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4866B1 -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 Google Patents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4866B1
KR102104866B1 KR1020180046960A KR20180046960A KR102104866B1 KR 102104866 B1 KR102104866 B1 KR 102104866B1 KR 1020180046960 A KR1020180046960 A KR 1020180046960A KR 20180046960 A KR20180046960 A KR 20180046960A KR 102104866 B1 KR102104866 B1 KR 102104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ethylene
heat
polypropylene
alpha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3159A (ko
Inventor
김상우
김원일
남세현
맹영재
배진성
이정호
함지운
Original Assignee
효성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6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4866B1/ko
Publication of KR20190123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3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4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4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텐의 삼원 공중합체; (b)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및 (c) 1-옥텐 함량이 20~30%이고, 밀도가 0.900~0.910인 에틸렌-옥텐 고무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1~10 g/10 min의 용융지수, 120~135℃의 용융온도, 0.1N 내지 0.2N 의 용융 강도, 105℃ 이하의 열접착 개시 온도를 나타내고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성인 분획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과 가공성이 우수하여 우수한 품질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THERMAL ADHESION FILM AND POLYPROPYLENE THERMAL ADHESION FILM}
본 발명은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성과 가공성이 향상된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은 식품 또는 의약품 포장의 내면에 도포되는 열접착 보호 필름으로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열접착 보호 필름은 식품 또는 의약품 포장의 내표면에 도포되어 식품 또는 의약품을 보호하는 동시에 서로 마주보는 내면의 필름이 열에 의해 접착되어 식품 또는 의약품을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포장시 생산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열접착 온도를 높여 열접착 시간을 줄이거나, 열접착층에 사용되는 수지의 열접착 온도를 낮추는 방법이 있는데, 고온에서 접착 시에는 열에 의해 필름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낮은 열접착온도를 갖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포장 시 압출기 다이 폭보다 압출된 필름 폭이 좁아지는 현상 및 필름의 폭이 일정하지 않은 현상이 발생하여 고속 가공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특개소45-33298호에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밀도 0.917~0.930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5~15 wt% 첨가하여 가공속도를 개선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첨가량이 많고 투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 특허 공개 제2001-0006497호는, 올레핀 공중합체, 단독중합체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비 및 고유 점도비를 조절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투명성이 충분하지 않아 사출 제품 등과 같이 두께가 두꺼운 제품에 대하여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국내 특허 공개 제2009-0057617호는, 비닐 고리형 포화탄화수소의 분산도를 높여 고투명성 폴리프로필렌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촉매 개발이 우선되어야 하며, 중합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국내특허공개 제2007-0136526호에서는 에틸렌, 부텐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삼원공중합체를 이용해 얻어진 식품 포장용 열접착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프로필렌 열압착 필름은 열접착 온도는 개선되지만 블로킹제의 첨가량이 많고 투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투명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투명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텐의 삼원 공중합체;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및
1-옥텐 함량이 20~30%이고, 밀도가 0.900~0.910인 에틸렌-옥텐 고무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1~10 g/10 min의 용융지수, 120~135℃의 용융온도, 0.1N 내지 0.2N 의 용융 강도, 105℃ 이하의 열접착 개시 온도를 나타내고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성인 분획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부텐 삼원 공중합체는 0.5~3 wt%의 에틸렌 유래의 단위, 10∼15 중량%의 부텐 유래의 단위 및 잔량의 프로필렌 유래의 단위를 포함하고, 용융지수가 1.0∼10.0 g/10 min(230℃)이고, 용융온도가 120∼135℃이다.
상기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0.5∼10 중량%의 알파올레핀 유래의 단위를 갖고, 용융지수가 1.0∼10.0 g/10 min(230℃)이고, 밀도가 0.89∼0.91 g/㎤인 것이다.
