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511B1 -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511B1
KR102093511B1 KR1020190094605A KR20190094605A KR102093511B1 KR 102093511 B1 KR102093511 B1 KR 102093511B1 KR 1020190094605 A KR1020190094605 A KR 1020190094605A KR 20190094605 A KR20190094605 A KR 20190094605A KR 102093511 B1 KR102093511 B1 KR 102093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ransport
transportation
reservation
sh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식
Original Assignee
신나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나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나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4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은, 화주 단말 및 운송자 단말과 각각 네트워크 연결되어 화주와 운송자 간의 화물 운송을 관리하도록 운송 관리 서버에서 이뤄지는 운송 관리 방법으로서, 1) 각각의 운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운송 경로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운송자의 운송 노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2) 화주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송 예약 정보는 화주가 화물의 운송을 의뢰하기 위한 예약 정보로 적어도 물품 정보, 출발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포함함-; 3)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 예약 정보를 상기 운송 노선 정보와 각각 매칭시키는 단계; 4) 상기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 노선 정보를 수정하고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5) 상기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해당 화주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수정된 운송 노선 정보 및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를 해당 운송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 {TRANSPORT MANAGEMENT SYSTEM BETWEEN CONSIGNOR-CARRIER AND TRANSPORT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송자의 운송경로에 기초하여 생성된 운송 노선에 화주의 운송 예약 정보를 적절히 매칭시킴으로써 운송자의 운송 노선 변경을 최소화 하면서 효율적인 화물 운송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택배 서비스와 같이 수요자가 어떤 물품을 특정 목적지로 운반해 줄 것을 요청함에 따라 운송자가 수요자가 있는 출발지로 가서 해당 물품을 수령하여 목적지로 운송하는 서비스가 널리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운송 서비스는 수요자가 주문한 상품을 배달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예컨대 대규모 공업지대와 같은 특정 지역에서 화주가 운송 요청하는 물품을 해당 지역 내의 다른 목적지로 운송하도록 하는 형태로도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화주로부터 물품의 운송에 관한 요청이 있으면 그 요청에 따른 운송 정보를 특정 운송자에게 전송하고 해당 운송자는 운송 요청을 한 화주에게 가서 또는 해당 화주가 지정한 출발지로 가서 운송할 물품을 수령하여 목적지로 운반하는 등의 방식으로 물품의 운송이 이루어졌었다.
그 과정에서 운송자를 관리하는 운송 콜센터는 화주의 운송 요청이 있을 때 출발지 근처에 있는 운송자들 중 한 명을 호출하여 운송 업무를 처리하도록 하며 만약 출발지 근처에 운송자가 없는 경우 그 반경을 넓혀 가면서 운송자를 찾아 해당 운송 업무를 처리토록 하는 방식으로 운송 서비스가 이루어졌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운송 서비스 방식은 운송자들의 운송이 체계적이지 못하여 이미 다수의 운송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운송자가 새로운 운송 업무를 위해 기존의 목적지들이 있는 곳과 반대 방향의 출발지로 가서 새로운 운송 물품을 수령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하고, 이미 목적지 근처이 있는 운송자가 운송 물품의 수령을 위해 먼 거리의 출발지로 가서 다시 목적지로 되돌아오게 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하는 등 운송의 효율면에서 상당히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운송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화주로서는 운송에 소요되는 비용을 불필요하게 더 많이 지불하여야 하기도 하고 운송자의 입장에서도 처리할 수 있는 물량보다 더 적게 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기술은, 운송자들이 화주 및 화물이 많이 존재하는 지역 위주로만 화물을 운송하려는 경향이 강해서 화물 운송의 불균형이 심화된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운송자들에게 최적의 운송 경로를 제공하면서 효율적인 화물 배분이 이뤄지도록 하는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975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50036호
본 발명은 운송자의 운송경로에 기초하여 생성된 운송 노선에 화주의 운송 예약 정보를 적절히 매칭시킴으로써 운송자의 운송 노선 변경을 최소화 하면서 효율적인 화물 운송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은, 화주 단말 및 운송자 단말과 각각 네트워크 연결되어 화주와 운송자 간의 화물 운송을 관리하도록 운송 관리 서버에서 이뤄지는 운송 관리 방법으로서, 1) 각각의 운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운송 경로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운송자의 운송 노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2) 화주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송 예약 정보는 화주가 화물의 운송을 의뢰하기 위한 예약 정보로 적어도 물품 정보, 출발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포함함-; 3)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 예약 정보를 상기 운송 노선 정보와 각각 매칭시키는 단계; 4) 상기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 노선 정보를 수정하고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5) 상기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해당 화주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수정된 운송 노선 정보 및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를 해당 운송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은, 상기 출발지 위치 정보와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 사이의 거리의 최소값과 상기 목적지 위치 정보와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 사이의 거리의 최소값의 평균값이 가장 작은 값인 운송 노선을 선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는 운송 노선상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 