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01109A -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01109A
KR20220101109A KR1020227017727A KR20227017727A KR20220101109A KR 20220101109 A KR20220101109 A KR 20220101109A KR 1020227017727 A KR1020227017727 A KR 1020227017727A KR 20227017727 A KR20227017727 A KR 20227017727A KR 20220101109 A KR20220101109 A KR 20220101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means
parameter
wear
time curve
moni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플로리안 돌트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22010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Landscapes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케이블형 서스펜션 수단 (5), 구동 기계 (19) 의 트랙션 시브 (17) 및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의 편향 롤러들 (27, 29) 과 같은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적어도,
-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와 상관되는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 모니터링된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과 비교하는 단계;
-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모니터링된 상기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모니터링 디바이스, 이러한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는 엘리베이터 카 및, 필요하다면, 엘리베이터 통로 내의 카운터웨이터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또한 그 중량을 홀딩하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는 케이블들, 벨트들 또는 스트랩들과 같은 다수의 세장형 가요성 서스펜션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에 케이블들은 일반적으로 금속, 특히 강으로 제조된 많은 수의 와이어들 또는 스트랜드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벨트들 또는 스트랩들은 또한 예를 들어 강 또는 섬유 재료들로 제조된 와이어들 또는 스트랜드들을 하중 지지 요소로서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들 또는 스트랜드들은 폴리머 또는 엘라스토머와 같은 매트릭스 재료에 통합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서스펜션의 타입에 종속되어, 이러한 서스펜션 수단은 그것들을 홀딩하도록 엘리베이터 카 및/또는 카운터웨이트에 앵커링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서스펜션 수단은 예를 들어 통로 천장 상에서 엘리베이터 통로에 고정될 수 있고, 종종 풀리들로도 지칭되는 그에 부착된 편향 롤러들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 및/또는 카운터웨이터를 홀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서스펜션 수단은 일반적으로 이로써 홀딩된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고 엘리베이터 통로 내에서 반대 방향으로 카운터웨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동 기계에 의해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 서스펜션 수단은 일반적으로 구동 기계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트랙션 시브에 걸쳐 연장된다. 사용된 서스펜션 수단의 타입에 따라, 트랙션 시브는 프로파일링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들의 형태의 서스펜션 수단을 위한 트랙션 시브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들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홈들 내로 케이블들이 트랙션 시브와 케이블들 사이의 충분한 트랙션을 생성하도록 맞물릴 수 있다. 벨트들 또는 스트랩들의 형태의 서스펜션 수단의 경우에, 상기 서스펜션 수단은 프로파일링된 표면, 예를 들어 V-형상의 치형 표면을 가질 수 있고, 트랙션 시브는 그 측방향 표면 상에 상보적인 프로파일링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언급된 구성요소, 즉 특히 서스펜션 수단, 그 트랙션 시브를 갖는 구동 기계, 편향 롤러들 및 서스펜션 수단의 앵커링들, 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들이 함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동안, 마모는 일반적으로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은 트랙션 시브 또는 편향 롤러들과의 마찰 및/또는 트랙션 시브 또는 편향 롤러들에 의한 편향 동안 빈번한 벤딩으로 인해 그 기계적 강도를 점진적으로 상실할 수 있다. 마모는 피상적으로 마멸된 재료 및/또는 재료 피로 및 가능하게 재료 파괴의 결과일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 상에서의 마모는 일반적으로 그 물리적 특성들에서의 변화를 초래한다. 특히, 서스펜션 수단 상에서의 마모는 이러한 서스펜션 수단의 하중-캐리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최악의 경우 서스펜션 수단이 찢어질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 수단 상의 마모는 그 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은 시간에 걸쳐 더 탄성적이거나 더 연질로 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서스펜션 수단 상에서 홀딩된 엘리베이터 카를 정확하게 위치설정하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마모의 징후들은 트랙션 시브 및 편향 롤러들 상에서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들 구성요소들의 측방향 표면의 프로파일링은 특히 마모로 인해 시간에 걸쳐 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다. 트랙션 시브 또는 편향 롤러들에 대한 마모 관련된 변화는 무엇보다도 이들 구성요소와 구동 또는 안내되는 서스펜션 수단 사이의 마찰 연결을 이로써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션 시브와 구동되는 서스펜션 수단 사이의 슬립은 마모로 인해, 특히 서스펜션 수단의 탄성 계수가 변하는 경우에 시간에 걸쳐 증가할 수 있다. 트랙션 시브 및/또는 편향 롤러들에 의해 제공되는 지지 수단의 측방향 안내는 또한 마모로 인해 시간에 걸쳐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 수단의 직경이 감소할수록 운반 반경이 감소되고, 트랙션 시브의 더 많은 선회가 2개 특정 플로어들 사이에서 동일한 트레블 거리에 대해 사용 수명에 걸쳐 요구된다.
다양한 다른 타입들의 마모 징후들이 또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물리적 특성들에서 다른 타입의 변화를 야기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특히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를 제한하거나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이 개발되었다. 일부 이러한 접근법은 EP 3 130 555 A1, CN 104627762 A, WO 2018/139434 A1, CN 109987480 A, JP 2011-132010 A, EP 2 299 251 A1, EP 0 849 208 A1, JP 2011-126710, WO 2019/081412 A1, WO 2003/035531 A1, WO 2007/141371 A2, JP 2019-085242 A, EP 2 628 698 B1 및 WO 2016/040452 A1 에 설명되어 있다.
무엇보다도,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 상의 마모가 더 효율적으로, 더 신뢰성 있게 및/또는 더 비용 효율적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거나 제어하도록 설계된 모니터링 디바이스, 상응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할 수 있다.
그러한 필요성은 독립청구항들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주제물에 의해 충족될 수 있다. 유리한 실시형태들 종속항 및 다음의 설명에서 규정된다.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특정된 순서로 적어도 다음의 방법 단계들을 포함한다:
-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와 상관되는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 모니터링된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과 비교하는 단계;
-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모니터링된 상기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제안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본 발명의 제 1 양상에 따른 실시에의 방법을 수행하거나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특히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른 컴퓨터형 프로그램가능한 모니터링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제 1 양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제어하도록 상기 컴퓨터에 명령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본 발명의 제 3 양상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되도록 제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은 그 중에서도 그리고 다음에 설명된 발견들 및 개념들에 기초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고려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가 모니터링되는 통상적인 접근법들의 경우, 상기 마모에 대한 결론을 도출하도록 허용하는 파라미터가 전형적으로 모니터링된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의 치수들, 즉, 예를 들어 케이블의 직경이 모니터링된다. 추가의 예들로서, 트랙션 시브 또는 편향 롤러들 상의 표면 구조들, 서스펜션 수단을 통한 자속들, 서스펜션 수단의 연신율 거동 또는 서스펜션 수단과 예를 들어 트랙션 시브 사이의 슬립이 또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련된 구성요소의 현재 마모 상태는 일반적으로 파라미터의 현재 측정된 값으로부터 추론된다. 예를 들어, 현재 측정된 값은 사전결정된 한계 값과 비교되고, 한계 값을 초과하거나 이에 도달하지 않으면, 모니터링된 구성요소가 임계 마모 상태에 도달한 것으로 추론된다.
