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40224A -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40224A
KR20020040224A KR1020000070206A KR20000070206A KR20020040224A KR 20020040224 A KR20020040224 A KR 20020040224A KR 1020000070206 A KR1020000070206 A KR 1020000070206A KR 20000070206 A KR20000070206 A KR 20000070206A KR 20020040224 A KR20020040224 A KR 20020040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 index
resin composition
density polyethylene
ethylene
ast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은진
Original Assignee
유현식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식,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현식
Priority to KR1020000070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40224A/ko
Publication of KR2002004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22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출코팅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70~89 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3-13 중량%, 중밀도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7~17 중량% 및 가교분해제 0.0001∼0.04 중량% 포함하며, 230℃, 2.16kg조건에서 ASTM D1238 규격에 따른 용융지수가 20∼35g/10분인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고속가공성, 네크인성, 열접착성 및 필름강도가 우수한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olypropylene resine composition for extrusion coating}
본 발명은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속가공성, 네크인성, 강성 및 열접착성이 우수한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OPP 필름을 식품포장용으로 적용시 열접착강도 및 필름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압출코팅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압출코팅용 제품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로는 밀도 0.920g/㎤이하의 가지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강도가 약하여 높은 강도를 요구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어렵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강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압출코팅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네크인성 및 열접착성이 열세하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단독 중합된 폴리프로필렌은 강성이 우수하나, 용융점이 높기 때문에 열접착 등의 후가공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기존의 폴리프로필렌 압출코팅 제품으로 열접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프로필렌-에틸렌-부텐-1의 이원 혹은 삼원 공중합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혼합한 다음 가교분해제를 이용하여 사슬 분해반응을 일으켜 분자량 및 분자량 분포를 조절하여 압출코팅 제품으로 사용한 예도 있다(특1997-009423). 그러나 이 경우 열접착력의 개선이 충분하지 못하고 프로필렌-에틸렌-부텐-1의 낮은 결정화도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낮은 강성으로 인하여 강성이 열세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속가공성, 네크인성, 강성 및 열접착성이 모두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70~89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3-13중량%, 중밀도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7~17중량% 및 가교분해제 0.0001∼0.04중량% 포함하며, 230℃, 2.16kg조건에서 ASTM D1238 규격에 따른 용융지수가 20∼35g/10분인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수지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와 에틸렌과 알파올레핀 모노머로 구성된 중밀도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를 블렌드하고 가교분해제를 첨가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열접착성, 강성, 네크인성, 고속가공성을 보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수지로는 용융온도가 130℃-145℃이며, 230℃, 2.16kg 조건에서 ASTM D1238규격에 따른 용융지수가 5-20g/10분인 것을 70~89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온도가 130℃ 미만이면 압출코팅 제품의 강성이 열세하고, 용융온도가 145℃를 초과하면 열접착성이 열세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계 수지조성물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중밀도 폴리에틸렌 공중합체를 함께 블렌딩하여 폴리프로필렌의 네크인성 및 열접착성, 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는 밀도가 0.92g/㎤이하, 190℃, 2.16kg 조건에서 ASTM D1238에 규격에 따른 용융지수가 5∼10g/10min인 것을 이를 3∼13 중량%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3 중량% 미만인 경우 네크인성을 보완하는 효과가 적으며, 서징, 위빙 등의 가공불량이 발생하기 쉽고, 1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성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블랜드함으로써 조성물의 용융탄성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중밀도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로는 밀도가 0.93~0.94g/㎤, 190℃, 2.16kg인 조건에서 ASTM D1238 규격에 따른 용융지수가 10∼20g/10min인 것을 7-17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블랜드하여 용융장력의 향상과 함께 열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중밀도 폴리에틸렌 제조에 사용되는 코모노머는 부텐-1, 헥센, 옥텐 등 제한을 두지 않는다.
가교분해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에 용융흐름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와 같은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함량은 0.0001∼0.04 중량% 이내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분해제의 첨가량이 0.04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프로필렌 수지가 과다하게 분해되어 분자량분포가 좁아져 네크인이 심하고 위빙 현상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가교분해제를 첨가되어 그 용융지수를 20-35g/10분으로 조절되었다. 용융지수가 20g/10분 미만이면 압출량이 적고 연신성이 열세하여 고속 가공이 불가능하고, 용융지수가 35g/10분을 초과하면 네크인이 불량하고 위빙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교분해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메틸이소부틸케톤퍼옥사이드와 같은 케톤 퍼옥사이드류, 2,4,4-트리메틸펜틴-2-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벤젠하이드로퍼록사이드와 같은 하이드로퍼옥사이드류, 및 이소부틸퍼옥사이드,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1,3-비스(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렌)벤젠,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시)헥산과 같은 디아실퍼옥사이드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는 이외에도 내열안정제, 슬립제, 중화제 등과 같은 통상의 압출코팅 수지 조성물용 각종 첨가제를 본 발명의 특징이 어긋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보편적으로 알려진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및 각 첨가제 성분들을 원하는 순서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다. 통상 공중합체 수지와 각 성분들을 필요한 양으로 첨가하여 니더, 롤, 반바리 믹서 등의 혼련기와 1축 또는 2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혼련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압출 코팅용 재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압출 코팅은 통상의 T-다이법에 의해 성형되며 고속가공성, 네크인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뛰어나며, 가공성을 사용자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BOPP 열접착용, BOPP/CPP 합지용 및 컨테이너 코팅용으로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제반물성의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 용융지수 : ASTM D1238 (230℃, 2.16kg)
- 필름폭 : T-다이(Die)로부터 나오는 용융수지를 오피피 필름에 코팅하여 코팅폭을 측정하여 T-다이폭에 대한 %로 결정하였다. 이때 가공온도는 290℃, T-다이폭은 30cm였다.
