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861A - 수술용 쉐이버 - Google Patents

수술용 쉐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861A
KR20220105861A KR1020210008737A KR20210008737A KR20220105861A KR 20220105861 A KR20220105861 A KR 20220105861A KR 1020210008737 A KR1020210008737 A KR 1020210008737A KR 20210008737 A KR20210008737 A KR 20210008737A KR 20220105861 A KR20220105861 A KR 20220105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wire
shaver
tube
kno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994B1 (ko
Inventor
박철민
승성민
최종균
정세미
박충환
송태하
김상호
우영재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21000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99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04Surgical cutting instruments abra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24Morcellators, e.g. having a hollow cutting tube with an annular cutter for morcellating and removing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32Details of the rotating or oscillating shaft, e.g. using a flexible shaf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Pregnancy & Childbirth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를 포함하며 손잡이를 제공하는 핸드 피스와, 와이어 및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조향 노브를 포함하며 핸드 피스에 체결되는 조향 조작부와, 단부에 조향 튜브를 구비하는 외측 튜브, 외측 튜브 내부에 삽입되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샤프트 및 회전 샤프트 일단에 체결되는 커팅 팁을 포함하며 조향 조작부에 체결되는 쉐이버 샤프트를 포함하고, 조향 튜브는 와이어에 연결되며 조향 노브의 조작에 의해 조향되는 수술용 쉐이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술용 쉐이버{SURGICAL SHAVER}
본 발명은 수술용 쉐이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 및 회전 가능한 수술용 쉐이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 수술은 인체를 크게 절개하지 않고 작은 구멍을 통해 카메라가 설치된 내시경과 수술 도구(예컨대, 쉐이버(shaver))를 삽입하여 내시경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해 환자의 환부를 살피면서 수술을 진행하는 것이다.
복강경 수술에서부터 시작된 이러한 내시경 수술은 개복 수술에 비하여 절개 부위가 작기 때문에 흉터도 작고 출혈도 적어 수술 환자의 회복 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개복 수술이 필요한 거의 모든 수술에 대하여 내시경 수술이 가능할 정도로 기술이 발전하였을 뿐만 아니라 다른 의료 분야에서도 내시경 수술을 적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내시경 수술은 자궁 내 근종 제거 수술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병변 조직 예컨대, 자궁 내 근종을 제거하기 위해 수술용 쉐이버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수술용 쉐이버는, 수술 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제공하는 핸드 피스와, 핸드 피스에 체결되는 쉐이버 샤프트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핸드 피스 내부에는 모터가 내장되어 있으며, 쉐이버 샤프트는 모터의 회전 축과 연결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쉐이버 샤프트 일단에는 커팅 팁이 체결되어 있어, 커팅 팁이 쉐이버 샤프트와 함께 회전함에 따라 병변 조직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술용 쉐이버는 쉐이버 샤프트가 직선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커팅 팁이 제거하고자 하는 병변 조직에 도달하지 못하는 곡선형의 사각 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팅 팁을 병변 조직에 도달시키기 위해 과도한 정상 조직 손상 가능성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7712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쉐이버 샤프트 단부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병변 조직 제거를 수행할 수 있는 수술용 쉐이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쉐이버 샤프트의 조향 튜브를 통해 커팅 팁을 병변 조직에 도달시킴으로써, 수술 시 과도한 정상 조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술용 쉐이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터를 포함하며 손잡이를 제공하는 핸드 피스와,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조향 노브를 포함하며 핸드 피스에 체결되는 조향 조작부와, 단부에 조향 튜브를 구비하는 외측 튜브, 외측 튜브 내부에 삽입되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샤프트 및 회전 샤프트 일단에 체결되는 커팅 팁을 포함하며 조향 조작부에 체결되는 쉐이버 샤프트를 포함하고, 조향 튜브는 와이어에 연결되며 조향 노브의 조작에 의해 조향되는 수술용 쉐이버를 제공한다.
