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032A -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3032A
KR20170133032A KR1020160063947A KR20160063947A KR20170133032A KR 20170133032 A KR20170133032 A KR 20170133032A KR 1020160063947 A KR1020160063947 A KR 1020160063947A KR 20160063947 A KR20160063947 A KR 20160063947A KR 20170133032 A KR20170133032 A KR 20170133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th
patient
endoscope
mouthpiece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275B1 (ko
Inventor
이평환
Original Assignee
이평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평환 filed Critical 이평환
Priority to KR1020160063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2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47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 A61B1/00154Holding or positioning arrangements using guiding arrangements for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3/00Instruments for depressing the tong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시경 검사시 환자의 입술 및 치아로 잘 안착 고정되게 하고 환자의 입안에 고이는 침을 용이하게 배출되게 하며 산소 공급 및 탄소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내시경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우스피스는 환자의 입 주변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환자의 입으로 물어 고정되고 그 단면이 타원형인 지지부재가 구비된 몸체부와, 몸체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내시경의 삽입을 안내하고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내시경 안내부와, 본체부 일측에 침배출구가 있는 원통 형상의 배출유도관이 환자의 입안까지 연장되고 입안에 고인 침은 배출유도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의 침배출유도부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재 위아래에 치아 배열과 같은 곡선의 절개홈이 복수 개 형성되고, 지지부재 끝단 위아래에 치아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부가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며, 지지부재 양측으로 환자의 입 후면을 지지하는 날개 형상의 입후면지지부가 형성된 몸체부가 환자의 입에 안전하게 물려지도록 한다.

Description

내시경용 마우스피스{DISPOSABLE MOUTHPIECE FOR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시경 검사시 환자의 입술 및 치아로 잘 안착 고정되게 하고 환자의 입안에 고이는 침을 용이하게 배출되게 하며 산소 공급 및 탄소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내시경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시경은 인체의 내부를 의학적으로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장이나 체강과 같은 내부기관을 관찰하여 병소를 진단하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의료기구이다.
내시경을 사용하면 의사는 환자를 수술하지 않고도 내부기관을 직접 보면서 진찰할 수 있으므로, 초음파검사 및 X-선 검사에서 발견되지 않은 병세도 발견하여 조기에 치료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내시경은 사용 목적 및 검사하는 부위에 따라서 입을 통하여 삽입하여 관찰하려는 기관을 검사하는 식도내시경, 기관지내시경, 위내시경 등이 있고, 인체의 일부를 절개한 후 이곳으로 삽입하여 검사하는 흉강경, 복강경 등이 있으며, 특정 장기를 전용으로 관찰하거나 치료할 수 있도록 제작된 특수 내시경 등이 있다.
통상적으로 식도내시경, 기관지내시경, 위내시경 등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구강 및 식도를 통하여 내시경을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내시경의 삽입을 용이하게 유도하기 위하여 내시경용 마우스피스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내시경용 마우스피스가 필요한 이유는 구강을 통하여 식도로 굴곡이 가능한 유연한 원형의 긴 내시경 도관이 들어가는데, 이때 내시경용 마우스피스가 없다면 연질의 내시경 도관을 환자가 깨물 수 있고 내시경 도관의 내부는 라이트가이드 등의 미세관과 정밀한 광섬유 등으로 이루어져서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환자의 치아에 의해서 손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이 부분이 손상되면 고가의 내시경 장비 전체가 무용지물이 될 수 있어 그 피해가 상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치아도 기계적 충격에 의해 손상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용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내시경용 마우스피스는 환자의 입 주변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그 중앙부에는 관통홀(11)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되어 환자의 입으로 물어 본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지지부재(20)와, 상기 본체의 관통홀(11)에 형성되어 내시경의 삽입을 안내하는 내시경 안내부(30)로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내시경용 마우스피스는 내시경 검사시 환자가 좌측와위(왼쪽 몸이 아래로 향하게 검사대에 옆으로 누워진 상태) 자세로 하고 환자의 입을 벌려 본체(10)를 환자의 입 주변에 접촉시키고, 환자의 입으로 지지부재(20)를 물고 머리 밴드로 고정되면 본체(10)가 입술과 치아에 지지되면서 환자의 입을 지속적으로 벌어지도록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10)의 관통홀(11)을 통하여 내시경을 삽입하면, 이 내시경은 내시경 안내부(30)를 거쳐서 환자의 구강 및 식도를 통하여 삽입하게 되며, 이때 식도나 기관지 또는 위장 등과 같은 부분의 병변을 검사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내시경용 마우스피스의 구조는 입술과 치아의 배열구조와 상이하여 아래턱과 위턱이 22mm 내외 정도로 벌려지고 입술이 벌려진 상태에서 마우스피스 양측 공간이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생성된 공간 중 구강 내 자극을 받은 침샘에서 생성된 다량의 침이 좌측입술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흘러나온다.
