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9136A -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9136A
KR20220099136A KR1020210000214A KR20210000214A KR20220099136A KR 20220099136 A KR20220099136 A KR 20220099136A KR 1020210000214 A KR1020210000214 A KR 1020210000214A KR 20210000214 A KR20210000214 A KR 20210000214A KR 20220099136 A KR20220099136 A KR 20220099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il
coil assembly
vehicle brak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448B1 (ko
Inventor
서유동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0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448B1/ko
Priority to US17/216,521 priority patent/US11862392B2/en
Priority to CN202110616648.1A priority patent/CN114715094B/zh
Publication of KR20220099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9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3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 hydraulic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6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5/00Construction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alves incorporated in power brake systems and not covered by groups B60T11/00 or B60T13/00
    • B60T15/02Application and release valves
    • B60T15/025Electrically controlled valves
    • B60T15/028Electrically 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55Continuously controlled electromagnetic valves
    • B60T8/366Valve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75Electromagnet aspects, e.g. electric supply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ions to coils, e.g.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6Supporting or moun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52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joining features of the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2007/062Details of terminals or connectors for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2007/06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using printed circuit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081Magnetic constructions
    • H01F2007/083External yoke surrounding the coil bobbin, e.g. made of bent magnetic she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제동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주면을 따라 코일(coil)이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engagement protrusion)가 형성된 중공형(hollow type) 보빈(bobbin); 보빈과 결합하여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리드핀(lead pin); 보빈의 양 측단부에 형성되어, 리드핀을 고정시키고 리드핀과 코일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핀조립부(pin assembly unit); 및 보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보빈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각각 부착되도록 상부 및 하부가 제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절곡(bending) 형성되며, 결합돌기와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engagement hole)을 구비하되,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면의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에 단차(step difference)가 형성된 중공형 케이스(ca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coil assembly)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제동장치{Coil Assembly for Breaking Vehicle And Brake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개시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ABS(Anti-lock Brake System)에 이용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슬립(slip)현상이 발생한 상황에서 운전자의 수동 조작만으로 차량을 제동하는 경우,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brake pedal)을 가압함과 동시에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을 잡아 차륜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순한 방식의 제동 방식은 차량의 주행 상태 및 노면 조건에 따른 최적의 제동을 구현하지 못하며, 따라서 사고의 위험성이 더 커지게 된다.
이에 따라 단순한 수동 제동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하도록 차량 제동 시 제동압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다양한 기술과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ABS(Anti-lock brake system)는 차량의 주행 상태로부터 연산되는 슬립률(slip ratio)에 따라 차륜에 가해지는 제동압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차륜에 가해지는 제동압의 제어는, 디스크 휠(disk wheel)을 잡아 구속하는 휠 실린더(wheel cylinder)와 유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master cylinder)사이에 형성된 유압회로 상에 다양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에서 이루어지며, ECU가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제동압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일반적으로 코일조립체(coil assembly)와 밸브조립체(valve assembly)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를 포함한 제동장치를 Y 축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10)는, 보빈(bobbin, 100), 리드핀(lead pin, 140), 상부케이스(upper case, 160) 및 하부케이스(lower case, 180)를 포함한다.
보빈(100)에는 코일(coil, 120)이 감겨 코일(12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기장을 형성시킬 수 있고, 리드핀(140)은 코일(12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부케이스(160) 및 하부케이스(180)는 보빈(100)을 보호하고, 코일(1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며 전류 인가 시 형성된 전자기장을 밸브조립체(도 2의 2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10)를 포함한 제동장치는, 코일(120)에 형성된 전자기장에 의해 내부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조립체(200) 및 하부케이스(180)와 맞닿을 수 있는 펌프하우징(pump housing, 220)을 더 포함한다.
코일(120)에는 전류가 흐르므로, 코일(1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해서 코일(120)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하부케이스(180)가 펌프하우징(220)의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Z 축 방향의 자유도(degree of freedom)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펌프하우징(220) 및 ECU 하우징(ECU housing, 미도시)을 조립하는 경우, 제품 간 편차로 인해 코일(120)의 높이가 정상적인 경우와 비교하여 차이가 날 수 있다. 이러한 코일(120)의 높이 공차(tolerance)는 ECU의 성능편차 및 노이즈(noise)를 유발하는 주된 원인이 되므로, 공차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10)가 Z 축 방향의 자유도를 가지는 경우, 위와 같은 공차를 보상해줄 수 있다.
