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675A -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및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 - Google Patents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및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675A
KR20220104675A KR1020227008188A KR20227008188A KR20220104675A KR 20220104675 A KR20220104675 A KR 20220104675A KR 1020227008188 A KR1020227008188 A KR 1020227008188A KR 20227008188 A KR20227008188 A KR 20227008188A KR 20220104675 A KR20220104675 A KR 20220104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exhaust gas
layered double
carbonate
double hyd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8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218B1 (ko
Inventor
이치로 이토
디안예 한
도시아키 요시오카
도모히토 가메다
Original Assignee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도호쿠다이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고쿠리츠다이가쿠호진 도호쿠다이가쿠 filed Critical 쿠리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8Removing components of undefined structure
    • B01D53/40Acid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1Solid phase processes
    • B01D53/82Solid phase processes with stationary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6Regeneration, reactivation or recycling of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6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 B01J20/0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oxides or hydroxides of metal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0/04 comprising aluminium oxide or hydroxide; comprising baux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40Alkaline earth metal or magnesium compounds
    • B01D2251/402Alkaline earth metal or magnesium compounds of magnesium

Abstract

본 발명은,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의하여 사용이 끝난 아니온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Mg-Al LDH)을 탄산형 Mg-Al LDH로 효율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및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은, 탄산형 Mg-Al LDH를 사용하는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의하여 생성된 아니온형 Mg-Al LDH에, 물 및 농도 5vol%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70℃ 이상의 혼합기체를 접촉시켜, 탄산형 Mg-Al LDH를 재생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및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나 소각시설 등의 연소시설에서 발생하는 산성 배기가스의 처리에 사용된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을 재생하는 방법 및 그 재생수단을 구비하는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에 관한 것이다.
화력발전이나 폐기물소각 등에 있어서 발생하는 연소배기가스 중에는, 염화수소나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의 유해한 산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산성물질을 포함하는 산성 배기가스에 대하여, 상기 산성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의한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산성물질의 제거방법에 있어서 본 출원인은, 복수 종의 산성물질을 동시에 처리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율적인 처리기술로서, 탄산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이하, Mg-Al LDH(Layered Double Hydroxide)라고도 한다)을 이용한 산성 배기가스의 처리방법 및 처리제 등을 제안하고 있다(특허문헌1 참조).
상기 Mg-Al LDH는, 재생시켜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처리제로서, 종래에는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산형 Mg-Al LDH가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사용되어 아니온형 Mg-Al LDH로 변환된 경우에, 이 사용이 끝난 층상 복수산화물을 탄산 수용액과 혼합함으로써 재생시키고 있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6-190199호 공보
상기와 같은 사용이 끝난 층상 복수산화물과 탄산 수용액을 혼합시키는 수단은, 폐기물 소각시설 밖에 설치한 층상 복수산화물 재생시설에 있어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폐기물 소각시설과 층상 복수산화물 재생시설 사이에서의 사용이 끝난 층상 복수산화물 및 재생 층상 복수산화물의 운송이나 폐기물 소각시설과는 별도의 외부시설의 설치 등을 위한 노력 및 비용부담이 크다고 하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용이 끝난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설비를 폐기물 소각시설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탄산 수용액의 저장조나 혼합조 등도 설치 및 접속할 필요가 있어, 설비 전체의 대규모화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의하여 사용이 끝난 아니온형 Mg-Al LDH를 탄산형 Mg-Al LDH로 효율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및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의하여 사용이 끝난 층상 복수산화물을, 물 및 소정량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기체, 특히 상기 산성 배기가스 처리의 처리 후 가스와 접촉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로 재생시킬 수 있다는 발견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4]를 제공하는 것이다.
