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908A -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908A
KR20220108908A KR1020210011965A KR20210011965A KR20220108908A KR 20220108908 A KR20220108908 A KR 20220108908A KR 1020210011965 A KR1020210011965 A KR 1020210011965A KR 20210011965 A KR20210011965 A KR 20210011965A KR 20220108908 A KR20220108908 A KR 20220108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polyvinyl chloride
chloride resin
plasticiz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662B1 (ko
Inventor
조상원
신철
정종환
위성유
김장수
문지수
Original Assignee
애경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경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1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6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08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펜타에리쓰리톨, 벤조산 및 2-에틸헥사노익산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어지는 에스테르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점도, 전단강도 및 제진 성능이 우수한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Composite plasticizer composition and poly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적용되는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경질 또는 연질 특성을 가지며, 성형 가공성이 뛰어나고,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여 범용적인 효용성으로 여러 응용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다양한 물성 구현을 위하여 가소제와 혼합되어 사용되고 있다.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유연성을 부여하고, 가공성 등의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고분자 수지에 적용됨에 있어서,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고, 가소화 효율이 우수하며, 낮은 휘발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물성을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하며, 그 적용 분야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가소제는 분자량이 클수록 우수한 내노화성을 가지나 수지와의 상용성이 저하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요구 물성을 균형 있게 구현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경향이 있다. 이에 가소제를 사용하는데 제한적이거나 각종 물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가소제를 적용함으로써 가소화 효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기술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가소제를 수지에 적용하는 제조공정이나 상기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최종 제품을 사용함에 있어서 가소제는 상온에서는 물론 고온 혹은 저온에서 우수한 물성 구현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즉, 내열성, 내한성을 비롯하여 다양한 온도 영역에서 우수한 내노화성을 구현할 수 있음으로써 장기 내구성, 품질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펜타에리쓰리톨, 벤조산 및 2-에틸헥사노익산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어지는 에스테르 혼합물을 포함하여 점도, 전단강도 및 제진 성능이 우수한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펜타에리쓰리톨, 벤조산 및 2-에틸헥사노익산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어지는 에스테르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가소제 조성물 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혼합물은 하기 화합물 1 내지 화합물 5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합물 1]
Figure pat00001
[화합물 2]
Figure pat00002
[화합물 3]
Figure pat00003
[화합물 4]
Figure pat00004
[화합물 5]
Figure pat00005
이 때, 상기 에스테르 혼합물은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화합물 1은 1 내지 10 중량%; 화합물 2는 10 내지 30 중량%; 화합물 3은 30 내지 40 중량%; 화합물 4는 20 내지 40 중량%; 및 화합물 5는 3 내지 15 중량%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합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기준으로 10내지 60중량%의 상기 복합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선형 구조의 아디프산계 가소제 또는 선형 구조의 디벤조에이트계 가소제 중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조의 아디프산계 가소제는 디부틸아디페이트,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및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조의 디벤조에이트계 가소제는 디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및 네오펜틸글리콜디벤조에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필러, 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및 가공조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펜타에리쓰리톨, 벤조산 및 2-에틸헥사노익산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어지는 에스테르 혼합물을 포함하여 점도, 전단강도 및 제진 성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종래 폴리염화비닐 수지 등의 고분자 수지에 적용되는 것으로 증대되고 있는 다양한 물성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소제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던 중, 점도, 전단 강도 및 제진 성능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가소제를 개발하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펜타에리쓰리톨, 벤조산 및 2-에틸헥사노익산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어지는 에스테르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가소제 조성물이 종래의 가소제에 비하여 점성, 전단 강도 및 제진 성능을 포함한 다양한 물성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펜타에리쓰리톨, 벤조산 및 2-에틸헥사노익산을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얻어지는 에스테르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가소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점도, 전단 강도 및 제진 성능을 포함한 다양한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에스테르 혼합물은 하기 화합물 1 내지 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합물 1]
