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230A -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위한 지지 체인 및 체인 링크 - Google Patents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위한 지지 체인 및 체인 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230A
KR20220110230A KR1020227020894A KR20227020894A KR20220110230A KR 20220110230 A KR20220110230 A KR 20220110230A KR 1020227020894 A KR1020227020894 A KR 1020227020894A KR 20227020894 A KR20227020894 A KR 20227020894A KR 20220110230 A KR20220110230 A KR 20220110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chain
chain link
arc
cross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0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미닉 바르텐
피터 마토네트
Original Assignee
이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20110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급 라인(3)을 위한 엔벨로프(10) 및 관절 지지 체인(20)을 포함하는 라인 가이드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체인 링크(100; 200)는 제2 길이 방향 부분의 크로스브리지(106; 206)에 이웃한 리세스 및 연장된 정지 면(110B)을 갖는 내측 크로스브리지(106; 206) 및 제1 길이 방향 부분(101; 201)의 내측 돌출부(105; 205)를 갖는다. 연장된 위치에서, 한 체인 링크의 돌출부(105, 205)는 후속 체인 링크(100; 200)의 리세스(107; 207)에서 그리고 그 크로스브리지(106; 206)에서 맞물린다.
본 발명은 또한 지지 체인에 관한 것으로, 각 체인 링크(100, 200)는 제2 길이 방향 부분(102; 202)에서, 아크형 위치에서 제1 길이 방향 부분(101; 201)의 외측 아크 정지 면(114A, 214A)과 상호 작용하는 외측 크로스연결부(109; 209)를 갖고 연장된 위치에서 제1 길이 방향 부분의 내측 연장된 정지 면(110A, 210A)과 상호 작용하는 내측 크로스연결부(106, 206)를 갖는다.

Description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위한 지지 체인 및 체인 링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이동 가능한 두 연결 지점 사이에서, 케이블, 호스 등과 같은 공급 라인을 동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특히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동적 또는 능동 라인 가이드 장치는 대개 예를 들어 기계에서, 고정 연결부와 이동 가능한 컨슈머 사이에서, 이동 동안 의도하지 않은 스트레스로부터 라인을 보호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선형으로 또는 이동 평면에서 앞뒤로 변위 가능하고 일반적으로 두 실질적으로 길쭉한 연장부 및 그 사이에 대략 U자형 굴곡 아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일반적으로 이러한 라인 가이드 장치를 위한 지지 체인 및 이러한 지지 체인을 위한 개별 체인 링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먼지로부터 보호하도록 공급 라인을 둘러싸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이웃하게 배열되는 다수의 수용 덕트를 갖는 가요성 엔벨로프를 갖는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덕트 각각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을 수용한다. 엔벨로프는 특히 주행 운동 동안 불가피하게 형성되는 라인으로부터 마모된 재료가 주변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진 엔벨로프는 전반적으로 마모 거동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정화를 위해 또는 더 긴 길이를 위해, 특히 자립하는 또는 지지되지 않는 연장부의 확장된 위치에서, 라인 가이드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 체인으로 알려진 것을 사용한다. 이를 위해, 라인이 아닌 지지 체인이 수용 덕트에 배열되고 연장부를 형성하기 위한 연장된 위치 및 굴곡 아크를 형성하기 위한 아크형 위치를 취할 수 있는데, 지지 체인은 또한 원하는 반경을 미리 결정한다.
지지 체인을 갖는 이러한 라인 가이드 장치는 예를 들어 DE 10 2010 053 317 A1 및 DE 10 2011 015 119 A1에서 제안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일반적인 지지 체인은 각 경우에 체인 또는 개별 링크의 길이 방향의 제1 길이 방향 부분 및 그에 상보적인 제2 길이 방향 부분을 가지며, 관절 방식으로 함께 연결되는 복수의 개별 체인 링크를 갖는다. 제2 길이 방향 부분은 클레비스 플레이트와 유사하게, 두 사이드 부분 및 그 사이에 후속 체인 링크의 제1 길이 방향 부분이 도입되어 적어도 측 방향 횡 방향 이동에 대해 고정되는 공간으로 나뉘거나 구분될 수 있다. 두 길이 방향 부분은 특히 굴곡 아크의 미리 결정된 기하학적 구조가 유지되도록 미리 결정된 관절 방식으로 함께 체인 링크를 연결하도록 적절하게 형성된다. 굴곡 아크는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의 횡 방향으로 이어지는 굴곡 축, 즉 폭 방향에 평행한 굴곡 축을 중심으로 대략적인 U자형으로 구부러진다.
이러한 지지 체인은 특히 특정 반경이 굴곡 아크에서 유지되도록, 즉 라인이 꼬이는 것이 보호되도록 보장한다. 또한, 지지 체인은 주로 상부 연장부의 더 큰 자립하는 길이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길이가 증가된다. 이러한 지지 체인이 엔벨로프에서 라인 대신에 사용될 수 있어, 특히 일반적인 에너지 체인과 비교하여, 적어도 단면적으로, 일반적으로 매우 콤팩트한 치수를 갖는다. 반면에, 일반적인 지지 체인 자체는 라인을 위한 수용 덕트를 갖지 않는다.
적재 중량에 따라, 예를 들어 두 지지 체인이 엔벨로프의 외측에서 측 방향으로 사용된다. DE 10 2012 100 359 A1에 제안된 바와 같은 다층 구조는 둘 이상의 지지 체인이 지지 레이어의 엔벨로프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지어 전체적으로 라인이 없는 레이어, 즉 한 레이어의 엔벨로프에 지지 체인만 있는 레이어를 포함한다.
실제로, 많은 응용 분야에서 지지 체인이 가이드 라인보다 마모되기 쉬운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지지 체인은 비교적 더 빨리 교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전체 패키지는 모든 라인과 그 안에 가이드된 지지 체인을 포함하는 모든 엔벨로프 또는 지지 체인 및 연관된 라인이 있는 모든 레이어로 대체된다. 실용적인 이유로, 특히 클린룸 요구 사항으로 인해, 개별 지지 체인을 그 자리에서 교체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이는 라인이 잠재적인 내구 수명에 도달하기 훨씬 전에, 즉 미리 교체되어야 하므로,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함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하여 유지 보수 간격도 이론적으로 불필요하게 짧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심 목적은 공지된 선행 기술과 관련하여, 특히 지지 체인의 더 긴 내구 수명이 달성될 수 있는 효과와 관련하여 지지 체인의 설계를 최적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지지 체인의 의도된 특히 콤팩트한 단면이 증가되어서는 안 되고, 기껏해야 미미하게 증가해야 한다.
본 발명에 중요한 것으로서 또는 자율적인 발명으로서 서로 독립적으로 간주되는 본 발명의 복수의 양상이 하기에 제안된다. 개별 설계 양상은 특히 유리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내측" 및 "외측" 및 "내측상" 및 "외측상"이라는 용어는 굴곡 아크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즉 이러한 용어에서 내측은 굴곡 축을 마주하는 또는 반경 방향 내측을 의미하고, 외측은 굴곡 축으로부터 먼 또는 반경 방향 외측을 의미한다. "전방" 및 "후방"이라는 용어는 개별 체인 링크의 두 길이 방향 종단과 관련되며, 지지 체인이 이론적으로 항상 앞뒤로 변위 가능하기 때문에 기능 및 구조에 대한 설명 없이 단순히 약어로 사용된다.
제1 양상
독립적인 제1 양상에 따르면, 청구항 1에 따른 일반적인 라인 가이드 장치 또는 청구항 2에 따른 지지 체인의 경우, 특히 확장된 위치에서, 힘 전달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안이 제안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제1, 전방 길이 방향 부분이 내측에서 그리고 종단 영역에서 길이 방향의 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고, 제2, 후방 길이 방향 부분이 굴곡 아크에 대한 내부적인 사이드(줄여서 내부 사이드)에서, 사이드 부분을 연결하고 연장된 위치를 위한 연장된 정지 면 및 길이 방향의 전방에서 이에 인접한 리세스를 갖는 내측 크로스브리지를 갖는다는 점에서, 힘 전달의 최적화가 달성된다. 이는 두 연결된 체인 링크가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한 체인 링크의 돌출부가 다음 또는 연결된 체인 링크의 리세스에 고정됨과 동시에 또한 다른 체인 링크의 내측 크로스브리지에 대해 전방에서 고정될 수 있다.
제1 양상의 핵심 개념에 따라, 특히 사이드 부분을 연결하는 크로스브리지에 대해, 크로스브리지 뒤에서 이러한 맞물림 또는 그 다음에 있는 한 체인 링크의 맞물림을 통해 전체적으로 더 유리한 힘의 도입이 달성된다.
지지 체인이 연장된 위치에 있을 때 발생하는 그리고 특히 라인의 무게나 지지 체인의 의도된 하중에 의해, 한 체인 링크로부터 다른 체인 링크로 전달되는 힘과 관련하여, 두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한편으로, 제1 양상에 따르면 힘은 연장된 정지 면에서 달리 발생하는 표면 압력의 일부가 돌출부가 길이 방향으로 크로스브리지에 작용하는 인장력으로 전환된다는 점에서, (언더컷과 유사한) 다른 체인 링크의 크로스브리지의 전방에 작용하는 돌출부 덕분에 더 유리하게 도입된다. 달리 동일한 파라미터 및 특히 크로스브리지의 구조적 길이와 비교하여 콤팩트한 구조적 높이로, 더 큰 자립하는 길이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또한 최대로 진행된 연장부의 동일한 자립하는 길이를 갖는 지지 체인에 대해 전반적으로 더 긴 내구 수명을 달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효과는 재료, 특히 공칭 하중하에서 약간 변형되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체인 링크에 특히 유리하다.
