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361Y1 - 보틀 케이지 - Google Patents

보틀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361Y1
KR200460361Y1 KR2020100004233U KR20100004233U KR200460361Y1 KR 200460361 Y1 KR200460361 Y1 KR 200460361Y1 KR 2020100004233 U KR2020100004233 U KR 2020100004233U KR 20100004233 U KR20100004233 U KR 20100004233U KR 200460361 Y1 KR200460361 Y1 KR 2004603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pet bottle
upper clamp
cage
p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831U (ko
Inventor
타케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지케이 가부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지케이 가부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지케이 가부토
Priority to KR2020100004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361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8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8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3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3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62J11/04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for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2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 B62J9/22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between the main frame tubes, e.g. suspended from the top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시판 음료용의 페트 보틀의 유지 및 착탈이 가능하며, 익숙하지 않은 일반 운전자도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저비용으로 가능한 보틀 케이지를 제공한다.
페트 보틀(3)의 바닥부(16)를 전후에서 협지하는 상태로 하여 상하 방향에서 착탈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하측 후크부(6)와, 페트 보틀(3)의 머리부(21)를 좌우에서 협지한다. 또, 전후 방향에서 착탈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상측 클램프부(7)와, 이들 하측 후크부(6)와 상측 클램프부(7)를 페트 보틀(3)의 높이에 맞춘 거리로 연결하는 기간부(5)와, 이 기간부(5)의 이면측에서 페트 보틀(3)의 높이 방향으로 병행된 오목 레일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자전거 프레임과 끼워맞출 수 있게 되어 있는 부착 배부와, 기간부(5)의 좌우 양측에서 페트 보틀(3)의 양 옆을 향하여 뻗어나와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가드부(8)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보틀 케이지{BOTTLE CAGE}
본 고안은 자전거에 부착되는 보틀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프레임에 보틀(수통)을 착탈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장착시키기 위한 보틀 케이지는 공지이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나 2 등을 참조). 이러한 종류의 보틀 케이지는 본래 로드 레이스 등의 자전거 경기나 트라이애슬론 경기 등의 대회에 참가할 때의 소위 스포츠 바이크에서 사용하는 것으로서 개발된 것이 발단이다. 따라서, 주행중의 수분 보급을 위해서 휴대하는 보틀이 바이크에 승차하는 선수를 방해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주행 진동으로 덜컥거리거나 빠지거나 하지 않으며, 게다가 필요에 따라 간단 또한 신속히 착탈할 수 있는 구조(형상)로 해 두는 것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보틀 케이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보틀은 용량이나 외형상 등이 규격화된 경기 전용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예를 들어 입 대는 부분의 구조에는 주행중 보틀을 한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입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연구되고 있기도 하며, 이와 같은 보틀에서는 보틀 네크부가 굵고, 보틀 전체적으로 대략 원통 형상(바닥부로부터 머리부까지 외경이 대략 일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5-30588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7-302241호 공보
최근에는 일반인이 사용하는 것 같은 시판 자전거라도 유행(패션성)이나 상품 차별화의 일환으로서 보틀 케이지를 장착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류의 자전거에서는 상품 가격의 고등화(고급품화)를 피할 필요가 있고, 또 사용상의 편리함이나 범용성을 가지게 하는 의미에서, 경기 전용의 보틀이 아니라, 시판 음료용의 페트 보틀을 착탈할 수 있는 구조(형상)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판 음료용의 페트 보틀은 경기 전용의 보틀에 비해 소직경이며, 또 외형상이 전혀 통일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스포츠 바이크용의 보틀 케이지로 유지할 수 없는 것은 주지이다. 이러한 점에서 시판 음료용의 페트 보틀을 유지할 수 있는 시판 자전거용의 보틀 케이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시판 자전거에서 이러한 종류의 보틀 케이지를 사용하는 경우, 익숙하지 않은 일반의 운전자에게 있어 보틀 케이지에 유지한 페트 보틀에 손이나 발이 부주의하게 부딪치는 일이 빈발할 것이 예측된다. 