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361A -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361A
KR20220111361A KR1020210014506A KR20210014506A KR20220111361A KR 20220111361 A KR20220111361 A KR 20220111361A KR 1020210014506 A KR1020210014506 A KR 1020210014506A KR 20210014506 A KR20210014506 A KR 20210014506A KR 20220111361 A KR20220111361 A KR 2022011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unit
cargo
route
transpor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449B1 (ko
Inventor
김병노
Original Assignee
김병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노 filed Critical 김병노
Priority to KR102021001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44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2Adjustment or analysis of established resource schedule, e.g. resource or task levelling, or dynamic reschedu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4Choice of carriers
    • G06Q10/08345Pr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 의뢰자가 화물 운송에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오더를 생성하는 오더 생성부(21), 생성된 오더에 의한 화물의 운송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운송과정 모니터링부(22), 생성된 오더에 의해 화물 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자의 정보를 접수하는 운송자 정보접수부(23), 및 오더에 의한 화물 운송이 종료되었음을 수신하는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포함하고, 화물주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화물주 단말기(20); 복수의 운송자들이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는 회원 등록부(11-1)와,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설정부(11-2), 및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하는 운송요금 산출부(11-3)를 포함하는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 오더 생성부(21)로부터 송출된 오더를 접수하는 오더 접수부(12), 접수된 오더 중 문자 오더를 음성 오더로 전환하는 음성 전환부(13), 오더 접수부(12)에서 접수된 오더 중 음성 오더와 상기 전환한 음성 오더를 송출하는 음성 송출부(14),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는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 및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여 오더 종결처리하는 오더종결 처리부(16)를 포함하고, 운송자를 선정하며 화물주 단말기(20)와 통신하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 및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설정되는 운송노선을 계획하는 운송노선 계획부(31), 음성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수신하여 오더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신호로 송신하는 오더수락 결정부(32),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수락 결정부(32)로부터 오더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를 송신하는 오더종결 보고부(33)를 포함하고, 화물의 운송을 위한 차량을 소유하는 운송자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운송자 단말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FREIGHT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LOGISTICS FLOW}
본 발명은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 의뢰자가 화물 운송에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오더를 생성하는 오더 생성부(21), 생성된 오더에 의한 화물의 운송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운송과정 모니터링부(22), 생성된 오더에 의해 화물 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자의 정보를 접수하는 운송자 정보접수부(23), 및 오더에 의한 화물 운송이 종료되었음을 수신하는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포함하고, 화물주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화물주 단말기(20); 복수의 운송자들이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는 회원 등록부(11-1)와,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설정부(11-2), 및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하는 운송요금 산출부(11-3)를 포함하는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 오더 생성부(21)로부터 송출된 오더를 접수하는 오더 접수부(12), 접수된 오더 중 문자 오더를 음성 오더로 전환하는 음성 전환부(13), 오더 접수부(12)에서 접수된 오더 중 음성 오더와 상기 전환한 음성 오더를 송출하는 음성 송출부(14),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는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 및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여 오더 종결처리하는 오더종결 처리부(16)를 포함하고, 운송자를 선정하며 화물주 단말기(20)와 통신하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 및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설정되는 운송노선을 계획하는 운송노선 계획부(31), 음성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수신하여 오더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신호로 송신하는 오더수락 결정부(32),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수락 결정부(32)로부터 오더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를 송신하는 오더종결 보고부(33)를 포함하고, 화물의 운송을 위한 차량을 소유하는 운송자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운송자 단말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전의 화물 운송시스템에 있어서는, 화물 운송시의 출발지는 운송자의 현재 위치 부근에서 할 수 있으나 목적지는 운송자의 기대와는 다른 방향으로 화물 운송이 요구될 때가 많았다.
따라서, 차고지나 연고지로 복귀하기 위해서 어떤 화물차는 부산에서 공차로 서울로 올라오는 차도 있는가 하면 또 어떤 차는 반대로 서울에서 부산으로 공차로 내려오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에 사전에 미리 계획 노선을 설정하는 운송자 정보접수부가 없기 때문이다.
화물 운송 오더에 대한 수락여부 문의의 접수 방식도 하기와 같이 비체계적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즉, 화물 의뢰자가 화물의 운송을 의뢰하면 그때 비로소 화물 운송자들에게 화물 운송 오더에 대한 수락여부 문의에 대한 문자 알림이 전송되고 그때 화물 운송자들은 문자 알림 찬스를 놓치지 않을려고 안전운전에 주의를 기울이기보다 전송된 문자 알림에 의한 화물 운송 오더에 대한 수락여부 문의에 대한 결정 및 오더 통지를 더 우선시하느라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먼저 결정 및 오더 통지부터 해놓고 보자는 식의 행위로 인하여 어쩔수없이 먼 거리를 빨리 달려오는 운송자의 화물차도 있고 심지어는 달려오다가 더 좋은 화물 운송 오더가 나오면 중도에 포기하는 사례도 많다. 이는 마치 신호등 없는 사거리에서 진입부터 먼저하고 보자 식의 무질서한 운행 형태와 유사하다.
이러한 비체계적인 시스템으로 인한 결과로 공차 운행이 많았고 그로 인해 미세먼지 유발과 시간과 운송비용 등의 경제적 낭비가 많이 있었다.
