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280A - 측면 부재 및 종방향 부재가 장착된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 - Google Patents

측면 부재 및 종방향 부재가 장착된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280A
KR20220111280A KR1020227020502A KR20227020502A KR20220111280A KR 20220111280 A KR20220111280 A KR 20220111280A KR 1020227020502 A KR1020227020502 A KR 1020227020502A KR 20227020502 A KR20227020502 A KR 20227020502A KR 20220111280 A KR20220111280 A KR 20220111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
auxiliary
structural element
spar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콜라 파게아스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220111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2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27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rea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2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 B60K6/4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apparatus, components or means specially adapted for HEVs characterised by the assembly or relative disposition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2Hybri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방향 및 상기 종방향에 수직인 횡방향을 갖는 차량 본체의 후방 부 구조체(1)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후방부 구조체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 날개보(10, 11)를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날개보는 전방 횡방향 구조 요소(12)에 연결된 일단부 및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13)에 연결된 타단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횡방향 구조 요소(12, 13)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조체는 2개의 날개보(10, 11)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횡방향으로 날개보(10, 11)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두 개의 보조 날개보(14, 15)를 구비하되, 각 보조 날개보(14, 15)는 전방 횡방향 구조 요소(12)에 연결된 일단부 및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13)에 연결된 타단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측면 부재 및 종방향 부재가 장착된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
본 발명은 날개보(spar) 및 보조 날개보를 구비한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하이브리드 차량(HEV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 또는 P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 차량"으로 알려진 차량)에는 연료 탱크에 연결된 열 엔진과 트랙션 배터리가 모두 포함된다. 상기 배터리 및 탱크는 일반적으로 차체의 후방부 구조체의 높이, 특히 후방 휠을 지지하는 차량의 후방 차축 시스템 근처에 위치한다. 이러한 후방 차체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 날개보(spar)를 가지며 차량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크로스 부재에 연결된다. 따라서 날개보와 크로스 부재는 후방 차축 시스템이 부착되는 프레임을 형성한다. 상기 탱크와 배터리는 모두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후방 차축 시스템 바로 옆에 위치할 수 있다.
종방향 후방 충돌 시, 유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탱크의 완전성, 배터리 내의 전기 모듈의 성능저하로 인한 수리비 및 화재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배터리의 완전성 보장이 필요하다.
후방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장치가 있다. 특히, 문서 FR3050704A1은 날개보를 따라 각각 부착되고 더 짧은 길이로 된 2개의 종방향 흡수부를 포함하는 에너지 흡수 시스템을 포함하는 후방 구조를 설명하고, 차량 후방에 위치한 단부에는 "크래시 박스"라고도 알려진 에너지 흡수 박스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에너지 흡수 시스템은 고속(80km/h)의 충격에 작용하며 날개보가 변형되면 에너지를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에너지 흡수 시스템은 날개보가 변형되기 시작하는 지점에서 에너지가 흡수되는 것을 허용하지는 않는다. 또한 충돌 상자를 사용하면 질량이 증가하고 흡수 시스템의 구성이 더 복잡해진다.
따라서, 고속 후방 충격의 흡수를 개선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중량 증가를 수반하지 않는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종방향 및 종방향에 수직인 횡방향을 갖는 차량 차체의 후방 부분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체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 날개보를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날개보는 전방 횡방향 구조 요소에 연결된 일단부와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에 연결된 타단부를 가지며, 각각의 횡방향 구조 요소는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구조체는 2개의 날개보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횡 방향으로 날개보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2개의 보조 날개보를 추가로 포함하고, 각 보조 날개보는 전방 횡방향 구조 요소에 연결된 일단부 및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에 연결된 타단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체에서, 상기 보조 날개보의 길이는 측면 날개보와 동일하다. 그것들은 또한 횡방향으로, 특히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측면 날개보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보조 날개보는 측면 날개보에 대하여 접하지 않는다. 상기 보조 날개보는 측면 날개보에 부착되지도 않는다. 특히, 각 보조 날개보는 횡방향으로 다른 보조 날개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보다 작은 거리만큼 인접한 측면 날개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방 본체부 구조체의 종방향 및 횡방향은 구조체가 차량에 장착될 때 차량의 종방향 및 횡방향에 대응한다. 전방 및 후방 방향은 이러한 종방향에서 차량의 전방 및 후방 방향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치로 인하여, 차량에 가해지는 종방향 후방 충격 에너지는 날개보 및 보조 날개보에 의해 동시에 흡수되되, 그 각각의 단부는 동일한 횡방향 구조 요소에 연결되어 후방 구조체가 충격을 견디는 능력을 향상시키게 되는데, 즉 고속 충격(예: 임팩트 BMR1100이라고도 하는, 표준 NF EN 12767의 요구 사항을 준수하기 위해 51km/h에서 - 1100kg 무게의 견고한 모바일 장벽의 후면 충격 발생 시 2011년 10월)을 견디는 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보조 날개보가 섹션일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생산될 수 있다. 각 보조 날개보는 특히 더 나은 강도를 위해 U자형 또는 Ω형 개방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 단면의 개구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후방부 구조 체가 차량에 장착될 때 차량의 상부를 향하여 배향될 수 있다.
