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7796A - 인버터 모듈 - Google Patents

인버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7796A
KR20220107796A KR1020210010914A KR20210010914A KR20220107796A KR 20220107796 A KR20220107796 A KR 20220107796A KR 1020210010914 A KR1020210010914 A KR 1020210010914A KR 20210010914 A KR20210010914 A KR 20210010914A KR 20220107796 A KR20220107796 A KR 20220107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b
power module
pins
thermal pa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046B1 (ko
Inventor
이재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210010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046B1/ko
Priority to PCT/KR2022/000056 priority patent/WO2022164064A1/ko
Priority to US18/273,173 priority patent/US20240090114A1/en
Priority to CN202280011138.4A priority patent/CN116803222A/zh
Publication of KR2022010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7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06Lead-in-hole components, e.g. affixing or retention before soldering, spac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01Thermal arrangements, e.g. for cooling, heating or preventing overheating
    • H05K1/0203Cooling of mounted components
    • H05K1/0209External configuration of printed circuit board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e.g. lay-out of conductors,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09Forced ventilation, e.g. on 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27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742Details of leads
    • H05K2201/10886Other details
    • H05K2201/10901Lead partly inserted in hole or v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36Permanent spacer or stand-off in a printed circuit or printed circuit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45Protection against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PCB에 결합되는 파워 모듈과, 상기 PCB와 상기 파워 모듈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PCB 및 상기 파워 모듈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열을 전도하는 서멀 패드와, 상기 파워 모듈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여 상기 파워 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버터 모듈{Inverter module}
본 발명은 인버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동기 구동 제어를 위한 인버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버터(inverter)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장치의 일종이다.
통상 3상 교류전원을 정류기를 통해 직류로 변환하고, DC링크(통상 커패시터)에 저장 된 직류전원을 인버터를 이용하여 교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전동기를 구동한다.
인버터는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시스템이며, 펄스폭 변조(PWM) 출력에 따라 전동기에 입력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가변하여, 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인버터는 전력 반도체들로 구성된 회로이며, 통상의 PCB 상에 구현된다.
인버터를 구성하는 전력 반도체들은 다이오드, 사이리스터(Thyr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MOSFET 등이며, 고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방열을 위한 냉각장치가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의 등록특허 10-1777439호(2017년 9월 5일 등록, 인버터용 냉각 장치)에는 인버터를 공냉식으로 방열시키는 장치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인버터의 방열을 위해, 등록특허 10-1777439호와 같이 공냉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냉식 등 다양한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인버터 모듈은 인버터와 방열 장치의 결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선행기술의 예로서 역시 본 발명의 출원인의 등록특허 10-1800048호(2017년 11월 15일 등록, 인버터용 냉각 장치)에는 냉각 장치가 결합된 인버터의 구조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등록특허 10-1800048호에는 PCB에 전력 소자들이 실장되고, 그 전력 소자들이 냉각 팬이 마련된 함체 내에 위치하도록 PCB와 냉각 장치를 결합한 구조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
즉, 전력 소자들에 접촉되는 히트 싱크들이 냉각 장치 내에 위치하고, 냉각 팬을 이용하여 히트 싱크에서 열교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종래 기술들에는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전력 소자 또는 전력 소자의 집합체인 파워 모듈(power module)을 PCB에 실장할 때, 냉각 장치의 결합 상태를 고려하여 다양한 처리를 하게 된다.
도 8은 종래 인버터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파워 모듈과 PCB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8과 도 9를 각각 참조하면 종래 인버터 모듈은, PCB(100)에 파워 모듈300)이 실장되고, 파워 모듈(300)에는 히트 싱크(220)가 접착된다.
파워 모듈(300)과 히트 싱크(220)의 접착은 서멀 그리스(Thermal grease) 등의 열전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된다.
상기 히트 싱크(220)는 냉각 장치(200)의 함체 내에 위치하며, 냉각 팬(210)에 의한 강제 대류에 의해 방열이 이루어지는 구성을 가진다.
이때, 파워 모듈(300)은 다수의 핀(310)이 돌출되어 있으며, PCB(100)의 결합공에 핀(310)이 결합된다.
상기 핀(310)은 솔더링(Soldering)에 의해 PCB(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파워 모듈(300)이 결합되는 PCB(100)의 일면의 반대편 면에서 돌출되는 핀(310)들 각각에 대하여 솔더(110)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솔더링 방법은 수동 또는 자동 기계를 이용한 오토 솔더링을 수행한다.