더욱 심각하게는 문자로 전송되는 화물 운송 오더를 보고 화물 운송 오더에 대한 수락여부 문의에 대한 결정 및 오더 통지를 하느라 안전운전에 심대한 지장을 주는 사례도 빈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거래가 빈번하지 않은 화물주가 주선사로 화물의뢰를 해오면 지나치게 높은 요금을 징수하고 높게 책정된 요금 부분은 주선사 수수료로 공제하고 운송자 에겐 보편화된 요금만 제공하는 사례도 빈번한 사실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86935호 "물류 정보 흐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3511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운송자가 운송노선을 설정할 때 또는 먼저 운송노선을 설정을 해두고 있을 때 화물주가 화물오더를 미리 접수해 두었거나 또는 접수하는 과정상에 있는 화물오더 중에서 운송자가 계획한 운송노선과 일치하는 운송자에게 만 수락여부를 문의하고 운송자가 수락을 결정하면 그때부터 운송이 개시되기 때문에 공차 운행은 감소하고 그로 인해 미세먼지 유발과 운송비용 등의 경제적 낭비는 절감되며, 투명하고 합리적인 화물운송 체계 구축으로 경제적인 이익을 극대화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해결과제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 운송 오더가 음성으로 송출되고 수락여부도 음성으로 결정됨으로서 운송자가 안전에 집중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해결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은 다음과 같다.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 의뢰자가 화물 운송에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오더를 생성하는 오더 생성부(21), 생성된 오더에 의한 화물의 운송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운송과정 모니터링부(22), 생성된 오더에 의해 화물 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자의 정보를 접수하는 운송자 정보접수부(23), 및 오더에 의한 화물 운송이 종료되었음을 수신하는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포함하고, 화물주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화물주 단말기(20); 복수의 운송자들이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는 회원 등록부(11-1)와,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설정부(11-2), 및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하는 운송요금 산출부(11-3)를 포함하는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 오더 생성부(21)로부터 송출된 오더를 접수하는 오더 접수부(12), 접수된 오더 중 문자 오더를 음성 오더로 전환하는 음성 전환부(13), 오더 접수부(12)에서 접수된 오더 중 음성 오더와 상기 전환한 음성 오더를 송출하는 음성 송출부(14),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는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 및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여 오더 종결처리하는 오더종결 처리부(16)를 포함하고, 운송자를 선정하며 화물주 단말기(20)와 통신하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 및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설정되는 운송노선을 계획하는 운송노선 계획부(31), 음성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수신하여 오더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신호로 송신하는 오더수락 결정부(32),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수락 결정부(32)로부터 오더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를 송신하는 오더종결 보고부(33)를 포함하고, 화물의 운송을 위한 차량을 소유하는 운송자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운송자 단말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더 접수부(12)는,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는 화물정보 접수부(12-1); 및 오더가 전화를 통해 음성으로 접수되었을 경우 음성을 표준화된 문자 정리표로 정리하여 나타내는 표준문자 정리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더 접수부(12)는,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부(12-2); 및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상기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으로 물류 흐름을 개선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으로서, 운송자 본인이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 운송노선을 계획하여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의 회원 등록부(11-1)와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각각 회원 등록을 하고 운행하고자 하는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의 복수의 운송노선으로 직접 설정하는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S1); 오더 생성부(21)에서 송출된 화물주의 오더를 오더 접수부(12)를 통해 접수하는 오더 접수단계(S2); 오더 접수단계(S2)에서 접수된 오더를 음성 전환부(13)에서 음성으로 전환하여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하는 오더 송출단계(S3);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가 복수의 운송자의 설정 운송노선 중에서 거리상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가장 가까운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를 선정하는 운송자 선정단계(S4);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된 오더의 수락 여부를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결정하는 오더 수락여부 결정단계(S5);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종결 보고부(33)에서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가 통지되고, 선정된 운송자가 오더를 실행하는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송자 선정단계(S4)에서는, 출발지로부터 5km 반경 이내 동일 운송노선을 설정한 복수의 운송자가 있을 때에는 운송노선 예약 설정을 먼저 한 운송자에게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하고 출발지로부터 5km 이상의 반경 내에 동일 운송노선을 설정한 복수의 운송자가 있을 때에는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최근접 거리에 있는 운송자에게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오더 접수단계(S2)는,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는 화물정보 접수부(12-1)에서 상기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하는 화물정보 접수단계(S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더 접수단계(S2)는,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부(12-2)에서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단계(S2-2); 및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에서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단계(S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운송자 본인이 운행을 하고져 하는 계획 노선을 1,2,3,4 단계로 직접 설정하는 단계로서, 운송자는 운송자의 단말기를 통해 주선사 서버 시스템 노선 설정부에 출발지와 목적지를 포함한 노선 예약을 설정 하는 단계로 반드시 출발지는 단수 이어야 하고 도착지는 방향을 각기 달리한 2개의 방향으로 도착지를 설정을 하고 혹시 설정한 노선이 단시간에 수락이 안 될 경우를 대비 도착지를 전국이라고 설정하거나 또는 60km 이내라는 좁은 영역을 설정을 하는 4단계 까지 희망 노선을 설정하는 단계를 가지므로 우선적으로 희망 경로로 운송을 하게 되거나 최종 수단에 의해 종전의 방식과 같은 도착지를 특정할 수 없는 경로로 최소한 선택은 이루어지게 되고, 운송자가 직접 계획 노선을 설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4단계로 도착지 방향성을 설정하는 단계도 있고, 또 시간대를 더 상세하게는 현재의 위치에서 바로 노선 설정이 가능한 현재노선 설정 단계와 또 현재 운송이 진행 중인 화물의 도착지로 부터 회귀 노선 예약을 미리 계획 할 수 있는 부분도 포함이 되는 오늘 중 특정 시간대에 맞추어 노선을 계획 할 수 있는 당일 노선 설정 단계도 함께 주어지며 금일 이후 내일 예약 노선 설정도 가능하게 하는 명일 예약 노선 설정 단계도 부여하는 단계를 갖지며, 즉 도착지 방향성 설정 4단계와 시간대로 설정 가능한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화물정보를 음성으로 송출하고 간단한 약어 음성으로 콜을 건텍하는 단계로서, 화물 주선사 운영서버 시스템은 화물 의뢰자로 부터 접수된 문자 화물정보를 음성으로 전환하고 GPS 위치정보 확인 시스템에 의해 복수의 운송자들 중에 화물주와 가장 근접 거리에 있는 운송자 에게 전환된 음성 화물정보를 운송자 단말기로 문자와 음성으로 동시에 송출되게 하는 구성 요소를 가지고 전화 접수일 경우 음성을 표준화된 문자 정리표로 먼저 정리를 하고 다시 음성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거처 운송자에게 음성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포함하고,
