단계(106)를 순차 진행한 후 3D프린팅단계(107)를 진행한다. 잇몸커버부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3D프린팅단계(107)는, 3D프린터를 이용해 실리콘을 재료로 삼아, 마우스피스를 실제 제작하는 과정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마우스피스(10)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다. 3D프린터의 프린팅 원료로서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다. 실리콘을 원료로 사용하므로, 윗니커버(20)나 아랫니커버(30)의 두께를 (최소한 레진에 비해) 얇게 제작할 수 있어 착용감이 양호하다. 또한 실리콘 자체의 말랑말랑한 물성에 의해 치아의 부담이 (레진으로 만들어진 마우스피스에 비해) 훨씬 적다.
이어지는 후처리단계(109)는, 3D프린팅단계를 통해 출력된 마우스피스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가령, 출력물의 표면에 남아 있는 필요 없는 잔류 부분을 없애고, 표면을 매끄럽게 가공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소프트 마우스피스(10)의 일부 절제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b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마우스피스(10)는, 윗니커버(20)와 아랫니커버(30)를 포함한다. 윗니커버(20)는 환자의 윗니에 끼우는 것이고, 아랫니커버(30)는 아랫니에 끼우는 것이다. 이러한 윗니커버(20) 및 아랫니커버(30)는 실리콘으로 프린팅 된 것으로서, 실리콘 자체의 탄성을 갖는다. 말하자면 말랑말랑하여 물었을 때 들어가고 외력을 제거하면 원상 복원되는 것이다. 또한, 도 3a에 화살표로 도시한 것처럼, 착용을 시작할 때 입구부분이 벌어졌다가 착용 완료 후 다시 좁아져 탄력적 착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윗니커버(20)는, 윗니의 안쪽면과 바깥쪽에 밀착하는 벽부(23a)와, 벽부(23a)의 하단에 일체를 이루며 윗니의 하단면(음식물을 씹는 면)을 커버하는 완충부(23b)를 갖는다. 완충부(23b)는 윗니와 아랫니의 교합 시 탄성 변형되며 충격을 감쇄한다. 상기 구조를 갖는 윗니커버(20)의 공간부(20a)에 윗니를 끼움으로서 윗니커버(20)의 작용이 이루어진다.
아랫니커버(30)는, 환자의 아랫니에 끼우는 것으로서, 아랫니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접하는 벽부(33a), 벽부의 상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아랫니의 상면을 커버하는 완충부(33b)를 갖는다. 아랫니커버(30)의 공간부(30a)에 아랫니를 끼움으로서 아랫니커버의 장착이 완료된다.
윗니커버(20) 및 아랫니커버(30)에 있어서, 벽부(23a,33a)와 완충부(23b,33b)의 두께도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적용은 데이터처리단계(103)와 치아모델링단계(105) 시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 가능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마우스피스(10)의 변형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윗니커버(20)의 양측 벽부(23a) 상단에 잇몸커버부(25,2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윗니커버의 내측 벽부(윗니의 내측면에 접하는 벽부)에 연결되는 잇몸커버부(25)는 입천장이 위치한 방향에, 외측 벽면 상단에 연결되는 잇몸커버부(27)는 입술쪽 방향에 위치한다.
이러한 잇몸커버부(25,27)는, 벽부(23a) 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며 잇몸에 밀착한다. 잇몸커버부(25,27)는 공간부(20a)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윗니커버(20)의 장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이를테면, 수면 시 사용자가 이를 갈더라도 윗니커버(20)가 벗겨지지 않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양측 벽부(23a)와 잇몸커버부(25,27)의 사이에는 절제용노치(23e)가 마련되어 있다. 절제용노치(23e)는, 잇몸커버부(25,27)가 필요 없을 때, 잇몸커버부(25,27)를 찢어내기 위한 절제선이다.
또한 잇몸커버부(25,27) 자체에도, 다수의 절제용노치(25a,27a)가 형성되어 있다. 절제용노치(25a,27a)는 잇몸커버부(25,27)의 넓이를 조절하기 위해 찢어내는 부분이다. 말하자면, 잇몸커버부(25,27)의 넓이가 필요에 비해 넓을 경우, 절제용노치(25a,27a) 중 일부를 찢어내어 환자의 잇몸 사이즈에 최적화 시키는 것이다.
도 4에는 윗니커버(20)에 잇몸커버부(25,27)가 적용된 것을 설명하였지만, 잇몸커버부는 아랫니커버(30)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프트 마우스피스(10)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는 윗니커버(20)만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아랫니커버(30)만 장착하거나, 윗니커버(20)와 아랫니커버(30)를 모두 장착할 수 있음은 위에 설명한 바와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윗니커버(20)의 완충부(23b)가, 윗니(51)와 아랫니(53)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윗니커버(20)는 실리콘으로 제작되며 탄성 변형 가능하므로, 환자가 수면 중 이를 세게 물 경우, 완충부(23b)가 화살표 z방향으로 수축하며, 윗니와 아랫니의 부담을 경감시킨다.
종전의 레진으로 제작된 마우스피스는, 딱딱한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이를 악물때의 힘이 그대로 치아와 잇몸으로 전달되고, 이러한 습관이 오래되면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고 저작근 등의 얼굴 근육에 힘이 들어가게 된다. 마우스피스를 착용하나 마나 한 것이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마우스피스 20:윗니커버 20a:공간부
23a:벽부 23b:완충부 23e:절제용노치
25:잇몸커버부 25a:절제용노치 27:잇몸커버부
27a:절제용노치 30:아랫니커버 30a:공간부
33a:벽부 33b:완충부 51:윗니
53:아랫니