이때 흐르는 침을 삼키면 식도 내에 있는 내시경 도관이 요동하여 내시경 도관의 자극으로 통증이 발생함으로 기침과 강한 거부반응이 유발하게 되고 식도에 상처가 생길 수 있어 대단히 위험하고 검사가 힘들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검사자는 절대로 침을 삼키지 말라고 주지시키는 등 주의를 주지만 환자는 아픈 통증을 억제할 수 없으므로, 검사보조자가 이렇게 흐르는 침을 환자의 입 부위에 침받이 용기를 위치하게 한 후 담고 거즈 등으로 닦아 준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내시경용 마우스피스는 치아의 일부만을 사용하여 마우스피스가 물려지게 되므로 마우스피스의 고정이 불안정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내시경 검사시 환자가 고통을 심하게 느끼거나 무의식중에 마우스 피스를 쉽게 뱉을 수 있으며, 또 환자가 딱딱한 재질의 마우스피스를 치아로 계속 물고있어야 함으로 치아의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하여 의료 검사의 본 목적과는 상관없이 부수적인 치아의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면내시경 시행시 산소 공급 및 탄소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한국 특허등록번호 제10-0597616호, 발명의 명칭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등록일자 2006.06.29.)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내시경 검사시 환자의 입술 및 치아로 잘 안착 고정되게 인체공학적인 구조를 가지고 환자의 입안에 고이는 침을 용이하게 배출되게 하며 산소 공급 및 탄소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내시경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우스피스는 환자의 입 주변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환자의 입으로 물어 고정되고 그 단면이 타원형인 지지부재가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내시경의 삽입을 안내하고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평판 형상의 내시경 안내부와, 상기 본체부 일측에 침배출구가 있는 원통 형상의 배출유도관이 환자의 입안까지 연장되고 입안에 고인 침은 상기 배출유도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의 침배출유도부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부재 위아래에 치아 배열과 같은 곡선의 절개홈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 끝단 위아래에 상기 치아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부가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 양측으로 환자의 입 후면을 지지하는 날개 형상의 입후면지지부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가 환자의 입에 안전하게 물려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입안에 고이는 침을 침배출유도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위생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입 안쪽 후면에 밀착되는 입후면지지부가 지지부재 양측에서 지지하고 있어 마우스피스가 잘 안착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치아가 물리는 지지부재에 복수 개의 절개홈이 위아래로 형성되므로 치아의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구조적으로 변형될 수 있어 치아에 기계적 충격을 크게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재 끝단에는 걸림턱부가 위아래로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므로 몸체부에서 치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입안 내부에 위치하는 침흡입부는 다각적 방향으로 침흡입구가 형성되어 침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입안의 탄소를 탄소배출구를 통하여 배출이 가능하므로 구취 및 트림 냄새로 인한 실내의 공기오염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내시경용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우스피스를 전방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를 후방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를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걸치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도 아니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 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우스피스를 전방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는 도 2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2를 후방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를 배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우스피스(100)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향에서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우스피스(1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입 주변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관통홀(111)이 형성된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배면에 형성되어 환자의 입으로 물어 고정되고 그 단면이 타원형인 지지부재(121)가 구비된 몸체부(120)와, 몸체부(120)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내시경의 삽입을 안내하고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평판 형상의 내시경 안내부(130)와, 본체부(110) 일측에 침배출구(141)가 있는 원통 형상의 배출유도관(142)이 환자의 입안까지 연장되고 입안에 고인 침은 배출유도관(1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의 침배출유도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지지부재(121) 위아래에 치아 배열과 같은 곡선의 절개홈(122)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 형성되고, 지지부재(121) 끝단 위아래에 치아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부(123)가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며, 지지부재(121) 양측으로 환자의 입 후면을 지지하는 날개 형상의 입후면지지부(125)가 형성된 몸체부(120)가 환자의 입에 잘 물려지도록 하여 환자의 입에서 쉽게 이탈되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침배출유도부(140)는 환자의 입안 좌측에 배치되도록 본체부(110) 좌측에 형성된다.