[1] 탄산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을 사용하는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의하여 생성된 아니온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에, 물 및 농도 5vol%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70℃ 이상의 혼합기체를 접촉시켜, 탄산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을 재생시키는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2] 상기 혼합기체 중의 수분량이 10% 이상인 상기 [1]에 기재되어 있는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3] 상기 산성 배기가스 처리는, 연소시설에서 발생한 산성 배기가스의 처리이고, 상기 처리 후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이외의 산성가스가 제거된 처리 후 가스를 상기 혼합기체에 사용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되어 있는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4] 탄산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을 사용하는 산성 배기가스 처리를 실시하는 수단(1)과, 상기 [1]∼[3]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재생방법에 의한 탄산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을 실시하는 수단(2)를 구비하는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
본 발명에 의하면,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의하여 사용이 끝난 층상 복수산화물을, 대규모의 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온사이트(onsite)에서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로의 재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져, 오프사이트(offsite)의 재생시설에서의 재생처리보다 설비, 노력 및 비용부담의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산성 배기가스 처리의 처리 후 가스를 이용할 수도 있어, 본 발명의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에 의하면 효율적으로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을 재생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태양의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를 사용한 산성 배기가스 처리 프로세스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및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에 대하여 일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본 발명의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은, 탄산형 Mg-Al LDH를 사용하는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의하여 생성된 아니온형 Mg-Al LDH에, 물 및 농도 5vol%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70℃ 이상의 혼합기체를 접촉시켜, 탄산형 Mg-Al LDH를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산성 배기가스 처리 후의 아니온형 Mg-Al LDH의 재생처리를 물 및 소정량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기체와의 접촉에 의하여 함으로써, 탄산형 Mg-Al LDH로의 재생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탄산형 Mg-Al LDH>
탄산형 Mg-Al LDH는, 수산화물 기본층([Mg2+ 1-xAl3+ x(OH)2])과, 층간 탄산이온 및 층간 물로 구성되는 중간층([(CO3 2-)x/2·yH2O])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나노입자이다. 수산화물 기본층이 x에 상당하는 양전하를 갖고, 이를 보상하는 음전하를 갖는 음이온으로서 탄산이온이 중간층에 존재하고 있는 부정비 화합물(不定比 化合物)이다.
탄산형 Mg-Al LDH는, 수산화물 기본층을 유지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염화수소, 이산화황, 이산화질소 등의 산성가스를 층간에 유입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산성가스를 제거하는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탄산형 Mg-Al LDH가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사용될 때에, 탄산형 Mg-Al LDH 이외의 층상 복수산화물, 및/또는 예를 들면 수산화칼슘(소석회), 산화칼슘, 중탄산나트륨(중조), 탄산나트륨, 수산화 돌로마이트, 경소 돌로마이트(soft-burned dolomite),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등의 층상 복수산화물 이외의 약제가 병용되어도 좋다. 다만 탄산형 Mg-Al LDH를 효율적으로 재생시켜 재이용한다는 관점에서, 다른 층상 복수산화물이나 약제와 혼재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형 Mg-Al LDH는,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로서 천연에서 산출되는 점토광물도 존재하지만, 보통은 합성분말이 사용된다. 합성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공지의 방법(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질산마그네슘(Mg(NO3)2)과 질산알루미늄(Al(NO3)3)을 Mg/Al=2/1(몰비)로 혼합한 수용액을, pH10.5를 유지하면서 탄산나트륨(Na2CO3) 수용액에 적하(滴下)함으로써, 탄산형 Mg-Al LDH를 얻을 수 있다.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사용한 탄산형 Mg-Al LDH는, 상기 산성가스가 층간에 유입되면, 층간 탄산이온이 염소이온이나 황산이온, 질산이온 등의 산성 배기가스에서 유래하는 다른 아니온으로 교환된 아니온형 Mg-Al LDH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아니온형 Mg-Al LDH는, 산성 배기가스를 다시 제거하는 능력을 가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아니온형 Mg-Al LDH는 재차 아니온 교환에 의하여 탄산형 Mg-Al LDH로 재생시켜 재이용에 제공된다.
<혼합기체>
본 발명의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에서는,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의하여 사용이 끝난 층상 복수산화물인 아니온형 Mg-Al LDH를, 물 및 농도 5vol%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70℃ 이상의 혼합기체를 사용하여 아니온 교환함으로써, 탄산형 Mg-Al LDH로 재생한다.
