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8397A -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에 의한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에 의한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8397A
KR20220108397A KR1020210011367A KR20210011367A KR20220108397A KR 20220108397 A KR20220108397 A KR 20220108397A KR 1020210011367 A KR1020210011367 A KR 1020210011367A KR 20210011367 A KR20210011367 A KR 20210011367A KR 20220108397 A KR20220108397 A KR 202201083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teoarthritis
atorvastatin
cholesterol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제황
이규석
김영권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8397A/ko
Publication of KR20220108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83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아토르바스타틴의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및 아토르바스타틴의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에 의한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by inhibiting the synthesis of cholesterol in the body containing atorvastatin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아토르바스타틴의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및 아토르바스타틴의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골관절염은 퇴행성관절염으로도 알려져 있는 질환이며, 노화 또는 외상성 염증에 의해 연골을 구성하는 연골세포의 본래 고유한 성질을 잃어버리는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여 연골조직의 비가역적인 손실, 비정상적인 골조직의 생성, 연골하골의 두께증가 등이 나타나고 통증과 운동능력의 상실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골관절염은 면역세포에 의한 연골 및 골조직 침식이 일어나는 자가면역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과는 전혀 다른 질환이며, 노화에 따라 골조직의 소실이 일어나는 골다공증과도 구별되는 질환이다.
최근 고령사회에 접어들면서 우리나라에서 골관절염 환자가 급증하고 있으나, 연골조직은 혈관과 신경조직이 없어 영양과 산소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손상부위의 재생이 느린 조직이기에 골관절염은 치료가 어려운 질환이다.
현재까지 골관절염의 치료 약물은 염증 저해 및 통증 완화에 그치고 있으며, 인공관절 치환술 외에 근본적인 치료법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인공관절 역시 5년여의 수명을 가지고 있지만 재수술이 어려워 고령환자들 위주로 시술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줄기세포나 조직공학을 이용하여 연골재생을 유도하는 치료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골관절염 유발기전의 이해부족으로 인해 그 치료효율은 떨어지는 편이며, 보다 핵심적인 골관절염 조절기전 및 조절인자의 발굴이 필요한 상황이다.
최근 HIF-2a와 같은 연골기질 분해효소의 발현을 조절하는 조절인자나 아연-ZIP8-MTF1 axis와 같은 연골세포의 항상성을 조절하는 조절기전이 규명되고 있으며, 2019년에는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대사체와 결합하여 활성이 조절되는 핵수용체 Retinoid related orphan receptor alpha (RORα)가 골관절염을 유발하는 조절기전이 규명된 바 있다.
2019년에 발표된 해당 연구는 oxLDL 수용체 LOX-1에 의해 퇴행 연골세포 안으로 유입된 콜레스테롤이 CH25H, CYP7B1과 같은 콜레스테롤 수산화 효소에 의해 옥시스테롤로 변환되고, 연골세포 내 축적된 콜레스테롤과 옥시스테롤이 RORα에 결합, 활성을 증가시키며, 활성화된 RORα에 의해 연골기질 분해효소의 발현이 증가되어 골관절염이 유발됨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CH25H, CYP7B1, RORα와 같은 골관절염 치료표적을 제시하였으나, 연골세포는 연골세포가 분비한 두꺼운 연골기질에 둘러싸여 있으므로 CH25H, CYP7B1, RORα를 표적으로 하는 활성 및 발현 저해제가 효과적으로 전달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 연구는 세포 내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하면서 연골세포의 퇴행이 유도됨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조절에 의해 연골조직으로 전달되는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조절하여 골관절염을 예방 또는 억제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스타틴(Statin)계 약물은 고지혈증 치료제로서, 간세포에서 콜레스테롤 생합성의 속도 결정 단계인 HMG-CoA가 메발론산(Mevalonic acid)으로 전환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효소인 HMG-CoA 환원 효소(HMGCR)의 활성을 저해하여 콜레스테롤의 생합성을 억제하는 지질 저하제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콜레스테롤 합성 과정에서 생기는 중간산물(geranyl PP, farnesyl PP)은 Rho 단백질이나 Ros 단백질을 활성화시켜 세포 신호전달체계에서 역할을 담당하는데, 스타틴계 약물은 콜레스테롤 합성을 차단함으로써 이러한 세포의 신호전달을 차단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있다.
스타틴계 약물은 심바스타틴(Simvastatin), 로바스타틴(Rovastatin), 아토바스타틴(Atorvastatin), 프라바스타틴(Pravastatin), 플루바스타틴(Fluvastatin),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피타바스타틴(Pitavastatin) 등이 있다.