이러한 섹션은 금속 재료, 예를 들어 강, 특히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날개보는 또한 유사한 개방 단면을 갖는 특히 금속으로 만들어진 단면일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보조 날개보, 가능하다면 날개보는 횡단면의 개구부 측면에서 플로어을 형성하는 구조적 요소에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날개보 및 보조 날개보는 후방 차축 시스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착 부재는 나사, 리벳 등으로 후방 차축 시스템을 부착하기 위한 간단한 구멍일 수 있다. 특히, 후방 차축 시스템을 보조 날개보에 부착하기 위해, 각각의 보조 날개보는 측면 날개보로부터 종방향으로 충분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이것은 특정 부착 하우징을 제공할 필요 없이 본 발명에 따른 후방부 구조체에 후방 차축 시스템을 부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부품의 수를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체는, 횡방향의 각 측면에, 완충기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수용 장치는 날개보에 부착된 일단부 및 인접한 보조 날개보에 부착된 타단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 장치는 보조 날개보와 인접 날개보 사이에 둘러싸여 있으며, 이는 완충기 스프링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날개보와 인접한 보조 날개보 사이에 분산시켜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더 나은 안정성과 더 간단한 부착을 위해 각 수용 장치는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수용 장치는 날개보와 인접한 보조 날개보 사이에 위치한 완충기 스프링용 수용 구역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구조 요소, 날개보 및 보조 날개보는 금속 재료, 예를 들어 강철, 특히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그런 다음 상기 보조 날개보는 용접을 통해 횡단 구조 요소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후방 본체부 구조체를 갖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은 연료 탱크 및 트랙션 배터리에 연결된 열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트랙션 배터리는 보조 날개보와 전방 및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 사이에 위치되고, 연료 탱크는 차량의 전방측에서 전방 횡방향 구조 요소를 따라 위치된다.
차량은 일반적으로 휠을 각각 지지하는 두 개의 아암을 연결하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부재를 포함하는 후방 차축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차축 시스템은 날개보와 보조 날개보 양쪽 모두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후방부 구조체에 추가적인 특정 고정을 제공해야 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후방 차축 시스템은 횡방향으로 상기 구조체의 양쪽에 있는 후방 본체부 구조체에 연결된 완충기 스프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완충기 스프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후방부 구조체의 수용 장치에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후방 차축 시스템, 트랙션 배터리 및 연료 탱크가 부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방 본체부 구조체의 저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방부 구조체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보조 날개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후방부 구조체의 상세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 후방, 상부, 하부라는 용어는 차체의 후방부의 구조체가 차량에 장착된 경우 차량의 전방 및 후방 방향을 의미한다. 축 X, Y, Z는 차량이 지면에 놓였을 때 차량의 세로축(앞에서 뒤), 가로축 및 세로축에 각각 해당한다. 따라서 수직 방향은 중력 방향에 해당한다.
도 1은 후방 차축 시스템(2), 트랙션 배터리(3) 및 연료 탱크(4)가 부착되어 있는 차량의 후방부의 구조체(1)의 저면도를 도시하며, 연료 탱크는 열 엔진(미도시)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트랙션 배터리(3) 및 연료 탱크(4)는 차량의 종방향(X)으로 후방 차축 시스템(2) 앞에 배치된다.
차량 후방부의 구조체(1)는 각각 차량의 종방향(X)으로 연장되는 좌측 측면 날개보(10) 및 우측 측면 날개보(11)를 포함한다. 이러한 측면 날개보(10, 11)는 전방 횡방향 구조 요소(12) 및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강성 프레임을 형성한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측면 날개보에는 전방 횡방향 구조 요소에 연결된 전방 단부 및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13)에 연결된 후방 단부가 있다.
일반적으로,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13)는 폐쇄된 중공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요소는 후방 구조부의 비틀림 강성에 기여하고 구름 진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는 예를 들어 차량 트렁크의 후방 개구를 따라 위치된다.