이러한 기체접촉에 의한 재생방법은, 액체인 탄산 수용액을 사용하는 종래의 재생방법에 비하여 탄산형 Mg-Al LDH로의 재생수단으로서 효율적이다.
상기 혼합기체는, 물 및 농도 5vol%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아니온형 Mg-Al LDH에 있어서의 산성 배기가스에서 유래하는 층간 아니온을 탄산이온으로 교환하여, 중간층에 층간 탄산이온 및 층간 물을 구비하는 탄산형 Mg-Al LDH로 재생하기 위하여, 이러한 물 및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혼합기체를 사용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물」은, 기체인 물, 즉 수증기를 의미한다.
상기 혼합기체 중의 이산화탄소의 함유량은, 5vol% 이상, 바람직하게는 10∼75vol%, 더 바람직하게는 10∼30vol%이다.
상기 함유량이 10vol% 이상이면, 효율적으로 아니온형 Mg-Al LDH의 층간 아니온을 탈착시켜 층간 탄산이온으로 교환함으로써, 탄산형 Mg-Al LDH의 재생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혼합기체 중의 수분량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5∼3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25%이다.
상기 수분량이 10% 이상이면, 효율적으로 아니온형 Mg-Al LDH의 층간 아니온을 탈착시켜, 중간층에 층간 탄산이온 및 층간 물을 구비하는 탄산형 Mg-Al LDH의 재생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수분량」은, JIS Z 8808:2013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중에 포함되는 수증기의 부피분율[%]에 상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JIS 규격에 기재되어 있는 흡습관(吸濕管)에 의한 방법에 준하는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혼합기체는, 물 및 이산화탄소 이외의 기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지만, 이산화탄소 이외의 산성가스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량의 물 및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혼합기체를 조제할 때의 간편성 및 비용 등의 관점에서, 상기 혼합기체는 공기를 혼합하여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기체의 온도는,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75∼100℃, 더 바람직하게는 80∼90℃로 한다.
상기 온도가 70℃ 이상이면, 아니온형 Mg-Al LDH로부터 탄산형 Mg-Al LDH로의 재생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혼합기체에는, 연소시설에서 발생한 산성 배기가스의 처리 후의 것으로서, 이산화탄소 이외의 산성가스가 제거된 처리 후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처리 후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연소시설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어, 온사이트(onsite)에서의 아니온형 Mg-Al LDH로부터 탄산형 Mg-Al LDH로의 재생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재생처리의 효율화를 한층 더 도모할 수 있다.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
본 발명의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는, 탄산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을 사용하는 산성 배기가스 처리를 실시하는 수단(1)과, 상기한 본 발명의 재생방법에 의한 탄산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을 실시하는 수단(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에 의하면, 산성 배기가스 처리를 실시하면서,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사용하는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을 온사이트에서 실시할 수 있다.
도1에, 본 발명의 1실시태양의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를 사용한 산성 배기가스 처리 프로세스의 흐름을 나타낸다. 도1에 나타내는 산성 배기가스 처리 프로세스의 흐름에 있어서는, 먼저 연소시설(10)에서 배출되는 산성 배기가스(a)가, 탄산형 Mg-Al LDH가 수납되어 있는 층상 복수산화물 수납용기(20)에 유입된다. 그리고 층상 복수산화물 수납용기(20) 내에서, 산성 배기가스(a)를 탄산형 Mg-Al LDH와 접촉시켜 산성 배기가스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 후 가스(b)가 유인팬(induced draft fan) 등(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의하여 배기덕트(50)로 보내져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또한 산성 배기가스(a)로서는, 예를 들면 연소시설(10)이 폐기물 소각로인 경우에, 소각로 본체로부터의 고온의 배기가스가 보일러 등의 열교환기를 거쳐 냉각되고, 집진기에 의하여 분진 등이 제거된 후의 가스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있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탄산형 Mg-Al LDH가 아니온형 Mg-Al LDH로 변화되어 산성 배기가스 처리능력이 저하되는 경우에, 별도로 설치한 층상 복수산화물 수납용기(21)에 산성 배기가스(a)가 유입되도록 절환밸브(V1)에 의하여 라인을 스위칭한다. 또한 절환밸브(V2)를 조작하여, 처리 후 가스(b)의 일부를 유인팬 등에 의하여 바이패스 라인(40)을 통하여 층상 복수산화물 수납용기(20)로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아니온형 Mg-Al LDH에 처리 후 가스(b), 즉 상기 혼합기체를 접촉시켜, 탄산형 Mg-Al LDH로의 재생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재생처리에 있어서, 아니온형 Mg-Al LDH로부터 탈착한 아니온은 산성 배기가스(a) 중의 수분이 응축된 물(액체)에 흡수되어, 재생처리배수(c)로서 재생처리배수 회수용기(30)에 저장된다.