한편,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10)와 밸브조립체(200)의 조립 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10)가 X 축 및 Y 축의 자유도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종래의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10)와 같이 코일(120)의 외주면이 하부케이스(180)를 이용하여 둘러싸여 있는 경우, 딥드로잉(deep drawing) 공법을 이용하여 제작해야 하므로 재료 및 공정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딥드로잉 공법을 이용하지 않고도 코일조립체가 X 축, Y 축 및 Z 축 자유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개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일조립체의 3축 자유도를 확보하면서도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제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외주면을 따라 코일(coil)이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engagement protrusion)가 형성된 중공형(hollow type) 보빈(bobbin); 상기 보빈과 결합하여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리드핀(lead pin); 상기 보빈의 양 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드핀을 고정시키고 상기 리드핀과 상기 코일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핀조립부(pin assembly unit); 및 상기 보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보빈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각각 부착되도록 상부 및 하부가 제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절곡(bending)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engagement hole)을 구비하되,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면의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에 단차(step difference)가 형성된 중공형 케이스(cas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coil assembly)를 제공한다.
또한, 외주면을 따라 코일이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부 및/또는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된 중공형 보빈; 상기 보빈과 결합하여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리드핀; 상기 보빈의 양 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드핀을 고정시키고 상기 리드핀과 상기 코일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핀조립부; 및 상기 보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보빈의 상부 및 하부면과 부착되도록 상부 및 하부가 제1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을 구비하되,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면의 폭이 좁아지도록 적어도 일측에 단차가 형성된 중공형 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내부에, 상기 리드핀이 압입 또는 솔더링되어 결합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하우징(first housing); 및 상기 보빈의 내부에 수용되어 유로(oil flow path)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밸브조립체(valve assembly)를 구비하고, 외부면이 상기 케이스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second hous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의 3축 자유도를 확보하면서도 전체적인 공정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를 포함한 제동장치를 Y 축으로 자른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coil assembly, 30)는 보빈(bobbin, 300), 케이스(case, 340), 리드핀(lead pin, 360) 및 핀조립부(pin assembly unit, 38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보빈(300)은 외주면을 따라 코일(coil, 320)이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보빈(300)은 중공형(hollow type)으로 구성되어, 보빈 중앙홀(bobbin central hole, 305)이 형성된다. 보빈 중앙홀(305)에는 밸브조립체(valve assembly, 미도시)가 조립될 수 있고, 코일(32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magnetic field)을 이용하여 밸브조립체가 유로(oil flow path)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보빈(300)은 플라스틱(plastic)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될 수 있고, 보빈(300)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engagement protrusion, 30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보빈(300)의 상부면에 결합돌기(302)가 2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보빈(300)의 하부면에도 결합돌기(302)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돌기(302)의 개수도 반드시 2개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340)는 보빈(300)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보빈(300)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각각 부착되도록 상부 및 하부가 제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절곡(bending)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방향이란 예컨대 도 3에서의 Y 축 방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40)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케이스(340)의 상부 및 하부가 절곡되는 방향이 도 3에서의 Y 축 방향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절곡 방향은 결합돌기(302)의 위치 및 후술할 핀조립부(380)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밸브조립체는 보빈 중앙홀(305)에 조립되어 유로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므로, 케이스(340)의 절곡면에는 보빈 중앙홀(305)에 대응되는 위치에 케이스 중앙홀(case central hole, 34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중앙홀(345)의 중심과 보빈 중앙홀(305)의 중심은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340)는 결합돌기(302)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engagement hole, 342)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결합공(342)은 적어도 하나, 즉 1개 또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결합돌기(302)의 개수 및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돌기(302)와 결합공(342)이 결합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고정용 부품 없이도 케이스(340)가 보빈(300)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 부착되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케이스(340)가 보빈(300)에 부착되어 결합됨에 따라 코일(3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케이스(340)를 이용하여 방출될 수 있다.
종래의 케이스를 제작하는 경우, 케이스가 보빈(3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므로 딥드로잉 공법을 적용해야 한다. 이 경우, 딥드로잉 공법 적용 이후에도 드로잉유(drawing oil) 제거를 위한 세척공정 및 내식성(erosion resistance) 향상을 위해 아연도금(zinc plating) 등의 추가공정이 필요하므로, 전체적인 공정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다만,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30)는 보빈(300)을 둘러싸고 있는 케이스(340)가 보빈(300)의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형 구조로 구성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케이스(340)를 제조할 시 딥드로잉(deep drawing) 공법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예컨대 선도금(pre-plated)된 강판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어 전체적인 공정비용을 낮출 수 있다.
