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8609B1 -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8609B1
KR102378609B1 KR1020200151857A KR20200151857A KR102378609B1 KR 102378609 B1 KR102378609 B1 KR 102378609B1 KR 1020200151857 A KR1020200151857 A KR 1020200151857A KR 20200151857 A KR20200151857 A KR 20200151857A KR 102378609 B1 KR102378609 B1 KR 102378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steering
insertion tube
segments
endoscope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기
문영진
현재호
오정민
이관희
최재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200151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8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8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11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 A61B1/00016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signal transmission using wireless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31Accessories for end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6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motor drive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1Guiding arrangements theref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5Splash shields for protection of the surgeon, e.g. splash guards connected to the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는 내시경 삽입관 또는 내시경 케이블이 인출입하며, 피시술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시경 삽입관이 권취 또는 귄취해제되는 권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Endoscope mask and endoscop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시경 시술시, 피시술자의 구강 또는 전비공에 발생하는 공간을 커버할 수 있는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Endocope)은 내장 장기 또는 체강 내부를 직접 볼 수 있게 만든 의료기구 중 하나이다. 즉, 내시경은 수술 또는 부검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을 확인하기 어려운 장기를 관찰할 수 있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내시경의 종류는 크게 경성 내시경(Rigid endoscope), 연성 내시경(Flexible endoscope)으로 분류된다. 경성 내시경은 딱딱한 소재의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내시경이고, 연성 내시경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굴곡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내시경이다. 이에 따라 경성 내시경은 카메라가 내장된 장치의 말단을 구부릴 수가 없으므로 카메라의 전방에서 확보되는 영상만 획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연성 내시경은 카메라가 내장된 장치의 말단을 구부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카메라의 전방에 한정되지 않고 좌우 방향에 위치한 굴곡진 부분의 영상까지 획득할 수 있다.
한편, 내시경 시술시, 환자의 구강 또는 전비공에 공간이 발생하며, 이러한 공간을 통해 가래, 침 등이 세어 나오거나 비말이 흡입되는 경우, 비말 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77936호(2014. 03. 1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시경 시술시, 피시술자의 구강 또는 전비공에 발생하는 공간을 커버함으로써, 비말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는 내시경 삽입관 또는 내시경 케이블이 인출입하며, 피시술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시경 삽입관이 권취 또는 귄취해제되는 권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일면이 개구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시경 삽입관 또는 상기 내시경 케이블이 인출입하는 인출입공을 갖는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인출입공의 하부로부터 피시술자의 안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인출입공에 인출입되는 상기 내시경 삽입관 또는 상기 내시경 케이블을 지지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인출입공으로부터 상기 케이스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권취부는 상기 제2연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시경 삽입관의 복수의 제1세그먼트가 권취 또는 귄취해제되는 권취 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시경 삽입관의 이동을 조향하는 조향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는 상기 제2연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향 풀리; 및 상기 내시경 삽입관의 복수의 제2세그먼트에 관통되고 상기 조향 풀리에 권취 또는 귄취해제되어 복수의 상기 제2세그먼트의 이동을 조향하는 조향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휴대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부는 상기 슬롯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롯에 결합되면, 상기 휴대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권취 풀리를 회동시키는 권취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는, 상기 슬롯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롯에 결합되면, 상기 휴대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향 풀리를 회동시키는 조향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인출입공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내시경 케이블과 상기 조향 와이어가 관통되는 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 본체는 피시술자의 안면의 전면적에 걸쳐서 밀착되도록 곡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피시술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마스크; 상기 마스크 본체에 인출입되며, 피시술자의 구강 또는 전비공에 삽입되는 내시경 삽입관; 상기 내시경 삽입관의 말단에 장착되는 촬영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 인출입되며, 상기 촬영부에 결합되는 내시경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시경 삽입관이 권취 또는 귄취해제되는 권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지지부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시경 