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3807B1 -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3807B1
KR102023807B1 KR1020170014299A KR20170014299A KR102023807B1 KR 102023807 B1 KR102023807 B1 KR 102023807B1 KR 1020170014299 A KR1020170014299 A KR 1020170014299A KR 20170014299 A KR20170014299 A KR 20170014299A KR 102023807 B1 KR102023807 B1 KR 10202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stics
route
destination
transport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9922A (ko
Inventor
오용희
Original Assignee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4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8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물류방법은 물류정보 시스템이 소정의 물류 건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물류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물류 건의 탑재지 및 상기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들 중 물류노선을 결정하는 단계-상기 물류노선은 상기 복수의 노선들 중 제1노선 및 제2노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노선에 상응하는 정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탑재지이고, 상기 제2노선에 상응하는 정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목적지에 상응하는 후보 정차장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1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1운송자 및 상기 제2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2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managing logistics using plural route vehicles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정해진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차량(예컨대, 통학용 스쿨버스, 직장 출퇴근 버스 등)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물류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노선차량을 이용한 물류에 있어서, 물류요청을 선택적으로 허용하거나 또는 차별적인 운임을 설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물류에 이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특정 목적지를 제한된 탑승자를 위해 운행하는 노선차량(예컨대, 스쿨버스, 출퇴근 버스 등)은 제한된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므로, 주로 그 목적에 부합하는 용도(예컨대, 등교, 출퇴근 등)만으로 제한되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특정 목적지(예컨대, 학교 또는 직장 등)를 위해 반복적으로 운행되는 노선이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또는 지역)으로 노선차량들이 주기적으로 운행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노선차량들을 효과적으로 물류에 활용하는 경우 에너지의 절감 및 새로운 수익의 창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1-0100725 "인터넷과 노선 버스를 이용한 물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물류방법" 한국공개특허 10-2016-0000921 " 노선 버스 예약 시스템 및 예약 좌석변경 알림서비스 제공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특정 목적지(예컨대, 학교, 직장 등)에 관련된 탑승자를 위해 운행되는 노선 차량을 이용하여 해당 탑승자가 물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어느 하나의 물류 건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노선차량들이 필요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물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특정 목적지(예컨대, 학교 또는 직장 등)의 구성원을 위해 운영되는 노선차량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노선차량의 운행목적에 부합하는 범위 내에서 효과적으로 물류요청을 선별하거나 또는 차별적인 운임정책을 가질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복수의 노선들에 따라 운행하며 상기 복수의 노선들 각각에는 복수의 정차장들이 설정되어 있는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은 물류정보 시스템이 소정의 물류 건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물류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물류 건의 탑재지 및 상기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들 중 물류노선을 결정하는 단계-상기 물류노선은 상기 복수의 노선들 중 제1노선 및 제2노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노선에 상응하는 정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탑재지이고, 상기 제2노선에 상응하는 정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목적지에 상응하는 후보 정차장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1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1운송자 및 상기 제2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2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1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1운송자 및 상기 제2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2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물류 건의 물류 요청자의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지정인을 상기 제1운송자 또는 제2운송자로 요청하는 운송자 지정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송자 지정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지정인을 상기 제1운송자 또는 상기 제2운송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1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1운송자 및 상기 제2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2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2노선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2후보 운송자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2후보 운송자들 중에서 상기 제2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2운송자의 탑승지를 하차지로 갖는 제1후보 운송자들 중에서 상기 제1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1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1운송자 및 상기 제2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2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1노선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1후보 운송자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1후보 운송자들 중에서 상기 제1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1운송자의 하차지를 탑승지로 갖는 제2후보 운송자들 중에서 상기 제2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은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1운송자의 단말기 및 상기 제2운송자의 단말기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을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운송자와 상기 제2운송자간에 상기 물류 건의 전달지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물류 건의 전달지는 상기 노선의 공통된 목적지에 상응하는 제1영역에 포함된 소정의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은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리 정해진 복수의 노선들에 따라 운행하며 상기 복수의 노선들 각각에는 복수의 정차장들이 설정되어 있는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시스템은 소정의 물류 건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물류요청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물류요청모듈, 상기 물류 건의 탑재지 및 상기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들 중 물류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노선결정모듈-상기 물류노선은 상기 복수의 노선들 중 제1노선 및 제2노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노선에 상응하는 정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탑재지이고, 상기 제2노선에 상응하는 정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목적지에 상응하는 후보 정차장임-, 및 상기 제1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1운송자 및 상기 제2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2운송자를 결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르면 특정 목적지와 관련된 탑승자들을 위해 운행하는 노선차량의 경우 탑승자가 제한되어 있고 탑승자가 주기적으로 상기 노선차량을 탑승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 및 탑승자의 목적지 또는 승차지의 관리가 용이할 수 있고,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탑승자가 물류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는 자신의 목적지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물류의 수행에 따른 이득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선차량의 운행주체(예컨대, 학교, 직장 등) 역시 저렴하거나 낮은 비용으로 물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추가적인 이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물류 건을 수행하기 위해 복수의 노선차량들이 필요한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물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특정 목적지(예컨대, 학교 또는 직장 등)의 구성원을 위해 운영되는 노선차량들의 특성을 반영하여, 노선차량들 각각의 정차장의 위치와 물류 건의 목적지에 기초하여 선별적으로 물류요청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노선차량의 본질적인 목적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물류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차장의 위치, 물류 건의 목적지, 및 탑승자의 현황에 따라 차별적인 운임정책을 설정함으로써 합리적인 비용정책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노선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을 위한 노선 및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정보 시스템의 구현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노선들 중 물류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물류노선을 운행하는 복수의 노선차량들 중 물류노선 차량을 특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운송자를 결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정차장의 위치와 목적지 간의 관계에 기초항 물류의 운용결정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탑승자의 현황에 기초하여 물류의 운용결정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노선차량들을 이용하여야 하는 물류 건의 수행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노선차량들을 이용하여야 하는 물류 건의 수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도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를 '직접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지 않고 상기 다른 구성요소로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노선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을 위한 노선 및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노선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탑승자를 특정할 수 있는 노선차량 즉, 소정의 목적지(예컨대, 학교 또는 직장 등)를 운행하는 차량(예컨대, 버스, 승합차, 자가용 등)이면서 해당 목적지의 운영주체가 제한된 탑승자에게 탑승을 허용하는 차량일 수 있다. 노선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노선(예컨대, 제10. 20)을 따라 운행할 수 있다.