다른 한편으로, 제1 양상에 따르면 인장력은 관절 조인트의 과도한 하중 없이, 두 연결된 체인 링크의 관절 연결과 관련하여, 한 체인 링크로부터 다음 체인 링크로 전달될 수도 있다. 실제로, 관절 조인트는 지지 체인 형성의 취약 지점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먼저 파괴된다. 따라서 전자의 효과와 함께, 내구 수명이 더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 및 선택적으로 그와 연관된 리세스를 갖는 크로스브리지의 상호 작용은 힘 전달에서 보다 유리한 레버 효과를 허용한다. 확장된 위치에서 더 유리한 힘 도입을 통해, 동일한 콤팩트한 구조를 유지하면서, 즉 종래의 엔벨로프의 수용 덕트의 그것보다 작거나 같은 단면으로, 지지 체인의 내구 수명 또는 자립하는 길이의 주목할 만한 증가를 이루는 것 및/또는 전체적으로 더 적은 지지 체인이 주어진 응용 분야에 필요하도록 하중 전달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양상의 한 구성에서, 제1 길이 방향 부분은 특히 훅 또는 리테이닝 폴 등의 방식으로, 다음 체인 링크의 대응되는 제2 길이 방향 부분상에 돌출부로 걸릴 수 있다. 돌출부는 제2 길이 방향 부분의 리세스에 걸리거나 말하자면 크로스브리지 뒤에 맞물릴 수 있다. 이 "뒤에서 맞물림"은 구부러진 위치로부터 확장된 위치로 전이 시, 최대로 낮은 마모로, 즉 원하지 않는 마모 없이 진행되어야 한다. 다른 체인 링크에 대한 돌출부의 래칭은 일반적으로 불필요하거나 실제로 바람직하지 않다.
지지 체인에서, 체인 링크는 연결되어 스트랜드를 형성하고 적어도 자립하도록 의도된 원하는 길이 방향 부분에 걸쳐 제안된 구조를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지지 체인은 바람직하게는 캐리오버 부품의 사용을 허용하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동일하게 구성된 체인 링크로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2 길이 방향 부분은 굴곡 아크의 외측에, 즉 그 외측 및 후단 영역에, 연장된 위치를 위한 어버트먼트로서 인접한 체인 링크의 제1 길이 방향 부분의 외측에 반대되게 놓이는 횡 방향 정지부를 갖는다. 그러한 어버트먼트는 다른 길이 방향 부분에서 한 길이 방향 부분의 "웨징(wedging)"을 가능하게 한다. 대응되는 어버트먼트를 통해, 돌출부와 함께 하중이 결정된 변형을 활용하여 연장된 위치에서 조인트를 형성하는 영역의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완화가 달성될 수 있다.
후방 영역의 외부 횡 방향 정지부는 이 경우 특히 사이드 부분을 연결하는 외측 크로스브리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견고한 어버트먼트가 제공되거나 체인 링크가 전체적으로 더 안정적이거나 더 강성으로 된다.
체인 링크는 바람직하게는 체인 링크의 전방 길이 방향 부분이 다음 체인 링크의 후방 길이 방향 부분과 연결될 수 있도록, 즉 관절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서로 상보적인 구성을 갖는 전방 또는 제1 및 후방 또는 제2 길이 방향 부분을 갖는 설계를 갖는다. 이 경우, 체인 링크의 전방 길이 방향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다음 체인 링크의 후방 길이 방향 부분의 공간에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 관절 연결은 일반적으로 서로에 대해 두 체인 링크의 스위블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경우, 플로팅, 느슨한 관절 조인트(비고정 지지)는 본 발명의 맥락에 속한다.
특히 제1 양상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크로스브리지의 전단 영역에 안착되도록 역할을 하는 접촉 면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개별 체인 링크의 지지 체인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열된다. 힘은 길이 방향, 즉 인장력 방향에 수직으로 배향된 접촉 면을 통해, 특히 낮은 마모 및 낮은 마멸로, 특히 유리하게 도입될 수 있다.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위치된 접촉 면으로, 연장된 위치에서 중량 하중을 통해 발생하는 힘의 현저한 비율이 크로스브리지에 인장력으로 도입될 수 있어, 구성요소의 보다 유리한 하중을 야기한다. 이는 콤팩트한 구조의 체인 링크와 함께, 크로스브리지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의 구조적 높이보다 현저히 큰 길이 방향의 치수를 갖는 얕은 치수를 나타내는 경우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돌출부 및 크로스브리지의 힘을 전달하는 영역이 체인 링크의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에 대해 적어도 약간 기울어지거나 예를 들어 마모 가장자리의 최적화를 위해, 둥근 방식으로 구성되도록 배열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한 실제 실시예에서, 제1 길이 방향 부분이 실질적으로 러그와 유사한 구성을 갖고 동시에 전단 오프셋을 나타내거나 내측을 향해 (굴곡 아크의 축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는 제1 양상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제1 길이 방향 부분이 그 내측에서, 예를 들어 중앙 영역에서, 인접한 체인 링크의 내측 크로스브리지가 연장된 위치에서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완전히 수용될 수 있는 리세스를 형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특히 낮은 체인 링크 구조적 높이로, 상대적으로 슬림한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부분은 일반적으로 연장된 정지면, 즉 체인 링크가 연장된 위치에 있고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일 때 쌍으로 상호 작용하는 면을 갖는다. 이 경우, 돌출부 및 내측 크로스브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연장된 정지 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놓이는 상호 작용하는 접촉 면을 갖는다. 이와 관련하여 접촉 면은 한 체인 링크의 돌출부가 연장된 위치에서, 후속 체인 링크의 내측 크로스브리지의 접촉 면에 대해 가능한 한 광범위하게 접촉 면과 힘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안착되거나 작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 힘 성분을 도입하거나 힘을 전달하기 위한 유리한 조건을 야기한다.
본 발명의 제1 양상과 관련하여 돌출부 그리고 특히 그 접촉 면이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 봤을 때) 제1 길이 방향 부분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더욱이, 유리한 치수로, 돌출부 그리고 특히 그 접촉 면은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으로 봤을 때) 체인 링크의 전체 구조적 높이의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의 돌출부로 (굴곡 아크를 향해) 안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비교적 큰 접촉 면은 인접한 체인 링크 사이의 표면 압력을 감소시킨다.
특히 유리한 힘 전달 조건을 위해, 돌출부는 제1 길이 방향 부분의 말단 전방 1/4에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조인트 축과 관련하여) 레버 효과는 특히 어버트먼트와 관련하여 추가로 증가될 수 있거나 연장된 위치에서 특히 유리한 힘 조건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측 크로스브리지는 바람직하게는 제2 길이 방향 부분의 반대되는 또는 먼 후방 1/2에 배열된다. 리세스는 크로스브리지와 체인 링크의 중앙 영역에 더 가까운 말단 돌출부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놓인다.
특히 제1 양상의 바람직한 추가적인 개발에서, 크로스브리지상의 전방의 리세스는 특히 사이드 영역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이어지는 체인 링크의 내측을 향한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로스브리지의 전체 구조적 높이는 인장력이 작용하는 돌출부를 위한 접촉 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장된 위치에서 돌출부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횡 방향의 안정화 또는 측 방향의 안정화에 대해, 리세스에서 돌출부의 형상 끼워맞춤식 조정이 유리하다.
제1 양상에 따른 실시예는 독립적이지만, 다음의 제2 및/또는 제3 양상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제2 양상
또한 제2 양상에 따르면, 체인 링크의 구성은 힘 전달 또는 내구 수명과 관련하여, 특히 굴곡 아크의 아크형 위치에서 제한 정지부와 관련하여 최적화된다. 위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지지 체인에서, 체인 링크는 굴곡 아크에 대해 외측에서 내측으로, 길이 방향을 가로질러 함께 결합된다. 따라서 구조에 따라, 이러한 나뉜 체인 링크는 굴곡 아크에 대해 내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또는 외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한 사이드에서만 플레이트 타입의 사이드 영역의 안정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2 양상은 체인 링크의 전체적으로 더 강한 구성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독립적인 제2 양상에 따른 핵심 개념에 따르면, 청구항 10의 전제부에 따른 일반적인 지지 체인의 경우, 각 체인 링크는 제2 길이 방향 부분에서 내측에 제공된 내측 크로스연결부에 추가하여 (굴곡 아크의 외측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그 외측에 외측 크로스연결부를 갖는 것이 제안된다.
크로스연결부는 특히 크로스피스 및/또는 크로스브리지로서 구현될 수 있고 둘 다 바람직하게는 판형이거나 길이 방향의 구조적 길이에 비해 현저히 낮은 구조적 높이를 갖는다.
크로스연결부는 사이드 영역 사이의 공간에 걸쳐 있으며 안정화 방식으로 이들을 연결한다. 이러한 구성은 내측 크로스브리지가 연장된 위치에서 제1 길이 방향 부분의 내측 연장된 정지 면과 상호 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굴곡 아크의 아크형 또는 굴곡된 위치에서, 외측 크로스피스와 제1 길이 방향 부분의 외측 아크 정지 면과의 상호 작용을 추가로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쌍방 웹 또는 브리지를 통해, 체인 링크 사이의 힘 전달 또는 아크형 위치에서 (굴곡 아크에서) 힘 도입은 제1 양상에 따른 돌출부가 사용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개선될 수 있다.
연장된 정지 면 또는 아크 정지 면이라는 용어는 연장된 위치에서 또는 굴곡 아크에서 작용하는 바와 같이 그 주요 기능에 따라(즉, 그 모양에 따르는 것이 아님) 정지 면을 식별한다.
클레비스 플레이트처럼 작용하는 두 반대되는 플레이트 타입의 사이드 영역을 갖는 체인 링크는 지지 체인의 측 방향 굽힘에 대해 어느 정도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제2 양상에 따라 제안된 크로스피스 및 크로스브리지와 같은 두 반대되는 크로스연결부로 이러한 사이드 영역의 보강은 다양한 타입의 변형에 대한 체인 링크의 향상된 안정성 및 특히 지지 체인이 작동 중일 때 훨씬 더 큰 측 방향 안정성을 제공한다. 이는 특히 예를 들어 높이 × 너비 ≤ 50 mm × 50 mm, 특히 ≤ 25 mm × 25 mm로, 외부 치수와 관련하여 단면적으로 균일한 콤팩트 구조의 경우에 달성될 수 있는데, 단면이 정사각형일 필요는 없다.