운송자 단말기를 통해 음성으로 화물 음성정보가 송출이 되면 운송자는 단말기상에서 주선사 서버 시스템에 음성으로 yes 또는 no로서 콜을 결정하는 단계를 구성하고 이때 운송자의 콜 컨텍은 일반 대화 과정에서 흔히 사용하지 않는 간략화 된 약어를 사용하여 일반 음성과 혼선을 방지하고 간편성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주선사 운영서버상에서 운송자가 운송노선을 계획하고 화물주가 화물정보를 접수하는 과정에서 요금산출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져 화물을 운송하고자하는 운송자 와 화물을 의뢰하는 화물주간 직거래 운송 중계도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출발지와 경유지 추가 오더를 효율적이고 순조롭게 접수하는 단계에 있어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송을 수행하고 최초 주 오더 운송 시간을 지나치게 지연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출발지 주변 추가 오더와 경유지 주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범위를 제한하고 한정 하여야 하는데 그 범위 설정 방법은, 출발지 주변 추가 오더 접수 가능 범위는 최초 접수 오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총 거리에 20% 내에 거리에서 접수되는 화물과 1시간 거리에 해당하는 60km 거리 이내에서 주선사 운영서버 화물 정보 접수부로 접수되는 화물에 대해서만 가능하고,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 역시 주 오더 도착지로 부터 총 잔여 거리에 20%를 적용하며, 상기의 설정 범위는 상황에 따라 달리 할 수도 있는데, 실시의 예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총 500km이라면 서울에서 주변 오더 추가 수집이 가능한 반경은 100km 내지 60km가 되며, 즉 서울 전 지역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출발지에서 도착지 주변으로 운송을 할 수 있는 범위도 제한하여야 하는데 이때도 총 거리에서 20%와 60km 설정하게 되며 즉 부산 전 지역이 해당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출발지와 도착지 반경은 넓고 경유지는 목적지에 가까울수록 범위가 좁아지게 되어 추가 오더 접수로 인한 지나친 시간 지연 사례를 제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업무의 연속성과 편리성 추구를 위하여 출발지 자동 등록 기능이 부과되는 단계로서, 운송자가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여 오더를 종결하고 종결 보고를 하면 새로운 오더를 접수받거나 새롭게 계획 노선을 설정할 수 있는데 업무 종결 보고를 하고 출발지와 도착지를 재설정 하지 않을 경우 최종 도착지는 자동으로 출발지가 되어지고 도착지의 한정된 반경 내에서 단거리 운송 오더를 접수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오더 접수 가능한 범위는 선행 오더의 총 거리의 20% 이내 범위 또는 60km 이내 거리로 자동 설정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의 실시의 예를 적용하게 되면 도착지 주변 도시에서 단거리 운송을 하다가 차고지나 연고지로 복귀하는 회귀 노선에 대한 오더를 폭넓게 접수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일과 시간을 폭 넓게 활용하는 방법을 도모해 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장거리 운송자에 대한 회귀 경로 사전 예약 권리 부여 단계로서, 장거리 운송자는 목적지 도착 시간을 추정하여 미리 동일 노선 경로로 회귀하는 노선에 대한 예약을 하는 권리도 당일 노선 설정 단계에 접속하여 부여받을 수 있는데 예약 성공율 확장 차원에서 출발지에서 출발 보고와 함께 미리 예약 설정을 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순조로운 운송체게 정립을 위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총 거리에 시속 70km 이내에 해당하는 시간에서 하차 1시간을 더하고 운송 시간 2시간에 20분 휴식 시간을 더해서 합산을 한 총 시간 이후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거나 또 다른 방식에 의한 정양적 거리를 기준으로 100km 이내는 2시간 이후 부터, 200km 이내는 4시간 이후 부터, 300km 이내는 6시간 이후 부터 등 100km 증가에 2시간을 더 감안한 여유시간을 적용하여 정해질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정양적 부분은 조정되어도 무방한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대도시 간 소형 화물운송 차량 간 중간지점 화물 맞교환 릴레이 운송을 실현화하는 단계로서, 도시와 도시간에 상호 교차 운송이 실현되고 있는 경우가 아주 많은데, 즉 어떤 차는 서울에서 인천으로 가고 있고 반대로 인천에서 서울로 가는 화물 차도 있으며, 운송 주선사 GPS 연동 서버 시스템에 의해 상호 경로와 위치가 파악되고, 이때 화물 차주 간 의사 표명이 사전에 주선사로 요청되어 있었다면 특정의 중간 지점에서 상호 맞교환 릴레이 중계 운송이 가능해 지며, 이때 상호 거리 만큼 가산하여 요금을 조정하면 굳이 중간 지점이 아니어도 실현이 가능해지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운송자의 계획적인 화물 운송이 이루어지므로 공차 운행은 감소하고 그로 인해 미세먼지 유발은 줄어들고 시간과 운송비용 등의 경제적 낭비도 절감되며, 상호 공지된 운송요금 체계로 투명하고 합리적인 화물운송 문화가 정착이 되며, 특히 운송자는 차고지나 연고지로 복귀율이 높아져 생활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사회적 기본 요소인 가정에서 가정생활이 윤택해지며, 타지에서 주차, 숙식 등의 문제점이 많이 개선되어 삶의 질이 향상되는 것을 기본으로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물 운송 오더가 음성으로 송출되고 운송자도 음성으로 콜을 수락결정 하게 되므로 운송자가 안전운전에 집중을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사고 발생 시 교통 혼잡 등의 사회적 폐해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물류흐름개선용 화물 운송 수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을 통하여 주선사 운영서버가 자동 시스템화가 가능해져 차주와 화주 간 직거래가 가능해지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운송노선 정보접수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오더 접수부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서 추가 오더 접수부와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숩부가 추가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화물 맞교환 릴레이운송 실현화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의 오더접수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출발지 자동등록기능 부과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대도시 단거리 시내운송노선 설정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실시예의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운송노선 정보접수부의 상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오더 접수부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서 추가 오더 접수부와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숩부가 추가된 다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은,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은, 화물주 단말기(20),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 및 운송자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상기 화물주 단말기(20)는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 의뢰자가 화물 운송에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오더를 생성하는 오더 생성부(21), 생성된 오더에 의한 화물의 운송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운송과정 모니터링부(22), 생성된 오더에 의해 화물 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자의 정보를 접수하는 운송자 정보접수부(23), 및 오더에 의한 화물 운송이 종료되었음을 수신하는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오더 생성부(21)에 의해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 의뢰자가 화물 운송에 관한 오더를 발주하고, 운송자 정보접수부(23)를 통하여는 생성된 오더에 의해 화물 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자의 정보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하며, 운송과정 모니터링부(22)를 통해서는 생성된 오더에 의한 화물의 운송과정을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해지며 운송자가 운송 종료와 함께 운송자 단말기(30) 상에서 주선사 운영서버 오더종결 처리부(16)로 운송 종료보고를 하면 화물주의 단말기(20)의 오더종결 수신부(24)로 통지가 되므로 운송 종료가 되었음을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는, 복수의 운송자들이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는 회원 등록부(11-1)와,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설정부(11-2), 및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하는 운송요금 산출부(11-3)를 포함하는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 오더 생성부(21)로부터 송출된 오더를 접수하는 오더 접수부(12), 접수된 오더 중 문자 오더를 음성 오더로 전환하는 음성 전환부(13), 오더 접수부(12)에서 접수된 오더 중 음성 오더와 상기 전환한 음성 오더를 송출하는 음성 송출부(14),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는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 및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여 오더 종결처리하는 오더종결 처리부(16)를 포함하고, 운송자를 선정하며 화물주 단말기(20)와 통신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운송회원 등록부(11)에 회원으로 가입한 운송자에 의해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의 운송노선 설정부에서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예약 설정이 이루어지므로 이처럼 운송노선 예약 설정이 이루어진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의 운송노선 중 화물주가 원하는 일자의 시간대에 해당하는 운송노선을 화물주가 화물주 단말기(20)를 통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오더 접수부(12)에서는 오더 생성부(21)로부터 생성된 오더를 접수하며, 음성 전환부(13)에서는 접수된 오더가 문자인 경우 이러한 문자를 음성으로 전환하고, 음성 송출부(14)에서는 오더 접수부(12)에서 접수된 오더 중 음성 오더와 상기 전환한 음성 오더를 송출하며, 이에 운송자가 오더수락 결정부(32)를 통해 송출된 오더에 대해 음성으로 수락 결정을 하면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에서는 운송자 정보를 화물주 단말기(20)의 운송자 정보접수부(23)에 제공하고 이후 운송 업무는 운송자에 의해 개시가 되고 운송을 종료하게 되면 운송자는 오더종결 보고부(33)을 통해 오더종결 처리부(16)로 보고를 하면 화물주는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통하여 결과를 받게 되고 이로서 모든 운송 업무는 종결되어진다.