그러나, 여기에 제시된 접근법에서, 단일 시점에서의 파라미터의 단일 측정은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대신에 파라미터의 시간 곡선이 모니터링되어야 한다. 즉, 시간에 걸친 모니터링된 파라미터의 변화가 트랙킹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일반적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시간 간격들로, 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모니터링된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그에 의해 획득된 측정된 값들을 트랙킹고, 즉, 그것들을 저장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정된 파라미터의 시간 곡선은, 종래의 접근법들에서의 경우에서와 같이, 단일 한계 값 등과 비교되지 않는다. 대신에, 결정된 시간 곡선은 이러한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과 비교될 것이다.
파라미터의 이러한 예상된 시간 곡선은 예를 들어, 실험,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들 및 그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로부터 수집된 데이터, 시뮬레이션 등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파라미터의 예상된 시간 곡선은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 상에서 이전에 관측된 파라미터의 곡선에 기초하여, 즉, 예를 들어, 파라미터의 이전에 결정된 곡선의 외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모니터링된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과 비교함으로써,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관측된 구성요소의 현재 마모 상태 및/또는 가능하게는 또한 미래의 마모 상태에 관한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은, 일부 경우에,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가 이러한 구성요소의 현재 물리적 특성들에 반드시 반영될 필요는 없고, 따라서 그와 상관되는 파라미터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없거나, 또는 일부 경우에, 미래의 마모 상태에 관한 정보가 단일 시점에서 측정된 파라미터들로부터 단독으로 도출될 수 없다는 관측에 기초한다. 대신에,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물리적 특성들이 변화하는, 시간에 걸친 거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구성요소들의 현재 및 특히, 미래의 마모 상태들에 대해 더 신뢰성 있고 및/또는 더 정확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게 허용할 수 있다는 것이 관측되었다.
그 실제 시간 곡선과 관련하여 여기에 설명된 접근법의 범위 내에서 모니터링될 파라미터는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제 1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와 상관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관관계는 파라미터가 바람직하게는 명확하게 결정된 방식으로 모니터링되는 구성요소의 현재 마모 상태에 종속되어 그 값을 변화한다는 점에서 표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가적인 파라미터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실시예들에서 모니터링될 파라미터는 본원에서 제 1 파라미터로 지칭되고, 일부 실시예들에서 추가적으로 모니터링될 추가적인 파라미터는 제 2 파라미터로 지칭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될 상기 제 1 파라미터는,
-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길이,
-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연신율 특성 (가역적 및/또는 비가역)
-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반경방향 치수들
-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광학적 특성들
-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자기적 특성들
-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전기적 특성들
- 상기 서스펜션 수단 상의 기계적 응력,
- 상기 트랙션 시브의 접촉 표면의 구조의 치수들,
- 상기 트랙션 시브의 상기 접촉 표면과 상기 서스펜션 수단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립, 및
- 상기 앵커링 상에 상기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힘, 특히 또한
- 그 구조, 예를 들면 케이블 레이 (lay) 길이에서의 시프트로 인해 서프렌션 수단에 할당될 수 있는 진동들 또는 마이크로 가속들의 시간 곡선, 및 특히
- 주어진 위치 (가속도 센서에 의해, 카 질량은 동일하게 유지되고 따라서 결국에 벨트와 관련하여 유지됨) 에서 통로의 종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 (캐빈 및/또는 카운터웨이트) 의 고유 진동수의 변화, 및 특히
- 엘리베이터 카에 대한 재조정 평가, 및 특히
- 주위 온도 (플라스틱 재료 에이징의 주된 원인), 및 특히
- 습도 (플라스틱 재료 에이징의 주된 원인) 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언급된 파라미터들 각각은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의 현재 마모 상태와 소정 정도와 상관된다. 최상의 경우에, 파라미터 또는 그 시간 곡선은 또한 구성요소의 미래의 마모 상태와 상관된다. 개별적인 파라미터들은 상이한 방식들로 측정될 수 있고, 상이한 방식들로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들과 상관될 수 있다. 언급된 파라미터들은, 바람직하게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따라서 더 비용 효율적이고 그리고/또는 임의의 경우에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제공되는 측정 장치들을 사용하여 비교적 쉽게 그리고/또는 정밀하게 측정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의 길이, 즉,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통로에 또는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이동될 구성요소들 중 하나 상에 앵커링되는 서스펜션 수단의 단부들 사이의 거리는 종종 서스펜션 수단의 마모 상태에 크게 종속된다. 전형적으로, 서스펜션 수단의 길이는 마모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서스펜션 수단의 길이는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이한 방식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가 상단 플로어에 있을 때,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홀딩된 카운터웨이트와 엘리베이터 통로의 하단에 제공된 버퍼 사이의 거리가 측정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이 더 길수록 이러한 거리는 더 작아진다. 이러한 거리는 비교적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고, 따라서 서스펜션 수단의 현재 길이에 대해 정확한 결론을 도출하도록 허용한다.
서스펜션 수단의 연신율 특성들, 즉 서스펜션 수단이 그에 가해지는 힘에 응답하여 길어질 수 있는 방식은 또한 서스펜션 수단의 마모 상태에 크게 의존한다. 서스펜션 수단의 연신율 특성들은 그 탄성 계수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그것들은 연신율 탄성 및/또는 굴곡 탄성을 지칭할 수 있다. 연신율 특성은, 예를 들어 공지된 기계적 하중들 하에서 서스펜션 수단의 길이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직접 측정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의 연신율 특성들은 또한,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에 부착된 스트레인 게이지 등을 사용하여 직접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연신율 특성들은, 예를 들어, 얼마나 많이 및/또는 얼마나 자주 소위 레벨 보상이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벨 보상의 경우, 엘리베이터는 타겟 위치에서 정지되고 그후 서스펜션 수단의 연관된 길이에서의 변화로 인하여 카가 로딩 또는 언로딩될 때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그 레벨, 즉 그 높이가 변경된다. 그후, 레벨 변화는 구동 기계에 의해 서스펜션 수단의 적절한 이동에 의해 보상된다. 이러한 레벨 보상이 수행되어야 할 정도 및/또는 빈도는 서스펜션 수단의 현재 연신율 특성들에 대한 결론이 도출되게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연신율 및 상응하게 또한 탄성 계수는 시스템의 고유 진동수와 상관된다. 따라서, 고유 진동수를 측정함으로써 탄성계수를 추론하는 것이 가능하고, 반대로 탄성계수를 결정함으로써 고유 진동수를 추론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의 반경 치수들, 즉, 예를 들어 케이블의 직경 또는 벨트의 두께는 마모로 인해, 특히 마멸로 인해 시간에 걸쳐 감소할 수 있고, 따라서 서스펜션 수단의 현재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효과적인 척도이다. 서스펜션 수단의 반경방향 치수들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경방향 치수들은 광학 센서들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소정 레벨을 초과하는 서스펜션 수단의 반경방향 치수들의 감소는 서스펜션 수단의 교체 마모 상태에 대한 표시, 즉 서스펜션 수단이 교체되어야 한다는 표시일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의 광학적 특성들은 또한 마모로 인해 시간에 걸쳐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모의 증가는 예를 들어 케이블의 돌출하는 와이어들의 형태로 서스펜션 수단의 표면 상의 표면 거칠기 또는 거시적 구조들과 같은 색상, 반사율 및/또는 광학적으로 인식가능한 구조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스펜션 수단의 광학적 특성들의 측정은 그 마모 상태에 대해 비교적 간단한 결론을 도출하게 허용한다. 서스펜션 수단의 광학적 특성들은 광 센서들, 광다이오드들, 카메라 등과 같은 적절한 센서들을 사용하여 모니터링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의 자기 특성들은 또한 그 마모 상태와 강하게 상관된다. 특히, 강자성 서스펜션 수단의 경우, 마모의 증가는 서스펜션 수단에서 발생하는 자속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수행하는 것이 비교적 간단한 서스펜션 수단을 통한 자속의 측정에 의해,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마모 상태에 관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