Figure pat00006
[화합물 2]
Figure pat00007
[화합물 3]
Figure pat00008
[화합물 4]
Figure pat00009
[화합물 5]
Figure pat0001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스테르 혼합물은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 1은 1 ~ 10중량%, 화합물 2는 10~30중량%, 화합물 3은 30~40중량%, 화합물 4는 20~40중량%, 화합물 5는 3~15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 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에스테르 혼합물은 단독으로 사용 가능하며, 점성이 다소 높아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선형 구조의 아디프산계 가소제 또는 디벤조에이트계 가소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가소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선형 구조의 아디프산계 가소제는 비한정적인 일예로서, 디부틸아디페이트(Dibutyl adipate),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Bis(2-ethylhexyl) adipate), 및 이소노닐아디페이트(Diisononyl adipate)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선형 구조의 디벤조에이트계 가소제는 비한정적인 일예로서, 디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Diethylene glycol dibenzoate),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Dipropylene glycol dibenzoate), 트리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Triethylene glycol dibenzoate) 및 네오펜틸글리콜디벤조에이트(Neopentyl glycol dibenzoate) 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에스테르 혼합물과 상기 선형 구조의 아디프산계 가소제 또는 선형 구조의 디벤조에이트계 가소제는 각각 상기 에스테르 혼합물 50~70중량%, 상기 선형구조 가소제 30~50중량%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비한정적인 일 예일 뿐 상기 수치범위에 제한받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가소제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적용될 수 있으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복합 가소제 조성물이 10~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50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30~4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로는 스트레이트 또는 페이스트 수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는 2차 가소제, 안정제, 충진제, 활제, 난연제, 점도조절제, 발포제, 증진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복합 가소제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이외에도 다양한 고분자 수지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고분자 수지는 크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ABS 수지 및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술한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품은 식품포장재, 벽지, 바닥재, 컴파운드, 전선 컴파운드, 시트, 필름, 타포린, 호스, 신발, 실란트, 사무용품, 장갑, 병마개, 매트, 가스켓, 의료용품, 자동차용품, 장난감, 유아용품, 전기기계 부품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물성측정방법]
(1) 점도
PVC 및 탄산칼슘, 안정제, 가소제 투입하여 PVC 졸을 배합 후 20℃ 온도에서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계는 점성 저항에 의해 측정하는 직독식 회전 점도계의 BH 형을 사용하였고, 로타 No.7, 회전수 20 rpm으로 측정하였다.
(2) 경화성
PVC 졸을 철판(가로*세로*두께=25*150*1mm)에 도포(3mm)하여 가열형 오븐에서 140℃, 30분간 경화 시킨 뒤, 경화 정도를 경화 후의 두께로 측정 하였다.
(3) 전단강도
시편에 7kg/cm2 힘을 가하여 완전히 전단되는데 필요한 최대 하중을 측정하였다.
(4) 저온굴곡성
PVC 졸이 도포된 철판을 135°로 구부려 영하 20℃ 온도에서 3시간 동안 방치 후 휘어진 부분의 Crack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5) 제진성
제진 성능은 오버스트법에 준하여 평가 하였으며, 2차 공진점에서 측정한 손실계수 값은 한국공업규격 KS F2808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가소제 제조예]
펜타에릴트리톨 1mol, 벤조산 2~2.5mol, 2-에틸헥사노익산 1.5~2mol을 반응기에 넣고 촉매인 TnBT(테트라노말부틸티타네이트) 또는 DBTDL(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촉매 0.001~0.003mol 존재 하에 200~230℃에서 32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정제 과정을 통해 에스테르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에스테르 혼합물을 GC-Mass 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하기 화합물 1: 화합물 2: 화합물 3: 화합물 4: 화합물 5의 중량%가 1~10: 10~30: 30~40: 20~40: 3~15인 것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1]
Figure pat00011
[화합물 2]
Figure pat00012
[화합물 3]
Figure pat00013
[화합물 4]
Figure pat00014
[화합물 5]
Figure pat00015
[실시예 1]
펜타에리트리톨 1mol에 대하여 벤조산과 2-에틸헥사노익산을 2.5mol: 1.5mol의 비로 혼합한 유기산을 상기 가소제 제조예와 같은 방법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수득한 에스테르 혼합물을 가소제로 하여 폴리염화비닐 수지(한화케미칼 P-1000)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20중량부, 상기 가소제 33중량부, 안정제(CZ-400, Complex of Ca-Zn organics, 송원산업) 3.3중량부를 혼합하여 PVC 졸 형태로 배합한 뒤 점도를 측정하고, PVC 졸을 철판(가로*세로*두께=25*150*1mm)에 도포(3mm)하여 가열형 오븐에서 140℃ 온도에서 30분간 경화시켜 경화성 및 부착성, 저온 굴곡성, 제진 성능을 측정하여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가소제를 GC-Mass 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상기 가소제 총 중량에 대하여 하기 화합물 1: 화합물 2: 화합물 3: 화합물 4: 화합물 5의 중량%가 1.7: 12.9: 33.9: 37.2: 14.3 인 것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1]