상기 재생처리가 종료되면 절환밸브(V1) 및 절환밸브(V2)를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고, 층상 복수산화물 수납용기(20)에서의 산성 배기가스 처리를 재개한다. 또한 탄산형 Mg-Al LDH의 재생처리의 종료의 판단은, 재생처리배수(c) 중에 포함되는 아니온 성분의 농도분석 등에 의거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별도로 설치한 층상 복수산화물 수납용기(21)에서도 동일한 재생처리를 실시하면, 절환밸브(V1)에 의한 라인의 스위칭에 의하여 층상 복수산화물 수납용기(20)와 층상 복수산화물 수납용기(21)를 교대로 사용할 수 있어, 산성 배기가스(a)의 흐름을 멈추지 않고 연속으로 산성 배기가스 처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처리시험]
하기의 조제예1에 의하여, 탄산형 Mg-Al LDH에 시험용 산성 배기가스로서 염화수소 가스를 접촉시켜, 층간 탄산이온이 층간염화물 이온으로 치환된 염소형 Mg-Al LDH(아니온형 Mg-Al LDH 시료)를 조제하였다. 이 염소형 Mg-Al LDH 20g을 내경(內徑)이 40㎜인 아크릴 수지제의 칼럼에 충전하고,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조건으로 재생처리시험을 하였다.
재생처리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Mg-Al LDH 중의 염소 함유량을 이온 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측정하고, 염화물 이온의 탈착률을 구함으로써,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효율을 평가하였다. 염화물 이온의 탈착률이 높을수록 염소형 Mg-Al LDH로부터 탄산형 Mg-Al LDH로의 재생효율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조제예1)
내경이 40㎜인 아크릴 수지제의 칼럼에 탄산형 Mg-Al LDH(「교와드(KYOWAAD)(등록상표) 500 PL」, 교와 화학공업(주)(Kyowa Chemical Industry Co., Ltd.) 제품, 합성 하이드로탈사이트)를 충전하고, 공기에 염화수소 가스를 유입시켜 염화수소 농도 약 1000ppm, 100℃로 조정한 염화수소 함유 가스를, 칼럼의 출구에서 염화수소가 검출될 때까지 유통(流通)시켜, 염소형 Mg-Al LDH를 얻었다.
또한 염소형 Mg-Al LDH의 생성은, 분말 X선 회절 측정법 및 이온 크로마토그래프법으로 확인하였다.
(실시예1)
공기에 물 및 이산화탄소를 유입시켜 수분량 20%, 이산화탄소 농도 30vol%, 80℃로 조정한 혼합기체를, 염소형 Mg-Al LDH를 충전한 상기 칼럼 내에 8시간 유통시켜, 재생처리시험을 하였다.
재생처리시험에 있어서의 염화물 이온의 탈착률은 96%였다.
(비교예1)
공기에 이산화탄소를 유입시켜 이산화탄소 농도 30vol%로 조정한 상온(25℃)의 혼합기체를, 염소형 Mg-Al LDH를 충전한 상기 칼럼 내에 24시간 유통시켜, 재생처리시험을 하였다.
재생처리시험에 있어서의 염화물 이온의 탈착률은 6%였다.