삽입관이 권취 또는 귄취해제되는 권취 풀리; 및 상기 지지부의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권취 풀리를 회동시키는 권취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내시경 삽입관은 직렬로 연결되어 다관절을 형성하며 상기 권취 풀리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복수의 제1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세그먼트는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인접하는 다른 제1세그먼트와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단부; 및 한 쌍의 상기 접촉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축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경사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시경 삽입관은 복수의 상기 제1세그먼트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시경 삽입관은 복수의 상기 제1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이어지고,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다관절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상기 제2세그먼트의 이동을 조향하는 조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향부는 상기 지지부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향 풀리; 복수의 상기 제2세그먼트에 관통되고 상기 조향 풀리에 권취 또는 귄취해제되어 복수의 상기 제2세그먼트의 이동을 조향하는 조향 와이어; 및 상기 지지부의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조향 풀리를 회동시키는 조향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시경 삽입관의 움직임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내시경 삽입관의 움직임 조작에 의해 상기 권취부와 상기 조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는 내시경 시술시, 환자의 구강 또는 전비공에 발생하는 공간을 커버함으로써, 비말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내시경 삽입관의 움직임을 능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의 베이스, 권취부 및 조향부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의 케이스, 권취 모터 및 조향 모터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가 거치대에 거치된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가 벽면에 고정된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제1세그먼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연결 와이어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내시경 삽입관이 마스크 본체에 인출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플랜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조향 와이어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제2세그먼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복수의 제2세그먼트의 움직임에 의한 굴곡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내시경 삽입관의 말단이 조향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휴대용 단말기와 제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의 베이스(220), 권취부(230) 및 조향부(240)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의 케이스(210), 권취 모터(232) 및 조향 모터(243)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는 마스크 본체(100) 및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마스크 본체(100)는 피시술자의 코윤곽을 3D 데이터로 스캔하고, 3D 프린터가 피시술자의 코윤곽을 스캔한 3D데이터를 가공 및 출력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00)는 내시경 시술시, 환자의 구강 또는 전비공에 발생하는 공간을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마스크 본체(100)는 내시경 삽입관(300) 또는 내시경 케이블(미도시)이 인출입하며, 피시술자의 안면에 착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마스크 본체(100)는 피시술자의 얼굴을 감싸는 밴드를 통해 피시술자의 안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내시경 시술시, 마스크 본체(100)를 통해 환자의 구강 또는 전비공에 발생하는 공간을 커버함으로써, 비말 감염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00)는 피시술자의 안면의 전면적에 걸쳐서 밀착되도록 곡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 본체(100)는 피시술자의 구강 주변 및 전비공 주변을 커버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마스크 본체(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부(200)는 케이스(210), 베이스(220), 권취부(230) 및 조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부(200)도 3D 프린터를 통해 제작될 수 있다.
케이스(210)는 권취부(230)와 조향부(240)를 수납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스(210)의 일면은 개구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210)의 개구된 일면에는 베이스(22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케이스(210)의 개구된 일면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220)의 일면에는 케이스(210)의 돌기에 끼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됨으로써, 케이스(210) 및 베이스(22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210)의 타면에는 휴대용 배터리(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슬롯(211)이 마련될 수 있다. 슬롯(211)에는 휴대용 배터리(2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슬롯(211)에는 후술할 권취 모터(232) 및 조향 모터(243)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슬롯(211)은 케이스(210)의 타면 상부 및 타면 하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210)의 타면 상부에 결합되는 슬롯(211)에는 권취 모터(232)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케이스(210)의 타면 하부에 결합되는 슬롯(211)에는 조향 모터(243)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 케이스(210)의 타면 하부에 결합되는 슬롯(211)과 조향 모터(243)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20)는 케이스(210)의 개구된 일면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베이스(220)는 케이스(210)의 개구된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시경 삽입관(300) 또는 내시경 케이블(미도시)이 인출입하는 인출입공(221)을 갖는다. 