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6382A - 환편기 - Google Patents

환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6382A
KR20220106382A KR1020210009248A KR20210009248A KR20220106382A KR 20220106382 A KR20220106382 A KR 20220106382A KR 1020210009248 A KR1020210009248 A KR 1020210009248A KR 20210009248 A KR20210009248 A KR 20210009248A KR 20220106382 A KR20220106382 A KR 20220106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yarn
elastic yarn
disposed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1281B1 (ko
Inventor
강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영하이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영하이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영하이텍스
Priority to KR1020210009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281B1/ko
Publication of KR20220106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63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48Thread-feeding devices
    • D04B15/50Thread-feeding devices for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센터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복수의 단으로 배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장치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탄성사와 원사를 편직하는 편직부와, 상기 제1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편직부에서 편직된 직물을 권취하는 권취부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편직부로 탄성사를 공급하는 탄성사 공급부 및,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편직부로 원사를 공급하는 원사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탄성사 보빈을 사용할 수 있고, 동력벨트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높은 품질의 편직물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편직물을 직조하는 환편기에 관한 것이다.
편직물기계라 함은 편침에 공급되는 탄성사 또는 원사를 편침에 의해 코를 만들고, 이 코를 가로/세로 방향으로 연철시켜 의도하는 바의 편포를 생산하는 섬유 기계의 일종을 말한다.
이러한 편직물기계는 경사를 세로방향으로 편성해 나가는 경편기 및 위사를 가로 방향으로 편성해 나가는 위편기로 대별된다.
이 중에서 환편기는 위편기의 범주에 속하며, 실린더 상에 편침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환형의 편포를 연속적으로 생산하고, 이 환형의 편직물은 통상 재단공정을 통해 의류로 완성된다.
이와 같은 환편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2058929호가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환편기는 상부에 탄성사 공급기와 원사 공급기를 배치하고 환편기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편침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편침으로 탄성사와 원사를 공급한다.
종래 환편기에서 탄성사 공급기는 안착하여 회전시킬 수 있는 탄성사 보빈의 크기가 제한적이었다. 이는 탄성사 공급기에서 탄성사 보빈의 하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회전바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탄성사 공급기마다 안착할 수 있는 탄성사 보빈의 직경 크기가 제한되어 있어, 다른 직경 크기를 가진 탄성사 보빈은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환편기 운용의 확대성을 제약한다.
또한 탄성사 공급기의 풀리 또는 원사 공급기의 풀리에 회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동력벨트가 사용된다. 만약 동력벨트의 장력이 느슨하게 되면, 풀리에 회전력에 잘 전달되지 못하고, 탄성사 또는 원사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경우 높은 품질의 편직물을 생산할 수 없다.
종래에는 동력벨트의 장력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직접 동력벨트의 장력을 조절하였다. 이는 동력벨트에 연결되어 있는 동력조절장치의 풀리 위치를 조절하여 동력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수작업은 사용자의 작업부하를 높이고, 통상 동력벨트가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작업 중 사용자가 낙상하는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 또한 수작업 중 환편기의 작동을 일시중지해야 하므로, 납품기한이 임박한 경우에는 생산차질과 납기일을 맞추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탄성사 보빈을 사용할 수 있고, 동력벨트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장비를 운용할 수 있고 높은 품질의 편직물을 제작할 수 있는 환편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환편기에 관한 것으로,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센터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복수의 단으로 배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장치바디;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탄성사와 원사를 편직하는 편직부; 상기 제1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편직부에서 편직된 직물을 권취하는 권취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편직부로 탄성사를 공급하는 탄성사 공급부; 및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편직부로 원사를 공급하는 원사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사 공급부는,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탄성사 케이싱;과 상기 탄성사 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되는 탄성사 풀리; 및 상기 탄성사 케이싱의 측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탄성사 풀리에 기어동력축으로 회전되게 연결되며 탄성사 보빈을 지지하며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1,2 지지바;를 포함하는 탄성사 공급유닛;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사 풀리와 제1 동력벨트로 연결되는 탄성사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사 공급부는 상기 탄성사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바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이동유닛은, 상기 탄성사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유압실린더; 상기 제1 유압실린더와 이격되어 상기 탄성사 케이싱의 내부 하단에 배치되는 제1 리니어가이드; 상기 제2 지지바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리니어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이동블록; 및 상기 탄성사 케이싱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바가 관통하며 배치되는 제1 이동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어동력축은, 상기 탄성사 풀리의 회전축에 형성된 기어에 맞물리는 일측 기어와 상기 제1 지지바의 기어에 맞물리는 타측 기어가 형성된 제1 회전바; 및 상기 제1 회전바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바의 기어에 맞물리는 끝단 기어가 형성된 제2 회전바;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이동블록은 상기 제2 회전바에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바에서 상기 제2 회전바를 마주하는 단부에는 스플라인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바에서 상기 제1 회전바를 마주하는 단부에는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상기 스플라인은 상기 스플라인홈에 삽입 배치되며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제1 이동블록의 이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사 공급부는, 상기 탄성사 케이싱의 하부에 연결되는 보조대 및 상기 보조대에 결합되는 간격대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지지바상에서 탄성사 보빈의 위치 또는 탄성사 보빈의 폭에 따라 탄성사 보빈의 위치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유닛은, 상기 간격대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나사산홈이 형성된 가이드블록; 상기 보조대에 배치되는 간격모터; 및 상기 간격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나사산홈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원사 공급부는,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원사 케이싱;과 상기 원사 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2 단 풀리; 및 상기 원사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단 풀리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공급롤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원사 공급유닛;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장착되는 축하우징;과 