최근 스타틴계 약물이 콜레스테롤 저하적용 이외에도 약효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스타틴계 약물은 혈관을 확장시켜주고, 뇌 기능을 조절하며,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키고, 심장 동맥에도 직접 작용하여 혈관 벽을 증식시키는 작용을 하며, 치매나 알츠하이머 질환 등의 예방에도 효과가 있음이 발표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아토르바스타틴이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저해를 통해 골관절염을 제어할 가능성을 검증하고, 골관절염 예방 및 치료제로서의 신규한 용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토르바스타틴의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토르바스타틴의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아토르바스타틴의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및 아토르바스타틴의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예는 아토르바스타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토르바스타틴은 이의 라세미체, 이성질체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골관절염을 억제시키거나 진행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골관절염이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체내 콜레스테롤의 합성저해를 통해 골관절염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아토르바스타틴에 의한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저해를 통해 무릎 내 연골조직으로 전달되는 콜레스테롤의 양을 조절하여, 콜레스테롤에 의해 활성이 조절되는 RORα에 의해 골관절염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골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인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노화에 의한 연골세포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관절염 또는 외상 후에 나타나는 퇴행성 관절염인 것일 수 있으며, 면역세포의 연골조직 침식을 통해 발생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또는 골조직의 소실이 나타나는 골다공증과 같은 다른 근골격계 질환은 포함되지 않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투여되는 범위이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되는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포유동물은 쥐, 가축 또는 인간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일 수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조절을 위해 투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며, 예를 들어, 경구 투여, 정맥 내 투여, 피하 투여, 복강 내 투여 방법으로 투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 (예를 들어, 주사제)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예를 들어, 멸균 정제수, 약 pH 7의 완충액, 또는 생리식염수 중에 분산 및/또는 용해시켜 생체 내에 주입될 수 있으며, 필요할 경우, 보존제, 안정화제 등과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경고제 (Plasters), 과립제 (Granule), 산제 (Powders), 시럽제 (Syrups), 액제 (solutions), 유동엑스제 (FluidextractsI), 유제 (Emulsions), 현탁제 (Suspensions), 침제 (Infusions), 정제 (Tablets), 주사제 (Injections), 캅셀제 (Capsules) 및 환제 (Pills)등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제형은 선택된 투여 루트에 따라 좌우된다. 공지 기술들, 담체 및 부형제들 중의 어느 것이라도 적합하게, 그리고 당해 분야,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Remingston's Pharmaceutical Sciences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아토르바스타틴의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아토르바스타틴의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아토르바스타틴의 유효량을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및 아토르바스타틴의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토르바스타틴을 복강 내 주입한 고콜레스테롤 식이 골관절염 동물모델의 무릎관절을 분석하여 아토르바스타틴에 의한 골관절염 억제효과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무릎 내 주사 (intrra-articular injection, IA)를 통해 아토르바스타틴를 투여한 고콜레스테롤 사료 식이 골관절염 동물모델의 무릎관절을 분석하여, 아토르바스타틴이 연골세포에 직접 영향을 미쳐 골관절염을 억제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과 도 2에서 진행된 실험군 사이의 총 사료섭취량에 큰 차이가 없음을 보여주고, 아토르바스타틴 복강 내 주입에 의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조절되었음을 보여주는 혈중 콜레스테롤 분석 결과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아토르바스타틴을 퇴행연골세포에 직접 처리한 뒤 연골기질 분해효소의 발현변화를 확인하여, 아토르바스타틴 복강 내 주입에 의한 골관절염 억제효과는 아토르바스타틴이 연골세포에 직접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콜레스테롤 식이 골관절염 동물모델을 이용한 퇴행관절염 억제여부 확인실험 - 복강 내 주입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저해에 따른 골관절염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생후 5주령 생쥐에 고콜레스테롤 사료 식이 (high cholesterol diet, HCD)를 진행하였다. 고콜레스테롤 사료는 76A 기반 사료에 2% 콜레스테롤을 추가한 사료이며, 이에 대한 대조군 (regular diet, RD)으로 76A 기본 사료를 사용하였다. 매주 잔여사료 및 급여사료의 무게를 측정하여 총 사료섭취량을 계산하고 실험군 간 차이여부를 분석하였다.
아토르바스타틴에 의한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저해를 유도하기 위해 고콜레스테롤 사료 식이 4주 후에 아토르바스타틴을 DMSO에 녹인 수용액(0.6 mg/ml)을 관절조직 채취 시까지 하루에 한번씩 복강에 주입하였다. 아토르바스타틴의 농도 (6.0 mg/kg/day)는 유사한 실험을 진행한 타문헌을 참고하였다.