상기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헤테로상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텐의 삼원 공중합체 80~90 중량%;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 및 (c) 에틸렌-옥텐 고무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필름은 식품 또는 의약품 포장에 열접착 보호 필름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넓은 온도의 범위에서 투명성이 우수하고 가공성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과 투명성이 우수하면서도 인쇄성, 성형성, 라미네이트성 등의 품질 또한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은 식품 또는 의약품 포장에 열접착 보호필름으로서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a)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텐의 삼원 공중합체;
(b)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및
(c) 1-옥텐 함량이 20~30%이고, 밀도가 0.900~0.910인 에틸렌-옥텐 고무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1~10 g/10 min의 용융지수, 120~135℃의 용융온도, 0.1N 내지 0.2N의 용융 강도, 105℃ 이하의 열접착 개시 온도를 나타내고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성인 분획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의 삼원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이와 함께, 프로필렌으로부터 유래된 적어도 90 ~99.5중량% 단위 및 C4-C10 알파 올레핀으로부터 유래된 0.5 내지 10 중량% 단위를 갖는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로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열접착 필름이 더욱 낮은 온도에서도 열접착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향상된 안티블로킹성 및 투명성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각 구성 성분별로 구체적으로 살피면 다음과 같다.
a) 프로필렌-에틸렌- 부텐 삼원공중합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의 삼원 공중합체를 포함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의 삼원 공중합체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열접착 필름이 낮은 온도에서 열접착될 수 있고 우수한 안티블로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부텐 삼원 공중합체는 0.5~3 wt%의 에틸렌 유래의 단위, 10∼15 중량%의 부텐 유래의 단위 및 잔량의 프로필렌 유래의 단위를 포함하고, 밀도가 0.89∼0.91g/㎤인 삼원공중합체이다.
상기 삼원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에 0.5~3 몰%의 에틸렌 및 1.5~10 몰%의 부텐이 공중합된 랜덤 공중합체로 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에 1~2 몰%의 에틸렌 및 2~6 몰%의 부텐이 공중합된 랜덤 공중합체로 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 이러한 삼원 공중합체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조성물로 형성된 열접착 필름의 가공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삼원 공중합체를 포함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평균 입경이 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2 mm 이하의 파우더 형태를 띨 수 있고, 용융지수가 1.0~10 g/10min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가용분을 2~8 중량%, 바람직하게는 4~6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가 이러한 특성을 가짐에 따라, 더욱 향상된 열접착 강도를 나타내고, 젖음지수의 경시변화가 작아질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의 삼원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80~90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된다. 상기 프로필렌, 에틸렌 및 부텐의 삼원 공중합체의 함량이 80 중량% 미만이면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의 기계적 물성, 예를 들어, 강력 또는 충격강도 등이 저하될 수 있고, 90 중량%를 초과하면 열접착 필름의 열접착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기 어렵고 안티블로킹성이 저하될 수 있다.
b) 프로필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상기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0.5~10 wt%의 알파올레핀 유래의 단위를 포함하고, 용융지수가 1.0∼10.0 g/10 min(230℃)이고, 용융온도가 120∼135℃이며, 밀도가 0.89~0.91 g/㎠인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상기 프로필렌-에틸렌-부텐 삼원공중합체를 제조한 후 이어지는 일련의 반응장치에서 프로필렌, 알파올레핀과 분자량 조절제인 수소를 주입하고 50 ~ 100℃의 반응온도 및 5 ~ 50 bar의 압력하에서 중합시간 약 30분 ~ 3시간 동안 중합 반응을 실시하여 탄성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에서 알파올레핀의 함량은 0.5~10.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알파올레핀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프로필렌-에틸렌-부텐 삼원공중합체와의 상용성이 높아 투명성은 우수하나 강성과 충격강도, 특히 저온충격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파올레핀은 에틸렌 또는 탄소수 4~10개인 알파올레핀이며,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 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켄, 4-메틸-1-펜텐, 3-메틸-1-펜텐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알파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슬러리 중합, 벌크 및 기상 중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기상 중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상기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상기 프로필렌-에틸렌-부텐 삼원공중합체의 고유 점도수에 대한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자이렌 용해분의 고유 점도수의 비(IV-b/IV-a)가 0.3 ~ 1 이 되도록 용융지수 0.5 ~ 150 g/10분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범위에 해당되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 투명성과 내충격성이 증가한다.