상기 축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축모터;와 상기 축모터의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회전축;과 상기 기어회전축에 서로 이격되어 연결되는 제1,2 단 회전판; 및 상기 기어회전축을 지지하는 축지지블록;을 포함하는 원사 동력부;를 포함하되, 복수개의 상기 제1 단 풀리는 상기 제1 단 회전판 또는 상기 제2 단 회전판에 각각 제2 동력벨트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2 단 풀리는 서로 보조벨트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원사 공급부는, 상기 기어회전축에 연계되고, 상기 기어회전축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이동유닛은, 상기 축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유압실린더; 상기 제2 유압실린더에 이격되며, 상기 축하우징의 내부 하단에 배치되는 제2 리니어가이드; 상기 제2 유압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축모터가 배치되는 축모터케이싱; 상기 축하우징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기어회전축이 이동하는 축이동홈; 상기 축지지블록의 하단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축이동홈에 배치되는 블록플랜지; 및 상기 제1,2 단 회전판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동력벨트가 상기 제1,2 단 회전판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축로드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동력벨트 또는 상기 제2 동력벨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동력벨트 또는 상기 2 동력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조절기 케이싱; 상기 조절기 케이싱에서 상기 조절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 조절풀리유닛; 상기 조절기 케이싱에서 상기 제1 조절풀리유닛와 이격되며 배치되고, 상기 조절기 케이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 조절풀리유닛; 및 상기 조절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조절풀리유닛을 이동시키는 풀리이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조절풀리유닛은, 상기 제2 동력벨트가 연결되는 제1 조절풀리; 중앙측에는 상기 조절기 케이싱에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측 내부에는 상기 제1 조절풀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배치되는 제1 풀리블록; 및 상기 제1 풀리블록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풀리블록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조절풀리유닛은, 상기 제2 동력벨트가 연결되는 제2 조절풀리; 및 중앙측에는 상기 조절기 케이싱에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측 내부에는 상기 제2 조절풀리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배치되는 제2 풀리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풀리이동유닛은, 상기 조절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는 풀리모터; 상기 풀리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스크류축;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축에 맞물리는 볼베어링이 배치되고, 상부는 상기 제2 조절풀리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풀리이동블록; 및 상기 조절기 케이싱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조절풀리의 회전축이 이동하는 풀리이동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조절풀리는, 상기 제2 동력벨트에 맞물리는 요철부가 형성된 외부풀리바디; 및 상기 외부풀리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풀리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풀리이동유닛은, 상기 외부풀리바디와 상기 내부풀리바디 사이에는 배치되고, 상기 제2 동력벨트가 상기 제2 조절풀리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풀리로드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편직부는,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된 실린더 캠 장착부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실린더 캠;과, 상기 실린더 캠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탄성사와 원사를 편직하는 실린더 니들;을 포함하는 실린더 캠유닛; 및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실린더 캠의 상부에 형성된 다이얼 캠 장착부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이얼 캠;과, 상기 다이얼 캠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탄성사와 원사를 편직하는 다이얼 니들;을 포함하는 다이얼 캠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 캠은, 2열로 구성되되, 1열은 니트캠과 미스캠으로 배치되고, 2열은 미스캠과 니트캠으로 배치되며, 상기 니트캠에는 지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 캠에는 니들 교체부가 형성되되, 상기 니들 교체부에서 1열과 2열은 미스캠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다이얼 캠은, 2열로 형성되되, 1열은 니트캠과 미스캠으로 배치되고, 2열은 미스캠과 니트캠으로 배치되며, 상기 니트캠에는 지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편직부는,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다이얼 캠 장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 캠의 위치를 조절하는 다이얼 캠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다이얼 캠 조절유닛은, 상기 다이얼 캠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좌우조절기; 및 상기 다이얼 캠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좌우조절기는 다이얼 캠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연 타이밍(delay timing) 또는 동기 타이밍(synchronizing timing)을 조절하되, 지연 타이밍은 원사 공급이 실린더 캠에 먼저 공급되고 시간차를 두고 다이얼 캠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단면 스판에 적용되고, 동기 타이밍은 원사 공급이 실린더 캠과 다이얼 캠에 동시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양면 스판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조절기는 다이얼 캠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단면 스판 편직시에는 원사의 공급량 및 공급 장력을 조절하고, 양면 스판 편직시에는 탄성사와 원사의 공급량 및 공급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좌우조절기는, 상기 다이얼 캠 장착부의 상부에 고정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게이지; 상기 제1 게이지에 연결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게이지바; 상기 센터바디에 고정된 볼트블록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게이지바에 접촉되는 제1 대면판; 및 상기 볼트블록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고, 조임 정도를 통해 상기 다이얼 캠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조절기는, 상기 센터바디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게이지; 상기 제1 게이지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게이지바; 및 상기 다이얼 캠 장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게이지바에 접촉되는 제2 대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사 보빈의 직경 크기에 상관없이 환편기에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성사 보빈의 폭에 따라 폭 방향 이동 간격을 제한할 수 있어, 탄성사 공급 중 탄성사 보빈의 과도한 폭 방향 이동을 제한하여 안정적인 탄성사 공급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동력벨트가 가하는 압력 측정을 통해 동력벨트의 장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벨트의 장력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동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탄성사와 원사의 연속적인 공급을 보장하여, 환편기의 안정적인 운용과 높은 품질의 편직물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인 환편기에서 원사 동력부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2b는 도 2a에 개시된 원사 동력부에 대한 측단면도.
도 2c는 도 2a에 개시된 제1 단 회전판에 배치된 축로드셀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환편기에서 원사 공급유닛을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인 환편기에서 탄성사 공급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4b는 도 4a에 개시된 탄성사 공급유닛에 대한 측단면도.
도 4c는 도 4b에 개시된 Y 부분에 대한 도면.
도 4d는 도 4a에 개시된 탄성사 공급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
도 4e는 도 4d에 개시된 탄성사 공급유닛에 대한 평단면도.
도 4f는 도 4a에 개시된 탄성사 공급유닛의 외관을 나타낸 후면도.
도 5a는 본 발명인 환편기에서 장력조절부의 외관을 나타낸 측면도.
도 5b는 도 5a에 개시된 장력조절부에 대한 측단면도.
도 5c는 도 5a에 개시된 장력조절부의 외관을 나타낸 평면도.
