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4545A -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4545A
KR20220104545A KR1020210007005A KR20210007005A KR20220104545A KR 20220104545 A KR20220104545 A KR 20220104545A KR 1020210007005 A KR1020210007005 A KR 1020210007005A KR 20210007005 A KR20210007005 A KR 20210007005A KR 20220104545 A KR20220104545 A KR 20220104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enter
laundry treatment
treatment apparatus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7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전자
Priority to KR1020210007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4545A/ko
Priority to US17/577,811 priority patent/US20220228309A1/en
Publication of KR2022010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4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속시트에 의해 중공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드럼 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드럼 센터는, 양단부가 축관되어 형성되는 축관부;와, 상기 축관부에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별도로 드럼 프론트 및 드럼 리어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드럼 프론트 및 드럼 리어의 제작을 위한 개별적인 금형이 불필요하며, 전체적인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Drum structure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로 드럼 프론트 및 드럼 리어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드럼 프론트 및 드럼 리어의 제작을 위한 개별적인 금형이 불필요하며, 전체적인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황사 등과 같은 오염물질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대기오염은 사람들이 일생생활 중에 입고 다니는 옷을 쉽게 오염시킴으로써 세탁물의 세탁 빈도를 증가시키는 문제를 야기하는 동시에 세탁된 세탁물을 대기 중에서 자연건조시키는 것을 어렵게 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옷, 침구 등의 세탁물을 쉽고 편리하게 세탁할 수 있는 세탁기 혹은 세탁된 세탁물에 열풍 등을 가함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건조할 수 있는 건조기 혹은 세탁과 건조 기능이 함께 탑재된 세탁건조기와 같은 세탁물 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장치는 세탁 또는 건조 등을 행하기 위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을 포함하며, 이러한 드럼은 통상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세탁물 처리장치의 본체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57465호에 게재된 것이 있다.
종래의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각각 마련되는 센터 드럼(58), 프론트 드럼(60) 및 백(리어) 드럼(70)을 포함하고, 이러한 센터 드럼(58), 프론트 드럼(60) 및 백(리어) 드럼(70)이 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금속판의 롤링을 통해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센터 드럼(58)의 전단 및 후단에 절곡부가 형성되고, 프론트 드럼(60)의 둘레부(61)가 센터 드럼(58)의 전단 절곡부(56)를 감싸도록 하여 프론트 드럼(60)의 둘레부(61)와 센터 드럼(58)의 전단 절곡부(56)가 후방으로 컬링되며, 백(리어) 드럼(70)의 둘레부(71)가 센터 드럼(58)의 후단 절곡부(57)를 감싸도록 하여 백(리어) 드럼(70)의 둘레부(71)와 센터 드럼(58)의 후단 절곡부(57)가 전방으로 컬링된 후, 컬링된 프론트 드럼(60)의 둘레부(61) 및 센터 드럼(58)의 전단 절곡부(57)가 중공 원통(55)과 점 용접되고, 컬링된 백(리어) 드럼(70)의 둘레부(71) 및 후단 절곡부(57)가 중공 원통과 점 용접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프론트 드럼(60)의 입구측은 일반적으로 테두리가 겹쳐지는 형태가 되도록 헤밍(hemming) 처리되어 접히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강도 보강이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센터 드럼, 프론트 드럼 및 백(리어) 드럼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므로 센터 드럼 제작을 위한 금형, 프론트 드럼 제작을 위한 금형 및 백(리어) 드럼 제작을 위한 금형이 개별적으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별도로 마련되는 센터 드럼, 프론트 드럼 및 백(리어) 드럼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컬링(curling), 시밍(seaming), 용접과 같은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설비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센터 드럼, 프론트 드럼 및 백(리어) 드럼의 별도 제작 및 서로 간의 결합으로 인해 제작 단가가 매우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프론트 드럼 입구측의 강도 보강을 위해 헤밍(hemming) 처리되어야 하고, 이러한 헤밍(hemming) 처리 시, 프론트 드럼 입구측 단부가 찢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657465 B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로 드럼 프론트 및 드럼 리어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드럼 프론트 및 드럼 리어의 제작을 위한 개별적인 금형이 불필요하며, 전체적인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금속시트에 의해 중공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드럼 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드럼 센터는, 양단부가 축관되어 형성되는 축관부;와, 상기 축관부에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관부에는 굴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축관부의 전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축관부의 외주면에 