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832A -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 Google Patents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832A
KR20220105832A KR1020210008682A KR20210008682A KR20220105832A KR 20220105832 A KR20220105832 A KR 20220105832A KR 1020210008682 A KR1020210008682 A KR 1020210008682A KR 20210008682 A KR20210008682 A KR 20210008682A KR 20220105832 A KR20220105832 A KR 20220105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installation
parallel
line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석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5832A/ko
Priority to JP2021169009A priority patent/JP2022112470A/ja
Priority to US17/450,893 priority patent/US11858572B2/en
Priority to EP21203147.0A priority patent/EP4032789A1/en
Priority to CN202111319163.2A priority patent/CN114802542A/zh
Publication of KR20220105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8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4Joining preassembled modular units composed of sub-units performing diverse functions, e.g. engine and bon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05Inspection and final contro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4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passenger compartment fittings, e.g. seats, linings, trim, instrumen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xterior fittings, e.g. bumpers, lights, wipers, exhau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모든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생산작업이 이루어지는 직렬생산라인; 병렬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라인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서브라인에는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셀이 마련된 병렬생산라인; 및 병렬생산라인을 통과한 모든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검사라인;을 포함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이 소개된다.

Description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PARALLEL CELL BASED MOBILITY PRODUCTION SYSTEM}
본 발명은 차량 생산시 다차종의 생산을 통하여 고객 니즈의 다양성을 흡수할 수 있고, 공정 중 이상 발생시에도 생산을 지속하며 셧다운 및 별도의 공사 없이 생산량의 증대가 가능하고, 각 셀의 운영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유연성이 확보되며, 빠른 제품 사이클 변화에 의한 생산 설비의 빠른 변화가 가능하고 외곽에 위치한 공장이 아닌 도심의 건물내 공장에서도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한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래 대응을 위한 차량 생산 방식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컨베이어를 중심으로 일관된 소품종 대량 생산 방식을 유지해오고 있으나 향후 다가올 미래 사회는 전기차를 중심으로 산업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성이 강조되는 고객 니즈 대응을 위하여 고객 중심의 제조 방식 변화가 필요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종래의 경우 일관된 시퀀스에 의해 차량이 투입되고, 완성차가 나올 때 까지 일관된 시퀀스로 생산이 이루어 진다. 모든 공정의 작업시간은 동일하며, 작업시간을 초과하는 부품이 있는 차량은 투입되기 어렵거나 생산량 제약이 발생 하게 된다. 즉, 일관된 소품종에 대한 대량생산 만이 가능한 생산 구조를 유지하며 차량생산을 해야 되는 상황으로 미래사회 다양한 고객 니즈에 대한 대응에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통적인 차량 생산방식에서 벗어나 다품종의 차량을 한 지점에서 쉽고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제조방식의 혁신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9-0049107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량 생산시 다차종의 생산을 통하여 고객 니즈의 다양성을 흡수할 수 있고, 공정 중 이상 발생시에도 생산을 지속하며 셧다운 및 별도의 공사 없이 생산량의 증대가 가능하고, 각 셀의 운영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유연성이 확보되며, 빠른 제품 사이클 변화에 의한 생산 설비의 빠른 변화가 가능하고 외곽에 위치한 공장이 아닌 도심의 건물내 공장에서도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한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은, 하나의 생산시스템을 통하여 다양한 차종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으로서, 직렬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셀로 구성되며, 모든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생산작업이 이루어지는 직렬생산라인; 병렬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라인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서브라인에는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셀이 마련되며, 차종별로 서브라인이 매칭됨으로써 직렬생산라인을 통과한 차량이 차종별로 해당하는 서브라인에 투입되는 병렬생산라인; 및 병렬생산라인을 통과한 모든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검사라인;을 포함한다.
직렬생산라인은 사전작업 및 섀시 설치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직렬생산라인은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셀로 구성되고, 각각의 셀은 사전작업 및 섀시 설치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직렬생산라인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사전작업셀, 섀시정렬작업셀, 구동모듈설치셀, 섀시장착셀로 구성되고, 모든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각각의 셀을 통과하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병렬생산라인의 서브라인에는 고유의 작업이 할당된 복수의 셀이 직렬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서브라인들은 일부 작업의 경우 해당하는 셀을 공유할 수 있다.
병렬생산라인의 서브라인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실내외트림작업셀, 옵션품장착셀, 범퍼장착셀, 휠장착셀, 도어장착셀로 구성되고, 서브라인에 해당하는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각각의 셀을 통과하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서브라인의 옵션품장착셀, 휠장착셀, 도어장착셀은 전체 서브라인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서브라인이 옵션품장착셀, 휠장착셀, 도어장착셀을 상호 공유할 수 있다.