도 5d는 도 5a에 개시된 제2 조절풀리에 배치된 풀리로드셀을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인 환편기에서 실린더 캠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인 환편기에서 다이얼 캠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c는 본 발명인 환편기에서 실린더 니들과 다이얼 니들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d는 본 발명인 환편기에서 실린더 니들과 다이얼 니들로 탄성사와 원사를 공급하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인 환편기에서 다이얼 캠 조절유닛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설명되는 각각의 실시예들 및 각각의 구조들은 개별적으로 설명되더라도, 서로 상충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하나의 실시예로 통합되어 적용되고 설계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100)는 장치바디(200), 편직부(500), 권취부(600), 탄성사 공급부(300) 및 원사 공급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치바디(200)는 제1 바디(210), 제2 바디(220), 센터프레임(250), 지지대(230) 및 환풍유닛(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210)는 상기 장치바디(200)의 하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일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바디(220)는 상기 장치바디(200)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바디(220)는 상기 제1 바디(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바디(220)는 하부프레임(221), 지지프레임(223) 및 상부프레임(2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221)은 상기 제1 바디(210)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23)은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하부프레임(221)의 둘레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225)은 복수개의 상기 지지프레임(223)의 상단에 안착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원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센터프레임(250)은 기둥 형상이고, 상기 제2 바디(220)의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30)는 상기 제2 바디(220)의 상부에 복수의 단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대(230)는 상기 상부프레임(225)에 연결되며 배치되거나 또는 건물내의 고정설비에 연결되며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230)는 원사 공급부(400)를 지지하는 지지대(231,233) 및 탄성사 공급부(300)를 지지하는 지지대(3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풍유닛(240)은 제1 빔(241), 제2 빔(243) 및 팬(24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빔(241)은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설계사양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225)의 상단에 고정되거나 또는 건물내 고정설비에 연결되며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빔(243)은 상기 제1 빔(241)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방향으로 복수개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245)은 상기 제2 빔(23)의 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팬(245)은 상기 편직부(500)로 공급되는 탄성사(E) 및 원사(P)에 풍향을 가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권취부(600)는 상기 제1 바디(210)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편직부(500)에서 편직되고 하방향으로 내려오는 편직물을 권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사 공급부(300)는 상기 지지대(235)에 장착되고, 상기 편직부(500)로 탄성사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 도 4a 내지 도 4f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사 공급부(300)는 탄성사 공급유닛(350) 및 탄성사 동력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탄성사 동력부(310)는 상기 제2 바디(220)의 상부프레임(225)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모터 및 기어 동력 전달 구조에 의해 상기 탄성사 공급유닛(350)의 탄성사 풀리(353)에 제1 동력벨트(330)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탄성사 동력부(310)의 구조는 이하 검토할 원사 동력부(410)의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f를 참고하면, 상기 탄성사 공급유닛(350)은 탄성사 케이싱(351), 탄성사 풀리(353), 기어동력축(355) 및 제1 지지바(354a)와 제2 지지바(35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은 지지대(235)에 탈착구(352)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탈착구(352)를 풀거나 또는 조임으로써,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을 지지대(235)에서 탈거하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다.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에는 상기 지지대(235)에 대한 밀착력을 높이도록 밀착바(351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의 하부에는 걸림부(351a)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351a)에는 보조대(358)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f를 참고하면, 보조대(358)에는 탄성사의 이동 방향을 안내하도록 절곡된 빔 형태로 중앙부가 관통되고 탄성사(E)가 통과하는 가이드피스(366)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보조대(358)에는 상기 제1 지지바(354a)와 상기 제2 지지바(354b)에 안착된 탄성사 보빈(ER)이 측방향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간격대(362,36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사 풀리(353)는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사 풀리(353)는 요철부(35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동력벨트(330)의 요철부(330a)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바(354a)와 상기 제2 지지바(354b)는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의 측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탄성사 풀리(353)에 기어동력축(355)으로 회전되게 연결되며, 탄성사 보빈(ER)을 지지하며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2 지지바(354a,354b)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탄성사(E)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탄성사 동력부(310)의 동력을 제어하여 상기 제1 동력벨트(330)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바(354b)는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에 형성된 제1 이동홈(372)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지바(354a)는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에 형성된 홀(351c)을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지지바(354a,354b)의 상단에는 탄성사 보빈(ER)이 안착될 수 있다.
도 4e를 참고하면, 상기 제1 지지바(354a)는 베어링블록(357)의 내부에 배치된 베어링(357a)에 의해 회전이 지지될 수 있다.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탄성사 풀리(353)의 회전축에는 기어(353c)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기어동력축(355)의 일단부에 형성된 기어(355a)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사 풀리(353)의 회전축 둘레에는 회전축을 지지하며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353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동력축(355)의 타측에는 각각 한 쌍의 기어(355b,355c)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각각 제1,2 지지바(354a,354b)의 단부에 형성된 기어(359a,359b)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1 동력벨트(330)에 의해 회전력이 상기 탄성사 풀리(353)로 전달되면, 상기 탄성사 풀리(353)의 회전축에 형성된 기어 맞물림으로 상기 기어동력축(355)으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1,2 지지바(354a,354b)가 회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2 지지바(354a,354b)에 안착된 탄성사 보빈(ER)이 회전하면서 탄성사가 풀리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사 공급부(300)는,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바(354b)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1 이동유닛(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이동유닛(370)은, 제1 유압실린더(371), 제1 리니어가이드(373), 제1 이동블록(375) 및 제1 이동홈(37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압실린더(371)는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리니어가이드(373)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371)와 이격되어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의 내부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블록(375)은 상기 제2 지지바(354b)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압실린더(371)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리니어가이드(373)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블록(375)의 내부에는 베어링(375a)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375a)은 상기 제2 지지바(354b)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홈(372)은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의 양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바(354b)가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탄성사 보빈(ER)의 직경 크기에 따라 제어장치로 상기 제1 유압실린더(371)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압실린더(371)가 상기 제1 이동블록(375)을 이동시키면, 상기 제2 지지바(354b)가 상기 제1 이동홈(372)을 따라 이동한다.
탄성사 보빈(ER)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상기 제1,2 지지바(354a,354b)의 간격을 벌리도록 조작하고, 탄성사 보빈(ER)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상기 제1,2 지지바(354a,354b)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조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압실린더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설계사양에 따라 상술한 제1 유압실린더(371)는 모터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의 구동축에는 스크류축이 연결되고, 상술한 제1 이동블록(375)의 내부에는 볼베어링이 배치되며, 볼베어링과 스크류축은 맞물린 구조를 이루고,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볼베어링이 이동하며 상술한 제1 이동블록(375)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지지바(354b)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기어동력축(355)의 기어(355c)도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며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어동력축(355)은 제1 회전바(355d), 제2 회전바(355e), 스플라인홈(355f) 및 스플라인(355g)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바(355d)에는 상기 탄성사 풀리(353)의 회전축에 형성된 기어(353c)에 맞물리는 일측 기어(355a)와 상기 제1 지지바(354a)의 기어(359a)에 맞물리는 타측 기어(355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바(355d)는 베어링(356a)이 내부에 배치된 베어링블록(356)에 의해 회전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바(355e)는 상기 제1 회전바(355d)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지지바(354b)의 기어(354b)에 맞물리는 끝단 기어(355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이동블록(375)은 픽싱블록(375b)에 의해 상기 제2 회전바(355e)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이동블록(375)이 이동할 때, 상기 제2 회전바(355e)가 함께 이동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픽싱블록(375b)의 내부에는 베어링(375c)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375c)은 상기 제2 회전바(355e)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b의 Y 부분을 나타낸 도 4c를 참고하면, 상기 제1 회전바(355d)에서 상기 제2 회전바(355e)를 마주하는 단부에는 스플라인홈(355f)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회전바(355e)에서 상기 제1 회전바(355d)를 마주하는 단부에는 스플라인(355g)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플라인(355g)은 상기 스플라인홈(355f)에 삽입 배치되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플라인(355g)이 상기 스플라인홈(355f)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제1 이동블록(375)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바(355e)는 상기 제1 회전바(355d)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플라인(355g)은 6각 단면 형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다각 형상 또는 기타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탄성사 공급부(300)는 상기 탄성사 케이싱(351)의 하부에 연결되는 보조대(358) 및 상기 보조대(358)에 결합되는 간격대(362,363)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지지바(354a,354b)상에서 탄성사 보빈(ER)의 폭에 따라 탄성사 보빈(ER)의 위치를 조절하는 간격조절유닛(3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간격조절유닛(380)은 간격블록(382), 간격모터(381) 및 간격바(3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블록(382)은 상기 간격대(362)에 배치되고, 내부에는 나사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간격모터(381)는 상기 보조대(358)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간격바(383)는 상기 간격모터(381)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외측 둘레에는 상기 나사산홈에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탄성사 보빈(ER)의 폭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간격대(362)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간격모터(381)를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간격모터(381)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간격바(383)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간격블록(382)이 상기 간격대(362)를 이동시킨다.
