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728A - 배기가스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728A
KR20220101728A KR1020227021890A KR20227021890A KR20220101728A KR 20220101728 A KR20220101728 A KR 20220101728A KR 1020227021890 A KR1020227021890 A KR 1020227021890A KR 20227021890 A KR20227021890 A KR 20227021890A KR 20220101728 A KR20220101728 A KR 20220101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turning
liquid
outer cylinder
reaction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1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아키 에나미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01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us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81Removing sulfur dioxide or sulfur tr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48Sulfur compounds
    • B01D53/50Sulfur oxides
    • B01D53/501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 B01D53/504Sulfur oxides by treating the gases with a solution or a suspension of an alkali or earth-alkali or ammonium compound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01N3/2892Exhaust flow directors or the like, e.g. upstream of catalyt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30Alkali metal compounds
    • B01D2251/304Alkali metal compounds of sod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60Inorganic bases or salts
    • B01D2251/604Hydr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3Water
    • B01D2252/1035Sea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1Engine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83Flue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40/0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 F01N2240/20Combination or association of two or more different exhaust treating devices, or of at least one such device with an auxiliary device, not covered by indexing codes F01N2230/00 or F01N2250/00, one of the devices being a flow director or deflector

Abstract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배기가스 도입구와,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구를 가지며,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액체가 공급되는 반응탑과, 반응탑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기가스 도입구와 배기가스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고, 배기가스를 선회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선회부를 구비하며, 선회부는, 외통(外筒)과, 외통의 내부에 있어서의 공동부(空洞部)에 설치된 나선형의 판으로서 평판이 비틀린 나선형의 판을 가지며, 평판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와, 외통의 연신(延伸)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공동부의 폭이 동일한,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기가스 처리 장치
[0001] 본 발명은, 배기가스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0002] 특허문헌 1에는, 「본 실시형태의 사이클론식 집진 장치(10)에 의하면, 도장(塗裝) 미스트의 입자와 워터 미스트의 입자의 혼합률이 오르고, 제거 대상 입자와 워터 미스트의 입자가 합체되기 쉬워져, 제거 대상 입자의 집진 효율이 종래보다 향상된다.」(단락 0031)고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허브를 막대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선회기(swirler)에 제1 및 제2 선회 날개를 구비하며, 제2 선회 날개가 기액 혼합류에 부여하는 원심력을, 제1 선회 날개가 기액 혼합류에 부여하는 원심력보다 크게 하므로, 기액 분리기의 압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높은 기수 분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단락 0029)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8-140328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10-43969호
[0003] 배기가스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배기가스에 동반되는 액체가, 배기가스 처리 장치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4]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있어서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배기가스 처리 장치는,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배기가스 도입구와,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구를 가지며,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액체가 공급되는 반응탑과, 반응탑의 내부에 설치되며, 배기가스 도입구와 배기가스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고, 배기가스를 선회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선회부를 구비한다. 선회부는, 외통(外筒)과, 외통의 내부에 있어서의 공동부(空洞部)에 설치된 나선형의 판으로서 평판이 비틀린 나선형의 판을 갖는다. 평판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와, 외통의 연신(延伸)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공동부의 폭은, 동일하다.
[0005] 반응탑은, 배기가스 도입구와 배기가스 배출구 사이에 설치된 액체 분무부를 더 가져도 된다. 액체 분무부에 있어서, 액체는 반응탑의 내부에 분무되어도 된다. 배기가스는, 액체 분무부를 미리 정해진 선회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반응탑의 내부를 배기가스 도입구로부터 배기가스 배출구로의 방향으로 진행해도 된다. 액체 분무부를 선회하는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과, 선회부를 선회하는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은, 동일해도 된다.
[0006] 반응탑은, 배기가스 도입구와 배기가스 배출구 사이에 설치된 액체 분무부를 더 가져도 된다. 액체 분무부에 있어서, 액체는 반응탑의 내부에 분무되어도 된다. 배기가스는, 액체 분무부를 미리 정해진 선회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반응탑의 내부를 배기가스 도입구로부터 배기가스 배출구로의 방향으로 진행해도 된다. 액체 분무부를 선회하는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과, 선회부를 선회하는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은, 상이해도 된다.
[0007] 복수의 선회부는, 배기가스 도입구로부터 배기가스 배출구로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도 된다. 외통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연신되는 슬릿을 포함해도 된다. 하나의 선회부의 외통에 있어서의 슬릿과, 다른 선회부의 외통은,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0008] 슬릿은, 외통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어도 된다.
[0009] 슬릿은, 선회부를 선회하는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신되어 있어도 된다.
[0010] 하나의 선회부를 선회하는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과, 다른 선회부를 선회하는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은, 동일해도 된다.
[0011] 하나의 선회부를 선회하는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과, 다른 선회부를 선회하는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은, 상이해도 된다.
[0012] 하나의 선회부는, 다른 선회부보다, 반응탑의 내측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도 된다. 하나의 선회부에 있어서의 외통의 폭은, 다른 선회부에 있어서의 외통의 폭보다 커도 된다.
[0013] 하나의 선회부는, 다른 선회부보다, 반응탑의 내측면에 근접하여 배치되어도 된다. 하나의 선회부에 있어서의 외통의 폭은, 다른 선회부에 있어서의 외통의 폭보다 작아도 된다.
[0014] 반응탑은, 반응탑의 내부에 설치되며, 반응탑의 내측면과 선회부의 외통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더 가져도 된다.
[0015] 참고로, 상기의 발명의 개요는, 본 발명의 필요한 특징 모두를 열거한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특징군(群)의 서브 콤비네이션 또한, 발명이 될 수 있다.
[0016]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액체 분무부(90)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를 진행 방향 E1에서 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액체 제거부(80)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액체 제거부(80)를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하나의 선회부(82)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난 하나의 선회부(82)를, 도출단(導出端)(104)으로부터 도입단(導入端)(102)으로의 방향으로 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평판(88)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나타난 액체 제거부(80)를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에 나타난 액체 제거부(80)를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에 나타난 액체 제거부(80)를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5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선회부(82)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5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선회부(82)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5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선회부(82)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슬릿(89)의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하나의 선회부(82)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4에 나타난 액체 제거부(80)를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4에 나타난 액체 제거부(80)를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0017] 이하에서는, 발명의 실시형태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겠지만, 이하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 중에서 설명되고 있는 특징의 조합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0018]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는, 반응탑(10)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선회부(82)를 구비한다. 선회부(82)는, 반응탑(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는, 배기가스 도입관(32), 동력 장치(50) 및 배수관(20)을 구비해도 된다.
[0019] 동력 장치(50)는, 예컨대 엔진, 보일러 등이다. 동력 장치(50)는, 배기가스(30)를 배출한다. 배기가스 도입관(32)은, 동력 장치(50)와 반응탑(10)을 접속한다. 반응탑(10)에는, 배기가스(30)가 도입된다. 본 예에 있어서, 동력 장치(50)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30)는, 배기가스 도입관(32)을 통과한 후, 반응탑(10)에 도입된다.
[0020] 반응탑(10)은, 배기가스(30)가 도입되는 배기가스 도입구(11)와, 배기가스(30)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구(17)를 갖는다. 반응탑(10)에는, 배기가스(30)를 처리하는 액체(40)가 공급된다. 반응탑(10)에 공급된 액체(40)는, 반응탑(10)의 내부에 있어서 배기가스(30)를 처리한다. 액체(40)는, 예컨대 바닷물(海水) 또는 알칼리성 액체이다. 배기가스(30)를 처리한다는 것은, 배기가스(30)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가리킨다. 액체(40)는, 배기가스(30)를 처리한 후, 배액(46)이 된다.
[0021] 본 예의 반응탑(10)은, 측벽(15), 바닥면(底面)(16), 가스 처리부(18) 및 액체 배출구(19)를 갖는다. 본 예의 반응탑(10)은, 원기둥 형상이다. 본 예에 있어서, 배기가스 배출구(17)는, 원기둥 형상의 반응탑(10)의 중심축과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바닥면(16)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측벽(15) 및 바닥면(16)은, 각각 원기둥 형상의 반응탑(10)의 내측면 및 바닥면이다. 배기가스 도입구(11)는, 측벽(15)에 설치되어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 배기가스(30)는 배기가스 도입관(32)으로부터 배기가스 도입구(11)를 통과한 후, 가스 처리부(18)에 도입된다.
[0022] 가스 처리부(18)는, 측벽(15), 바닥면(16) 및 배기가스 배출구(17)에 둘러싸인 공간이다. 가스 처리부(18)는, 측벽(15), 바닥면(16) 및 배기가스 배출구(17)에 접한다. 가스 처리부(18)는, 반응탑(10)의 내부에 있어서 배기가스(30)를 처리하는 공간이다. 바닥면(16)은, 배액(46)이 낙하하는 면이다. 배액(46)은, 액체 배출구(19)를 통과한 후, 배수관(20)으로 배출된다.