Claims (5)

  1. 치과용 스캐너를 이용해 환자의 치아 및 잇몸을 스캐닝하는 스캐닝단계와;
    상기 스캐닝단계를 통해 얻은 정보를 데이터화하는 데이터처리단계와;
    상기 데이터처리단계를 통해 확보된 데이터를 기초로, 컴퓨터상에서, 환자의 치아 모양에 대응하는 마우스피스의 3차원 형상을 구현하는 치아 모델링단계와;
    3D프린터를 이용해 실리콘을 재료로 삼아, 모델링된 마우스피스를 제작하는 3D프린팅단계와;
    3D프린팅단계를 통해 출력된 마우스피스의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는,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제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피스는;
    윗니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접하는 벽부를 포함하며 윗니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윗니커버와,
    아랫니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접하는 벽부를 가지며 아랫니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는 아랫니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치아 모델링단계와 3D프린팅단계의 사이에 진행되는 과정으로서, 컴퓨터상에서, 상기 벽부의 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착용 시 잇몸을 커버할 수 있는 잇몸커버부를 추가하여, 출력된 마우스피스에 잇몸커버부가 형성되게 하는 잇몸 모델링단계가 더 포함되는,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제작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작방법에 의해 제작된,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4. 윗니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접하는 벽부를 가지고, 치아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며, 3D프린터를 통해 실리콘으로 제작된 윗니커버와;
    아랫니의 안쪽면과 바깥쪽면에 접하는 벽부를 가지고, 치아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제공하며 3D프린터를 통해 실리콘으로 제작된 아랫니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윗니커버 및 아랫니커버의 벽부에는, 착용 시 환자의 잇몸에 밀착 가능한 잇몸커버부가 더 형성된,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와 잇몸커버부의 사이에는, 벽부로부터 잇몸커버부를 절제할 때 사용하는 절제용노치가 더 형성된,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KR1020210015227A 2021-02-03 2021-02-03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KR102567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227A KR102567891B1 (ko) 2021-02-03 2021-02-03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227A KR102567891B1 (ko) 2021-02-03 2021-02-03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2319A true KR20220112319A (ko) 2022-08-11
KR102567891B1 KR102567891B1 (ko) 2023-09-18

Family

ID=8280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227A KR102567891B1 (ko) 2021-02-03 2021-02-03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7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3123582A1 (de) 2022-09-05 2024-03-07 Lg Display Co., Ltd. Vorrichtung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493B1 (ko) * 2013-11-05 2015-03-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에 피착되는 가철식 덴탈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506476B1 (ko) * 2014-11-03 2015-03-27 이진균 교정기 제조용 치아 데이터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투명 교정기를 제작하는 방법
KR101713971B1 (ko) 2016-06-28 2017-03-08 김운환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KR20170124191A (ko) * 2016-05-02 2017-11-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9381A (ko) * 2019-03-25 2020-10-20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치과적 기구물 제조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02863B1 (ko) * 2020-08-05 2021-01-14 (주)티에네스 악정형 기능을 겸비한 치아 교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493B1 (ko) * 2013-11-05 2015-03-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아에 피착되는 가철식 덴탈기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506476B1 (ko) * 2014-11-03 2015-03-27 이진균 교정기 제조용 치아 데이터 생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투명 교정기를 제작하는 방법
KR20170124191A (ko) * 2016-05-02 2017-11-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 교정용 마우스피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713971B1 (ko) 2016-06-28 2017-03-08 김운환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KR20200119381A (ko) * 2019-03-25 2020-10-20 주식회사 리더스덴탈 치과적 기구물 제조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02863B1 (ko) * 2020-08-05 2021-01-14 (주)티에네스 악정형 기능을 겸비한 치아 교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3123582A1 (de) 2022-09-05 2024-03-07 Lg Display Co., Ltd. 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7891B1 (ko) 202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831B2 (en) Lip closing tool
US9204713B2 (en) Process and resulting product for matching a mouthpiece for cleaning teeth to a user's oral geometry
EP0559720B1 (en) Device to reduce or prevent night clenching and grinding of the teeth and snoring
EP3388018B1 (en) Mandible teeth fixing oral device
TWI704909B (zh) 具有開放式咬合面的口腔內吞嚥訓練輔具及其製造方法
KR102053985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기구
WO2016117496A1 (ja) 口腔内装着具
KR102567891B1 (ko) 이갈이 환자용 소프트 마우스피스
CN113692263A (zh) 牙科器具
US20190282334A1 (en) Invisible plastic teeth brace for orthodontics
KR20190069653A (ko) 구강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3478B1 (ko) 마우스 가드
CN107149506A (zh) 一种预防儿童龋齿的涂氟装置及其制作方法
KR102022370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방지기구
US20160074207A1 (en) Oral appliance
JP7064045B1 (ja) マウスピース
JP7237288B1 (ja) 治療用マウスピース
WO2016007085A1 (en) Orthodontic aligners
JP7269688B1 (ja) マウスガード
JP5240882B1 (ja) 口呼吸防止具
JP2593925Y2 (ja) 顔面整形具
JP2022168579A (ja) 睡眠時無呼吸症候群の症状改善用マウスピース
WO2024095799A1 (ja) マウスガード
KR102566186B1 (ko) 미용 치아 커버 및 이의 제조 방법
CN218356412U (zh) 一种带有透气孔的正畸牙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