만약 탄성사 보빈(ER)의 폭 크기가 큰 경우에는 상기 간격블록(382)이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간격모터(381)를 회전시켜, 상기 보조대(358)상에서 상기 간격대(362)의 위치를 외측으로 벌린다. 반대로 탄성사 보빈(ER)의 폭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탄성사가 공급되는 동안에, 탄성사 보빈(ER)의 폭 방향 움직임을 줄이기 위해 상기 간격블록(382)이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간격모터(381)를 회전시켜, 상기 보조대(358)상에서 상기 간격대(362)의 위치를 내측으로 좁힌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사 공급부(300)는 상기 제1 이동유닛(370)과 상기 간격조절유닛(380)을 통해 탄성사 보빈(ER)의 크기에 대응하여 제1,2 지지바(354a,354b)의 직경 지지 범위 및 간격대(362)의 폭 지지 범위를 조절할 수 있어, 탄성사 보빈(ER)의 크기에 제한없이 적용이 가능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원사 공급부(400)는 상기 지지대(231,233)에 장착되고, 상기 편직부(500)로 원사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 도 2a 내지 도 2c 및 도 3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원사 공급부(400)는 원사 공급유닛(460) 및 원사 동력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원사 공급유닛(460)은 기본적으로 원사케이싱(464), 제1,2 단 풀리(461,462) 및 공급롤러(4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사케이싱(464)은 지지대(231)에 탈착구(474)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탈착구(474)를 풀거나 또는 조임으로써, 상기 원사케이싱(464)을 지지대(231)에서 탈거하거나 또는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제1,2 단 풀리(461,462)는 상기 원사케이싱(464)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2 단 풀리(461,462)는 각각 요철부(461a,462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 풀리(461)는 제2 동력벨트(430)의 요철부(430a)에 맞물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 풀리(462)는 보조벨트(431)의 요철부에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 단 풀리(461,462)에 벨트 결합 방식은 원사의 종류가 다르거나 또는 원사의 공급량을 다르게 할 때,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공급롤러(470)는 상기 원사케이싱(464)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출바(470a)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바(470a)는 원사가 상기 공급롤러(470)에 감기거나 풀릴 때, 상기 공급롤러(470) 표면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접촉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어, 원사가 원활하게 풀리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롤러(470)는 상기 제1,2 단 풀리(461,462)와 링크축(46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력벨트(430)에 의해 상기 제1,2 단 풀리(461,462)가 회전하면 상기 공급롤러(47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건물내에 배치된 원사 실패에서 공급되는 원사(P)는 원사 가이드빔(465,466)에 형성된 홀을 통과하며 가이드휠(467)로 유도된다. 가이드휠(467)은 상기 원사케이싱(464)에 지지축(467a)으로 지지되며 회전할 수 있다. 가이드휠(467)이 회전함에 따라 원사는 가이드휠(467)을 따라 방향이 전환되며 상기 공급롤러(47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롤러(470)에 원활하게 감길 수 있도록, 원사 가이드빔(468,469)이 배치될 수 있으며, 원사는 가이드빔(468,469)을 통과하며 상기 공급롤러(470)에 감기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롤러(470)에서 상기 편직부(500)로 원사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절곡된 형태의 가이드빔(471,472,473)이 상기 원사케이싱(464)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롤러(470)에서 풀리는 원사는 가이드빔(471,472,473)의 절곡된 내측 공간을 통과하며 상기 편직부(500)로 공급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1,2 단 풀리(461,462) 및 공급롤러(47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원사(P)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원사 동력부(410)의 동력을 제어하여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하면, 상기 원사 동력부(410)는 축하우징(413), 축모터(419), 기어회전축(414), 제1,2 단 회전판(411,412) 및 축지지블록(4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축하우징(413)은 상기 제2 바디(220)의 상부프레임(225)에 볼트체결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축모터(419)는 상기 축하우징(41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축모터(419)의 회전축에는 기어(418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회전축(414)의 하부에는 상기 기어(418b)에 맞물리는 기어(418a)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축모터(419)의 작동에 따라 상기 기어회전축(414)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기어회전축(414)의 상부에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제1,2 단 회전판(411,412)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 단 회전판(411,412)에는 제2 동력벨트(430)가 안착되는 홈(411a,412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지지블록(415)은 상기 축하우징(413)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어회전축(414)의 둘레를 감싸며 상기 기어회전축(414)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축지지블록(415)의 내부에는 상기 기어회전축(414)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416)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사 공급부(400)는 상기 기어회전축(414)에 연계되고, 상기 기어회전축(414)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2 이동유닛(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이동유닛(420)은 제2 유압실린더(421), 제2 리니어가이드(422), 축모터케이싱(423), 축이동홈(417), 블록플랜지(415a) 및 축로드셀(4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1)는 상기 축하우징(413)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422)는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1)에 이격되며 상기 축하우징(413)의 내부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축모터케이싱(423)은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1)의 로드 단부(421a)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422)에 결합되며, 내부에는 상기 축모터(419)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1)가 작동하면 상기 축모터케이싱(423)이 상기 제2 리니어가이드(42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축이동홈(417)은 상기 축하우징(413)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기어회전축(414)이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축이동홈(417)의 내측에서 상기 기어회전축(414)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블록플랜지(415a)는 상기 축지지블록(415)의 하단 둘레에 형성되고, 상기 축이동홈(417)에 삽입되어 상기 축이동홈(417)의 상단과 하단을 감싸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어회전축(414)이 상기 축이동홈(417)의 내측에서 이동할 때, 상기 블록플랜지(415a)가 상기 축이동홈(417)을 감싸고 있어, 상기 축지지블록(415)이 상기 축이동홈(417)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축지지블록(415)이 상기 기어회전축(414)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축로드셀(425)은 상기 제1,2 단 회전판(411,412)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2 동력벨트(430)가 상기 제1,2 단 회전판(411,412)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도 2c를 참고하면, 상기 제1 단 회전판(411)의 홈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축로드셀(425)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2 동력벨트(430)는 상기 제1 단 풀리(461)와 맞물려 있으며, 보조풀리(450)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며, 상기 제1 단 회전판(411)에 연결된다.