영역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출발지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위치 정보와의 거리의 최소값은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는, 운송자 단말로부터 선택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는 상기 운송자의 운송 경로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는, 중심 위치 정보 및 영역 범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는 예상 운송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은,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에 상기 출발지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예상 운송 시간 정보와 상기 운송 예약 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위치 및 목적지 위치를 경유할 때 예상되는 운송 시간 정보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운송 노선을 선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2)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예약 마감 시간 전까지 수신된 운송 예약 정보를 우선 예약 정보로 분류하며, 상기 3) 단계는, 미리 설정된 예약 마감 시간 이후 모든 우선 예약 정보를 대상으로 동시에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2)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예약 마감 시간 이후 수신된 운송 예약 정보를 추가 예약 정보로 분류하며, 상기 3) 단계는, 상기 추가 예약 정보를 수신된 순서대로 상기 운송 노선 정보와 각각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은, 화주의 운송 예약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갖는 화주 단말; 운송자의 화물 운송 경로를 인식하는 운송자 단말; 및 상기 화주 단말 및 운송자 단말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화주와 운송자 간의 운송을 관리하는 운송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운송 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운송 관리 서버는, 각각의 운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운송 경로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운송자의 운송 노선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 화주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운송 예약 정보는 화주가 화물의 운송을 의뢰하기 위한 예약 정보로 적어도 물품 정보, 출발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포함함-,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 예약 정보를 상기 운송 노선 정보와 각각 매칭시키는 기능, 상기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 노선 정보를 수정하고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해당 화주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수정된 운송 노선 정보 및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를 해당 운송자 단말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송자의 운송 경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운송 노선 정보에 화주의 운송 예약 정보가 적절히 매칭되도록 함으로써, 화물 운송의 불균형을 방지하고 운송자의 운송 피로를 줄이며,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화물 운송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송자에 의해 스스로 또는 운송 경로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된 유동 영역 위치 정보를 통해 운송자에게 맞는 가장 적절한 화물 운송 예약 정보의 매칭이 이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 관리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운송 노선 정보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매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 예약 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 관리 서버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10)은, 화주의 운송 예약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갖는 화주 단말(200)과 운송자의 화물 운송 경로를 인식하는 운송자 단말(300) 및 상기 화주 단말(200) 및 운송자 단말(300)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화주와 운송자 간의 운송을 관리하는 운송 관리 서버(100)를 포함하는 운송 관리 시스템(10)이다.
상기 화주 단말(200)은 PC, 모바일 장치(예, 스마트폰, 태블릿 등)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운송 관리 서버(100)에 화주로부터 입력 받은 운송 예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운송자 단말(300)은 운송자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운송자의 화물 운송과 관련된 전반적인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상기 운송 관리 서버(10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한 모바일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운송자 단말(300)은 운송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도록 GPS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운송자 또는 운송자의 차량에 소지/부착되어 운송자의 화물 운송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운송자 단말(300)은 운송자의 운송 경로 정보 뿐 아니라 구간별 또는 전체 운송 구간에서 소요된 운송 시간 정보를 더욱 수집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운송자의 선호 지역, 시간, 성향 등을 도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운송자 단말(300)은 후술하는 유동 영역 위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 수단 및 표시 수단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운송 관리 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운송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운송 경로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운송자의 운송 노선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운송 노선 정보 관리 모듈(120), 화주 단말(2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 예약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운송 예약 정보 관리 모듈(104),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 예약 정보를 상기 운송 노선 정보와 각각 매칭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매칭 모듈(106) 및 서버의 전반적인 운영을 담당하는 운영 모듈(110)을 포함한다.