그 때문에 손이나 발이 부주의하게 부딪쳤을 때에 보틀 케이지로부터 페트 보틀이 빠지지 않도록 고려하면서도, 페트 보틀을 꺼낼 때에는 간단히 착탈할 수 있도록 해 두는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판 음료용의 페트 보틀의 유지 및 착탈이 가능하며, 익숙하지 않은 일반의 운전자도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저비용으로 할 수 있도록 한 보틀 케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다음 수단을 강구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보틀 케이지는 페트 보틀의 바닥부를 전후에서 협지하는 상태로 하여 상하 방향에서 착탈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하측 후크부와, 페트 보틀의 머리부를 좌우에서 협지하는 상태로 하여 전후 방향에서 착탈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상측 클램프부와, 이들 하측 후크부와 상측 클램프부를 페트 보틀의 높이에 맞춘 거리로 연결하는 기간부(基幹部)와, 이 기간부의 이면측에서 페트 보틀의 높이 방향으로 병행된 오목 레일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자전거 프레임과 끼워맞출 수 있게 되어 있는 부착 배부(背部)와, 기간부의 좌우 양측에서 페트 보틀의 양 옆을 향하여 뻗어나와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가드부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틀 케이지는 페트 보틀의 바닥부와 머리부를 하측 후크부와 상측 클램프부에서 협지 형상으로 함으로써 페트 보틀을 유지하는 구성이므로, 시판 음료용의 페트 보틀의 유지 및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현재 시판 음료용의 페트 보틀은 외형적인 통일은 이루어져 있지 않지만(보틀 디자인으로서 원통형, 각통형, 표주박형 등 다양한 것이 있음), 용량마다 보틀 높이나 가장 굵은 단면 부분에서의 외접원의 직경 등에 대해서는 대략 공통되어 있다.
또 캡(마개)의 외경이나 캡을 잠궜을 때에 있어서의 보틀 바닥으로부터 캡까지의 장착 높이도 대략 공통되어 있어, 이것에 기인하여 캡을 장착하는 입구부나 보틀 네크부의 외경 등도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보틀 케이지는 좌우 한 쌍의 가드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틀 케이지에서 유지한 페트 보틀의 가로방향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손이나 발이 페트 보틀에 부주의하게 부딪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운전자도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틀 케이지는 하측 후크부, 상측 클램프부, 기간부, 부착 배부 및 좌우의 가드부가 수지에 의해 일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저비용화가 가능해지고, 시판 자전거용의 보틀 케이지로서 적합하다.
좌우 한 쌍의 가드부는 하측 후크부와 상측 클램프부에서 유지되는 페트 보틀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대응시켜 돌출량이 최대가 되는 꼭대기부를 형성시키고 있음과 아울러, 이 꼭대기부로부터 적어도 상측 클램프부에 근접하는 부위에서는 돌출 높이를 작게 함으로써 페트 보틀의 상부에 가까운 좌우 양면에 대응시켜 파지용 공간을 형성 가능하게 된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페트 보틀의 착탈을 용이 또한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좌우 한 쌍의 가드부는 상기 꼭대기부가 페트 보틀의 보틀 중심축을 넘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보틀 케이지에서 유지한 페트 보틀의 가로방향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손이나 발이 페트 보틀에 부주의하게 부딪치는 것을 한층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측 클램프부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편을 가지고 이들 양 클램프편 사이에서 페트 보틀의 머리부를 협지하는 협지구(挾持口)를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들 양 클램프편을 지지하는 근본 위치의 중심부에는 페트 보틀의 머리부에 장착되는 캡과 이 캡 장착 위치를 향하여 좁혀진 보틀 네크부의 어느 쪽에도 상기 협지구의 내경을 적합하게 하기 위해, 양 클램프편에 상대 근접 이반 방향의 탄성 허용량을 발생시키는 세로 슬릿부가 형성된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페트 보틀의 사이즈나 외형상이 상이한 경우나, 페트 보틀에 남는 음료의 양의 많고 적음에 따라, 상측 클램프에서 협지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그만큼 범용성, 편리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보틀 케이지는 시판 음료용의 페트 보틀의 유지 및 착탈이 가능해지고, 익숙하지 않은 일반 운전자도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 저비용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틀 케이지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틀 케이지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보틀 케이지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자전거에 대한 장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틀 케이지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측면도(페트 보틀의 유지 위치를 상이하게 한 상황)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보틀 케이지(1)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이 보틀 케이지(1)를 자전거(2)의 프레임(다운 튜브)(2a)에 장착한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또한, 페트 보틀(3)로는 용량 500ml이며 각통(8각형 형상)인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보틀 케이지(1)는 페트 보틀(3)의 높이 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맞추도록 하여 설치되는 기간부(5)와, 이 기간부(5)의 하단측에 설치된 하측 후크부(6)와, 기간부(5)의 상단측에 설치된 상측 클램프부(7)와, 기간부(5)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가드부(8)를 가지고 있다.