상기 축로드셀(425)은 상기 제2 동력벨트(430)가 상기 제1 단 회전판(411)의 홈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제2 동력벨트(430)가 상기 제1 단 풀리(461)에 원활하게 회전력을 전달하려면,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요철부와 상기 제1 단 풀리(461)의 요철부(461a)가 잘 맞물려 있어야 한다. 이는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장력 측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원활한 동력 전달을 위해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장력 표준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축로드셀(425)이 상기 제2 동력벨트(430)가 상기 제1 단 회전판(411)의 홈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부에서는 측정된 압력을 연산하여 장력값을 도출한다. 이때 기 설정한 장력 표준값에 대해 허용오차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유닛(420)은 작동하지 않는다. 만약 기 설정한 장력 표준값에 대해 허용오차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이동유닛(420)을 작동하여 상기 제1 단 회전판(411)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장력이 기 설정한 장력 표준값의 허용오차보다 더 크게 측정된 경우 상기 제1 단 회전판(411)을 장력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더 작게 측정된 경우 상기 제1 단 회전판(411)을 장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작동은 제2 단 회전판(41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개시된 탄성사 동력부(3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장력 조절은 이하 검토할 상기 장력조절부(700)가 우선적으로 실시하고, 상기 장력조절부(700)가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유닛(420)이 보조적으로 실시한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d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편기(100)는 장력조절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부(700)는 상기 지지대(231,233,235)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동력벨트(330) 또는 상기 제2 동력벨트(430)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동력벨트(330) 또는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동력벨트(430)에 대해 설명하나, 이는 제1 동력벨트(330)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장력조절부(700)는 조절기 케이싱(710), 제1 조절풀리유닛(720), 제2 조절풀리유닛(730) 및 풀리이동유닛(7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상기 조절기 케이싱(710)은 탈착구(711)에 의해 상기 지지대(231)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탈착구(711)를 회전하여 상기 지지대(231)에서 상기 조절기 케이싱(710)을 탈착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풀리유닛(720)은 상기 조절기 케이싱(710)에서 상기 조절기 케이싱(7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 조절풀리유닛(720)은 제1 조절풀리(721), 제1 풀리블록(723) 및 고정구(7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제1 조절풀리(721)는 상기 제2 동력벨트(43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풀리(721)의 외주면에는 요철부(72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요철부(430a)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1 풀리블록(723)은, 중앙측에는 상기 조절기 케이싱(710)에 삽입되는 개구부(723a)가 형성될 수 있고, 상측 내부에는 상기 제1 조절풀리(721)의 회전축(722)을 지지하는 베어링(722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절풀리(721)의 회전축(722)은 상기 제1 풀리블록(723)의 내부에 링크판(722b)에 의해 볼트(722c) 체결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724)는 상기 제1 풀리블록(723)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풀리블록(72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풀리블록(723) 및 상기 제1 조절풀리(72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고정구(724)를 풀고, 반대로 위치를 고정하고자 할 때는 상기 고정구(724)를 조인다.
상기 제2 조절풀리유닛(730)은 상기 조절기 케이싱(710)에서 상기 제1 조절풀리유닛(720)과 이격되며 배치되고, 상기 조절기 케이싱(7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 조절풀리유닛(730)은 제2 조절풀리(731) 및 제2 풀리블록(7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풀리(731)는 상기 제2 동력벨트(43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풀리(731)의 외주면에는 요철부(73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요철부(430a)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제2 풀리블록(733)은, 중앙측에는 상기 조절기 케이싱(710)에 삽입되는 개구부(733a)가 형성될 수 있고, 상측 내부에는 상기 제2 조절풀리(731)의 회전축(732)을 지지하는 베어링(732a)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풀리이동유닛(750)은 상기 조절기 케이싱(7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조절풀리유닛(73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풀리이동유닛(750)은 풀리모터(751), 스크류축(752), 풀리이동블록(754) 및 풀리이동홈(75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풀리모터(751)는 상기 조절기 케이싱(7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축(752)의 일측 단부는 상기 풀리모터(751)의 회전축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축(752)의 타측은 베어링블록(756)의 내측으로 삽입 배치되고, 베어링(756a)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축(752)의 타측 단부는 지지볼(756b)에 맞닿아 배치되며 회전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풀리이동블록(754)은,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축(752)에 맞물리는 볼베어링(754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볼베어링(754a)은 상기 스크류축(752)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풀리이동블록(754)을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리이동블록(754)의 상부에는 상기 제2 조절풀리(731)의 회전축(73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조절풀리(731)의 회전축(732)은 결합블록(755)의 내부에 링크판(732b)에 의해 볼트(732c) 체결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블록(755)은 상기 풀리이동블록(754)의 상단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풀리이동블록(754)이 이동하면, 상기 제2 조절풀리(731)의 위치가 변경된다.