또한, 본체부(110)의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환자의 입안으로 산소가 공급될 수 있는 관통된 산소공급구(113) 및 환자의 호흡된 공기(탄소)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관통된 탄소배출구(1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위 또는 아래에 호스를 안내 고정할 수 있는 호스안내돌기(11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럼,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마우스피스의 구성요소들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110)는 환자의 입 주변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마우스피스 전면에 위치하는 본체부(110)는 환자의 입에 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곡률로 형성된 구조를 갖추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우스피스(100)의 전방 외관을 이루는 부분이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의 입 형상에 대응되는 파도 물결처럼 약간 돌출되어 휘어진 형상을 가진다.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우스피스(100)가 부분적으로 입속으로 들어가 물려지고 본체부(110)는 완만하게 돌출된 환자의 입 주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기인한 것이다.
관통홀(111)는 본체부(110)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내시경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 구멍(hole)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관통홀(111)을 통해 내시경 도관이 통과된다.
산소공급구(113)는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일측에 산소가 환자의 입안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소정 돌출된 돌기관 내에 관통된 구멍(hole)이 형성된 것으로 산소 공급호스(미도시)를 통해 환자의 입안으로 산소가 주입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본체부(110) 일측에 형성된 산소공급구(113)는 수면 내시경 시행시 환자의 호흡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하여 구비될 필요가 있다.
탄소배출구(115)는 도 2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 일측에 환자의 입안에서 호흡된 공기(탄소)가 강제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관통된 구멍(hole)이 형성된 것으로, 석션(suction)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본체부(110) 내로 소정 깊이 들어가 탄소배출호스(미도시)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입안 내의 나쁜 공기를 흡입(suction)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침배출유도부(140)가 다량으로 분비되는 침(타액)을 충분히 배출시키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탄소배출구(115)가 필요하다.
호스안내돌기(117)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기가 본체부(110)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여 산소 공급호스나 탄소 배출호스 등과 같은 호스를 안내 고정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산소 공급호스나 탄소배출호스 등이 환자의 입 주위에서 특정된 곳에 고정되지 못하고 산재하는 것을 방지하고 호스 내부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선형으로 안내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밴드고정부(119)는 본체부(110) 양측에 위치하여 양측 대응되는 방향으로 유선의 날개 형상이 형성되는 것으로, 머리 밴드(미도시)가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 가는 홈이 파져 있어 용이하게 밴드고정부 끝단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게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밴드고정부(119)는 선택적인 부분으로 특히 종래에는 본체부(110) 좌·우측에 밴드 고리가 있어 별도의 부재(머리 밴드)를 걸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구현되거나 되지 않을 수 있고 그 형상도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 가는 홈이 파져 있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밴드고정부(119)가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구현되지 않을 수 있는 이유는 밴드고정부(119)를 대신하여 후술하는 입술지지부(121a) 및 입후면지지부(125)가 빠지지 않도록 충분하게 그러한 안착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몸체부(120)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배면에 형성되고, 환자의 입으로 물어 고정되는 그 단면이 타원형인 지지부재(121) 및 환자의 치아 이탈을 제한하는 걸림턱부(123), 입의 후면을 지지 밀착시키는 입후면지지부(125)로 구성된다.
지지부재(121)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관통홀(111) 외측으로 위치하고 환자의 개구된 입에 대응되도록 인체공학적으로 그 단면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환자의 입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입술지지부(121a)와 치아지지부(121b)로 구성된다.
더욱 자세하게 지지부재(121)는 본체부(110)의 배면에서 일정길이로 연장된 환자의 입술이 물리는 입술지지부(121a) 및 입술지지부(121a) 일측 끝단과 일체로 연장되어 환자의 치아가 물리는 치아지지부(121b)로 구성된다.