골관절염을 인위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생후 12주째에 DMM (destabilization of medial meniscus)수술을 통해 골관절염을 유도하였다. DMM 수술은 생쥐의 관절조직에 존재하는 내측 반월상연골판 (medial meniscus)을 고정하고 있는 인대를 절개하여 관절조직의 기계적 불안정성을 유도하여 연골손상을 인위적으로 유도하는 방법이며, 수술 후 7주째에 관절조직을 채취하여 아래와 같은 분석과정을 거쳤다.
생쥐의 연골조직을 분석하기 위해 관절조직을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시킨 다음, 0.5 M EDTA 용액에 3일간 담가 탈회 (decalcification)을 수행하였다. 그 다음, 조직을 30%, 50%, 70%, 90%, 95% 및 100% 에탄올에 담가 탈수과정을 진행한 뒤, 자일렌 및 파라핀 침투과정을 수행하였다 그 다음, 조직을 6 um 두께로 잘라 슬라이드 위에 올려 보관하였다.
골관절염이 일어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자일렌, 100%, 95%, 90%, 70%, 50%, 30% 에탄올, 및 물의 순서로 재수화 (rehydration)과정을 거친 조직절편을 헤마톡실린, 0.1% 패스트 그린, 0.1% 사프라닌 O 용액에 담가 염색하고 70%, 90%, 95% 100% 에탄올, 자일렌에 담근 뒤, 고정액을 뿌려 고정하였다. 현미경을 통해 조직절편의 사프라닌 O 염색 정도를 확인하여 연골조직의 손상정도 (OARSI grade), 연골하골 (subchondral bone plate, SBP)의 두께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1a 내지 도 1b 및 표 1 내지 표 2에 나타내었다.
OARSI RD HCD (2%)
Sham Vehicle DMM Vehicle Sham HCD Diet DMM HCD Diet Sham Ator IP DMM Ator IP
S1 0 2.5 1 2.5 0.5 4
S2 0 3 0 2.5 0 4
S3 0 2 0 3 0 1
S4 0 2 0.5   0.5 5
S5 0.5 4 0.5 4 0.5 4
S6 0 3 0 5 0 3
S7 0.5 4.5 0 2.5 0.5 5
S8 0 2 0 4 0.5 4
S9 0.5 4 0.5 6 0 2
S10 0 4 0.5 4.5 0 3
S11 0 3 0.5 4 0.5 3
S12 0 2.5 0.5   0 3
S13 0.5 2 0.5 3 0 2
S14 0 1 0 4 0.5 3
S15 0 5 0 3 0 4.5
S16 0 4 0.5 5 0 3
S17 0 3 1 4.5 0 3
S18 0.5 4 0.5 4 0 2
S19 0 3 0 5 0.5  
S20 0 3 0 5 0.5  
S21 0.5   0.5 3.5    
S22     0 4    
S23     0.5 5    
S24     0 4.5    
S25     0.5 3    
S26     0 4    
S27     0 3    
S28     0.5 3.5    
S29     0.5 5    
S30     0 3    
n수 21 20 30 28 20 18
Average 0.143 3.075 0.300 3.929 0.225 3.250
SEM 0.050508 0.227327 0.056731 0.177643 0.057066 0.256453
t-test 0.027553947 0.002184359     0.187412250 0.014867811
f test 0.174154309 0.694845430     0.374112245 0.483981367
SBP Depth RD HCD (2%)
Sham Vehicle DMM Vehicle Sham HCD Diet DMM HCD Diet Sham Ator IP DMM Ator IP
S1 137.77 171.02 162.37 182.56 120.19 154.91
S2 65.91 99.79 115.06 148.29 65.91 144.00
S3 168.35 101.11 112.23 121.37 84.49 143.04
S4 79.08 76.69 95.46 97.59 127.17 180.40
S5 78.02 135.00 154.23 142.84 85.25 129.40
S6 92.25 92.33 124.17 129.07 163.87 183.66
S7 95.84 117.99 86.08 87.61 144.41 162.16
S8 132.71 138.50 57.64 92.49 156.62 155.07
S9 162.84 133.85 95.34 122.56 111.77 140.47
S10 79.21 106.40 90.15 126.97 97.21 174.33
S11 125.81 127.83 117.97 223.88 93.82 116.66
S12 150.81 123.72 167.29 198.16    
S13 115.37 135.26 128.64 127.55 110.71 136.92
S14 69.52 118.21 128.25 205.98    
S15 89.30 165.37 64.11 124.92 97.82 118.21
S16 110.20 144.63 71.34 129.47 96.57 124.74
S17 69.38 113.45 76.02 117.54 173.31 152.51
S18 67.63 60.61 87.86 127.26 85.44 172.78
S19 120.30 129.68 126.04 129.31 119.04 184.29
S20 94.98 141.73 158.72 175.21 97.28 149.72
S21 125.13 149.42 95.29 123.17    
S22 78.51 107.67 107.70 130.38    
S23 80.94 109.94 122.24 208.78    
S24 173.46 114.77 155.06 189.59    