각각의 노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복수의 정차장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노선은 서로 다른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노선은 상기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차량의 목적지(예컨대, 학교, 직장 등)인 목적지 영역(30)과 그 외의 영역(이하, 기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노선(10)은 목적지 영역(30) 및 기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목적지 영역(3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정차장(31, 32, 33, 34)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지 영역(30)에는 목적지의 사정이나 크기에 따라 하나의 정차장만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목적지 영역(30)에 복수의 정차장들이 포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타영역에도 역시 적어도 하나의 정차장(11, 12, 13, 14)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노선(20) 역시 목적지 영역(30) 및 기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노선(20)의 목적지 영역(30)은 제1노선(10)의 목적지 영역(30)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노선(10)의 목적지 영역(30)의 정차장과 제2노선(20)의 목적지 영역(30)의 정차장은 도 1에서는 동일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구현 예에 따라 각 노선의 목적지 영역(30) 내의 정차장들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제2노선(20)의 기타영역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정차장(21, 22, 23, 24, 25)이 존재할 수 있다.
목적지에 따라 더 다양한 노선들이 존재할 수 있고, 정차장들의 숫자 및 위치는 다양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물류 요청자는 물류 요청정보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정보 시스템, 이하, 물류정보 시스템(100))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물류요청 정보는 물류의 목적지(40)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배송희망시간, 물류가 수행될 물건의 특성(크기, 무게, 취급주의 사항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복수의 노선들(10, 20) 중 상기 물류를 수행하기 위한 노선 즉, 물류노선을 결정할 수 있다.
물류노선이 결정되면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상기 물류노선을 운행하는 복수의 노선차량들 중 상기 물류를 수행할 차량 즉,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할 수 있다.
물류노선 차량이 결정되면,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해당 물류정보를 수행할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운송자는 상기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일 수 있다. 상기 탑승자는 상기 물류노선 차량을 탑승하기로 예약한 사람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물류 건의 요청이 이루어진 경우, 복수의 탑승예정자들에게 물류 요청정보를 공지하고, 공지된 물류 요청정보에 기초하여 탑승자가 물류노선 차량을 탑승하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물류노선은 시간 순으로 제1노선차량, 제2노선차량, 제3노선차량이 운행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정의 탑승자는 통상 제3노선차량을 탑승하는 자일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탑승자는 상기 제2노선차량이 물류노선 차량으로 결정된 물류건이 존재하고 물류의 목적지가 자신의 행선지 인근일 경우, 제2노선차량을 탑승하고자 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노선차량의 탑승자 또는 탑승예정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알고 있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노선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예약을 수행하거나, 탑승자 명단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소정의 차량에 대한 예약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은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주요한 특징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노선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물류정보 시스템(100)의 구현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정보 시스템의 구현 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물류정보 시스템(1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목적지를 운행하는 복수의 노선들을 이용하여 물류를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소정의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미도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적어도 한 명의 탑승자의 단말기(200, 2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탑승자의 단말기(200, 2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특정 물류 건을 수행할 운송자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물류요청자의 단말기(2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물류요청자의 단말기(220)와 통신을 수행하여 물류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110), 물류요청 모듈(120), 및 노선결정 모듈(130)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DB(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한 논리적인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를 의미하거나 하나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구비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인 결합을 의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는 서로 이격된 장치에 설치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논리적인 구성들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 또는 역할별로 별도로 구현되는 구성들의 집합을 의미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 상기 물류요청 모듈(120), 노선결정 모듈(130), 및/또는 상기 DB(140) 각각은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물리적 장치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제어모듈(110), 상기 물류요청 모듈(120), 노선결정 모듈(130), 및/또는 상기 DB(140) 각각을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의 결합 역시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위치한 구성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각각의 상기 구성들을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resource)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예컨대, 물류요청 모듈(120), 노선결정 모듈(130), 및/또는 상기 DB(140)의 기능 및/또는 리소스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물류요청 모듈(120)은 상기 물류요청 단말기(220)로부터 물류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물류요청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류요청자가 요청한 물류 건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배송희망시간, 물건의 특성 등에 대한 정보가 상기 물류요청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물류요청자는 목적지(예컨대, 학교, 직장 등)와는 무관한 일반인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물류요청자 역시 상기 목적지와 연관된 특정 자격이 있는 자만이 되도록 제한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물류요청 모듈(120)은 물류요청자를 소정의 방식(예컨대, 학번, 사원번호 등을 이용한 인증)으로 인증할 수도 있다.