많은 경우들에서, 서스펜션 수단의 전기적 특성들은 또한 그 마모 상태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특히, 하중 지지 강 스트랜드를 갖는 벨트들 또는 강 케이블들과 같이 양호한 도전성을 갖는 서스펜션 수단의 경우에, 마모의 증가는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발생된 전기 저항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모가 증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서스펜션 수단에서 많은 스트랜드들 중 하나에서의 파단들 또는 균열들은 시간에 걸쳐 서스펜션 수단을 통해 전도되는 전류에 의해 경험되는 전기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행하는 것이 비교적 간단한 서스펜션 수단의 전기 저항의 측정에 의해, 따라서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마모 상태에 관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작동 동안 서스펜션 수단에 작용하는 기계적 응력은 또한 서스펜션 수단의 마모 상태에 종속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서스펜션 수단을 사용하여 엘리베이터 카 및 카운터웨이트가 홀딩되고 이동되는 전형적인 경우에 대해, 마모는 일부 서스펜션 수단의 길이가 다른 것의 길이보다 보다 현저하게 변화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개별적인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견뎌지는 힘들 및 따라서 서스펜션 수단에 작용하는 기계적 응력들은 시간에 결처 변화한다. 이러한 기계적 응력들은 비교적 쉽게 측정될 수 있고, 따라서 마모의 징후들에 대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논의된 파라미터들은 주로 서스펜션 수단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는 것과 관련되는 한편, 다른 파라미터들은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다른 구성요소들 상에서의 마모를 식별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션 시브의 접촉 표면의 구조 상에서의 치수들은 마모가 증가함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트랙션 시브는 그 접촉 표면 상에, 즉 전형적으로 그 측방향 표면 상에 홈들, 채널들, 돌출부들, 축방향 측방향 바운더리들 등과 같은 구조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 위에서 서스펜션 수단이 트랙션 시브와 접촉하게 된다. 이들 구조들은 원하는 트랙션 또는 원하는 슬립을 갖는 트랙션 시브에 의해 서스펜션 수단을 이동시키고 및/또는 그것들을 측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시간에 결쳐, 이러한 구조들은 마모로 인해 마모될 수 있고, 즉, 그 치수들은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랙션 시브의 측방향 측면 상의 홈들은 시간에 걸쳐 마모될 수 있고, 특히 라운딩되거나 깊이가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들의 치수들을 모니터링하는 것은 트랙션 시브의 마모 상태에 대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게 허용한다. 트랙션 시브가 또한 서스펜션 수단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서스펜션 수단의 마모 상태는 선택적으로 간접적으로 추론될 수도 있다.
서스펜션 수단과 트랙션 시브의 접촉 표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립은 또한 마모로 인해 시간에 걸쳐 변화할 수 있다. 이는 트랙션 시브의 접촉 표면 상의 구조들의 치수들에서의 전술한 변화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과윤활 및/또는 부정확한 윤활제의 사용으로 인해 트랙션 시브 및/또는 서스펜션 수단 상에서의 오염물의 증가하는 발생과 같은 다른 마모와 관련된 이유들이 또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슬립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용이하게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블 프로세스 동안 엘리베이터 카에 의해 트레블링되는 카 트레블 거리는 트랙션의 시브 트레블 거리 또는 풀리의 트레블 거리, 즉, 트랙션 시브 또는 편향 롤러의 측방향 표면이 트레블 프로세스 동안 이동하는 거리와 비교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 배열 상의 마모는 또한 그 앵커링 상에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서의 변화들을 초래할 수 있다. 이미 상기 언급된 서스펜션 수단에서 기계적 응력들에 대한 가능한 마모와-관련된 변화들은 또한 서스펜션 수단의 앵커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 인장력이 타겟 값으로부터 지나치게 벗어나는 경우, 서스펜션 수단을 재인장하는 것이 필수적일 수 있다. 불균일한 서스펜션은, 그렇지 않다면,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 내의,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의 가이드 슈들 및/또는 카운터웨이트 상의 마모의 불균등하거나 비균질한 징후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불균일한 서스펜션 수단 인장력은 또한 서스펜션 수단을 트랙션 시브 및/또는 편향 롤러들 상에서 및/또는 엘리베이터 카 또는 카운터웨이트 상의 편향 롤러들의 경사진 위치로 점프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 상에서의 증가된 마모의 징후들은 그 결과로서 발생되고 검출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그 앵커링들 상에 가해지는 힘들은, 예를 들어, 소위 지능형 고정 지점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통로 커버 상에 서스펜션 수단을 고정하는 것은 단지 서스펜션 수단을 기계적으로 홀딩하는 것만이 아니다. 대신에, 고정부에는 또한 고정부 상에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결정할 수 있도록 적절한 기술 수단이 구비된다. 고정부 또는 앵커링에서의 결정된 힘들 또는 응력들은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내에서의 마모 상태에 관한 결론, 특히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상이한 구성요소들 상에서의 마모 상태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밀도로 비교적 적은 노력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안된 방법은 또한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에 영향을 주고 그리고/또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와 상관되고, 제 1 파라미터와 상이한, 제 2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 모니터링된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과 비교한 결과 및 모니터링된 상기 제 2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모니터링한 결과 양쪽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즉,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모니터링하는 것 뿐만 아니라, 추가의 제 2 파라미터가 그 실제 시간 곡선에 대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제 1 파라미터의 경우와 유사하게, 관련된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와 상관되는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 중 하나의 물리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 2 파라미터는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즉, 제 2 파라미터는 관련된 구성요소에서의 마모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 지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제 2 파라미터는 반드시 관련된 구성요소 자체의 특성일 필요는 없지만, 오히려 구성요소가 작동되고 또한 구성요소의 마모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주변 조건들 또는 바운더리 조건들의 특성인 물리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마모 상태가 제 2 파라미터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그와 상관되는 구성요소는 마모 상태가 상기 방법에 따라 모니터링되는 제 1 파라미터와 상관되는 제 1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들은 또한 상이할 수 있다.
그후, 제 1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는 2 개의 모니터링된 파라미터들, 즉,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 및 제 2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제 1 구성요소의 현재 및/또는 미래의 마모 상태에 관한 정보는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 및 제 1 파라미터의 연관된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과 이러한 프로파일의 비교에 기초하여, 그리고 제 2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다.