Figure pat00016
[화합물 2]
Figure pat00017
[화합물 3]
Figure pat00018
[화합물 4]
Figure pat00019
[화합물 5]
Figure pat00020
[실시예 2]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가소제와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Dipropyleneglycol dibenzoate)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가소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가소제와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Dipropyleneglycol dibenzoate)를 5:5의 비율로 혼합한 가소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4]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가소제와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Diisononyl adipate)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가소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5]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가소제,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Dipropyleneglycol dibenzoate) 및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Diisononyl adipate)를 6:3:1의 비율로 혼합한 가소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
하기 표 1과 같이 가소제의 종류를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기준
(조건)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TOTM TINTM DPGDB DINA PETTP PETBEH PETBEH : DPGDB
7 : 3
PETBEH : DPGDB
5 : 5
PETBEH : DINA
7 : 3
PETBEH : DPGDB : DINA
6 : 3 : 1
점도 7만~10만cp
(20℃ 20rpm)
55,000 56,000 45,000 23,000 78,000 98,000 87,000 81,000 83,000 85,000
경화성 3±0.1mm
(140℃x 30min)
3.10 3.10 3.02 3.01 3.09 3.10 3.08 3.04 3.06 3.07
전단
강도
17~20Ksi
(7kg/cm2)
6.5 1.8 3.6 2.9 15.3 22.3 19.4 18.2 19.1 19.6
저온
굴곡성
X : Crack
없음
(-20℃x 3Hr)
X X X X X X X X X X
제진성 5.5% 이상
(23℃)
1.62% 2.22% 3.23% 1.84% 2.50% 7.25% 6.56% 6.14% 6.45% 6.78%
[실시예 6]
펜타에리트리톨 1mol에 대하여 벤조산과 2-에틸헥사노익산을 2.0mol: 2.0mol의 비로 혼합한 유기산을 상기 가소제 제조예와 같은 방법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시켜 수득한 에스테르 혼합물을 가소제로 하여 폴리염화비닐 수지(한화케미칼 P-1000) 100중량부에 대하여 탄산칼슘 20중량부, 상기 제조한 가소제 33중량부, 안정제(CZ-400, Complex of Ca-Zn organics, 송원산업) 3.3중량부를 혼합하여 PVC 졸 형태로 배합한 뒤 점도를 측정하고, PVC 졸을 철판(가로*세로*두께=25*150*1mm)에 도포(3mm)하여 가열형 오븐에서 140℃ 온도에서 30분간 경화시켜 경화성 및 부착성, 저온 굴곡성, 제진 성능을 측정하여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이 때 상기 가소제를 GC-Mass 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상기 가소제 총 중량에 대하여 하기 화합물 1: 화합물 2: 화합물 3: 화합물 4: 화합물 5의 중량%가 5.8: 25.5: 38.8: 24.5: 5.4 인 것을 확인하였다.
[화합물 1]
Figure pat00021
[화합물 2]
Figure pat00022
[화합물 3]
Figure pat00023
[화합물 4]
Figure pat00024
[화합물 5]
Figure pat00025
[실시예 7]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시예 6에서 사용한 가소제와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Dipropyleneglycol dibenzoate)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가소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다.
[실시예 8]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시예 6에서 사용한 가소제와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Dipropyleneglycol dibenzoate)를 5:5의 비율로 혼합한 가소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다.
[실시예 9]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시예 6에서 사용한 가소제와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Diisononyl adipate)를 7:3의 비율로 혼합한 가소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다.
[실시예 10]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실시예 6에서 사용한 가소제,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Dipropyleneglycol dibenzoate) 및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Diisononyl adipate)를 6:3:1의 비율로 혼합한 가소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다.
구 분 기준
(조건)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PETBEH
(2.0:2.0)
PETBEH : DPGDB
7 : 3
PETBEH : DPGDB
5 : 5
PETBEH : DINA
7 : 3
PETBEH : DPGDB : DINA
6 : 3 : 1
점도 7만~10만cp
(20℃,20rpm)
92,000 84,000 79,000 81,000 82,000
경화성 3±0.1mm
(140℃x 30min)
3.09 3.07 3.04 3.05 3.06
전단
강도
17~20Ksi
(7kg/cm2)
22.1 19.2 18.0 18.9 19.3
저온
굴곡성
X : Crack 없음
(-20℃x 3Hr)
X X X X X
제진성 5.5% 이상
(23℃)
7.13 6.48% 6.07% 6.36% 6.83%
상기 표 1과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0은 비교예 1 내지 5와 대비하여 점도, 전단강도, 및 제진 성능에 있어서 우수한 특성을 구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펜타에리쓰리톨, 벤조산 및 2-에틸헥사노익산을 에스테르화 반응하여 얻어지는 에스테르 혼합물을 포함하는 복합 가소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혼합물은 하기 화합물 1 내지 5를 포함하는 복합 가소제 조성물.