또한, 파워 모듈(300)이 결합된 PCB(100)를 이동시키면서, 솔더 융액에 접촉시키는 웨이브 솔더링 등 알려진 솔더링 방법을 이용하여 솔더(11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솔더링 방법들은 모두 열을 이용하는 것으로, 열에 의한 PCB 등 부품의 손상이나 변형이 발생할 염려가 있으며, 상대적으로 요구 작업 시간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파워 모듈(300)과 PCB(100)의 물리적인 결합은 볼트 등의 물리적인 결합수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PCB(100)는 통상의 PCB이지만, 강제 대류 등에 의해 외부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부착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에 코팅층(120)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외부 이물질이 PCB(100)에 부착되어 전도성 이물질에 의한 단락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PCB(100)의 도전부분에는 코팅층(120)을 적용한다.
그러나 결합 구조상 PCB(100)와 파워 모듈(300)의 사이에는 코팅층(120)이 적용될 수 없다.
즉, PCB(100)와 파워 모듈(300)의 사이에는 핀(310)이 노출되며, PCB(100)의 표면에 코팅층(120)이 없이 배선 등 도전층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도성 이물이 PCB(100) 또는 노출된 핀(310)에 부착되는 경우, 절연 거리가 줄어들어 절연파괴가 발생하거나 단락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PCB(100)와 파워 모듈(300)의 사이에 공기층이 위치함으로써, 냉각 장치(200)를 사용하는 방열 성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즉, PCB(100)와 파워 모듈(300) 사이의 열의 전달이 전도에 의해 이루어지지 않고, 공기의 대류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방열 효과가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방진 및 방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인버터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조립 공정에 요구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인버터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인버터 모듈은, PCB에 결합되는 파워 모듈과, 상기 PCB와 상기 파워 모듈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PCB 및 상기 파워 모듈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열을 전도하는 서멀 패드와, 상기 파워 모듈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여 상기 파워 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PCB는 통공을 제공하는 도전성의 부싱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모듈의 핀들이 상기 부싱 단자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핀들 각각은, 상기 부싱 단자에 삽입되는 부분이 중앙에 공극이 형성되는 양갈래의 탄성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멀 패드는, 상기 핀들이 간섭되지 않도록 관통 삽입되는 삽입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멀 패드는, 상기 PCB 및 상기 파워 모듈에 비하여 경도가 낮으며, 탄성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홀들 각각은, 상기 핀들의 간격에 따라 하나의 핀 또는 다수의 핀들이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파워 모듈은, 상기 핀들이 돌출되는 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PCB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PCB는 상기 지지대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냉각 장치는, 공냉식 또는 수냉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PCB와 상기 파워 모듈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서멀 패드와 결합된 파워 모듈이 안착되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PCB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며 높이의 조정이 가능한 외부 지지대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워 모듈과 PCB의 사이에 서멀 패드(Thermal Pad)를 적용하여 전도성 이물이 파워 모듈의 핀이나 PCB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도성 이물에 의한 단락 사고의 발생 또는 절연 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멀 패드의 적용에 의하여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PCB, 서멀 패드 및 파워 모듈이 결합에서, 솔더링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솔더링 공정시 열에 의한 서멀 패드 등의 변형이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합 공정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주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파워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5는 파워 모듈과 서멀 패드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서멀 패드가 안착된 파워 모듈과 PCB의 결합상태도이다.
도 7은 PCB와 파워 모듈의 간격 조정을 위한 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8은 종래 인버터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PCB와 파워 모듈의 결합관계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모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버터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과 도 2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 인버터 모듈은, PCB(10)에 실장되는 파워 모듈(30)과, 상기 파워 모듈(30)과 PCB(10)의 사이에 위치하여 열을 전도함과 아울러 이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서멀 패드(40)와, 상기 파워 모듈(30)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22)와, 상기 히트 싱크(22)가 수용되며 냉각 팬(21)에 의한 강제 대류에 의해 히트 싱크(22)를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인버터 모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냉각 장치부(20)는 냉각 팬(21)을 사용하여 강제 대류를 형성함으로써, 히트 싱크(22)의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 장치부(20)의 구성은 하나의 예이며, 히트 싱크(22)에 접촉되는 냉각수관이 형성된 수냉식 냉각 장치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 알려진 히트 싱크(22)의 냉각 방식을 사용하는 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22)에 접착되는 파워 모듈(30)은 인버터 회로를 구성하는 전력 소자 또는 전력 소자의 집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소자는 다이오드, 사이리스터(Thyristor),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또는 MOSFET일 수 있다.