기간부(5)의 이면측에는 부착 배부(9)가 설치되어 있고, 이 부착 배부(9)를 자전거 프레임(2a)에 맞닿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기간부(5), 하측 후크부(6), 상측 클램프부(7), 좌우의 가드부(8) 및 부착 배부(9)는 예를 들어 ABS나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적당한 수지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다.
하측 후크부(6)는 기간부(5)의 하단부로부터 전방(페트 보틀(3)을 유지하는 측)을 향하여 절곡 형상으로 돌출되는 바닥부 가드(12)와, 이 바닥부 가드(12)의 돌출 전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절곡 형상으로 돌출되는 정면 가드(13)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 가드(12)는 재질적인 특성, 및 기간부(5)로부터 돌출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조에 의한 특성으로서, 기간부(5)에 가까운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가요성과 이 가요성에 대한 탄성 복원성이 발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측 후크부(6)는 이와 같은 바닥부 가드(12)의 특성을 이용하여, 정면 가드(13)로 페트 보틀(3)의 바닥부(16)를 기간부(5)의 정면으로 누름 가압하고, 페트 보틀(3)의 바닥부(16)를 전후에서 협지할 수 있다. 이 때, 페트 보틀(3)의 외형상이나 외경이 다양하게 상이하다고 해도, 어느 쪽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은 하측 후크부(6)에 대해서 페트 보틀(3)을 착탈하기 위해서는 페트 보틀(3)을 상하 방향으로 상승 하강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정면 가드(13)의 선단부는 손가락을 걸기 쉽게 하고, 또한 페트 보틀(3)의 바닥부(16)의 착탈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정면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다소 절곡되고, 또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바닥부 가드(12)가 페트 보틀(3)의 굵기보다 다소 소직경이 될 정도의 원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바닥부 가드(12)의 하방으로부터 페트 보틀(3)의 바닥부(16)를 향하여 자전거를 타는 사람의 신체나 짐 등이 접촉하는 것을 가급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보틀 케이지(1)로부터 페트 보틀(3)이 뜻하지 않게 빠져나가 버리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닥부 가드(12)와 정면 가드(13)의 연결 부분(절곡 부분)에는 이들 양자에 걸치도록 하여 긴구멍 형상의 투과공(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투과공(17)에 의해 약간이지만 바닥부 가드(12)에 대한 정면 가드(13)의 가요성이나 이 가요성 에 대한 탄성 복원성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페트 보틀(3)의 바닥부 협지력이나 착탈 용이성을 높임에 있어서 유익하게 되어 있다.
또 이 투과공(17)을 형성함으로써 재료 사용량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어, 보틀 케이지(1) 전체적으로 경량화나 저비용화으로 연결되는 이점도 있다.