일반적으로, 어떤 실시예에서도, 상기 후방부 구조체(1)는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13) 뒤에 위치되고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에서(예를 들어 유로 NCAP((European New Car Assessment Program) 및 RCAR(Research Council for Automobile Repairs)에서 규정한 충격 프로토콜을 충족하기 위하여 10km/h 미만) 충격을 수용하고 흡수하도록 된 후방 단부 크로스 부재(20)를 구비한다. 상기 후방 단부 크로스 부재(20)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측방 날개보(10, 11)에 연결되며, 여기서 각각은 측면 날개보의 연장부에서 연장되는 연결 요소(20a, 20b)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후방부의 구조체(1)는 2개의 보조 날개보(14, 15)를 포함하며, 각각은 날개보(10, 11) 근처에서 차량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후방부 구조 체(1)는 좌측 측면 보조 날개보(14) 및 우측 측면 보조 날개보(15)를 갖는다. 이 보조 날개보는 횡방향으로 측면 보강보에서 멀리 떨어져 있다. 이 거리는 날개보 간의 거리의 함수로서, 아래에 설명된 후방 차축 시스템 부착부의 위치의 함수로서, 및/또는 보고 날개보 사이 및/또는 인접한 보조 날개보와 날개보 사이에 수용되는 가능한 기술적 요소의 함수로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충격 흡수의 더 나은 분포를 위해, 보조 날개보 각각은 횡방향으로 인접한 측면 날개보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될 수 있다.
각각의 보조 날개보(14, 15)는 또한 전방 횡방향 구조 요소(12)와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13) 사이에서 연장되고 이에 연결된다. 따라서, 각각의 보조 날개보(14, 15)는 전방 횡방향 구조 요소(12)에 연결된 전방 단부 및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13)에 연결된 후방 단부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보조 날개보(14, 15)는 날개보(10, 11)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예에서, 각 보조 날개보는 후방부 구조체(1)의 중간과 횡방향 Y의 측면 날개보 사이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보조 날개보는 다른 보조 날개보 보다 측면 날개보에 더 가깝고, 특히 횡방향 Y에서 후방부 구조체(1)의 중심보다 더 가깝다. 이것은 설명된 예에서 연료 탱크(4)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기술적 요소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보조 날개보(14, 15) 사이의 공간을 남겨두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보조 날개보(14, 15)는 도 3에서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U자형 또는 Ω형, 이 경우에 Ω형 개방 단면을 갖는 금속 섹션이다. 이 단면의 개구부는 차량의 상단을 향하고 있다. 예시에서, 상기 개구는 도 4에 도시된 날개보 및 보조 날개보 위로 연장되는 플로어(5)를 형성하는 구조적 요소에 의해 폐쇄된다.
바람직하게는, 날개보(10, 11)는 예를 들어 플로어(5)를 형성하는 구조적 요소에 의해 폐쇄된 보조 날개보(14, 15)의 단면과 유사한 개방 단면을 갖는 금속 섹션이다.
예에서, 각각의 날개보(10, 11) 및 각 보조 날개보(14, 15)는 후방 차축 시스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부재를 갖는다. 여기서, 각 날개보(10, 11)는 2개의 부착 부재(101, 102, 111, 112)를 구비하고, 각 보조 날개보(14, 15)는 각각 하나의 부착 부재(141, 151)를 구비한다. 이러한 부착 부재(101, 102, 111, 112, 141, 145)는 이 경우 나사, 리벳 등이 통과할 수 있는 간단한 오리피스이다. 물론, 본 발명은 후방 차축 시스템을 부착하기 위해 날개보 및 보조 날개보에 제공되는 부착물의 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 후방부 구조체(1)는, 각각의 측면에서, 완충기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16, 17)를 가지며, 각각의 수용 장치(16, 17)는 날개보에 부착된 일단부 및 인접한 보조 날개보에 부착된 타단부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 장치(16, 17)의 이러한 배치는 상기 수용 장치가 보조 날개보의 기하학적 구조를 유지하는 데 참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수용 장치(16, 17) 각각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이러한 장치가 부착되는 인접 보조 날개보와 날개보 사이에 분포된다. 이러한 수용 장치(16, 17)는 여기에서 개방된 Ω형 단면을 갖는 섹션의 형태이며, 그 개방부는 또한 차량의 상부를 향하고 있다(또한 플로어(5)를 형성하는 구조적 요소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 각 섹션(16, 17)의 플로어에는 완충기 스프링(도 4)을 지지하기 위한 구역(161, 171)이 있다. 이들 구역(161, 171)은 여기에서 날개보 및 보조 날개보의 표면과 동일한 수평면에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후방부 구조체(1)의 가로 구조 요소, 날개보 및 보조 날개보가 수용 장치(16, 17)와 마찬가지로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이들 서로 상이한 요소들은 서로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부 구조체(1)의 제조를 단순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요구사항에 따라, 상기 보조 날개보(14, 15)는 그 단부 중 하나에서 또는 각각의 단부에서 동일한 형상의 단면 세그먼트에 의해 연장될 수 있다. 이것은 직렬로 만들어진 고정 길이 보조 날개보를 사용하여 다른 길이의 후방부 구조체(1)를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적절한 길이의 하나 이상의 섹션 세그먼트를 추가하여 각 보조 날개보의 길이가 구조체(1)의 길이에 맞게 조정된다. 예에서, 각 보조 날개보(14, 15)는 섹션 세그먼트에 의해 후방 단부 측면에서 연장된다. 상기 섹션 세그먼트(142)가 보고 날개보(14)를 위하여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섹션 세그먼트(142)는 보조 날개보를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13)에 부착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방부 구조체(1)는 부착 목적을 위해 후방 차축 시스템(2)을 수용한다. 이것은 각각 휠(24, 25)을 지지하는 2개의 암(22, 23)을 연결하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크로스 부재(21)를 갖는다. 완충기 스프링(26, 27)은 후방 차축 시스템(2)의 각 측면 횡방향에서 후방 차축 시스템과 후방부 구조체(댐퍼 스프링의 하부 수용 영역만 도 1에 도시됨) 사이에서 연장된다.