[0023] 측벽(15) 및 바닥면(16)은, 배기가스(30), 그리고 액체(40) 및 배액(46)에 대해 내구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해당 재료는, SS400, S-TEN(등록상표) 등의 철재와 코팅제 및 도장제 중 적어도 한쪽과의 조합, 네이벌 황동(naval brass) 등의 구리 합금, 알루미늄 황동(aluminum brass) 등의 알루미늄 합금, 큐프로니켈(cupro-nickel) 등의 니켈 합금, 하스텔로이(hastelloy, 등록상표), SUS316L, SUS329J4L 또는 SUS312 등의 스테인리스여도 된다.
[0024]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X축, Y축 및 Z축의 직교 좌표축을 이용하여 기술적 사항을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반응탑(10)의 바닥면(16)과 평행한 면을 XY면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바닥면(16)과 배기가스 배출구(17)를 잇는 방향(바닥면(16)에 수직인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XY면 내에 있어서의 소정의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고, XY면 내에 있어서 X축에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한다.
[0025] 본 명세서에 있어서, X축 방향이란, X축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의 방향, 및, 다른 쪽으로부터 한쪽으로의 방향을 가리킨다. 즉, 본 명세서에 있어서, X축 방향이란, X축에 평행한 2개의 방향 중 어느 한쪽을 가리키지 않고, X축에 평행한 방향을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Y축 방향 및 Z축 방향도 마찬가지이다.
[0026] Z축 방향은 중력 방향에 평행해도 된다. Z축 방향이 중력 방향에 평행한 경우, XY면은 수평면이어도 된다. Z축 방향은 수평 방향에 평행해도 된다. Z축 방향이 수평 방향에 평행한 경우, XY면은 중력 방향에 평행해도 된다.
[0027] 본 명세서에 있어서 측면 뷰(側面視)란,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를 Z축에 수직인 방향(XY면 내에 있어서의 소정의 방향)에서 본 경우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측면도란, 측면 뷰에 있어서의 도면을 가리킨다.
[0028] 폭 Wg는, 반응탑(10)의 측면 뷰에 있어서, X축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측벽(15)으로부터 다른쪽 측벽(15)까지의 폭이다. 본 예에 있어서, 폭 Wg는, 배기가스 배출구(17)로부터 배기가스 도입구(11)로의 방향으로 본 경우에 있어서의, 가스 처리부(18)의 직경이다. 폭 Wg는, Z축 방향에 있어서의 바닥면(16)으로부터 배기가스 배출구(17)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액체 제거부(80)(후술함)가 설치되는 위치에 있어서의, 한쪽 측벽(15)으로부터 다른쪽 측벽(15)까지의 폭이어도 된다.
[0029]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는, 예컨대 선박용 사이클론식 스크러버이다. 사이클론식 스크러버에 있어서는, 반응탑(10)에 도입된 배기가스(30)는, 반응탑(10)의 내부를 선회하면서, 배기가스 도입구(11)로부터 배기가스 배출구(17)로의 방향(본 예에 있어서는 Z축 방향)으로 진행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배기가스(30)는, 배기가스 배출구(17)로부터 바닥면(16)으로의 방향으로 본 경우에 있어서, XY면 내를 선회한다.
[0030] 반응탑(10)은, 액체 분무부(90)를 더 가져도 된다. 액체 분무부(90)는, 배기가스 도입구(11)와 배기가스 배출구(17) 사이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반응탑(10)의 내부에 있어서의, 배기가스 도입구(11)로부터 배기가스 배출구(17)로의 배기가스(30)의 진행 방향을, 진행 방향 E1이라 한다. 본 예에 있어서, 진행 방향 E1은 Z축 방향이다.
[0031] 액체 분무부(90)는, 진행 방향 E1에 있어서, 배기가스 도입구(11)와 배기가스 배출구(17) 사이의 일부 영역이어도 된다. 액체 분무부(90)는, 반응탑(10)을 배기가스 배출구(17)로부터 바닥면(16)으로의 방향으로 본 경우(XY면)에 있어서, 반응탑(10)의 내부(가스 처리부(18))에 있어서의 전체 영역이어도 된다. 액체 분무부(90)에 있어서, 액체(40)는 반응탑(10)의 내부에 분무되어도 된다.
[0032] 반응탑(10)은, 액체(40)가 공급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본관(幹管, trunk pipe)(12), 및, 하나 또는 복수의 지관(枝管, branch pipe)(13)을 가져도 된다. 반응탑(10)은, 액체(40)를 분출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분출부(14)를 가져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 분출부(14)는 지관(13)에 접속되고, 지관(13)은 본관(12)에 접속되어 있다.
[0033] 본 예에 있어서, 본관(12)의 적어도 일부, 지관(13) 및 분출부(14)는, 액체 분무부(90)에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반응탑(10)의 내부에 있어서의 액체 분무부(90)의 범위가 양방향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액체 분무부(90)는, Z축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가장 배기가스 도입구(11)측에 배치된 분출부(14)부터 가장 배기가스 배출구(17)측에 배치된 분출부(14)까지의 범위여도 된다. 액체 분무부(90)는, XY면 내에 있어서 측벽(15)으로 둘러싸이는 범위여도 된다.
[0034] 본 예에 있어서, 배기가스(30)는, 액체 분무부(90)를 미리 정해진 방향(후술하는 선회 방향 F1)으로 선회하면서, 반응탑(10)의 내부를 배기가스 도입구(11)로부터 배기가스 배출구(17)로의 방향으로 진행한다. 본 예에 있어서, 배기가스(30)는 반응탑(10)의 측면 뷰에 있어서 진행 방향 E1로 진행하며, 또한, 진행 방향 E1에서 볼 때 선회 방향 F1로 선회한다.
[0035] 본 예에 있어서, 반응탑(10)은, 액체 제거부(80)를 더 갖는다. 액체 제거부(80)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선회부(82)가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선회부(82)는, 이른바 선회기여도 된다. 선회부(82)는, 배기가스 도입구(11)와 배기가스 배출구(17)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 복수의 선회부(82)는, 진행 방향 E1에 교차하는 방향(본 예에 있어서는 XY면 내)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0036] 액체 제거부(80)는, 진행 방향 E1에 있어서의, 액체 분무부(90)와 배기가스 배출구(17) 사이의 일부 영역이어도 된다. 액체 제거부(80)에 있어서의 배기가스(30)의 진행 방향을, 진행 방향 E2라 한다. 본 예에 있어서, 진행 방향 E2는 Z축 방향이다.
[0037] 반응탑(10)은, 반응탑(10)의 내부에 설치된 접속 부재(81)를 더 가져도 된다. 선회부(82)는, 접속 부재(81)에 의해 측벽(15)에 접속되어도 된다. 접속 부재(81)는, 측벽(15)에 용접되어도 된다. 본 예의 액체 제거부(80)에는, 2개의 접속 부재(81)(접속 부재(81-1) 및 접속 부재(81-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예에 있어서, 접속 부재(81-1) 및 접속 부재(81-2)는, 각각 진행 방향 E2에 있어서의 도입단(102)(후술함)측 및 도출단(104)(후술함)측에 설치되는 접속 부재(81)이다. 복수의 선회부(82)는, 접속 부재(81)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0038] 본 예에 있어서, 하나의 선회부(82)는, 배기가스(30)가 도입되는 도입단(102)과, 배기가스(30)가 도출되는 도출단(104)을 갖는다. 배기가스(30)는, 선회부(82)의 내부를 진행 방향 E2(도입단(102)으로부터 도출단(104)으로의 방향)으로 진행한다. 본 예에 있어서, 배기가스(30)는, 선회부(82)의 측면 뷰에 있어서 진행 방향 E2로 진행한다.
[0039] 선회부(82)는, 배기가스(30)를 선회시킨다. 본 예에 있어서는, 선회부(82)는, 진행 방향 E2에서 볼 때, 배기가스(30)를 미리 정해진 선회 방향(후술하는 선회 방향 F2 또는 선회 방향 F2')으로 선회시킨다.
[0040] 액체 제거부(80)는, 반응탑(10)을 배기가스 배출구(17)로부터 바닥면(16)으로의 방향으로 본 경우(XY면)에 있어서, 반응탑(10)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체 영역이어도 된다. 액체 제거부(80)에 있어서는, 배기가스(30)에 포함되는 액체(40)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다.
[0041] 액체(40)와 배기가스(30)의 접촉 면적은, 액체(40)의 입경이 작을수록 증가하기 쉽다. 이 때문에, 배기가스(30)에 포함되는 황산화물(SOx) 등의 유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분출부(14)로부터 분출되는 액체(40)는, 안개 형상(미스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40)가 안개 형상인 경우, 배기가스(30)에 분출된 액체(40)의 일부는, 가스 처리부(18)에 있어서, 배기가스(30)의 선회 및 배기가스 배출구(17)로의 진행에 동반되어, 배기가스 배출구(17)로의 방향으로 진행하기 쉬워진다. 액체(40)의 일부가 배기가스 배출구(17)로의 방향으로 진행한 경우, 해당 액체(40)는, 배기가스(30)에 동반되어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가 있다. 해당 액체(40)는, 배기가스(30)와의 접촉에 의해 아황산수소 이온(HSO3 -)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아황산수소 이온(HSO3 -)을 포함하는 액체(40)가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 경우, 해당 액체(40)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의 외부의 강재 등을 부식시키는 경우가 있다.