2개의 상이한 파라미터들의 실제 시간 곡선들을 고려함으로써,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에 대해 결정된 정보의 신뢰성, 정밀도 및/또는 다른 특성들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유리한 효과들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파라미터 및 제 2 파라미터는 상이한 방식들로 제 1 모니터링된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와 상관된다.
즉, 제 1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는 상이한 방식들로 제 1 및 제 2 파라미터들에 영향을 미치거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그후, 2개의 파라미터들이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와 상관되거나 그에 영향을 미치지만, 정성적 및/또는 정량적 상관의 타입은 2개의 파라미터들 사이에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소정 리던던시는 2개의 파라미터들을 측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마모 상태와의 상이한 타입의 상관은 더 정확한 스테이트먼트 (statement) 가 또한 전체적으로 마모 상태에 대해 행해지게 할 수 있다.
방법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파라미터는 서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제 1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와 상관된다.
즉, 그 실제 시간 곡선과 관련하여 상기 방법에서 모니터링될 2개의 파라미터들은, 이들이 나타내는 특성들이 상호작용하는, 즉 서로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유리하게 선택될 수 있다. 특히, 파라미터들은, 제 1 파라미터를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제 2 파라미터에서의 편차들이 그와 함께 모니터링되는 구성요소에서 발생하는 마모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을 수용하는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주위 온도는 제 2 파라미터로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주위 온도는 일반적으로 서스펜션 수단 상에서 발생하는 마모에 영향을 미친다. 그후, 서스펜션 수단의 마모 상태는,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의 마모 상태, 즉, 측정될 서스펜션 수단의 길이 또는 서스펜션 수단의 탄성 계수와 상관되는 제 1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고, 주위 온도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주변 온도 및 벨트의 슬립 거동은 상관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모니터링된 상기 제 2 파라미터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은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복수의 가능한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즉, 제 2 파라미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물리적 특성들은 일반적으로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에서 발생하는 마모의 시간 곡선에 사전결정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미리 알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실험들, 기존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관측들, 계산들 또는 시뮬레이션들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마모와 상관되는 제 1 파라미터의 예상된 시간 곡선은 따라서 제 2 파라미터에 의해 재현되는 물리적 특성이 실제로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종속되어 상이할 수 있다.
제 2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그 실제 시간 곡선을 모니터링함으로써, 따라서 제 1 파라미터의 예상된 시간 곡선에 대해 더 정확한 스테이트먼트 또는 더 정확한 가정이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 정밀하게 사전결정된 제 1 파라미터의 예상된 시간 곡선과 제 1 파라미터의 모니터링된 실제 시간 곡선을 비교할 수 있게 됨으로써,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에 관한 더 신뢰성 있고 및/또는 더 정확한 정보가 전체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모니터링될 제 2 파라미터는 다음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들의 그룹으로부터 구체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영역에서의 온도,
-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영역에서의 습도, 및
-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영역에서의 공기 압력.
즉, 이러한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모니터링될 제 2 파라미터는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영역에서의 온도, 즉,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우세한 공기 온도 또는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 중 하나에서 직접 측정된 온도일 수 있다. 이러한 온도는 일반적으로 시간에 걸쳐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상에서 발생하는 마모에 영향을 미친다. 마모는 종종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이러한 경우, 제안된 방법에 대해, 온도가 단일 시점에서 측정되지 않고, 그후 마모에 대해 그로부터의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시도가 행해지지만, 오히려 온도의 시간 곡선이 모니터링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 시간 곡선 또는 그로부터 계산되는 시간 기간에 걸친 평균 온도에 관한 정보는 이러한 시간 기간 내에 전형적으로 가정된 마모에 대해 그리고 따라서 제 1 파라미터의 예상된 시간 곡선에 대해 더 정확한 스테이트먼트가 행해질 수 있게 한다.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실제 시간 곡선을 제 1 파라미터의 온도-종속적 예상된 시간 곡선과 비교함으로써, 그후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현재 마모 상태에 관한 스테이트먼트들이 비교적 높은 레벨의 정확도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이징의 징후들을 나타내기 쉬운 플라스틱-코팅된 서스펜션 수단의 케이싱의 상태는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사전결정될 수 있다.
심지어 이러한 구성요소의 미래의 마모 상태에 대한 스테이트먼트들도 사전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 시간 곡선이 허용가능한 허용오차 내에서 예상 시간 곡선과 일치하면, 마모가 허용 가능한 레벨을 초과할 미래의 시점을 추론하기 위해 시간 외삽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미리 계획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작업량 및/또는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모니터링될 제 2 파라미터는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영역에서의 습도일 수 있다. 우세한 습도는 또한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에서 발생하는 마모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증가된 습도는 예를 들어 부식의 징후들로 인해 더 큰 마모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습도의 실제 시간 곡선 또는 이로부터 도출된 평균값에 기초하여, 관측된 시간 기간에서 마모가 어떻게 발생하고 따라서 어떤 제 1 파라미터의 시간 곡선이 예상되는 지에 대한 결론이 도출될 수 있다. 그후,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은 제 2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사전결정된 제 1 파라미터의 예상된 시간 곡선과 다시 비교될 수 있다.
추가의 가능예로서, 모니터링될 제 2 파라미터는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영역에서의 공기 압력일 수 있다. 관측 시간 동안 우세한 공기 압력은 또한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에서 발생하는 마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공기 압력의 실제 시간 곡선에 관한 정보는 차례로 제 1 파라미터의 예상된 시간 곡선을 현실적으로 사전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에서, 모니터링될 제 2 파라미터는 구체적으로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에 의해 이동된 엘리베이터 카의 행정들의 빈도를 나타낼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가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에 의해 관측 기간 내에 이동하는 빈도는 또한 자연스럽게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에 발생하는 마모 징후에 영향을 미친다. 제 2 파라미터로서, 엘리베이터 카가 관측의 시작 이후 시간 단위와 관련하여 또는 시간 기간 내에 얼마나 자주 이동되었는지를 관측함으로써, 제 1 파라미터의 예상된 시간 곡선을 사전결정하는 데 차례로 사용될 수 있는 정보가 획득될 수 있어서,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관측된 시간 곡선은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에 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도록, 이러한 예상 시간 곡선과 다시 비교될 수 있다.
