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913A -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913A
KR20220105913A KR1020210008859A KR20210008859A KR20220105913A KR 20220105913 A KR20220105913 A KR 20220105913A KR 1020210008859 A KR1020210008859 A KR 1020210008859A KR 20210008859 A KR20210008859 A KR 20210008859A KR 20220105913 A KR20220105913 A KR 20220105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water bottle
fixing part
bottle hold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305B1 (ko
Inventor
김만석
Original Assignee
김만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석 filed Critical 김만석
Priority to KR1020210008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305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04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bott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2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attaching to, an object, e.g. tree, gate, window-fram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에 물병을 안전하게 거치하고 필요에 따라 쉽게 빼서 마실 수 있도록 한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물병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와, 자전거 핸들바에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걸이부는 지지대의 상,하단에 각각 자전거 핸들에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부와 핸들포스트 또는 자전거프레임의 헤드튜브에 고정하기 위한 하부고정부를 형성하고, 상부고정부는 핸들포스트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의 핸들에 대칭되게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걸고리를 형성하고, 하부고정부는 핸들포스트 또는 자전거프레임의 헤드튜브 외주연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상부고정부를 이용하여 핸들에 고정한 상태에서 수납부에 담긴 물병 무게에 의하여 핸들에 지지되어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자전거 핸들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으면서도 자전거 주행중에 간편하게 음료를 취식할 수 있고, 핸들링이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도 안정적으로 거치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대용량의 물을 거치함에도 불구하고 핸들 조작이 용이하고 장거리 및 장시간 주행을 하더라도 충분한 양의 물을 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Bicycle water bottle holder}
본 발명은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에 물병을 안전하게 거치하고 필요에 따라 쉽게 빼서 마실 수 있도록 한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전거는 현재 취미와 레저활동을 위해 대중에게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고 있으며, 최근에는 속도감을 즐길 수 있는 로드 자전거나 산악용 자전거 등이 일반 동호인이나 입문자도 편안하게 즐기는 자전거로 이용이 확대되면서 즐기는 사람이 늘고 있다.
특히, 장시간 라이딩을 하는 경우에는 지속적인 수분보충이 매우 중요하며, 많은 땀을 흘리고 체온이 올라가기 시작하면 갈증을 느끼게 되는데 물을 마셔도 당장 원래의 컨디션으로 되돌리기 어렵기 때문에 틈틈이 계속 조금씩 물을 마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자전거를 타면서 가장 쉽게 물을 마실 수 있는 방법은 자전거에 물병 거치대를 장착하고 물병을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것으로, 물병을 자전거 프레임에 간편하게 거치해서 자유롭게 물을 마실 수 있게 해준다.
한편,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물병 거치대의 자전거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자전거 프레임(1)의 전,후방에 바퀴(2)가 장착되고, 안장(3)과 핸들(4)이 구비되어 패달(5)을 돌려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며, 자전거 프레임(1) 안쪽에는 물병 거치대(10)가 장착되어 물병이나 페트병 등의 음료용기(이하 '물병'이라고 통칭 함)등을 거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렇게 자전거 프레임(1)에 장착되는 물병 거치대는 거치대의 형태와 휴대하려는 물건의 크기에 따라 잘 고정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물병다리와 다리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주행 중 다리와 마찰되거나 걸리적 거리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물병을 꺼내기가 매우 불편하다.
그리고 핸들축에 조여 고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거치상태가 매우 불안정하고, 심하게 경사진 도로나 높은 과속방지턱이 많은 도로를 주행할 때는 노면의 요철이나 장애물에 의한 충격이 발생함에 따라 거치상태가 비틀어지거나 용기가 빠져버리는 문제가 있으며, 자전거 주행 중 거치대가 고꾸라지거나 음료 용기가 빠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오히려 더 큰 사고를 유발하기 때문에 상당히 위험하다.