[0042]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반응탑(10)은, 진행 방향 F1에 있어서 액체 분무부(90)보다 배기가스(30)의 하류측에, 액체 제거부(80)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는, 배기가스(30)에 분출된 안개 형상의 액체(40)가,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워진다.
[0043] 반응탑(10)에 있어서의 배기가스(30)의 진행 방향 E1과, 선회부(82)에 있어서의 배기가스(30)의 진행 방향 E2는, 평행해도 되고, 평행하지 않아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진행 방향 E1과 진행 방향 E2는, 평행하다.
[0044] 원기둥 형상의 반응탑(10)은, 반응탑(10)의 중심축이 연직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놓여도 되고, 해당 중심축이 수평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놓여도 된다. 해당 중심축이 연직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반응탑(10)이 놓인 경우, 진행 방향 E1은 연직 방향으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의 방향이다. 해당 중심축이 수평 방향에 평행해지도록 반응탑(10)이 놓인 경우, 진행 방향 E1은, 수평 방향에 평행하다.
[0045]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액체 분무부(90)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예의 반응탑(10)은, 3개의 본관(12)(본관(12-1), 본관(12-2) 및 본관(12-3))을 갖는다. 본 예에 있어서, 본관(12-1) 및 본관(12-3)은, Z축 방향에 있어서, 각각 가장 배기가스 도입구(11)측 및 가장 배기가스 배출구(17)측에 설치되어 있는 본관(12)이다. 본 예에 있어서, 본관(12-2)은, Z축 방향에 있어서의 본관(12-1)과 본관(12-3)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본관(12)이다.
[0046] 본 예의 반응탑(10)은, 지관(13-1)~지관(13-12)을 구비한다. 본 예에 있어서, 지관(13-1) 및 지관(13-12)은, Z축 방향에 있어서, 각각 가장 배기가스 도입구(11)측 및 가장 배기가스 배출구(17)측에 설치되어 있는 지관(13)이다. 본 예에 있어서, 지관(13-1), 지관(13-3), 지관(13-5), 지관(13-7), 지관(13-9) 및 지관(13-11)은 Y축 방향으로 연신되고, 지관(13-2), 지관(13-4), 지관(13-6), 지관(13-8), 지관(13-10) 및 지관(13-12)은 X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0047] 본 예에 있어서, 지관(13-1)~지관(13-4)은 본관(12-1)에 접속되고, 지관(13-5)~지관(13-8)은 본관(12-2)에 접속되고, 지관(13-9)~지관(13-12)은 본관(12-3)에 접속되어 있다. 지관(13-1), 지관(13-3), 지관(13-5), 지관(13-7), 지관(13-9) 및 지관(13-11)은, Y축 방향에 있어서, 본관(12)의 양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지관(13-2), 지관(13-4), 지관(13-6), 지관(13-8), 지관(13-10) 및 지관(13-12)은, X축 방향에 있어서, 본관(12)의 양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0048] 지관(13-1)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지관(13-1A) 및 지관(13-1B)은, Y축 방향에 있어서, 각각 본관(12-1)의 한쪽측 및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지관(13-1)이다. Y축 방향에 있어서, 지관(13-1A) 및 지관(13-1B)은, 본관(12-1)을 사이에 두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지관(13-1A) 및 지관(13-3A)은, 본관(12-1)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0049] 지관(13-2)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지관(13-2A) 및 지관(13-2B)은, X축 방향에 있어서, 각각 본관(12-1)의 한쪽측 및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지관(13-2)이다. X축 방향에 있어서, 지관(13-2A) 및 지관(13-2B)은, 본관(12-1)을 사이에 두도록 설치되어도 된다.
[0050] 본 예의 반응탑(10)은, 분출부(14-1)~분출부(14-12)를 구비한다. 본 예에 있어서, 분출부(14-1) 및 분출부(14-12)는, Z축 방향에 있어서, 각각 가장 배기가스 도입구(11)측 및 가장 배기가스 배출구(17)측에 설치되어 있는 분출부(14)이다. 본 예의 분출부(14-1)~분출부(14-12)는, 각각 지관(13-1)~지관(13-12)에 접속되어 있다. Y축 방향으로 연신되는 1개의 지관(13)에 있어서, Y축 방향에 있어서의 본관(12)의 한쪽측에 복수의 분출부(14)가 설치되어도 되고, 또한, 다른쪽측에 복수의 분출부(14)가 설치되어도 된다. X축 방향으로 연신되는 1개의 지관(13)에 있어서, X축 방향에 있어서의 본관(12)의 한쪽측에 복수의 분출부(14)가 설치되어도 되고, 또한, 다른쪽측에 복수의 분출부(14)가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분출부(14-1A), 분출부(14-3A), 분출부(14-5A), 분출부(14-7A), 분출부(14-9A) 및 분출부(14-11A)는, 본관(12)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0051] 분출부(14)는, 액체(40)를 분출하는 개구면을 갖는다. 도 2에 있어서, 해당 개구면은 「×」표로 나타나 있다. 1개의 지관(13)에 있어서, 본관(12)의 한쪽측 및 다른쪽측에 배치되는 분출부(14)의 각각의 개구면은, 지관(13)의 연신 방향과 소정의 각도 θ(후술함)를 이루는 한쪽 방향 및 다른쪽 방향을 가리켜도 된다. 해당 각도 θ는, 30도 이상 90도 이하여도 된다. 해당 개구면이 가리키는 방향이란, 분출부(14)로부터 액체(40)가 분출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축 방향을 가리킨다.
[0052]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는, 펌프(60) 및 유량 제어부(70)를 구비해도 된다. 유량 제어부(70)는, 반응탑(10)에 공급되는 액체(40)의 유량을 제어한다. 유량 제어부(70)는, 밸브(72)를 가져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유량 제어부(70)는 펌프(60)로부터 분출부(14)로 공급되는 액체(40)의 유량을, 밸브(72)에 의해 제어한다. 본 예의 유량 제어부(70)는, 3개의 밸브(72)(밸브(72-1), 밸브(72-2) 및 밸브(72-3))를 구비한다. 본 예의 유량 제어부(70)는, 밸브(72-1), 밸브(72-2) 및 밸브(72-3)에 의해, 각각 본관(12-1), 본관(12-2) 및 본관(12-3)에 공급되는 액체(40)의 유량을 제어한다. 본관(12)에 공급된 액체(40)는, 지관(13)을 통과한 후, 분출부(14)로부터 반응탑(10)의 내부(가스 처리부(18))로 분출된다.
[0053] 유량 제어부(70)는, 본관(12-1)에 공급되는 액체(40)의 유량이 본관(12-2)에 공급되는 액체(40)의 유량보다 많아지도록, 액체(40)의 유량을 제어해도 된다. 유량 제어부(70)는, 본관(12-2)에 공급되는 액체(40)의 유량이 본관(12-3)에 공급되는 액체(40)의 유량보다 많아지도록, 액체(40)의 유량을 제어해도 된다. 본관(12-3)에 공급되는 액체(40)의 유량과, 본관(12-2)에 공급되는 액체(40)의 유량과, 본관(12-1)에 공급되는 액체(40)의 유량의 비는, 예컨대 1:2:9이다.
[0054]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40)는 예컨대 바닷물 또는 알칼리성 액체이다. 액체(40)가 알칼리성 액체인 경우, 액체(40)는 수산화나트륨(NaOH) 및 탄산수소나트륨(Na2CO3) 중 적어도 한쪽을 첨가한 알칼리성 액체여도 된다.
[0055] 배기가스(30)에는 황산화물(SOx) 등의 유해 물질이 포함된다. 황산화물(SOx)은, 예컨대 아황산 가스(SO2)이다. 액체(40)가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인 경우, 배기가스(30)에 포함되는 아황산 가스(SO2)와 수산화나트륨(NaOH)과의 반응은, 하기의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진다.
[화학식 1]
SO2+Na++OH-→Na++HSO3 -
[0056] 화학식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아황산 가스(SO2)는 화학 반응에 의해 아황산수소 이온(HSO3 -)이 된다. 액체(40)는, 이 화학 반응에 의해 아황산수소 이온(HSO3 -)을 포함하는 배액(46)이 된다. 배액(46)은, 배수관(20)으로부터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어도 된다.
[0057]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를 진행 방향 E1에서 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동력 장치(50), 펌프(60), 유량 제어부(70), 선회부(82), 접속 부재(81) 및 배기가스 배출구(17)는 생략되어 있다.
[0058] 반응탑(10)의 내부에는, 본관(12-1), 본관(12-2) 및 본관(12-3)이 설치되어 있다. 본관(12-1), 본관(12-2) 및 본관(12-3)은, Z축에 평행한 중심축을 갖는 원기둥 형상이어도 된다. XY면 내에 있어서, 본관(12-1), 본관(12-2) 및 본관(12-3)의 중심축의 위치는, 반응탑(10)의 중심축의 위치와 일치해도 된다. 즉, 본관(12-1), 본관(12-2) 및 본관(12-3), 그리고 반응탑(10)은, 배기가스(30)의 진행 방향 E1에서 볼 때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도 3에 있어서, 이 중심축의 위치가 위치 C1로 나타나 있다. 본 예에 있어서, 본관(12-2)은 본관(12-3)의 하방에 배치되고, 본관(12-1)은 본관(12-2)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0059] XY면 내에 있어서, 배기가스 도입구(11)측(도 1 참조)에 있어서의 본관(12)의 단면적은, 배기가스 배출구(17)측(도 1 참조)에 있어서의 본관(12)의 단면적보다 커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본관(12-1)의 단면적은 본관(12-2)의 단면적보다 크고, 본관(12-2)의 단면적은 본관(12-3)의 단면적보다 크다.