S25 72.67 115.76 137.50 117.12    
S26 166.21 182.54        
S27            
S28            
S29            
S30            
n수 26 26 25 25 18 18
Average 107.777 123.588 113.470 143.187 112.827 151.293
SEM 6.925498 5.379725 6.301265 7.610262 7.079074 5.128615
t-test 0.273434948 0.019713397     0.473331599 0.210837240
f test 0.578910641 0.110618972     0.853549738 0.020868743
도 1a 내지 도 1b 및 표 1 내지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아토르바스타틴의 복강 내 주입이 연골하골의 두께 증가를 억제하지는 못하였으나, 고콜레스테롤 사료 식이 + DMM수술에 의해 증가한 연골조직의 손상은 아토르바스타틴의 복강 내 주입에 의해 감소함을 확인하여 아토르바스타틴의 복강 내 주입이 골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실시예 2. 고콜레스테롤 사료 식이 골관절염 동물모델을 이용한 퇴행관절염 억제여부 확인실험 - 무릎 내 주입
아토르바스타틴이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저해와 별개로 연골조직에 직접 영향을 미쳐 골관절염을 조절할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제작한 고콜레스테롤 식이 골관절염 동물모델에 아토르바스타틴을 DMSO에 녹인 수용액(0.6 mg/ml)을 DMM 수술 1주 전부터 관절조직 채취 시까지 1주일에 한번씩 무릎에 주사 (intra-articular injection, IA)하였다 (0.3 mg/kg/week).
그 다음,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식으로 무릎관절 조직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2a 내지 도 2b 및 표 3 내지 표 4에 나타내었다.
OARSI RD HCD (2%)
Sham Vehicle DMM Vehicle Sham HCD IA DMM HCD IA Sham Ator IA DMM Ator IA
S1 0 2.5 0 3.5 0 4
S2 0 3   3 0 3
S3 0 2 0.5 5 0.5 3
S4 0 2 0.5 5 0.5 5
S5 0.5 4 0.5 4.5 0.5 5
S6 0 3 0 5.5 0 5
S7 0.5 4.5 0 4 0 2
S8 0 2 0 5    
S9 0.5 4 0 4.5 0 3
S10 0 4 0 3 0 5
S11 0 3 0.5 3 0.5 3
S12 0 2.5 0.5 2.5 0 3.5
S13 0.5 2 0.5 4 0 4
S14 0 1 0 2 0.5 5
S15 0 5 0.5 2 0.5 4.5
S16 0 4 0 2 0.5 4
S17 0 3 0.5 3 0 2
S18 0.5 4 1 5 0 3
S19 0 3 0 5 0.5 4
S20 0 3 0.5 5    
S21 0.5   0.5 3    
S22     0 4    
S23     0 4    
S24       5    
S25     0 5    
S26     0.5 4.5    
S27       3    
S28     0.5 4    
             
             
n수 21 20 25 28 18 18
Average 0.143 3.075 0.280 3.893 0.222 3.778
SEM 0.050508 0.227327 0.058310 0.203080 0.060258 0.239901
t-test 0.044222234 0.005389603     0.251981928 0.359639015
f test 0.297858876 0.815452618     0.583582007 0.833151197
SBP Depth RD HCD (2%)
Sham Vehicle DMM Vehicle Sham HCD IA DMM HCD IA Sham Ator IA DMM Ator IA
S1 137.77 171.02 142.49 174.90 84.73 134.97
S2 65.91 99.79 107.14 138.32 52.82 109.68
S3 168.35 101.11 87.81 186.15 54.53 113.43
S4 79.08 76.69 173.14 191.02 142.57 182.14
S5 78.02 135.00 138.94 136.07 184.11 182.04
S6 92.25 92.33 138.91 136.61 158.60 152.29
S7 95.84 117.99 145.19 152.16 55.77 109.85
S8 132.71 138.50 148.61 196.08 127.18 57.26
S9 162.84 133.85 59.87 140.25 56.92 104.56
S10 79.21 106.40 87.36 120.79 157.17 172.39
S11 125.81 127.83 87.42 99.56 67.71 137.42
S12 150.81 123.72 82.96 130.55    
S13 115.37 135.26 104.79 115.10 92.36 113.68
S14 69.52 118.21 95.82 85.67 138.11 175.80
S15 89.30 165.37 162.85 158.32 118.72 151.44
S16 110.20 144.63 95.53 176.13 106.17 119.85
S17 69.38 113.45 102.07 124.22 60.60 143.77
S18 67.63 60.61 164.99 130.59 58.42 101.01