여기서 입술지지부(121a)는 본체부(110)의 관통홀(111) 외측으로 위치하여 본체부(110)의 배면에서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입술지지부(121a)는 본체부(110)의 관통홀(111) 외측으로 위치하여 환자의 개구된 입술에 대응되는 단면이 타원형으로 본체부(110) 배면에서 연장되어 환자가 입을 다물면 입술이 물려지게 된다. 이때 종래의 내시경용 마우스피스의 구조에서 입술과 치아의 배열구조가 상이하여 아래턱과 위턱이 22mm 내외 정도로 벌려지고 입술이 벌려진 상태에서 외부로 입안의 악취가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는 마우스피스 양측 공간이 생성되던 것이 본 발명을 통하여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입술지지부(121a)는 내부가 관통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길이를 갖추어 환자가 자연스럽게 입을 다물면 입술로 물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입술지지부(121a)는 몸체부(120) 앞부분에 배치되어 환자의 입술을 지지하는데,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었을 때 환자의 입술이 입술지지부(121a)에 위치함으로써 입술을 비롯한 입 전체에 부담을 주지 않게 된다.
치아지지부(121b)는 본체부(110)의 관통홀(111) 외측으로 위치하고 입술지지부(121a) 일측 끝단과 일체로 연장되어 환자의 치아가 자연스럽게 물려진다.
여기서, 치아지지부(121b)는 치아 배열과 같은 곡선의 절개홈(122)이 위아래에 복수 개 형성되는데, 더욱 자세하게 지지부재(121) 내 치아지지부(121b)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간격 이격된 곡선의 절개홈(122)이 위 및 아래에 복수 개 형성된다.
특히 치아지지부(121b)는 치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폴리우레탄, 천연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연질 재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같이 곡선의 절개홈(122)를 형성하게 하여 치아가 닿는 부위가 적당하게 탄성을 가지고 구조적으로도 완충 기능을 가지게 하여 치아 손상을 더욱 보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절개홈(122)의 폭은 1mm 내외로 좁기에 치아가 절개홈(122)에 의해 잘 손상되지 않는다.
한편, 치아 배열과 같은 곡선의 절개홈(122)은 환자에게 암시적으로 치아가 물리는 위치를 나타내는 곳으로 인식될 수 있어 마우스피스를 착용하는 데 편리함을 더해 줄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환자의 치아 상태에 따라서 치아지지부(121b)가 구성된 지지부재(121)는 실리콘으로 제작한 것, 또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작한 것, 또는 천연고무로 제작한 것 중에서 가장 적당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내시경용 마우스피스의 사용은, 환자의 입을 벌려 본체부(110)를 환자의 입주변에 접촉시키고, 환자의 입술이 물리는 입술지지부(121a) 및 환자의 치아가 물리는 치아지지부(121b)를 포함하는 단면이 타원형의 지지부재(121)를 구비한 몸체부(120)는 입술과 치아에 지지되면서 환자의 입을 지속적으로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지지부재(121)를 구성하는 입술지지부(121a) 및 치아지지부(121b)는 사람마다 입술의 두께나 치아의 두께가 다름으로 그 경계를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는 없지만 일반인의 입술 및 치아 두께를 고려하여 적용할 수 있고 또한 그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지 않더라도 입술 및 치아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입술지지부(121a) 및 치아지지부(121b)로 형성된 지지부재(121)에 의해서 그 기능을 포괄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입술지지부(121a) 및 치아지지부(121b)로 구성된 지지부재(121)는 내부가 관통 공간으로 이루어져 내부로 내시경이 통과될 수 있으면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타원형의 외곽 형상을 갖추어 환자가 입술이나 치아로 물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끝단에는 일정한 높이의 걸림턱부(123)가 돌출 형성되어 치아가 치아지지부(121b)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지원한다.