이러한 인출입공(221)은 베이스(22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20)는 인출입공(221)으로부터 피시술자의 안면을 향하여 연장된 제1연장부(222)와, 인출입공(221)으로부터 케이스(210)를 향하여 연장된 복수의 제2연장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연장부(222)는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출입공(221)에 인출입되는 내시경 삽입관(300) 또는 내시경 케이블(미도시)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연장부(222)의 상면에는 내시경 케이블(미도시)의 인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222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 케이블(미도시)이 안내홈(222a)을 따라 인출입됨에 따라, 내시경 케이블(미도시)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제2연장부(223)는 인출입공(221)으로부터 케이스(210)를 향하여 연장된다. 여기서, 인출입공(22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연장부(223)에는 후술할 권취 풀리(23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인출입공(221)의 좌측, 우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연장부(223)에는 각각 후술할 복수의 조향 풀리(24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권취 풀리(231)의 양측이 각각 서로 평행한 한 쌍의 제2연장부(223)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권취 풀리(231)의 내시경 삽입관(300) 권취 또는 권취 해제시, 권취 풀리(231)의 편향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220)는 슬리브(2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리브(224)는 인출입공(221)의 하부에 마련되고, 내시경 케이블(미도시)과 조향 와이어(242)가 통과할 수 있다. 예를들면, 슬리브(224)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부(230)는 내시경 삽입관(300)을 권취 또는 권취 해제하여 내시경 삽입관(300)의 인출입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권취부(230)는 권취 풀리(231) 및 권취 모터(232)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 풀리(231)는 인출입공(22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연장부(22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권취 풀리(231)의 외주면에는 내시경 삽입관(300)의 후술할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다. 예를들어, 권취 풀리(231)에서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가 권취 해제되면, 내시경 삽입관(300)은 피시술자의 안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진할 수 있다. 또한, 권취 풀리(231)에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가 권취되면, 내시경 삽입관(300)은 피시술자의 안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2실시예에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권취 풀리(231)는 후술할 권취 모터(232)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권취 모터(232)는 권취 풀리(231)를 회동시켜서, 권취 풀리(231)에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권취 모터(232)는 슬롯(2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예를들면, 권취 모터(232)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1끼움 패널(233) 사이에 슬롯(211)이 억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끼움 패널(233)에는 한 쌍의 제1관통홀(233a)이 형성되고, 슬롯(211)은 한 쌍의 제1관통홀(233a)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그루브(211a)를 가지며, 제1끼움 패널(233)의 제1관통홀(233a)과 슬롯(211)의 그루브(211a)에 고정핀(260)이 관통됨에 따라, 권취 모터(232)가 슬롯(211)에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권취 모터(232)가 슬롯(211)에 결합되면, 권취 모터(232)는 슬롯(211)의 커넥터를 매개로 휴대용 배터리(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권취 모터(232)는 휴대용 배터리(25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통해 권취 풀리(231)를 회동시킬 수 있다.
조향부(240)는 내시경 삽입관(300)의 이동을 조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권취부(230)는 조향 풀리(241), 조향 와이어(242) 및 조향 모터(24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풀리(241)는 인출입공(221)의 좌측, 우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연장부(223) 중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조향 풀리(241)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조향 와이어(242)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 될 수 있다.
한편, 조향 풀리(241)는 후술할 조향 모터(243)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조향 와이어(242)는 내시경 삽입관(300)의 이동을 조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향 와이어(242)의 일측은 내시경 삽입관(300)의 후술할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에 관통되고, 조향 와이어(242)의 타측은 조향 풀리(241)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된다. 나아가, 조향 와이어(242)의 타측이 조향 풀리(241)에 권취되면, 내시경 삽입관(300)은 피시술자의 안면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혀질 수 있다. 또한, 조향 와이어(242)의 타측이 조향 풀리(241)에 권취 해제되면, 내시경 삽입관(300)은 피시술자의 안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2실시예에 후술하기로 한다.
조향 모터(243)는 조향 풀리(241)를 회동시켜서, 조향 풀리(241)에 조향 와이어(242)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 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조향 모터(243)는 슬롯(2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예를들면, 조향 모터(243)의 양측에 마련되는 한 쌍의 제2끼움 패널(244) 사이에 슬롯(211)이 억지 끼움 결합 될 수 있다. 한편, 제2끼움 패널(244)에는 한 쌍의 제2관통홀(244a)이 형성되고, 슬롯(211)은 한 쌍의 제2관통홀(244a)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그루브(211a)를 가지며, 제2끼움 패널(244)의 제2관통홀(244a)과 슬롯(211)의 그루브(211a)에 고정핀(260)이 관통됨에 따라, 조향 모터(243)가 슬롯(211)에 고정될 수 있다.