또한, 제2 양상에 따른 아크 정지 면을 사용하면 아크 정지부를 구성하는 알려진 방법, 즉 종단 면에서 비교적 좁은 제한 정지부를 갖는 것과 비교하여 마모 또는 마멸을 줄일 수 있다.
크로스브리지는 컷아웃 또는 오리피스에 의해 전방과 후방 또는 길이 방향의 양 사이드에서 한정될 수 있다. 반면에, 크로스피스는 바람직하게는 특히 제1 길이 방향 부분을 향해 또는 전방에서, 체인 링크의 트렁크 또는 본체로 일방적으로 병합되거나 몰딩될 수 있다. 체인 링크의 트렁크 또는 본체는 예를 들어 일체로 또는 중실 본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이드 영역보다 그 자체가 더 안정적이다.
바람직하게는, 크로스피스는 내측의 크로스브리지와 함께, 굴곡 아크에 대해 외부에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은 특히 유리하게 제1 양상과 결합될 수 있다.
크로스피스는 바람직하게는 제2 길이 방향 부분의 전방 부분, 즉 제1 길이 방향 부분을 향한 사이드에 배열된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지지 체인과 함께, 길이 방향의 횡 방향으로 함께 결합 가능한 체인 링크로, 제2 양상에 따른 외측 크로스피스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특히 제2 양상에 따른 한 추가적인 개발은 제1 길이 방향 부분이 예를 들어 두 체인 링크 사이의 관절 연결을 위해, 체인 링크를 연결하기 위해, 특히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결될 체인 링크의 제2 길이 방향 부분으로 길이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제2 양상의 바람직한 한 구성에서, 각 체인 링크는 전방 영역의 크로스피스에 더하여, 외측의 제2 길이 방향 부분에 외측 크로스브리지를 더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크로스브리지는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후방 영역에 배치된다. 체인 링크는 또한 각각의 경우에 특히 외측의 크로스피스 대신에, 제1 및 제2 외측 크로스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크로스브리지는 마찬가지로 강화 작용을 하며 바람직하게는 제2 길이 방향 부분의 후단 영역에 제공된다. 제2 길이 방향 부분의 후단 영역에서 외측의 대응되는 크로스브리지는 제1 양상과 관련하여, 즉 돌출부를 통한 힘 도입을 위한 어버트먼트(상기 참조)로서 추가로 특히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길이 방향 부분은 외측에 돌출 영역을 가질 수 있는데, 이 영역은 아크형 위치에서(굴곡 아크에서), 크로스피스와 크로스브리지 또는 양 외측 크로스브리지 사이에서 외측에 도달하거나 맞물린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제1 길이 방향 부분이 아크형 위치에서 제2 길이 방향 부분과 함께 고정되도록 하고 이를 위해 특히 돌출 영역의 한 에지와 함께 끼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특히 추가적인 또는 후방 외측 크로스브리지에 작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견인 방향(주행의 한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특히 비교적 높은 인장력의 경우, 아크형 위치에서 체인 링크의 의도하지 않은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설명된 양태 각각에 대해, 연속적인 체인 링크의 상보적인 길이 방향 부분이 의도된 인장력의 경우 길이 방향으로의 분리를 확실하게 방지하는 래치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이론적으로 유리하다.
이를 위해, 두 길이 방향 부분 중 하나에서, 각 체인 링크는 각각의 경우 길이 방향에 대해 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두 반대되는 핀 또는 래칭 핀을 나타낼 수 있는데, 대응되는 컷아웃은 측 방향 핀이 함께 래칭될 수 있는 대응되는 길이 방향 부분에 제공된다. 핀은 유리하게는 제1 길이 방향 부분에 제공되어, 공정에서 사이드 부분 너머로 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고 제2 길이 방향 부분의 사이드 부분의 컷아웃에 맞물릴 수 있다.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 체인 링크를 연결하기 위해, 래칭 핀은 길이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테이퍼진 삽입 베벨, 특히 뒤쪽에서 앞쪽으로(또는 삽입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테이퍼진 삽입 베벨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해당 삽입 베벨은 체인의 길이 방향으로 체인 링크를 함께 간단히 결합하는 것을 통해 체인의 조립을 단순화한다.
특히, 반대되는 크로스브리지 또는 크로스피스를 갖는 제2 길이 방향 부분의 안정화된 구성의 경우, 래칭 목적을 위해 전술한 래칭 핀이 제공되는 컷아웃이 컷아웃으로 개방되는 삽입 홈과 연관되는 것이 더욱 유리하다. 이러한 삽입 홈은 핀이 컷아웃으로 도입되는 것을 더 용이하게 만든다. 길이 방향으로 체인 링크를 함께 결합하는 경우, 삽입 홈이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것이 유리하다.
제3 양상
독립적인 제3 양상에 따르면, 지지 체인의 개별 체인 링크 사이의 관절 조인트의 새롭고 최적화된 구성이 제안된다.
청구항 15에 따른 전방 길이 방향 부분 및 후방 길이 방향 부분을 갖는 일반적인 체인 링크 또는 지지 체인으로, 각 경우에 더 넓은 또는 후방 길이 방향 부분의 두 사이드 영역은 전단 면 및 후단 면을 갖는데, 이는 인접한 체인 링크의 경우 서로 반대되게 놓인다.
이러한 구성에서, 독립적인 제3 양상의 핵심 개념에 따라, 전단 면이 하나의 조인트 영역을 형성하고 후단 면이 상보적 조인트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는데, 조인트 영역은 두 체인 링크 사이의 원하는 관절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특히 (이동의 한 방향으로, 여기서는 "앞쪽으로") 적어도 전단 하중의 경우, 하중 케이스에 따라 상호 작용한다. 이 경우, 체인 링크의 전단 면과 인접하거나 다음 체인 링크의 후단 면의 각각의 조인트 영역이 상호 작용한다.
이는 체인 링크의 스위블 가능한 연결을 위한 기존 조인트 핀 및 조인트 리셉터클과 비교하여 새롭고 최적화된 구성 옵션을 제공하며, 특히 관절 조인트의 더 유리한 힘 전달 조건 또는 더 긴 내구 수명을 제공한다. 이 구성은 한편으로, 한 체인 링크의 전단 면이 전단력 전달을 위해 인접한 다른 체인 링크의 후단 면에 대해 안착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다른 한편으로, 동시에 사이드 부분의 종단 영역은 힌지 핀/리셉터클을 갖는 기존의 마모되기 쉬운 관절 조인트가 생략될 수 있도록, 두 체인 링크의 관절 연결을 위한 조인트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종단 면은 전단력이 가해지는 경우 표면 압력 또는 조인트의 내구성이 증가될 수 있도록, 구성 목적을 위해 비교적 큰 면적 치수를 제공한다.
조인트 영역은 이 경우 비고정 또는 플로팅 지지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정의된 지지를 형성하거나 전단력 하중의 방향으로만 힘을 전달하며, 특히 지지 체인에 전단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두 체인 링크의 스위블을 위한 회전축 또는 스위블 축을 정의한다. 조인트 영역은 마찰학적 쌍으로서, 특히 플로팅 틸팅 지지를 형성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 체인 링크의 전단 면의 조인트 영역은 예를 들어 실린더 부분의 형태의 표면을 갖는 볼록한 압력 피스로서 구현될 수 있고, 다른 체인 링크의 후단 면은 상보적인 표면을 갖는 상호 작용하는 오목한 틸팅 지지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인트 영역은 지지 체인이 작동 중일 때 인장력을 실질적으로 전달하지 않는다.
비고정 지지 타입의 관절 조인트는 그 자체로 더 오래 지속되고 특히 유리하게 제1 양상과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제1 양상에 따른 힘의 보다 유리한 도입을 최적화하기 위해, 특히 연장된 위치에서 중량 하중하에서, 피벗 지점 변위 또는 높이 방향의 상대적인 변위를 허용한다.
종단 면을 사용하는 관절 조인트의 경우, 한 체인 링크의 제1 길이 방향 부분은 선택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여유를 가지면서 길이 방향으로 다음 체인 링크의 상보적인 제2 길이 방향 부분에서, 고정, 특히 래칭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3 양상은 예를 들어 제1 양상에 따른 래치 연결 및/또는 훅 타입의 맞물림에 의해, 인장력의 전달을 위한 연결과 독립적인 관절 조인트의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제3 양상의 독립적인 핵심 개념에 따르면, 길이 방향 부분에 존재하는 일반적으로 판형 사이드 영역이 종단 면에 관절 조인트를 제공하거나 종단 면의 일부가 관절 조인트의 일체적인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제3 양상은 예를 들어 현저한 추가적인 재료 비용 없이 그리고 체인 링크를 함께 래칭할 때 관절 조인트의 연결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피벗 지지로서 역할을 하는 영역의 비교적 낮은 마모를 갖는 관절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이러한 구성은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지지 체인의 상대적으로 더 작거나 길이 방향으로 더 짧은 체인 피치를 허용하고, 따라서 특히 굴곡 아크의 더 작은 굽힘 반경 또는 전체적으로 라인 가이드의 더 낮은 구조적 높이를 허용한다.
제3 양상의 한 특정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경우 변위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볼 때(체인 링크의 측면도에서), 전단 면은 볼록하게 형성되고 후단 면은 그에 상응하여 또는 쌍을 이루어 오목하게 형성된다.
종단 면상의 조인트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굴곡 아크의 만곡된 상대 위치에서 스위블의 목적을 위해, 전단 하중에 대해 정의된 피벗 지점(회전 조인트 또는 틸팅 조인트)을 미리 결정하는 스위블 가능한 관절 연결을 위해 구현된다. 스위블 축은 종래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및 지지 체인의 이동 평면에 수직으로 놓여 있다.