여기서 상기 풀리이동홈(757)은 상기 제2 조절풀리(731)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기 케이싱(71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c를 참고하면, 상기 원사 공급유닛(460)의 제1 단 풀리(461)에 맞물린 상기 제2 동력벨트(430)가 상기 제1 조절풀리(721)에 의해 방향 전환된 후 상기 제2 조절풀리(731)에 맞물려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 조절풀리(721)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2 동력벨트(430)가 방향 전환되는 부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풀리모터(751)를 작동하여 상기 제2 조절풀리(731)의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d를 참고하면, 상기 제2 조절풀리(731)의 평단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조절풀리(731)는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요철부(430a)에 맞물리는 요철부(731a)가 형성된 외부풀리바디(731b) 및 상기 외부풀리바디(731b)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부풀리바디(731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풀리이동유닛(750)은, 상기 외부풀리바디(731b)와 상기 내부풀리바디(731c) 사이에는 배치되고, 상기 제2 동력벨트(430)가 상기 제2 조절풀리(731)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풀리로드셀(75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풀리로드셀(759)은 상기 제2 동력벨트(430)가 상기 외부풀리바디(731b)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제2 동력벨트(430)가 상기 제1 단 풀리(461)에 원활하게 회전력을 전달하려면,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요철부(430a)와 상기 제1 단 풀리(461)의 요철부(461a)가 잘 맞물려 있어야 한다. 이는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장력 측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원활한 동력 전달을 위해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장력 표준값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풀리로드셀(759)이 상기 제2 동력벨트(430)가 상기 외부풀리바디(731b)에 가하는 압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부에서는 측정된 압력을 연산하여 장력값을 도출한다. 이때 기 설정한 장력 표준값에 대해 허용오차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풀리이동유닛(750)은 작동하지 않는다. 만약 기 설정한 장력 표준값에 대해 허용오차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풀리이동유닛(750)을 작동하여 상기 제2 조절풀리(731)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장력이 기 설정한 장력 표준값의 허용오차보다 더 크게 측정된 경우 상기 제2 조절풀리(731)를 장력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더 작게 측정된 경우 상기 제2 조절풀리(731)를 장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제2 동력벨트(430)의 장력 조절은 상기 장력조절부(700)가 우선적으로 실시하고, 상기 장력조절부(700)가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2 이동유닛(420)이 보조적으로 실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장력조절부(700)는 사용자의 제어장치 조작 또는 풀리로드셀(759)의 압력 측정을 통해 자동으로 제1,2 동력벨트(330,430)의 장력을 조절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한편,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편직부(500)는 상기 제2 바디(220)의 내측에 배치되고, 탄성사(E)와 원사(P)를 편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직부(500)는 상기 센터프레임(250)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2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편직부(500)는 실린더 캠유닛(510), 다이얼 캠유닛(520) 및 다이얼 캠 조절유닛(5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 캠유닛(510)은 상기 제2 바디(220)에 형성된 실린더 캠 장착부(530)에 원주방향으로 볼트체결되어 배치되는 실린더 캠(513,514,517)과, 상기 실린더 캠(513,514,517)에 형성된 가이드홈(513a,514a,517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탄성사와 원사를 편직하는 실린더 니들(55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얼 캠유닛(520)은 상기 제2 바디(220)에서 상기 실린더 캠 장착부(530)의 상부에 형성된 다이얼 캠 장착부(540)에 원주방향으로 볼트체결되어 배치되는 다이얼 캠(523,524)과, 상기 다이얼 캠(523,524)에 형성된 가이드홈(523a,524a)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탄성사와 원사를 편직하는 다이얼 니들(55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a를 참고하면, 상기 실린더 캠(513,514,517)은, 2열로 형성되되, 1열은 니트캠(513)과 미스캠(514) 순으로 배치되고, 2열은 미스캠(514)과 니트캠(513) 순으로 배치되며, 상기 니트캠(513)에는 지연부(51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연부(513b)는 실린더 니트캠(513)을 통과하는 실린더 니들(551)이 하강하여 녹오버(knock over) 위치로 복귀하는 시간을 지연하는 기능을 한다. 즉 다이얼 캠을 따라 이동하는 다이얼 니들(555)이 전진 위치에서 공급되는 탄성사 또는 원사를 걸고 후진 위치로 완전히 이동할 때까지, 실린더 니트캠(513)을 따라 이동하는 실린더 니들(551)의 하강을 지연부(513b)를 통과하는 시간동안 지연시킨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캠에는 니들 교체부(X)가 형성되되, 상기 니들 교체부(X)에서 1열과 2열은 미스캠(514,517)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b를 참고하면, 상기 다이얼 캠(523,524)은, 2열로 형성되되, 1열은 니트캠(523)과 미스캠(524)으로 배치되고, 2열은 미스캠(524)과 니트캠(523)으로 배치되며, 상기 니트캠(523)에는 지연부(52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연부(523b)는 다이얼 니트캠(523)을 통과하는 다이얼 니들(555)이 후퇴하여 녹오버(knock over) 위치로 복귀하는 시간을 지연하는 기능을 한다. 즉 실린더 캠을 따라 이동하는 실린더 니들(551)이 상승 위치에서 공급되는 탄성사 또는 원사를 걸고 하강 위치로 완전히 이동할 때까지, 다이얼 니트캠(523)을 따라 이동하는 다이얼 니들(555)의 후퇴를 지연부(523b)를 통과하는 시간동안 지연시킨다.
다음으로, 도 6c를 참고하면, 상기 다이얼 캠(523,524)의 가이드홈(523a,524a)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다이얼 니들(555) 및 상기 실린더 캠(513,514,517)의 가이드홈(513a,514a,517a)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실린더 니들(551)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탄성사 공급부(300) 및 상기 원사 공급부(400)에서 탄성사와 원사가 공급되면, 다이얼 니들(555)과 실린더 니들(551)이 교차되며 움직이면서 편직을 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다이얼 니들(555)은 절곡된 고리(558)와 힌지(556)로 연결되어 개방될 수 있는 니들바(55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 니들(555)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사 또는 원사가 고리(558)에 걸리면 니들바(557)가 닫히면서 탄성사 또는 원사를 집게 된다.
그리고, 실린더 니들(551)은 절곡된 고리(554)와 힌지(552)로 연결되어 개방될 수 있는 니들바(553)를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니들(551)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사 또는 원사가 고리(554)에 걸리면 니들바(553)가 닫히면서 탄성사 또는 원사를 집게 된다.
상기 다이얼 니들(555)과 상기 실린더 니들(551)의 움직임은 도 6d에 개시된 것과 같이 서로 교차되며 움직이면서 탄성사 및 원사를 편직하게 된다.