여기서, 회전 샤프트는, 조향 튜브에 삽입되며,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유연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향 조작부는, 일단이 조향 조작부 내에서 고정되며 타단이 와이어에 연결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는, 일단이 조향 튜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조향 노브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와, 일단이 조향 튜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탄성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향 조작부는, 제1 와이어가 체결되며 제1 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1 풀리와, 제2 와이어가 체결되며 제2 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2 풀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향 튜브는, 조향 노브가 제1 와이어를 감으면 벤딩되고, 조향 노브가 제1 와이어를 풀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제2 와이어는, 조향 튜브가 벤딩되면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조향 튜브 측으로 이동하고, 조향 튜브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 탄성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조향 조작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조향 튜브는, 조향 노브가 와이어를 감는 정도에 따라 벤딩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조향 튜브는, 유연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벤딩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조향 조작부는, 조향 노브가 조작된 후 조향 노브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향 노브는, 제1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홀 및 스토퍼가 통과되는 제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기둥부와, 제1 기둥부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향 조작부는, 쉐이버 샤프트 및 와이어를 수용하며, 내부에 제1 기둥부의 타단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을 덮으며, 상부면에 제1 기둥부가 통과되는 제2 관통홀 및 일 측면에 스토퍼가 통과되는 제3 관통홀을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는, 제3 관통홀 및 제1 관통홀을 통과하는 제2 기둥부와, 제2 기둥부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머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버는, 타 측면 내부에 제2 기둥부 타단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조향 노브는, 제2 기둥부가 제3 관통홀 및 제1 관통홀을 통과한 후, 그 타단이 제2 수용부에 수용되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쉐이버 샤프트의 단부에 조향 튜브 및 와이어을 이용한 벤딩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쉐이버 샤프트 단부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병변 조직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팅 팁이 제거하고자 하는 병변 조직에 도달하지 못하는 곡선형의 사각 지대가 발생한 경우, 쉐이버 샤프트의 조향 튜브를 통해 커팅 팁을 병변 조직에 도달시킴으로써, 수술 시 과도한 정상 조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의 조향 튜브 및 조향 조작부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의 조향 튜브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의 조향 조작부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에 있어서, 조향 튜브가 직선형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에 있어서, 조향 튜브를 조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에 있어서, 조향 튜브가 벤딩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의 조향 튜브 및 조향 조작부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의 조향 튜브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의 조향 조작부의 분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는, 쉐이버 샤프트(100), 조향 조작부(200) 및 핸드 피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핸드 피스(300)는, 수술 시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제공하며, 그 내부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에는 모터를 구동 또는 정지 시키기 위한 버튼 또는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조향 조작부(200)는, 핸드 피스(300)에 체결되거나 핸드 피스(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230)와, 와이어(230)를 감거나 푸는 조향 노브(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쉐이버 샤프트(100)는, 조향 조작부(200) 및 핸드 피스(300)에 체결될 수 있으며, 핸드 피스(300)의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쉐이버 샤프트(100)는, 외측 튜브(150), 회전 샤프트(140) 및 커팅 팁(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측 튜브(150)는 단부에 조향 튜브(15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조향 튜브(151)는 유연한(flexible)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벤딩(bending)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슬릿(151a)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외측 튜브(150) 중 조향 튜브(151)를 제외한 부분은 인체에 무해하며 강직한(inflexible)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향 튜브(151)는 외측 튜브(150) 단부에 결합되거나 외측 튜브(1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향 튜브(151)는, 와이어(2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조향 노브(210)의 조작에 의해 조향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40)는, 외측 튜브(150) 내부에 삽입되며, 핸드 피스(300)의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샤프트(140)는 조향 튜브(151)에 삽입되며, 유연한(flexible) 소재로 이루어지는 유연 샤프트(14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연 샤프트(141)는 회전 샤프트(140) 단부에 결합되거나 회전 샤프트(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연 샤프트(141)는 회전 샤프트(140) 회전 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회전 샤프트(140) 중 유연 샤프트(141)를 제외한 부분은 강직한(inflexible)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팅 팁(120)은 회전 샤프트(140) 일단 더 구체적으로 유연 샤프트(141) 일단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커팅 팁(120)은, 구형 연마구 또는 구형 블레이드(blade)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병변 조직을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연 샤프트(141)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향 튜브(151) 내부에 삽입된 유연 샤프트(141)는 조향 튜브(151)의 형상 변화에 대응하여 그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조향 튜브(151)는 병변 조직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벤딩(bending)될 수 있다.
