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5532A -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5532A
KR20220105532A KR1020210008349A KR20210008349A KR20220105532A KR 20220105532 A KR20220105532 A KR 20220105532A KR 1020210008349 A KR1020210008349 A KR 1020210008349A KR 20210008349 A KR20210008349 A KR 20210008349A KR 20220105532 A KR20220105532 A KR 20220105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sy
peel
resin
composi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1535B1 (ko
Inventor
박종협
김홍석
권대현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8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535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개시물에는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이지필층 조성물을 포함하는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계 기반 기재에 저온 실링이 가능하고 실링 강도를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EASYPEEL FILM, EASYPEEL FILM FORMED FROM THE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물에는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과거 식품 포장용 필름 제품은 접착력이 우수한 제품이 각광을 받아 왔으나, 최근 들어 간편식 등의 인스턴트 식품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개봉 용이성 측면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등장한 것이 개봉이 용이한 이지필 (Easypeel) 필름이다.
일반적으로 이지필 필름은 상용성이 다른 고분자들로 구성되어 접착되는 기재와 필름 간의 상용성-비상용성 특성의 적절한 분포에 의해 접착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사용되는 고분자의 선정 및 혼합 비율 등이 이지필 특성을 결정짓는 핵심기술이라 할 수 있다. 혼합비가 적절하지 못할 경우, 강도가 너무 높거나 낮아 제품 포장이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지필 필름의 접착 강도가 너무 낮으면 제품의 이동, 운송 중에 흔들림 및 충격에 의해 내용물이 빠져나올 수 있으며, 반대로 접착 강도가 너무 높으면 제품의 개봉이 어려워 어린이나 노약자 등이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올레핀 (PE 또는 PP) 기재에 대한 이지필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폴리올레핀과의 상용성-비상용성 블렌드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상용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기재와 접착 가능하도록 하고, 비상용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기재와 쉽게 박리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폴리에스테르계 (PET) 기재에 대한 이지필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MA-graft 폴리올레핀, EVA, EMA, EBA, EAA 등과 같은 접착성 수지가 포함된 컴파운딩 수지를 이지필 필름의 실란트층으로 사용한다. 폴리에스테르계 (PET) 기반 기재의 예시로는, 실생활에서 사용되는 아이스커피용 얼음 용기, 항공 기내식 식수용기, 각종 젤리 용기 등이 있다.
KR 2001-0057618 A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폴리에스테르계 기반 기재에 저온 실링이 가능하고 실링 강도를 향상시켜 주는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상기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상기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base layer)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이지필층 (easypeel layer) 조성물을 포함하는,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수지는 2.16 kg의 하중으로 230 ℃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3.0 내지 5.0 g/10min이고, 용융온도가 53 내지 105 ℃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재로 포함하고 접착성 수지가 함유된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는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okyo, Japan)의 상품명 MODICTM Z051F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이지필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9 내지 99.9 중량%의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이지필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1 중량%의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상기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베이스층;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이지필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층을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베이스층과 이지필층은 각각 20 내지 30 ㎛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 필름은 150 내지 200 ℃에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에 대해 400 내지 1100 gf/15mm의 접착력으로 실링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상기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베이스층;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이지필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층을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공압출기로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폴리에스테르계 기반 기재에 저온 실링이 가능하고 실링 강도를 향상시켜 주는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개시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base layer)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이지필층 (easypeel layer) 조성물을 포함하는,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은, 베이스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베이스층과 이지필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이지필층의 두 개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공하며, 상기 이지필 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 예컨대 PET 시트 또는 PET 용기에 저온 실링이 가능하고 실링 강도가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2액형이 아닌 하나의 조성물로 컴파운딩하여 단일층으로 이지필 필름을 형성하는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에 실링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에 대해 이지필 특성을 갖기 위한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이지필층 조성물을 포함하는 2액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에서 폴리부틸렌 수지를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아닌 폴리에틸렌 수지와 컴파운딩하는 경우 상용성은 괜찮으나 폴리에틸렌 수지에 의해 이지필 필름의 내열성이 떨어지고, 폴리부틸렌 수지를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아닌 폴리스타이렌 수지와 컴파운딩하는 경우 폴리스타이렌의 기본적인 강성 (rigidity)으로 인해 이지필 필름의 연성이 떨어지므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에서 폴리부틸렌 수지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컴파운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접착성 수지는 이오노머, 말레산무수물 그래프트 폴리올레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EVA), 에틸렌부틸아세테이트 (EBA), 에틸렌메틸아세테이트 (EMA) 및 에틸렌아크릴산 (EAA)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것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수지는 2.16 kg의 하중으로 230 ℃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3.0 내지 5.0 g/10min이고, 용융온도가 53 내지 105 ℃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수지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924121호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문헌은 그 내용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써 통합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수지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된 DSC 융점 (Y)이 53 ~ 105 ℃ 범위를 만족하도록 하는 단량체 몰비 (X)로 1-부텐 단위부와 프로필렌 단위부가 포함된 공중합체로서, 호모 폴리부텐-1에 대비하여 파단신율, 파단인장강도, 파단탄성계수가 개선된 1-부텐계 공중합체인 것일 수 있다.