S19 120.30 129.68 98.12 83.89 46.09 93.16
S20 94.98 141.73 52.17 106.06 52.95 142.45
S21 125.13 149.42 120.70 165.78    
S22 78.51 107.67 104.23 113.11    
S23 80.94 109.94 103.65 128.85    
S24 173.46 114.77 110.77 157.90    
S25 72.67 115.76 128.98 145.47    
S26 166.21 182.54 89.46 170.82    
S27     64.43 87.91    
S28     64.83 105.19    
             
             
n수 26 26 28 28 19 19
Average 107.777 123.588 109.401 137.767 95.553 131.429
SEM 6.925498 5.379725 6.203266 6.065836 10.207749 7.697222
t-test 0.430830366 0.044016575     0.112833849 0.258761581
f test 0.708375912 0.432742254     0.148546852 0.815734736
도 2a 내지 도 2b 및 표 3 내지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고콜레스테롤 식이에 의해 증가한 연골손상을 아토르바스타틴 무릎 주사가 억제하지 못하였으며, 연골하골의 두께 증가도 억제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실시예 1에서 나타난 아토르바스타틴 복강 내 주입의 골관절염 억제효과가 아토르바스타틴이 연골조직에 직접 영향을 미쳐 나타나는 효과는 아님을 의미한다.
실시예 3. 사료 섭취량 및 혈중 콜레스테롤 프로파일링
아토르바스타틴을 복강 내 주입한 고콜레스테롤 식이 골관절염 동물모델 및 아토르바스타틴을 무릎 내 주입한 고콜레스테롤 사료 식이 골관절염 동물모델의 아토르바스타틴에 의한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저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아토르바스타틴을 복강주입한 고콜레스테롤 식이 골관절염 동물모델과, 아토르바스타틴을 무릎 내 주입한 고콜레스테롤 식이 골관절염 동물모델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2000 g에서 15분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확보하고, 여기서 총 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의 양을 ELISA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3a 내지 도 3b 및 표 5 내지 표 14에 나타내었다.
Total Chol RD HCD (2%) HCD + Ator IP
1 183.80 227.000 238.800
2 191.60 266.200 211.400
3 173.80 233.000 197.200
4 135.60 232.200 194.800
5 175.80 221.600 184.200
6 188.80 263.200 103.000
7 164.60 337.000 288.000
8 217.80 249.400 124.000
9 213.00 282.800  
10 169.00 289.000  
n수 10 10 8
Average 181.380 260.140 192.675
SEM 7.535719 11.311785 20.882184
t-test 0.000017211   0.008459652
f test 0.242003182   0.163088335
HDL-C (mg/dl) RD HCD D Ator IP
1 53.0 58.5 57.0
2 61.6 71.2 77.7
3 43.8 61.6 47.3
4 72.8 67.0 73.2
5 58.0 41.5 26.3
6 53.8 45.4 52.0
7 71.4 75.0 58.2
8 75.2 80.0 47.5
9 75.8 38.9 60.0
10 57.0 51.4 88.3
n수 10 10 10
Average 62.236 59.058 58.737
SEM 3.481700 4.561376 5.577907
Ttest 0.000000   0.000000
Ftest 0.001691   0.046824
LDL-C (mg/dl) RD HCD D Ator IP
1 21.4 20.6 31.3
2 17.4 36.7 39.3
3 19.9 24.3 18.1
4 18.8 38.1 30.0
5 9.9 15.6 20.7
6 9.3 43.4 39.9
7 11.3 35.9 44.9
8 15.4 24.3 28.8
9 10.9 28.6 34.7
10 11.5 31.1 29.9
n수 10 10 10
Average 14.562 29.858 31.764
SEM 1.433567 2.771134 2.644741
Ttest 0.000000   0.000000
Ftest 0.000001   0.000187
HDL/LDL RD HCD IP Ator IP
1 2.475 2.843 1.818
2 3.546 1.940 1.975
3 2.200 2.532 2.621
4 3.880 1.757 2.439
5 5.833 2.665 1.270
6 5.800 1.047 1.301
7 6.339 2.092 1.298
8 4.898 3.299 1.647
9 6.969 1.359 1.730
10 4.972 1.652 2.950
n수 10 10 10
Average 4.691 2.119 1.905
SEM 0.512553 0.223518 0.186709
Ttest 0.000000   0.000000
Ftest 0.000000   0.000000
Total Chol RD HCD (2%) HCD + Ator IA