그러나 서로를 따라 조인트 영역의 롤링도 생각할 수 있다. 종단 면의 조인트 영역은 예를 들어 조인트 헤드/조인트 소켓 연결의 방식으로, 회전 조인트 연결 또는 힌지 조인트를 위해 구현될 수 있다. 반면에, 플로팅, 비고정 지지와 같은 구성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에 전단 및 후단 면은 바람직하게는 높이 방향으로 양 사이드의 조인트 영역에 인접하는 접촉 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즉 하나는 아크형 위치에 대해 내측을 향하고(아크 접촉 면), 다른 하나는 연장된 위치에 대해 외측을 향한다(연장된 접촉 면). 또한, 반대되는 종단 면에서, 조인트 영역의 한 사이드에만, 제한 정지 작용 면, 특히 연장된 접촉 면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종단 면 각각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된 접촉 면, 조인트 영역 및 아크 접촉 면의 세분된 세 기능적인 영역을 형성한다. 전단 면의 연장된 접촉 면은 특히 자립하는 연장부에서, 연장된 위치에서 후단 면의 연장된 접촉 면과 상호 작용한다. 전단 면의 아크 접촉 면은 굴곡 아크(아크형 위치)에서 후단 면의 아크 접촉 면과 상호 작용한다. 따라서, 종단 면의 반대되는 아크 접촉 면 및 반대되는 연장된 접촉 면은 서로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이 경우, 종단 면의 접촉 면은 바람직하게는 측면도에서 만곡되어 연장된 접촉 면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특히 소음 발생이 감소된다. 이들은 예를 들어 체인 피치의 50% 초과 또는 체인 링크의 구조적 높이의 배수만큼 큰 비교적 큰 반경을 가진 원형 방식의 아크로 각각이 이어질 수 있다. 원의 두 아크의 반경은 동일할 수 있지만, 중심점은 일치하지 않는다.
볼록한 및 오목한 조인트 영역은 예를 들어 비교적 작은 반경, 특히 체인 링크의 구조적 높이의 33% 이하의 원형 원통형 표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3 양상은 또한 기존의 핀/리셉터클 관절 조인트로 구현할 수 없는 큰 반경을 가진 구성을 허용한다.
제3 양상의 특정한 특징으로서, 체인 링크가 길이 방향으로 함께 결합됨으로써 함께 연결되는 것도 마찬가지로 유리하다. 이는 길이 방향의 제1 길이 방향 부분이 연결될 체인 링크의 상보적인 제2 길이 방향 부분으로, 특히 길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달성될 수 있는데, 길이 방향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의 분리에 대해 래치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현된다.
특히 제3 양상과 관련하여, 래칭 목적을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실제 조인트 핀으로서 기능을 하지 않는 특정한 래칭 핀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길이 방향에 대해 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바람직하게는 특정한 리셉터클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을 갖는 두 반대되는 핀 그에 따라 한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측 방향으로 돌출된 핀은 다른 길이 방향 부분에서 대응되는 컷아웃과 함께 래칭 가능하다. 특히 바람직한 구성은 컷아웃이 (지지 체인의 이동 평면에 대응되는) 길이 방향 평면에서 원형 방식의 아크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 경우, 원 모양의 아크는 특히 제3 양상에 따른 사이드 영역의 종단 면을 통해, 원하는 관절 조인트에 대응된다. 원의 아크의 중심점은 관절 조인트의 공칭 피벗 지점과 일치해야 하고 라디안 측정은 바람직하게는 두 체인 링크의 상대적 높이 방향 변위에 대한 여유를 가지면서, 적어도 원하는 회전 각도에 대응되어야 한다.
핀을 위한 컷아웃은 바람직하게는 사이드 영역, 특히 내부 공간을 마주하는 내부 면에 제공된다. 래치 연결에 사용되는 핀은 원형 리셉터클의 대응되는 아크에 스냅될 수 있다. 리셉터클은 관통 오리피스로서 또는 예를 들어 내부 홈으로서 사이드 영역으로 몰딩될 수 있다.
모든 양상에서, 두 사이드 영역을 갖는 두 암의 길이 방향 부분은 나뉘거나, 구분되거나, 일반적으로 클레비스 플레이트와 유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텅형의 제1 길이 방향 부분은 이 경우 상보적인 암 커플링 피스의 공간에 수용되고 유지되는 수 커플링 피스를 구성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이 경우 공간은 적어도 전방 부분, 특히 연결된 체인 링크의 제1 길이 방향 부분의 주요 부분이 길이 방향 평면에서 체인에 대해 스위블 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치수화된다. 길이 방향 부분의 종단 영역 사이에 트렁크의 방식으로 중앙의, 비교적 견고한 중간 부분이 제공될 수 있는데, 이는 제2 길이 방향 부분의 일부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20에 따라 단독으로 취해진 체인 링크에 관한 것으로, 이는 전술한 실시예 중 하나, 즉 제1, 제2 및/또는 제3 양상 또는 바람직한 추가적인 개발 중 하나에 따른 특징을 포함한다.
지지 체인을 위한 체인 링크는 모든 양상에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인젝션 몰딩 방법을 사용하여, 플라스틱 재료로 한 피스로 제조된다. 이를 위해, 특히 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또는 기타 적절한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모든 체인 링크는 바람직하게는 유사한 구조를 갖거나 동일한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상기 양상들 중 하나 이상에 따른 구성으로, 각각의 경우에 상호 독립적으로, 특히 그 내구 수명과 관련하여, 전체로서 지지 체인의 현저한 개선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엔벨로프의 구조는 이론적으로 중요하지 않지만, 클린룸 적용의 경우 마모된 입자의 탈출에 대해 방진 또는 보호하는 방식으로 그리고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방식으로 그 안에 가이드된 라인과 필요한 곳에 수용된 지지 체인을 둘러싸야 한다. 장치는 선택적으로 이러한 엔벨로프의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적어도 하나의 지지 체인은 한 엔벨로프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개별 양상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 및 이점은 상기의 일반적인 본질을 제한함 없이,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여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대응되거나 동일한 구조 또는 기능의 특징은 대응되는 참조 부호를 가지며 반복적으로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연장된 자립하는 상부 연장부, 연장된 놓여 있는 하부 연장부 및 그 사이의 굴곡 아크를 갖는 순전히 예시적인 작동 위치에 있는 두 엔벨로프를 갖는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복수의 라인을 위한 다수의 적층된 엔벨로프를 갖는 예시적인 다층 구조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을 도시하는데, 지지 체인은 다수의 엔벨로프의 수용 덕트에 수용된다.
도 3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체인을 위한 개별 체인 링크의 구조도를 측면도(A), 저면도(B), 평면도(C), 정면도(D) 및 배면도(E)로 도시한다.
도 4a-4b는 도 3에 따른 체인 링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a-5b는 도 3에 따른 체인 링크의 지지 체인의 하위 길이부의 중앙 평면을 지나가는 종단면을 연장된 위치(도 5a의 좌측)와 굴곡 아크에서 완전히 구부러진 아크형 위치(도 5a의 우측) 및 두 체인 링크 사이에서 부분적으로만 구부러진 중간 위치(도 5b)로 도시한다.
도 6은 체인 링크 사이의 래치 연결 및 관절 조인트를 도시하기 위해 측 방향 외부 영역에서, 도 5a와 유사한 아크형 위치의 부분 종단면을 도시한다.
도 7a는 힘의 도입을 도시하기 위해 도 5a와 유사한 연장된 위치에서 두 체인 링크의 연결 영역의 확대된 종단면을 도시한다.
도 7b는 바람직한 플로팅 관절 조인트를 도시하기 위해 연장된 위치에서 두 체인 링크의 연결 영역의 확대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개별 체인 링크의 구조도를 측면도(A), 저면도(B), 평면도(C), 정면도(D) 및 배면도(E)로 도시한다.
도 1은 베이스상의 고정 연결 지점(2)과 이동 종단상의 이동 가능한 연결 지점(4) 사이에서 공급 라인(3)(도 2)을 가이드하는 예시적인 라인 가이드 장치(1)를 도시한다. 이동 종단은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길이 방향(L)으로 선형 방식으로 앞뒤로 변위될 수 있다. 공급 라인(3)은 케이블, 호스 등이며 예를 들어 전원, 신호 및/또는 작동 매체를 기계의 이동 가능한 부품에 공급한다. 도 1은 자립하는, 연장된 상부 연장부(5), 선택적으로 지지 표면에 놓인 하부 연장부(6) 및 굴곡 아크(7)를 갖는 라인 가이드 조립체(1)의 스냅숏을 도시한다. 굴곡 아크(7)는 개념적 굴곡 축(A)을 중심으로 미리 결정된 굽힘 반경 또는 굴곡 반경을 갖는다. 작동 시, 굴곡 아크(7)는 이동 가능한 연결 지점(4)을 갖는 상부 연장부(1)가 길이 방향으로 앞쪽 또는 뒤쪽으로 주행할 때 고정 연결 지점(2)에 대해 앞뒤로 주행한다.
라인 가이드 장치(1)는 특히 클린룸 또는 입자의 방출이 감소되거나 방지되어야 하는 다른 응용 분야에 적합하고 의도된다. 이를 위해,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된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의 하나 이상의 가요성 엔벨로프(10)를 갖는데, 이 엔벨로프는 연결 지점(2, 4) 사이의 전체 길이를 따라 방진 방식으로 공급 라인(3)을 둘러싼다. 각 엔벨로프(10) 및 라인(3)의 종단은 예를 들어 클램핑 장치(11) 또는 종단 연결부를 사용하여, 연결 지점(2, 4)에 종단에서 고정된다.