상기 물류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물류노선을 결정할 수 있다(S110).
물류노선은 상기 목적지를 위해 설정되는 복수의 노선들(10, 20 등) 중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노선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반드시 어느 하나의 노선만을 물류노선으로 결정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노선들이 물류노선으로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목적지(40)와 복수의 노선들(10, 20)에 포함된 정차장의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물류노선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노선들 중 물류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물류요청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4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복수의 노선들(10, 20) 각각에 포함된 정차장들(예컨대, 12, 13, 14, 21, 22, 23)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상기 목적지와 각각의 정차장들(예컨대, 12, 13, 14, 21, 22, 23)의 거리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후보 정차장을 특정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후보 정차장은 목적지(40)와의 거리가 가장 짧은 정차장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 목적지(40)와의 거리가 소정의 기준 거리(예컨대, 5km) 이내이기만 하면 해당 정차장은 모두 후보 정차장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목적지(40)와의 이동시간이 기준 시간(예컨대, 30분) 이내인 정차장이 후보 정차장으로 특정될 수도 있다. 후보 정차장을 특정하기 위한 다양한 기준이 이용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특정된 후보 정차장을 포함하는 노선을 물류노선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정차장(12) 하나만이 후보 정차장으로 특정된 경우, 상기 제1정차장(12)을 포함하는 노선 즉, 제1노선(10)이 물류노선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물류노선이 결정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물류노선 차량을 특정할 수 있다(S120). 그리고 물류노선 차량이 특정되면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S130).
상기 물류노선 차량은 물류노선을 운행하는 노선차량 중에서 실제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노선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노선(10)을 운행하는 노선차량은 미리 정해진 시간 스케줄에 따라 복수 개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노선(10)을 운행하는 복수의 노선차량들 중에서 상기 물류를 수행할 노선차량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노선을 운행하는 노선차량들은 운행시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물류노선이 결정된 후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류 건의 배송희망시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물류노선을 운행하는 복수의 노선차량들 중 물류노선 차량을 특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노선(10)을 운행하는 노선차량(제1차량, 제2차량, 제3차량) 각각의 운행시간에 대한 정보가 상기 DB(14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운행시간에 대한 정보에는 각각의 정차장별 도착시간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물류건의 물류요청 정보에 배송희망 시간이 포함된 경우, 상기 운행시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배송희망시간이 6:00이고 후보 정차장이 제3정차장인 경우에는 제1차량 및 제2차량이 물류노선 차량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차량은 물류노선 차량으로 선택될 수 없다. 물류노선 차량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후보 정차장과 목적지 사이의 거리 및/또는 소요시간이 더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제3정차장과 목적지(40)간의 거리 또는 소요시간이 40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술한 예에서 물류노선 차량은 제1차량만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거리 또는 소요시간이 20분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제1차량 및 제2차량이 모두 물류노선 차량으로 선택될 수 있다.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제어모듈(110)은 물류노선을 운행하는 복수의 노선차량들 중에서 물류노선 차량을 적어도 하나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결정된 물류노선 차량을 이용하여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차량의 탑승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운송자를 결정하기 위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노선차량별 탑승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노선차량별 탑승자에 대한 정보는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에 의해 유지 관리될 수 있다. 탑승자들은 상기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을 통해 자신이 탑승할 노선차량을 예약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은 탑승자별로 승차지, 하차지 등을 유지/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의 구분(또는 신분, 예컨대, 학생, 교직원 등)에 대한 정보가 더 유지/관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물류 노선차량에 상응하는 후보차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후보차량에 탑승할 탑승자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후보 운송자로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 운송자 중에서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들 중에서만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물류노선 차량만이 후보차량이 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가 아니더라도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 타 노선차량의 탑승자 중에서 상기 운송자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물류노선 차량과 운행시간의 간격이 일정 시간 내를 만족하는 노선차량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노선차량을 이용해서 물류를 수행하여도 물류 시간에는 큰 영향이 없으면서도 후보 운송자의 범위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해당 노선차량 역시 후보차량에 포함될 수 있다.
후보차량 역시 배송희망시간에 따라 그 선정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제1차량이 물류노선 차량으로 선택되고, 제1차량과 제2차량은 운행시간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짧지만, 제2차량으로 물류를 수행할 경우 배송희망시간에 부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제2차량은 후보차량으로 선택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후보차량의 선정에는 물류노선 차량과의 시간간격 및/또는 배송희망시간에 대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차량의 탑승자를 이용하여 적응적이고 효과적인 운송자 결정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차량 중 물류노선 차량과 그 외의 노선차량 간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후보차량의 탑승자 중에서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상기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 중에서 운송자를 결정하지 못하거나 운송자를 결정하는데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는, 후보차량의 탑승자를 후보 운송자의 범위에 포함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 인원수에 따라 물류노선 차량 이외의 후보차량의 탑승자를 후보 운송자로 포함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가 소정의 숫자 이상이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물류노선 차량만을 우선 후보차량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가 일정 숫자 이하이면, 상기 물류노선 차량 및 시간간격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노선차량이 후보차량으로 선정될 수도 있다.