상측 클램프부(7)는 기간부(5)의 상단으로부터 비스듬히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지지로드(19)와, 이 지지로드(19)의 상단부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편(20)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양 클램프편(20)은 각각 평면에서 보아 반원의 활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 양 클램프편(20) 상호간에서, 페트 보틀(3)의 머리부(21)를 협지하기 위한 협지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로드(19)에는 양 클램프편(20)의 근본 위치가 되는 중심부를 하방을 향하게 하여 세로 슬릿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양 클램프편(20)에는 상대 근접 이반 방향의 탄성이 발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측 클램프부(7)에 대해서 페트 보틀(3)을 착탈하기 위해서는, 페트 보틀(3)을 전후 방향으로 밀고 당김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각 클램프편(20)의 선단부는 손가락을 걸기 쉽게 하고, 또한 페트 보틀(3)의 머리부(21)의 착탈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해서, 협지구(22)의 직경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다소 절곡되고, 또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페트 보틀(3)의 머리부(21)는 음용시에 보틀 입구부로부터 착탈하는 캡(25)과, 이 캡(25)의 장착 위치(보틀 입구부)를 향하여 좁혀진 보틀 네크부(26)를 가진 것으로 해 둔다.
또 대부분의 페트 보틀(3)에서는 캡(25)의 개봉 이력을 분명히 하기 위한 버진링(27)이 캡(25)에 부속되어 있다. 이 버진링(27)은 캡(25)의 개봉후에도 보틀 네크부(26) 둘레에 잔존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버진링(27)도 페트 보틀(3)의 머리부(21)의 일부로서 포함시킬 수 있다.
세로 슬릿부(23)의 슬릿 폭이나 길이는 양 클램프편(20)에 부여되는 탄성 허용량이 협지구(22)의 내경을 페트 보틀(3)의 머리부(21) 중, 캡(25), 보틀 네크부(26) 또는 버진링(27)의 어느 쪽에도 적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이 상측 클램프부(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틀 네크부(26)를 좌우의 클램프편(20)으로 좌우에서 협지하는 사용법으로 해도 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진링(27)을 좌우의 클램프편(20)으로 좌우에서 협지하는 사용법으로 해도 된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가능하면) 캡(25)을 좌우의 클램프편(20)으로 좌우에서 협지하는 사용법으로 해도 된다.
그 때문에 페트 보틀(3)의 사이즈나 외형상이 상이한 경우나, 페트 보틀(3)에 남는 음료의 양의 많고 적음에 따라, 상측 클램프부(7)로 협지하는 위치를 선택할 수 있고, 그만큼 범용성, 편리성이 높아진다.
가드부(8)는 기간부(5)의 하단부 근방과 상단부 근방의 상하 2개소에서 이 기간부(5)와 접속되고, 전방이며 또한 좌우 바깥쪽을 지향하도록 비스듬한 방향으로 아치형을 형성하도록 뻗어나와 형성되어 있다.
가드부(8)가 형성하는 아치형에 있어서, 기간부(5)로부터의 돌출량이 최대가 되는 꼭대기부(30)는 하측 후크부(6)와 상측 클램프부(7)로 유지되는 페트 보틀(3)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대응시키고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꼭대기부(30)는 페트 보틀(3)의 보틀 중심축(P)을 넘을 정도로 충분한 돌출량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어, 보틀 케이지(1)에서 페트 보틀(3)이 유지되었을 때, 이 페트 보틀(3)의 가로방향 흔들림을 방지함과 아울러, 손이나 발이 페트 보틀에 부주의하게 부딪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가드부(8)는 아치형이기 때문에, 이 꼭대기부(30)로부터 상측 클램프부(7)를 향하여 근접하면 할수록 돌출 높이는 작아지고 있고, 이 부분에 페트 보틀(3)의 상부에 가까운 좌우 양면을 좌우 바깥쪽으로 노출시키는 공간(31)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공간(31)은 보틀 케이지(1)에 대해서 페트 보틀(3)을 착탈할 때에 파지용의 스페이스로서 이용 가능하다.
또한, 가드부(8)는 아치형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꼭대기부(30)로부터 하측 후크부(6)를 향하여 근접하면 할수록 돌출 높이는 작아지고 있고, 이 부분에도 페트 보틀(3)의 하부에 가까운 좌우 양면을 좌우 바깥쪽으로 노출시키는 공간(32)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공간(32)도 필요하면 (가능하면) 페트 보틀(3)을 파지하기 위한 스페이스로서 이용해도 된다.