도 2에 따르면, 각 엔벨로프(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 라인(3)을 각 경우에 가이드하기 위한 다수의 튜브형 수용 덕트(12)를 갖는다. 각 엔벨로프(10)는 전체적으로 호스와 유사하며 힘을 거의 가하지 않고도 굴곡 아크(7)의 가역적으로 유연한 곡률을 허용하고 가능한 한 가장 적은 저항으로 길이 방향(L)으로 이동을 따르기 위해, 적절한 설계 및/또는 재료 선택을 통해, 충분히 유연하다.
라인 가이드 장치(1)는 연결 지점(2)으로부터 연결 지점(4)으로 라인 가이드 장치(1)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 체인(20)을 더 포함한다. 도 2에 따른 순전히 예시적인 배열에서, 라인(3)을 갖는 엔벨로프(10)의 복수의 적층된 레이어(13)를 갖는 다층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굴곡 아크(7)를 마주하는 내부 지지 레이어(14)가 제공되는데, 지지 체인(20)은 엔벨로프(들)의 모든 수용 덕트(12)에 제공되는 것으로, 즉 이 내부 지지 레이어(14)는 어떤 라인(3)도 가이드하지 않는다. 추가적인 지지 체인(20)은 또한 횡 방향 힘에 대한 안정화의 목적을 위해, 추가적인 레이어(13), 예를 들어 외부 사이드에서, 엔벨로프(들)(10)에 배열될 수 있다(도 2 참조).
지지 체인(20)의 핵심 기능은 굴곡 아크(7)의 곡률 반경을 미리 결정하거나 굴곡 축(A)에 대한 최소 반경을 제한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각 지지 체인(20)의 추가적인 핵심 기능은 특히 이동 종단의 완전히 진행된 위치에서(도 1에 도시되지 않음), 상부 연장부(5)의 자립하는 길이를 지지하거나 실제로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각 지지 체인(20)은 특히 중력에 의해 유발된 처짐에 대해, 엔벨로프(10)를 지지하거나 내력 작용을 갖는다. 하중 중량 및 길이에 대해 충분한 다수의 지지 체인(20)이 제공된다.
지지 체인(20)은 링크 체인의 형태를 취하고 개별 체인 링크의 두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3-7은 본 발명의 세 핵심 양상을 모두 결합한 체인 링크(100)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체인 링크(100)는 길이 방향(L)에서 보았을 때, 전방 또는 제1 길이 방향 부분(101) 및 이에 상보적인 구성의 후방 또는 제2 길이 방향 부분(102)을 갖는다. 체인 링크(100)는 또한 클레비스 플레이트의 방식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공간(103)을 형성하는 두 사이드 부분(102A, 102B)을 갖는다. 인접한 후속 체인 링크(100)의, 수 커넥터로 구현된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은 공간(103)에 삽입되어 그 안에 대체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도 5a-5b 참조). 제2 길이 방향 부분(102)은 대응되는 암 커넥터를 공간(103)과 함께 형성한다. 각 체인 링크(100)는 내구성 있는, 굴곡적으로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의 한 피스의 인젝션 몰딩이다. 더 짧은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에 대한 트랜지션에서, 연장된 제2 길이 방향 부분(102)은 강화된 트렁크 영역(104)을 형성하는데, 이는 중실체로 구현되거나 중량을 줄이는 컷아웃을 가질 수 있고, 길이 방향(L)으로 공간을 한정하거나 폐쇄한다(도 4B 참조).
체인 링크(100)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대략 정사각형으로(배면도 도 3(E) 참조), 콤팩트한 치수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5 mm 이하의 폭과 25 mm 이하의 높이를 갖는다. 길이는 높이 또는 폭의 배수에 달하지만, 예를 들어 구조적 높이의 4배 내지 최대 10배의 영역에서, 굴곡 아크(7)의 작은 반경에 대해 가능한 한 짧아야 한다.
도 3(C)는 굴곡 축(A)으로부터 먼 체인 링크(100)의 외측의 평면도이다(또한 도 5a 참조). 도 3(A)는 굴곡 축(A)을 마주하는 체인 링크(100)의 내측의 저면도이다. 그 내측에서, 수 길이 방향 부분(101)은 도 4b에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L)을 가로질러 돌출되는 전단 영역에서 돌기(105)를 갖는다. 대략 직육면체 또는 판형인 돌출부(105)는 다른 길이 방향 부분(102) 또는 사이드 부분(102A, 102B)의 내측과 대략 동일 높이에 있다.
마찬가지로 내측에서, 암 길이 방향 부분(102)은 후단 영역에서 판형 크로스브리지(106)를 갖는데, 이 크로스브리지는 길이 방향(L)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안정화 방식으로 사이드 부분(102A, 102B)을 연결한다. 크로스브리지(106)는 대략 사이드 부분(102A, 102B)의 벽 두께, 예를 들어 대략 높이 또는 폭의 10-25%를 갖는다. 전단 영역(101)을 향한 길이 방향에서, 크로스브리지(106)는 리세스(107) 내측을 한정하는데, 이는 관통 리세스로, 즉 공간(103)으로부터 외측으로 개방된다. 나아가, 도 3-4는 길이 방향 부분(102)의 후단 영역에 있는 추가적인, 외측 크로스브리지(108)를 도시한다. 두 크로스브리지(106, 108)는 단면이 박스형 또는 둘레 방향으로 폐쇄된 구조로 사이드 부분(102A, 102B)을 연결하고 안정화하며(도 3(E) 참조) 특히 길이 방향 부분(102)의 후단에서 사이드 부분(102A, 102B)의 의도하지 않은 퍼짐에 대항한다.
도 5a(좌측)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체인 링크(100)의 돌출부(105)는 체인 스트랜드에서 연결되거나 이어지는 체인 링크(100)의 리세스(107)에서 각 경우에 맞물리며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라, 인장력을 전달하거나 도입하기 위해, 그 내측 크로스브리지(106)의 전방에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도 7a-7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연결된 체인 링크(100)의 연장된 상대적인 위치에서, 텅형(tongue-like) 제1 종단 영역(101)은 제2 종단 영역(102)의 크로스브리지(106)의 반대되는 연장된 정지 면(110B)상에서 광범위하게 그리고 힘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굴곡 축(A)을 마주하는 제1 연장된 정지 면(110A)을 지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특히 상부 연장부(5)의 자립하는 부분에서(도 1), 하중의 일부는 체인 링크(100) 사이에서 전달되거나 지지 체인(20)에 의해 흡수될 수 있다. 연장된 위치에서 작용하는 연장된 정지 면(110A, 110B)은 길이 방향(L)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놓여 있다.
제1 양상에 따르면, 돌출부(105)가 특히 인장력 방향으로, 크로스브리지(106)의 연관된 결합 면(112)과 길이 방향(L)으로 실질적으로 수직인 접촉 면(111)을 통해 상호 작용한다는 점에서 개선된 힘 도입이 달성된다. 크로스브리지(106)의 결합 면(112)에 대한 돌출부(105)의 접촉 면(111)의 작용을 통해, 연장된 위치에서 하중, 특히 중량 하중의 일부가 인장력의 방향으로 그리고 길이 방향(L)에 평행한 힘으로서 크로스브리지(106)에 도입된다. 이는 도 3-4 또는 도 7a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로스브리지(106)가 구조적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 없이, 높이 방향(H)에서보다 분명히 더 큰 치수 및 굴곡 강성을 갖는 방향에 대응된다. 따라서, 동등하게 콤팩트한 외부 치수에 대해 현저히 더 강하거나 더 오래 지속되는 지지 체인(20)이 달성된다.
제1 양상에 따른 이 유리한 효과는 도 7a에서 R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관절 조인트의 피벗 지점이 (굴곡 축(A)으로부터 먼) 바깥쪽으로 변위됨으로써, 즉 체인 링크(100), 특히 텅형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이 무거운 하중하에서 변형되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특히 제1 길이 방향 부분(101)과 제2 길이 방향 부분(102) 사이의 트랜지션에서, 외측상의 대응되는 숄더 또는 작용 영역(115A)이 W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도 7a의 영역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되는, 외측 크로스브리지(108)의 어버트먼트 영역(115B)에 부딪힐 때까지, 특히 제1 종단 영역(101)의 적절한 치수에 의해, 의도된 바와 같이 가능하게 된다. 작용 영역(115A)이 이 영역(W)(도 7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크로스브리지(108)에 부딪힐 때, 크로스브리지(108)는 따라서 어버트먼트를 형성한다. 이는 레버 효과를 초래하는데, 이는 돌출부(105)의 접촉 면(111)과 크로스브리지(106)의 할당된 접촉 면 또는 결합 면(112)을 통한 힘의 더 유리한 도입을 비례적으로 증가시키고 따라서 연장된 정지 면(110A, 110B) 사이의 표면 압력을 비례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완화한다. 레버 길이는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상의 돌출부(105)와 그 접촉 면(111)의 최대 말단 배열에 의해 정의된다. 돌출부(105)는 이를 위해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의 전방, 말단 1/4에 배열되고 내부 크로스브리지(106)는 바람직하게는 도 3 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길이 방향 부분(102)의 먼 후방 1/2에 배열된다.
레버 효과는 적절한 느슨한 또는 플로팅 관절 조인트(제3 양상 참조) 또는 높이 방향(H)으로 여유가 있는 관절 조인트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접촉 면(111, 112)을 통한 하중의 도입은 지배적인 비율까지 확장될 수 있다.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은 도 3(E)와 3(D)의 비교가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길이 방향 부분(102)의 공간(103)보다 작은 단면으로 구현된다.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은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 평면(L-H)에서 마모 에지가 없고 여유가 거의 없는 공간에서 스위블 가능하며, 이 평면에서 작용 영역(115A, 115B)의 상호 작용을 허용하기 위해, 박스 형상으로 보강된 제2 길이 방향 부분(102)보다 더 용이하게 변형 가능하게 치수화될 수 있다.