대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곡부는 복수 개가 나란히 이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시트는 롤링 후 양단부가 용접됨으로써 상기 드럼 센터가 되고, 상기 드럼 센터에는 상기 금속시트 양단부의 용접에 따른 용접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용접라인에는 보강편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편은 상기 용접라인에 직교하는 형태로 상기 축관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드럼 센터의 양단부에 드럼 프론트 및 드럼 리어의 역할을 하는 축관부가 형성됨으로써 별도로 드럼 프론트 및 드럼 리어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드럼 프론트 및 드럼 리어의 제작을 위한 개별적인 금형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드럼 센터 자체에 축관부가 형성되므로 컬링(curling), 시밍(seaming), 용접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 작업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전체적인 제작 단가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축관부의 강도 보강을 위해 헤밍(hemming) 처리 대신 간단한 구조의 굴곡부를 형성함으로써 헤밍(hemming) 처리 시 발생할 수 있는 축관부의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금속시트의 용접에 의한 용접라인에 보강편이 부착되어 드럼 센터의 회전, 진동 등에 의한 용접라인의 터짐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보강편이 용접라인에 직교하는 형태로 축관부에 용접됨으로써 용접라인의 터짐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축관부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도 2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C부분을 도시한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상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상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촉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부분을 절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부분을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금속시트에 의해 중공(101)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드럼 센터(100);를 포함하되, 드럼 센터(100)는 양단부가 축관되어 형성되는 축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센터(100)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중공(101)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센터(100)는 세탁 또는 건조가 필요한 세탁물이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금속시트의 양단부가 서로 맞닿도록 상기 금속시트를 롤링기로 롤링한 후, 맞닿은 상기 금속시트의 양단부를 이음부로 하여 용접, 즉, 맞대기 용접함으로써 중공(101)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시트는 양단부가 레이저용접기에 의해 용접되어 원통형의 드럼 센터(100)로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센터(100)에는 상기 금속시트 양단부의 용접에 따른 용접라인(L)이 드럼 센터(100)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드럼 센터(100)는 통상 캐비닛으로 불리는 세탁물 처리장치의 본체(미도시)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후술할 벨트 거치부(105, 107)에 장착되는 벨트(미도시)가 모터(미도시)에 의해 작동함에 따라 회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드럼 센터(100)는 축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관부(110)는 드럼 센터(100)에서 직경이 작아지도록 축관되는 부분으로, 드럼 센터(100)의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축관부(110)는 드럼 센터(100)의 전단부(도 2에서 정면측)와 후단부(도 2에서 배면측)에 각각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드럼 센터(10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드럼 센터(100) 중심부에 비해 드럼 센터(100)의 전단부와 후단부가 각각 직경이 작아지도록 성형기에 의해 축관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축관부(110)는 드럼 센터(100)의 외주면 전방측 일지점에서 드럼 센터(100)의 전방측 끝단까지 형성될 수 있고, 드럼 센터(100)의 외주면 후방측 일지점에서 드럼 센터(100)의 후방측 끝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축관부(110)는 단일 금속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드럼 센터(100)의 양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후단부 각각의 축관부(110) 자체가 종래 드럼 구조에서의 드럼 프론트 및 드럼 리어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별도로 상기 드럼 프론트 및 상기 드럼 리어를 제작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상기 드럼 프론트 및 상기 드럼 리어의 제작을 위한 개별적인 금형이 불필요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는 단일 금속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드럼 센터(100) 자체에 축관부(110)가 형성되므로 컬링(curling), 시밍(seaming), 용접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 작업을 통해 상기 드럼 프론트 및 상기 드럼 리어를 드럼 센터(100)에 결합시킬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발생할 수 있다.
드럼 센터(100)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축관부(110)의 개방면은 세탁물의 세탁 또는 건조 시, 세탁물을 드럼 센터(100)에 넣거나 드럼 센터(100)로부터 빼낼 수 있는 출입구가 될 수 있다.
한편, 드럼 센터(100)는 축관부(110)에 형성되는 굴곡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103)는 축관부(110)의 전체적인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전단부측 축관부(110)와 후단부측 축관부(110)에 각각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강도 보강을 위한 별도의 헤밍(hemming) 처리를 대체할 수 있다.