상기 운송 노선 정보 관리 모듈(102)은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 노선 정보를 수정하는 기능을 더욱 수행하고, 상기 운송 예약 정보 관리 모듈(104)은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더욱 수행한다.
상기 운영 모듈(110)은 서버에 구비된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해 상기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해당 화주 단말(200)로 송신하고, 상기 수정된 운송 노선 정보 및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를 해당 운송자 단말(300)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운송 관리 서버(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 노선 정보 관리 모듈(102), 운송 예약 정보 관리 모듈(104), 매칭 모듈(106) 및 서버의 전반적인 운영을 담당하는 운영 모듈(110)을 포함한다.
상기 운송 관리 서버(100)는 상기 운송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운송 경로 정보를 저장하는 운송 경로 정보 DB(120)와 운송 경로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운송 노선 정보를 저장하는 운송 노선 정보 DB(130), 화주의 운송 예약 정보를 저장하는 운송 예약 정보 DB(140) 및 화주와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DB(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DB(120, 130, 140, 150)는 운송 관리 서버(100) 내부에 메모리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운송 관리 서버(100)와 직접 또는 네트워크 연결되도록 구성된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운송 관리 서버(100)는 화주 단말(200) 및/또는 운송자 단말(300)이 접속하여 각각의 정보를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웹 기반의 사용자 GUI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중심으로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은, 화주 단말(200) 및 운송자 단말(300)과 각각 네트워크 연결되어 화주와 운송자 간의 화물 운송을 관리하도록 운송 관리 서버(100)에서 이뤄지는 운송 관리 방법이다.
S1 단계로, 상기 운송 관리 서버(100)는 각각의 운송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운송 경로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운송자의 운송 노선 정보를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운송 노선 정보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상기 운송 관리 서버(100)는, 각각의 운송자 단말(300)이 수집한 각각의 운송자의 운송 경로 정보들을 취합하고, 취합된 운송 경로 정보들을 이용하여 운송자의 운송 노선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운송 노선 정보는 운송자의 이동 확률이 가장 높은 곳을 서로 이은 경로일 수 있으며, 운송자의 예상 운송 경로로 이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 관리 서버(100)는 운송자가 r1, r2, r3의 경로를 따라 각각 화물을 운송한 운송 경로 정보를 운송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운송자의 운송 노선 정보(R)가 생성된다.
상기 운송 노선 정보는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이나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운송 노선 정보의 설정을 위해 운송자의 나이, 성향, 거주지 등의 개인정보가 더욱 고려될 수 있다.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매칭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 예약 정보의 예시도이다.
다음으로 S2 단계로서, 상기 운송 관리 서버(100)는 화주 단말(2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 예약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운송 예약 정보는 화주가 화물의 운송을 의뢰하기 위한 예약 정보로 적어도 물품 정보, 출발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운송 예약 정보는 화주의 입력 시간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매칭 및 운송 노선 정보의 수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다음으로 S3 단계로서, 상기 운송 관리 서버(100)는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 예약 정보를 상기 운송 노선 정보와 각각 매칭시킨다
상기 매칭 방법은 기 설정된 운송 노선 정보에 각각의 화주로부터 입력된 운송 예약 정보를 배치하여, 예상되는 운송 노선 정보에 가장 유사한 형태로 각각의 운송자가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운송자의 화물 운송을 위한 이동 경로를 단순화하면서 화주의 화물을 효율적으로 배송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출발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반영하여 매칭이 이뤄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각의 출발지 위치 및 목적지 위치로부터 가장 가까운 경로상의 지점을 갖는 운송 노선 정보가 해당 운송 예약 정보와 매칭된다.