파워 모듈(30)은 열전도 접착제에 의해 히트 싱크(22)에 접착된다.
파워 모듈(30)은 금속재 하우징과 그 금속재 하우징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핀(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워 모듈(30)의 핀(31)은 PCB(1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결합 방식에 대해서는 이후에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핀(31)의 끼움 결합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솔더링 공정을 사용하지 않으며, 따라서 조립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공정 시간의 단축은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한다.
또한, 열이 수반되는 솔더링 공정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PCB(10)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이후에 설명할 서멀 패드(40)의 변형 또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파워 모듈(30)과 PCB(10) 사이의 끼움 결합을 위하여 PCB(10)에는 도전체인 부싱 단자(11)가 통공에 삽입된 형태이다. 부싱 단자(11)는 PCB(10)의 도전체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부싱 단자(11)는 핀(31)과의 전기적인 접촉면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태나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핀(31)이 부싱 단자(11) 내에 압입될 때, 부싱 단자(11)가 PCB(10)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견고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부싱 단자(11)의 상부와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핀(31)은 상기 부싱 단자(11)에 삽입되는 부분이 중앙에 공극(32)이 형성된 양갈래의 탄성 구조체(33)를 포함한다. 탄성 구조체(33)가 위치하는 부분은 핀(31)의 다른 영역에 대하여 직경이 더 큰 대경부를 이룬다.
따라서 부싱 단자(11)에 압입할 때, 공극(32)의 폭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탄성 구조체(33)의 사이 간격이 줄어들게 되며, 탄성 구조체(33)의 복원력에 의해 부싱 단자(11)에 밀착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핀(31)은 서멀 패드(40)를 관통하는 것이며, 따라서 핀(31)이 상기 PCB(10)의 부싱 단자(11)에 결합된 상태에서, PCB(10)와 파워 모듈(30)의 사이에는 서멀 패드(40)가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서멀 패드(40)의 양면은 각각 PCB(10)와 파워 모듈(30)에 밀착된다.
상기 PCB(10)는 구조적으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상기 서멀 패드(40)의 접촉 부분을 제외한 전면에 코팅층(12)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층(12)은 도전체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전성의 이물이 부착되는 경우에도 단락의 발생 등을 방지하는 수단이 된다.
또한, 코팅층(12)이 형성되지 않은 PCB(10)의 일부 영역에는 서멀 패드(40)가 밀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도전성 이물의 부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손상, 오작동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서멀 패드(40)는 핀(31)의 측면부의 노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파워 모듈(30)의 핀(31) 돌출면에 밀착됨으로써, 전도성 이물이 핀(31) 또는 파워 모듈(3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절연 파괴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서멀 패드(40)는 열전도성 실리콘, 열전도성 수지, 열전도성 고무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PCB(10) 및 파워 모듈(3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경도 및 탄성재를 사용함으로써 외부 진동에 따른 파워 모듈(30)과 PCB(10)의 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조립공정에서의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멀 패드(4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핀(31)들이 삽입되는 삽입홀(41)을 포함한다.
삽입홀(41)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 구조인 것이 제작 및 조립공정에 유리하지만, 반드시 사각형 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삽입홀(41)의 조건은 직경이 상기 핀(31)의 대경부인 탄성 구조체(33)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하여, 간섭 없이 핀(31)이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설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에 밀집된 핀(31)들은 하나의 삽입홀(41)을 통해 모두 관통할 수 있도록 삽입홀(41)의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핀(31)이 삽입홀(41)에 삽입될 때 간섭이 발생한다면, 핀(31)의 휨이 발생하거나, 서멀 패드(40)를 파워 모듈(30)에 결합할 때 더 많은 주의를 기울여야 하는 등의 제작 공정상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핀(31)들과는 상당히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는 핀(31)은 단독으로 하나의 삽입홀(4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핀(31)들은 서멀 패드(40)의 삽입홀(41)에 삽입된 상태에서 탄성 구조체(33)가 서멀 패드(40)의 상부측으로 노출되어, 이후의 과정에서 PCB(10)의 도전성인 부싱 단자(11)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부싱 단자(11)와의 결합은 도 2를 참조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파워 모듈(30)의 정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워 모듈(30)은 하우징(35)과, 상기 하우징(35)과는 절연되며 외부로 돌출되는 다수의 핀(31)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5)은 파워 모듈(30) 내부의 전력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며, 핀(31)은 전력의 공급 및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파워 모듈(30)은 하우징(35)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PCB(10)를 지지하는 지지대(36)를 포함한다.