또한, 원통형의 용기는 쉽게 수납 보관할 수 있는 반면에, 비정형 구조나 손잡이가 구비되는 용기의 경우에는 수납 보관이 전혀 불가능하거나 주행하는 과정에서 흔들려 빠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들 후방의 빈 공간을 활용하여 자전거 핸들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고, 거치대를 핸들에 경사지게 장착하여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며, 핸들링이나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도 안정적으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로드자전거나 산악자전거 등 자전거 용도나 형태에 따라 분류되는 여러 종류의 자전거에 별도의 공구가 필요없이도 범용적으로 간편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고, 2L의 대형 물병까지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장거리 주행이나 심야주행시에도 지속적인 음료취식이 가능한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물병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와, 자전거 핸들바에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부의 후방에 형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걸이부는 지지대의 상,하단에 각각 자전거 핸들에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부와 핸들포스트 또는 자전거프레임의 헤드튜브에 고정하기 위한 하부고정부를 형성하고, 상부고정부는 핸들포스트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의 핸들에 대칭되게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걸고리를 형성하고, 하부고정부는 핸들포스트 또는 자전거프레임의 헤드튜브 외주연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상부고정부를 이용하여 핸들에 고정한 상태에서 수납부에 담긴 물병 무게에 의하여 핸들샤프트에 지지되어 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부고정부는 수납부와 자전거 핸들 간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게 호환 설치가 가능하도록 지지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대에 의하여 걸고리가 수납부로부터 이격 배치되게 하고, 연장대는 완충기능을 수행하면서 거리 조정이 가능하도록 지지대와 U자형의 굴곡곡면을 이루면서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며, 상기 하부고정부는 안착홈의 양측에 핸들포스트 또는 자전거프레임의 헤드튜브에 고정하기 위하여 외경을 감싸는 형태로 체결부를 형성함으로써 끼움구조로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에 의하면, 자전거 핸들에 간단하게 걸어서 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고정이 매우 간편하고, 핸들부근에 물병이 위치하기 때문에 수납 및 보관이 용이하고 잔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핸들 뒷부분의 빈공간을 활용하여 장착되기 때문에 장거리 주행시 핸들에 거치하는 여러 장비등을 거치하더라도 공간확보가 용이하며, 핸들을 활용하여 거치대의 좌,우 고정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튼튼하게 고정되고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쉽게 빠지지 않고, 핸들축을 중심으로 좌우대칭으로 설치되므로 핸들링시 큰 저항감이 없이 균형잡힌 무게감을 유지할 수 있으며, 심하게 경사진 도로나 높은 과속방지턱이 많은 도로를 주행하더라도 상,하,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자전거 종류나 형태의 제약이 거의 없이 호환성이 매우 높고, 물병의 크기제한 등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물병 수납이 가능하므로 활용도가 매우 높고, 대용량의 2L 물병을 두 개까지 휴대할 수 있으므로 주행자의 하루 소모 음료량을 충분히 충당할 수 있다.
또한, 자건거 이외에도 음료섭취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산업현장에서 바(bar)구조로 이루어지는 구조물이 있다면 간편하게 걸어 고정할 수 있으며, 장거리, 장시간 이동을 하는 상황, 예를 들어 사막에서 낙타 안장에 물병 거치대를 걸어서 음료보관을 하는 용도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병 거치대의 자전거 장착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물병 거치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물병 거치대가 자전거에 장착된 상태도
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물병 거치대가 장착되는 상태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물병 거치대에 물병을 꽂아 사용하는 사용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물병 거치대의 뒷면 구조도
도 12는 본 발명의 물병 거치대의 걸이구조를 나타낸 평면구조도
도 13은 본 발명의 하부 걸이부의 걸림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물병 거치대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물병 거치대의 측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물병 거치대가 자전거에 장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 내지 도 10은 물병 거치대에 물병을 장착해 사용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물병 거치대는 물병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100)와, 그 수납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자전거 핸들바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걸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걸이부(200)는 지지대(220)의 상측에는 상부고정부(240)가 형성되고, 지지대(220)의 하측에는 핸들포스트(4a) 또는 자전거프레임의 헤드튜브(1a) 상단에 지지되는 하부고정부(2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부(100)와 걸이부(200)는 사출성형으로 제작하거나 와이어를 밴딩하여 제작할 수 있고,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작하는 경우 수납부(100)와 걸이부(200)를 일체로 형성하거나 탈착가능하여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와이어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용접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납부(100)는 물병을 담아서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측이 개구된 형태의 케이지(120)가 마련되며, 케이지(120)는 좌,우 양측으로 한 쌍의 케이지가 마련되어 두 개의 물병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두 개의 케이지(120)는 연결대로 서로 연결되어 스탬에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장착된다.
케이지(120)는 와이어로 이루어진 복수의 원형링이 상,하 다단으로 구성되거나 나선형 링 구조로 원통형의 몸체를 구성될 수 있으며, 몸체를 지지하도록 횡방향의 와이어가 용접이나 클립 고정 등에 의한 방식으로 연결 구성될 수 있다.