또한, 조향 튜브(151)는 조향 노브(210)가 와이어(230)를 감는 정도에 따라 벤딩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는, 회전 샤프트(1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유연 샤프트(141) 일단 및 조향 튜브(151) 일단 사이에 제1 베어링(131)이 구비되고, 유연 샤프트(141) 타단 및 조향 튜브(151) 타단 사이에 제2 베어링(13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에 있어서, 조향 튜브가 직선형인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에 있어서, 조향 튜브를 조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에 있어서, 조향 튜브가 벤딩된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향 조작부(200)는, 일단이 조향 조작부(200) 내에서 고정되며 타단이 와이어(230)에 연결되는 탄성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230)는, 일단이 조향 튜브(151)에 연결되고 타단이 조향 노브(210)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231)와, 일단이 조향 튜브(151)에 연결되고 타단이 탄성부(240)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2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향 노브(210)에 연결된 제1 와이어(231)는 외측 튜브(150) 및 조향 튜브(151)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조향 튜브(151) 내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240)에 연결된 제2 와이어(232)는 외측 튜브(150) 및 조향 튜브(151)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어 조향 튜브(151) 내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측 튜브(150) 및 조향 튜브(151) 내부에 위치한 제1 와이어(231) 및 제2 와이어(232)는 회전 샤프트(140) 및 유연 샤프트(141)를 사이에 두고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조향 조작부(200)는, 제1 와이어(231)가 체결되며 제1 와이어(231)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1 풀리(206, 207)와, 제2 와이어(232)가 체결되며 제2 와이어(232)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2 풀리(208, 20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향 튜브(151)는, 조향 노브(210)가 제1 와이어(231)를 감으면 벤딩되고, 조향 노브(210)가 제1 와이어(231)를 풀면 원래 형상(예컨대, 직선형)으로 복원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와이어(232)는 제1 와이어(231) 함께 조향 튜브(15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와이어(231)가 조향 노브(210)에 감겨 조향 튜브(151)가 벤딩되면, 그 반작용으로 제2 와이어(232)는 탄성부(240)의 탄성력에 의해 조향 튜브(15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와이어(231)가 조향 노브(210)에서 풀려 조향 튜브(151)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 그 반작용으로 탄성부(2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조향 조작부(2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조향 조작부(200)는, 조향 노브(210)가 조작된 후 즉, 조향 튜브(151)가 벤딩된 후 조향 노브(210)를 고정하는 스토퍼(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향 노브(210)는 제1 기둥부(212) 및 제1 머리부(2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둥부(212)는 제1 와이어(231)가 고정되는 고정홀(213) 및 스토퍼(260)가 통과되는 제1 관통홀(214)을 구비할 수 있고, 제1 머리부(211)는 제1 기둥부(212)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통홀(214)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관통홀(214)은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조향 조작부(200)는 하우징(201) 및 커버(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01)은, 쉐이버 샤프트(100)의 일부 및 와이어(230)를 수용하며 내부에 조향 노브(210)의 제1 기둥부(212)의 타단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홈(25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커버(202)는, 하우징(201)을 덮으며, 상부면에 조향 노브(210)의 제1 기둥부(212)가 통과되는 제2 관통홀(251)과, 일 측면에 스토퍼(260)가 통과되는 제3 관통홀(271)을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260)는 제2 기둥부(261) 및 제2 머리부(2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기둥부(261)는, 커버(202)에 구비된 제3 관통홀(271)과, 조향 노브(210)의 제1 기둥부(212)에 구비된 제1 관통홀(214)을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머리부(262)는 제2 기둥부(261)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202)는, 타 측면 내부에 스토퍼(260)의 제2 기둥부(261) 타단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272)를 구비할 수 있고, 조향 노브(210)는 스터퍼(260)의 제2 기둥부(261)가 커버(202)에 구비된 제3 관통홀(271)과 조향 노브(210)의 제1 기둥부(212)에 구비된 제1 관통홀(214)을 통과한 후, 그 타단이 제2 수용부(272)에 수용되면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조향 노브(210)는, 제1 기둥부(212)가 커버(202)에 구비된 제2 관통홀(251)에 삽입되며, 제1 머리부(211)가 제2 관통홀(251)에 걸려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조향 노브(210)의 제1 기둥부(212) 타단은 하우징(201) 내부에 구비된 제1 수용홈(252)에 수용될 수 있다.