1 183.80 227.000 166.600
2 191.60 266.200 322.000
3 173.80 233.000 224.600
4 135.60 232.200 301.000
5 175.80 221.600 237.000
6 188.80 263.200 232.000
7 164.60 337.000 166.000
8 217.80 249.400 161.000
9 213.00 282.800  
10 169.00 289.000  
n수 10 10 8
Average 181.380 260.140 226.275
SEM 7.535719 11.311785 21.692953
t-test 0.000017211   0.161621165
f test 0.242003182   0.134610803
HDL-C (mg/dl) RD HCD IA Ator IA
1 53.0 58.7 70.1
2 61.6 72.2 71.4
3 43.8 62.1 31.2
4 72.8 49.0 53.9
5 58.0 65.3 62.1
6 53.8 51.8 71.1
7 71.4 37.2 45.9
8 75.2 50.2 46.8
9 75.8 48.7 41.0
10 57.0 55.4 74.0
n수 10 10 10
Average 62.236 55.068 56.752
SEM 3.481700 3.150128 4.769325
Ttest 0.144230   0.771652
Ftest 0.770449   0.232462
LDL-C (mg/dl) RD HCD IA Ator IA
1 21.4 30.6 34.6
2 17.4 24.2 32.2
3 19.9 37.5 30.0
4 18.8 21.9 27.1
5 9.9 41.0 22.8
6 9.3 24.1 35.5
7 11.3 24.9 36.0
8 15.4 43.3 28.5
9 10.9 28.5 31.2
10 11.5 40.7 24.2
n수 10 10 10
Average 14.562 31.668 30.202
SEM 1.433567 2.588405 1.449492
Ttest 0.000000   0.000001
Ftest 0.028110   0.030203
HDL/LDL RD HCD IA Ator IA
1 2.475 1.918 2.025
2 3.546 2.985 2.218
3 2.200 1.656 1.043
4 3.880 2.232 1.987
5 5.833 1.595 2.724
6 5.800 2.155 2.003
7 6.339 1.493 1.277
8 4.898 1.158 1.644
9 6.969 1.710 1.314
10 4.972 1.361 3.054
n수 10 10 10
Average 4.691 1.826 1.929
SEM 0.512553 0.166453 0.201958
Ttest 0.000000   0.000000
Ftest 0.000009   0.000000
마리당 사료 총 섭취량 Average SEM Cage 수
RD 267.174 25.442639 6
HCD-Diet 272.327 12.367272 6
HCD-Ator-IP 279.817 22.499156 4
마리당 사료 총 섭취량 Average SEM Cage 수
RD 267.174 25.442639 6
HCD-IA 270.068 12.571373 6
HCD-Ator-IA 243.465 12.764328 4
도 3a 및 표 5 내지 표 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고콜레스테롤 사료 식이에 의해 증가한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아토르바스타틴 복강주입에 의해 감소하였다. 혈중 HDL-콜레스테롤은 고콜레스테롤 사료 식이에 의해 두드러지게 감소하진 않았으며 아토르바스타틴 복강주입에 의해서도 유의미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혈중 LDL-콜레스테롤은 고콜레스테롤 사료 식이에 의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아토르바스타틴 복강주입에 의해 감소하진 않았다. 이로 인해 고콜레스테롤 사료 식이군과 아토르바스타틴 복강주입군 사이의 HDL/LDL ratio는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도 3b 및 표 9 내지 표 1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아토르바스타틴의 무릎 내 주입은 혈중 총 콜레스테롤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지 못하였고, 아토르바스타틴 복강주입군과 마찬가지로 혈중 HDL-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변화시키지 못하였다.
결과적으로, 각 실험군의 총 사료 섭취량을 계산한 결과, 모든 실험군 사이에 사료 섭취량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아, 혈중 콜레스테롤 프로파일링 결과는 사료섭취량의 차이 때문이 아닌, 아토르바스타틴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HDL과 LDL의 농도가 변하지 않은 것은 고콜레스테롤 사료 식이로 인해 체외로부터 흡수되는 콜레스테롤을 수송하기 위한 것으로 여겨지며, 그럼에서 아토르바스타틴 복강주입에 의해 혈중 총 콜레스테롤이 감소하는 것은 간에서 이루어지는 콜레스테롤의 합성저해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혈중 콜레스테롤 프로파일링 결과는 아토르바스타틴 복강주입에 의한 골관절염 억제효과가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에 의한 혈중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변화 때문임을 보여준다.