케이지(120)의 형상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물병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2L의 물병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여 대용량은 물론 작은 물병까지도 수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무게를 경량화하면서도 외부충격에 대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구조로 형성하거나 통공이 형성된 사출물 구조로 바닥과 측벽을 구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공된 부분을 통하여 투시부가 마련되어 케이지(120)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내용물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투명 물병이 케이지(120)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물병에 담겨진 물의 잔량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100)의 후방에는 자전거 핸들에 거치하기 위한 걸이부(200)가 마련된다.
걸이부(200)는 수납부(100)의 후방에 형성되는 지지대(220)와, 지지대(220)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고정부(240) 및 하부고정부(260)를 포함한다.
지지대(220)는 수납부(100)의 측면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쳐 판상 구조 또는 와이어 구조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지지대(220)의 상단에 형성된 상부고정부(240)는 자전거 핸들의 핸들바에 고정되고, 지지대(220)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고정부(260)는 핸들포스트(4a)에 걸어 고정한 상태에서 자전거프레임의 헤드튜브(1a)상단에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220)는 핸들포스트(4a) 상단에 형성된 스탬(4b)이 삽입될 수 있도록 수용부(222)가 형성되어 물병 거치대가 기울어지게 거치된 상태에서 수용부의 양측이 지지되는 것이고, 스탬이 수용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22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고정부(240)는 고리형태로 이루어진 걸고리(242)가 형성되어 좌,우양측으로 펼쳐진 핸들바에 걸어 고정되며, 걸고리(242)는 핸들의 높낮이를 조정하는 축인 핸들포스트(4a)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의 핸들바에 대칭되게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고정부(260)는 원기둥 구조로 이루어지는 핸들포스트(4a)의 외주연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의 안착홈(262)이 형성되어 상부고정부를 이용하여 핸들에 고정한 상태에서 수납부에 담긴 물병 무게에 의하여 핸들샤프트에 지지되어 거치가 이루어진다.
이때, 핸들포스트(4a)가 상부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하부고정부(260)가 핸들포스트(4a)에만 지지될 수 있으며, 핸들포스트(4a)가 하부로 삽입된 상태에서는 하부고정부(260)가 자전거프레임을 구성하는 전방의 헤드튜브(1a) 상단에 지지되어 물병 거치대가 움직임되지 않으며 더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물병 거치대를 핸들 상부로부터 걸고리(242)를 이용하여 걸어서 간단하게 거치가 가능하고, 거치대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부고정부(260)를 기울이면서 들어올림으로써 핸들로부터 걸고리(242)를 분리하여 간단하게 해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핸들 양측의 핸들바와 하부측의 핸들포스트(4a)가 삼각 구조로 지지되기 때문에 거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자전거 주행 중 충격이나 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더라고 거치대가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거나 기울어짐이 없이 안정적인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핸들포스트(4a)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핸들바가 분기되는 구조의 핸들에는 모두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로드 자전거는 물론, 산악자전거 등 다양한 종류의 자전거에 모두 거치가 가능하며, 그 거치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고정부(240)는 핸들바에 거치되는 걸고리(242)가 미끄러지거나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거치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미끄럼 방지부(24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부(243)는 걸고리(242)에 논슬립 기능과 완충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하거나 테이핑방식으로 덧대어 감싸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와이어가 밴딩 구성된 상태에서 만곡된 형상으로 사출 성형된 걸고리(242)의 표면에 탄성재인 튜브체가 덧씌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핸들포스트(4a)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걸고리(242)는 지지대(220)에 의하여 양측의 걸고리가 벌어지지 않고 간격을 유지하면서 좌,우 양측의 간격이 설정되는데, 가장 바람직하게는 핸들포스트(4a)의 직경에 최대한 근접하게 걸고리(242)의 간격을 설정함으로써 상부고정부(240)가 측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부(240)는 수납부(100)와 자전거 핸들 간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게 호환 설치가 가능하도록 지지대(22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대(244)에 의하여 걸고리(242)가 수납부(100)로부터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연장대(244)가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져 수납부(100)의 상단이 핸들로 부터 멀게 장착된 상태에서 기울어져 스탬(4b)을 경유하여 하부고정부(260)가 지지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연장대(244)에 의하여 상부고정부(240)와 하부고정부(260)간 거리조정이 이루어져 물병거치대가 개구된 부분이 자전거의 전방으로 상향되게 기울어지도록 거치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연장대(244)에 의하여 물병 거치대가 