스토퍼(260)는, 제2 기둥부(261)가 커버(202)에 구비된 제3 관통홀(271)과 조향 노브(210)에 구비된 제1 관통홀(214)에 삽입되며, 제2 머리부(262)가 제3 관통홀(271)에 걸려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260)의 제2 기둥부(261) 타단은 커버(202) 내측면에 구비된 제2 수용홈(272)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조향 노브(210)는 제1 와이어(231)를 감지 않은 상태 즉, 조향 튜브(151) 및 유연 샤프트(141)가 직선형인 상태에서 스토퍼(260)에 의해 고정되며, 유연 샤프트(141)는 핸드 피스(300)의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연 샤프트(141) 단부에 체결되는 커팅 팁(120)의 회전에 의해 병변 조직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는, 직선형의 조향 튜브(151)로 커팅 팁(120)이 제거하고자 하는 병변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경우, 조향 노브(210)가 제1 와이어(231)를 풀어 조향 튜브(151)를 직선형으로 만든 후, 스토퍼(260)가 조향 노브(210)를 고정시켜 커팅 팁(120)을 병변 조직에 도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와이어(232)는 탄성부(2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조향 조작부(2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는, 직선형의 조향 튜브(151)로 커팅 팁(120)이 제거하고자 하는 병변 조직에 도달하지 못하는 곡선형의 사각 지대가 발생한 경우, 조향 노브(210)가 제1 와이어(231)를 감아 조향 튜브(151)를 벤딩시킨 후 스토퍼(260)가 조향 노브(210)를 고정시켜 커팅 팁(120)을 병변 조직에 도달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술용 쉐이버를 이용해 수술 시 과도한 정상 조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외부로 노출된 스토퍼(260)의 제2 머리부(262)를 이용해 스토퍼(260)의 제2 기둥부(261)를 조향 노브(210)에 구비된 제1 관통홀(214)에서 제거한다. 이에 따라, 조향 노브(210)는 조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외부로 노출된 조향 노브(210)의 제1 머리부(211)를 회전하여 제1 와이어(231)를 조향 노브(210)의 제1 기둥부(212)에 감는다. 이에 따라, 제1 와이어(231)에 연결된 조향 튜브(151)는 벤딩되며, 조향 튜브(151)에 삽입된 유연 샤프트(141)도 함께 벤딩된다.