실내외트림작업셀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셀, 제2셀, 제3셀로 구성되고, 제1셀은 차량의 와이어링 설치, 시트벨트설치, 루프랙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외트림작업셀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셀, 제2셀, 제3셀로 구성되고, 제2셀은 크래쉬패드설치, 헤드라이닝설치, 워셔액리저버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외트림작업셀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셀, 제2셀, 제3셀로 구성되고, 제3셀은 실내트림설치, 실내콘솔설치, 공조덕트설치, 플로어카페트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옵션품장착셀은 시트설치, 글래스설치, FEM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범퍼장착셀은 범퍼설치, 페달설치, 와이퍼설치, 와이어링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휠장착셀은 휠설치, 타이어설치, 언더커버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직렬생산라인과 검사라인은 각각 양측에 마련되고 병렬생산라인은 직렬생산라인과 검사라인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병렬생산라인의 복수의 서브라인은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며, 생산대수가 많은 차종일수록 상부에 배치된 서브라인을 통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에 따르면, 차량 생산시 다차종의 생산을 통하여 고객 니즈의 다양성을 흡수할 수 있고, 공정 중 이상 발생시에도 생산을 지속하며 셧다운 및 별도의 공사 없이 생산량의 증대가 가능하고, 각 셀의 운영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유연성이 확보되며, 빠른 제품 사이클 변화에 의한 생산 설비의 빠른 변화가 가능하고 외곽에 위치한 공장이 아닌 도심의 건물내 공장에서도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의 수동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의 자동셀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의 수동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의 자동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의 구성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은, 하나의 생산시스템을 통하여 다양한 차종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으로서, 직렬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셀로 구성되며, 모든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생산작업이 이루어지는 직렬생산라인(100); 병렬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라인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서브라인에는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셀이 마련되며, 차종별로 서브라인이 매칭됨으로써 직렬생산라인을 통과한 차량이 차종별로 해당하는 서브라인에 투입되는 병렬생산라인(300); 및 병렬생산라인을 통과한 모든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검사라인(500);을 포함한다.
차량의 생산공정은 매우 복잡하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경우 이를 직렬생산라인(100)과 병렬생산라인(300) 및 검사라인(500)으로 단순화하였다. 그리고 직렬생산라인(100)은 일련의 공통된 생산공정을 통합한 것으로써, 차종이 다르더라도 작업의 변화가 크지 않은 공정들로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병렬생산라인(300)은 복수의 서브라인(300)들로 구성하고 각각의 서브라인들은 직렬생산라인(100)과 검사라인(500)의 사이에 병렬로 배치한다. 또한 각각의 서브라인들은 서로 다른 차종의 차량에 대한 생산을 담당한다.
마지막으로 검사라인(500)은 모든 차량에 대하여 순차적인 검사를 수행하는 것으로써 모든 차종이 공통적으로 통과하는 직렬의 라인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은 하나의 장소에서 다양한 차종의 차량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차종이 다양할 경우에는 차종마다 장착순서의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동일한 종류의 작업이라 하더라도 작업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차량간에 옵션 부품의 차이가 클 수 있고, 고객이 별도로 스페셜오더를 주문한 경우가 있을 수 있어, 종래의 컨베이어 생산시스템으로는 대응이 어렵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경우 하나의 생산시스템을 통하여 다양한 차종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직렬생산라인(100)의 경우 직렬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셀로 구성되며, 모든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생산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병렬생산라인(300)은 병렬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라인(300)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서브라인(300)에는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셀이 마련된다. 그리고 직렬생산라인(100)을 통과한 각 차량들이 차종별로 서브라인에 매칭됨으로써 직렬생산라인(100)을 통과한 차량이 차종별로 해당하는 서브라인에 투입된다.
그리고 검사라인(500)은 병렬생산라인(300)을 통과한 모든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투입되어 검사와 테스트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직렬생산라인(100)은 사전작업 및 섀시 설치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직렬생산라인(100)은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셀로 구성되고, 각각의 셀은 사전작업 및 섀시 설치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직렬생산라인(100)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사전작업셀(110), 섀시정렬작업셀(120), 구동모듈설치셀(130), 섀시장착셀(140)로 구성되고, 모든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각각의 셀을 통과하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어, 사전작업셀(110)의 경우 타량 바디가 투입되며 섀시 작업전 사전 작업공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수동셀일 수 있으며, 선루프, 엔진룸 작업, 와이어링 투입 등이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선트림으로 표현되었다.