[수학식 1]
Y = 199.9X2 - 238.5X + 123.4
(상기 수학식 1에서, X는 프로필렌/1-부텐의 단량체 몰비를 나타내고, Y는 DSC 융점 (℃)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수지는 (A) 지글러-나타 타입의 주촉매, (B) 알루미늄계 조촉매 및 (C) 실란계 조촉매가 특정 함량비를 이루는 촉매계 내에서 1-부텐 60 ~ 92 몰%와 프로필렌 8 ~ 40 몰%를 벌크중합하여 제조하는 1-부텐계 공중합체인 것일 수 있다. 상기 (A) 지글러-나타 타입의 주촉매는 상기 프로필렌/1-부텐의 단량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Ti 함량이 0.1 ~ 10 ppm 범위로 포함되고, 상기 (B) 알루미늄계 조촉매는 Ti 함량 대비하여 50 ~ 500 몰비 범위로 포함되고, 상기 (C) 실란계 조촉매는 Ti 함량 대비하여 1 ~ 100 몰비 범위로 포함되고, 상기 (B) 알루미늄계 조촉매와 상기 (C) 실란계 조촉매는 (B)/(C)의 몰비가 5 ~ 18 범위를 유지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폴리부틸렌 수지는 1-부텐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 60 ~ 92 몰%와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 8 ~ 40 몰%를 함유하며, DSC 융점이 53 ~ 105 ℃이고, 파단신율이 400 ~ 800%이고, 파단인장강도가 400 ~ 500 ㎏f/㎠이고, 파단탄성계수가 2000 ~ 3500 ㎏f/㎠인 1-부텐계 공중합체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재로 포함하고 접착성 수지가 함유된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에서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이지필 필름용 수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재로 포함하고 접착성 수지가 컴파운딩되어 있는 이지필 필름용 수지를 말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는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okyo, Japan)의 상품명 MODICTM Z051F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는 폴리부틸렌 수지와 블랜딩하였을 때 이지필 특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MODICTM Z051F는 ISO R-1133에 따라 측정시 190 ℃ 및 21.2 N의 하중 하에서 2.4 g/10min의 MFR (melt flow rate), ISO R-1133에 따라 측정시 0.93 g/cm3의 밀도, 100 ℃의 녹는점, ISO R-527에 따라 측정시 7 MPa의 파단 인장 강도 (Tensile Strength at break), ISO R-527에 따라 측정시 500%를 초과하는 파단 인장 신율 (Tensile Elongation at break)을 갖는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이지필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9 내지 99.9 중량%의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이지필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9 중량% 이상, 90 중량% 이상, 91 중량% 이상, 92 중량% 이상, 93 중량% 이상, 94 중량% 이상, 95 중량% 이상, 96 중량% 이상, 97 중량% 이상, 98 중량% 이상 또는 99 중량% 이상이고, 99.9 중량% 이하, 99 중량% 이하, 98 중량% 이하, 97 중량% 이하, 96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94 중량% 이하, 93 중량% 이하, 92 중량% 이하 또는 91 중량% 이하의 양으로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이지필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95 내지 99 중량%의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이지필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1 중량%의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이지필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2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4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이고, 11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9 중량% 이하, 8 중량% 이하, 7 중량% 이하, 6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 4 중량% 이하, 3 중량% 이하, 2 중량% 이하 또는 1 중량% 이하의 양으로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이지필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의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이지필층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2 내지 0.5 중량부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첨가제는 내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촉매 중화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슬립제, 핵제, 난연제, 안료, 염료 등을 예로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접착성 수지로 인한 필름 간의 블로킹을 방지하기 위해 안티블로킹제 (Anti-Blocking)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상기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베이스층;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이지필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층을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베이스층과 이지필층은 각각 20 내지 30 ㎛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베이스층과 이지필층은 각각 20 ㎛ 이상, 22 ㎛ 이상, 24 ㎛ 이상, 26 ㎛ 이상 또는 28 ㎛ 이상이고, 30 ㎛ 이하, 28 ㎛ 이하, 26 ㎛ 이하, 24 ㎛ 이하 또는 22 ㎛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베이스층과 이지필층은 각각 24 내지 26 ㎛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 필름은 베이스층과 이지필층으로 이루어지고 45 내지 55 ㎛, 47 내지 53 ㎛ 또는 49 내지 51 ㎛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 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와의 실링 강도가 개선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지필 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기반의 식품 용기 포장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종래 폴리에스테르계 기재를 대상으로 이지필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은, 필름을 제조할 때 접착성 수지의 스티키성에 의해 필름 압출 시 과한 압력이 걸리거나 필름 제조 후 블로킹이 종종 발생한다. 반면, 본 개시물에 따른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은 필름 압출 시 과한 압력을 완화시키고 필름 제조 후 블로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 필름은 150 내지 200 ℃에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에 대해 400 내지 1100 gf/15mm의 접착력으로 실링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물은 상기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베이스층;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이지필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층을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공압출기로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이지필 필름은 150 ℃, 155 ℃, 165 ℃의 3곳의 Extrusion Zone과 165 ℃, 165 ℃, 180 ℃의 3곳의 T-Die Zone의 압출 공정으로 압출된 필름을 상온 냉각을 통해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물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개시물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물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2-Layer Blown Type의 공압출 설비를 사용하여 베이스층과 이지필층의 두 개의 층을 갖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1 압출기는 폴리올레핀 수지 (한화케미칼 LLDPE 4200)를 사용하여 두께 25 ㎛의 베이스층을 형성하고, 제2 압출기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재로 포함하고 접착성 수지가 함유된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 89.6 중량%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MODICTM Z051F), 폴리부틸렌 수지 (PB, 주식회사 일렘테크놀러지) 10 중량% 및 안티블로킹제 0.4 중량%를 사용하여 두께 25 ㎛의 이지필층을 형성하되, 압출기의 온도 조건은 180 ℃로 하여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되, 제2 압출기에서 이지필층 조성물을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 98.6 중량%, 폴리부틸렌 수지 1 중량% 및 안티블로킹제 0.4 중량%로 구성하여 두께 25 ㎛의 이지필층을 형성하여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되, 제2 압출기에서 이지필층 조성물을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 94.6 중량%, 폴리부틸렌 수지 5 중량% 및 안티블로킹제 0.4 중량%로 구성하여 두께 25 ㎛의 이지필층을 형성하여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되, 제2 압출기에서 폴리부틸렌 수지 대신 폴리에틸렌 수지 (PE, DOW Chemical)를 사용하여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되, 제2 압출기에서 폴리부틸렌 수지 대신 폴리스타이렌 수지 (PS, 금호석유화학)를 사용하여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되, 제2 압출기에서 폴리부틸렌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 99.6 중량% 및 안티블로킹제 0.4 중량%로 이지필층 조성물을 구성하여 두께 25 ㎛의 이지필층을 형성하여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이지필 필름을 사용하고, 250 ㎛의 PET 시트 (진영케미칼)와 이지필 필름의 이지필층을 맞대어 160, 170, 180 ℃의 온도에서 1 s, 0.2 MPa로 열실링한 후, 15 mm의 폭으로 샘플링하고, 상온 하에서 인장시험기 (SHIMADZU TCE-N300)를 사용하여 200 m/min의 속도로 박리될 때의 실링 강도 (접착력)을 측정하여 아래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접착력(gf/15mm)
160℃ 170℃ 180℃
실시예1 500 540 550
비교예1 200 210 210
비교예2 176 184 190
비교예3 150 340 400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이지필 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기반 기재에 대해 340 gf/15mm 이상의 접착력을 가져 폴리에스테르계 기반 기재에 사용 가능한 실링 강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의 이지필 필름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재로 포함하고 접착성 수지가 컴파운딩되어 있는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에 폴리부틸렌 수지를 컴파운딩하여 이지필층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낮은 온도에서 실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지필 필름의 실링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폴리부틸렌 수지는 상기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와 컴파운딩 시 수지의 상용성 또한 우수하였다.