여기서, 제2 와이어(232)는 제1 와이어(231) 함께 조향 튜브(15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와이어(231)가 조향 노브(210)에 감겨 조향 튜브(151)가 벤딩되면, 그 반작용으로 제2 와이어(232)는 탄성부(240)의 탄성력에 의해 조향 튜브(151) 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스토퍼(260)는, 제2 기둥부(261)가 조향 노브(210)에 구비된 제1 관통홀(214)에 삽입되며, 제2 머리부(262)가 제3 관통홀(271)에 걸려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스토퍼(260)의 제2 기둥부(261) 타단은 커버(202) 내측면에 구비된 제2 수용홈(272)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조향 노브(210)는 고정된 상태가 된다. 즉, 조향 노브(210)는 제1 와이어(231)를 감은 상태에서 즉, 조향 튜브(151)가 벤딩된 상태에서 스토퍼(260)에 의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유연 샤프트(141)도 벤딩되고, 벤딩된 유연 샤프트(141)는 핸드 피스(300)의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병변 조직에 도달하지 못하는 곡선형의 사각 지대가 발생하더라도, 유연 샤프트(141)를 병변 조직에 도달시켜 유연 샤프트(141) 단부에 체결되는 커팅 팁(120)의 회전에 의해 병변 조직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술용 쉐이버는, 쉐이버 샤프트(100)의 단부에 조향 튜브(151) 및 와이어(230)을 이용한 벤딩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쉐이버 샤프트(100) 단부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병변 조직 제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쉐이버 샤프트
120: 커팅 팁
140: 회전 샤프트
150: 외측 튜브
151: 조향 튜브
200: 조향 조작부
210: 조향 노브
230: 와이어
300: 핸드 피스

Claims (15)

  1. 모터를 포함하며, 손잡이를 제공하는 핸드 피스;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조향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 피스에 체결되는 조향 조작부; 및
    단부에 조향 튜브를 구비하는 외측 튜브, 상기 외측 튜브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 일단에 체결되는 커팅 팁을 포함하며, 상기 조향 조작부에 체결되는 쉐이버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향 튜브는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조향 노브의 조작에 의해 조향되는
    수술용 쉐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는
    상기 조향 튜브에 삽입되며,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유연 샤프트를 포함하는
    수술용 쉐이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부는
    일단이 상기 조향 조작부 내에서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수술용 쉐이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조향 튜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조향 노브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및
    일단이 상기 조향 튜브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탄성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는
    수술용 쉐이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부는
    상기 제1 와이어가 체결되며 상기 제1 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1 풀리; 및
    상기 제2 와이어가 체결되며 상기 제2 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2 풀리를 더 포함하는
    수술용 쉐이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튜브는
    상기 조향 노브가 상기 제1 와이어를 감으면 벤딩되고, 상기 조향 노브가 상기 제1 와이어를 풀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는
    수술용 쉐이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는
    상기 조향 튜브가 벤딩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조향 튜브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조향 튜브가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면 상기 탄성부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조향 조작부 측으로 이동하는
    수술용 쉐이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튜브는
    상기 조향 노브가 상기 와이어를 감는 정도에 따라 벤딩 각도가 조절되는
    수술용 쉐이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튜브는
    유연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벤딩 가능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는
    수술용 쉐이버.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부는
    상기 조향 노브가 조작된 후 상기 조향 노브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수술용 쉐이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노브는
    상기 제1 와이어가 고정되는 고정홀 및 상기 스토퍼가 통과되는 제1 관통홀을 구비하는 제1 기둥부; 및
    상기 제1 기둥부 일단에 연결되는 제1 머리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쉐이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부는
    상기 쉐이버 샤프트 및 와이어를 수용하며, 내부에 상기 제1 기둥부의 타단을 수용하는 제1 수용홈을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덮으며, 상부면에 상기 제1 기둥부가 통과되는 제2 관통홀 및 일 측면에 상기 스토퍼가 통과되는 제3 관통홀을 구비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수술용 쉐이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제3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을 통과하는 제2 기둥부; 및
    상기 제2 기둥부 일단에 연결되는 제2 머리부를 포함하는
    수술용 쉐이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타 측면 내부에 상기 제2 기둥부 타단을 수용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수술용 쉐이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노브는
    상기 제2 기둥부가 상기 제3 관통홀 및 상기 제1 관통홀을 통과한 후, 그 타단이 상기 제2 수용부에 수용되면 고정되는
    수술용 쉐이버.