그리고 섀시정렬작업셀(120)의 경우 도면에서 CM수동1으로 표현되었으며, 브레이크 튜브, EPCU, 데킹 전 정렬 작업 등이 이루어진다.
구동모듈설치셀(130)의 경우 도면에서 CM자동으로 표현되었으며, PE 모듈, 고전압 배터리 장착이 수행된다.
섀시장착셀(140)의 경우 도면에서 CM수동2로 표현되었으며, 휠 스피드 센서, 휠가드, 브레이크 호스 등이 설치된다.
일러한 일련의 공정이 전 차량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후 차종별로 각각 대응되는 서브라인에 투입이 된다. 특히 섀시장착셀(140)을 직렬생산라인(100)에 배치함으로써 차종이 다르더라도 유사한 섀시 작업의 특성상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병렬생산라인(300)에는 차종별로 트림 라인을 연속하여 구성할 수 있어 생산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병렬생산라인(300)의 서브라인(300)에는 고유의 작업이 할당된 복수의 셀이 직렬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서브라인들은 일부 작업의 경우 해당하는 셀을 공유할 수 있다.
즉, 병렬생산라인(300)의 서브라인(300)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실내외트림작업셀, 옵션품장착셀, 범퍼장착셀, 휠장착셀, 도어장착셀로 구성되고, 서브라인에 해당하는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각각의 셀을 통과하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서브라인의 옵션품장착셀, 휠장착셀, 도어장착셀은 전체 서브라인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서브라인이 옵션품장착셀, 휠장착셀, 도어장착셀을 상호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실내외트림작업셀(310,320,330)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셀(310), 제2셀(320), 제3셀(330)로 구성되고, 제1셀(310)은 도면에서 T수동으로 표현되었으며, 차량의 와이어링 설치, 시트벨트설치, 루프랙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외트림작업셀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셀, 제2셀, 제3셀로 구성되고, 제2셀(320)은 도면에서 TA로 표현되었고, 크래쉬패드설치, 헤드라이닝설치, 워셔액리저버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실내외트림작업셀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셀, 제2셀, 제3셀로 구성되고, 제3셀(330)은 도면에서 F1수동으로 표현되었고, 실내트림설치, 실내콘솔설치, 공조덕트설치, 플로어카페트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옵션품장착셀(340)은 도면에서 FA1으로 표현되었고, 시트설치, 글래스설치, FEM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범퍼장착셀(350)은 도면에서 F2수동으로 표현되었고, 범퍼설치, 페달설치, 와이퍼설치, 와이어링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휠장착셀(360)은 도면에서 FA2로 표현되었고, 휠설치, 타이어설치, 언더커버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장착셀(370)은 도면에서 F3수동으로 표현되었고, 도어와 웨더스트립 등이 설치된다.
각각의 차량들은 해당하는 차종별로 서브라인이 배치되고, 서브라인을 따라 이동하며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그리고 서브라인에서 토출된 차량은 순서대로 검사라인(500)에 투입되어 각종 검사와 테스트를 받는 것이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생산라인과 검사라인은 각각 양측에 마련되고 병렬생산라인은 직렬생산라인과 검사라인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병렬생산라인의 복수의 서브라인은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며, 생산대수가 많은 차종일수록 상부에 배치된 서브라인을 통과할 수 있다.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4의 경우 생산대수가 가장 많은 차량, 예를들어 소형차의 경우 가장 상위에 위치하는 서브라인(300)을 통하여 생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를 통하여 생산대수가 가장 많은 차량을 가급적 직선에 가까운 이동궤적을 형성하여 가장 빠르게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의 경우는 FA1 셀을 공유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서로 다른 서브라인들(300,300')이 중간에 위치하는 옵션품장착셀을 공유함으로써 생산을 효율적으로 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예를들어 옵션품장착셀과 같이, 차종마다 다양하지 않거나 또는 작업이 비교적 빠른 공정을 담당하는 셀의 경우 복수의 서브라인들이 셀을 공유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공간활용도를 높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서브라인의 옵션품장착셀, 휠장착셀, 도어장착셀은 전체 서브라인의 개수(4개)보다 적은 개수(2~3개)로 마련되어 각각의 서브라인이 옵션품장착셀, 휠장착셀, 도어장착셀을 상호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소형차 등과 같이 생산 흐름이 비교적 빠른 차종의 경우에는 이동거리가 가장 짧은 서브라인(300)을 활용하고, 대형차 등의 경우 생산 대수가 적기 때문에 아래의 서브라인(300')을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차종의 혼류 생산이 가능하고 혼류 생산시 생산 경로를 이원화하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셀들은 수작업이 이루어지는 수동셀과 로봇이 자동을 조립을 수행하는 자동셀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도 2의 경우는 수동셀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3의 경우는 자동셀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그리고 각각의 셀은 공장 내에서 쉽게 이동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셀의 재배치를 통하여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고, 특정 서브라인의 정비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여분의 서브라인을 추가하고 정비를 수행함으로써 생산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에 따르면, 차량 생산시 다차종의 생산을 통하여 고객 니즈의 다양성을 흡수할 수 있고, 공정 중 이상 발생시에도 생산을 지속하며 셧다운 및 별도의 공사 없이 생산량의 증대가 가능하고, 각 셀의 운영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유연성이 확보되며, 빠른 제품 사이클 변화에 의한 생산 설비의 빠른 변화가 가능하고 외곽에 위치한 공장이 아닌 도심의 건물내 공장에서도 설치 및 운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직렬생산라인 300 : 병렬생산라인