돌출부(105)와 크로스브리지(106)의 상호 작용의 추가적인 결정적인 이점은 상부 연장부(5)의 연장된 위치, 이동 종단의 진행 시 인장력의 전달에 있는데, 이는 제안된 설계의 결과로서, 접촉 면(111, 112)과 크로스브리지(106) 위에서 주로 또는 완전히 흐를 수 있다. 따라서, 흔히 피로 파괴와 관련하여 취약한 부위를 구성하는 관절 조인트는 구조에 관계없이, 인장력이 매우 완화될 수 있다. 관절 조인트에서 하중 사이클링 진폭이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는데, 이는 마찬가지로 내구 수명을 증가시킨다.
힘 전달과 관련하여 견고한 설계를 위해, 돌출부(105)는 도 3(B)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L)에 대한 단면에서)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방식으로 접촉 면(111)과 함께 구현된다. 둘 다 체인 링크(100) 높이의 약 10%(높이 방향(H)의 치수)의 돌출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체인 링크(100)의 동시에 콤팩트한 구성과 함께, 비교적 넓은 면적의 접촉 면(111)이 달성된다. 콤팩트한 구성을 위해, 리세스(107)는 공간(103)으로부터 시작하여 내측을 향하는 개구로서 구현된다. 리세스(107)는 굴곡 아크(7)의 추가적인 측 방향 안정성을 가져오기 위해 연장된 위치에서 돌출부(105)를 형상 끼워맞춤식으로 수용할 수 있다.
굴곡 아크에서 체인 링크(100)의 아크형 상대적인 위치의 상대적인 스위블 각도를 정하기 위해, 체인 링크(100)는 도 5b와 도 5a의 비교로부터 가장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호 작용하는 아크 정지 면(114A, 114B)을 갖는다.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의, 돌출부(105)로부터 먼 외측에서, 완전히 구부러진 위치(도 5a, 우측)에서, 반대되는 제2 아크 정지 면(114B)과 상호 작용하는 제1 아크 정지 면(114A)이 제공된다. 이 제2 아크 정지 면(114B)은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라, 추가적인 크로스피스(109)에 제공되고 공간(103)을 마주한다. 크로스피스(109)는 크로스브리지(108)와 유사하게, 안정화 방식으로 사이드 부분(102A, 102B)을 연결하고 추가적으로 트렁크 영역(104)으로 한 피스로 전이되어 비틀림에 대해 강화된다. 이는 굴곡 아크(7)에서 체인 링크(100)의 아크형으로 만곡된 상대적인 위치에서 제한 정지부의 안정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온다. 추가적인 크로스피스(109) 및 그에 형성된 저항 아크 정지 면(114B) 덕분에,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르면 지지 체인의 굴곡 아크(7)의 비교적 높은 내력 능력이 달성되는데, 이는 특히 긴 자립하는 길이에 유리하다.
또한, 외측상의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은 돌출 영역(116)을 갖는데, 이는 크로스피스(109)와 크로스브리지(108) 사이의 추가적인 컷아웃에서 아크형 위치(도 5a, 우측)에서 맞물린다. 이러한 방식으로, 텅형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영역(116)에 제공된 추가적인 작용 영역(116A)이 외부 크로스브리지(108)의 추가적인 어버트먼트 영역에 작용하거나 이와 함께 고정시킨다는 점에서, 아크형 위치에서 다음 체인 링크의 제2 길이 방향 부분(102)과 함께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체인(20)은 굴곡 아크(7)에서 또는 완전히 구부러진 체인 링크(100)의 경우, 즉 돌출부(105)가 인장력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연장된 위치에 위치되지 않으면 인장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도, 관절 조인트를 통해 인장력이 전달되지 않거나 현저히 감소된다. 돌출 영역(116)은 추가로 돌출부(105)와 함께 길이 방향 부분(101)의 전단 영역의 보강을 형성한다(도 7a 참조).
반대되는 크로스브리지(106, 108) 및 크로스피스(109)를 갖는 제안된 구성은 특히 도 5a-5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체인 링크(100)가 길이 방향(L)으로 실질적으로 함께 결합됨으로써 서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가능하게 된다.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은 텅형 팁의 방식으로 구현되는데, 이는 인접하는 후속 체인 링크(100)의 제2 길이 방향 부분(102)의 공간(103)에 길이 방향(L)으로 삽입될 수 있다.
특히 굴곡 아크(7)의 완전히 구부러진 아크 위치와 상부 연장부(5)의 연장된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도 인장력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길이 방향 부분(101, 102)은 래치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현되는데, 이는 공칭 인장 하중하에서 중간 위치(도 5b)에서 길이 방향(L)으로 분리에 대해 고정한다. 이를 위해, 각 체인 링크(100)는 한 길이 방향 부분(101)에서, 길이 방향에 대해 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사이드 부분(102A, 102B)과 측 방향으로 대략 같은 높이로 끝나는 두 반대되는 래칭 핀(117A, 117B)을 갖는다. 각 래칭 핀(117A, 117B)은 다른 길이 방향 부분(102)에서 대응되는 래칭 컷아웃(118A, 118B)과 함께 래칭 가능하다. 래칭 컷아웃(118A, 118B)은 사이드 부분(102A, 102B)의 개구로서, 공간(103)의 사이드에서 사이드 부분(102A, 102B)의 후방 영역에 제공된다. 체인 링크(100)는 길이 방향(L)으로 함께 결합되기 때문에, 래칭 핀(117A, 117B)은 도 3(B)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종단 영역(101)의 끝단을 향해 길이 방향(L)으로 비스듬히 테이퍼지는 삽입 베벨을 갖는다. 또한, 함께 결합하는 것을 단순화하기 위해, 각 체인 링크(100)는 래칭 핀(117A, 117B)을 위한 삽입 홈(119A, 119B)을 갖는다. 삽입 홈(119A, 119B)은 종단 영역(102)의 후단에 있는 삽입 오리피스로부터 컷아웃(118A, 118B)으로 이어지고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L)으로 배향된다.
도 3-4와 함께 도 6 및 도 7b를 보면 이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단력의 전달을 나타낸다. 제2 길이 방향 부분(102)의 두 사이드 영역(102A, 102B)은 각각 전단 면(121) 및 후단 면(122)을 갖는데, 이들은 인접한 체인 링크(100)의 경우에 서로 반대되게 놓여 있으며, 도 6의 사이드 부분(102A)을 관통하는 길이 방향 단면으로부터 가장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굴곡 아크(7) 또는 상부 연장부(5)상의 전단력하에서 서로 부딪힌다. 이 과정에서, 부딪히는 종단 면(121, 122)은 한 체인 링크(100)에서 다음 체인 링크(100)로 전단력을 전달한다. 텅형 제1 길이 방향 부분(101) 및 래칭 핀(117A, 117B) 및 대응되는 래칭 컷아웃(118A, 118B)를 사용하는 래칭 연결은 전단력이 그들을 통해 전달되지 않도록 길이 방향(L)으로 충분한 여유를 갖도록 치수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호 작용하는 종단 면(121, 122)의 성형에 더하여, 도 7b는 본 발명의 제3 독립적인 양상을 더 도시하는데, 이에 따르면 두 사이드 부분(102A, 102B)의 종단 면(121, 122)이 또한 틸팅 지지의 형태로 플로팅(비고정) 지지의 타입으로 관절 조인트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전단 면(121)의 조인트 영역(123A)은 볼록한 구성을 갖고 후단 면(122)의 상호 작용하는 조인트 영역(123B)은 쌍을 이루어 오목한 구성을 갖는다. 조인트 영역(123A, 123B)은 특히 도 7b에서 점선 원 영역(R)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된 반경을 갖는 원형 원통형 표면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더 크거나 더 작은 반경이 또한 가능하다. 조인트 영역(123A, 123B)에 의해 형성된 경사지는 지지는 적어도 연장된 위치에서 그리고 그에 대해 작은 각도로 전단 하중하에서 L-H 평면(도 7b의 평면)에 수직인 정의된 회전축을 특정한다. 이 구성의 중요한 이점은 플로팅 조인트가 인장력을 전달하지 않아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다는 사실에 있다. 또한, 자유도가 높이 방향(H)으로 제공되는데, 이는 특히 제1 양상에 따른 최적화된 힘 도입과 조합하여 유리하다(도 7a 참조). 이와 무관하게, 종단 면(121, 122)에 의해 형성된 느슨한 관절 조인트는 또한 설계 자유 및 표면 압력 또는 전단력의 도입과 관련하여 이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도 7b에서 가장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컷아웃(118A, 118B)은 조인트 영역(123A, 123B)의 피벗 지점에 따라 사이드 영역(102A, 102B)에서 원형 방식의 아크로 길이 방향 및 높이 방향 평면(L-H)에서 연장된다. 래칭 핀(117A, 117B)은 마찬가지로 길쭉하게 만곡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슬롯형 가이드 또는 곡선형 가이드에서와 같이 원형 리셉터클(118A, 118B)의 아크에서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높이 방향에서, 종단 면(121, 122)은 양 사이드에서, 즉 아크형 또는 연장된 위치에 대해 조인트 영역(123A, 123B)에 각 경우에 인접하는 만곡된 접촉 면을 형성한다. 각 종단 면(121, 122)은 높이 방향(H)으로, 각각 연장된 접촉 면(125A 또는 125B), 각각 조인트 영역(123A 또는 123B) 및 각각 아크 접촉 면(124A 또는 124B)의 세 기능적인 영역으로 세분된다. 연장된 접촉 면(125A, 125B)은 연장된 위치에서(도 5 참조), 특히 자립하는 연장부(5)에서 상호 작용한다. 대조적으로, 아크 접촉 면(124A, 124B)은 굴곡 아크(7)(아크형 위치)에서 상호 작용한다. 따라서, 반대되는 아크 접촉 면(124A, 124B) 및 연장된 접촉 면(125A, 125B)은 쌍을 이루는 방식으로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대략 조인트 영역(123A, 123B)보다 현저하게 큰, 비교적 큰 반경을 갖되, 일치하지 않는 중심점을 갖는 원형 방식의 아크로 만곡된다.