굴곡부(103)는 원호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 채 축관부(110)의 전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어져 형성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볼 때 원형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굴곡부(103)는 드럼 센터(100) 양단부에 축관부(110)가 형성될 때 함께 성형기에 의해 드럼 센터(100)의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럼 센터(100)의 전단부와 후단부 각각의 전둘레에는 굴곡부(103) 및 축관부(110)가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축관부(110)는 굴곡부(103)가 축관부(110) 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축관부(110) 상에 위치하는 굴곡부(103)는 축관부(110)의 끝단에 형성되는 플랜지 형태의 테두리부(109)와 이격형성된다.
굴곡부(103)와 축관부(110)는 굴곡부(103)의 가공 및 축관부(110)의 가공 모두가 가능한 성형기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굴곡부(103)는 축관부(11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과 더불어, 성형기에 의한 축관부(110)의 가공 시, 축관부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성형기의 롤러가 잡을 수 있는 구조물이 되어 축관부(110)의 가공을 서포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굴곡부(103)는 축관부(110)의 외주면에 대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축관부(110)의 내주면에 대해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굴곡부(103)는 축관부(110)의 외측에서 바라볼 경우에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축관부(110)의 내측에서 바라볼 경우에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축관부(110)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
굴곡부(103)는 축관부(110)의 외주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외면인 오목면(103b) 및 축관부(110)의 내주면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내면인 볼록면(103c)을 포함할 수 있고, 오목면(103b)의 내부에는 바닥 중앙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오목한 홈(103a)이 형성될 수 있다.
오목면(103b)과 볼록면(103c)은 굴곡부(103)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굴곡부(103)의 축방향(전후방향) 폭이 커지는 원호형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오목면(103b)과 축관부(110) 외주면의 연결부분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볼록면(103c)과 축관부(110) 내주면의 연결부분 역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굴곡부(103)는 그 자체 및 축관부(110)와의 연결부분이 모가 나지 않게 형성될 수 있어서, 드럼 센터(100)의 회전 혹은 진동 등에 의한 하중이 굴곡부(103)에 가해질 때 그 하중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특정 부분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굴곡부(103)는 복수 개가 축관부(1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축관부(110)는 축관부(110)의 일부분을 사이에 둔 채 나란히 이격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굴곡부(103)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굴곡부(103) 사이에는 축관부(110)의 일부분이 개재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굴곡부(103)와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굴곡부(103)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굴곡부(103) 사이에 개재된 축관부(110)의 일부분은 전체적으로 볼 때 올록볼록하게 형성되어 물결모양과 같은 파형의 형태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축관부(110)에 형성되는 굴곡부(103)는 별도의 헤밍(hemming) 처리없이 축관부(110)의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축관부(110)를 헤밍(hemming) 처리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축관부(110)의 찢어짐 및 용접라인(L)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굴곡부(103)의 가공 시, 드럼 센터(100)의 외주면에는 벨트 거치부(105, 107)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거치부(105, 107)는 드럼 센터(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벨트(미도시)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굴곡부(103)가 가공될 때 함께 가공될 수 있다.
벨트 거치부(105, 107)는 벨트(미도시)의 단면에 대응하는 직사각형 홈의 형태로 드럼 센터(1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드럼 센터(100)에 복수 개가 이격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벨트 거치부(105, 107)는 장착되는 벨트(미도시)에 대응하여 드럼 센터(100)의 축방향으로의 폭(전후방향 폭)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벨트 거치부(105, 107)는 드럼 센터(100)의 중앙부에 드럼 센터(100)의 외주면 전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하나가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각각 이격된 전후측에 드럼 센터(100)의 외주면 전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하나씩 형성될 수 있으며, 드럼 센터(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벨트 거치부(105)는 이와 이격된 두 벨트 거치부(107)보다 전후 폭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럼 센터(100)의 중앙부에 형성된 벨트 거치부(105)에는 이와 이격된 두 벨트 거치부(107)보다 전후 폭이 큰 벨트(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한편, 드럼 센터(100)에 형성되어 있는 용접라인(L)에는 보강편(120)이 부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편(120)은 직사각형 금속편으로써, 드럼 센터(100)의 회전, 진동 등에 의한 용접라인(L)의 터짐을 방지하기 위해 용접라인(L)에 걸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보강편(120)은 드럼 센터(100)에 형성된 축관부(110)에 용접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강편(120)은 테두리부(109)와 굴곡부(103) 사이에 개재되도록 축관부(110) 외주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보강편(120)의 길이방향이 용접라인(L)에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축관부(110)에 용접됨으로써 용접라인(L)에 걸친 채 축관부(1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보강편(120)은 스팟용접기를 통해 복수 개의 용접점(S)에서 점용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편(120)은 드럼 센터(100)의 회전, 진동 등에 의한 용접라인(L)의 터짐을 방지할 수 있는 것과 더불어 축관부(110)의 강도를 굴곡부(103)와 함께 보강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먼저,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된 금속시트를 준비할 수 있다.