가드부(8)는 아치형을 채용함에 따라 이들 상하의 공간(31, 32)을 형성할 수 있고, 그 결과, 보틀 케이지(1) 전체적으로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 외관적인 스마트감이나 스피드감 등을 자아내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아치형의 내부를 더욱 파내어 큰 가로방향 개구부(35)를 형성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경량화를 한층 더 촉진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재료 사용량의 억제로부터 저비용화로 연결되는 이점도 있다.
기간부(5)는 이들 하측 후크부(6)와 상측 클램프부(7)를 페트 보틀(3)의 높이에 맞춘 거리로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간부(5)에 대해서 그 이측에 설치된 부착 배부(9)는 특히 상하 방향의 위치나 길이 등이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또 이들 기간부(5)와 부착 배부(9)는 서로 표리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그들이 두께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된 것도 아니다.
부착 배부(9)는 자전거 프레임(2a)에 대해서 기간부(5)를 덜컥거리지 않는 확실한 장착 상태로 하기 위한 부분이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트 보틀(3)의 높이 방향으로 병행된 오목 레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자전거 프레임(2a)과 끼워맞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기간부(5) 및 부착 배부(9)의 쌍방을 표리 관통하는 상태에서, 자전거 프레임(2a)에 고정하는 장착 나사용 구멍(37)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용 구멍(37)은 보틀 케이지(1)에 대해서 높이 방향의 위치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긴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틀 케이지(1)는 페트 보틀(3)의 바닥부(16)와 머리부(21)를 하측 후크부(6)와 상측 클램프부(7)로 협지 형상으로 함으로써 페트 보틀(3)을 유지하는 구성이므로, 다양한 외형이 존재하는 시판 음료용의 페트 보틀(3)이라도, 그들을 확실히 유지하고,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고안에 따른 보틀 케이지(1)에서는 유지한 페트 보틀(3)에 손이나 발이 부주의하게 부딪치는 것을 좌우 한 쌍의 가드부(8)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운전자도 불편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타〕
본 고안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형태에 따라 적당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간부(5), 하측 후크부(6), 상측 클램프부(7), 좌우의 가드부(8) 및 부착 배부(9)의 각각에 대해서 형성 소재나 형상(디자인적인 것), 사이즈(유지 가능한 페트 보틀(3)의 용량) 등은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자전거(2)에 대한 장착 위치는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보틀 케이지는 자전거용으로 적합하지만, 자전거 이외의 것에 적용할 수도 있다.
1…보틀 케이지
2a…자전거 프레임
3…페트 보틀
5…기간부
6…하측 후크부
7…상측 클램프부
8…가드부
9…부착 배부
16…바닥부
21…머리부
22…협지구
23…세로 슬릿부
25…캡
26…보틀 네크부
30…꼭대기부
31…공간
P…보틀 중심축

Claims (5)

  1. 페트 보틀(3)의 바닥부(16)를 전후에서 협지하는 상태로 하여 상하 방향에서 착탈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하측 후크부(6)와, 페트 보틀(3)의 머리부(21)를 좌우에서 협지하는 상태로 하여 전후 방향에서 착탈이 자유롭게 유지하는 상측 클램프부(7)와, 이들 하측 후크부(6)와 상측 클램프부(7)를 페트 보틀(3)의 높이에 맞춘 거리로 연결하는 기간부(5)와, 이 기간부(5)의 이면측에서 페트 보틀(3)의 높이 방향으로 병행된 오목 레일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자전거 프레임(2a)과 끼워맞출 수 있게 되어 있는 부착 배부(9)와, 기간부(5)의 좌우 양측에서 페트 보틀(3)의 양 옆을 향하여 뻗어나와 형성된 좌우 한 쌍의 가드부(8)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케이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후크부(6), 상측 클램프부(7), 기간부(5), 부착 배부(9) 및 좌우의 가드부(8)가 수지에 의해 일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케이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가드부(8)는 하측 후크부(6)와 상측 클램프부(7)로 유지되는 페트 보틀(3)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대응시켜 돌출량이 최대가 되는 꼭대기부(30)를 형성시키고 있음과 아울러, 이 꼭대기부(30)로부터 적어도 상측 클램프부(7)에 근접하는 부위에서는 돌출 높이를 작게 함으로써 페트 보틀(3)의 상부에 가까운 좌우 양면에 대응시켜 파지용 공간(31)을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케이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 쌍의 가드부(8)는 상기 꼭대기부(30)가 페트 보틀(3)의 보틀 중심축(P)을 넘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케이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클램프부(7)는 좌우 한 쌍의 클램프편(20)을 가지고 이들 양 클램프편(20) 사이에서 페트 보틀(3)의 머리부(21)를 협지하는 협지구(22)를 형성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들 양 클램프편(20)을 지지하는 근본 위치의 중심부에는 양 클램프편(20)에 상대 근접 이반 방향의 탄성을 허용하는 세로 슬릿부(2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 케이지.