복수의 운송자들이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의 예로는,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현재의 위치로부터 반경 60km 범위 내 현재 위치에서 바로 운송노선 설정이 가능한 것과, 현재 운송이 진행 중인 목적지로부터 회귀 노선 예약을 미리 계획할 수 있는 것, 현재 바로 운송노선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 중 특정 시간대에 맞추어 운송노선을 계획할 수 있는 것, 및 금일 운송 업무 종료 이후 내일 예약 운송노선 설정을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운송자는 목적지 도착 시간을 추정하여 미리 동일 노선 경로로 회귀하는 운송노선에 대한 설정도 가능한데, 이러한 설정은 오늘 중 특정 시간대에 맞추어 운송노선을 계획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며 예약 설정 성공율 확장 차원에서 출발지에서 출발 보고와 함께 미리 예약 설정을 할 수 있게 된다. 만약에 미리 화물오더를 생성하는 화물주가 있다면 운송자의 화물 운송차가 출발하는 순간부터 오더 접수가 가능해 진다, 이러한 운송체계 확장을 위해 화물 운송차의 출발 수 시간 전에 미리 예약을 하는 화물주에게는 시간 낭비와 공차 운행을 최소화해 준 인센티브적 할인율을 적용해주어 이익을 도모해 주고, 운송자는 차기 운송이 섭외되지 않아 복잡한 도심에서 노심초사 기다림이 없게 되는 선 순환적 형태가 점점 확장 구축 되어지게 된다.
운송자 단말기(30)는, 화물의 운송을 위한 차량을 소유하는 운송자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고,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설정되는 운송노선을 계획하는 운송노선 계획부(31), 음성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수신하여 오더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신호로 송신하는 오더수락 결정부(32),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수락 결정부(32)로부터 오더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를 송신하는 오더종결 보고부(33)를 포함한다. 운송자 단말기(30)는 화물의 운송을 위한 차량을 소유하는 운송자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고 있어서, 오더수락 결정부(32)는 음성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수신하여 오더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신호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고, 오더종결 보고부(33)에서는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수락 결정부(32)로부터 오더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오더종결 처리부(16)로 오더 종결 보고를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후 화물주는 오더종결 수신부(24)에서 오더종결 수신부(24)로부터 송신되는 오더 종결 보고를 받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운송자는,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방향을 각기 달리한 2개의 방향으로 도착지를 설정하는 제1 운송노선 및 제2 운송노선과, 설정한 제1, 2 운송노선이 단시간에 수락이 안 될 경우를 대비하여 도착지를 전국으로 설정하는 제3 운송노선, 도착지의 범위를 60 km 이내의 협소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4 운송노선까지의 희망 운송노선을 설정한다. 이에 따르면, 화물주가 운송자들의 희망 운송노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화물주에게는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운송자들에게는 선택의 기회가 많아진다.
또한,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는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운송자가 회귀하는 노선을 미리 예약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가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운송자가 회귀하는 노선을 미리 예약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운송자가 원래의 출발지 또는 원래의 출발지 부근으로 회귀하는 경우에도 공차 운행을 저감하고 그로 인해 미세먼지 유발과 시간과 운송비용 등의 경제적 낭비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더 접수부(12)는,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는 화물정보 접수부(12-1); 및 오더가 전화를 통해 음성으로 접수되었을 경우 음성을 표준화된 문자 정리표로 정리하여 나타내는 표준문자 정리부(12-4)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화물정보 접수부(12-1)에서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고, 표준문자 정리부(12-4)를 통해서는 오더가 전화를 통해 음성으로 접수되었을 경우 음성을 표준화된 문자 정리표로 정리하여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표준문자 정리부(12-4)의 역할은 전화상 긴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여 음성으로 쉽게 도출하는 사전 정리단계의 일환이기도 하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오더 접수부(12)는,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부(12-2); 및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를 더 포함한다. 이처럼 추가 오더 접수부(12-2)를 통해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고,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를 통해서는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에 의해 화물정보 접수부(12-1)에서 입력된 오더에 따라 화물주의 화물이 운송자의 화물차에 적재되고 나서도 운송자의 화물차에 여전히 빈 공간이 남아 있는 경우에도 추가 오더와 경유지 추가 오더에 의한 화물로 빈 공간에 적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의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는 복수의 운송자들이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는 회원 등록부(11-1)와,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설정부(11-2), 및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하는 운송요금 산출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회원 등록부(11-1)에 의해서는 운송자 신상과 운송자 차종 내역을 비롯한 운송자에 대한 회원 등록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의해서는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운송요금 산출부(11-3)에 의해서는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한다. 이렇한 운송요금 산출부(11-3)에 의해 출발지와 도착지의 거리나 도시간 거리에 따른 공지된 기본요금과, 화물의 부피, 중량 등의 화물의 특수성이 감안된 차종에 따른 공지된 기본요금이 병합 합산된 기본요금이 정하여져 운송자의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요금까지 포함되어지고 화물주가 오더 접수부(12)에 오더를 접수시킬 당시에 정하여져 운송자와 화물주간 직거래를 가능하게 한다.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는 운송자 단말기(30)들의 이동 경로와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는 화물주 단말기(20)와 운송자 단말기(30) 사이의 거리 및 이동시간을 자동으로 연산하여 복수의 운송자가 미리 설정해둔 복수의 운송노선 중에서 화물주가 원하는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들 중에서 화물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운송자를 선정할 수 있다.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는 운송자 단말기(30)들의 이동 경로와 위치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파악 상태를 기반으로 화물주 단말기(20)와 운송자 단말기(30) 사이의 거리 및 이동시간을 자동으로 연산하여 복수의 운송자가 미리 설정해둔 복수의 운송노선 중에서 화물주가 원하는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들 중에서 화물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운송자를 선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상반되게는 운송자가 운송노선을 설정할 때 화물주가 미리 화물의뢰를 해둔 운송노선과 일치가 되는 운송노선에 대해서 화물 운송을 할 수 있는 운송자로 지정이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화물 맞교환 릴레이운송 실현화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실시예의 오더접수단계의 상세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실시예에 출발지 자동등록기능 부과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실시예에 대도시 단거리 시내운송노선 설정단계가 추가된 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5의 실시예의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의 상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상기의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으로 물류 흐름을 개선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으로서, 운송자 본인이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 운송노선을 계획하여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의 회원 등록부(11-1)와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각각 회원 등록을 하고 운행하고자 하는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의 복수의 운송노선으로 직접 설정하는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S1); 오더 생성부(21)에서 송출된 화물주의 오더를 오더 접수부(12)를 통해 접수하는 오더 접수단계(S2); 오더 접수단계(S2)에서 접수된 오더를 음성 전환부(13)에서 음성으로 전환하여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하는 오더 송출단계(S3);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에 의해 복수의 운송자의 설정 운송노선 중에서 거리상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가장 가까운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를 선정하는 운송자 선정단계(S4);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된 오더의 수락 여부를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결정하는 오더 수락여부 결정단계(S5);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종결 보고부(33)에서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가 통지되고, 선정된 운송자가 오더를 실행하는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S6)를 포함한다.