나아가, 조향 모터(243)가 슬롯(211)에 결합되면, 조향 모터(243)는 슬롯(211)의 커넥터를 매개로 휴대용 배터리(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향 모터(243)는 휴대용 배터리(25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통해 조향 풀리(241)를 회동시킬 수 있다.
도 7a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가 거치대에 거치된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는 거치대(10)에 분리 가능하게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가 용이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가 벽면에 고정된 사용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는 벽면(2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피시술자는 내시경 마스크가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 벽면(20)을 갖는 제1공간에 위치시키고, 시술자는 피시술자와 분리된 제2공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내시경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는 내시경 시술시, 환자의 구강 또는 전비공에 발생하는 공간을 커버함으로써, 비말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제1세그먼트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연결 와이어를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내시경 삽입관이 마스크 본체에 인출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플랜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조향 와이어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제2세그먼트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복수의 제2세그먼트의 움직임에 의한 굴곡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8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내시경 삽입관의 말단이 조향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의 휴대용 단말기와 제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내시경용 마스크, 내시경 삽입관(300), 촬영부(미도시) 및 내시경 케이블(미도시)을 포함한다.
내시경용 마스크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스크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내시경 삽입관(300)은 마스크 본체(100)의 인출입공(221)에 인출입되는 것으로,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 및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는 권취부(230)에 의해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됨으로써, 내시경 삽입관(300)의 전후진에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는 조향부(230)에 의해 권취 또는 권취 해제됨으로써, 내시경 삽입관(300)의 말단의 이동 조향에 활용될 수 있는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는 직렬로 연결되어 다관절을 형성하며, 권취 풀리(231)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될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1세그먼트(31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1세그먼트(310)는 상부에 부분적으로 원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하부가 부분적으로 절개된 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U형태의 삽입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1세그먼트(310)의 삽입공간에는 내시경 케이블(미도시)과 조향 와이어(242)가 삽입될 수 있다. (도 15 참조) 그러므로, 제1세그먼트(310)의 삽입공간에 삽입된 내시경 케이블(미도시)과 조향 와이어(242)를 배출할 경우, 제1세그먼트(310)를 간편하게 들어올려서, 내시경 케이블(미도시)과 조향 와이어(242)를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제1세그먼트(310)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1세그먼트(310)는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인접하는 다른 제1세그먼트(310)와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단부(312) 및 한 쌍의 접촉단부(312)를 연결하는 가상축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한 쌍 이상의 경사부(313a, 313b)를 가질 수 있다.