상기 후방 차축 시스템(2)의 아암(22, 23)은 부착 부재에 의해 보조 날개보(14, 15) 및 날개보(10, 11)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 차축 시스템(2)은 상기 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해 별도의 특정 부착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없도록 날개보와 보조 날개보를 통해서만 상기 구조체(1)에 부착된다.
각각의 완충기 스프링은 후방부 구조체의 수용 장치(16, 17)에 지지된다.
후방 충돌의 경우, 후방 단부 크로스 부재(20)가 먼저 변형되게 된다. 후방 충돌이 저속(예를 들어 10km/h 미만)인 경우, 후방 단부 크로스 부재만 변형되므로 수리를 위해 교체되어야 한다. 후방 충돌이 고속(예를 들어 51km/h)이면 후방 횡단 구조 요소(13)에 대하여 를 가압하게 될 때까지 후방 단부 크로스 부재가 계속 변형된다. 결과적으로, 날개보(10, 11)와 보조 날개보(14, 15)는 동시에 변형되고 충격 에너지를 흡수한다. 수리를 위해서는 충격으로 인해 변형된 각 요소를 교체해야 한다.
물론,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이것은 수리 비용을 제한하는 데 있어서 덜 유리하지만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는 후방 단부 크로스 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면 저속 충돌이 시작되면서 날개보와 보조 날개보의 변형이 발생한다.
1: 후방부 구조체
12: 전방 횡방향 구조 요소
13: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
10, 11: 날개보
14, 15: 보조 날개보

Claims (10)

  1. 종방향 및 상기 종방향에 수직인 횡방향을 갖는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1)로서, 상기 후방부 구조체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면 날개보(10, 11)(spar)를 포함하고, 각각의 측면 날개보는 전방 횡방향 구조 요소(12)에 연결된 일단부 및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13)에 연결된 타단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횡방향 구조 요소(12, 13)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 구조체는 2개의 날개보(10, 11)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이 횡방향으로 날개보(10, 11)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는 두 개의 보조 날개보(14, 15)를 구비하되, 각 보조 날개보(14, 15)는 상기 전방 횡방향 구조 요소(12)에 연결된 일단부 및 상기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13)에 연결된 타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1).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조 날개보(14, 15)는 섹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1).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보조 날개보(14, 15)는 개방된 U자형 또는 Ω형 단면을 갖는 섹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날개보(10, 11) 및 각각의 보조 날개보(14, 15)는 후방 차축 시스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착 부재(101, 102, 11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방향의 각 측면에서, 날개보(10, 11)에 부착된 일단부 및 인접한 보조 날개보(14, 15)에 부착된 타단부를 구비하는 완충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장치(16, 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1).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용 장치(16, 17)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방향 구조 요소(12, 13), 날개보(10, 11) 및 보조 날개보(14, 15)는 금속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보는 용접에 의해 횡방향 구조 요소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후방부 구조체(1)를 포함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연료 탱크(4) 및 트랙션 배터리(3)에 연결된 열 엔진을 포함하고, 상기 트랙션 배터리는 보조 날개보(14, 15)와 전방 및 후방 횡방향 구조 요소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 탱크(4)는 차량의 전방측에서 전방 횡방향 구조 요소를 따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 휠(24, 25)을 지지하는 2개의 아암(22, 23)을 연결하는 크로스 부재(21) 및 후방부 구조체에 연결되는 완충기 스프링(26, 27)을 구비하는 차량 후방 차축 시스템(2)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 차축 시스템은 상기 보조 날개보(14, 16) 및 날개보(10, 11)에 부착되며, 선택적으로, 각각의 완충기 스프링(26, 27)은 후방부 구조체(1)의 수용 장치(16, 17) 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227020502A 2019-12-18 2020-12-08 측면 부재 및 종방향 부재가 장착된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 KR2022011128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14699A FR3105153B1 (fr) 2019-12-18 2019-12-18 Structure de partie arriere de caisse de vehicule automobile equipee de longerons et longeronnets