지지대(36)는 독립적으로 다수가 돌출된 구조일 수 있으며, 하우징(35)의 일면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된 부분일 수 있다.
지지대(36)는 상기 핀(31)이 돌출되는 면의 둘레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하며, 돌출부분의 끝은 평탄한 면으로서, PCB(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지지대(36)의 돌출높이는 상기 서멀 패드(4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서멀 패드(40)의 높이보다 낮은 것으로 한다.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상기 지지대(36)에는 체결공이 상하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볼트 등의 결합부재에 의해 PCB(10)가 체결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대(36)의 높이에 의하여 파워 모듈(30)과 PCB(10) 사이의 거리가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파워 모듈(30)에 서멀 패드(40)가 안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멀 패드(40)에는 다수의 삽입홀(4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삽입홀(41)에는 복수의 핀(31)들이 삽입되거나 하나의 핀(31)이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홀(41)의 크기 및 형상은 핀(31)들의 설치 위치와 간격에 따라 설계된다.
특히 삽입홀(41)은 핀(31)의 삽입시 간섭되지 않도록 핀(31)의 직경에 비하여 더 크게 설계된다.
상기 파워 모듈(30)에 삽입홀(41)을 가지는 서멀 패드(40)가 안착된 상태에서, 서멀 패드(40)의 상부로 핀(31)의 탄성 구조체(33)들이 노출된 상태에서, PCB(10)를 핀(31)에 결합한다.
도 6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즉, PCB(10)에는 미리 핀(31)의 삽입 위치에 부싱 단자(11)들이 장착되어 있으며, 부싱 단자(11)들 각각에 탄성 구조체(33)가 동시에 결합되도록 PCB(10)를 정렬하고 하향의 압력을 가하여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솔더링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며,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조립을 위한 열공정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열에 의한 부품의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PCB(10)와 파워 모듈(30)의 사이에 서멀 패드(40)가 위치하여, 서멀 패드(40)를 통한 열의 전도가 가능하며 따라서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서멀 패드(40) 자체가 핀(31)과 PCB(10)의 코팅층(12)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 및 파워 모듈(30)의 일면에 대하여 방진 구조로 작용함으로써, 도전성 이물의 부착에 따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결합을 위한 지그의 일실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평판(50)의 상부에 파워 모듈(30)과 서멀 패드(40) 결합체를 올려두고, PCB(10)를 파워 모듈(30)의 핀(31)에 결합할 수 있다.
이때 평판(50)의 상부 일부에는 외부 지지대(60)를 고정시키고, 외부 지지대(60)에 PCB(10)의 가장자리를 고정하여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외부 지지대(60)를 이용하여 파워 모듈(30)과 PCB(1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PCB 11:부싱 단자
11a:이탈 방지부 20:냉각 장치
21:냉각 팬 22:히트 싱크
30:파워 모듈 31:핀
32:공극 33:탄성 구조체
35:하우징 36:지지대
40:서멀 패드 41:삽입홀

Claims (10)

  1. PCB에 결합되는 파워 모듈;
    상기 PCB와 상기 파워 모듈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PCB 및 상기 파워 모듈에 이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열을 전도하는 서멀 패드; 및
    상기 파워 모듈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여 상기 파워 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를 포함하는 인버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통공을 제공하는 도전성의 부싱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모듈의 핀들이 상기 부싱 단자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핀들 각각은,
    상기 부싱 단자에 삽입되는 부분이 중앙에 공극이 형성되는 양갈래의 탄성 구조체를 포함하는 인버터 모듈.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멀 패드는,
    상기 핀들이 간섭되지 않도록 관통 삽입되는 삽입홀들을 포함하는 인버터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멀 패드는,
    상기 PCB 및 상기 파워 모듈에 비하여 경도가 낮으며,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들 각각은,
    상기 핀들의 간격에 따라 하나의 핀 또는 다수의 핀들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워 모듈은,
    상기 핀들이 돌출되는 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PCB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인버터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CB는 상기 지지대에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모듈.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장치는,
    공냉식 또는 수냉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모듈.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PCB와 상기 파워 모듈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서멀 패드와 결합된 파워 모듈이 안착되는 평판과, 상기 평판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PCB의 가장자리를 고정하며 높이의 조정이 가능한 외부 지지대에 의해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모듈.