본 발명에서는 알파 올레핀의 함량이 5 ~ 20 wt%인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헤테로상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어 "헤테로상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는 비정질상이 분산되어 있는 결정성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상을 의미한다. 헤테로상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우수한 투명성과 유연성을 제공한다. 헤테로상 프로필렌/알파 올레핀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1 ~ 20 g/10분이 바람직하다. 용융지수가 1g/10분 이하이면 원하는 정도의 투명성을 얻을 수 없고, 20 g/10분 이상이면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10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c)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에틸렌 유래의 단위를 90 내지 96 몰%로 포함하고, 나머지는 옥텐을 포함한다.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실질적으로 선형 폴리에틸렌 중합체 및 균질하게 분지된 선형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된다.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제조 공정, 예컨대 기상, 용액, 또는 슬러리 중합체 제조 공정의 이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에틸렌-옥텐 공중합체의 용융지수(MI)는 1 내지 10 g/10분이다.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중량%의 결정화도를 갖는다. 에틸렌 1-옥텐 공중합체의 경우, 상기 결정화도는 1-옥텐 유래의 중합 단위 14 내지 25 중량%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본 발명을 이루는 핵심 성분으로서 고용융지수, 저분자량 성분이지만 경도가 낮게 유지되면서 용융장력 및 기계적 물성 저하가 없어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성분이다. 상기 에틸렌-옥텐 고무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옥텐 함량이 20~30 중량%이고, 밀도가 0.900 내지 0.910 g/㎖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옥텐 함량이 20 중량% 미만 시 충격강도가 저하되고, 30 중량% 초과한 공중합체는 낮은 분자량으로 인해 사출 성형 시 이형성이 떨어지고 용융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밀도가 0.900 g/㎖ 미만 시 사출 성형성이 취약해지고, 0.910 g/㎖ 초과 시 용융 강도가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첨가제, 예를 들어 결정 핵제,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미끄럼제, 대전방지제, 블로킹 방지제, 충전제, 점도 조정제, 착색 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1~10 g/10 min의 용융지수, 120~135℃의 용융온도, 0.1N~0.2N 의 용융 강도, 105℃ 이하의 열접착 개시 온도를 나타내고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성인 분획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MI)가 1.0 g/10min 미만이면 필름 가공 시 가공기기에 부하가 과도하게 걸리고 용융된 수지의 흐름성이 불균일하여 필름 표면이 거칠어지며, 용융지수가 10.0 g/10min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용융 강도가 떨어져 필름 성형 시 작업성이 떨어지며 필름 강도가 저하된다.
용융온도(Tm)는 125~135℃의 범위 내인데, 용융온도가 125℃ 미만이면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생산공정상 어려움이 있으며, 135℃를 초과하면 열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열접착 개시 온도는 105℃ 이하로, 낮은 온도에서 빠른 열접착을 보장하기 때문에, 밀봉될 제품이 고온에 노출되지 않아도 되고, 낮은 열접착 개시 온도는 그 만큼 비용 절감을 가져온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성인 분획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다. 상기 자일렌 중 가용성 분획의 함량이 낮을수록 끈적거리는 성질이 낮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가공 및 열접착 과정에서 공정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극히 낮다.
또한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0.1N 내지 0.2N의 범위의 용융 강도를 갖는다. 제막성의 관점에서 용융 강도가 높을수록 필름 두께의 균일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고, 치밀한 표면 형성이 되기 쉽다. 용융 강도가 0.1N 미만이면 필름 두께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한편, 0.2 N을 초과하면 바람직한 필름 두께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용융 강도는 멜트 상의 수지의 강도를 의미하며 일정 0.1N~0.2N 이상의 용융 강도 유지되어야 넥크인(압출기 다이 폭보다 압출된 필름 폭이 좁아지는 현상) 및 위빙(필름의 폭이 일정하지 않은 현상)이 개선되어 고속 가공이 가능해지며 0.2 N을 초과하면 흐름성 저하로 가공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에틸렌-옥텐 공중합체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10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특성은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만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 조성물에 의해서 제조되는 필름 전체가 만족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에 포함되는 각 구성 성분은 이미 상술한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에 대응하는 것으로, 이들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과 동일한 특성 및 종류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고, 그 함량 역시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의 함량 범위와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은 더욱 향상된 투명성과 가공성을 나타내면서도 우수한 품질, 예를 들어, 우수한 인쇄성, 성형성, 라미네이트성 및 안티블로킹성을 나타냄에 따라, 식품 또는 의약품 포장에 열접착 보호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식품 적용예에서 스팀, 방사선 또는 화학물질에 의한 멸균 가공 시에 필름의 광학적 특성, 즉 투명도가 손상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조성물 및 필름은