(비교예2)
공기에 물을 유입시켜 수분량 20%, 80℃로 조정한 혼합기체를, 염소형 Mg-Al LDH를 충전한 상기 칼럼 내에 8시간 유통시켜, 재생처리시험을 하였다.
재생처리시험에 있어서의 염화물 이온의 탈착률은 37%였다.
(비교예3)
공기에 이산화탄소를 유입시켜 이산화탄소 농도 30vol%로 조정한 80℃의 혼합기체를, 염소형 Mg-Al LDH를 충전한 상기 칼럼 내에 8시간 유통시켜, 재생처리시험을 하였다.
재생처리시험에 있어서의 염화물 이온의 탈착률은 30%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시험결과로부터, 아니온형 Mg-Al LDH에 물 및 소정량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기체를 접촉시킴으로써, 효율적으로 탄산형 Mg-Al LDH로 재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 연소시설
20, 21 : 층상 복수산화물 수납용기
30 : 재생처리배수 회수용기
40 : 바이패스 라인
50 : 배기덕트
V1, V2 : 절환밸브
a : 산성 배기가스
b : 처리 후 가스
c : 재생처리배수

Claims (4)

  1. 탄산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을 사용하는 산성 배기가스 처리에 의하여 생성된 아니온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에, 물 및 농도 5vol%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70℃ 이상의 혼합기체를 접촉시켜, 탄산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을 재생시키는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炭酸型 層狀 複水酸化物)의 재생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체 중의 수분량이 10% 이상인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배기가스 처리는, 연소시설에서 발생한 산성 배기가스의 처리이고,
    상기 처리 후에 있어서의 이산화탄소 이외의 산성가스가 제거된 처리 후 가스를 상기 혼합기체에 사용하는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4. 탄산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을 사용하는 산성 배기가스 처리를 실시하는 수단(1)과,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의 재생방법에 의한 탄산형 Mg-Al계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을 실시하는 수단(2)를
    구비하는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
KR1020227008188A 2019-12-10 2020-03-05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및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 KR102511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223146 2019-12-10
JP2019223146A JP6898627B2 (ja) 2019-12-10 2019-12-10 炭酸型層状複水酸化物の再生方法、及び酸性排ガス処理設備
PCT/JP2020/009329 WO2021117261A1 (ja) 2019-12-10 2020-03-05 炭酸型層状複水酸化物の再生方法、及び酸性排ガス処理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675A true KR20220104675A (ko) 2022-07-26
KR102511218B1 KR102511218B1 (ko) 2023-03-16

Family

ID=7631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8188A KR102511218B1 (ko) 2019-12-10 2020-03-05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및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898627B2 (ko)
KR (1) KR102511218B1 (ko)
CN (1) CN114375220B (ko)
TW (1) TWI809256B (ko)
WO (1) WO20211172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9602B1 (ja) 2021-11-22 2023-03-31 栗田工業株式会社 炭酸型層状複水酸化物の再生方法、酸性排ガス処理方法、及び酸性排ガス処理設備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8118A1 (ja) * 2004-12-22 2006-06-29 Tayca Corporation 水中で剥離する層状複水酸化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2013528815A (ja) * 2010-06-14 2013-07-11 シュティヒティン・エネルギーオンデルツォイク・セントラム・ネーデルランド Co2分析のためのガス試料採取
JP2016190199A (ja) 2015-03-31 2016-11-10 栗田工業株式会社 燃焼施設から発生する酸性排ガスの処理方法、燃焼施設及び酸性排ガス処理剤
JP2017078014A (ja) * 2015-10-20 2017-04-27 テイカ株式会社 リン酸水素イオンがインターカレートされた層状複水酸化物、該層状複水酸化物を含む難燃剤、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および該層状複水酸化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4691A (en) * 1990-01-18 1992-05-19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Process using sorbents for the removal of SOx from flue gas
US5358701A (en) * 1992-11-16 1994-10-25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Process of using layered double hydroxides as low temperature recyclable sorbents for the removal of SOx from flue gas and other gas streams
US5785938A (en) * 1992-11-16 1998-07-28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Process using recyclable sorbents for the removal of sox from flue gases and other gas streams
JP3710156B2 (ja) * 1995-02-03 2005-10-26 大陽日酸株式会社 ガスの処理方法及びガス処理剤
FR2916149B1 (fr) * 2007-05-15 2010-08-13 Inst Francais Du Petrole Procede de desacidification d'un gaz naturel mettant en oeuvre des hydroxydes doubles lamellaires.