500 : 검사라인

Claims (15)

  1. 하나의 생산시스템을 통하여 다양한 차종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으로서,
    직렬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셀로 구성되며, 모든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생산작업이 이루어지는 직렬생산라인;
    병렬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라인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서브라인에는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셀이 마련되며, 차종별로 서브라인이 매칭됨으로써 직렬생산라인을 통과한 차량이 차종별로 해당하는 서브라인에 투입되는 병렬생산라인; 및
    병렬생산라인을 통과한 모든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검사라인;을 포함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직렬생산라인은 사전작업 및 섀시 설치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직렬생산라인은 직렬로 배치된 복수의 셀로 구성되고, 각각의 셀은 사전작업 및 섀시 설치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직렬생산라인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사전작업셀, 섀시정렬작업셀, 구동모듈설치셀, 섀시장착셀로 구성되고, 모든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각각의 셀을 통과하며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병렬생산라인의 서브라인에는 고유의 작업이 할당된 복수의 셀이 직렬적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서브라인들은 일부 작업의 경우 해당하는 셀을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병렬생산라인의 서브라인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실내외트림작업셀, 옵션품장착셀, 범퍼장착셀, 휠장착셀, 도어장착셀로 구성되고, 서브라인에 해당하는 차종의 차량이 순차적으로 각각의 셀을 통과하며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서브라인의 옵션품장착셀, 휠장착셀, 도어장착셀은 전체 서브라인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마련되어 각각의 서브라인이 옵션품장착셀, 휠장착셀, 도어장착셀을 상호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실내외트림작업셀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셀, 제2셀, 제3셀로 구성되고, 제1셀은 차량의 와이어링 설치, 시트벨트설치, 루프랙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실내외트림작업셀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셀, 제2셀, 제3셀로 구성되고, 제2셀은 크래쉬패드설치, 헤드라이닝설치, 워셔액리저버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실내외트림작업셀은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셀, 제2셀, 제3셀로 구성되고, 제3셀은 실내트림설치, 실내콘솔설치, 공조덕트설치, 플로어카페트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옵션품장착셀은 시트설치, 글래스설치, FEM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12. 청구항 6에 있어서,
    범퍼장착셀은 범퍼설치, 페달설치, 와이퍼설치, 와이어링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13. 청구항 6에 있어서,
    휠장착셀은 휠설치, 타이어설치, 언더커버설치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직렬생산라인과 검사라인은 각각 양측에 마련되고 병렬생산라인은 직렬생산라인과 검사라인의 사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병렬생산라인의 복수의 서브라인은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며, 생산대수가 많은 차종일수록 상부에 배치된 서브라인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KR1020210008682A 2021-01-21 2021-01-21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KR2022010583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682A KR20220105832A (ko) 2021-01-21 2021-01-21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JP2021169009A JP2022112470A (ja) 2021-01-21 2021-10-14 並列型セルベースのモビリティ生産システム
US17/450,893 US11858572B2 (en) 2021-01-21 2021-10-14 Parallel cell based mobility production system
EP21203147.0A EP4032789A1 (en) 2021-01-21 2021-10-18 Parallel cell based mobility production system
CN202111319163.2A CN114802542A (zh) 2021-01-21 2021-11-09 基于并联单元的移动生产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682A KR20220105832A (ko) 2021-01-21 2021-01-21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832A true KR20220105832A (ko) 2022-07-28

Family

ID=7850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682A KR20220105832A (ko) 2021-01-21 2021-01-21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858572B2 (ko)