위 구성에 따르면,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S1)에서 운송자 본인이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 운송노선을 계획하여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의 회원 등록부(11-1)와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각각 회원 등록을 하고 운행하고자 하는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의 복수의 운송노선으로 직접 설정함으로써 화물주가 원하는 운송노선과의 적합성 또는 근접성에 대한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고, 오더 접수단계(S2)에서는 오더 생성부(21)에서 송출된 화물주의 오더를 오더 접수부(12)를 통해 접수하며, 운송자 선정단계(S4)에서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에 의해 복수의 운송자의 설정 운송노선 중에서 거리상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가장 가까운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가 선정됨으로써 운송자의 화물차가 화물주를 향해 주행하는데 따른 시간과 운송비용이 저감될 수 있고, 오더 송출단계(S3)에서는 오더 접수단계(S2)에서 접수된 오더를 음성 전환부(13)에서 음성으로 전환하여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함으로써 운송자가 안전운전에 집중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오더 수락여부 결정단계(S5)에서는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된 오더의 수락 여부를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결정하고,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S6)에서는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통지가 되고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에서 운송자의 정보를 운송자 정보접수부(23)로 통지가 이루어지면 운송자는 운송업무를 개시하고, 이후 운송업무를 종료하여 오더종결 보고부(33)을 통해 주선사 운영서버(10)의 오더종결 처리부(16)로 보고를 하게 되면 화물주는 화물주 단말기(30)의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통하여 운송 결과를 통보받게 되면서 운송자에 의한 모든 운송업무는 종료가 된다.
여기서, 상기 운송자 본인이 운송자 단말기((30)의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 운행하고자 하는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의 복수의 운송노선으로 직접 설정할 수 있는 것의 예로는, 운송노선 설정부에 현재의 위치에서 바로 운송노선 설정이 가능한 것과, 현재 운송이 진행 중인 목적지로부터 회귀 노선 예약을 미리 계획할 수 있는 것, 현재 바로 운송노선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 중 특정 시간대에 맞추어 운송노선을 계획할 수 있는 것, 및 금일 운송 업무 종료 이후 내일 예약 운송노선 설정을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운송자 선정단계(S4)에서는, 출발지로부터 5km 반경 이내 동일 운송노선을 설정한 복수의 운송자가 있을 때에는 운송노선 예약 설정을 먼저 한 운송자에게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하고 출발지로부터 5km 이상의 반경 내에 동일 운송노선을 설정한 복수의 운송자가 있을 때에는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최근접 거리에 있는 운송자에게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에 의해 복수의 운송자의 설정 운송노선 중에서 거리상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가장 가까운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가 여러명 있을 때에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운송자 선정시의 혼란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S1)는,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특정의 위치에서 출발지는 단수로 설정하고 도착지의 방향은 방향을 각기 달리한 2개의 방향으로 도착지를 설정하는 제1 운송노선 및 제2 운송노선과, 설정한 제1, 2 운송노선이 단시간에 수락이 안 될 경우를 대비하여 도착지를 전국으로 설정하는 제3 운송노선, 도착지의 범위를 60 km 이내의 협소한 영역으로 설정하는 제4 운송노선까지의 희망 운송노선을 설정한다. 이에 따르면, 화물주가 운송자들의 희망 운송노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하여 화물주의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화물운송 경로에 존재하는 하나의 도시와 다른 하나의 도시 사이를 서로 반대의 경로로 운행하는 운송자의 화물차들의 상호 운행 경로와 위치가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에 의해 파악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송자들 사이의 의사 표명이 사전에 주선사로 요청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하나의 도시와 다른 하나의 도시 사이의 특정한 중간 지점에서 화물의 맞교환 릴레이 중계 운송을 실현하는 화물 맞교환 릴레이 운송 실현화단계(S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하나의 도시와 다른 하나의 도시 사이의 특정한 중간 지점에서 화물의 맞교환 릴레이 중계 운송이 실현될 수 있음으로써 운송자의 화물차들의 원래 운행 경로상의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시간과 비용을 저감하고 공차 운행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오더 접수단계(S2)는,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는 화물정보 접수부(12-1)에서 상기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하는 화물정보 접수단계(S2-1)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화물정보 접수부(12-1)에서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다.
오더 접수단계(S2)는,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부(12-2)에서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단계(S2-2); 및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에서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단계(S2-3)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화물정보 접수단계(S2-1)에서 입력된 오더에 따라 화물주의 화물이 운송자의 화물차에 적재되고나서도 운송자의 화물차에 여전히 빈 공간이 남아 있는 경우에도 추가 오더와 경유지 추가 오더에 의한 화물로 빈 공간에 적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 오더의 접수 가능 범위는 출발지에서는 최초 접수 오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총거리의 20% 이내의 거리에서 접수되는 화물과 1시간 거리에 해당하는 60km 거리 이내에서 오더 접수부(12)로 접수되는 화물에 대해서만 가능하고, 경유지 추가 오더의 접수 가능 범위는 경유지에서는 경유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총 잔여 거리의 20% 이내의 거리에서 접수되는 화물에 대해서만 가능하다. 이에 따르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송을 수행하고 추가 오더와 경유지 추가 오더에 따른 운송 시간이 지나치게 지연되는 사례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추가 오더의 접수 가능 범위의 예로는 서울에서 부산까지의 거리가 총 500km라면 서울에서 추가 오더의 접수 가능한 반경은 100km 내지 60km가 된다. 즉, 서울 전 지역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출발지에서 도착지 주변으로 운송을 할 수 있는 범위도 제한하여야 하는데 이때도 총 거리에서 20%와 60km를 설정하게 된다. 즉, 부산 전 지역이 해당된다.
또한, 본 발명의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운송자가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여 오더를 종결하고 목적지와 경유지를 입력을 하지 않았을 경우 최종 목적지가 자동으로 출발지가 되어 한정된 반경 60km 내에서 단거리 운송 오더를 접수받는 출발지 자동등록기능 부과단계(S8)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운송자가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여 오더를 종결하고 다시 다른 목적지와 경유지를 확인하고 입력하는데 따른 노력과 시간을 저감하는 것이고 도착지 주변 도시에서 단거리 운송 업무를 좀 더 하다가 차고지나 연고지로 복귀하는 수단으로 작용되어 회귀노선 오더를 폭 넓게 접수받는 기회가 되고 일과시간을 폭 넓게 활용하는 방법을 도모 해 주는 방안이 된다.