일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은, 상기 출발지 위치 정보와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 사이의 거리의 최소값과 상기 목적지 위치 정보와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 사이의 거리의 최소값의 평균값이 가장 작은 값인 운송 노선을 선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자 C1의 운송 노선 정보 R1이고, 운송자 C2의 운송 노선 정보가 R2가 되도록 구성되고, 화주의 운송 예약 정보가 출발지 위치 A1과 도착지 위치 B1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운송 노선 정보 중 상기 출발지 위치 A1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인 a1과 상기 도착지 위치 B1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인 b1이 각각 거리의 최소값이 되므로, 거리의 최소값의 평균값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운송 노선 정보 R1이 해당 화물의 운송 예약 정보와 매칭된다.
또한, 또 다른 운송 예약 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위치 A2와 R2의 거리의 최소값 a2 및 도착지 위치 B2와 R2의 거리의 최소값 b2가 각각 거리의 최소값의 평균값을 구하기 위한 인자가 된다.
이때, 상기 A1과 R2 또는 B1과 R2, A2와 R1 또는 B2와 R1은 그 거리의 최소값의 평균값이 상기의 경우보다 크므로 A1, B1은 R1에 매칭되고, A2, B2는 R2에 매칭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매칭 방법에 관한 또 다른 일예로,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는 운송 노선상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 영역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출발지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위치 정보와의 거리의 최소값은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는, 운송자 단말(300)로부터 선택 입력되거나 운송자의 운송 경로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운송자가 스스로 특정 지역을 유동 영역 위치로 설정할 수도 있고, 운송자의 기존 운송 경로를 분석하여 특정 지역이 유동 영역 위치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는 운송자가 운송 노선 정보를 따라 화물을 운송할 때, 운송자가 경로를 일부 이탈하여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부연하면, 운송자가 운송 노선을 가급적 이탈하지 않으면서 운송하기를 원할 때 그러한 부분에서는 추가적인 다른 화물의 운송 예약이 잘 이뤄지지 않도록 하면서도, 식사, 휴식이나 개인 용무 등을 이유로 특정 시점 또는 위치에서 운송 노선을 일부 이탈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경우, 이러한 위치를 기초로 화물 운송 예약 정보와의 매칭이 이뤄지도록 함으로써 운송자에게도 특정 위치나 특정 시간에 화물 운송을 위한 접수(출발지) 및 전달(도착지)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송자 C1의 운송 노선 정보 R1이고, 운송자 C2의 운송 노선 정보가 R2가 되도록 구성되고, 화주의 운송 예약 정보가 출발지 위치 A1과 도착지 위치 B1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출발지 위치 및 도착지 위치와의 거리의 최소값은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계산된다. 그러므로, 상기 운송 노선 정보의 유동 영역 위치 정보 중 상기 출발지 위치 A1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인 a1'과 상기 도착지 위치 B1에 가장 가까운 거리인 b1'이 각각 거리의 최소값이 되며, 거리의 최소값의 평균값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는 운송 노선 정보 R2가 해당 화물의 운송 예약 정보와 매칭된다.
또한, 또 다른 운송 예약 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위치 A2와 R1의 거리의 최소값 a2' 및 도착지 위치 B2와 R1의 거리의 최소값 b2'이 각각 거리의 최소값의 평균값을 구하기 위한 인자가 된다.