EP (1) EP4032789A1 (ko)
JP (1) JP2022112470A (ko)
KR (1) KR20220105832A (ko)
CN (1) CN1148025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107A (ko) 2017-11-01 2019-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서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90927T1 (de) 1991-04-01 1994-01-13 Fanuc Robotics North America Verfahren und System zur flexiblen Montage von Baugruppen
US5272805A (en) * 1991-04-01 1993-12-28 Fanuc Robotics North America, Inc. System for the flexible assembly of assemblies
JP3547118B2 (ja) * 1998-07-17 2004-07-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組立ライン
CN1195604C (zh) 1999-12-28 2005-04-06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生产线的构筑方法、车身组装方法、及车身组装线
JP3898428B2 (ja) 2000-09-07 2007-03-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組立ラインのタクト設定方法
JP3879968B2 (ja) 2000-09-21 2007-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組立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組立方法
DE10208850A1 (de) * 2002-03-01 2003-09-1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Montagewerk für die Montage von industriellen Produkten
JP2003267278A (ja) 2002-03-15 2003-09-25 Honda Motor Co Ltd 車体組立ライン
US6912774B2 (en) * 2002-05-09 2005-07-05 Progressive Tool & Industries Co.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y of motorcycle frame
US20050198804A1 (en) * 2003-06-19 2005-09-15 Yoram Koren Honeycomb reconfigurable manufacturing system
US8108989B2 (en) * 2007-06-28 2012-02-07 Crown Equipment Corporation Manufacturing cell and elements of the cell
US8229586B2 (en) * 2007-12-12 2012-07-24 Comau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 complex product in a parallel process system
JP5193336B2 (ja) 2011-06-10 2013-05-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組立ライン
DE202015106459U1 (de) * 2015-11-27 2017-03-02 Kuka Systems Gmbh Fertigungseinrichtung
KR101684105B1 (ko) * 2015-05-06 2016-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고전압배터리 자동 장착 시스템 및 장치 그리고 방법
DE102017103931A1 (de) * 2017-02-24 2018-08-30 Eisenmann Se Fördersystem und Verfahren zum gleichzeitigen Transport von Werkstücken und Werkern
US10065694B1 (en) * 2017-05-18 2018-09-04 Honda Motor Co., Ltd. Vehicle assembly
US20190185085A1 (en) * 2017-11-10 2019-06-20 Hirotec America, Inc. Modular production lin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107A (ko) 2017-11-01 2019-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서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02542A (zh) 2022-07-29
EP4032789A1 (en) 2022-07-27
JP2022112470A (ja) 2022-08-02
US20220227440A1 (en) 2022-07-21
US11858572B2 (en)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6521B2 (en) Elevator system
EP1016586B1 (en) Vehicle assembly line
US6915571B2 (en) Automobile assembling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utomobiles
US4917228A (en) Method of sorting vehicle bodies by the colors of coating expected thereon in a vehicle body coating line
JP4262605B2 (ja) 産業製品を組み立てるための組立工場
JP3898428B2 (ja) 車両組立ラインのタクト設定方法
KR20220105833A (ko)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KR20220105832A (ko) 병렬형 셀 기반 모빌리티 생산시스템
CN114013537A (zh) 一种柔性化汽车生产线与生产方法
CZ35703U1 (cs) Výrobní sestava pro flexibilní automatickou výměnu upínacích zařízení
CN105319073B (zh) 车辆的位置对准装置和使用该装置的检查方法
CN111496550A (zh) 一种新型作业流水线
CN1689891A (zh) 车辆组装线
US20090321218A1 (en) Vehicle Assembling Line System
JP2871357B2 (ja) 物品組立ラインの電車制御方法
EP4036676A1 (en) Method for operating cell based mobility production system
CN207955847U (zh) 汽车总装线发动机自动运输系统
CN212823883U (zh) 一种新型作业流水线
CN211003252U (zh) 一种智能运输产线
WO2023141886A1 (zh) 车辆总装生产线和车辆总装的方法
JPH0885092A (ja) 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
CN113479597A (zh) 一种兼容长短橇滚床输送的控制系统及方法
JP2004090924A (ja) 車両の組立ライン
CN117622355A (zh) 车辆生产线以及车辆生产方法
CN117836199A (zh) 用于制造用于汽车的车身壳的方法以及制造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