도 8은 체인 링크(200)의 대안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는 제3 양상에 따른 특정한 관절 조인트가 구현되지 않고 오히려 미리 결정된 회전축을 갖는 회전 조인트를 정의하는 조인트 핀(240) 및 조인트 리셉터클(242)을 갖는 종래의 관절 조인트가 구현된다는 점에서 첫 번째와 다르다. 그 외에, 체인 링크(200)의 본질적인 특징은 도 3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체인 링크(200)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제2 양상에서와 같이, 추가적인 크로스브리지(208) 및 추가적인 크로스피스(209)와 함께, 제1 길이 방향 부분(201)상의 돌출부(205) 및 제2 길이 방향 부분(202)상의 크로스브리지(206)를 사용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세 양상은 각의 경우에 단독으로 유리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1-2
1: 라인 가이드 장치(Line guide device)
2, 4: 연결 지점(Connection point)
3: 공급 라인(Supply line)
5: 상부 연장부(Upper run)
6: 하부 연장부(Lower run)
7: 굴곡 아크(Deflection arc)
10: 엔벨로프("pod")(Envelope ("pod"))
11: 클램핑 장치(Clamping devices)
12: 수용 덕트(Receiving duct)
13, 14: 레이어(Layers)
20: 지지 체인(Support chain)
A: 굴곡 축(Deflection axis)
L: 길이 방향(Longitudinal direction)
도 3-7
20: 지지 체인(Support chain)
100: 체인 링크(Chain link)
101: 제1/전방 길이 방향 부분(First/front longitudinal portion)
102: 제2/후방 길이 방향 부분(Second/rear longitudinal portion)
102A, 102B: 사이드 부분(Side parts)
103: 공간(Space)
104: 트렁크 영역(Trunk region)
105: 돌출부(Projection)
106: 내측 크로스브리지(Inside cross-bridge)
107: 내측 리세스(Inside recess)
108: 외측 크로스브리지(Outside cross-bridge)
109: 외측 크로스피스(Outside crosspiece)
110A, 110B: 연장된 정지 면(Extended stop faces)
111: (돌출부(105)상의) 접촉 면(Contact face (on projection 105))
112: (크로스브리지(106) 상의 접촉 면/결합 면)(Contact face/mating face (on cross-bridge 106))
114A, 114B: 아크 정지 면(Arc stop faces)
115A: 작용 영역(Active area)
115B: 어버트먼트 영역(Abutment area)
116: 돌출 영역(Protruding region)
116A: 추가적인 작용 영역(Further active area)
116B: 추가적인 어버트먼트 영역(Further abutment area)
117A, 117B: 래칭 핀(Latching pins)
118A, 118B: 래칭 컷아웃(Latching cut-out)
119A, 119B: 삽입 홈(Insertion grooves)
121: 전단 면(Front end face)
122: 후단 면(Rear end face)
123A, 123B: (종단 면상의) 조인트 영역(Joint region (on end faces))
124A, 124B: 아크 접촉 면(Arc contact faces)
125A, 125B: 연장된 접촉 면(Extended contact faces)
도 8
200: 체인 링크(Chain link)
201: 제1/전방 길이 방향 부분(First/front longitudinal portion)
202: 제2/후방 길이 방향 부분(Second/rear longitudinal portion)
202A, 202B: 사이드 부분(Side parts)
203: 공간(Space)
204: 트렁크 영역(Trunk region)
205: 돌출부(Projection)
206: 내측 크로스브리지(Inside cross-bridge)
207: 내측 리세스(Inside recess)
208: 외측 크로스브리지(Outside cross-bridge)
209: 외측 크로스피스(Outside crosspiece)
211: (돌출부(105)상의) 접촉 면(Contact face (on projection 105))
212: (크로스브리지(106)상의) 접촉 면/결합 면(Contact face/mating face (on cross-bridge 106))
240: 조인트 핀(Joint pins)
242: 조인트 리셉터클(Joint receptacle)

Claims (20)

  1.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이동 가능한 두 연결 지점(2, 4) 사이의 케이블, 호스 등과 같은 공급 라인(3)의 보호된 가이드를 위한, 특히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장치(1)로서, 라인 가이드 장치는 길이 방향(L)을 갖고 두 연장부(5, 6) 및 굴곡 아크(7)를 형성하면서 앞뒤로 변위 가능하며,
    - 각각의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3)에 대해, 서로 이웃하게 배열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수용 덕트(12)를 갖는 가요성 엔벨로프(10), 및
    - 라인 가이드 장치(1)를 지지하기 위해 수용 덕트(12)에 배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 체인(20)을 포함하며, 지지 체인(15)은 연장부(5, 6)를 형성하기 위한 연장된 위치 및 굴곡 아크(7)를 형성하기 위한 아크형 위치를 취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관절 방식으로 함께 연결되는 복수의 개별 체인 링크(100; 200)를 가지며,
    - 체인 링크(100; 200)는 각각 제1, 길이 방향 부분(101; 201) 및 두 사이드 부분(102A, 102B; 202A, 202B) 및 이웃한 후속 체인 링크의 제1 길이 방향 부분(101; 201)이 도입되는 그 사이의 공간(103)을 갖는 그에 상보적인 제2, 후방 길이 방향 부분(102; 202)을 포함하고, 체인 링크는 각각 굴곡 아크(7)에 대해 내측 및 외측을 갖되,
    - 종단 영역에서 그리고 내측에서, 제1 길이 방향 부분(101; 201)은 길이 방향의 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05; 205)를 갖고;
    - 내측상에서 제2 길이 방향 부분(102; 202)은 연장된 위치를 위한 연장된 정지 면(110B)으로, 사이드 부분(102A, 102B; 202A, 202B)을 연결하는 내측 크로스브리지(106, 206) 및 길이 방향으로 크로스브리지에 이웃한 리세스(107; 207)를 가져;
    - 연장된 위치에서, 한 체인 링크의 돌출부(105, 205)가 연결된 후속 체인 링크(100, 200)의 리세스(107, 207)에서 그리고 그 내측 크로스브리지(106; 206)에서 맞물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인 가이드 장치.
  2. 특히 제1항에 따른, 가요성 엔벨로프(10)를 갖는 라인 가이드 장치(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체인(20)으로서, 지지 체인(20)은 연장된 연장부(5, 6)를 형성하기 위한 연장된 위치 및 굴곡 아크(7)를 형성하기 위한 아크형 위치를 취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관절 방식으로 함께 연결되는 길이 방향(L)을 갖는 복수의 개별 체인 링크(100; 200)를 가지며, 체인 링크(100; 200)는 각각 제1, 전방 길이 방향 부분(101; 201)을 포함하고 두 사이드 부분(102A, 102B; 202A, 202B) 및 이웃한 체인 링크의 제1 길이 방향 부분(101; 201)이 배열되는 그 사이의 공간(103)을 갖는 그에 상보적인 제2, 후방 길이 방향 부분(102; 202)을 포함하며, 체인 링크는 각각 굴곡 아크(7)에 대해 내측 및 외측을 갖되,
    - 종단 영역에서 그리고 내측에서, 제1 길이 방향 부분(101; 201)은 길이 방향의 횡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05; 205)를 갖고;
    - 내측상에서 제2 길이 방향 부분(102, 202)은 연장된 위치를 위한 연장된 정지 면(110B)으로, 사이드 부분을 연결하는 내측 크로스브리지(106; 206) 및 길이 방향의 전방에서 크로스브리지(106; 206)에 이웃한 리세스(107, 207)를 가지며;
    - 연장된 위치에서, 한 체인 링크의 돌출부(105, 205)는 연결된 후속 체인 링크(100, 200)의 리세스(107, 207)에서 그리고 내측 크로스브리지(106; 206)에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체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측에서 그리고 후단 영역에서, 제2 길이 방향 부분(102)은 횡 방향 정지부, 특히 연장된 위치를 위한 어버트먼트(115B)로서 이웃한 체인 링크의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의 외측에 반대되게 놓인, 사이드 부분을 연결하는 외측 크로스브리지(10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돌출부(105)는 길이 방향(L)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열되는 내측 크로스브리지(106, 112)에 대해 안착되기 위한 접촉 면(1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특히 제3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길이 방향 부분(101, 102)은 연장된 위치에서 상호 작용하는 정지 면(110A, 110B)을 갖고,
    돌출부(105)와 내측 크로스브리지(106)는 연장된 정지 면(110A, 110B)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놓이며 한 체인 링크의 돌출부(105)가 연장된 위치에서, 후속 체인 링크의 내측 크로스브리지(106)의 접촉 면(111)에 대해 접촉 면(111)으로 안착되도록 배열되는 상호 작용하는 접촉 면(111, 1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돌출부(105; 205), 특히 그 접촉 면은 길이 방향에 대해 단면적으로 제1 길이 방향 부분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것 및/또는 돌출부, 특히 그 접촉 면은 길이 방향에 대해 단면적으로 체인 링크의 구조적 높이의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의 돌출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돌출부(105; 205)는 제1 길이 방향 부분(101; 201)의 말단 전방 1/4에 배열되고 내측 크로스브리지(106; 206)는 바람직하게는 제2 길이 방향 부분(102; 202)의 먼 후방 1/2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하나에 있어서,
    리세스(107)는 공간(103)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 체인 링크(100)는 제2 길이 방향 부분에서 외측에 외측 크로스피스(109)를 포함하고,
    크로스브리지와 크로스피스는 공간을 가로질러, 사이드 부분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내측 크로스브리지(106)는 제1 길이 방향 부분의 내측 연장된 정지 면(110A)과 연장된 위치에서 상호 작용하고 외측 크로스피스(109)는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의 외측 아크 정지 면(114A)과 아크형 위치에서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특히 제1항에 따른, 가요성 엔벨로프(10)를 갖는 라인 가이드 장치(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체인(20)으로서,
    지지 체인(100; 200)은 연장된 연장부(5, 6)를 형성하기 위한 연장된 위치 및 굴곡 아크(7)를 형성하기 위한 아크형 위치를 취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관절 방식으로 함께 연결되는 길이 방향(L)을 갖는 복수의 개별 체인 링크(100, 200)를 가지며,
    체인 링크는 각각 제1 길이 방향 부분(101; 201) 및 두 사이드 영역(102A, 102B; 202A, 202B) 및 이웃한 후속 체인 링크의 제1 길이 방향 부분이 배열되는 그 사이의 공간(103; 203)을 갖는 그에 상보적인 제2 길이 방향 부분(201; 202)을 포함하고, 각 체인 링크(100; 200)는 각각 내측 및 외측을 갖되,
    각 체인 링크(100; 200)는 제2 길이 방향 부분(102; 202)의 외측의 외측 크로스연결부(109; 209) 및 공간을 가로지르며 사이드 영역(102A, 102B; 202A, 202B)을 연결하는 내측의 내측 크로스연결부(106; 206)를 포함하고,
    내측 크로스연결부(106; 206)는 제1 길이 방향 부분의 내측 연장된 정지 면(110A, 210A)과 연장된 위치에서 상호 작용하며 외측 크로스연결부(109; 209)는 제1 길이 방향 부분(101; 201)의 외측 아크 정지 면(114A, 214A)과 아크형 위치에서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체인.