도 6d를 참고하면, 상기 원사 공급부(400)에서 공급되는 원사(P)는 고정프레임(561)의 하단에 연결된 제1 판(562)에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 판(563)의 홀(563a)을 통과한 후 캐리어(567)의 홀(567a)을 통과하며 안내되어 실린더 니들(551) 또는 다이얼 니들(555)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사 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탄성사(E)는 풀리(566)에 의해 안내되어 실린더 니들(551) 또는 다이얼 니들(555)로 공급된다. 이때,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풀리(566)는 탄성사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풀리(566)의 회전축에는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풀리(566)를 고정하는 풀리 지지판(564)은 캐리어(567)의 상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볼트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풀리 지지판(564)에는 관통홀(565)이 형성되어 있어, 풀리(566)의 상하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볼트를 분리하여 관통홀(565)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풀리 지지판(564)의 위치를 조정하거나 또는 각도를 조정하여 풀리(566)의 상하위치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실린더 니들(551) 및 다이얼 니들(555)에 공급되는 탄성사(E)의 상하위치 및 공급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다이얼 캠 조절유닛(560)은 상기 제2 바디(220)에서 상기 다이얼 캠 장착부(5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 캠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다이얼 캠 조절유닛(560)은, 상기 다이얼 캠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좌우조절기(570) 및 상기 다이얼 캠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조절기(5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우조절기(570)는 다이얼 캠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연 타이밍(delay timing) 또는 동기 타이밍(synchronizing timing)을 조절한다. 지연 타이밍은 원사 공급이 실린더 캠에 먼저 공급되고 시간차를 두고 다이얼 캠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단면 스판에 적용된다. 그리고 동기 타이밍은 원사 공급이 실린더 캠과 다이얼 캠에 동시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양면 스판에 적용된다.
이러한 상기 좌우조절기(570)는 제1 게이지(571), 제1 게이지바(573), 제1 대면판(572), 볼트블록(577) 및 조절볼트(574a,57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지(571)는 상기 다이얼 캠 장착부(540)의 상부에 배치된 게이지블록(576)에 고정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지바(573)는 상기 제1 게이지(571)에 연결되며,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게이지바(573)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1 게이지(571)의 압력표시값이 달라진다.
상기 제1 대면판(572)은 상기 센터프레임(250)에 고정된 볼트블록(577)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게이지바(573)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 대면판(572)은 상기 볼트블록(577)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조절볼트(574a,573b)는 상기 볼트블록(577)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고, 조임 정도를 통해 상기 다이얼 캠의 좌우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조절볼트(574a,573b)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면 상기 볼트블록(577)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볼트블록(577)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제1 대면판(572)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대면판(572)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제1 게이지바(573)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게이지(571)의 압력표시값이 변경되게 된다. 사용자는 기 설정된 압력표시값에서 상기 다이얼 캠의 좌우 위치 변경에 따른 압력표시값을 확인하여 상기 다이얼 캠의 좌우 위치 변경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상하조절기(580)는 다이얼 캠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단면 스판 편직시에는 원사의 공급량 및 공급 장력을 조절한다. 또한 양면 스판 편직시에는 탄성사와 원사의 공급량 및 공급 장력을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상하조절기(580)는 제2 게이지(581), 제2 게이지바(583) 및 제2 대면판(58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게이지(581)는 상기 센터프레임(250)에 고정되고,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게이지바(583)는 상기 제2 게이지(581)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게이지바(583)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2 게이지(581)의 압력표시값이 달라진다.
상기 제2 대면판(582)은 상기 다이얼 캠 장착부(54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게이지바(583)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 대면판(582)은 상기 다이얼 캠의 상하 배치에 따라 상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다이얼 캠 장착부(540)의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다이얼 캠의 상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대면판(582)에 접촉되어 있는 상기 제2 게이지바(58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 게이지(581)의 압력표시값이 변경되게 된다. 사용자는 기 설정된 압력표시값에서 상기 다이얼 캠의 상하 위치 변경에 따른 압력표시값을 확인하여 상기 다이얼 캠의 좌우 위치 변경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환편기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환편기
200:장치바디 210:제1 바디
220:제2 바디 221:하부프레임
223:지지프레임 225:상부프레임
230:지지대 240:환풍유닛
250:센터프레임
300:탄성사 공급부 310:탄성사 동력부
330:제1 동력벨트 350:탄성사 공급유닛
351:탄성사 케이싱 353:탄성사 풀리
354a:제1 지지바 354b:제2 지지바
355:기어동력축 355d:제1 회전바
355e:제2 회전바 355f:스플라인홈
355g:스플라인 358:보조대
362,363:간격대 370:제1 이동유닛
371:제1 유압실린더 372:제1 이동홈
373:제1 리니어가이드 375:제1 이동블록
380:간격조절유닛 381:간격모터
382:간격블록 383:간격바
400:원사 공급부 410:원사 동력부
411:제1 단 회전판 412:제2 단 회전판
413:축하우징 414:기어회전축
415:축지지블록 415a:블록플랜지
417:축이동홈 419:축모터
420:제2 이동유닛 421:제2 유압실린더
422:제2 리니어가이드 423:축모터케이싱
425:축로드셀 430:제2 동력벨트
431:보조벨트 450:보조풀리
460:원사 공급유닛 461:제1 단 풀리
462:제2 단 풀리 470:공급롤러
500:편직부 510:실린더 캠유닛
513:실린더 니트캠 514:제1 실린더 미스캠
517:제2 실린더 미스캠 520:다이얼 캠유닛
523:다이얼 니트캠 524:다이얼 미스캠
530:실린더 캠 장착부 540:다이얼 캠 장착부
550:니들유닛 551:실린더 니들
555:다이얼 니들 560:다이얼 캠 조절유닛
570:좌우조절기 580:상하조절기
600:권취부
700:장력조절부 710:조절기 케이싱
720:제1 조절풀리유닛 721:제1 조절풀리
723:제1 풀리블록 724:고정구
730:제2 조절풀리유닛 731:제2 조절풀리
731b:외부풀리바디 731c:내부풀리바디
733:제2 풀리블록 750:풀리이동유닛
751:풀리모터 752:스크류축
754:풀리이동블록 754a:볼베어링
757:풀리이동홈 759:풀리로드셀
E:탄성사 P:원사
X:니들 교체부

Claims (5)

  1. 제1 바디;와 상기 제1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바디와 상기 제2 바디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센터바디;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복수의 단으로 배치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장치바디;
    상기 제2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탄성사와 원사를 편직하는 편직부;