낮은 헤이즈 또는 높은 선명도를 충족시켜 포장 재료로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예시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용융지수 5 g/10 min (230℃)이고 용융온도 130℃인 에틸렌-프로필렌-부텐 삼원공중합체에 첨가제로 1차 산화방지제(Iganox-1010) 0.1 중량부, 2차 산화방지제(Igafos-168) 0.1 중량부, 중화제(Tinuvin770DF) 0.05 중량부를 하기 표 1의 함량비로 배합하고, 용융지수 6 g/10min(190℃)이고 용융온도 110℃인 프로필렌/알파올레핀, 및 1-옥텐 함량이 20%이고, 밀도가 0.910인 에틸렌-옥텐 고무를 하기 표 1의 함량비로 혼합한 후, 2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210℃에서 펠렛상의 조성물을 얻었다. 이 조성물을 구경 40 mm 구경의 압출기 및 T-다이를 이용하여 용융온도 240℃에서 압출하여 표면온도 20℃의 냉각수로 급냉하여 필름을 성형하여, 두께 30㎛, 폭 40㎝의 롤상 필름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필름의 제반 물성 및 성능을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6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를 다른 종류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수득하고, 수득한 필름의 제반 물성 및 성능을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비교예 1~4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수득하고, 수득한 필름의 제반 물성 및 성능을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 열접착 필름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4에서 얻은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의 각 물성을 다음의 방법으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용융지수(MI): ASTM D1238DP 의거하여 온도 230℃, 하중 2.16㎏으로 측정하였다.
2) 열접착 개시 온도(SIT): 초기 열접착이 시작되는 온도를 나타내며, 조건은 2 kg 및 0.5초에서 100 g/25 mm 이상의 힘이 작용하기 시작하는 온도로 측정함. SIT 값이 낮을수록 우수한 것을 나타내는데, SIT 이 105℃ 이하이면 "○", 105℃ 초과이면 "X"로 표시하였다.
3) 용융 강도(MS): 멜트 텐션 테스터를 사용하여, 측정 대상의 폴리프로필렌을 230℃로 가열하고, 용융 폴리프로필렌을 압출 속도 15 ㎜/분으로 토출하여 스트랜드로 하고 이 스트랜드를 6.5 m/분의 속도로 인취할 때의 장력을 측정하고, 용융 강도로 측정하였다.
4)투명성(haze): ASTM D1003에 의거하여 투명성을 측정하였으며, 투명성은 헤이즈 값이 낮을수록 우수한 것을 나타내는데, 헤이즈 값이 2.0 이하이면 "○", 2.0 이상이면 "X"로 표시하였다.
수지 조성물 조성 성능 평가
구분 a b c-1 c-2 c-3 c-4 c-5 c-6 MI Tm SIT XS MS Haze
실시예 1 80 10 10 6 129 O 8 0.15 O
실시예 2 80 10 10 6 129 O 8 0.18 O
실시예 3 80 10 10 6 130 O 8 0.10 O
실시예 4 80 10 10 6 129 O 8 0.09 O
실시예 5 90 5 5 6 130 O 8 0.10 O
실시예 6 90 5 5 6 129 O 8 0.10 O
비교예 1 90 10 7 130 O 8 0.05 X
비교예 2 90 10 7 130 X 8 0.12 O
비교예 3 70 20 10 7 130 O 10 0.06 X
비교예 4 70 10 20 7 130 O 9 0.15 X
-성분 (a): 프로필렌-에틸렌-부텐-삼원공중합체,용융온도 130℃, MI(230℃)=7.0 g/10min
-성분 (b):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용융온도 120℃,
-성분 (c-1): 에틸렌-옥텐 고무 (1-옥텐 함량 20 wt%, 밀도: 0.910)
-성분 (c-2): 에틸렌-옥텐 고무 (1-옥텐 함량 30 wt%, 밀도: 0.900)
-성분 (c-3): 에틸렌-옥텐 고무 (1-옥텐 함량 25 wt%, 밀도: 0.910)
-성분 (c-4): 에틸렌-옥텐 고무 (1-옥텐 함량 25 wt%, 밀도: 0.900)
-성분 (c-5): 에틸렌-옥텐 고무 (1-옥텐 함량 10 wt%, 밀도: 0.920)
-성분 (c-6): 에틸렌-옥텐 고무 (1-옥텐 함량 35 wt%, 밀도: 0.890)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6의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은 투명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이에 비해, 비교예 1 내지 2의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은 투명성과 가공성이 충분치 않음이 확인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

  1.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텐의 삼원 공중합체;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및
    1-옥텐 함량이 20~30%이고, 밀도가 0.900~0.910인 에틸렌-옥텐 고무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여기서 1~10 g/10 min의 용융지수, 120~135℃의 용융온도, 0.1 N 내지 0.2 N의 용융 강도, 105℃ 이하의 열접착 개시 온도를 나타내고 실온에서의 자일렌 중 가용성인 분획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부텐 삼원 공중합체는 0.5~3 wt%의 에틸렌 유래의 단위, 10∼15 중량%의 부텐 유래의 단위 및 잔량의 프로필렌 유래의 단위를 포함하고, 용융지수가 1.0∼10.0 g/10 min(230℃)이며,