  11.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특히 제10항에 있어서,
    외측 크로스연결부는 크로스피스(109; 209)로 구현되고 내측 크로스연결부는 크로스브리지(106; 206)로 구현되며;
    바람직하게는 각 체인 링크(100; 200)는 제2 길이 방향 부분에서, 전방 영역의 외측의 크로스피스(109; 209) 및 후단 영역의 외측 크로스브리지(108; 208)를 포함하고;
    제 1 길이 방향 부분(101; 201)은 크로스피스(109; 209)와 외측 크로스브리지(108; 208) 사이의 아크형 위치에서 맞물리는 외측의 돌출 영역(116; 216)을 포함하며, 제1 길이 방향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아크형 위치(116A, 116B)에서 제2 길이 방향 부분과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체인.
  12.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특히 제10항에 있어서,
    제1 길이 방향 부분(101; 201)은 길이 방향(L)으로 이웃하는 후속 체인 링크의 제2 길이 방향 부분(102; 202)에서 공간(103; 203)에 삽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체인.
  13.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특히 제12항에 있어서,
    길이 방향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분리에 대해 래치 연결을 형성하도록 구현되고, 각 체인 링크는 한 길이 방향 부분에서, 길이 방향에 대해 측 방향으로 돌출된 두 반대되는 핀(117A, 117B)을 가지며,
    각 핀은 다른 길이 방향 부분에서 대응되는 컷아웃(118A, 118B)과 함께 래칭 가능하되,
    핀(117A, 117B)은 길이 방향(L)으로 비스듬하게 테이퍼진 삽입 베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체인.
  14.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특히 제13항에 있어서,
    각 체인 링크는 길이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컷아웃(118A, 118B)으로 개방된 핀(117A, 117B)을 위한 삽입 홈(119A, 119B)을 포함하는 지지 체인.
  15. 특히 제1항에 따른, 가요성 엔벨로프(10)를 갖는 라인 가이드 장치(1)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체인(20)으로서,
    지지 체인은 연장된 연장부(5, 6)를 형성하기 위한 연장된 위치 및 굴곡 아크(7)를 형성하기 위한 아크형 위치를 취할 수 있고 이를 위해 관절 방식으로 함께 연결되는 길이 방향(L)을 갖는 복수의 개별 체인 링크(100)를 가지며,
    체인 링크(100)는 각각 제1, 전방 길이 방향 부분(101) 및 두 사이드 영역(102A, 102B) 및 이웃한 후속 체인 링크의 제1 길이 방향 부분(101)이 배열되는 그 사이의 공간(103)을 갖는 그에 상보적인 제2, 후방 길이 방향 부분(102)을 포함하고,
    제2 길이 방향 부분의 양 사이드 영역(102A, 102B)은 각각 이웃한 체인 링크의 경우에 서로 반대되게 놓이는 전단 면(121) 및 후단 면(122)을 포함하되,
    전단 면(121)은 조인트 영역(123A)을 형성하고 후단 면(122)은 조인트 영역(123B)을 형성하여, 한 체인 링크의 전단 면(121) 및 이웃한 체인 링크의 후단 면(102)의 각각의 조인트 영역이 이들 두 체인 링크(100)의 관절 연결을 위해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체인.
  16.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특히 제15항에 있어서,
    전단 면(121)의 조인트 영역(123A)은 볼록하게 구성되고 후단 면의 조인트 영역(123B)은 오목하게 구성되는 것 및/또는 조인트 영역은 길이 방향에 직각인 스위블 축을 갖는 스위블 가능한 관절 연결을 위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체인.
  17.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특히 제15항에 있어서,
    각 경우에 종단 면은 적어도 한 사이드에서, 바람직하게는 조인트 영역의 양 사이드에서 높이 방향으로, 아크형 또는 연장된 위치를 위한 접촉 면(124A, 124B), 바람직하게는 만곡된 접촉 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체인.
  18.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특히 제17항에 있어서,
    한 길이 방향 부분에서, 각 체인 링크는 길이 방향에 대해 측 방향으로 돌출된 두 반대되는 핀(117A, 117B)을 포함하고,
    각 핀은 다른 길이 방향 부분에서 대응되는 컷아웃(118A, 118B)과 함께 래칭 가능하되,
    컷아웃(118A, 118B)은 길이 방향 평면의 사이드 영역에서 원형 방식의 아크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체인.
  19.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체인 링크는 특히 인젝션 몰딩 방법을 사용하여, 플라스틱 재료로 한 피스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지지 체인을 위한 체인 링크(100; 200)로서, 선행 청구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인 링크.
KR1020227020894A 2019-12-13 2020-12-11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위한 지지 체인 및 체인 링크 KR202201102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9106979.1 2019-12-13
DE202019106979.1U DE202019106979U1 (de) 2019-12-13 2019-12-13 Leitungsführungsvorrichtung für Reinraumanwendungen sowie Stützkette und Kettenglied hierfür
PCT/EP2020/085861 WO2021116467A1 (de) 2019-12-13 2020-12-11 Leitungsführungsvorrichtung für reinraumanwendungen sowie stützkette und kettenglied hierfü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230A true KR20220110230A (ko) 2022-08-05

Family

ID=74141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0894A KR20220110230A (ko) 2019-12-13 2020-12-11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위한 지지 체인 및 체인 링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30006432A1 (ko)
EP (1) EP4073894B1 (ko)
JP (1) JP2023510497A (ko)
KR (1) KR20220110230A (ko)
CN (1) CN114868316A (ko)
BR (1) BR112022008844A2 (ko)
CA (1) CA3159741A1 (ko)
DE (1) DE202019106979U1 (ko)
MX (1) MX2022006888A (ko)
WO (1) WO20211164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20102090U1 (de) 2020-04-15 2021-05-25 Igus Gmbh Leitungsführungsvorrichtung und modulare Endbefestigungen mit flexibler Umhüllung für Reinraumanwendungen
DE102022109963A1 (de) 2022-04-25 2023-10-26 Igus Gmbh Verfahren und System zur indirekten Erkennung von Verschleiß einer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bzw. Energieführungskette
DE202022102217U1 (de) 2022-04-25 2023-07-26 Igus Gmbh Leitungsführungsvorrichtung und Stützkette für Reinraumanwendunge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81350B (de) * 1967-09-06 1968-10-24 Ruberg & Renner G M B H Transportkette
DE2141709A1 (de) * 1971-08-20 1973-03-01 Ruberg & Renner Gmbh Gelenkkette
JP4658221B1 (ja) * 2009-11-26 2011-03-2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749494B1 (ja) 2010-04-02 2011-08-1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用多関節支持部材
JP5414704B2 (ja) 2011-01-21 2014-02-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127943B2 (ja) * 2011-02-10 2013-01-23 サムウォン アク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5079894B2 (ja) * 2011-02-15 2012-11-2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73894B1 (de) 2023-11-01
BR112022008844A2 (pt) 2022-08-16
MX2022006888A (es) 2022-09-23
WO2021116467A1 (de) 2021-06-17
JP2023510497A (ja) 2023-03-14
EP4073894A1 (de) 2022-10-19
CN114868316A (zh) 2022-08-05
US20230006432A1 (en) 2023-01-05
DE202019106979U1 (de) 2021-01-18
CA3159741A1 (en)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10230A (ko) 클린룸 적용을 위한 라인 가이드 장치 및 이를 위한 지지 체인 및 체인 링크
US7317160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7428808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7520122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7591128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6695014B2 (en) Energy guiding chain
US6550232B1 (en) Energy guide chain for guiding lines comprising chain links which can move in three dimensions
JP4789632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880749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apparatus
US749375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US7174702B2 (en) Cable or the lik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KR101499806B1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ITGE20070127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e guida per cavo.
US12085147B2 (en) Line guide with support chain for clean room applications and support chain thereof
WO2014047037A1 (en) Interlocking cable track system
CN107636346B (zh) 具有用于外管线的保持器的导能链、接收元件和相应的侧接板
US20230220905A1 (en) Energy guide chain with flexible joint connectors as well as side plates and joint connectors for same
CN100580273C (zh) 链板、链节、能量导链以及用于能量导链的固定装置
CN102231461B (zh) 包括具有韧性紧固部件的引导凸起或凹槽的电连接器
TW202403202A (zh) 用於無塵室應用的線路導引裝置和支撐鏈
CN113677915B (zh) 具有由塑料制成的侧向稳定的板的能量引导链
KR20230113810A (ko) 특히 롤러를 구비한, 장거리 이동을 위한 에너지 체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