[0060] 분출부(14)는, 반응탑(10)의 내부에 액체(40)를 분출한다. 분출부(14)는, 액체(40)를 지관(13)의 연신 방향과 소정의 각도 θ를 이루는 방향으로 분출한다. 도 3에 있어서, 분출부(14-11) 및 분출부(14-12)로부터 가스 처리부(18)로 분출되는 액체(40)의 방향이 파선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0061] 본 예에 있어서, 분출부(14-11A)로부터 분출되는 액체(40)의 방향은, 지관(13-11)의 연신 방향과 각도 θ를 이루는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방향이고, 분출부(14-11B)로부터 분출되는 액체(40)의 방향은, 지관(13-11)의 연신 방향과 각도 θ를 이루는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 방향이다. 분출부(14-1A), 분출부(14-3A), 분출부(14-5A), 분출부(14-7A) 및 분출부(14-9A)로부터 분출되는 액체(40)의 방향도, 해당 한쪽 방향이어도 된다. 분출부(14-1B), 분출부(14-3B), 분출부(14-5B), 분출부(14-7B) 및 분출부(14-9B)로부터 분출되는 액체(40)의 방향도, 해당 다른쪽 방향이어도 된다.
[0062] 본 예에 있어서, 분출부(14-12A)로부터 분출되는 액체(40)의 방향은, 지관(13-12)의 연신 방향과 각도 θ를 이루는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방향이고, 분출부(14-12B)로부터 분출되는 액체(40)의 방향은, 지관(13-12)의 연신 방향과 각도 θ를 이루는 방향에 있어서의 다른쪽 방향이다. 분출부(14-2A), 분출부(14-4A), 분출부(14-6A), 분출부(14-8A) 및 분출부(14-10A)로부터 분출되는 액체(40)의 방향도, 해당 한쪽 방향이어도 된다. 분출부(14-2B), 분출부(14-4B), 분출부(14-6B), 분출부(14-8B) 및 분출부(14-10B)로부터 분출되는 액체(40)의 방향도, 해당 다른쪽 방향이어도 된다.
[0063] 진행 방향 E1에서 볼 때, 배기가스 도입관(32)은, 배기가스 도입관(32)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연장선이 반응탑(10)의 중심의 위치 C1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도 된다. 배기가스 도입관(32)의 연신 방향이란, 배기가스 도입구(11)를 통과하는 배기가스(30)의 진행 방향을 가리킨다. 배기가스 도입관(32)이 상술한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배기가스(30)는 가스 처리부(18)를 나선형(사이클론형)으로 선회하면서, 배기가스 도입구(11)로부터 배기가스 배출구(17)를 향해 진행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배기가스(30)는, 진행 방향 E1에서 볼 때 가스 처리부(18)를 선회 방향 F1로 선회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선회 방향 F1은, 진행 방향 E1에서 볼 때 시계방향이다.
[0064]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액체 제거부(80)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하나의 선회부(82)는, Z축 방향의 중심축을 갖는 기둥 형상이어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 하나의 선회부(82)는, Z축 방향의 중심축을 갖는 원기둥 형상이다. 복수의 선회부(82)는, 진행 방향 E2에 교차하는 방향(본 예에 있어서는 XY면 내)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선회부(82)는, 진행 방향 E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면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매트릭스 형상(行列狀)으로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원기둥 형상의 선회부(82)는, 진행 방향 E2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육방 밀집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0065] 원기둥 형상의 선회부(82)가 육방 밀집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 해당 선회부(82)가 나란히 배치되는 평면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선회부(82)의 개수가, 최대화되기 쉽다. 이 때문에, 하나의 선회부(82)당 흐르는 배기가스(30)의 유량을 줄임으로써 액체 제거부(80)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원기둥 형상의 선회부(82)가 육방 밀집 형상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가, 액체 제거부(80)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의 증가를 허용할 수 있는 경우는, 복수의 선회부(82)는 육방 밀집 형상으로 배치되지 않아도 된다.
[0066] 복수의 선회부(82)는, 도입단(102)에 있어서 접속 부재(81-1)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복수의 선회부(82)는, 도출단(104)에 있어서 접속 부재(81-2)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접속 부재(81)의 XY면 내에 있어서의 주위는, 원 형상이어도 된다. 접속 부재(81)의 해당 주위는, 반응탑(10)의 가스 처리부(18)(도 1 참조)에 있어서, 측벽(15)(도 1 참조)에 접속되어도 된다.
[0067] 접속 부재(81)는, 배기가스(30), 그리고 액체(40) 및 배액(46)에 대해 내구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접속 부재(81)는, 측벽(15) 및 바닥면(16)(도 1 참조)과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0068] 진행 방향 E1로 진행하는 배기가스(30)(도 1~도 3 참조)에는, 액체 분무부(90)에 있어서 분무된 안개 형상의 액체(40)가 동반되기 쉽다. 액체 제거부(80)에 있어서, 해당 안개 형상의 액체(40)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어도 된다.
[0069] 도 5는, 도 4에 나타난 액체 제거부(80)를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에 있어서는, 원기둥 형상의 선회부(82)가, XY면 내에 육방 밀집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0070]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원 형상의 접속 부재(81)의 XY면 내에 있어서의 폭을, 폭 Wr이라 한다. 폭 Wr은, XY면 내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선회부(82)의 각각의 폭의 합계의 최대치와 동일해도 되고, 해당 최대치보다 커도 된다. 폭 Wr은, 폭 Wg(도 1 참조)와 동일해도 된다. 본 예의 액체 제거부(80)에 있어서는, 복수의 선회부(82)가 XY면 내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폭 Wg에 따른 폭 Wr의 설계가 용이화된다. 예컨대, 가스 처리부(18)의 직경이 폭 Wg보다 작은 폭 Wg'인 경우, 선회부(82)의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폭 Wg'에 따른 폭 Wr'(<폭 Wr)의 설계가 용이화된다. 도 5에 있어서, 접속 부재(81)의 XY면 내에 있어서의 폭이 폭 Wr'인 경우가, 넓은 간격의 파선부로 나타나 있다.
[0071] 하나의 선회부(82)에 있어서의 외통(83)의 폭을, 폭 Ws라 한다. 폭 Ws는, 배기가스(30)가 통과하는 공동부(87)의 폭이어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폭 Ws는 공동부(87)의 직경이다. 폭 Ws는, 폭 Wr(도 5 참조)보다 작다. 공동부(87)의 폭이, Z축 방향에 있어서의 도입단(102)으로부터 도출단(104)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일정하지 않은 경우, 폭 Ws는, 도입단(102)으로부터 도출단(104)까지의 사이에 있어서의 공동부(87)의 폭의 평균치여도 되고, 최소치여도 되고, 최대치여도 되고, 중앙치여도 된다.
[0072] 도 6은,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하나의 선회부(82)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선회부(82)는, 외통(83)과, 평판(후술함)이 비틀린 나선형의 판(84)을 갖는다. 외측면(85)은, 외통(83)의 외측면이다. 내측면(86)은, 외통(83)의 내측면이다. 공동부(87)는, 외통(83)의 내부의 공간이다. 공동부(87)는, 내측면(86)에 둘러싸인 공간이어도 된다. 나선형의 판(84)은, 공동부(87)에 설치되어 있다. 접속 부재(81)(도 1, 도 4 및 도 5 참조)는, 반응탑(10)의 측벽(15)과 외통(83)을 접속한다.
[0073] 외통(83) 및 나선형의 판(84)은, 배기가스(30), 그리고 액체(40) 및 배액(46)에 대해 내구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다. 외통(83) 및 나선형의 판(84)은, 측벽(15) 및 바닥면(16)(도 1 참조)과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도 된다.
[0074] 본 예의 외통(83)은, Z축 방향의 중심축을 갖는 원기둥 형상이다. 외통(83)은, 높이 h, 폭 πWs인 직사각형상의 판이, Z축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주회 형상(周回狀)으로 구부러진, 판 형상(板狀)의 부재여도 된다. 외통(83)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연신되는 슬릿(89)을 포함해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슬릿(89)은 외통(83)의 중심축 방향(Z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0075] 슬릿(89)이 외통(83)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는 것은, 진행 방향 E2에 교차하는 방향에서 본 경우(본 예에 있어서는 측면 뷰인 경우)에 있어서, 도입단(102)측에 슬릿(89)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一端)이 배치되고, 도출단(104)측에 슬릿(89)의 연신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他端)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즉, 슬릿(89)이 외통(83)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는 것은, 슬릿(89)의 연신 방향이 Z축 방향에 평행하게 직선적으로 연신되어 있는 경우 외에, Z축 방향에 비(非)평행하며, 또한, 외통(83)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신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0076] 슬릿(89)은, 도입단(102)으로부터 도출단(104)까지 연신되어 있어도 되고, 도입단(102)으로부터 도출단(104)까지 연신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외통(83)은, 복수의 슬릿(89)을 포함해도 된다. 외통(83)이 복수의 슬릿(89)을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슬릿(89)이 도입단(102)으로부터 연신되어 있어도 되고, 다른 슬릿(89)이 도출단(104)까지 연신되어 있어도 된다. 해당 하나의 슬릿(89)의 높이는 높이 h 미만이어도 되고, 해당 다른 슬릿(89)의 높이도 높이 h 미만이어도 된다.