실시예 4. 아토르바스타틴을 처리한 생쥐의 연골세포 분석을 통한 아토르바스타틴의 골관절염 조절능 확인실험
아토르바스타틴이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별개로 연골세포에 직접 영향을 미쳐 골관절염을 조절할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생후 5일령 생쥐의 무릎조직을 채취하고, 0.2% type II collagenase 및 0.02% 트립신을 3시간 동안 처리하여 무릎조직의 피부, 근육을 제거하였다. 그 다음, PBS로 잘 씻은 뒤 연골조직을 분리하여 0.2% type II collagenase로 녹여 연골세포를 확보한 뒤, 3X10^5 개/1dish의 농도로 배양하였다. 배양 이틀째에 DMEM 배양액을 교체해 준 뒤, IL-1β (1 ng/ml) 또는 TNFα (50 ng/ml)를 처리하고 여기에 아토르바스타틴 (5, 10 uM)를 처리한 뒤 36 시간 후에 세포를 PBS로 씻은 뒤 RNA를 분리하였다. 이를 위해 세포를 배양한 dish에 trizol을 처리하고 10분 후 클로로포름을 섞은 뒤 원심분리하여 조직 내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그 후 mRNA가 녹아있는 수용액에 아이소프로판올을 섞고 원심분리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이 제거된 침전물에 75% 에탄올을 첨가하고 원심분리하여 남아있는 유기용매를 제거한 뒤, 공기 중에서 말려 에탄올을 증발시키고 RNA를 확보하였다. 확보한 RNA에 역전사효소 (reverse transcriptase)를 첨가하고 반응시켜 cDNA를 확보하고 이후 연골기질 분해효소 Mmp3, 9, 12, 13, 및 Adamts4, 5에 대한 프라이머와 taq polymerase 또는 SYBR을 첨가하여 conventional PCR 및 qRT-PCR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도 4a 내지 도 4b 및 표 15 내지 표 22에 나타내었다.
Mmp3 #175 #176 #177 Average SEM
none 1.000 1.000 1.000 1.000 0.000
IL none 278.590 243.116 663.062 394.923 134.460
Ator 5 249.518 184.951 1066.745 500.405 283.783
Ator 10 304.965 315.720 1037.216 552.633 242.311
Mmp9 #175 #176 #177 Average SEM
none 1.000 1.000 1.000 1.000 0.000
IL none 12.978 5.378 22.888 13.748 5.069
Ator 5 9.710 5.234 34.703 16.549 9.169
Ator 10 22.737 10.516 29.518 20.924 5.560
Adamts4 #175 #176 #177 Average SEM
none 1.000 1.000 1.000 1.000 0.000
IL none 2.179 1.721 2.892 2.264 0.341
Ator 5 1.757 1.931 1.325 1.671 0.180
Ator 10 1.379 1.209 1.028 1.205 0.102
Adamts5 #175 #176 #177 Average SEM
none 1.000 1.000 1.000 1.000 0.000
IL none 7.928 10.838 4.569 7.778 1.811
Ator 5 9.183 11.247 6.788 9.073 1.288
Ator 10 7.882 14.779 8.106 10.256 2.263
Mmp3 #175 #176 #177 Average SEM
none 1.000 1.000 1.000 1.000 0.000
TNF none 658.938 249.259 56.493 321.563 177.629
Ator 5 740.061 95.339 89.605 308.335 215.869
Ator 10 2648.574 127.646 53.817 943.346 852.880
Mmp9 #175 #176 #177 Average SEM
none 1.000 1.000 1.000 1.000 0.000
TNF none 160.675 34.703 68.689 88.022 37.628
Ator 5 129.922 39.070 76.083 81.692 26.376
Ator 10 204.790 73.772 75.531 118.031 43.382
Adamts4 #175 #176 #177 Average SEM
none 1.000 1.000 1.000 1.000 0.000
TNF none 4.757 5.856 6.122 5.578 0.418
Ator 5 3.498 4.609 4.237 4.115 0.327
Ator 10 3.238 3.281 2.411 2.976 0.283
Adamts5 #175 #176 #177 Average SEM
none 1.000 1.000 1.000 1.000 0.000
TNF none 3.748 6.031 1.268 3.682 1.375
Ator 5 4.833 5.740 2.913 4.495 0.833
Ator 10 6.186 5.135 2.651 4.657 1.048
도 4a 내지 도 4b 및 표 15 내지 표 2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아토르바스타틴은 Adamts4를 제외한 다른 연골기질 분해효소의 발현을 조절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Adamts4는 IL-1β 또는 TNFα를 처리한 퇴행연골세포에서 아토르바스타틴에 의해 발현이 감소하였으나, Adamts5를 포함한 다른 연골기질 분해효소의 발현이 증가하여 결국 연골세포의 퇴행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아토르바스타틴의 복강 내 주입에 의한 골관절염 억제효과는 연골세포에 직접 영향을 미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용어 정리]
RD: Regular diet, 정상 사료식이
HCD: High cholesterol diet, 고콜레스테롤 사료식이
Ator: atorvastatin
DMM: destabilization of medial meniscus, 골관절염 유도수술
OARSI grade: 연골손상 정량화 기준
SBP thickness: 연골하골(subchondral bone plate) 두께
IA: intra-articular injection, 무릎 내 주입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고밀도 지질단백질
LDL: low density lipoprotein, 저밀도 지질단백질

Claims (5)