EP2228345B1 (en) * 2007-12-05 2017-04-12 National Institute for Materials Science Process for producing anion exchange layered double hydroxide
US9802154B2 (en) * 2012-03-30 2017-10-31 Fuel Tech, Inc. Process for sulfur dioxide, hydrochloric acid and mercury mediation
CN107649093A (zh) * 2016-07-26 2018-02-02 中国石化扬子石油化工有限公司 一种芳烃精制白土的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8118A1 (ja) * 2004-12-22 2006-06-29 Tayca Corporation 水中で剥離する層状複水酸化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2013528815A (ja) * 2010-06-14 2013-07-11 シュティヒティン・エネルギーオンデルツォイク・セントラム・ネーデルランド Co2分析のためのガス試料採取
JP2016190199A (ja) 2015-03-31 2016-11-10 栗田工業株式会社 燃焼施設から発生する酸性排ガスの処理方法、燃焼施設及び酸性排ガス処理剤
JP2017078014A (ja) * 2015-10-20 2017-04-27 テイカ株式会社 リン酸水素イオンがインターカレートされた層状複水酸化物、該層状複水酸化物を含む難燃剤、難燃性合成樹脂組成物および該層状複水酸化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22349A (zh) 2021-06-16
TWI809256B (zh) 2023-07-21
KR102511218B1 (ko) 2023-03-16
WO2021117261A1 (ja) 2021-06-17
JP6898627B2 (ja) 2021-07-07
JP2021090913A (ja) 2021-06-17
CN114375220A (zh) 2022-04-19
CN114375220B (zh)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3224B1 (en) Process and device for desulphurization and denitration of flue gas
US7384616B2 (en) Waste gas treatment process including removal of mercury
TW448069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and refining SF6 gas
US110272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gent recovery in a flue gas processing system
KR101313720B1 (ko) 생석회를 이용한 배출가스 이산화탄소 제거 장치
BR112018003086B1 (pt) Processo para captura de dióxido de carbono e dessalinação
CN102266702A (zh) 一种捕集工业废气中氨气的方法和设备及其应用
JP4747382B1 (ja) 排煙浄化処理方法
KR102511218B1 (ko) 탄산형 층상 복수산화물의 재생방법 및 산성 배기가스 처리설비
JP2012236170A (ja) 劣化吸収液再生方法並びに劣化吸収液再生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二酸化炭素回収システム
WO2023089913A1 (ja) 炭酸型層状複水酸化物の再生方法、酸性排ガス処理方法、及び酸性排ガス処理設備
Kameda et al. Regeneration of carbonate-intercalated Mg–Al layered double hydroxides (CO3· Mg–Al LDHs) by CO2-induced desorption of anions (X) from X· Mg–Al LDH (X= Cl, SO4, or NO3): A kinetic study
JP5320323B2 (ja) 廃液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3710156B2 (ja) ガスの処理方法及びガス処理剤
WO2022195953A1 (ja) 酸性排ガスの処理方法、酸性排ガスの処理設備、及び、焼却施設
JPS60132695A (ja) 硫黄化合物を含む排水の処理方法
US20220379285A1 (en) Method &amp; Apparatus for Regenerating Sorbent from Carbon Dioxide Absorption
JPS61245087A (ja) 原子力発電プラント
TW202210161A (zh) 酸性廢氣處理方法、酸性廢氣處理設備和焚燒設施
JP2007087624A (ja) 燃料電池発電システム
JPH10216510A (ja) 酸性排ガス吸収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