KR1020210008737A 2021-01-21 2021-01-21 수술용 쉐이버 KR102560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737A KR102560994B1 (ko) 2021-01-21 2021-01-21 수술용 쉐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737A KR102560994B1 (ko) 2021-01-21 2021-01-21 수술용 쉐이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861A true KR20220105861A (ko) 2022-07-28
KR102560994B1 KR102560994B1 (ko) 2023-07-27

Family

ID=82607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737A KR102560994B1 (ko) 2021-01-21 2021-01-21 수술용 쉐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99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9436A (ja) * 2011-08-25 2014-11-13 アンドコントロルEndocontrol 係合解除可能なハンドル付きの手術器具
KR20150082243A (ko) * 2012-11-02 2015-07-15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의료 기기를 위한 자가 길항적 구동
KR101860906B1 (ko) * 2017-03-14 2018-05-24 (주)엠케어코리아 가이드 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KR200487712Y1 (ko) 2018-06-19 2018-10-24 김주원 수술용 쉐이버
EP3375478B1 (en) * 2017-03-14 2019-07-03 Greatbatch Ltd. Steerable medical device
KR20200054691A (ko) * 2018-11-12 2020-05-20 한국과학기술원 수술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29436A (ja) * 2011-08-25 2014-11-13 アンドコントロルEndocontrol 係合解除可能なハンドル付きの手術器具
KR20150082243A (ko) * 2012-11-02 2015-07-15 인튜어티브 서지컬 오퍼레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의료 기기를 위한 자가 길항적 구동
KR101860906B1 (ko) * 2017-03-14 2018-05-24 (주)엠케어코리아 가이드 와이어 및 이를 포함하는 연성 카테터
EP3375478B1 (en) * 2017-03-14 2019-07-03 Greatbatch Ltd. Steerable medical device
KR200487712Y1 (ko) 2018-06-19 2018-10-24 김주원 수술용 쉐이버
KR20200054691A (ko) * 2018-11-12 2020-05-20 한국과학기술원 수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994B1 (ko) 2023-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7326B2 (en) Link systems and articulation mechanisms for remote manipulation of surgical or diagnostic tools
EP1955659B1 (en) Articulating mechanisms and link systems with torque transmission in remote manipulation of instruments and tools
EP3170462B1 (en) Articulating ultrasonic surgical instruments and systems
US20060201130A1 (en) Articulating mechanisms with joint assembly and manual handle for remote manipulation of instruments and tools
JP2008173472A (ja) 医療装置、内視鏡用処置具、及び内視鏡装置
WO2016047265A1 (ja) 内視鏡用湾曲管及びこの内視鏡用湾曲管を具備した内視鏡
KR101855110B1 (ko) 의료용 스네어
CN114010320B (zh) 一种柔性手术器械控制装置及内镜手术机器人系统
KR20220105861A (ko) 수술용 쉐이버
JP6824958B2 (ja) 制御アセンブリを含む医療装置
JP3539124B2 (ja) アングル機構付トラカール
JPH0397431A (ja) 内視鏡装置
KR101878466B1 (ko) 보호 튜브를 구비한 최소 침습 수술 기구
KR102378609B1 (ko)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KR102364670B1 (ko) 수술용 머니퓰레이터
CN210204860U (zh) 一种内镜操作器械
KR102638012B1 (ko) 수술용 머니퓰레이터
JP2005073760A (ja) 内視鏡
JP5802866B2 (ja) 挿入装置
KR102629508B1 (ko) 수술용 쉐이버 샤프트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쉐이버
JP3432884B2 (ja) 内視鏡
JP5167949B2 (ja) 内視鏡用高周波処置具
JP6602580B2 (ja) 内視鏡システム
CN215384587U (zh) 刀头可偏转的等离子体手术电极
KR101215839B1 (ko) 수술용 인스트루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