  1. 아토르바스타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체내 콜레스테롤의 합성저해를 통해 골관절염의 진행을 억제하는 것인,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인 것인,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관절염은 노화에 의한 연골세포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나타나는 퇴행성 관절염 또는 외상 후에 나타나는 퇴행성 관절염인 것인,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정맥 내 투여, 피하 투여 또는 복강 내 투여용인 것인, 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20210011367A 2021-01-27 2021-01-27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에 의한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202201083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367A KR20220108397A (ko) 2021-01-27 2021-01-27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에 의한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367A KR20220108397A (ko) 2021-01-27 2021-01-27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에 의한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8397A true KR20220108397A (ko) 2022-08-03

Family

ID=82847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367A KR20220108397A (ko) 2021-01-27 2021-01-27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에 의한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83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2727T2 (de) Inhibition von Histondeacetylase zur Behandlung von Herzhypertrophie
EP2310003B1 (en) Inhibitors of carnitin-palmitoyl-transferase-1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isorders caused by delipidation of neural tissue
Guo et al. PERK signaling pathway in bone metabolism: Friend or foe?
Zheng et al. Knee loading repairs osteoporotic osteoarthritis by relieving abnormal remodeling of subchondral bone via Wnt/β-catenin signaling
AU2009290612B2 (en) Methods of treatment of hyperuricemia and associated disease states
WO2019055064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D TREATING HETEROPHOPIC OSSIFICATION AND PATHOLOGICAL CALCIFICATION
Li et al. Carnosol suppresses RANKL‐induced osteoclastogenesis and attenuates titanium particles‐induced osteolysis
EP0425956A2 (en) ACE inhibitors for use for stabilizing or causing regression of atherosclerosis in coronary arteries
Yu et al. Inhibitory effects of Formononetin on CoCrMo particle-induced osteoclast activation and bone loss through downregulating NF-κB and MAPK signaling
KR20220108398A (ko) 에제티미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콜레스테롤 흡수 저해에 의한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US8088799B2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a sodium hydrogen exchange inhibitor and a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KR20220108397A (ko) 아토르바스타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에 의한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624215B1 (ko) α-리포산 또는 그 유도체의 투여에 의한 편두통의 치료
EA002435B1 (ru) Способ снижения уровня липопротеина (а) в сыворотке или в плазме крови млекопитающих
WO2010011898A1 (en) Method for treatment of bone diseases and fractures
KR20220108543A (ko) 페노피브레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내 콜레스테롤 배출 조절에 의한골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JP2002518448A (ja) 高血中コレステロールを治療する組成物および方法
JP2010539079A (ja) スコパロンの新規な用途
CN112168832B (zh) 洋槐苷在制备治疗骨质疏松和/或骨丢失药物中的应用
Wang et al. Expression of XBP1s in fibroblasts is critical for TiAl6V4 particle‐induced RANKL expression and osteolysis
Yang et al. Zingerone attenuates Ti particle-induced inflammatory osteolysis by suppressing the NF-κB signaling pathway in osteoclasts
AU2018269008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defects in avascular cartilaginous tissue by directly administering one or more metabolites of simvastatin
Lu et al. Farrerol suppresses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postmenopausal osteoporosis by inhibiting the nuclear factor kappa B signaling pathway
JP5485704B2 (ja) 骨吸収と骨形成の不均衡を是正するための方法ならびにキット及び組成物
KR101169903B1 (ko) 아민 유도체를 포함하는 턱뼈괴사 억제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턱뼈괴사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