이때, 상기 A1과 R1 또는 B1과 R1, A2와 R2 또는 B2와 R2는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계산할 때, 그 거리의 최소값의 평균값이 상기의 경우보다 크므로 A1, B1은 R2에 매칭되고, A2, B2는 R1에 매칭됨을 알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의 설정 및 각각의 유동 영역 위치, 크기에 따라 각각의 화물에 대한 운송 예약 정보와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의 매칭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의 설정은 상기 운송자의 운송 경로 정보에 포함된위치 및 소요 시간 정보, 휴식 장소 정보 등 운송자의 평소 습관, 성향 등이 더욱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는, 중심 위치 정보(R1P1, R2P1) 및 영역 범위 정보(R1F1, R2F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거리의 최소값 계산시 상기 중심 위치 정보까지의 거리를 기초로 계산될 수도 있고, 상기 영역 범위 정보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까지의 거리를 기초로 계산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는 예상 운송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은,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에 상기 출발지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예상 운송 시간 정보와 상기 운송 예약 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위치 및 목적지 위치를 경유할 때 예상되는 운송 시간 정보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운송 노선을 선택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S4 단계로서, 상기 운송 관리 서버(100)는 상기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 노선 정보를 수정하고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매칭이 이뤄지면 해당 운송 노선 정보의 운송자가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의 출발지 위치 및 목적지 위치로 이동해야 하므로 해당 운송 노선 정보의 수정이 필요하다.
이 때, 해당 운송 노선 수정시 운송 노선의 수정을 최소화하면서 운송 노선 상에 각각의 출발지 위치 및 목적지 위치가 설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S5 단계로서, 상기 운송 관리 서버(100)는 상기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해당 화주 단말(200)로 송신하고, 상기 수정된 운송 노선 정보 및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를 해당 운송자 단말(300)로 송신한다.
각각의 운송자는 상기 수정된 운송 노선 정보를 따라 이동하면서 화물의 출발지에서 화물을 수집하여 목적지에 전달할 수 있으며, 단순히 운송 노선을 따라 이동하면 되므로, 화물을 수집하기 위해 찾아가거나 경로를 고민해야 하는 등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운송 관리 방법은, 상기 S2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예약 마감 시간 전까지 수신된 운송 예약 정보를 우선 예약 정보로 분류하며, 상기 S3 단계는, 미리 설정된 예약 마감 시간 이후 모든 우선 예약 정보를 대상으로 동시에 이뤄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정(00:00 AM)을 예약 마감 시간으로 설정한 경우, 예약 마감 시간 이전에 수신된 운송 예약 정보는 운송자의 운송 노선을 수정하더라도 운송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며, 동시에 모든 화물에 대한 운송 예약 정보와 운송 노선 정보를 매칭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화물 운송 관리가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로, 상기 S2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예약 마감 시간 이후 수신된 운송 예약 정보를 추가 예약 정보로 분류하며, 상기 S3 단계는, 상기 추가 예약 정보를 수신된 순서대로 상기 운송 노선 정보와 각각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예약 마감 시간(예, 00:00 AM) 이후 수신된 운송 예약 정보는 모든 운송 예약 정보를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와 동시에 매칭시키도록 하는 경우 매칭 시점에 따라 운송자에게 운송 노선 변경에 따른 큰 부담이 발생할 수 있고, 사전에 예약을 완료한 화주에게도 시간 지연이나 순서 변경 등에 따른 불합리함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예약 마감 시간 이전에 수신된 운송 예약 정보 모두에 대한 매칭이 이뤄진 다음, 수정된 운송 노선을 기초로 매칭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각의 추가 예약 정보에 대한 운송 노선 정보의 매칭이 순차적으로 이뤄지더라도 상기 S5 단계에서의 수정된 운송 노선 정보 및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의 운송자 단말(300)로의 송신은 운송자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추가 예약 정보에 대한 노선 정보의 매칭이 완료된 다음에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운송자의 운송이 개시되기 전,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전에 전달되도록 설정된다.