출발지 자동등록기능 부과단계(S8)에서 오더 접수 가능한 범위는 선행하는 최초 접수 오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거리에 해당하는 총 거리의 20% 이내 범위 또는 60km 이내 거리로 자동 설정된다. 이러한 자동 설정에 의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송을 수행하고 출발지 자동등록기능 부과단계(S8)에서의 접수 오더에 따른 운송 시간이 지나치게 지연되는 사례를 방지하며 업무의 연속성과 편리성 추구가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은,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의 메뉴에 등록하는 것에 의해 가장 근접 거리에 있는 운송자에게 연결하여 대도시에서 단거리 시내운송을 전담하는 운송자의 화물차에 대한 배차가 이루어져서 대도시 단거리 시내운송노선이 설정되는 대도시 단거리 시내운송노선 설정단계(S9)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대도시 단거리 시내운송 전담차량의 효율적인 운송이 가능하다.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S1)는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에서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노선에 대한 예약노선을 미리 사전에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서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의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로 예약 설정한다. 이처럼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에서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노선에 대한 예약노선을 미리 사전에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서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의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로 예약 설정할 수 있음으로써 편도 100km 이상의 장거리 운송자가 원래의 출발지로 회귀하는 경우에도 공차 운행하는 것을 저감 내지 방지하고 그로 인해 미세먼지 유발과 시간과 운송비용 등의 경제적 낭비를 저감 내지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운송자 단말기(30)를 통해 음성으로 화물 음성정보가 송출이 되었을 때 운송자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를 통해 운송자 단말기(30) 상에서 음성으로 수락 또는 거절로서 오더의 수락 여부를 결정하고, 운송자의 음성정보의 송출은 일반 음성과 혼선을 방지하고 간편성을 갖게 하도록 간략화된 약어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운송자 단말기(30)를 통해 음성으로 화물 음성정보가 송출이 되었을 때 운송자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를 통해 운송자 단말기(30) 상에서 음성으로 수락 또는 거절로서 오더의 수락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운송자가 안전운전에 집중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간략화된 약어의 사용으로 운송자의 음성정보의 송출은 일반 음성과 혼선을 방지하고 간편성을 갖게 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운송자의 간략화된 약어 음성은 오더 수락의 의미인 K1(케이 원), 오더 보류의 의미인 K2(케이 투), 오더 거절의 의미인 K3(케이 쓰리)를 포함한다. 이처럼 간략화된 약어의 사용으로 오더에 대한 수락, 보류, 또는 거절의 의사를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S6)는, 오더의 수락 결정시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에서 비로소 화물주 단말기(20)에게 운송자 정보를 제공하는 운송자의 정보제공 단계(S6-1); 운송자 단말기(30)가 운송자 정보를 접수하는 운송자의 정보접수 단계(S6-2); 및 운송자의 정보접수 단계(S6-2)에 의거하여 운송자가 화물 출발지를 향하는 화물차에 화물을 상차하는 화물 상차 및 이송단계(S6-3)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오더의 수락 결정시 운송자의 정보제공 단계(S6-1)에서 화물주 단말기(20) 그리고 운송자의 정보접수 단계(S6-2)에서 운송자 단말기(30)에 각각 운송자 정보가 제공 및 접수되어 이에 의거하여 운송자가 화물 출발지를 향하는 화물차에 화물을 상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 11. 운송자 정보접수부
11-1. 회원 등록부 11-2. 운송노선 설정부
11-3. 운송요금 산출부 12. 오더 접수부
12-1. 화물정보 접수부 12-2. 추가 오더 접수부
12-3.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 12-4. 표준문자 정리부
13. 음성전환부 14. 음성송출부
15. 오더종결신호 접수부 16. 오더종결 처리부
20. 화물주 단말기 21. 오더 생성부
22. 운송과정 모니터링부 23. 운송자 정보접수부
24. 오더종결 수신부 30. 운송자 단말기
31. 운송노선 계획부 32. 오더수락 결정부
33. 오더종결 보고부
S1.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 S2. 오더 접수단계
S2-1. 화물정보 접수단계 S2-2. 추가 오더 접수단계
S2-3.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단계 S3. 운송자 선정단계
S4. 오더 송출단계 S5. 오더 수락여부 결정단계
S6.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 S6-1. 운송자의 정보제공 단계
S6-2. 운송자의 정보접수 단계 S6-3. 화물 상차 및 이송단계
S7. 화물 맞교환 릴레이 운송 실현화단계
S8. 출발지 자동등록기능 부과단계
S9. 대도시 단거리 시내운송노선 설정단계

Claims (14)

  1. 화물의 운송을 필요로 하는 화물 의뢰자가 화물 운송에 음성 또는 문자 형태의 오더를 생성하는 오더 생성부(21), 생성된 오더에 의한 화물의 운송과정을 모니터링하는 운송과정 모니터링부(22), 생성된 오더에 의해 화물 운송을 수행하는 운송자의 정보를 접수하는 운송자 정보접수부(23), 및 오더에 의한 화물 운송이 종료되었음을 수신하는 오더종결 수신부(24)를 포함하고, 화물주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화물주 단말기(20);
    복수의 운송자들이 회원 등록을 할 수 있는 회원 등록부(11-1)와, 복수의 운송자들이 단수의 출발지와 복수의 목적지를 포함한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로 설정하는 운송노선 설정부(11-2), 및 운송노선 설정 당시에 운송요금까지 동시에 설정되게 하는 운송요금 산출부(11-3)를 포함하는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 오더 생성부(21)로부터 송출된 오더를 접수하는 오더 접수부(12), 접수된 오더 중 문자 오더를 음성 오더로 전환하는 음성 전환부(13), 오더 접수부(12)에서 접수된 오더 중 음성 오더와 상기 전환한 음성 오더를 송출하는 음성 송출부(14),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는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 및 오더 종결 신호를 접수하여 오더 종결처리하는 오더종결 처리부(16)를 포함하고, 운송자를 선정하며 화물주 단말기(20)와 통신하는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 및
    운송노선 설정부(11-2)에 설정되는 운송노선을 계획하는 운송노선 계획부(31), 음성 송출부(14)로부터 송출되는 음성을 수신하여 오더 수락 여부를 결정하여 신호로 송신하는 오더수락 결정부(32),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수락 결정부(32)로부터 오더 수락 신호를 수신하여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를 송신하는 오더종결 보고부(33)를 포함하고, 화물의 운송을 위한 차량을 소유하는 운송자가 사용하며, GPS 연동서버(10)와 통신하는 운송자 단말기(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오더 접수부(12)는,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는 화물정보 접수부(12-1); 및
    오더가 전화를 통해 음성으로 접수되었을 경우 음성을 표준화된 문자 정리표로 정리하여 나타내는 표준문자 정리부(1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오더 접수부(12)는,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부(12-2); 및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으로 물류 흐름을 개선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으로서,