    [화합물 1]
    Figure pat00026


    [화합물 2]
    Figure pat00027


    [화합물 3]
    Figure pat00028


    [화합물 4]
    Figure pat00029


    [화합물 5]
    Figure pat0003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혼합물은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화합물 1은 1 내지 10 중량%; 화합물 2는 10 내지 30 중량%; 화합물 3은 30 내지 40 중량%; 화합물 4는 20 내지 40 중량%; 및 화합물 5는 3 내지 15 중량%인 복합 가소제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복합 가소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가소제 조성물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기준으로 1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선형 구조의 아디프산계 가소제 및 선형 구조의 디벤조에이트계 가소제 중 하나 이상의 가소제를 더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조의 아디프산계 가소제는 디부틸아디페이트, 비스(2-에틸헥실)아디페이트 및 디이소노닐아디페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구조의 디벤조에이트계 가소제는 디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및 네오펜틸글리콜디벤조에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필러, 열안정제, 자외선안정제 및 가공조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10. 제 4항에 따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0210011965A 2021-01-28 2021-01-28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252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965A KR102520662B1 (ko) 2021-01-28 2021-01-28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965A KR102520662B1 (ko) 2021-01-28 2021-01-28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908A true KR20220108908A (ko) 2022-08-04
KR102520662B1 KR102520662B1 (ko) 2023-04-12

Family

ID=82837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965A KR102520662B1 (ko) 2021-01-28 2021-01-28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6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559A (ko) * 2001-01-05 2002-07-11 노기호 폴리염화비닐 수지용 트리메틸올프로판 에스테르 가소제조성물
KR20090009437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수지용 글리세린계 에스테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40228494A1 (en) * 2008-03-28 2014-08-1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 Ester Plasticizers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KR20200106517A (ko) * 2018-02-08 2020-09-14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피막 형성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7559A (ko) * 2001-01-05 2002-07-11 노기호 폴리염화비닐 수지용 트리메틸올프로판 에스테르 가소제조성물
KR20090009437A (ko) * 2007-07-20 200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수지용 글리세린계 에스테르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40228494A1 (en) * 2008-03-28 2014-08-1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 Ester Plasticizers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KR20200106517A (ko) * 2018-02-08 2020-09-14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피막 형성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662B1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381B1 (ko) 압출 또는 사출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1731366B1 (ko) 복합 가소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CN113692425B (zh) 增塑剂组合物和包含该增塑剂组合物的树脂组合物
EP2721117B1 (en) Hybrid sealant composition
CN111763469B (zh) 一种高强度自流平硅烷改性防水涂料及其制备方法
TW201531458A (zh) 塑化劑和樹脂組成物及彼等之製備方法
KR101777143B1 (ko)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101940219B1 (ko) 가소제 조성물, 수지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520662B1 (ko) 복합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20200060091A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JPH02255768A (ja) 室温硬化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EP3269765A1 (en) Plasticizer composition, resin composition,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EP4209543A1 (en) Triester-based plasticizer composition, and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me
CN116368186A (zh) 三酯类增塑剂组合物和包含该三酯类增塑剂组合物的树脂组合物
KR101569560B1 (ko) 가소제 조성물, 제조 방법 및 내열 수지 조성물
KR101838848B1 (ko) 탄소나노튜브가 분산된 벌크몰드 컴파운드용 에폭시수지 조성물
KR102108875B1 (ko) 복합 가소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CN112041384B (zh) 增塑剂组合物和包含该增塑剂组合物的树脂组合物
KR20220108902A (ko) 복합 가소제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CN116589808B (zh) 鳞片石墨氟碳膜、自粘防水卷材及制备方法
JPS62199641A (ja) ポリ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JP2003301082A (ja)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102354744B1 (ko) 복합 가소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수지 조성물
KR20230110421A (ko) 식품용 성형 롤러의 제조방법
KR20240047582A (ko) 트리멜리테이트계 가소제 및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