    상기 제1 바디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편직부에서 편직된 직물을 권취하는 권취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편직부로 탄성사를 공급하는 탄성사 공급부; 및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고, 상기 편직부로 원사를 공급하는 원사 공급부;
    를 포함하는 환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사 공급부는,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탄성사 케이싱;과 상기 탄성사 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되는 탄성사 풀리; 및 상기 탄성사 케이싱의 측부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탄성사 풀리에 기어동력축으로 회전되게 연결되며 탄성사 보빈을 지지하며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1,2 지지바;를 포함하는 탄성사 공급유닛;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탄성사 풀리와 제1 동력벨트로 연결되는 탄성사 동력부;
    를 포함하는 환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사 공급부는,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원사 케이싱;과 상기 원사 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2 단 풀리; 및 상기 원사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단 풀리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공급롤러;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원사 공급유닛; 및
    상기 제2 바디의 상부에 장착되는 축하우징;과 상기 축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축모터;와 상기 축모터의 기어에 맞물리는 기어회전축;과 상기 기어회전축에 서로 이격되어 연결되는 제1,2 단 회전판; 및 상기 기어회전축을 지지하는 축지지블록;을 포함하는 원사 동력부;를 포함하되,
    복수개의 상기 제1 단 풀리는 상기 제1 단 회전판 또는 상기 제2 단 회전판에 각각 제2 동력벨트로 연결되고,
    복수개의 상기 제2 단 풀리는 서로 보조벨트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부는,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된 실린더 캠 장착부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실린더 캠;과, 상기 실린더 캠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탄성사와 원사를 편직하는 실린더 니들;을 포함하는 실린더 캠유닛; 및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실린더 캠의 상부에 형성된 다이얼 캠 장착부에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이얼 캠;과, 상기 다이얼 캠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며 탄성사와 원사를 편직하는 다이얼 니들;을 포함하는 다이얼 캠유닛;
    을 포함하는 환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직부는,
    상기 제2 바디에서 상기 다이얼 캠 장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다이얼 캠의 위치를 조절하는 다이얼 캠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다이얼 캠 조절유닛은,
    상기 다이얼 캠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좌우조절기; 및
    상기 다이얼 캠의 상하 위치를 조절하는 상하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조절기는 다이얼 캠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켜 지연 타이밍(delay timing) 또는 동기 타이밍(synchronizing timing)을 조절하되,
    지연 타이밍은 원사 공급이 실린더 캠에 먼저 공급되고 시간차를 두고 다이얼 캠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단면 스판 편직에 적용되고,
    동기 타이밍은 원사 공급이 실린더 캠과 다이얼 캠에 동시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양면 스판 편직에 적용되고,
    상기 상하조절기는 다이얼 캠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되,
    단면 스판 편직시에는 원사의 공급량 및 공급 장력을 조절하고,
    양면 스판 편직시에는 탄성사와 원사의 공급량 및 공급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
KR1020210009248A 2021-01-22 2021-01-22 환편기 KR102461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248A KR102461281B1 (ko) 2021-01-22 2021-01-22 환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9248A KR102461281B1 (ko) 2021-01-22 2021-01-22 환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6382A true KR20220106382A (ko) 2022-07-29
KR102461281B1 KR102461281B1 (ko) 2022-11-01

Family

ID=8260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248A KR102461281B1 (ko) 2021-01-22 2021-01-22 환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2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5658A (zh) * 2022-08-12 2022-09-30 绍兴乙龙科技有限公司 一种纬编机上下通用定位固定装置
CN118007305A (zh) * 2024-04-08 2024-05-10 晋江雄鑫机械有限公司 一种驱动针织大圆机运行的电机传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388A (ja) * 1992-09-03 1994-03-25 Hitachi Ltd 半導体レーザ装置および光送信装置
KR20060110214A (ko) * 2005-04-19 2006-10-24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얀 패키지 이완을 보완하는 탄성사의 환편성 방법 및 장치
KR20140146323A (ko) * 2013-06-17 2014-12-26 주희석 고정 실린더와 회전 캠을 구비한 환편기 및 이에 사용되는 캠 회전장치
KR101772994B1 (ko) * 2016-11-07 2017-09-12 이상용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원단 제작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388A (ja) * 1992-09-03 1994-03-25 Hitachi Ltd 半導体レーザ装置および光送信装置
KR20060110214A (ko) * 2005-04-19 2006-10-24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알.엘 얀 패키지 이완을 보완하는 탄성사의 환편성 방법 및 장치
KR20140146323A (ko) * 2013-06-17 2014-12-26 주희석 고정 실린더와 회전 캠을 구비한 환편기 및 이에 사용되는 캠 회전장치
KR101772994B1 (ko) * 2016-11-07 2017-09-12 이상용 스판덱스를 포함하는 원단 제작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5658A (zh) * 2022-08-12 2022-09-30 绍兴乙龙科技有限公司 一种纬编机上下通用定位固定装置
CN115125658B (zh) * 2022-08-12 2024-01-26 绍兴乙龙科技有限公司 一种纬编机上下通用定位固定装置
CN118007305A (zh) * 2024-04-08 2024-05-10 晋江雄鑫机械有限公司 一种驱动针织大圆机运行的电机传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281B1 (ko) 202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281B1 (ko) 환편기
US551139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stitch length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10451342B (zh) 一种纺织纱线张力控制机构及方法
US3063272A (en) Methods of producing warp knitted fabrics
CN211921845U (zh) 一种经编机用收卷支架
CN111350023B (zh) 一种新型针织设备纺线张力的拉紧装置
KR102460133B1 (ko) 편직물 테이크-다운 및/또는 수거 조립체를 가진 개방 및 폭-가변식 웹 제작을 위한 개방형 환편기
CN206858765U (zh) 一种丝线张紧装置
CN111826796B (zh) 一种圆型提花针织机
CN210048914U (zh) 一种对膜片纱线整经的花轴整经机
JPS63203852A (ja) 丸編み機のシンカ半径方向位置を調節する制御装置
KR102199261B1 (ko) 편성캠 높이조절이 용이한 직물형 환편기
CN221052094U (zh) 一种用于纺织的整经机调节装置
KR100527838B1 (ko) 환편기
CN213389088U (zh) 一种织机经纱线张力调节棒
CN221253430U (zh) 一种高低伸纱线张力控制装置
CN110699814A (zh) 一种适用于功能化纤织物的纱线张力缓冲装置
CN219410099U (zh) 一种预拉伸托盘式自调节张紧机构
JP2527850B2 (ja) シンカ―制御装置
CN219991872U (zh) 双针床贾卡经编机的送经机构
CN220597768U (zh) 一种针织横机上的张紧调节机构
CN219490318U (zh) 用于高速经编机的牵拉机构
CN104947306B (zh) 多轴向经编机
CN216614994U (zh) 一种纺织用可拆卸式整经机
CN211620770U (zh) 一种大圆机的张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