또한, 얼마나 멀리, 즉, 어느 정도의 트레블 거리에 걸쳐, 관측된 행정들이 각각의 경우에 있었는 지, 각각의 경우에 관측된 행정들 상에서 어떤 페이로드 (payload) 가 수송되었는 지를, 및/또는 행정들에 의해 발생하는 마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수들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트레블 빈도를 모니터링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파라미터들이 또한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영역에서 이미 설명된 온도, 습도 및/또는 공기 압력과 같은 제 2 파라미터들로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모 상태는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선형 시간 곡선으로부터의 모니터링된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의 편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된 실제 시간 곡선과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은 일정하게 또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서로 비교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전결정된 시간 곡선에 대해 선형 곡선이 가정될 수 있는 데, 즉, 제 1 파라미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특성들이 시간에 걸쳐 선형 방식으로 변화한다고 가정될 수 있다. 모니터링된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이 이러한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선형 시간 곡선과 상이한 방식은 우세한 또는 미래의 마모 상태들에 대한 결론이 도출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경우들에서 또는 더 긴 시간 기간들에 걸쳐, 제 1 파라미터의 모니터링된 실제 시간 곡선은 마찬가지로 시간에 걸쳐 선형적으로 변화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변화들의 시간 종속성을 나타내는 비례 인자는 실제 시간 곡선 및 예상된 시간 곡선에 대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2개의 비례 인자들이 서로 어떻게 상이한 지에 따라,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현재의 마모 상태가 추론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시나리오에서, 제 1 파라미터의 모니터링된 실제 시간 곡선은 초기에 선형적으로 변화할 수 있지만, 그후 시간에 따른 그 전개는 변화할 수 있고 더 이상 시간의 함수로서 선형적으로 변화할 수 없지만, 예를 들어, 저비례적으로 (underproportionally) 또는 과비례적으로 (overproportionally) 변화할 수 있다.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과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선형 시간 곡선 사이에서 관측될 편차는 현재 및/또는 미래의 마모 상태들에 대한 결론이 도출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마모 상태는 제 1 파라미터의 이전 시간 곡선과 비교하여 모니터링된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의 특성의 반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된 제 1 파라미터가 소정 시간 기간에 걸쳐 소정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 즉 트렌드를 따르는 것이 관측될 수 있다. 소정 시점에서, 제 1 파라미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특성이 변화하는 방향이 반전될 수 있고, 즉, 트렌드 반전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렌드 반전이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제 1 파라미터의 예상된 시간 곡선과 비교함으로써 검출되면, 이는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현재 및/또는 미래의 마모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파라미터의 예상된 시간 곡선은 제 1 파라미터의 이전 시간 곡선에 상응할 수 있다. 즉,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이 제 1 파라미터의 이전의 실제 시간 곡선의 시간 외삽과 시간에 걸쳐 현저하게 상이한 경우, 트렌드 반전이 검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모 상태는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이전 실제 시간 곡선의 2차 시간 도함수와 비교하여 모니터링된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의 2차 시간 도함수의 부호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된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이 시간에 걸쳐 어떻게 변화하는 지가 관측될 수 있다. 시간에 걸쳐 발생하는 변화들은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의 제 1 시간 도함수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변화들은 트렌드를 따를 수 있고, 즉 연속적으로 더 작아질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제 1 파라미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물리적 특성은 포화 값에 접근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트렌드가 변화하면, 시간에 걸쳐 원래 점점 작아졌던 제 1 매개 변수에서의 변화가 갑자기 다시 더 커진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전형적으로 모니터링된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의 제 2 시간 도함수에서의 부호 변화와 연관될 수 있다. 이전 트렌드의 이러한 갑작스런 변화 및 부호에서의 연관된 변화는 관련된 구성요소에서 특정 마모 상태의 존재의 표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구체적인 예에 기초하여, 상기 마모 상태는 케이블형 서스펜션 수단의 탄성 계수에서의 선행하는 연속적인 증가 후에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케이블형 서스펜션 수단의 탄성 계수에서의 초기 감소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적인 예에서, 서스펜션 수단은 많은 수의 내부 및 외부 스트랜드들을 갖는 케이블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내부 스트랜드들은 케이블의 하중-캐리 용량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사용시, 케이블 내의 기계적 응력들의 대부분의 비율을 흡수한다. 외부 스트랜드들은 내부 스트랜드들을 둘러싸고 보호한다. 외부 스트랜드들이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굽힘 강성에 기여하지만, 그것들은 단지 케이블에서 하중-운반 용량 및 따라서 기계적 응력 작은 부분을 담당한다. (최소 케이블 파단 하중의 2 내지 8.33% 사이의 전형적인 엘리베이터 하중 범위에서) 고체 강 케이블의 경우, 케이블 코어 (내부 스트랜드들) 는 외부 스트랜드들보다 더 높은 기계적 종방향 응력을 갖는다. 외부 스트랜드들의 인장력 레벨은 스트랜드형 구조로 인해 케이블 코어의 것보다 현저히 낮다.
시간에 걸쳐, 특히 내부 스트랜드들에서, 케이블의 탄성에서의 점진적인 증가, 즉 케이블의 탄성 계수의 감소가 피로의 징후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케이블은 더 연성으로 되고 점점더 명백히 연성으로 되어, 플로어들에 접근할 때 재조정되고 시간에 걸쳐 엘리베이터 카를 로딩 및 언로딩할 때 레벨조정된다.
소정 시점으로부터, 내부 스트랜드들은 케이블의 더 빈번하고 더 큰 연신율로 인해 균열되거나 파단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케이블의 하중-캐리 용량은 이전의 경우에서 같이, 일차적으로 내부 스트랜드들에 의해 담당되지 않고, 또한 점점 더 외부 스트랜드들에 의해 담당된다. 이는 전체 케이블의 활성 탄성 계수의 트렌드 반전을 발생시킬 수 있고, 즉, 케이블의 탄성 계수가 우선 점진적으로 감소된 후에, 다시 갑자기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렌드 반전은 측정될 탄성 계수의 실제 시간 곡선의 2차 시간 도함수의 부호 변화 또는 이와 상관되는 측정된 변수에서 볼 수 있다. 트렌드 반전은 소정 마모 상태가 케이블에서 발생했거나 미래에 발생할 것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렌드 반전으로 인해, 케이블 내측의 스트랜드들은 그곳에서 정상적으로 흡수되는 기계적 응력들에 더 이상 대처할 수 없고, 따라서 케이블은 가까운 미래에 폐기, 즉 교체되어야 한다는 것이 추론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은 상이한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서 결정된 다수의 측정 값들에 기초하여 사전결정될 수 있다.
즉,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은 이러한 제 1 파라미터에 상응하거나 다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적어도 그와 상관되는 측정된 값을 기록함으로써 이전에 결정된 이러한 파라미터의 예상된 시간 곡선과 비교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특정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상에서 검출된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은, 예를 들어,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서 관측된 바와 같이, 이전에 기록된 실제 시간 곡선들과 비교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에 기초하여, 특히 특정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관측된 실제 시간 곡선과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서 이전에 관측된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 사이의 편차들에 기초하여, 그후 특정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에서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현재 또는 미래의 마모 상태를 추론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디바이스가 설명된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들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제 1 및/또는 제 2 및/또는 추가 파라미터들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서스펜션 수단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 서스펜션 수단의 연신율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 서스펜션 수단의 반경방향 치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 서스펜션 수단의 광학적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 서스펜션 수단의 자기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 서스펜션 수단의 전기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 서스펜션 수단 내의 기계적 응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 트랙션 시브의 접촉 표면의 구조의 치수들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 서스펜션 수단과 트랙션 시브의 접촉 표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립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들 및/또는 앵커링 상에서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센서들은, 예를 들어, 광다이오드들 또는 카메라들과 같은 광학적 센서들, 전기 센서들, 기계적 센서들, 자기 센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측정된 파라미터에 종속되어, 센서들은 측정 신호, 특히 전기 측정 신호를 생성 및 포워딩할 수 있다.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측정 신호가 수신되고 평가되는 평가 디바이스를 가질 수 있다. 평가 디바이스는 측정 신호 또는 측정 데이터가 프로세싱될 수 있는 프로세서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측정 신호들이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 메모리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측정 신호들을 기록하고 궁극적으로 상기 신호들의 중간 저장에 의해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기와 연결되어 그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에서 결정된 마모 상태에 관한 정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제어기로 포워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결정된 마모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어 센터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 센터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모니터링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의 모니터링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에 따라 제안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예를 들어, 본원에서 제안된 방법의 실시예들을 수행하거나 제어하도록, 전술한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일부일 수 있는 컴퓨터에 명령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들의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임의의 컴퓨터 언어로 포뮬레이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에 따르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술적으로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플래시 메모리, CD, DVD, 또는 다른 휴대용,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또는 서버들의 네트워크의 일부, 특히 인터넷의 일부 또는 데이터 클라우드 (클라우드) 의 일부일 수 있고, 그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다운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특징들 및 이점들 중 일부가 본원에 설명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구현된 모니터링 디바이스의 상이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상기 특징들이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형태들에서 달성되도록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되고, 전달되거나, 조정되거나 또는 대체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되지만, 도면들 또는 설명이 본 발명은 제한하는 바와 같이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모니터링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면은 단지 개략적이고 축적에 적용되지 않는다.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동등한 특징을 나타낸다.