반면,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재로 포함하고 접착성 수지가 컴파운딩되어 있는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에 폴리에틸렌, 폴리스타이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수지를 컴파운딩한 비교예 1 및 2의 이지필 필름의 경우, 폴리에스테르계 기반 기재에 대해 실링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1의 이지필 필름은 낮은 온도에서 실링은 가능하였으나 실링 강도가 낮았고, 폴리스타이렌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2의 이지필 필름은 필름 압출 시 필름의 연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1의 이지필 필름은 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지는 반면, 폴리부틸렌 수지를 사용한 실시예 1의 이지필 필름은 필름의 투명성이 떨어지지 않는 이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분 접착력(gf/15mm)
160℃ 170℃ 180℃
실시예1 500 540 550
실시예2 600 700 770
실시예3 600 800 1000
또한, 상기 이지필층에서 폴리부틸렌 수지 함량에 따른 실링 강도를 비교한 결과, 폴리에스테르계 기반의 기재에 대해 150 내지 200 ℃에서 저온 실링할 때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재로 포함하고 접착성 수지가 컴파운딩되어 있는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에 폴리부틸렌 수지를 1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컴파운딩한 이지필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에서 우수한 실링 강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개시물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개시물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base layer)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이지필층 (easypeel layer) 조성물을 포함하는,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인,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인,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부틸렌 수지는 2.16 kg의 하중으로 230 ℃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3.0 내지 5.0 g/10min이고, 용융온도가 53 내지 105 ℃인,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재로 포함하고 접착성 수지가 함유된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는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okyo, Japan)의 상품명 MODICTM Z051F인,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이지필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89 내지 99.9 중량%의 상용화 이지필 필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필층 조성물은 이지필층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1 중량%의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액형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베이스층;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이지필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층을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층과 이지필층은 각각 20 내지 30 ㎛의 두께를 갖는 것인,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지필 필름은 150 내지 200 ℃에서 폴리에스테르계 기재에 대해 400 내지 1100 gf/15mm의 접착력으로 실링하는 것인,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
  12. 제 9항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베이스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베이스층;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수지 및 폴리부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이지필층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층을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공압출기로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을 제조하는 것인, 두 개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의 제조방법.
KR1020210008349A 2021-01-20 2021-01-20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1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349A KR102561535B1 (ko) 2021-01-20 2021-01-20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349A KR102561535B1 (ko) 2021-01-20 2021-01-20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532A true KR20220105532A (ko) 2022-07-27
KR102561535B1 KR102561535B1 (ko) 2023-08-01

Family

ID=82701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349A KR102561535B1 (ko) 2021-01-20 2021-01-20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5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639A (ja) * 1986-07-23 1988-02-06 花王株式会社 吸液性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57618A (ko) 1999-12-23 2001-07-05 유현식 이지필 필름용 수지조성물
KR101767652B1 (ko) * 2016-04-14 2017-08-14 바프렉스 주식회사 이지필 다층필름용 실란트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실란트층을 갖는 다층필름
KR20170113308A (ko) * 2016-03-30 2017-10-12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박리 용이성 실란트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8639A (ja) * 1986-07-23 1988-02-06 花王株式会社 吸液性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57618A (ko) 1999-12-23 2001-07-05 유현식 이지필 필름용 수지조성물
KR20170113308A (ko) * 2016-03-30 2017-10-12 가부시키가이샤 호소카와 요코 박리 용이성 실란트 필름
KR101767652B1 (ko) * 2016-04-14 2017-08-14 바프렉스 주식회사 이지필 다층필름용 실란트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실란트층을 갖는 다층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1535B1 (ko)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6323B2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該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該積層体から得られる延伸フィルム
JP5198387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EP2545131B1 (en) Adhesive composition
JP5611501B2 (ja) 自己粘着性積層体
JP2019006461A (ja) 食品用包装フィルムおよび食品用包装体
JP7163599B2 (ja) 易剥離性フィルム
JP2018127556A (ja) 樹脂組成物、易開封性容器用蓋材及び易開封性容器
JP2020111745A (ja) 接着性樹脂組成物及び積層体
KR102561535B1 (ko) 이지필 필름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이지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6903011B2 (ja)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を含む樹脂組成物、積層体及び成形品
JP2006187939A (ja)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多層フィルム
JP7251153B2 (ja)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JP2009138139A (ja) オレフィン系重合体延伸フイルム
KR20080068639A (ko) 열 밀봉 수지
JP5882974B2 (ja) ストレッチ包装用フィルム
JP700632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易開封性容器用蓋材及び易開封性容器
JP4328244B2 (ja) プロピレン系接着用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積層体
JP6822198B2 (ja) シーラント用接着剤及び易剥離性フィルム
JP7400517B2 (ja) 積層体
JP7081235B2 (ja) 易開封性容器
JP5375454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延伸フィルム
KR102104866B1 (ko)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JP4955469B2 (ja) 積層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37185B2 (ja) プロピレン系ブロック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WO2024009724A1 (ja) レトルト包装用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および、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