KR2020100004233U 2009-06-17 2010-04-22 보틀 케이지 KR2004603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233U KR200460361Y1 (ko) 2009-06-17 2010-04-22 보틀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09-004134 2009-06-17
KR2020100004233U KR200460361Y1 (ko) 2009-06-17 2010-04-22 보틀 케이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831U KR20100012831U (ko) 2010-12-27
KR200460361Y1 true KR200460361Y1 (ko) 2012-05-21

Family

ID=4448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233U KR200460361Y1 (ko) 2009-06-17 2010-04-22 보틀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36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3563A1 (en) * 2016-01-12 2017-07-20 Record Jason Multi-directional self-directing holster and clip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5047U (ko) 1977-09-02 1979-03-28
JPH05305887A (ja) * 1991-06-25 1993-11-19 Cannondale Corp 自転車用水筒ケージ
JPH06206585A (ja) * 1993-01-11 1994-07-26 Osamu Nagaoka 自転車用工具保持装置
JP2007302241A (ja) 2007-07-02 2007-11-22 Koji Uno 自転車用ボトルケー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5047U (ko) 1977-09-02 1979-03-28
JPH05305887A (ja) * 1991-06-25 1993-11-19 Cannondale Corp 自転車用水筒ケージ
JPH06206585A (ja) * 1993-01-11 1994-07-26 Osamu Nagaoka 自転車用工具保持装置
JP2007302241A (ja) 2007-07-02 2007-11-22 Koji Uno 自転車用ボトルケ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831U (ko) 2010-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9632A (en) Rotatable water bottle holder
EP0824442B1 (en) Fluid-container and mount therefor
US8602278B2 (en) Aerodynamic bottle support cage for bicycles
US8448971B2 (en) Seat anti-theft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NL2016435B1 (en) Bottle structure
EP2303674A1 (en) Bottle and holder
EP2128007B1 (en) Motorcycle
KR200460361Y1 (ko) 보틀 케이지
US20160368554A1 (en) Bicycle saddle for enduro and downhill cycling
US20110233222A1 (en) Vehicle frame with accessory holder
JP3153241U (ja) ボトルケージ
US20110049206A1 (en) Tie-able securing device for bicycle
KR101605679B1 (ko) 세발 자전거
JP5841919B2 (ja) 鞍乗り型車両の後部構造
US8177078B2 (en) Eyeglasses retainer for handle bars
KR102621305B1 (ko) 자전거용 물병 거치대
US747449A (en) Bicycle-support.
US9457858B2 (en) Mounted child bicycle seat assembly
US475174A (en) Fred e
US20210394853A1 (en) Pressurized Liquid Reservoir Vessel for Bicycle
JP2019051891A (ja) 鞍乗型車両
US20150274236A1 (en) Bicycle provided with a reflective surface and use of a reflective surface
KR200488162Y1 (ko) 자전거용 안경 거치대
JP4525234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盗難防止具保持装置
US560187A (en) Maurice 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