도 1 은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가 모니터링 디바이스 (3)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을 도시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은 엘리베이터 통로 (11) 내에 상이한 플로어들 (13) 사이에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카 (7) 및 카운터웨이트 (9) 를 갖는다. 카 (7) 및 카운터웨이트 (9) 는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에 의해 홀딩되고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는 케이블들, 스트랩들 또는 벨트들과 같은 복수의 케이블형 서스펜션 수단 (15) 을 갖는다. 서스펜션 수단 (15) 은 구동 기계 (19) 의 트랙션 시브 (17) 로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트랙션 시브 (17) 는,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 (15) 이 트랙션 시브 (17) 상에 안착되는 접촉 표면 (21) 상의 홈들, 채널들 등의 형태로 서스펜션 수단 (15) 의 기하학적 형상에 맞춤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서스펜션 수단 (15) 은 앵커링들 (23) 을 통해 엘리베이터 통로 (11) 의 천장 (25) 에 고정된다. 그로부터, 서스펜션 수단 (15) 은 카 (7) 또는 카운터웨이트 (9) 에 부착된 편향 롤러들 (27, 29) 까지 아래로 연장되어, 그후 구동 기계 (19) 의 견인 도르래 (17) 까지 다시 위로 연장된다. 구동 기계 (19) 의 작동은 엘리베이터 제어기 (31) 에 의해 제어된다. 엘리베이터 제어기 (31) 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3) 와 통신할 수 있다.
다수의 센서들 또는 센서 시스템들이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에 제공되고, 그것에 의해 파라미터들이 모니터링될 수 있으며, 이는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들과 상관되거나 그에 영향을 미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 내의 상태들 또는 특성들에 관한 결론을 도출하게 허용한다. 이들 센서들 또는 센서 시스템들은, 상기 센서들 또는 센서 시스템들에 의해 측정된 파라미터들을 나타내는 측정 데이터 또는 측정 신호들을 모니터링 디바이스 (3) 에 전송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디바이스 (3) 에 유선 연결되거나 모니터링 디바이스 (3) 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측정 센서 시스템 (35) 은 카운터웨이트 (9) 의 트레블 경로에 인접한 버퍼 (33) 부근에서 엘리베이터 통로 (11) 의 하부 단부에 제공된다. 카운터웨이트 (9) 와 버퍼 (33) 사이의 거리는 카운터웨이트 (9) 가 그 가장 낮은 가능한 위치에 위치될 때, 즉 카 (7) 가 가장 높은 가능한 플로어 (13) 상에 위치될 때 이러한 길이 측정 센서 시스템 (35) 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시간에 걸쳐, 특히 재료 연신률로 인해 변화할 수 있는 서스펜션 수단 (15) 의 현재 길이는 이러한 거리의 측정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추론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 (15) 의 반경방향 치수들, 즉 서스펜션 케이블들의 직경 또는 서스펜션 벨트들의 두께는, 예를 들어,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별히 맞춤된 센서 시스템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37) 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그 관측 시계는 서스펜션 수단 (15) 을 향해 지향된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카메라 (37) 는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서스펜션 수단 상의 표면 텍스츄어의 변화 및/또는 컬러, 반사율 등의 변화와 같은 서스펜션 수단의 광학적 특성들을 검출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센서 시스템 (39) 은 서스펜션 수단 (15) 의 자기 특성들을 측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시스템 (39) 에 의해,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 (15) 중 하나를 통한 자속이 측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센서 시스템 (41) 은 서스펜션 수단 (15) 의 전기적 특성들을 측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시스템 (39) 은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 (15) 중 하나를 통한 전류 유동들 또는 전기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앵커링들 (23) 은 지능형 고정 지점들로서 설계될 수 있고, 서스펜션 수단 (15) 상에 또는 그 안에 기계적 응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레인 게이지들은 서스펜션 수단 (15) 또는 그 앵커된 단부들과 상호작용하는 앵커링들 (23) 에 제공될 수 있다. 앵커링들 (23) 은 또한 선택적으로 앵커링들 (23) 상에 서스펜션 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힘들을 측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시스템 (43) 이 제공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트랙션 시브 (17) 의 접촉 표면 (21) 의 구조의 치수들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시스템 (43) 은,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다른 광학 센서들을 사용하여 차례로 구현될 수 있지만, 상이한 방식으로 기능하는 센서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디바이스 (3) 는 데이터 및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그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통로 (11) 에서 엘리베이터 카 (7) 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제어기 (31) 및/또는 다른 센서들 (45) 로부터,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의 구성요소들의 마모와 상관되는 다른 파라미터들은 추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카 (7) 가 플로어 (13) 에서 정지할 때, 레벨 조정이 엘리베이터 제어기 (31) 에 의해 수행되는 방식, 즉, 예를 들어 얼마나 자주 및/또는 어느 거리에 걸쳐 이루어지는 방식으로부터 서스펜션 수단 (15) 의 연신율 특성들을 추론하는 것이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제어기 (31) 에 의해 구동 기계 (19) 에 의해 제어된 이동 거리를, 예를 들어 센서 (45) 로부터의 신호를 사용하여 검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카 (7) 또는 카운터웨이터 (9) 의 실제 이동 거리와 비교함으로써, 서스펜션 수단 (15) 과 트랙션 시브 (17) 의 접촉 표면 (21)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립을 추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온도 센서 (47), 습도 센서 (49) 및/또는 공기 압력 센서 (51) 는 서스펜션 수단 (15) 의 영역에서 상응하는 우세한 조건들을 측정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통로에 제공될 수 있다.
모니터링 디바이스 (3) 는 상기 설명된 센서들 또는 센서 시스템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법에 의해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의 구성요소들의 현재 및/또는 미래의 마모 상태에 관한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니터링 디바이스 (3) 는 예를 들어, 측정 데이터가 저장 및 추후의 시점에 다시 검색될 수 있는 데이터 프로세서 및 데이터 메모리와 같은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모니터링 디바이스 (3) 가 다양한 센서들 및 센서 시스템들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들을 통상적으로 갖는다.