- 위빙 : 압출코팅시 폭변화의 정도를 평가하였다.
- 고속가공성 : 압출기를 100RPM으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코팅속도를 점차 증가시켜 파단이 일어나는 속도를 고속가공성으로 평가하였다.
- 열접착온도 : 두장의 필름을 코팅된 면이 마주보게 위치하여 2kgf의 하중 하에, 1.5초간 접착한후, 접착된 필름을 폭 15mm로 재단하여 필름의 계면 박리강도를 측정하였다. 박리강도가 600g일때의 접착온도를 열접착온도로 한다.
- 필름강성 : 코팅된 필름의 강성(Loop Stiffness)을 Loop Stiffness Tester(Toyoseiki社)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시료크기 : 100mm 길이 * 15mm 폭)
실시예 1
용융지수가 15인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삼성종합화학社 제품) 84.98 중량%, 밀도가 0.918이고 용융지수가 7인 저밀도 폴리에틸렌(한화석유화학社 제품 960) 5 중량%, 코모노머가 부텐-1이며, 밀도가 0.935이고 용융지수가 12인 중밀도 폴리에틸렌(삼성종합화학社 제품 R905U) 10 중량%, 가교분해제(PERKADOX14, AKZO NOVEL社) 0.02 중량%를 혼합, 혼련하여 용융지수 28g/10분의 수지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사용하여 필름폭, 고속가공성, 위빙, 열접착온도, 강성을 측정하고 이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가교분해제의 함량을 표 1과 같이 변화시켜 용융지수 27g/10분인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고 필름폭, 고속가공성, 위빙, 열접착온도, 강성을 측정하여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가교분해제의 함량을 표 1과 같이 변화시켜 용융지수 28g/10분인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고 필름폭, 고속가공성, 위빙, 열접착온도, 강성을 측정하여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가교분해제의 함량을 표 1과 같이 변화시켜 용융지수 18g/10분인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고 필름폭, 고속가공성, 위빙, 열접착온도, 강성을 측정하여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공시 위빙 현상이 발생하여 가공성이 열세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2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가교분해제의 함량을 표 1과 같이 변화시켜 용융지수 35g/10분인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고 필름폭, 고속가공성, 위빙, 열접착온도, 강성을 측정하여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속가공성은 양호하나 가공시 필름폭이 좁고 열접착성 및 필름 강성이 열세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가교분해제의 함량을 표 1과 같이 변화시켜 용융지수 35g/10분인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고 필름폭, 고속가공성, 위빙, 열접착온도, 강성을 측정하여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갗이 가공시 필름폭 및 위빙현상은 양호하나 고속가공성이 열세하고, 열접착성 및 필름 강성이 열세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4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가교분해제의 함량을 표 1과 같이 변화시켜 용융지수 30g/10분인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고 필름폭, 고속가공성, 위빙, 열접착온도, 강성을 측정하여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공시 고속가공성이 열세하고 위빙현상이 발생하며, 열접착성이 열세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5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및 가교분해제의 함량을 표 1과 같이 변화시켜 용융지수 28g/10분인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고 필름폭, 고속가공성, 위빙, 열접착온도, 강성을 측정하여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속가공성과 필름 강성이 열세함을 알 수 있다.