KR1020210010914A 2021-01-26 2021-01-26 인버터 모듈 KR102564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914A KR102564046B1 (ko) 2021-01-26 2021-01-26 인버터 모듈
PCT/KR2022/000056 WO2022164064A1 (ko) 2021-01-26 2022-01-04 인버터 모듈
US18/273,173 US20240090114A1 (en) 2021-01-26 2022-01-04 Inverter module
CN202280011138.4A CN116803222A (zh) 2021-01-26 2022-01-04 逆变器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914A KR102564046B1 (ko) 2021-01-26 2021-01-26 인버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7796A true KR20220107796A (ko) 2022-08-02
KR102564046B1 KR102564046B1 (ko) 2023-09-06

Family

ID=8265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914A KR102564046B1 (ko) 2021-01-26 2021-01-26 인버터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90114A1 (ko)
KR (1) KR102564046B1 (ko)
CN (1) CN116803222A (ko)
WO (1) WO202216406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4338A (ja) * 1995-01-27 1996-08-09 Hitachi Ltd 多層印刷回路基板
KR20050017339A (ko) * 2003-08-13 2005-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
KR20110072342A (ko) * 2009-12-22 2011-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30234A (en) * 1998-01-23 2000-02-29 Molex Incorporated Terminal pins mounted in flexible substrates
JP4797077B2 (ja) * 2009-02-18 2011-10-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半導体パワーモジュール、電力変換装置、および、半導体パワー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100104800A (ko) * 2009-03-19 2010-09-29 주식회사 아코세미컨덕터 스탠드 오프 터미널을 갖는 파워 모듈 디바이스
KR200486295Y1 (ko) * 2016-04-05 2018-04-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원 장치 방진 구조
KR102391008B1 (ko) * 2017-08-08 2022-04-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 모듈 및 그 파워 모듈을 포함하는 전력 변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4338A (ja) * 1995-01-27 1996-08-09 Hitachi Ltd 多層印刷回路基板
KR20050017339A (ko) * 2003-08-13 2005-0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텔리전트 파워 모듈
KR20110072342A (ko) * 2009-12-22 2011-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046B1 (ko) 2023-09-06
CN116803222A (zh) 2023-09-22
US20240090114A1 (en) 2024-03-14
WO2022164064A1 (ko) 202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5061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07209184A (ja) 電力変換装置
KR100708659B1 (ko) 지능형 전원 모듈의 방열 구조,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모듈 및 지능형 전원 모듈의 방열판 설치 방법
JPH0677679A (ja) 回路基板に電気素子を取り付ける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10304039A1 (en) Semiconductor device
JP4492695B2 (ja) 半導体モジュールの実装構造
US10199904B2 (en) Cooling a heat-generating electronic device
JP2006303290A (ja) 半導体装置
JP5668707B2 (ja) 半導体モジュール
US7324342B2 (en) Electronics assembly and electronics package carrier therefor
CN112864113A (zh) 功率器件、功率器件组件与相关装置
JP2003264388A (ja) 電気部品装置
JP6337579B2 (ja) 電子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動モータ
JP2012248700A (ja) 半導体装置
CN111712914A (zh) 控制装置的制造方法以及控制装置
KR102564046B1 (ko) 인버터 모듈
US10658253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a warped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 a ca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13105456A1 (ja) 回路基板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3741002B2 (ja) 半導体装置の実装構造
KR200402821Y1 (ko) 알루미나시트를 절연재로 사용하는 방열장치
KR20070031758A (ko) 알루미나시트를 절연재로 사용하는 방열장치
KR20070099132A (ko) 지능형 전원 모듈의 방열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디스플레이 모듈
WO2023090102A1 (ja) 実装基板、及び実装基板を搭載した電気機器
JP7192998B2 (ja) 半導体装置
CN217689993U (zh) 电源装置和具有电源装置的计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