방법의 범위 내에서,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곡선은, 예를 들어 센서들 및 센서 시스템들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측정 데이터를 수집 및 트랙킹함으로써 연속적으로 또는 사전결정된 시간 간격들로 모니터링된다. 제 1 파라미터는 그것이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마모 상태와 상관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모니터링된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은 그후 이러한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과 비교되고, 그후 이러한 비교의 결과에 기초하여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 (15) 의 현재 길이는 길이 측정 센서 시스템 (35) 에 의해 제공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 1 파라미터로서 결정될 수 있다. 소정 시간 기간에 걸쳐 데이터를 축적함으로써, 이러한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 즉 서스펜션 수단 (15) 의 길이가 시간에 걸쳐 어떻게 변하는 지에 관한 정보가 도출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의 길이가 전형적으로 시간에 걸쳐 어떻게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예상된 시간 곡선은 이전에 수행된 실험들, 시뮬레이션들 및/또는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들로부터 획득된 지식으로부터 사전결정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 (15) 의 길이 거동의 실제 시간 곡선을 예상된 시간 곡선과 비교함으로써, 서스펜션 수단 (15) 의 현재 및/또는 미래의 마모 상태에 대한 스테이트먼트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측된 서스펜션 수단 (15) 은 기준으로서 사용된 서스펜션 수단으로부터 알려진 것보다 시간에 걸쳐 더 빠르게 길어지는 것이 검출될 수 있고, 따라서 예상될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진행하는 마모 상태 및/또는 예를 들어 서스펜션 수단 (15) 이 허용가능한 마모 한계에 도달하는 시점을 추론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제 2 파라미터는 바람직하게 제 1 파라미터의 모니터링에 추가하여 모니터링된다. 제 1 파라미터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제 2 파라미터는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와 상관될 수 있다. 그러나, 제 2 파라미터가 마모 상태에 심지어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즉 마모 상태가 시간에 걸쳐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스테이트먼트가 이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모니터링될 제 1 및 제 2 파라미터들의 많은 상이한 조합들이 고려될 수 있거나 유리하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될 2 개의 파라미터들을 서로 종속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특히, 제 1 파라미터가 제 2 파라미터의 선택에 종속되고 및/또는 제 2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들에 종속되는 것으로 모니터링되거나 평가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통로 (11) 에서 우세한 온도 또는 서스펜션 수단 (15) 상에서 직접 우세한 온도는 예를 들어 온도 센서 (47) 에 의해 제 2 파라미터로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 (15) 의 마모 상태는 이때 서스펜션 수단 (15) 의 길이의 실제 곡선의 비교에 기초하여 그리고 추가적으로 측정된 온도의 실제 곡선에 기초하여 상기 언급된 예에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긴 시간 기간에 걸쳐 우세한 온도가 서스펜션 수단 (15) 에서 발생하는 마모에 영향을 미치고, 그 마모는 차례로 서스펜션 수단 (15) 의 길이에서의 변화에 반영될 수 있다는 사실이 이러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서스펜션 수단 (15) 에서의 길이 변화의 예상된 시간 곡선은 이 경우에 온도의 실제 곡선에 기초하여 사전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모니터링 기간 동안 우세한 상이한 온도들에 대해 다른 시스템들에서 계산, 시뮬레이팅, 실험적으로 결정 또는 관측된, 길이에서의 변화들의 복수의 가능한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들 중에서, 온도 조건들의 실제 시간 곡선에 대해 초래된 길이에서의 변화들의 예상 시간 곡선은 길이에서의 변화들의 실제 곡선과의 비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의 구성요소들의 현재 및/또는 미래의 마모 상태에 관한 정보는, 특히, 예를 들어, 선형인 것으로 가정될 수 있는 이러한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으로부터 모니터링된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의 검출된 편차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모니터링된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의 특성들의 반전들 또는 모니터링된 파라미터의 실제 곡선의 제 2 시간 도함수의 부호 변화들은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양호한 지시 또는 양호한 데이터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특별한 변형예에서, 제 1 파라미터의 예상된 시간 곡선은 다양한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 (53) 에서 측정된 다수의 측정된 값에 기초하여 사전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모니터링 디바이스 (3) 는 예를 들어, 다른 엘리베이터 시스템 (53) 으로부터 이러한 측정 값들을 수신할 수 있고, 필요하다면, 상기 값들을 평가 및/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서버 (55) 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 (55) 는 예를 들어 데이터 클라우드 (클라우드) 의 일부일 수 있고/있거나 다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53) 을 모니터링하는 제어 센터에 배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갖는", "포함하는" 등과 같은 용어는 다른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배제하지 하지 않고, 단수형의 용어는 복수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추가로, 상기 실시형태들의 하나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징들 또는 단계들은 또한 상기 설명된 다른 실시형태들의 다른 특징들 또는 단계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청구 범위에서 도면 부호들은 제한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15)

  1.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와 상관되는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 모니터링된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상기 실제 시간 곡선을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과 비교하는 단계;
    -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모니터링된 상기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마모 상태는 케이블형 서스펜션 수단 (15) 의 탄성 계수에서의 선행하는 연속적인 증가 후에 상기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의 상기 케이블형 서스펜션 수단 (15) 의 탄성 계수에서의 초기 감소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는,
    -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형 서스펜션 수단 (15),
    - 트랙션 시브 (17) 의 접촉 표면 (21) 상에 안착된 상기 서스펜션 수단 (15) 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 기계 (19) 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트랙션 시브 (17),
    - 상기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에 의해 이동될 엘리베이터 카 (7) 상에서 그리고/또는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를 수용하는 엘리베이터 통로 (11) 에서 서스펜션 수단 (15) 의 적어도 하나의 앵커링 (23) 을 적어도 포함하고,
    모니터링될 상기 제 1 파라미터는,
    - 상기 서스펜션 수단의 길이 (15),
    - 상기 서스펜션 수단 (15) 의 연신율 특성들,
    - 상기 서스펜션 수단 (15) 의 반경방향 치수들,
    - 상기 서스펜션 수단 (15) 의 광학적 특성들,
    - 상기 서스펜션 수단 (15) 의 자기적 특성들,
    - 상기 서스펜션 수단 (15) 의 전기적 특성들,
    - 상기 서스펜션 수단 (15) 상의 기계적 응력,
    - 상기 트랙션 시브 (17) 의 상기 접촉 표면 (21) 의 구조의 치수들,
    - 상기 트랙션 시브 (17) 의 상기 접촉 표면 (21) 과 상기 서스펜션 수단 (15)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립, 및
    - 상기 앵커링 (23) 상에 상기 서스펜션 수단 (15) 에 의해 가해지는 힘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에 영향을 주고 그리고/또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와 상관되고, 상기 제 1 파라미터와 상이한, 제 2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 모니터링된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과 비교한 결과 및 모니터링된 상기 제 2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을 모니터링한 결과 양쪽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파라미터는 상이한 방식들로 상기 제 1 모니터링된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와 상관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라미터 및 상기 제 2 파라미터는 서로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제 1 모니터링된 구성요소의 마모 상태와 상관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니터링된 상기 제 2 파라미터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은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복수의 가능한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들로부터 선택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니터링될 상기 제 2 파라미터는,
    - 상기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의 영역에서의 온도,
    - 상기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의 영역에서의 습도, 및
    - 상기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의 영역에서의 공기 압력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들의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8.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니터링될 상기 제 2 파라미터는 상기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에 의해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카 (7) 의 행정들 (journeys) 의 빈도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상태는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선형 시간 곡선으로부터의 모니터링된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의 편차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상태는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이전 시간 곡선과 비교하여 모니터링된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의 특성의 반전 (reversal) 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상태는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이전 실제 시간 곡선의 2차 시간 도함수와 비교하여 모니터링된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실제 시간 곡선의 2차 시간 도함수의 부호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라미터의 사전결정된 예상된 시간 곡선은 상이한 엘리베이터 시스템들 (1) 에서 결정된 다수의 측정된 값들에 기초하여 사전결정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13. 엘리베이터 시스템 (1) 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 (5) 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모니터링 디바이스로서,
    상기 모니터링 디바이스 (3) 는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모니터링 디바이스.