[0077] 외통의 높이를, 높이 h라 한다. 본 예에 있어서, 공동부(87)는, Z축 방향의 중심축을 갖는 원기둥 형상의 공간이다. 폭 Ws는, 외통(83)의 연신 방향(Z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본 예에 있어서는 XY면 내)에 있어서의, 공동부(87)의 폭이다. 본 예에 있어서, 폭 Ws는, 공동부(87)의 XY면 내에 있어서의 직경이다. 높이 h는, 폭 Ws의 1.5배 이상 5.0배 이하여도 된다.
[0078] 도입단(102)은, 진행 방향 E2에 있어서의, 배기가스(30)의 가장 상류측의 단부(端部)로서 외통(83)의 한쪽 단부이다. 도입단(102)은, 선회부(82)에 있어서의 배기가스(30)의 입구측의 단부이다. 도입단(102)은, 배기가스(30)의 가장 상류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면 형상(面狀)의 영역이어도 된다. 해당 면 형상의 영역은, 진행 방향 E2에 교차해도 된다. 배기가스(30)는, 해당 면 형상의 영역을 통과해도 된다.
[0079] 도출단(104)은, 진행 방향 E2에 있어서의, 배기가스(30)의 가장 하류측의 단부로서 외통(83)의 다른쪽 단부이다. 도출단(104)은, 선회부(82)에 있어서의 배기가스(30)의 출구측의 단부이다. 도출단(104)은, 배기가스(30)의 가장 하류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면 형상의 영역이어도 된다. 해당 면 형상의 영역은, 진행 방향 E2에 교차해도 된다. 배기가스(30)는, 해당 면 형상의 영역을 통과해도 된다.
[0080] 나선형의 판(84)은, 공동부(87)에 있어서 내측면(86)과 접해 있어도 된다. 평판(88)(후술함)의 폭을, 폭 W라 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폭 W는, 면 형상의 도출단(104)의 면내에 있어서의, 평판(88)(후술함)의 폭이자, 면 형상의 도입단(102)의 면내에 있어서의, 평판(88)(후술함)의 폭이다.
[0081] 배기가스(30)는, 공동부(87)를 도입단(102)으로부터 도출단(104)까지 진행하는 경우에, 나선형의 판(84)에 의해 선회된다. 도 6에 있어서,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 F2가, 굵은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0082] 상술한 바와 같이, 진행 방향 E1로 진행하는 배기가스(30)(도 1~도 3 참조)에는, 액체 분무부(90)에 있어서 분무된 안개 형상의 액체(40)가 동반되기 쉽다. 본 예의 선회부(82)에 있어서는, 공동부(87)에 나선형의 판(8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해당 안개 형상의 액체(40)가 동반된 배기가스(30)는, 선회부(82)에 있어서 가속되기 쉽다. 선회부(82)에 있어서 해당 배기가스(30)가 가속된 경우, 해당 안개 형상의 액체(40)는, 나선형의 판(84)에 접촉함으로써, 액막화되기 쉬워진다. 해당 액막화된 액체(40)는, 배기가스(30)로부터 분리되기 쉬우므로, 도출단(104)으로부터 도출되는 배기가스(30)에는, 안개 형상의 액체(40)가 동반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해당 안개 형상의 액체(40)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기 어려워진다.
[0083] 공동부(87)에 있어서 액막화된 액체(40)는, 슬릿(89)을 통과한 후, 외통(83)의 외부로 배출되어도 된다. 외통(83)의 외부로 배출된 액체(40)는, 반응탑(10)의 내부를 낙하해도 된다. 해당 액체(40)는, 반응탑(10)의 바닥면(16)에 낙하해도 된다. 바닥면(16)에 낙하한 액체(40)는, 액체 배출구(19)를 통과한 후, 배수관(20)으로 배출되어도 된다.
[0084]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단위 시간당 배기가스(30)의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진행 방향 E1(도 1~도 3 참조)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가스 처리부(18)의 면적은,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가스(30)에는, 안개 형상의 액체(40)가 동반되기 쉽다. 가스 처리부(18)의 해당 면적이 증가한 경우, 선회 방향 F1로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속도가 일정한 경우는, 중심의 위치 C1(도 3 참조)로부터 이격(離間)될수록, 해당 안개 형상의 액체(40)에 인가(印加)되는 원심력이 감소하기 쉽다. 또한, 진행 방향 E1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가스 처리부(18)의 면적이 증가한 경우, 지관(13) 및 분출부(14)의 수가 증가하기 쉬우므로, 지관(13) 및 분출부(14)에 의한, 배기가스(30)의 흐름에 대한 저항이 증가하기 쉽다. 이 때문에, 배기가스(30)의 속도는, 저하되기 쉽다. 이 때문에, 하나의 선회부(82)의 폭 Ws가 폭 Wg(도 1 참조)와 동일한 경우, 중심의 위치 C1(도 3 참조)로부터 이격될수록, 안개 형상의 액체(40)가 제거되기 어려워진다.
[0085]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는, 하나의 선회부(82)의 폭 Ws가 폭 Wg(도 1 참조)보다 작다.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하나의 선회부(82)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속도를, 선회 속도 V라 한다. 폭 Ws가 폭 Wg와 동일한 경우에 있어서의, 하나의 선회부(82)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속도를 선회 속도 V'라 한다.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는, 폭 Ws가 폭 Wg보다 작으므로, 선회 속도 V는 선회 속도 V'보다 커지기 쉽다. 이 때문에,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는, 안개 형상의 액체(40)에 인가되는 원심력이 저하된 경우, 및, 배기가스(30)의 속도가 저하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라 하더라도, 배기가스(30)에 동반되는 안개 형상의 액체(40)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되기 쉬워진다.
[0086] 배기가스(30)가 하나의 선회부(82)를 통과하기 전에 있어서의, 단위 체적당 해당 배기가스(30)에 동반되는 안개 형상의 액체(40)의 질량을, 질량 M1이라 한다. 배기가스(30)가 하나의 선회부(82)를 통과한 후에 있어서의, 단위 체적당 해당 배기가스(30)에 동반되는 안개 형상의 액체(40)의 질량을, 질량 M2라 한다. 하나의 선회부(82)에 의한 액체(40)의 제거율 R은, 1-(M2/M1)로 나타내어진다.
[0087] 폭 Wg(도 1 참조)에 대한 폭 Ws의 비는, 제거율 R에 근거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폭 Ws의 절대치가, 제거율 R에 근거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하나의 선회부(82)의, 액체(40)를 제거하는 제거 성능에 근거하여, 폭 Wg에 대한 폭 Ws의 비, 및, 폭 Ws의 절대치 중 적어도 한쪽이 결정되어도 된다.
[0088]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 선회 방향 F1로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진행 방향 E1(도 1~도 3 참조)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의 가스 처리부(18)의 면적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스 처리부(18)의 해당 면적을 감소시킨 경우, 액체 제거부(80)에 있어서의 해당 배기가스(30)의 압력 손실이 증가하기 쉽다.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는, 하나의 선회부(82)의 폭 Ws가 폭 Wg(도 1 참조)보다 작다. 하나의 선회부(82)에 의한 액체(40)의 제거 성능은, 스토크스 수 St=ρd2U/18ηL가 클수록 높아진다(ρ: 액적의 밀도, d: 액적의 직경, U: 유속, η: 흐름의 점성 계수, L: 대표 길이(characteristic length)=선회 반경). 배기가스(30)의 선회 속도 V(상술한 유속 U)가 동일한 경우, 하나의 선회부(82)의 폭 Ws가 작을수록 스토크스 수는 커진다. 이 때문에, 폭 Ws인 복수의 선회부(82)와 폭 Wg인 하나의 선회부(82)를 비교한 경우, 폭 Ws인 복수의 선회부(82)가 액체(40)의 제거 성능은 높아진다. 폭 Wg인 하나의 선회부(82)로 폭 Ws인 복수의 선회부(82)와 동일한 스토크스 수를 실현하려면,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는, 유속 U를 (Wg/Ws)배로 하는 것에 의한 압력 손실의 증가를 허용해야 한다. 이 때문에, 폭 Ws인 복수의 선회부(82)와 폭 Wg인 하나의 선회부(82)에 있어서 액체(40)의 제거 성능을 동일하게 할 경우, 폭 Ws인 복수의 선회부(82)를 통과하는 배기가스(30)의 압력 손실의 합계는, 폭 Wg인 하나의 선회부(82)를 통과하는 배기가스(30)의 압력 손실보다, 억제되기 쉽다.