기타 다양한 방식으로 후보차량이 선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차량의 탑승자 전체가 후보 운송자로 결정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탑승자들 간에 불필요한 경쟁을 가져올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특정 목적지를 운행하는 노선차량들을 그 목적에 비해 지나치게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는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차량의 탑승자 중에서 탑승자의 하차지와 물류 건의 목적지(40)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탑승자를 후보 운송자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일정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하차지가 목적지(40)에 상응하는 후보 정차장을 지나가는 탑승자를 후보 운송자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후보 정차장이 하차지인 탑승자가 후보 운송자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후보 운송자를 결정하기 위한 조건 또는 규칙이 설정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탑승자들은 자신의 탑승계획과 크게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물류 건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류건을 수행할 운송자가 되기 위해 과도한 경쟁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일 예에서 탑승자 1은 승차지가 a이고, 하차지가 e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차량이 후보차량에 포함되고, 탑승자 1은 후보 정차장이 e이거나 a 에서 e 사이인 경우의 물류 건에 대해서만 후보 운송자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후보 정차장이 a와 e 사이의 소정의 정차장인 d라면, 상기 탑승자 1은 자신의 하차지 e 전의 정차장인 d에서 물건을 하역할 수 있다. 하역된 물건은 후보 정차장에서 목적지까지 타인에 의해 운송될 수도 있다. 즉, 후보 정차장과 목적지까지의 물류가 타인에 의해 수행될 경우에는, 후보 운송자는 후보 정차장을 지나가는 하차지를 갖는 탑승자로 결정될 수도 있다.
만약 운송자가 후보 정차장으로부터 목적지까지 직접 물류를 수행하여야 할 경우에는, 후보 정차장과 하차지가 동일한 탑승자만이 후보 운송자로 결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 운송자가 결정되면, 후보 운송자 중에서 적어도 한 명을 운송자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후보 운송자 각각의 단말기로 상기 물건의 운송에 대한 물류요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 방법은 SMS 또는 MMS가 이용될 수도 있고, 이메일, 후보 운송자의 단말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푸시 메시지 등이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10)은 송신된 상기 물류요청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가장 먼저 물류를 수행하겠다고 응답을 한 후보 운송자가 운송자로 결정될 수도 있다. 또는 후보 운송자가 대가를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된 경우, 가장 낮은 가격으로 물류를 수행할 후보 운송자가 운송자로 결정될 수도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후보 운송자 중에서 운송자가 결정될 수 있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서는 물류 건의 탑재지와 탑승자의 승차지에 따라 후보 운송자를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노선차량들이 공통으로 운행하는 목적지(예컨대, 학교 또는 직장)의 목적지 영역(30)에 포함된 정차장 중 어느 하나가 물건의 탑재지일 수 있다. 이러한 탑재지에 대한 정보는 물류요청 정보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도 1에서 목적지 영역(30)에 포함된 특정 정차장(예컨대, 31)이 물건의 탑재지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은 탑승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탑재지가 승차지와 동일한 탑승자만을 후보 운송자로 결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상기 목적지 영역(30) 내의 정차장(31,32, 33, 34) 중 어느 하나(31)가 탑재지일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상기 목적지 영역(30) 내의 타 정차장(32, 33, 34)이 승차지인 탑승자도 후보 운송자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목적지 영역(30)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탑승자가 승차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제로도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목적지 영역(30) 내에서는 승차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할 수 있다.
물론, 목적지 영역(30)이외의 기타영역이 물건의 탑재지인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은 승차지가 상기 탑재지와 동일한 탑승자만을 후보 운송자로 결정할 수도 있다.
결국, 상기 제어모듈(110)은 물건의 탑재지와 탑승자의 승차지(승차 정차장)에 따라 후보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목적지와 탑승자의 하차지(하차 정차장)에 따라 후보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러면 후보 운송자 중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방식으로 운송자가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운송자는 물건의 물류를 수행하고, 미리 정해진 소정의 대가를 획득할 수 있다. 물론, 물류요청자가 지불해야할 지불금액 중 일부는 운송자에게 지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목적지의 운영주체(예컨대, 학교측, 또는 직장측))에게 지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노선차량들을 물류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목적지(예컨대, 학교 또는 직장)의 구성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원래의 노선차량들의 운행 목적이 다소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노선차량들의 고유의 운행목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물류를 담당할 수 있도록 노선차량들의 물류 운용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정차장의 위치와 목적지 간의 관계에 기초항 물류의 운용결정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물류요청 모듈(120)은 물류요청자의 단말기(220)로부터 물류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류요청 정보에는 물류 건의 목적지(40, 41)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목적지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물류 건을 허용할지(즉, 해당 물류 건을 수행할지) 거부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상기 목적지가 어디인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물류 건을 허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정에는 상기 노선차량들이 운행하는 노선의 위치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선들 각각의 정차장의 위치가 허용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는 노선차량들을 이용하여 해당 노선차량들이 운행하는 원래의 노선과 전혀 무관한 목적지를 갖는 물류 건을 수행할 경우에는 노선차량들의 고유한 목적인 구성원들의 편의를 제공하는데에 오히려 부적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노선차량들을 이용하여 물류를 수행할 실익도 매우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은 물류 건의 목적지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노선차량들의 정차장이 존재하여야 물류 건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10)은 정차장들 각각으로부터 일정 거리범위 내에 