이 때, 예약 마감 시간 이후에 수신된 운송 예약 정보는 당일 운송에는 반영하지 않고 익일 운송에 반영하거나, 상기 우선 예약 정보를 기초로 매칭되어 수정된 운송 노선 정보와의 거리가 일정 범위 이하인 추가 예약 정보만 매칭이 이뤄지도록 하는 패널티 설정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예로, 상기 추가 예약 정보 중 미리 설정된 예약 마감 시간 이후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운송자에 의한 운송이 개시되기 전에 수신된 운송 예약 정보를 사전 예약 정보로 분류하고,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운송자에 의한 운송이 개시된 이후에 수신된 운송 예약 정보를 사후 예약 정보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사전 예약 정보 및 사후 예약 정보의 분류는 화물 운송 예약 시기에 따른 패널티를 더욱 세분화하면서 운송 노선이 확정되어 운송을 시작한 운송자의 운송 노선 변경을 최소화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사후 예약 정보는 운송 예약 정보 수신시 운송이 개시된 운송자의 운송 노선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운송 노선 정보 중에서 매칭이 이뤄지도록 한다.
다만, 상기 사후 예약 정보의 경우에도 운송자의 선택에 따라 운송이 개시된 운송자의 운송 노선 정보를 제외하지 않고 매칭이 이뤄지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적어도 운송자가 상기 운송 예약 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위치에서 일정 범위를 벗어나기 전에만 해당 운송 예약 정보와의 매칭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상기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하드 디스크나 플로피 디스크 등의 자기 기록매체, CD나 DVD 등의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 등의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쉬 메모리 등일 수 있다.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거나 구성될 수 있으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로그램 명령은 기계어 코드 또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운송 관리 시스템 100: 운송 관리 서버
200: 화주 단말 300: 운송자 단말

Claims (10)

  1. 화주 단말 및 운송자 단말과 각각 네트워크 연결되어 화주와 운송자 간의 화물 운송을 관리하도록 운송 관리 서버에서 이뤄지는 운송 관리 방법으로서,
    1) 각각의 운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운송 경로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운송자의 운송 노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는 운송 노선상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 영역 위치 정보를 포함함-;
    2) 화주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송 예약 정보는 화주가 화물의 운송을 의뢰하기 위한 예약 정보로 적어도 물품 정보, 출발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포함함-;
    3)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 예약 정보를 상기 운송 노선 정보와 각각 매칭시키는 단계;
    4) 상기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 노선 정보를 수정하고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5) 상기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해당 화주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수정된 운송 노선 정보 및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를 해당 운송자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은,
    상기 출발지 위치 정보와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 사이의 거리의 최소값과 상기 목적지 위치 정보와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 사이의 거리의 최소값의 평균값이 가장 작은 값인 운송 노선을 선택하는 것이며,
    상기 출발지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위치 정보와의 거리의 최소값은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는,
    운송자 단말로부터 선택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는 상기 운송자의 운송 경로 정보를 기초로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는,
    중심 위치 정보 및 영역 범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는 예상 운송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은,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에 상기 출발지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위치 정보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예상 운송 시간 정보와 상기 운송 예약 정보에 포함된 출발지 위치 및 목적지 위치를 경유할 때 예상되는 운송 시간 정보의 차이를 최소화하는 운송 노선을 선택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예약 마감 시간 전까지 수신된 운송 예약 정보를 우선 예약 정보로 분류하며,
    상기 3) 단계는, 미리 설정된 예약 마감 시간 이후 모든 우선 예약 정보를 대상으로 동시에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예약 마감 시간 이후 수신된 운송 예약 정보를 추가 예약 정보로 분류하며,
    상기 3) 단계는,
    상기 추가 예약 정보를 수신된 순서대로 상기 운송 노선 정보와 각각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방법.