  14.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거나 제어하도록 명령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5. 제 14 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227017727A 2019-11-29 2020-11-27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202201011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2626 2019-11-29
EP19212626.6 2019-11-29
PCT/EP2020/083617 WO2021105347A1 (de) 2019-11-29 2020-11-27 Verfahren zum ermitteln eines verschleisszustands von komponenten einer tragmittelanordnung einer aufzug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109A true KR20220101109A (ko) 2022-07-19

Family

ID=6873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7727A KR20220101109A (ko) 2019-11-29 2020-11-27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02194A1 (ko)
EP (1) EP4065499B1 (ko)
JP (1) JP2023503516A (ko)
KR (1) KR20220101109A (ko)
CN (1) CN114728766A (ko)
WO (1) WO20211053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8501B2 (en) 2020-04-06 2023-08-0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heave wear detection
WO2023247036A1 (en) * 2022-06-23 2023-12-28 Kone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elevator suspension rope condition
DE102022118101A1 (de) 2022-07-20 2024-01-25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Aufzugsanlage sowie Verfahren zum Erkennen von Fehlerzuständen
DE102023100019A1 (de) 2023-01-02 2024-01-18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Aufzugsvorrichtung mit antriebsbasiert implementierter Zugmittelschwingungsdämpfung sowie entsprechendes Verfahren und Verwendung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2574A (en) 1996-12-20 1999-11-30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to inspect hoisting ropes
US6633159B1 (en) 1999-03-29 2003-10-14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gnetic detection of degradation of jacketed elevator rope
DE10150354A1 (de) 2001-10-15 2003-05-08 Henning Gmbh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rfassung von Verschleiß von Förderanlagen mit Tragseilen
FI120763B (fi) 2006-06-05 2010-02-26 Kone Corp Menetelmä kuorman mittaamiseksi hississä ja hissi
JP5036459B2 (ja) * 2007-09-06 2012-09-2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摩耗推定方法及びタイヤ摩耗推定装置
JP2011126710A (ja) 2009-12-21 2011-06-30 Kita Nippon Electric Cable Co Ltd ワイヤロープの伸び検査装置及びワイヤロープの伸び検査方法
JP5446849B2 (ja) 2009-12-25 2014-03-19 株式会社明電舎 ワイヤーロープ検査装置
JP5499334B2 (ja) * 2011-06-21 2014-05-21 日立建機株式会社 液圧回転機の摩耗検出装置
CN103204416B (zh) * 2012-01-12 2015-06-24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驱动绳轮磨损检测装置
FI123534B (fi) 2012-02-13 2013-06-28 Kone Corp Nostolaitteen köysi, hissi ja menetelmä köyden valmistamiseksi
US10399820B2 (en) * 2014-02-19 2019-09-03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tension member stiffness estimation and monitoring
US10399821B2 (en) 2014-09-11 2019-09-03 Otis Elevator Company Vibration-based elevator tension member wear and life monitoring system
JP2016060550A (ja) * 2014-09-12 2016-04-25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用主索の寿命診断方法
CN104627762A (zh) 2014-12-05 2015-05-20 中国矿业大学 一种摩擦提升机绳槽磨损量检测系统及检测方法
EP3130555B1 (en) 2015-08-12 2020-11-11 KONE Corporation Rope and rope groove monitoring
RU2617145C1 (ru) * 2015-12-23 2017-04-21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егиональный канатный центр"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технического состояния подъёмного каната
DE202016002171U1 (de) * 2016-04-05 2017-07-07 Liebherr-Werk Biberach Gmbh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Betriebsdaten und/oder Bestimmung der Ablegereife eines Seils beim Einsatz an Hebezeugen
GB2557195A (en) * 2016-11-30 2018-06-20 Jaguar Land Rover Ltd Controller for a braking system of a vehicle
CN108238527B (zh) * 2016-12-23 2019-11-12 通力股份公司 用于电梯绳索状态监控的装置和方法
JP6771396B2 (ja) 2017-01-24 2020-10-21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保守方法
ES2963650T3 (es) 2017-10-27 2024-04-01 Bekaert Advanced Cords Aalter Nv Correa que comprende cordones de acero adaptados para la detección del desgaste
JP6445657B1 (ja) 2017-11-08 2018-12-2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ロープ検査システム
CN109928285B (zh) * 2019-04-04 2023-11-07 普林志教育科技(厦门)有限公司 电梯复合钢带在线健康预测方法及装置
CN109987480A (zh) 2019-04-18 2019-07-09 福建省特种设备检验研究院 一种曳引钢丝绳直径实时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02194A1 (en) 2023-01-05
JP2023503516A (ja) 2023-01-30
EP4065499A1 (de) 2022-10-05
EP4065499B1 (de) 2024-05-15
CN114728766A (zh) 2022-07-08
WO2021105347A1 (de)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101109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서스펜션 수단 배열체의 구성요소들의 마모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102488932B1 (ko) 진동-기반 승강기 인장 부재 마모 및 수명 모니터링 시스템
CN106477411B (zh) 方法、设施和电梯
US9995711B2 (en) Calibration of wear detection system
US6653943B2 (en) Suspension rope wear detector
US93279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states in an elevator installation
CN109748171B (zh) 电梯的绳索检查系统
US9457995B2 (en) Guide strip for a guide rail of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way
CN106163957B (zh) 电梯张力部件刚度估计和监测
JP2014101197A (ja) エレベータロープ劣化判定方法及びエレベータロープ保守装置
JP2001192183A (ja) 合成繊維ロープの劣化状態判別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
JP6491365B1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検査システム
JP2020186101A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検査システム
US20220185628A1 (en) Determination of the state of a suspension means
US9522806B2 (en) Deflection pulley cover for monitoring elevator car support
US202201207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a wire rope assembly
US202103712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properties of a supporting-means arrangement in an elevator system
FI119766B (fi) Menetelmä hissin taitto- ja/tai vetopyörien köysiurien kulumisen tunnistamiseksi ja hissi
CN106660765B (zh) 检测链条中的磨损链节的方法及升降装置
US2021009480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belts in elevator systems
US202100948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belts in elevator systems
US9618409B2 (en) Temperature compensation for monitoring a load bearing member
JP2011226956A (ja) 送り装置
Ebeling A Reliable Forecast of Lift System W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