프로필렌-에틸렌-부텐공중합체(중량%) 저밀도폴리에틸렌(중량%) 중밀도폴리에틸렌(중량%) 가교분해제(중량%) 조성물의용융지수(g/10분)
실시예 1 84.98 5 10 0.02 28
실시예 2 79.97 5 15 0.03 27
실시예 3 79.97 10 10 0.03 27
비교예 1 84.99 5 10 0.01 18
비교예 2 89.98 5 5 0.02 35
비교예 3 74.98 5 20 0.02 25
비교예 4 84.98 0 15 0.02 30
비교예 5 74.98 15 10 0.02 28
가공성 필름물성
필름폭(%) 고속가공성(m/min) 위빙 열접착온도(℃) 필름강성g
실시예 1 80 300이상 양호 130 0.25
실시예 2 82 300이상 양호 130 0.25
실시예 3 84 300이상 양호 130 0.23
비교예 1 80 150 불량 130 0.25
비교예 2 76 300이상 양호 140 0.15
비교예 3 84 280 양호 140 0.25
비교예 4 80 150 불량 140 0.25
비교예 5 84 200 양호 130 0.15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고속가공성, 네크인성, 열접착성 및 필름강도가 우수한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70~89중량%, 저밀도 폴리에틸렌 3-13중량%, 중밀도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 7~17중량% 및 가교분해제 0.0001∼0.04중량% 포함하며, 230℃, 2.16kg조건에서 ASTM D1238 규격에 따른 용융지수가 20∼35g/10분인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는 용융온도가 130∼145℃이고, 230℃, 2.16kg조건에서 ASTM D1238 규격에 따른 용융지수가 5∼20g/10분인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가 0.92g/㎠ 이하이고, 190℃, 2,16kg 조건에서 ASTM D1238 규격에 따른 용융지수가 5∼10g/10min인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밀도 에틸렌-알파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가 0.93∼0.94g/㎠이고, 190℃, 2,16kg 조건에서 ASTM D1238 규격에 따른 용융지수가 10∼20g/10min인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000070206A 2000-11-24 2000-11-24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20040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206A KR20020040224A (ko) 2000-11-24 2000-11-24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206A KR20020040224A (ko) 2000-11-24 2000-11-24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224A true KR20020040224A (ko) 2002-05-30

Family

ID=1970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206A KR20020040224A (ko) 2000-11-24 2000-11-24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402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159A (ko) * 2018-04-23 2019-10-31 효성화학 주식회사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KR20190123898A (ko) * 2018-04-25 2019-11-04 효성화학 주식회사 저온 열봉합성 및 이지필성이 우수한 열접착필름용 삼원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5934A (ja) * 1982-10-25 1984-04-28 Toa Nenryo Kogyo Kk 押出被覆用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US5288806A (en) * 1992-09-22 1994-02-22 Exxon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c olefins with low viscosity
KR19980075880A (ko) * 1997-04-02 1998-11-16 하태준 압출 라미네이션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0188183B1 (ko) * 1997-02-21 1999-06-01 이영일 저온 열봉합성 및 이지필성이 우수한 압출 라미네이션용 수지 조성물
KR100290080B1 (ko) * 1998-12-18 2001-05-15 이영일 열봉합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라미네이션용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5934A (ja) * 1982-10-25 1984-04-28 Toa Nenryo Kogyo Kk 押出被覆用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US5288806A (en) * 1992-09-22 1994-02-22 Exxon Chemical Patents Inc. Thermoplastic olefins with low viscosity
KR100188183B1 (ko) * 1997-02-21 1999-06-01 이영일 저온 열봉합성 및 이지필성이 우수한 압출 라미네이션용 수지 조성물
KR19980075880A (ko) * 1997-04-02 1998-11-16 하태준 압출 라미네이션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0290080B1 (ko) * 1998-12-18 2001-05-15 이영일 열봉합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라미네이션용 수지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3159A (ko) * 2018-04-23 2019-10-31 효성화학 주식회사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KR20190123898A (ko) * 2018-04-25 2019-11-04 효성화학 주식회사 저온 열봉합성 및 이지필성이 우수한 열접착필름용 삼원공중합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7547A (en) Polyolefin blends containing reactive agents
US9708512B2 (en) Tie-layer adhesives for styrene polymers and articles
EP1749072B1 (en) Adhesive composition having improved clarity for coextruded barrier films
US6933346B2 (en) Sealant for polypropylene and easily openable hermetically sealed package including the same
US5110870A (en) Extensible film or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020040224A (ko)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RU2770368C1 (ru)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полипропилена с улучшенной прозрачностью, ударной вязкостью и жесткостью,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литья тонкостенных изделий,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акой композиции и изделия, изготовленные из нее
JP3396153B2 (ja) 熱成形用樹脂組成物及びシート
KR100762610B1 (ko)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0290080B1 (ko) 열봉합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압출 라미네이션용 수지 조성물
KR100550313B1 (ko) 저온열접착성, 투명성 및 인열강도가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수지 조성물
JP6588293B2 (ja) シーラント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含む積層体
JPH0241539B2 (ko)
KR100375663B1 (ko)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H0430420B2 (ko)
JPH0134522B2 (ko)
KR102104866B1 (ko) 열접착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폴리프로필렌 열접착 필름
JPH11170454A (ja) ポリプロピレン系シート
KR100574682B1 (ko) 압출코팅용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KR100331245B1 (ko) 인쇄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KR100587383B1 (ko) 압출코팅용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20068014A (ko) 용융 장력이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10065313A (ko)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H0214899B2 (ko)
JPH04130148A (ja) エチレン重合体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