도 10(b)를 기준으로, 경사부(313a, 313b)는 한 쌍의 접촉단부(312)를 연결하는 가상축선의 상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경사부(313a)와, 한 쌍의 접촉단부(312)를 연결하는 가상축선의 하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경사부(313b)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경사부(313a)는 상측으로 갈수록 제1세그먼트(310)의 중심축선과의 거리가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2경사부(313b)는 하측으로 갈수록 제1세그먼트(310)의 중심축선과의 거리가 좁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권취부(230)에 의해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가 권취 또는 권취 해제 될 경우, 서로 이웃하는 제1세그먼트(310)의 제1경사부(313a) 또는 서로 이웃하는 제1세그먼트(310)의 제2경사부(313b) 사이의 공간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서로 이웃하는 제1세그먼트(310) 간에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는 연결 와이어(330)를 통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와이어(330)는 각각의 제1세그먼트(31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제1와이어 홀(311)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와이어(330)는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 중 마지막 제1세그먼트(310)의 제1와이어 홀(311)에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결 와이어(330)와 제1와이어 홀(311)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권취 모터(232)가 권취 풀리(231)를 정회전시켜서, 권취 풀리(231)에서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가 권취 해제되면, 내시경 삽입관(300)은 피시술자의 안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전진할 수 있다. 여기서, 권취 풀리(231)의 정회전 방향은 도 1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권취 모터(232)가 권취 풀리(231)를 역회전시켜서, 권취 풀리(231)에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가 권취되면, 내시경 삽입관(300)은 피시술자의 안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할 수 있다. 여기서, 권취 풀리(231)의 역회전 방향은 도 13를 기준으로 역시계 방향일 수 있다.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는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 중 적어도 하나에 이어지는데, 예를들면,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 중 처음 제2세그먼트(320)가 복수의 제1세그먼트(310) 중 마지막 제1세그먼트(310)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는 직렬로 연결되어 다관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세그먼트(310)와 제2세그먼트(320)는 플랜지(34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플랜지(340)의 외주면에는 연결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340)와 제1세그먼트(310)는 연결홀(341)과 제1와이어 홀(311)를 관통하는 연결 와이어(33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예로, 플랜지(34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천공홀(34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340)와 제2세그먼트(320)는 천공홀(342)과 제2와이어 홀(321)를 관통하는 조향 와이어(242)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는 조향 와이어(242)를 통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조향 와이어(242)는 각각의 제2세그먼트(32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제2와이어 홀(321)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조향 와이어(242)는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 중 마지막 제2세그먼트(320)의 제2와이어 홀(321)에만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는 상부와 하부의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가 직렬로 연결될 때,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가 면대면으로 완벽히 밀착되지 않고 일부가 이격되고,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 간의 이격공간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는 형태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는 서로 이웃하는 제2세그먼트(320)와 연동하여 회전운동함으로써,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 간의 이격공간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일예로, 각각의 제2세그먼트(320)는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제2와이어 홀(321)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조향 와이어(242)의 일측은 각각 복수의 제2와이어 홀(321)에 결합되고, 복수의 조향 와이어(242)의 타측은 각각 복수의 조향 모터(243)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조향 모터(243)에 의해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와이어 홀(321)에 결합된 조향 와이어(242)가 당겨질 경우, 내시경 삽입관(300)의 말단은 상측으로 조향될 수 있다. (도 18 참조)
또한, 복수의 조향 모터(243)에 의해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와이어 홀(321)에 결합된 조향 와이어(242)가 당겨질 경우, 내시경 삽입관(300)의 말단은 하측으로 조향될 수 있다. (도 19 참조)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조향 모터(243)에 의해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의 좌측부에 위치하는 제2와이어 홀(321)에 결합된 조향 와이어(242)가 당겨질 경우, 내시경 삽입관(300)의 말단은 좌측으로 조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조향 모터(243)에 의해 복수의 제2세그먼트(320)의 우측부에 위치하는 제2와이어 홀(321)에 결합된 조향 와이어(242)가 당겨질 경우, 내시경 삽입관(300)의 말단은 좌측으로 조향될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며, 복수의 조향 모터(243)에 의해 내시경 삽입관(300)의 말단이 조향되는 방향은 특별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촬영부(미도시)는 내시경 삽입관(300)의 말단에 결합되며, 피시술자의 인체 내부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내시경 삽입관(300)이 전진하는 경우, 촬영부(미도시)는 인체 내부에 삽입하거나 근접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다시 참조하면, 내시경 삽입관(300)이 