[0089] 도 7은, 도 6에 나타난 하나의 선회부(82)를, 도출단(104)으로부터 도입단(102)으로의 방향으로 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외통(83)은, 도출단(104)으로부터 도입단(102)으로의 방향으로 본 경우에 있어서, 원 형상이다. 위치 Ct는, 하나의 선회부(82)의 중심의 위치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위치 Ct는, 원기둥 형상의 외통(83)에 있어서의 중심축의 위치이다. 또한, 위치 Ct는, 하나의 선회부(82)의 중심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데 불과하며, 위치 Ct에는 물리적인 중심축은 존재하지 않는다.
[0090] 선회부(82)는, 나선형의 판(84)을 갖는다. 이 때문에, 공동부(87)를 진행 방향 E2로 진행하는 배기가스(30)는, 나선형의 판(84)의 면을 따라 선회 방향 F2로 나선형으로 선회한다.
[0091] 폭 Ws는, 50mm 이상 500mm 이하여도 된다. 폭 Ws는, 100mm 이상 350mm 이하여도 되고, 200mm 이상 300mm 이하여도 된다.
[0092] 도 8은, 평판(88)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나선형의 판(84)(도 6 참조)은, 평판(88)이 비틀린 판이다. 평판(88)은, Z축 방향에 평행한 면을 갖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평판(88)은 측면 뷰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이어도 된다. 평판(88)의 한쪽 단변(短邊)을 변(91)이라 하고, 다른쪽 단변을 변(92)이라 한다. 평판(88)의 장변(長邊)을 변(93)이라 한다. 본 예에 있어서, 폭 W는, 변(91) 및 변(92)의 폭이다. 본 예에 있어서, 변(93)의 길이는, 높이 h와 동일하다.
[0093] 도 8에 있어서, 변(93)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의, 평판(88)의 중심선을 Cb-Cb'선이라 한다. 본 예에 있어서, 나선형의 판(84)(도 6 참조)은, 도 8에 있어서의 Cb-Cb'선을 중심으로 하여, 평판(88)이 XY면 내에 비틀린 판이다. XY면 내에 있어서 평판(88)이 비틀리는 방향은, 선회 방향 F2와 동일하다.
[0094] 나선형의 판(84)은, 평판(88)이 비틀린 후, 외통(83)의 공동부(87)(도 6 참조)에 수용되어도 된다. 변(93)은, 공동부(87)의 내측면(86)에 접해도 된다. 평판(88)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본 예에 있어서는 변(91) 및 변(92)의 폭 W)와, 폭 Ws(도 6 참조)는, 동일하다. 도입단(102)(도 6 참조)이 면 형상의 영역인 경우, 변(91)은, 해당 면내에 배치되어도 된다. 도출단(104)(도 6 참조)이 면 형상의 영역인 경우, 변(92)은, 해당 면내에 배치되어도 된다. 나선형의 판(84)이 공동부(87)에 수용된 후에 있어서, 도출단(104)으로부터 도입단(102)으로의 방향으로 본 경우에 있어서의, 평판(88)의 Cb-Cb'선의 위치와, 원기둥 형상의 외통(83)에 있어서의 중심축의 위치 Ct(도 7 참조)는, 일치해도 된다.
[0095] 변(93)은, 높이 h 전체에 걸쳐 내측면(86)에 접해도 되고, 높이 h의 일부가 내측면(86)에 접해 있어도 된다. 즉, 변(93)은 높이 h 전체에 걸쳐, 내측면(86)에 기밀하게 접해 있어도 되고, 기밀하게 접해 있지 않아도 된다. 변(93)의 일부와 내측면(86)이 이격되어 있는(기밀하게 접해 있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변(93)과 내측면(86)이 이격된 공간을 단위 시간당 통과하는 배기가스(30)의 유량은, 선회 방향 F2로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단위 시간당 유량의 1/100 미만이어도 된다.
[0096] 본 예의 하나의 선회부(82)에 있어서는, 평판(88)이 비틀린 나선형의 판(84)이 공동부(87)에 수용되어 있다. 나선형의 판(84)은, 공동부(87)의 내측면(86)에 용접되지 않아도 된다. 즉, 본 예에 있어서의 하나의 선회부(82)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나선형의 판(84)을 공동부(87)에 수용하는 공정 후, 변(93)을 내측면(86)에 접속하기 위한 용접 등의 공정을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이 때문에, 하나의 선회부(82)를 제조하는 비용이 억제되기 쉽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에 있어서의 액체 제거부(80)에 있어서는, 복수의 선회부(82)가 XY면 내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으므로, 폭 Wg(도 1 참조)에 따른 폭 Wr(도 5 참조)의 설계가 용이화된다. 이 때문에,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를 제조하는 비용이 억제되기 쉽다.
[0097] 도 9는, 도 4에 나타난 액체 제거부(80)를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선회부(82)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과, 다른 선회부(82)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이, 동일하다. 하나의 선회부(82)란, 복수의 선회부(82) 중 임의의 하나의 선회부(82)를 가리킨다. 다른 선회부(82)란, 복수의 선회부(82) 중 임의의 하나의 선회부(82)로서, 해당 하나의 선회부(82)와는 다른 선회부(82)를 가리킨다. 본 예에 있어서, 복수의 선회부(82) 각각을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은, 선회 방향 F2이다.
[0098] 본 예에 있어서, 액체 분무부(90)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 F1(도 3 참조)과, 선회부(82)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 F2는, 동일하다. 본 예에 있어서, 선회 방향 F1 및 선회 방향 F2는,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시계방향이다. 즉, 본 예에 있어서는, 선회 방향 F1과 선회 방향 F2가 동일하다.
[0099] 본 예에 있어서는, 모든 선회부(82)의 선회 방향은 선회 방향 F2이므로, 선회부(82)를 통과한 후의 배기가스(30)에는, 선회 방향 F2의 선회 속도 성분이, 인접한 선회부(82)와의 합류에 의해 약해지면서 잔존한다. 해당 선회 속도 성분이 남아 있는 경우,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의 하류에서 압력 손실이 증가하는 요인이 된다.
[0100] 도 10은, 도 4에 나타난 액체 제거부(80)를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예에 있어서도, 하나의 선회부(82)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과, 다른 선회부(82)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이, 동일하다. 본 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선회부(82) 각각을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은, 선회 방향 F2'이다. 도 10에 있어서의 선회 방향 F2'와, 도 9에 있어서의 선회 방향 F2는, 상이하다. 본 예에 있어서의 선회 방향 F2'와, 도 9에 있어서의 선회 방향 F2는, 반대 방향이다.
[0101] 본 예에 있어서, 액체 분무부(90)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 F1(도 3 참조)과, 선회부(82)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 F2'는, 상이하다. 본 예에 있어서, 선회 방향 F1은,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시계방향이고, 선회 방향 F2'는,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이다. 즉, 본 예에 있어서는, 선회 방향 F1과 선회 방향 F2가 상이하다.
[0102] 본 예에 있어서는, 모든 선회부(82)의 선회 방향은 선회 방향 F2'이므로, 선회부(82)를 통과한 후의 배기가스(30)에는, 선회 방향 F2'의 선회 속도 성분이, 인접한 선회부(82)와의 합류에 의해 약해지면서 잔존한다. 해당 선회 속도 성분이 남아 있는 경우,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의 하류에서 압력 손실이 증가하는 요인이 된다.
[0103] 도 11은, 도 4에 나타난 액체 제거부(80)를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선회부(82)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과, 다른 선회부(82)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이, 상이하다. 하나의 선회부(82)를, 선회부(82-1)라 한다. 다른 선회부(82)를, 선회부(82-2)라 한다. 본 예에 있어서, 선회부(82-1)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은 선회 방향 F2이고, 선회부(82-2)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은 선회 방향 F2'이다.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선회부(82-1)를 구비해도 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선회부(82-2)를 구비해도 된다.
[0104]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는, 복수의 선회부(82-1) 및 복수의 선회부(82-2)를 구비한다. 이 때문에,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는, 복수의 선회부(82-2)만을 구비하는 경우보다, 선회부(82)를 통과한 후의 배기가스(30)의 선회 속도 성분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예의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100)의 하류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30)의 압력 손실을 억제하기 쉽다.
[0105] 도 12는, 도 5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선회부(82)의 일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예에 있어서, 하나의 선회부(82)를 선회부(82-1)라 하고, 다른 선회부(82)를 선회부(82-2)라 한다. 선회부(82-1)의 외통(83)에 있어서의 슬릿(89)과, 선회부(82-2)의 외통(83)은, 이격되어 있어도 된다.
[0106] 선회부(82-1)의 슬릿(89)의 일단을 단부 E1이라 하고, 타단을 단부 E2라 한다. 선회부(82-1)의 슬릿(89)과 선회부(82-2)의 외통(83)이 이격되어 있다는 것은, 단부 E1이 선회부(82-1)의 외통(83)에 있어서의 외측면(85)에 접하지 않고, 또한, 단부 E2가 해당 외측면(85)에 접하지 않는 상태를 가리킨다. 본 예에 있어서는, 선회부(82-1)의 외통(83)에 있어서의 슬릿(89)과, 선회부(82-2)의 외통(83)이 이격되어 있으므로, 선회부(82-1)의 공동부(87)에 있어서 액막화된 액체(40)는, 선회부(82-1)의 외부로 배출되기 쉬워진다.