지지부재(121) 끝단에 형성된 치아의 이탈을 억제하는 걸림턱부(123)가 위아래에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며, 지지부재(121) 양측으로 환자의 입 후면을 지지하는 날개 형상의 입후면지지부(125)가 형성되어 몸체부(120)가 환자의 입에 잘 물려 지도록 하여 환자의 입에서 쉽게 이탈되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입후면지지부(125)는 지지부재(121)의 양측부에 돌출되어 입 후면을 잘 지지 안착할 수 있는 날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입안 내부 양볼 배면에 위치하여 입안 내의 입 후면을 지지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마우스피스를 입에 물었을 때 입후면지지부(125)가 입 안쪽에서 입의 후면 양쪽 부위를 지지한다. 또한, 입후면지지부(125)는 입안 내의 입 배면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직선이 아닌 아크(arc) 또는 라운드의 곡선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상태로 환자가 마우스피스를 물고 있으면 입술의 일측은 본체부(110)의 배면에 접촉되고 치아의 일측은 지지부재(121) 위아래에 형성된 걸림턱부(123)에 걸리고 입속 후면은 지지부재(121) 양측으로 형성된 입후면지지부(125)에 밀착되어 몸체부(120)가 환자의 입에서 견고하게 지지되어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이렇게 마우스피스에 몸체부(120)가 형성되면 환자가 마우스피스를 견고하게 물고있을 수 있으며, 이렇게 물고 있는 몸체부(120)는 지지부재(121) 끝단에 형성된 위아래 걸림턱부(123)에 치아가 걸리고 지지부재(121) 양측에 형성된 입후면지지부(125)에 입 후면이 지지되어 환자의 입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2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스럽게 입을 다물면 입 후면을 지지하면서 마우스피스 이탈을 방지하여 내시경 검사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내시경 안내부(130)는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20)의 하부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내시경 안내부(130)는 평평한 플레이트(plate) 타입으로 내시경의 삽입을 안내하고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내시경의 삽입이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환자의 기도와 인접된 혀를 눌러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 줄 수 있다. 또한, 내시경 안내부(130)는 혀를 견고하게 누를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금속, 고분자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본체부의 관통홀(111)을 통하여 도시되지 않은 내시경을 삽입하면, 삽입되는 내시경은 몸체부(120)의 내부 공간을 지나서 내시경 안내부(130)를 따라서 안내되면서 환자의 구강 및 식도를 통하여 삽입되고, 이때 식도나 기관지 또는 위장 등과 같은 부분의 병변을 검사하면 된다.
침배출유도부(140)는 본체부(110) 일측에 침배출구(141)가 있는 원통 형상의 배출유도관(142)이 환자의 입안까지 연장되고 입안에 고인 침은 배출유도관(1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침배출유도부(14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배출유도관(142)이 구비되고, 배출유도관(142)의 일측에는 침배출구(141)가 형성되고 배출유도관(142)의 타측에는 침흡입부(143)가 형성되며, 침흡입부(143)에는 슬롯 타입의 침흡입구(144)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침흡입부(143)가 침이 고이는 환자의 입안에 위치하게 되어 외부 배출장치에 의해 진공흡입(suction)될 때, 침흡입부(143)의 다각적으로 형성된 슬롯 타입의 침흡입구(144)로 침이 흡입되어 침배출유관(142)를 지나 침배출구(14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침배출유도부(140)는 내시경 검사시 환자가 좌측와위(왼쪽 몸이 아래로 향하게 검사대에 옆으로 누워진 상태) 자세를 취하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입안 좌측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의 입을 벌려 본체부(110)를 환자의 입주변에 접촉시키고, 단면이 타원형의 지지부재(121)는 입술지지부(121a) 및 치아지지부(121b)로 구성되는데, 입술지지부(121a)는 환자의 입술로 물고 치아지지부(121b)는 환자의 치아로 물면, 지지부재(121)를 구비한 몸체부(120)는 입술과 치아에 지지되면서 환자의 입을 지속적으로 벌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로 환자가 마우스피스를 물고 있으면 입술 및 치아는 지지부재(121)에 지지되고 입의 후면은 지지부재(121) 양측부로 돌출된 입후면지지부(125)가 살포시 밀착 지지하여 마우스피스는 환자의 입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지지부재(121)는 환자가 자연스럽게 입을 다물면 형성되는 인체공학적인 타원(라운드) 형상으로 아래턱, 위턱에 가장 유사하게 입을 다문 상태가 되어 좌측와위시 입과 마우스피스 접촉부위가 의식적으로 힘을 주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틈이 없이 밀착되게 되어 침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게 된다.
이때 내시경 안내부(130)는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환자의 기도와 인접한 혀를 눌러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준다.
이 상태에서 본체부(110)의 관통홀(111)을 통하여 내시경을 삽입하면, 삽입되는 내시경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부(120)를 통과하여 내시경 안내부(130)를 따라서 안내되면서 환자의 구강 및 식도를 통하여 삽입되고, 이때 식도나 기관지 또는 위장 등과 같은 부분의 병변을 검사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 중에 환자가 좌측와위 상태로 누워 있으므로 환자의 좌측 입안에 고이는 침을 침배출유도부(1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면 된다.