자전거에 설치된 상태에서 완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연장대(244)는 걸고리(242)의 높낮이 조정 및 수납부(100)와 자전거 핸들간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지지대(220)와 아치형상의 굴곡곡면을 이루면서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연장대(244)는 지지대(220)와 U자형의 굴곡곡면을 이루도록 만곡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후방측으로 10~30도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수납부의 상단이 자전거 핸들로부터 이격게 위치될 수 있는 것으로, 아치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연장대(244)를 상,하로 구부려서 걸고리(242)의 높낮이 조정 및 수납부(100)와 자전거 핸들간 이격 거리를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하부고정부(260)가 헤드튜브(1a) 상단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수납부(100)와 핸들 간 거리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자전거가 매우 다양한 형태로 핸들이 형성되더라도 그 핸들 형태에 대응하게 변형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호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22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고정부(260)는 안착홈(262)의 양측에 핸들포스트(4a)에 밀착되는 압력에 따라 가변이 이루어지면서 핸들포스트(4a)의 외경에 삽입되거나 인출되게 외경에 걸어 고정하도록 체결부(264)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64)는 집게 형상이나 와이어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좌,우 양측에서 탄성 벌어짐 되어 핸들포스트나 헤드튜브를 끼움으로써 클립 구조로 결합되어 움직임을 제한하고 상,하, 전,후방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262)이 핸들포스트(4a)의 외경에 안착될 수 있도록 그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라운드진 형상으로 내입되게 형성됨으로써 물병 거치대의 하부가 안착되는 것으로, 안착홈(262)의 깊이를 깊게 형성할수록 좌,우 유동을 방지하면서 조임탄성에 의하여 하부고정부(26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안착홈(262)의 깊이는 핸들포스트(4a)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핸들포스트(4a)가 안착홈(262)에 완전히 수용되게 할 수 있으며, 안착홈(262)의 양측에 핸들포스트(4a)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부(264)를 형성하고, 체결부(264) 사이의 간격을 핸들포스트(4a)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게 형성함으로써 체결부(264)에 의하여 끼워 고정함으로써 임시 고정이 이루어지면서 자전거 주행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물병 거치대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고정부(260)는 후방측으로 수평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 보다는 후방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물병 거치대가 기울어지게 장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하부고정부(260)가 핸들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조적으로 완충기능을 갖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지지대(220)로부터 연결되는 밴딩부(266)에 의하여 안착홈(262) 및 체결부(264)가 를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밴딩부(266)에서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밴딩부(266)에서 효율적인 완충기능을 기대하기 위해서는 지지대(220)로부터 30~60°범위에 안착홈(262)과 체결부(264)가 경사지게 위치되도록 밴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안착홈(262)과 체결부(264)의 경사각을 서로 달리하도록 형성하면 경사각이 변형되는 밴딩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20)를 기준으로 체결부(264)의 경사각(∠a)보다 안착홈(262)의 경사각(∠b)을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함으로써 자전거 주행중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하부고정부(260)에서의 겹스프링 구조로 이중 완충 효과를 달성하고 충격이나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262)에는 미끄러지거나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으로 거치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미끄럼 방지부(263)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미끄럼 방지부(263)는 논슬립 기능과 완충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와이어가 밴딩 구성되거나 내입된 형상으로 사출성형된 안착홈(262)의 표면에 탄성재인 튜브체가 덧씌워 구성되거나 테이핑으로 감싸 구성될 수 있고, 특히, 물병을 수납한 상태에서는 물병의 무게와 마찰력으로 인하여 거치대의 들림이 더 방지되고 거치상태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100: 수납부
120: 케이지
200: 걸이부
220: 지지대
240: 상부고정부
242: 걸고리 243: 미끄럼방지부 244: 연장대
260: 하부고정부
262: 안착홈 263: 미끄럼방지부 264: 체결부

Claims (5)

  1. 물병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100)와,
    자전거 핸들바에 거치하기 위하여 상기 수납부(100)의 후방에 형성되는 걸이부(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이부(200)는 지지대(220)의 상,하단에 각각 자전거 핸들에 고정하기 위한 상부고정부(240)와 핸들포스트에 고정하기 위한 하부고정부(260)가 형성되고,
    상부고정부(240)는 핸들포스트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의 핸들에 대칭되게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걸고리(242)가 형성되고,