  10. 화주의 운송 예약 정보를 입력받는 기능을 갖는 화주 단말;
    운송자의 화물 운송 경로를 인식하는 운송자 단말; 및
    상기 화주 단말 및 운송자 단말과 네트워크 연결되어 화주와 운송자 간의 운송을 관리하는 운송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운송 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운송 관리 서버는,
    각각의 운송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운송 경로 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운송자의 운송 노선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는 운송 노선상에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동 영역 위치 정보를 포함함-,
    화주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운송 예약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운송 예약 정보는 화주가 화물의 운송을 의뢰하기 위한 예약 정보로 적어도 물품 정보, 출발지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위치 정보를 포함함-,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 예약 정보를 상기 운송 노선 정보와 각각 매칭시키는 기능,
    상기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 노선 정보를 수정하고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운송 예약 확인 정보를 해당 화주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수정된 운송 노선 정보 및 매칭된 운송 예약 정보를 해당 운송자 단말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미리 설정된 매칭 방법은,
    상기 출발지 위치 정보와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 사이의 거리의 최소값과 상기 목적지 위치 정보와 상기 각각의 운송 노선 정보 사이의 거리의 최소값의 평균값이 가장 작은 값인 운송 노선을 선택하는 것이며,
    상기 출발지 위치 정보 및 상기 목적지 위치 정보와의 거리의 최소값은 상기 유동 영역 위치 정보를 기초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KR1020190094605A 2019-08-02 2019-08-02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 KR102093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605A KR102093511B1 (ko) 2019-08-02 2019-08-02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605A KR102093511B1 (ko) 2019-08-02 2019-08-02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511B1 true KR102093511B1 (ko) 2020-03-25

Family

ID=7000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605A KR102093511B1 (ko) 2019-08-02 2019-08-02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5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575A (ko) 2020-12-02 2022-06-09 박진우 운송자의 경로, 시간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최적화된 물품 운송 방법
KR20220111361A (ko) 2021-02-02 2022-08-09 김병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755B1 (ko) 2006-05-04 2008-11-21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를 이용한 물류배송방법
KR20110050036A (ko) 2009-11-06 2011-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94395B1 (ko) * 2015-05-06 2016-02-16 조희은 네트워크 상에서의 물품 배송자 중개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중개 서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755B1 (ko) 2006-05-04 2008-11-21 한국도로공사 고속도로를 이용한 물류배송방법
KR20110050036A (ko) 2009-11-06 2011-05-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배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94395B1 (ko) * 2015-05-06 2016-02-16 조희은 네트워크 상에서의 물품 배송자 중개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중개 서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575A (ko) 2020-12-02 2022-06-09 박진우 운송자의 경로, 시간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최적화된 물품 운송 방법
KR102627576B1 (ko) 2020-12-02 2024-01-24 박진우 운송자의 경로, 시간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최적화된 물품 운송 방법
KR20220111361A (ko) 2021-02-02 2022-08-09 김병노 물류 흐름 개선용의 화물 운송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33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ioritizing trailers at receiving facility
JP5032131B2 (ja) 到着予定時刻(eta)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3068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ffirmative fulfillment of an order based on same day material availability during operating hours
US20200134557A1 (en) Logistical service for processing modular delivery requests
CA3080055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online transport logistics service management
US2005016562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lanning the delivery of goods
US20040030604A1 (en) Parcel or service delivery with partially scheduled time windows
CN109345161A (zh) 一种面向价值流的配送派单方法
US20080077464A1 (en) Vehicle scheduling and routing with trailers
KR101799458B1 (ko) 공유경제형 협력적 배송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734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delivery flexibility and communication
US201803419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vitation mechanisms to facilitate associate delivery of products en route from work
US202002267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Distributed Logistics Using Automated Sorting Facilities and Dynamic Routing
MXPA03000231A (es) Sistemas y metodos para la administracion en cadena del cumplimiento y suministro de extremo a extremo.
KR102093511B1 (ko) 화주-운송자 간 운송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운송 관리 방법
US202302061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utation of Transshipment Locations
Sarasola et al. Adaptive large neighborhood search for the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synchronization constraints at the delivery location
JP7455313B2 (ja) 入出庫予約システム、入出庫予約装置、入出庫予約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226243A (zh) 用于公开和集成多个供应链和递送网络以优化容量使用的系统和方法
Zhang et al. Dynamic vehicle routing with random requests: A literature review
Guo et al. Anticipatory approach for dynamic and stochastic shipment matching in hinterland synchromodal transportation
JP2007084320A (ja) 鉛蓄電池配送システム
JP6884315B2 (ja) 物流支援方法、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2183257A (ja) 受発注管理システム
JP2021527898A (ja) 将来の運送を計画するためのインタラクティ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