즉, 입안 내 생성된 침이 발생되면 침배출유도부(140) 끝단에 형성된 침흡입부(143)의 침흡입구(144)로 흡입되어 배출유도관(142)를 거쳐 마우스피스 본체부(110)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침배출구(14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침배출구(141)에 석션(suction) 배출호스(미도시)를 연결하여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석션(suction)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배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본체부(110) 일측에 산소가 환자의 입안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산소공급구(1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산소 공급호스(미도시)를 통해 환자의 입안으로 산소가 주입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체부(110) 일측에 형성된 산소공급구(113)는 수면 내시경 시행시 환자의 호흡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하여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체부(110) 일측에 환자의 입안에서 호흡된 공기(탄소)가 강제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탄소배출구(11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탄소배출호스(미도시)를 삽입하여 입안 내의 나쁜 공기를 흡입(suction)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침배출유도부(140)가 다량으로 분비되는 침(타액)에 의해서 호흡된 공기를 충분히 배출시키지 못할 경우를 대비하여 탄소배출구(115)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또한, 호스안내돌기(117)가 본체부(110)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여 산소 공급호스나 탄소 배출호스 등과 같은 호스를 안내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산소 공급호스나 탄소배출호스 등과 같은 호스가 환자의 입 주위에 산재하는 것을 방지하고 호스 내부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머리 밴드(미도시)가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 홈이 파져 있는 밴드고정부(119) 끝단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진공 발생장비는 내시경 검사실 내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장치이므로 별도의 설치 작업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종합하여 보면, 환자가 마우스피스를 물때 의도적으로 강하게 물게 되는데 이때에 인체공학적 각도를 유지할 수 있고, 구조상 치아로 물때 입후면지지부(125)가 후면에서 지지하고 있어 치아에 미치는 힘이 분산되면서 치아나 잇몸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마우스피스의 몸체부(120)를 일단 물고 나면 구조상 이탈이 억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공학적인 구조에 의해서 이질감이 해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공학적 구조를 가지면서도 검진이나 치료의 목적으로 환자의 입을 통해 내시경을 실시할 때 시술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 환자가 심리적으로 받는 불안감을 완화할 수 있으며, 치아나 잇몸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는 마우스피스 본체부(110), 몸체부(120), 내시경 안내부(130), 침배출유도부(14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는 침배출유도부(140)가 본체부(110)나 몸체부(120)에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내시경용 마우스피스(100)는 인체공학적으로 구강구조에 적합한 형상을 가지고, 이로 인해 좌측와위 자세에서도 침이 입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시경이 입안을 통해 들어가서 입속을 자극하여 침이 많이 생성될지라도 침배출유도부(140)를 통하여 입 내부에 생성된 침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입안의 탄소를 탄소배출구(115)를 통하여 배출이 가능하므로 구취 및 트림 냄새로 인한 실내의 공기오염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는 피검자의 트림, 구취 등의 입속 오염 공기를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어 실내의 오염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치아가 물리는 부분에 복수 개의 절개홈(122)이 있으므로 치아의 형태에 따라 유연하게 구조적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치아에 기계적 충격을 크게 주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부재(121) 끝단에는 걸림턱부(123)가 위아래로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므로 몸체부(120)에서 치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입 안쪽 후면에 밀착되는 입후면지지부(125)가 지지부재(121) 양측에서 지지하고 있어 마우스피스가 잘 안착 고정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수면내시경 시행시, 피검자의 의식이 없으므로 치악력이 약해 종래 기술에는 머리 밴드 착용이 필수적이었으나, 본 발명은 걸림턱부(123) 및 입후면지지부(125)가 있어 제거 의사가 없으면 구강에서 이탈을 억제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입안에 고이는 침은 침배출유도부(14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위생적인 이점이 있고, 소화기관에 내시경이 삽입될 시 자극으로 인해 침(타액)이 다량 생성되는 경우에도 본체부(110) 일측에 형성된 침배출구(141)를 통해 구강 내부의 침(타액)을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입안 내부에 위치하는 침흡입부(143)는 다각적 방향으로 침흡입구(144)가 형성되어 다량의 침(타액)에도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110 : 본체부 120 : 몸체부
130 : 내시경 안내부 140 : 침배출유도부

Claims (4)

  1. 환자의 입 주변에 지지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환자의 입으로 물어 고정되고 그 단면이 타원형인 지지부재가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내시경의 삽입을 안내하고 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평판 형상의 내시경 안내부와,