해당하는 영역들을 물류 건을 허용할 영역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목적지(40)는 노선차량들이 정차하는 정차장들(예컨대, 도 1에 도시된 정차장 11 내지 14, 21 내지 25, 31 내지 34) 중 적어도 하나의 정차장인 후보 정차장(예컨대, 12)로부터 소정의 제1거리범위(예컨대, 1km)내의 영역 즉, 제1바운더리(boundary, 50)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목적지(41)는 상기 제1거리범위 내에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목적지(41)는 상기 제1거리범위보다는 더 긴 거리를 갖는 제2거리범위(예컨대, 2km) 내의 영역 즉, 제2바운더리(51)에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정차장들별로 제1바운더리(50) 및 제2바운더리(51)가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어느 하나의 바운더리만 설정될 수도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1목적지(40)에 해당하는 물류 건은 허용하도록 결정할 수 있고, 상기 제2목적지(41)에 해당하는 물류 건은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제2목적지(41)로 물건을 운송해달라는 물류 건의 요청이 물류요청 모듈(120)을 통해 입력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물류 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물류 서비스로는 허용되지 않는 지역이라는 정보를 물류요청자의 단말기(220)로 출력할 수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 상기 제어모듈(110)은 목적지가 제1바운더리(50)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제2바운더리(51)에만 포함되면 해당 물류 건은 허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바운더리(51)에도 포함되지 않는 목적지를 가지는 물류 건은 거부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에서는 두 개의 바운더리만을 설정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제어모듈(110)은 하나 또는 세 개 이상의 바운더리를 설정하고 그에 따라 물류 건의 허용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각각의 바운더리들은 물류 건의 허용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지만, 물류 건의 운임비용을 설정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즉, 노선차량들이 원래의 각각의 정차장들에 정차하는 것이 예정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정차장들로부터 얼마나 거리가 먼지가 물류 건의 운임비용을 결정하는 요소로 이용되는 것이 합리적일 수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서는 운임비용을 결정하는 요소로 물류 건을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노선 상의 거리(또는 정차장의 수)가 더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물류 건은 노선차량들의 탑승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해당 물류 건을 수행하기 위한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의 현황이 운임비용을 결정하는 요소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탑승자의 현황에 따라 물류 건의 허용여부가 결정될 수도 있다.
이처럼 물류 건을 허용할지 여부 또는 물류 건의 운임비용을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본 명세서에서는 운용결정 프로세스로 정의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탑승자의 현황을 이용하여 운용결정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일 예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탑승자의 현황에 기초하여 물류의 운용결정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8a를 참조하면, 소정의 목적지(40)가 존재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후보 정차장(예컨대, 13)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10)은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을 통해 상기 노선에서 정차장별 하차인원을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정차장(11)에서는 하차인원이 5명이고, 제2정차장(12)에서는 10명일 수 있으며, 제3정차장인 후보 정차장에서는 하차인원이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제4정차장(14)에서는 10명의 하차인원이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물류노선 차량의 운행방향은 제4정차장(14)에서 제1정차장(11) 방향이라고 가정하도록 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 정차장(예컨대, 13)에 하차할 탑승자 즉 적격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는 아예 해당 물류 건을 허용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노선차량의 원래의 목적대로 이용하면서도 물류 건을 수행할 수 있는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물류를 허용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보 정차장(예컨대, 13)에 하차할 인원 즉, 적격 탑승자가가 없더라도 해당 물류 건을 허용하기는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타 정차장에서 하차할 탑승자에 의해 물류 건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후보 정차장(예컨대, 13) 이후에 정차하는 후속 정차장(예컨대, 11, 12)에 하차할 예정인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110)은 해당 물류 건을 허용할 수 있다. 그리고 후속 정차장(예컨대, 11, 12)에 하차 예정인 탑승자가 없으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해당 물류 건을 거부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110)은 비록 후보 정차장(예컨대, 13)에 하차할 탑승자는 없더라도 후속 정차장(예컨대, 11, 12)에 하차할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후속 정차장(예컨대, 11, 12)에 하차할 탑승자 중에서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후속 정차장(예컨대, 11, 12)에 하차할 탑승자도 없는 경우에는 물류 건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후보 정차장(예컨대, 13)에 하차할 탑승자는 후보 정차장(예컨대, 13)에서 물건을 하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전 정차장(예컨대, 14)에서 하차할 탑승자가 후보 정차장(예컨대, 13)에서 물건을 하차하도록 하는 것은 원래의 목적에 비해 지나치게 부합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때에는 후보 정차장(예컨대, 13)에서부터 목적지(40)까지의 배송은 운송자가 아닌 타인이 수행하는 경우일 수 있다. 만약 운송자가 목적지(40)까지 배송을 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적격 탑승자가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해당 물류 건을 허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물론 운송자는 적격 탑승자가 중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처럼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 각각의 하차지의 현황에 따라 물류 건의 허용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 각각의 하차지의 현황에 따라 운임비용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예컨대, 적격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운임비용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적격 탑승자가의 수에 따라 운임비용이 달라질 수도 있다.
예컨대, 적격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운임비용이 낮아지도록 상기 제어모듈(110)은 운임비용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적격 탑승자가의 수가 많을수록 운임비용이 낮아질 수도 있다.