후진하는 경우, 촬영부(미도시)는 인체 내부에서 배출되거나 원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7을 다시 참조하면, 내시경 삽입관(300)의 말단이 상측으로 조향되는 경우, 촬영부(미도시)는 내시경 삽입관(300)의 말단의 상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도 18을 다시 참조하면, 내시경 삽입관(300)의 말단이 하측으로 조향되는 경우, 촬영부(미도시)는 내시경 삽입관(300)의 말단의 하측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방수 기능을 갖는 카메라나, 카메라를 밀봉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시경 시술시, 체액으로부터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촬영부(미도시)는 인체 내부를 밝히기 위한 광원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전기 배선(미도시)을 통해 인체 내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500)는 인체 내부를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내시경 케이블(미도시)은 마스크 본체(100)의 인출입공(221)을 통해 인출될 수 있으며, 촬영부(미도시)에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시경 케이블(미도시)은 제1세그먼트(310)의 내부의 삽입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제1세그먼트(310)를 들어올려서, 제1세그먼트(310)의 내부의 삽입공간에서 간편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400)는 내시경 삽입관(300)의 움직임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410)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면, 휴대용 단말기(400)는 스마트폰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제어부(500)는 휴대용 단말기(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휴대용 단말기(400)의 인터페이스(410)를 통한 내시경 삽입관(300)의 움직임 조작에 의해 권취부(230)와 조향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휴대용 단말기(400)의 인터페이스(410)를 통한 내시경 삽입관(300)의 움직임 조작에 의해 권취부(230)의 권취 모터(232)와, 조향부(240)의 조향 모터(243)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어부(500)는 케이스(21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400)의 화면에는 휴대용 단말기(400)에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내시경 삽입관(300)의 능동적인 움직임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410)와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술자는 내시경 삽입관(300)의 움직임 조작과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보다 편리하게 내시경 장치를 이용한 내시경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410)는 조이스틱 또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의 방향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시술자는 휴대용 단말기(400)의 터치 스크린 기능을 통해 조이스틱 또는 방향키를 조작하여, 내시경 삽입관(300)의 움직임을 무선으로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장치는 내시경 삽입관(300)의 움직임을 능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마스크 본체
200 : 지지부
210 : 케이스
211 : 슬롯
211a : 그루브
220 : 베이스
221 : 인출입공
222 : 제1연장부
222a : 안내홈
223 : 제2연장부
224 : 슬리브
230 : 권취부
231 : 권취 풀리
232 : 권취 모터
233 : 제1끼움 패널
233a : 제1관통홀
240 : 조향부
241 : 조향 풀리
242 : 조향 와이어
243 : 조향 모터
244 : 제2끼움 패널
244a : 제2관통홀
250 : 휴대용 배터리
260 : 고정핀
300 : 내시경 삽입관
310 : 제1세그먼트
311 : 제1와이어 홀
312 : 접촉단부
313a : 제1경사부
313b : 제2경사부
320 : 제2세그먼트
321 : 제2와이어 홀
330 : 연결 와이어
340 : 플랜지
400 : 휴대용 단말기
410 : 인터페이스
500 : 제어부

Claims (15)

  1. 내시경 삽입관 또는 내시경 케이블이 인출입하며, 피시술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시경 삽입관이 권취 또는 귄취해제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일면이 개구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시경 삽입관 또는 상기 내시경 케이블이 인출입하는 인출입공을 갖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인출입공의 하부로부터 피시술자의 안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인출입공에 인출입되는 상기 내시경 삽입관 또는 상기 내시경 케이블을 지지하는 제1연장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마스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인출입공으로부터 상기 케이스를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제2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권취부는,
    상기 제2연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시경 삽입관의 복수의 제1세그먼트가 권취 또는 귄취해제되는 권취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마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시경 삽입관의 이동을 조향하는 조향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는,
    상기 제2연장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향 풀리; 및
    상기 내시경 삽입관의 복수의 제2세그먼트에 관통되고 상기 조향 풀리에 권취 또는 귄취해제되어 복수의 상기 제2세그먼트의 이동을 조향하는 조향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휴대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권취부는,
    상기 슬롯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롯에 결합되면, 상기 휴대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권취 풀리를 회동시키는 권취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조향부는,
    상기 슬롯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슬롯에 결합되면, 상기 휴대용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조향 풀리를 회동시키는 조향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마스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인출입공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내시경 케이블과 상기 조향 와이어가 관통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마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피시술자의 안면의 전면적에 걸쳐서 밀착되도록 곡면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마스크.