[0107] 도 13은, 도 5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선회부(82)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예에 있어서, 하나의 선회부(82)를 선회부(82-1)라 하고, 다른 선회부(82)를 선회부(82-2)라 한다. 선회부(82-1)의 외통(83)에 있어서의 슬릿(89)과, 선회부(82-2)의 외통(83)은, 대향하고 있어도 된다. 선회부(82-1)의 슬릿(89)과, 선회부(82-2)의 외통(83)이 대향하고 있다는 것은, 해당 슬릿(89)의 단부 E1 및 단부 E2 중 한쪽이 선회부(82-2)의 외통(83)에 접하고, 다른 쪽이 해당 외통(83)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가리켜도 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해당 슬릿(89)의 단부 E1이 선회부(82-2)의 외통(83)에 접하고, 단부 E2가 해당 외통(83)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0108] 도 14는, 도 5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2개의 선회부(82)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예에 있어서도, 선회부(82-1)의 슬릿(89)과, 선회부(82-2)의 외통(83)은, 대향하고 있다. 본 예에 있어서는, 해당 슬릿(89)의 단부 E1 및 단부 E2가, 해당 외통(83)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0109]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슬릿(89)의 근방의 확대도이다. 선회부(82-1)에 있어서의 단부 E1과 단부 E2 사이의 폭을, 폭 g1이라 한다. 단부 E1과, 선회부(82-2)의 외측면(85) 사이의 거리의 최소치를, 거리 g2라 한다. 선회부(82-1)의 슬릿(89)과, 선회부(82-2)의 외통(83)이 대향하고 있다는 것은, 해당 슬릿(89)의 단부 E1 및 단부 E2가 해당 외통(83)으로부터 이격되며, 또한, 거리 g2가 폭 g1의 5.0% 이상 50.0% 이하인 상태를 가리켜도 된다. 해당 슬릿(89)과 해당 외통(83)이 대향하고 있다는 것은, 해당 슬릿(89)의 단부 E1 및 단부 E2가 해당 외통(83)으로부터 이격되며, 또한, 거리 g2가 폭 g1의 5.0% 이상 50.0% 이하인 상태를 가리켜도 된다. 해당 슬릿(89)과 해당 외통(83)이 대향하고 있다는 것은, 해당 슬릿(89)의 단부 E1 및 단부 E2가 해당 외통(83)으로부터 이격되며, 또한, 거리 g2가 0.05mm 이상 5.0mm 이하인 상태를 가리켜도 된다. 거리 g1은, 1.0mm 이상 10.0mm 이하여도 된다.
[0110] 도 13 및 도 15의 예에 있어서는, 선회부(82-1)의 슬릿(89)과, 선회부(82-2)의 외통(83)이 대향하고 있으므로, 선회부(82-1)의 공동부(87)에 있어서 액막화된 액체(40)는, 모세관 현상에 의해 슬릿(89)을 통과한 후, 선회부(82-1)의 외부로 배출되기 쉬워진다.
[0111] 도 16은,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하나의 선회부(82)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예의 선회부(82)에 있어서는, 슬릿(89)이 나선형으로 연신되어 있다. 본 예의 선회부(82)는, 이러한 점에서 도 6에 나타난 슬릿(89)과 다르다. 슬릿(89)은, 도입단(102)으로부터 도출단(104)까지 나선형으로 연신되어 있어도 된다. 슬릿(89)은, 선회부(82)를 선회하는 배기가스(30)의 선회 방향 F2와는 반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신되어 있어도 된다. 슬릿(89)은, 도입단(102)으로부터 도출단(104)까지, 외통(83)의 주위를 일주(一周)하도록 배치되어도 되고, 복수 회 주회(周回)하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도입단(102)에 있어서의 슬릿(89)의 위치와, 도출단(104)에 있어서의 슬릿(89)의 위치는, 일치하고 있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0112] 슬릿(89)이, 선회 방향 F2와는 반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신되어 있음으로써, 선회부(82)의 측면 뷰에 있어서 배기가스(30)와 슬릿(89)이 교차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슬릿(89)을 통과하여 선회부(82)의 외부로 진행하는 배기가스(30)의 양이, 슬릿(89)이 선회 방향 F2와 동일한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신되어 있는 경우보다, 감소하기 쉬워진다.
[0113] 도 17은, 도 4에 나타난 액체 제거부(80)를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예에 있어서, 선회부(82-1)는, 선회부(82-2)보다 측벽(15)(도 1~도 3 참조)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본 예에 있어서, 선회부(82-2)는, 선회부(82-3)보다 측벽(15)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하나의 선회부(82)와 측벽(15) 사이의 거리란, 해당 하나의 선회부(82)의 중심의 위치 Ct(도 7 참조)를 지나 측벽(15)과 교차하는 직선과, 해당 직선과 측벽(15)의 교점에 있어서의 측벽(15)의 접선이, XY면 내에 있어서 직교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중심 Ct로부터 해당 교점까지의 거리 중, 최소의 거리를 가리킨다.
[0114] 선회부(82-1)의 외통(83)의 폭을, 폭 Ws1이라 한다. 선회부(82-2)의 외통(83)의 폭을, 폭 Ws2라 한다. 선회부(82-3)의 외통(83)의 폭을, 폭 Ws3이라 한다. 폭 Ws1~폭 Ws3은, XY면 내에 있어서의 외통(83)의 공동부(87)의 폭이어도 된다.
[0115] 본 예에 있어서는, 폭 Ws1은 폭 Ws2보다 크고, 폭 Ws2는 폭 Ws3보다 크다. 반응탑(10)에 도입된 배기가스(30)는, 액체 분무부(90)(도 1~도 3 참조)를 선회하므로, 해당 배기가스(30)는, 가스 처리부(18)(도 1 및 도 2 참조)에 있어서의 중앙측보다 측벽(15)측을 선회하기 쉽다. 이 때문에, 액체 제거부(80)(도 1 참조)에 있어서, 배기가스(30)는, 가스 처리부(18)에 있어서의 중앙측보다 측벽(15)측을 통과하기 쉽다. 이 때문에, 폭 Ws1이 폭 Ws2보다 크고, 또한, 폭 Ws2가 폭 Ws3보다 큼으로써, 복수의 선회부(82)를 배기가스(30)가 통과하는 것에 의한 해당 배기가스(30)의 압력 손실은, 폭 Ws1과 폭 Ws2와 폭 Ws3이 동일한 경우보다, 감소하기 쉬워진다.
[0116] 도 18은, 도 4에 나타난 액체 제거부(80)를 진행 방향 E2에서 본 경우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예에 있어서, 선회부(82-1)는, 선회부(82-2)보다 측벽(15)(도 1~도 3 참조)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본 예에 있어서, 선회부(82-2)는, 선회부(82-3)보다 측벽(15)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0117] 선회부(82-1)의 외통(83)의 폭을, 폭 Ws1'라 한다. 선회부(82-2)의 외통(83)의 폭을, 폭 Ws2'라 한다. 선회부(82-3)의 외통(83)의 폭을, 폭 Ws3'라 한다. 폭 Ws1'~폭 Ws3'는, XY면 내에 있어서의 외통(83)의 공동부(87)의 폭이어도 된다.
[0118] 본 예에 있어서는, 폭 Ws1'는 폭 Ws2'보다 작고, 폭 Ws2'는 폭 Ws3'보다 작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액체 제거부(80)(도 1 참조)에 있어서, 배기가스(30)는, 가스 처리부(18)에 있어서의 중앙측보다 측벽(15)측을 통과하기 쉽다. 선회부(82)에 있어서 제거되는 안개 형상의 액체(40)의 제거율 R은, 선회부(82)에 있어서의 배기가스(30)의 선회 속도가 클수록, 커지기 쉽다. 선회부(82)에 있어서의 배기가스(30)의 선회 속도는, 폭 Ws(도 6 참조)가 작을수록 커지기 쉽다. 본 예에 있어서는, 폭 Ws1'가 폭 Ws2'보다 작고, 폭 Ws2'가 폭 Ws3'보다 작으므로, 폭 Ws1'와 폭 Ws2'와 폭 Ws3'가 동일한 경우보다, 복수의 선회부(82)에 있어서의 액체(40)의 제거율 R은, 증가하기 쉬워진다.
[0119]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범위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와 같은 변경 또는 개량을 가한 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이,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명백하다.