예컨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격 탑승자가 10명인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경우에는 적격 탑승자가 10명보다 작은 1명 또는 2명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110)은 적격 탑승자가 10명인 경우의 운임비용을 적격 탑승자가 1명 또는 2명인 경우에 비해 낮게 책정할 수 있다. 이는 해당 물류 건을 수행할 수 있는 탑승자가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운송자의 결정에 있어서 좀 더 쉬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적격 탑승자가 많다는 것은 후보 정차장(예컨대, 13) 인근에 상대적으로 많은 구성원들이 살거나 또는 활동을 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지역으로의 물류 건은 좀 더 운임비용을 낮게 책정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적격 탑승자뿐만 아니라 후속 정차장에 하차할 탑승자 즉, 후속 탑승자의 현황이 운임비용 결정에 이용될 수도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적격 탑승자의 수 및 후속 탑승자의 수가 많을수록 운임비용을 낮게 책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모듈(110)은 적격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만 후속 탑승자의 현황을 이용하여 운임비용을 결정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적격 탑승자가 있는 경우에는 숫자와 관계없이 동일한 제1운임을 결정하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적격 탑승자의 수에 따라 차등적으로 운임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적격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속 탑승자의 수와 무관하게 제1운임보다 비싼 제2운임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제어모듈(110)은 후속 탑승자의 수가 많을수록 차등적으로 운임을 결정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물류 건의 목적지와 탑승자의 현황에 따라 효과적으로 물류를 수행할지 여부 또는 수행할 경우 얼마의 운임을 책정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어느 하나의 물류 건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노선차량들 즉, 서로 다른 노선을 운행하는 차량들이 이용되어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효과적으로 운송자를 결정하는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는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노선차량들을 이용하여야 하는 물류 건의 수행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물류요청자의 단말기(220)로부터 물류요청 모듈(120)로 수신되는 물류요청 정보에는 물류 건의 탑재지에 대한 정보 및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예에 의하면, 상기 물류요청 모듈(120)은 물류 건의 탑재지는 정차장들 중 어느 하나로 선택받을 수 있다. 즉, 물류 요청자가 운송할 물건을 어느 하나의 정차장(예컨대, 12)까지는 가지고 와야지 물류가 수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물론, 구현 예에 따라 정차장이 아닌 임의의 위치가 물류의 배송시작 지점이 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해당 물건의 탑재지는 정차장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에 탑재지의 선정은 전술한 후보 정차장을 선정하는 방식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물류요청 정보에는 배송시작점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탑재지에 대한 정보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재지(예컨대, 12)는 제1노선(10)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정차장일 수 있다.
그리고 노선결정 모듈(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후보 정차장(예컨대, 22)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후보 정차장(예컨대, 22)은 제2노선(20)에 포함된 정차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노선결정 모듈(130)은 제1노선 및 제2노선을 모두 물류노선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물류 건은 제1노선 및 제2노선 모두를 이용하여야 하는 물류 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각각의 노선들 별로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탑승자들이 원래 이용하던 승차지 및 하차지를 이용하여 물류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류를 위해 어느 한 명의 탑승자가 다른 노선의 차량까지 타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물건을 전달하여야 할 전달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노선의 제1운송자로부터 제2노선의 제2운송자는 물류 건의 물건을 전달받아야 하므로 효과적으로 전달지를 결정하여야 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전달지는 목적지 영역(30) 내의 정차장들(31, 32, 33, 34)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목적지 영역(30)이 공통적으로 제1노선의 노선차량 및 제2노선의 노선차량이 운행하는 영역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전달지는 제1운송자의 하차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달지는 제2운송자의 승차지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제1운송자와 제2운송자가 상기 목적지 영역(30) 내의 소정의 위치를 전달지로 협의하여 결정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는 목적지 영역(30)내라면 제1운송자 및/또는 제2운송자는 어느 정도 하차지 또는 승차지를 변경하는 것이 큰 부담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목적지 영역(30)에 해당하는 기관의 구성원들인 제1운송자 및 제2운송자는 정차장이 아닌 소정의 위치에서 물건을 전달하도록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노선에 상응하는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들 중에서 제1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2노선에 상응하는 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들 중에서 제2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운송자는 물류요청자일 수 있다. 즉, 물건의 배송을 요청하는 자가 자신을 스스로 제1운송자로 지정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이는 물류 요청자가 노선차량들을 운행하는 목적지에 해당하는 기관의 구성원일 수 있고, 이러한 구성원이 물류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물류요청자가 제1운송자가 되겠다고 요청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후보 운송자들을 결정하고 그 중에서 운송자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할 필요 없이 물류 요청자를 제1운송자로 결정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물류 요청자가 제1운송자를 지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물류 요청자 본인은 노선차량을 이용할 계획이 없지만 친구 또는 지인이 노선차량을 이용할 계획이 있다면 친구 또는 지인을 제1운송자로 지정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물류 요청자는 제1운송자를 지정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고, 이러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물류 요청자에 의해 지정된 지정인이 제1운송자가 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물류 요청자는 제2운송자를 지정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고, 이러한 경우에도 지정인이 제2운송자가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물류요청자의 단말기(220)로부터 제1운송자 또는 제2운송자를 지정하는 지정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노선 및 제2노선 각각에서 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모듈(110) 제1노선의 제1물류노선 차량에서 제1후보 운송자를 결정하고, 제1후보 운송자 중에서 제1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2노선의 제2물류노선 차량에서 제2후보 운송자를 결정하고, 제2후보 운송자 중에서 제2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운송자(또는 상기 제2운송자)가 결정되면, 결정된 제1운송자(또는 상기 제2운송자)가 제2운송자(또는 제1운송자)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1노선(또는 제2노선)의 제1운송자(또는 제2운송자)를 먼저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노선(또는 제2노선)에 상응하는 제1후보 운송자(또는 제2후보 운송자)를 추출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예컨대, 제1후보 운송자는 탑재지(예컨대, 12)에서 탑승하거나 또는 탑재지(예컨대, 12) 이전에 이미 탑승하고 있는 탑승자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차지가 목적지 영역(30) 내의 정차장 중 어느 하나를 갖는 탑승자가 제1후보 운송자일 수 있다.