    운송자 본인이 운송노선 계획부(31)를 통해 운송노선을 계획하여 운송노선 정보접수부(11)의 회원 등록부(11-1)와 운송노선 설정부(11-2)를 통해 각각 회원 등록을 하고 운행하고자 하는 운송노선을 특정 일자의 특정 시간대의 복수의 운송노선으로 직접 설정하는 운송자의 정보입력단계(S1);
    오더 생성부(21)에서 송출된 화물주의 오더를 오더 접수부(12)를 통해 접수하는 오더 접수단계(S2);
    오더 접수단계(S2)에서 접수된 오더를 음성 전환부(13)에서 음성으로 전환하여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하는 오더 송출단계(S3);
    화물 주선사의 GPS 연동서버(10)가 복수의 운송자의 설정 운송노선 중에서 거리상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가장 가까운 운송노선을 가지는 운송자를 선정하는 운송자 선정단계(S4);
    음성 송출부(14)를 통해 송출된 오더의 수락 여부를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결정하는 오더 수락여부 결정단계(S5); 및
    오더수락 결정부(32)에서 오더 수락이 결정되었을 때 오더종결 보고부(33)에서 오더종결신호 접수부(15)로 오더 종결 신호가 통지되고, 선정된 운송자가 오더를 실행하는 오더 통지 및 실행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운송자 선정단계(S4)에서는,
    출발지로부터 5km 반경 이내 동일 운송노선을 설정한 복수의 운송자가 있을 때에는 운송노선 예약 설정을 먼저 한 운송자에게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하고 출발지로부터 5km 이상의 반경 내에 동일 운송노선을 설정한 복수의 운송자가 있을 때에는 화물주 단말기(20)로부터 최근접 거리에 있는 운송자에게 피선정의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오더 접수단계(S2)는, 출발지부터 도착지, 화물주명, 전화번호, 품명, 포장상태, 부피, 중량, 상.하차 방법, 인수자, 전화번호, 도착시간을 포함하는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할 수 있는 화물정보 접수부(12-1)에서 상기 화물 정보를 오더로서 입력하는 화물정보 접수단계(S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오더 접수단계(S2)는,
    출발지 주변에서 생성되는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부(12-2)에서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추가 오더 접수단계(S2-2); 및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를 통과하는 경유지에서 추가로 생성되는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부(12-3)에서 경유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단계(S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운송자 본인이 운행을 하고져 하는 계획 노선을 1,2,3,4 단계로 직접 설정하는 단계로서, 운송자는 운송자의 단말기를 통해 주선사 서버 시스템 노선 설정부에 출발지와 목적지를 포함한 노선 예약을 설정 하는 단계로 반드시 출발지는 단수 이어야 하고 도착지는 방향을 각기 달리한 2개의 방향으로 도착지를 설정을 하고 혹시 설정한 노선이 단시간에 수락이 안 될 경우를 대비 도착지를 전국이라고 설정하거나 또는 60km 이내라는 좁은 영역을 설정을 하는 4단계 까지 희망 노선을 설정하는 단계를 가지므로 우선적으로 희망 경로로 운송을 하게 되거나 최종 수단에 의해 종전의 방식과 같은 도착지를 특정할 수 없는 경로로 최소한 선택은 이루어지게 되고,
    운송자가 직접 계획 노선을 설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4단계로 도착지 방향성을 설정하는 단계도 있고, 또 시간대를 더 상세하게는 현재의 위치에서 바로 노선 설정이 가능한 현재노선 설정 단계와 또 현재 운송이 진행 중인 화물의 도착지로 부터 회귀 노선 예약을 미리 계획 할 수 있는 부분도 포함이 되는 오늘 중 특정 시간대에 맞추어 노선을 계획 할 수 있는 당일 노선 설정 단계도 함께 주어지며 금일 이후 내일 예약 노선 설정도 가능하게 하는 명일 예약 노선 설정 단계도 부여하는 단계를 갖지며, 즉 도착지 방향성 설정 4단계와 시간대로 설정 가능한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화물정보를 음성으로 송출하고 간단한 약어 음성으로 콜을 건텍하는 단계로서, 화물 주선사 운영서버 시스템은 화물 의뢰자로 부터 접수된 문자 화물정보를 음성으로 전환하고 GPS 위치정보 확인 시스템에 의해 복수의 운송자들 중에 화물주와 가장 근접 거리에 있는 운송자 에게 전환된 음성 화물정보를 운송자 단말기로 문자와 음성으로 동시에 송출되게 하는 구성 요소를 가지고 전화 접수일 경우 음성을 표준화된 문자 정리표로 먼저 정리를 하고 다시 음성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거처 운송자에게 음성으로 송출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포함하고,
    운송자 단말기를 통해 음성으로 화물 음성정보가 송출이 되면 운송자는 단말기상에서 주선사 서버 시스템에 음성으로 yes 또는 no로서 콜을 결정하는 단계를 구성하고 이때 운송자의 콜 컨텍은 일반 대화 과정에서 흔히 사용하지 않는 간략화 된 약어를 사용하여 일반 음성과 혼선을 방지하고 간편성을 갖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주선사 운영서버상에서 운송자가 운송노선을 계획하고 화물주가 화물정보를 접수하는 과정에서 요금산출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져 화물을 운송하고자하는 운송자 와 화물을 의뢰하는 화물주간 직거래 운송 중계도 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출발지와 경유지 추가 오더를 효율적이고 순조롭게 접수하는 단계에 있어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운송을 수행하고 최초 주 오더 운송 시간을 지나치게 지연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출발지 주변 추가 오더와 경유지 주변 추가 오더를 접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범위를 제한하고 한정 하여야 하는데 그 범위 설정 방법은,
    출발지 주변 추가 오더 접수 가능 범위는 최초 접수 오더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 총 거리에 20% 내에 거리에서 접수되는 화물과 1시간 거리에 해당하는 60km 거리 이내에서 주선사 운영서버 화물 정보 접수부로 접수되는 화물에 대해서만 가능하고,
    경유지 추가 오더 접수 역시 주 오더 도착지로 부터 총 잔여 거리에 20%를 적용하며,
    상기의 설정 범위는 상황에 따라 달리 할 수도 있는데, 실시의 예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총 500km이라면 서울에서 주변 오더 추가 수집이 가능한 반경은 100km 내지 60km가 되며, 즉 서울 전 지역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출발지에서 도착지 주변으로 운송을 할 수 있는 범위도 제한하여야 하는데 이때도 총 거리에서 20%와 60km 설정하게 되며 즉 부산 전 지역이 해당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출발지와 도착지 반경은 넓고 경유지는 목적지에 가까울수록 범위가 좁아지게 되어 추가 오더 접수로 인한 지나친 시간 지연 사례를 제한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업무의 연속성과 편리성 추구를 위하여 출발지 자동 등록 기능이 부과되는 단계로서, 운송자가 최종 목적지에 도착하여 오더를 종결하고 종결 보고를 하면 새로운 오더를 접수받거나 새롭게 계획 노선을 설정할 수 있는데 업무 종결 보고를 하고 출발지와 도착지를 재설정 하지 않을 경우 최종 도착지는 자동으로 출발지가 되어지고 도착지의 한정된 반경 내에서 단거리 운송 오더를 접수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오더 접수 가능한 범위는 선행 오더의 총 거리의 20% 이내 범위 또는 60km 이내 거리로 자동 설정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의 실시의 예를 적용하게 되면 도착지 주변 도시에서 단거리 운송을 하다가 차고지나 연고지로 복귀하는 회귀 노선에 대한 오더를 폭넓게 접수받을 수 있는 기회가 되고, 일과 시간을 폭 넓게 활용하는 방법을 도모해 주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13. 제4항에 있어서,
    장거리 운송자에 대한 회귀 경로 사전 예약 권리 부여 단계로서,