    하부고정부(260)는 상부고정부(240)로부터 스탬을 감싸면서 핸들포스트의 외주연에 지지될 수 있도록 만곡된 형상의 안착홈(262)이 형성되어 상부고정부를 이용하여 핸들에 고정한 상태에서 수납부에 담긴 물병 무게에 의하여 핸들샤프트에 지지되어 거치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부(240)는 수납부(100)와 자전거 핸들 간 이격된 거리에 대응하게 호환 설치가 가능하도록 지지대(22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대(244)에 의하여 걸고리(242)가 수납부로부터 이격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대(244)는 거치대가 자전거에 설치된 상태에서 완충기능을 수행하고, 걸고리(242)의 높낮이 조정 및 수납부(100)와 자전거 핸들간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도록 지지대(220)와 U자형의 굴곡곡면을 이루면서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2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고정부(260)는 안착홈(262)의 양측에 핸들포스트 또는 자전거프레임의 헤드튜브에 밀착되는 압력에 따라 가변이 이루어지면서 핸들포스트가 삽입되거나 인출되게 외경에 걸어 고정하도록 체결부(26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260)는 자전거 주행중 충격이나 진동에 대한 완충 기능을 위하여 안착홈(262)과 체결부(264)의 경사각을 서로 달리하도록 형성되고, 지지대(220)를 기준으로 체결부(264)의 경사각(∠a)보다 안착홈(262)의 경사각(∠b)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KR1020210008859A 2021-01-21 2021-01-21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KR102621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859A KR102621305B1 (ko) 2021-01-21 2021-01-21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859A KR102621305B1 (ko) 2021-01-21 2021-01-21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913A true KR20220105913A (ko) 2022-07-28
KR102621305B1 KR102621305B1 (ko) 2024-01-05

Family

ID=8260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859A KR102621305B1 (ko) 2021-01-21 2021-01-21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30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4902A (en) * 1986-09-18 1988-07-05 Opfergelt Robert F Beverage caddy for bicycles
JP3143578U (ja) * 2008-03-25 2008-07-31 正人 森川 ドリンクホルダー
US20090033117A1 (en) * 2007-05-18 2009-02-05 James Carpenter Glovebox cover for a motorcycle
US20120104063A1 (en) * 2010-10-27 2012-05-03 Sweigart Todd E Aerodynamic bottle support cage for bicycles
US20160129961A1 (en) * 2009-09-04 2016-05-12 Hed Cycling Products, Inc. Container mount for bicycle aerobar
KR20170090320A (ko) * 2016-01-28 2017-08-07 김상호 휴대용 자전거 우산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578B2 (ja) 1995-08-02 2001-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4902A (en) * 1986-09-18 1988-07-05 Opfergelt Robert F Beverage caddy for bicycles
US20090033117A1 (en) * 2007-05-18 2009-02-05 James Carpenter Glovebox cover for a motorcycle
JP3143578U (ja) * 2008-03-25 2008-07-31 正人 森川 ドリンクホルダー
US20160129961A1 (en) * 2009-09-04 2016-05-12 Hed Cycling Products, Inc. Container mount for bicycle aerobar
US20120104063A1 (en) * 2010-10-27 2012-05-03 Sweigart Todd E Aerodynamic bottle support cage for bicycles
KR20170090320A (ko) * 2016-01-28 2017-08-07 김상호 휴대용 자전거 우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305B1 (ko)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45353B2 (en) Portable shopping cart beverage carrier
US4176770A (en) Motorcycle canteen
US8777075B2 (en) Combination hydration, nutrition, and pack apparatus for a bicycle
US8602278B2 (en) Aerodynamic bottle support cage for bicycles
US4366922A (en) Bottle and holder assembly
US8286530B2 (en) Bicycle handle assembly
US6527153B1 (en) Combination cooler and beach chair holder for a bicycle
US20140217256A1 (en) Cup carrying device
CN211672857U (zh) 方便结合瓶体之挂钩
KR20220105913A (ko)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US20110233222A1 (en) Vehicle frame with accessory holder
JP2018504308A (ja) 自転車フレーム、電動自転車及びエネルギー蓄積装置
EP4001076A1 (en) Set suspension hooks for attaching a crate to a tubular object
WO2014055291A2 (en) Container and support assembly
US8950642B2 (en) Multi-position beverage container carrier for bicycles
CN101497358B (zh) 摩托车的装载设备
WO2012150612A1 (en) A multi- purpose article fastener for motorcycle
US8177078B2 (en) Eyeglasses retainer for handle bars
JP3153241U (ja) ボトルケージ
US6045021A (en) Article carrier for bicycles with centrally suspended hook
KR200460361Y1 (ko) 보틀 케이지
JP2007276519A (ja) 自転車
CN217753956U (zh) 一种把立挂件安装结构
CN217730679U (zh) 一种带缓震的车把
FR3123303A3 (fr) Dispositif de porte bagage avant apte à recevoir un sac à dos en position vertic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