예컨대, 제2후보 운송자는 적어도 목적지 영역(30) 내의 정차장이 승차지이며 후보 정차장(예컨대, 22) 또는 후속 정차장(예컨대, 21)이 하차지인 탑승자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어모듈(110)이 제2운송자를 먼저 결정하는 경우에는, 제2후보 운송자 중에서 어느 한 명이 제2운송자로 결정될 수 있다. 제2운송자가 결정되면 제2운송자의 승차지가 결정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1후보 운송자를 결정할 때 상기 제2운송자의 승차지를 하차지로 하는 탑승자를 우선 상기 제1후보 운송자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후보 운송자에서 제1운송자가 결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하차지와 무관하게 승차지에 따라 제1후보 운송자(예컨대, 탑재지(예컨대, 12)가 승차지이거나 이전 정차장에서 승차한 탑승자)를 결정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목적지 영역(30)으로 운행하는 노선차량의 경우에는 하차지가 미리 특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1후보 운송자는 승차지에 의해서만 결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1운송자를 먼저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1후보 운송자를 추출하고, 상기 제1후보 운송자 중에서 제1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 제1후보 운송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승차지가 탑재지(예컨대, 12) 또는 그 이전 승차장인 탑승자이고 하차지가 목적지 영역(30) 내의 정차장인 사람일 수 있다.
제1운송자가 결정되면 제1운송자의 하차지가 결정될 수 있다. 만약 하차지가 미리 특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운송자의 단말기를 통해 하차지를 입력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면 상기 제2후보 운송자는 상기 제1운송자의 하차지를 승차지로 설정한 제2물류노선 차량의 탑승자 중에서 우선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중에서 제2운송자가 결정되면 승차지와는 무관하게 전술한 바와 같이 하차지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탑승자들인 제2후보 운송자 중에서 제2운송자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서는 제1운송자 및 제2운송자를 제1운송자의 하차지 및 제2운송자의 승차지와 무관하게 결정한 후, 상기 제어모듈(110)은 결정된 제1운송자 및 제2운송자가 협의를 통해 전달지를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전달지는 목적지 영역(30) 내의 소정의 위치일 수 있다. 상기 목적지 영역(30) 내의 소정의 위치는 목적지 영역(30) 내의 정차장 중 어느 하나일 수도 있지만, 목적지 영역(30)에 상응하는 기관의 구성원들인 제1운송자 및 제2운송자는 협의에 의해 정차장이 아니더라도 목적지 영역(30) 내의 소정의 위치를 전달지로 결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소정의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는 제1운송자와 제2운송자가 각각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면 족하다.
예컨대,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는 채팅방일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푸시 메시지 또는 기타 다양한 방식의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1운송자와 제2운송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중계할 수 있다. 중계되는 커뮤니케이션들은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제1운송자와 제2운송자가 직접 전달지를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노선차량들을 이용하여야 하는 물류 건의 수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물류노선이 복수의 노선들로 결정되는 경우, 제1노선의 제1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S200). 그리고 제2노선의 제2운송자를 결정할 수 있다(S210). 제1운송자가 반드시 먼저 결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님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면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지를 결정할 수도 있지만, 제1운송자와 제2운송자가 직접 전달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S230). 이를 위해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제1운송자의 단말기와 제2운송자의 단말기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중계할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을 중계하기 위한 일 예로는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예컨대, 채팅방 등)를 생성하여 제1운송자 및 제2운송자의 단말기 각각로 제공할 수도 있다(S220). 하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제1운송자와 제2운송자의 단말기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중계할 수 있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전달지가 결정되면, 결정된 전달지를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100)은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노선차량을 이용한 물류와 관련된 방법들은 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미리 정해진 복수의 노선들에 따라 운행하며 상기 복수의 노선들 각각에는 복수의 정차장들이 설정되어 있는 노선차량들-상기 노선차량들은 동일한 특정 목적지를 운행하는 차량이면서 상기 특정 목적지의 운영주체가 제한된 탑승자에게 탑승을 허용하는 차량임-을 이용한 물류방법에 있어서,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노선차량들에 탑승할 탑승자들에 대한 정보-상기 탑승자들에 대한 정보는 탑승자별 승차지 및 하차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소정의 물류 건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물류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물류 건의 탑재지 및 상기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들 중 물류노선을 결정하는 단계-상기 물류노선은 상기 복수의 노선들 중 제1노선 및 제2노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노선에 상응하는 정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탑재지이고, 상기 제2노선에 상응하는 정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목적지에 상응하는 후보 정차장임-;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탑승자 중 상기 제1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1운송자 및 상기 탑승자 중 상기 제2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2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1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1운송자 및 상기 제2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2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탑승자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노선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2후보 운송자들을 추출하고, 상기 제2후보 운송자들 중에서 상기 제2운송자를 결정하며, 상기 제2운송자의 탑승지를 하차지로 갖는 제1후보 운송자들 중에서 상기 제1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탑승자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노선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1후보 운송자들을 추출하고, 상기 제1후보 운송자들 중에서 상기 제1운송자를 결정하며, 상기 제1운송자의 하차지를 탑승지로 갖는 제2후보 운송자들 중에서 상기 제2운송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은,