    장거리 운송자는 목적지 도착 시간을 추정하여 미리 동일 노선 경로로 회귀하는 노선에 대한 예약을 하는 권리도 당일 노선 설정 단계에 접속하여 부여받을 수 있는데 예약 성공율 확장 차원에서 출발지에서 출발 보고와 함께 미리 예약 설정을 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순조로운 운송체게 정립을 위해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 총 거리에 시속 70km 이내에 해당하는 시간에서 하차 1시간을 더하고 운송 시간 2시간에 20분 휴식 시간을 더해서 합산을 한 총 시간 이후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되거나 또 다른 방식에 의한 정양적 거리를 기준으로 100km 이내는 2시간 이후 부터, 200km 이내는 4시간 이후 부터, 300km 이내는 6시간 이후 부터 등 100km 증가에 2시간을 더 감안한 여유시간을 적용하여 정해질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정양적 부분은 조정되어도 무방한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14. 제4항에 있어서,
    대도시 간 소형 화물운송 차량 간 중간지점 화물 맞교환 릴레이 운송을 실현화하는 단계로서, 도시와 도시간에 상호 교차 운송이 실현되고 있는 경우가 아주 많은데, 즉 어떤 차는 서울에서 인천으로 가고 있고 반대로 인천에서 서울로 가는 화물 차도 있으며, 운송 주선사 GPS 연동 서버 시스템에 의해 상호 경로와 위치가 파악되고, 이때 화물 차주 간 의사 표명이 사전에 주선사로 요청되어 있었다면 특정의 중간 지점에서 상호 맞교환 릴레이 중계 운송이 가능해 지며, 이때 상호 거리 만큼 가산하여 요금을 조정하면 굳이 중간 지점이 아니어도 실현이 가능해지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방법.




KR1020210014506A 2021-02-02 2021-02-02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 KR102627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06A KR102627449B1 (ko) 2021-02-02 2021-02-02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506A KR102627449B1 (ko) 2021-02-02 2021-02-02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361A true KR20220111361A (ko) 2022-08-09
KR102627449B1 KR102627449B1 (ko) 2024-01-23

Family

ID=82844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506A KR102627449B1 (ko) 2021-02-02 2021-02-02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4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76605A (zh) * 2023-07-26 2023-10-31 速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数据运营系统
KR102619054B1 (ko) * 2023-09-21 2023-12-28 주식회사 팀즈에이 화물 오더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35B1 (ko) 2004-11-17 2007-02-27 정현철 물류 정보 흐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24056A (ko) * 2013-04-15 2014-10-24 (주)전국24시콜화물 녹음된 음성정보를 이용한 화물오더 접수시스템
KR20160071202A (ko) * 2014-12-11 2016-06-21 태상로지스틱스(주) 효율적인 물류배송 관리 시스템 및 물류배송 관리 방법
KR20170000591A (ko) * 2015-06-24 2017-01-03 (주)전국24시콜화물 운송오더 제공시스템 및 운송오더 제공방법
KR102093511B1 (ko) 2019-08-02 2020-03-25 신나는 주식회사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35B1 (ko) 2004-11-17 2007-02-27 정현철 물류 정보 흐름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24056A (ko) * 2013-04-15 2014-10-24 (주)전국24시콜화물 녹음된 음성정보를 이용한 화물오더 접수시스템
KR20160071202A (ko) * 2014-12-11 2016-06-21 태상로지스틱스(주) 효율적인 물류배송 관리 시스템 및 물류배송 관리 방법
KR20170000591A (ko) * 2015-06-24 2017-01-03 (주)전국24시콜화물 운송오더 제공시스템 및 운송오더 제공방법
KR102093511B1 (ko) 2019-08-02 2020-03-25 신나는 주식회사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76605A (zh) * 2023-07-26 2023-10-31 速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数据运营系统
CN116976605B (zh) * 2023-07-26 2024-03-19 速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大数据的数据运营系统
KR102619054B1 (ko) * 2023-09-21 2023-12-28 주식회사 팀즈에이 화물 오더 처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449B1 (ko)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6814B2 (en) Transportation service matching with arrival estimation adjusted for external factors
US560467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personal transportation
WO2016133595A1 (en) Transportation service matching with arrival estimation adjusted for external factors
GB2539558A (en) Ride-sharing long-term ride-share groups
US20150006072A1 (en) Dynamically Optimized Transportation System
KR102627449B1 (ko)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
KR101910045B1 (ko) 동적 라우팅 기능 및 안전운행 요건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CN105006145A (zh) 一种出租车引导调度系统
EP3330157B1 (en) Transportation demand-and-supply matching system and transportation demand-and-supply matching method
GB2539557A (en) Ride-sharing joint rental groups
GB2539555A (en) Ride-sharing range contours
KR102252686B1 (ko) 정보취합을 통한 최적자동노선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TW202020762A (zh) 車隊管理方法、車隊管理裝置、車隊管理系統及其電子設備與儲存介質
KR101910050B1 (ko)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전운행 요건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20160120901A (ko)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KR101783702B1 (ko) 가변되는 차량의 경로에 대한 예보 및 선택 시스템
KR101044511B1 (ko)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운송차량 공동배차 시스템 및 배차 방법
KR102184100B1 (ko) 앱 미터기를 이용한 모빌리티 합승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20180029990A (ko) 조합 방식의 운송차량 임대시스템
KR20180041975A (ko) 긴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H10241091A (ja) 個人交通を調整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867453B1 (ko)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2023807B1 (ko)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50003915A (ko) Edi를 활용하는 자동 물류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Batz The utilization of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by the trucking indust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