다음, 직사각형 형상으로 마련된 금속시트의 양단부가 서로 맞닿도록 롤링기를 이용하여 중공 원통형으로 롤링할 수 있다.
다음, 롤링된 금속시트의 맞닿은 양단부를 레이저용접기로 맞대기용접하여 중공(101)을 갖는 원통형 드럼 센터(100)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 원통형 드럼 센터(100)의 양단부에 굴곡부(103) 및 축관부(110)를 성형기로 성형할 수 있다.
다음, 양단부에 굴곡부(103) 및 축관부(110)가 형성된 드럼 센터(100)에 스팟용접기로 보강편(120)을 부착함으로써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이때, 보강편(120)은 테두리부(109)와 굴곡부(103)에 개재되도록 축관부(110)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동시에 용접라인(L)에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된 상태로 축관부(110)에 스팟용접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드럼 센터 101: 중공
103: 굴곡부 103a: 홈
103b: 오목면 103c: 볼록면
105, 107: 벨트 거치부 109: 테두리부
110: 축관부 120: 보강편
L: 용접라인 S: 용접점

Claims (6)

  1. 금속시트에 의해 중공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드럼 센터;를 포함하되,
    상기 드럼 센터는,
    양단부가 축관되어 형성되는 축관부;
    상기 축관부에 형성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축관부의 전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축관부의 외주면에 대해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복수 개가 나란히 이격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시트는 롤링 후 양단부가 용접됨으로써 상기 드럼 센터가 되고,
    상기 드럼 센터에는 상기 금속시트 양단부의 용접에 따른 용접라인이 형성되되,
    상기 용접라인에는 보강편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강편은 상기 용접라인에 직교하는 형태로 상기 축관부에 용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KR1020210007005A 2021-01-18 2021-01-18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KR202201045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005A KR20220104545A (ko) 2021-01-18 2021-01-18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US17/577,811 US20220228309A1 (en) 2021-01-18 2022-01-18 Drum structure for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r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7005A KR20220104545A (ko) 2021-01-18 2021-01-18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4545A true KR20220104545A (ko) 2022-07-26

Family

ID=8260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7005A KR20220104545A (ko) 2021-01-18 2021-01-18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0454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465B1 (ko) 2004-05-15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드럼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465B1 (ko) 2004-05-15 2006-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드럼 제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3684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drum
US774348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rum-type washing machine
US20070214630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rum and washing machine using the drum
US6334341B1 (en) Cylinder washing machine
US8083122B2 (en) Drum for washer and dryer
US546448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green radial tire using a transfer unit that is movable during pressing
KR20220104545A (ko)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구조
US20050126034A1 (en) Drum for use in dryer
KR20220104546A (ko) 세탁물 처리장치용 드럼 제조방법
US20220228309A1 (en) Drum structure for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rum
JPH07155879A (ja) 管継手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揺動加工装置
KR20050079676A (ko) 건조기용 드럼 성형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드럼 구조
WO201106420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expanded basket for washing machine or washer-drier or drier
EP2761074B1 (en) A drum and the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617180B1 (ko) 드럼세탁기의 터브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101100158B1 (ko) 건조기용 드럼 구조 및 그 제조방법
JPH1177227A (ja) 自動車ホイール用ディスク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901926B1 (ko) 세탁기용 드럼 및 그 제작방법
JPH01278919A (ja) オフセットを有するリムの成形方法
JPH0452039A (ja) 車両用ホイールのスピニング成形装置およびその方法
EP2191054B1 (en) A dryer
JPH0452038A (ja) 車両用ホイールの成形方法およびそのリム素材
KR20060008457A (ko) 건조기용 드럼 구조 및 그 제조방법
RU2000119629A (ru) Шиноформовочная машин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