    상기 물류정보 시스템이 상기 제1운송자의 단말기 및 상기 제2운송자의 단말기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을 중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운송자와 상기 제2운송자간에 상기 물류 건의 전달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류 건의 전달지는,
    상기 노선의 공통된 목적지에 상응하는 제1영역에 포함된 소정의 위치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
  7.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미리 정해진 복수의 노선들에 따라 운행하며 상기 복수의 노선들 각각에는 복수의 정차장들이 설정되어 있는 노선차량들-상기 노선차량들은 동일한 특정 목적지를 운행하는 차량이면서 상기 특정 목적지의 운영주체가 제한된 탑승자에게 탑승을 허용하는 차량임-을 이용한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노선차량들에 탑승할 탑승자들에 대한 정보-상기 탑승자들에 대한 정보는 탑승자별 승차지 및 하차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하기 위한 탑승자 정보관리 시스템;
    소정의 물류 건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물류요청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물류요청모듈;
    상기 물류 건의 탑재지 및 상기 목적지에 기초하여 상기 노선들 중 물류노선을 결정하기 위한 노선결정모듈-상기 물류노선은 상기 복수의 노선들 중 제1노선 및 제2노선을 포함하며 상기 제1노선에 상응하는 정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탑재지이고, 상기 제2노선에 상응하는 정차장들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목적지에 상응하는 후보 정차장임-; 및
    상기 탑승자들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 중 상기 제1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1운송자 및 상기 탑승자 중 상기 제2노선에서 상기 물류 건을 수행할 제2운송자를 결정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물류정보 시스템.
KR1020170014299A 2017-02-01 2017-02-01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3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99A KR102023807B1 (ko) 2017-02-01 2017-02-01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299A KR102023807B1 (ko) 2017-02-01 2017-02-01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922A KR20180089922A (ko) 2018-08-10
KR102023807B1 true KR102023807B1 (ko) 2019-09-23

Family

ID=6322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299A KR102023807B1 (ko) 2017-02-01 2017-02-01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06949A (zh) * 2021-02-02 2021-06-04 满帮信息咨询有限公司 路线规划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641B1 (ko) * 2012-07-03 2013-09-05 주식회사 에스엔지소프트 물품 배송을 위한 배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JP2015197778A (ja) * 2014-04-01 2015-11-09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移動経路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655B1 (ko) * 2000-03-08 2004-03-24 김덕우 전철을 이용한 소화물 배송 시스템 및 배송 방법
KR20010100725A (ko) 2000-05-06 2001-11-14 우종필 인터넷과 노선 버스를 이용한 물류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이용한 물류 방법
KR20020020386A (ko) * 2000-09-08 2002-03-15 구자홍 대중교통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운송 시스템 및 그 운송방법
KR102207975B1 (ko) 2014-06-25 2021-01-25 한상우 노선 버스 예약 시스템 및 예약 좌석변경 알림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641B1 (ko) * 2012-07-03 2013-09-05 주식회사 에스엔지소프트 물품 배송을 위한 배송 시스템의 운용 방법
JP2015197778A (ja) * 2014-04-01 2015-11-09 株式会社日本総合研究所 移動経路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及び情報配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922A (ko) 2018-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54072B2 (ja) ユーザ配車対応システム
US201703301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travel options
CN104463656B (zh) 一种火车站票务系统的信息及时更新方法
KR101910045B1 (ko) 동적 라우팅 기능 및 안전운행 요건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1867456B1 (ko) 강화된 상태 변화 적응성 및 안정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JP201916882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90050758A1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ing passengers together in an automated collective form of transport
KR102252686B1 (ko) 정보취합을 통한 최적자동노선생성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067616A1 (en) Payload Management for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Utilizing Ground Transportation
US201902724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vehicles to passengers
CN110832535A (zh) 管理班车服务和推导班车服务路线和服务的系统和方法
CN111695849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存储信息处理程序的存储介质
JP2019511765A (ja) 多数の対象の対象固有の場所間の輸送方法
KR102023807B1 (ko) 복수 노선차량들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23806B1 (ko) 물류운용 방법 및 그 시스템
JP7359083B2 (ja) 配車計画装置、配車計画システム、及び配車計画プログラム
JP2019133356A (ja) 乗換支援システム、乗換支援方法、乗換支援プログラム、移動体
KR102206641B1 (ko) 카풀 대상 운전자에 대한 우선순위 지정이 가능한 카풀 매칭 장치 및 방법
CN113574579B (zh) 信息处理装置、移动体、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方法
KR101496292B1 (ko) 인적네트워크를 이용한 분실물안심시스템 및 분실물안심서비스제공방법
KR101867453B1 (ko) 강화된 동적 라우팅 기능과 상태 변화 적응성을 구비한 클라우드 허브 중심의 화물정보 공유 커뮤니티를 통한 화물 운송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방법
KR101577350B1 (ko) 택시 예약 시스템 및 방법
JP7037767B2 (ja) 車両管理装置、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車両管理方法
JP2022050813A (ja) 運行管理装置及び運行管理方法
KR20180089920A (ko) 노선 차량을 이용한 물류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