FRFR1914699 2019-12-18
PCT/EP2020/084989 WO2021122131A1 (fr) 2019-12-18 2020-12-08 Structure de partie arriere de caisse de vehicule automobile equipee de longerons et longeronn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280A true KR20220111280A (ko) 2022-08-09

Family

ID=70008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502A KR20220111280A (ko) 2019-12-18 2020-12-08 측면 부재 및 종방향 부재가 장착된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077105A1 (ko)
JP (1) JP2023506704A (ko)
KR (1) KR20220111280A (ko)
CN (1) CN115515844A (ko)
FR (1) FR3105153B1 (ko)
WO (1) WO20211221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2784A1 (en) 2022-09-02 2024-03-06 LX Semicon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in the semiconductor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7463A1 (fr) * 2021-09-29 2023-03-31 Psa Automobiles Sa Véhicule automobile avec reprise d’effort de choc arrière par un bac de batteries de traction
FR3138895A1 (fr) 2022-08-22 2024-02-23 Psa Automobiles Sa Train arrière de véhicule automobile fixé sur une extension de doublure du longeronnet
FR3138896A1 (fr) 2022-08-22 2024-02-23 Psa Automobiles Sa Train arrière de véhicule automobile fixé sur une doublure du longeronnet
FR3142158A1 (fr) 2022-11-23 2024-05-24 Psa Automobiles Sa Train arrière de véhicule automobile fixé sur un support en équerre lié à une doublure du longeronne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1608B2 (ja) * 2006-09-04 2012-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後部車体構造
KR101786263B1 (ko) * 2015-12-24 2017-10-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장착 위치를 개선한 하이브리드 자동차
JP6288069B2 (ja) * 2015-12-25 2018-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FR3050704B1 (fr) 2016-04-28 2019-04-1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tructur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JP2018065428A (ja) * 2016-10-18 2018-04-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後部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2784A1 (en) 2022-09-02 2024-03-06 LX Semicon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in the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06704A (ja) 2023-02-20
FR3105153A1 (fr) 2021-06-25
FR3105153B1 (fr) 2022-07-22
EP4077105A1 (fr) 2022-10-26
WO2021122131A1 (fr) 2021-06-24
CN115515844A (zh) 2022-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1280A (ko) 측면 부재 및 종방향 부재가 장착된 차량 본체의 후방부 구조체
CN109204496B (zh) 车身结构及车辆
US8955632B2 (en) Tubular frame structure for a three-wheeled motor vehicle
US10625784B2 (en) Vehicle
US7370886B2 (en) Vehicle lower frame structure
US20200017147A1 (en) Vehicle platform
US20120175898A1 (en) Bumper Mounting Plate for Double Channel Front Rails
US20140062129A1 (en) Impact deflection and absorption structure
CN204871195U (zh) 一种整体车架结构
US11130525B2 (en) Rear crash safety profile
CN105730511A (zh) 一种汽车车身骨架
CN109204567B (zh) 电动汽车及其车身结构
CN114228833A (zh) 一种汽车小偏置碰撞的吸能结构及汽车
CN106458263A (zh) 车辆撞击结构
CN218640671U (zh) 用于车辆的结构总成
CN103407499A (zh) 应用于车辆内部的地板加强装置及车身结构
US10703185B2 (en) Rear crash management system (CMS)
CN114954676B (zh) 车辆前舱结构及车辆
CN109204495B (zh) 车身结构及车辆
KR102423091B1 (ko) 차량의 프런트 차체
CN217145633U (zh) 车辆的动力电池防护装置及车辆
CN217994047U (zh) 减震塔和车辆
CN218085754U (zh) 包括后地板纵梁的汽车
CN215097820U (zh) 车身前部结构及汽车
CN109353412B (zh) 一种前碰撞吸能装置和具有其的车身总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