  9. 피시술자의 안면에 착용되는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마스크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내시경용 마스크;
    상기 마스크 본체에 인출입되며, 피시술자의 구강 또는 전비공에 삽입되는 내시경 삽입관;
    상기 내시경 삽입관의 말단에 장착되는 촬영부; 및
    상기 마스크 본체에 인출입되며, 상기 촬영부에 결합되는 내시경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내시경 삽입관이 권취 또는 귄취해제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는
    상기 지지부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시경 삽입관이 권취 또는 귄취해제되는 권취 풀리; 및
    상기 지지부의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권취 풀리를 회동시키는 권취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내시경 삽입관은,
    직렬로 연결되어 다관절을 형성하며 상기 권취 풀리에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복수의 제1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세그먼트는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인접하는 다른 제1세그먼트와 접촉하는 한 쌍의 접촉단부; 및
    한 쌍의 상기 접촉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축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서로 다른 경사를 갖는 경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삽입관은,
    복수의 상기 제1세그먼트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연결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삽입관은,
    복수의 상기 제1세그먼트 중 적어도 하나에 이어지고,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다관절을 형성하는 복수의 제2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복수의 상기 제2세그먼트의 이동을 조향하는 조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는,
    상기 지지부의 베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향 풀리;
    복수의 상기 제2세그먼트에 관통되고 상기 조향 풀리에 권취 또는 귄취해제되어 복수의 상기 제2세그먼트의 이동을 조향하는 조향 와이어; 및
    상기 지지부의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조향 풀리를 회동시키는 조향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삽입관의 움직임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내시경 삽입관의 움직임 조작에 의해 상기 권취부와 상기 조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KR1020200151857A 2020-11-13 2020-11-13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KR102378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857A KR102378609B1 (ko) 2020-11-13 2020-11-13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857A KR102378609B1 (ko) 2020-11-13 2020-11-13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8609B1 true KR102378609B1 (ko) 2022-03-24

Family

ID=80935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857A KR102378609B1 (ko) 2020-11-13 2020-11-13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8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829A1 (ko) * 2022-06-15 2023-12-2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내시경 이송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2035A (ja) * 2006-07-05 2008-01-24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カプセル型内視鏡およびこれを用いた被検体内医療システム
KR101377936B1 (ko) 2012-10-31 2014-03-25 곽상웅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
KR20170133032A (ko) * 2016-05-25 2017-12-05 이평환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2035A (ja) * 2006-07-05 2008-01-24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カプセル型内視鏡およびこれを用いた被検体内医療システム
KR101377936B1 (ko) 2012-10-31 2014-03-25 곽상웅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
KR20170133032A (ko) * 2016-05-25 2017-12-05 이평환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3829A1 (ko) * 2022-06-15 2023-12-2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내시경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6934B2 (ja) 内視鏡システム
US7951068B2 (en) Rotating self-traveling endoscope system, rotating self-traveling endoscope insertion assisting tool, and method for technique of inserting endoscope insertion portion into small intestine using rotating self-traveling endoscope system
EP1726251A1 (en) Insertion device
WO2006004053A1 (ja) 内視鏡
EP2397065A1 (en) Endoluminal crawler
WO2006004091A9 (ja) 内視鏡
JP2001095747A (ja) 電子内視鏡
JP2006334246A (ja) 内視鏡装置
JP4473027B2 (ja) 内視鏡
KR102378609B1 (ko)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CN215128274U (zh) 转向控制机构、内窥镜和医用检查装置
US20110288371A1 (en) Endoscope device
JP4500310B2 (ja) 挿入装置、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2000023908A (ja) 多関節湾曲機構
JP7097860B2 (ja) 内視鏡
JP4276832B2 (ja) 内視鏡装置
JP2005254002A (ja) 内視鏡
JP2000014626A (ja) 内視鏡
JP2002058629A (ja) 電子内視鏡
KR101785073B1 (ko) 렌즈 회전이 가능한 내시경 카테터
JP5283463B2 (ja) 内視鏡
JP3938719B2 (ja) 内視鏡
JP2007037566A (ja) 内視鏡
JP3749220B2 (ja) 内視鏡装置
CN115363506A (zh) 转向控制机构、内窥镜和医用检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