    상기 본체부 일측에 침배출구가 있는 원통 형상의 배출유도관이 환자의 입안까지 연장되고 입안에 고인 침은 상기 배출유도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구조의 침배출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위아래에 치아 배열과 같은 곡선의 절개홈이 소정 간격 이격되게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 끝단 위아래에 치아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부가 소정높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재 양측으로 환자의 입 후면을 지지하는 날개 형상의 입후면지지부가 형성된 상기 몸체부가 환자의 입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일측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환자의 입안으로 산소가 공급될 수 있는 관통된 산소공급구 및 환자의 호흡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관통된 탄소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마우스피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배출유도부는 환자의 입안 좌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부 좌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마우스피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위 또는 아래에 호스를 안내 고정할 수 있는 호스안내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KR1020160063947A 2016-05-25 2016-05-25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KR101859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947A KR101859275B1 (ko) 2016-05-25 2016-05-25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947A KR101859275B1 (ko) 2016-05-25 2016-05-25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032A true KR20170133032A (ko) 2017-12-05
KR101859275B1 KR101859275B1 (ko) 2018-05-17

Family

ID=60920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947A KR101859275B1 (ko) 2016-05-25 2016-05-25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27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5887A (zh) * 2019-03-26 2019-05-28 石家庄市中医院 一种配合小型动物电子内窥镜使用的牙垫
KR102330589B1 (ko) * 2021-04-01 2021-11-23 김기명 탄성판이 구비된 위내시경용 구강 클리너
KR102343505B1 (ko) * 2021-03-16 2021-12-27 김기명 타액통이 구비된 위내시경용 구강 클리너
KR102378609B1 (ko) * 2020-11-13 2022-03-24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WO2022182211A1 (ko) * 2021-02-26 2022-09-01 김기명 위내시경용 구강 클리너
KR20220122410A (ko) * 2021-02-26 2022-09-02 김기명 위내시경용 구강 클리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513B1 (ko) * 2019-07-25 2022-04-20 주식회사 파프리카랩 구강고정장치
US20220265253A1 (en) * 2019-07-25 2022-08-25 Paprica Lab. Co., Ltd. Oral fix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154B1 (ko) * 2012-06-21 2012-12-27 강영주 의료용 마우스피스
KR101547071B1 (ko) * 2014-12-12 2015-08-24 김종훈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5887A (zh) * 2019-03-26 2019-05-28 石家庄市中医院 一种配合小型动物电子内窥镜使用的牙垫
KR102378609B1 (ko) * 2020-11-13 2022-03-24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내시경용 마스크 및 이를 포함하는 내시경 장치
WO2022182211A1 (ko) * 2021-02-26 2022-09-01 김기명 위내시경용 구강 클리너
KR20220122480A (ko) * 2021-02-26 2022-09-02 김기명 위내시경용 구강 클리너
KR20220122410A (ko) * 2021-02-26 2022-09-02 김기명 위내시경용 구강 클리너
KR102343505B1 (ko) * 2021-03-16 2021-12-27 김기명 타액통이 구비된 위내시경용 구강 클리너
KR102330589B1 (ko) * 2021-04-01 2021-11-23 김기명 탄성판이 구비된 위내시경용 구강 클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275B1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275B1 (ko)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CN101678185B (zh) 与插管配合使用的内窥镜牙垫
EP2968814B1 (en) Medical breathing apparatus
KR101668178B1 (ko) 복합기능성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및 이에 사용되는 배출조절밸브
US7044910B2 (en) Modified laryngoscope blade to reduce dental injuries during intubation
EP2539005A1 (en) Mouthpiece and methods of use of same
JP2022123092A (ja) 呼吸サンプリングインターフェース
CN107095639B (zh) 医用咬口器
KR101928725B1 (ko) 의료용 고정클립
KR100597616B1 (ko)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US11633092B2 (en) Laryngeal mask airway for sedative endoscopy
KR101547071B1 (ko) 내시경용 마우스피스
KR20170011595A (ko) 의료용 마우스피스
KR20160082623A (ko) 위내시경용 마우스피스
US20240075232A1 (en) Bite block device
US20110178428A1 (en) Intra-oral container for accommodating an electronic device
TWI747981B (zh) 呼吸氣體輸送及取樣系統
CN215457820U (zh) 一种内窥镜用多功能外部弯曲式口圈
CN216167360U (zh) 一种胃镜咬口
CN210842962U (zh) 一种新型胃肠镜手术面罩
KR100957845B1 (ko) 내시경용 비강 내 점막 보호용 튜브
KR20240036844A (ko) 수면 내시경중에 기도확보 개선을 위한 마우스피스
CN110584579A (zh) 口腔开口器及医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