[0120] 청구범위, 명세서, 및 도면 중에 있어서 나타낸 장치, 시스템, 프로그램, 및 방법에 있어서의 동작, 순서, 스텝, 및 단계 등의 각 처리의 실행 순서는, 특별히 「보다 전에」, 「앞서」 등으로 명시하고 있지 않고, 또한, 앞의 처리의 출력을 뒤의 처리에서 사용하는 것이 아닌 한, 임의의 순서로 실현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청구범위, 명세서, 및 도면 중의 동작 플로에 관하여, 편의상 「우선,」, 「다음으로,」 등을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하더라도, 이 순서대로 실시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0121] 10…반응탑, 11…배기가스 도입구, 12…본관, 13…지관, 14…분출부, 15…측벽, 16…바닥면, 17…배기가스 배출구, 18…가스 처리부, 19…액체 배출구, 20…배수관, 30…배기가스, 32…배기가스 도입관, 40…액체, 46…배액, 50…동력 장치, 60…펌프, 70…유량 제어부, 72…밸브, 80…액체 제거부, 81…접속 부재, 82…선회부, 83…외통, 84…나선형의 판, 85…외측면, 86…내측면, 87…공동부, 88…평판, 89…슬릿, 90…액체 분무부, 91…변, 92…변, 93…변, 100…배기가스 처리 장치, 102…도입단, 104…도출단

Claims (11)

  1. 배기가스가 도입되는 배기가스 도입구와, 상기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가스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배기가스를 처리하는 액체가 공급되는 반응탑과,
    상기 반응탑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도입구와 상기 배기가스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가스를 선회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선회부
    를 구비하며,
    상기 선회부는, 외통(外筒)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있어서의 공동부(空洞部)에 설치된 나선형의 판으로서 평판이 비틀린 나선형의 판을 가지며,
    상기 평판에 있어서의 한 변의 길이와, 상기 외통의 연신(延伸)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공동부의 폭이 동일한,
    배기가스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탑은, 상기 배기가스 도입구와 상기 배기가스 배출구 사이에 설치된 액체 분무부를 더 가지며,
    상기 액체 분무부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상기 반응탑의 내부에 분무되고,
    상기 배기가스는, 상기 액체 분무부를 미리 정해진 선회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반응탑의 내부를 상기 배기가스 도입구로부터 상기 배기가스 배출구로의 방향으로 진행하고,
    상기 액체 분무부를 선회하는 상기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과, 상기 선회부를 선회하는 상기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이 동일한,
    배기가스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탑은, 상기 배기가스 도입구와 상기 배기가스 배출구 사이에 설치된 액체 분무부를 더 가지며,
    상기 액체 분무부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상기 반응탑의 내부에 분무되고,
    상기 배기가스는, 상기 액체 분무부를 미리 정해진 선회 방향으로 선회하면서, 상기 반응탑의 내부를 상기 배기가스 도입구로부터 상기 배기가스 배출구로의 방향으로 진행하고,
    상기 액체 분무부를 선회하는 상기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과, 상기 선회부를 선회하는 상기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이 상이한,
    배기가스 처리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선회부는, 상기 배기가스 도입구로부터 상기 배기가스 배출구로의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외통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연신되는 슬릿을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선회부의 상기 외통에 있어서의 상기 슬릿과, 다른 상기 선회부의 상기 외통이 대향하고 있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외통의 중심축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선회부를 선회하는 상기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신되어 있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선회부를 선회하는 상기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과, 다른 상기 선회부를 선회하는 상기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이 동일한, 배기가스 처리 장치.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선회부를 선회하는 상기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과, 다른 상기 선회부를 선회하는 상기 배기가스의 선회 방향이 상이한, 배기가스 처리 장치.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선회부는, 다른 상기 선회부보다, 상기 반응탑의 내측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하나의 상기 선회부에 있어서의 상기 외통의 폭은, 다른 상기 선회부에 있어서의 상기 외통의 폭보다 큰, 배기가스 처리 장치.
  10.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선회부는, 다른 상기 선회부보다, 상기 반응탑의 내측면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하나의 상기 선회부에 있어서의 상기 외통의 폭은, 다른 상기 선회부에 있어서의 상기 외통의 폭보다 작은, 배기가스 처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탑은, 상기 반응탑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반응탑의 내측면과 상기 선회부의 외통을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더 갖는, 배기가스 처리 장치.
KR1020227021890A 2020-07-21 2021-05-24 배기가스 처리 장치 KR202201017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24491 2020-07-21
JPJP-P-2020-124491 2020-07-21
PCT/JP2021/019630 WO2022018957A1 (ja) 2020-07-21 2021-05-24 排ガス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728A true KR20220101728A (ko) 2022-07-19

Family

ID=79728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1890A KR20220101728A (ko) 2020-07-21 2021-05-24 배기가스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066920A4 (ko)
JP (1) JPWO2022018957A1 (ko)
KR (1) KR20220101728A (ko)
CN (1) CN114867545A (ko)
WO (1) WO202201895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3969A (ja) 2008-08-13 2010-02-25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気水分離器及びこれを備えた沸騰水型原子炉
JP2018140328A (ja) 2017-02-27 2018-09-13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サイクロン式集塵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81474A (en) * 1969-04-14 1971-06-01 Nat Dust Collector Corp Gas scrubber
JPH07284642A (ja) * 1994-04-19 1995-10-31 Hisao Kojima ミキシング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87313A (ja) * 1999-12-28 2001-07-10 Hisao Kojima 湿式排煙脱硫装置
DE602004032473D1 (de) * 2004-02-16 2011-06-09 Anemos Co Ltd Mischelement und statischer fluidmischer damit
JP2008168262A (ja) * 2007-01-15 2008-07-24 Anemosu:Kk 気液接触装置
KR101117677B1 (ko) * 2009-06-22 2012-03-08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용 배기가스의 탈황 탈질 처리장치
DE202010015267U1 (de) * 2010-11-11 2011-03-03 Big Dutchman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Abluft
KR20150024071A (ko) * 2013-08-26 2015-03-06 (주) 세아그린텍 선박용 배기가스 탈황 장치
JP5999226B1 (ja) * 2015-06-26 2016-09-28 富士電機株式会社 排ガス処理装置
CN105854561B (zh) * 2016-05-10 2019-02-12 浙江天蓝环保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烟气脱硫、除尘协同治理的装置及工艺
CN205760167U (zh) * 2016-07-05 2016-12-07 中节能六合天融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脱硫吸收塔中的高效除尘除雾装置
CN206535323U (zh) * 2016-12-15 2017-10-03 山东神华山大能源环境有限公司 一种用于烟气脱水的气液分离筒及脱水装置和系统
CN108498007A (zh) * 2017-02-27 2018-09-07 得立鼎工业株式会社 旋风式集尘装置
JP6936021B2 (ja) * 2017-02-27 2021-09-15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サイクロン式集塵装置
WO2019061099A1 (zh) * 2017-09-27 2019-04-04 北京中能诺泰节能环保技术有限责任公司 除尘除雾装置及吸收塔
CN109224776A (zh) * 2018-10-20 2019-01-18 富瑞德化工设备(武汉)有限公司 一种高效旋流式喷雾脱硫塔及其脱硫方法
CN209204984U (zh) * 2018-10-20 2019-08-06 富瑞德化工设备(武汉)有限公司 一种高效旋流式喷雾脱硫塔
CN110787597A (zh) * 2019-12-05 2020-02-14 中国石油大学(北京) 气液分离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43969A (ja) 2008-08-13 2010-02-25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気水分離器及びこれを備えた沸騰水型原子炉
JP2018140328A (ja) 2017-02-27 2018-09-13 トリニティ工業株式会社 サイクロン式集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6920A4 (en) 2023-05-31
WO2022018957A1 (ja) 2022-01-27
CN114867545A (zh) 2022-08-05
EP4066920A1 (en) 2022-10-05
JPWO2022018957A1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033B1 (ko) 배기가스 처리장치
JP4845568B2 (ja) 湿式排煙脱硫装置
US9957029B2 (en) Exhaust gas processing apparatus
CN104399367B (zh) 一种带有缩放形孔板的烟气洗涤装置
CN105749627A (zh) 一种不等距波纹板汽水分离器
KR20220101728A (ko) 배기가스 처리 장치
JP7323052B2 (ja) 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液体排出ユニット
JP2021137689A (ja) 排ガス処理装置
EP3875166A1 (en)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and scrubber nozzle
JP4014063B2 (ja) 自立型スプレ方式吸収塔と湿式排煙脱硫装置
CN215506306U (zh) 一种烟气处理装置
JP7276518B2 (ja) 排ガス処理装置
JP5223581B2 (ja) 空気流による乾燥方法
JP2023000649A (ja) 排ガス処理装置
WO2022070678A1 (ja) 排ガス処理装置
JP2023102904A (ja) 排ガス処理装置
EP3960276A1 (en) Exhaust gas inlet structure of absorption column
CN216935457U (zh) 鹅颈除尘除雾器
JPH10192646A (ja) ミスト除去機能を備えた水平流型湿式排煙脱硫装置
CN220194471U (zh) 废气洗涤装置
CN108067048B (zh) 一种双锥筒形除雾器
CN210114977U (zh) 一种无喷淋高效脱硫装置
JP2023139632A (ja) 船舶用排ガス排出用煙突
CN114931850A (zh) 一种干法脱硫脱硝除尘一体化系统
TW202231334A (zh) 緊湊型文氏管洗滌器、文氏管洗滌系統、和利用緊湊型文氏管洗滌器從氣流中去除物質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