    상기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0.5∼10 중량%의 알파올레핀 유래의 단위를 갖고, 용융지수가 1.0∼10.0 g/10 min(230℃)이고, 밀도가 0.89∼0.91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는 헤테로상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a) 에틸렌, 프로필렌 및 부텐의 삼원 공중합체 80~90 중량%;
    (b) 프로필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 및
    (c) 에틸렌-옥텐 고무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식품 또는 의약품 포장에 열접착 보호 필름으로서 적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KR1020180046960A 2018-04-23 2018-04-23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KR102104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960A KR102104866B1 (ko) 2018-04-23 2018-04-23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960A KR102104866B1 (ko) 2018-04-23 2018-04-23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159A KR20190123159A (ko) 2019-10-31
KR102104866B1 true KR102104866B1 (ko) 2020-04-28

Family

ID=68420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960A KR102104866B1 (ko) 2018-04-23 2018-04-23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48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854B1 (ko) 2013-08-28 2015-01-20 삼성토탈 주식회사 열접착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필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224A (ko) * 2000-11-24 2002-05-30 유현식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1185710B1 (ko) * 2008-12-05 2012-09-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투명성 및 내충격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70090927A (ko) * 2016-01-29 2017-08-08 주식회사 효성 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854B1 (ko) 2013-08-28 2015-01-20 삼성토탈 주식회사 열접착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다층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3159A (ko) 2019-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341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부터 얻어지는 필름
KR20080055980A (ko) 기계적 특성의 균형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필름
CA2617251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ilm or sheet, stretched film obtained from the film or the sheet, laminate and stretched film obtained from the laminate
KR101598715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것으로 제조된 필름
JP6262350B2 (ja) 耐白化性および耐衝撃性に優れた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EP2925811A1 (en) Pp compounds with alleviated or eliminated tiger stripe and retained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U2010243961A1 (en) Composition and film comprising a C4-C10 alpha olefin containing polyolefin
EP3990539B1 (en) Coupled post-consumer recycled polypropylene and process to provide same
US8258227B2 (en) Laminating resin composition and multilayer structure
KR101185710B1 (ko) 투명성 및 내충격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7410049B2 (ja) 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12229303A (ja) 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体
KR102104866B1 (ko)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JP6948977B2 (ja) 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及び射出成形体
KR100865255B1 (ko) 내충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이를 포함하는 제품
KR20210067265A (ko) 수축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수축필름
KR101738723B1 (ko) 저온 열봉합 특성이 우수한 어텍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S60152543A (ja)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KR20080068639A (ko) 열 밀봉 수지
JPS58113237A (ja) エチレン系重合体組成物
KR100550313B1 (ko) 저온열접착성, 투명성 및 인열강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KR102223243B1 (ko) 내백화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111340B1 (ko) 저온 열봉합성 및 이지필성이 우수한 열접착필름용 삼원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102551304B1 (ko) 투명성, 연질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의료용 필름
KR20170090927A (ko) 필름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