리드핀(360)은 보빈(300)과 결합하여 코일(32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리드핀(360)은 복수 개, 예컨대 2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리드핀(360)의 일단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미도시)과 연결되고, 리드핀(360)의 타단은 코일(3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복수의 리드핀(360)은 보빈(300)의 중심을 지나는 제1 방향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핀조립부(380)는 보빈(300)의 양 측단부에 형성되어, 리드핀(360)을 고정시키고 리드핀(360)과 코일(320)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핀조립부(380)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핀조립부(380)의 개수는 리드핀(360)의 개수와 동일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수의 리드핀(360)은, 복수의 핀조립부(380)에 고정되며 복수의 핀조립부(380)를 이용하여 코일(3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리드핀(360)을 고정시키기 위해 핀조립부(380)는 리드핀(360)과 끼움결합(insertion engagement)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결합방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복수의 리드핀(360)이 보빈(300)의 중심을 지나는 제1 방향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핀조립부(380)도 보빈(300)의 중심을 지나는 제1 방향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의 핀조립부(380)가 보빈(300)의 중심을 지나는 제1 방향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도록 보빈(300)의 양 측단부에 형성되는 경우, 보빈(300)과 케이스(34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케이스(340)와 핀조립부(380)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와 같은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서 케이스(340)에는 핀조립부(380)가 형성된 면과 부착되는 면의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에 단차(step difference, 50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차(500)가 형성됨으로써, 핀조립부(380)의 형성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보빈(300)과 케이스(34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케이스(340)와 핀조립부(380)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리드핀(360)은 고정부(fixing portion, 366), 탄성부(elastic portion, 364) 및 코일연결부(coil connecting portion, 3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366)는 제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길게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2 방향이란 도 3에서의 Z 축 방향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2 방향은 보빈(300)의 높이 방향일 수 있고, 이 경우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수직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제2 방향이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366)는 고정부(366)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부(protruding unit, 36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고정부(366)가 인쇄회로기판에 압입(press fitting) 또는 솔더링(soldering)되는 경우, 고정부(366)가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돌출부(368)는 고정부(366)의 중간에 해당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고정부(366)로부터 돌출되는 한, 돌출부(368)의 위치가 반드시 이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364)는 고정부(366)로부터 제2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364)는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탄성부(364)의 변형 방향에 따라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30)가 이동 가능하다. 즉, 탄성부(364)에 예컨대, -Z 축 방향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부(364)가 -Z 축 방향으로 변형됨으로써, 코일조립체(30)도 -Z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내부에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30)가 고정되도록 펌프하우징(pump housing, 미도시) 및 ECU 하우징(Electronic Control Unit housing, 미도시)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코일(320)의 높이 공차가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340)가 펌프하우징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코일(3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는 것도 용이해진다.
또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방향이 보빈(300)의 높이 방향, 즉 Z 축 방향인 경우, 탄성부(364)는 제2 방향으로 변형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1 방향, 예컨대 Y 축 방향으로도 변형 가능하다. 또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인 방향, 예컨대 X 축 방향으로도 변형 가능하다. 즉, 탄성부(364)에 예컨대, X 축 및/또는 Y 축 방향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부(364)가 X 축 및/또는 Y 축 방향으로 변형됨으로써, 코일조립체(30)도 X 축 및/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따라서, 보빈 중앙홀(305)에 밸브조립체를 조립할 경우, 밸브조립체와 보빈(30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코일연결부(362)는 탄성부(364)로부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핀조립부(38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코일연결부(362)는 핀조립부(380)와 끼움결합될 수 있으며, 핀조립부(380)를 통과하는 코일(320)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코일(320)은 코일연결부(362)에 감긴 상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코일(320)을 코일연결부(362)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코일(320)은 코일연결부(362)에 저항용접(resistance welding)을 이용하여 접합될 수 있다. 다만, 코일(320)의 접합방식이 반드시 저항용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솔더링을 이용하여 접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드핀(360)은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고, 탄성부(364)가 X 축, Y 축 및 Z 축으로 변형 가능함으로써,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30)의 3축 자유도(degree of freedom)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30)가 이동 가능한 범위를 넓히기 위해서는 탄성부(364)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수의 핀조립부(380)는 보빈(300)의 양 측단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보빈(300)의 중심을 지나는 제1 방향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364)는 고정부(366)로부터 제1 방향에 대해서 사선 방향(diagonal direction)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핀조립부(380) 및 탄성부(364)가 위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탄성부(364)의 길이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즉, 고정부(366) 및 인쇄회로기판의 결합 위치가 정해져 있는 상태에서, 구조적 안정성 및 탄성부(364)의 충분한 길이를 확보를 위해서는 위와 같이 복수의 핀조립부(380)를 보빈(300)의 양 측단부에 형성시키고, 탄성부(364)가 제1 방향에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30), 제1 하우징(first housing, 미도시) 및 제2 하우징(second housing, 미도시)을 포함한 제동장치를 개시할 수도 있다.
제1 하우징은 내부에 리드핀(360)이 압입 또는 솔더링되어 결합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3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리드핀(360)은 리드핀(36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부(368)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드핀(360)은 돌출부(368)를 이용하여 제1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368)가 제1 하우징에 결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리드핀(360)이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368)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제2 하우징은 보빈(3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유로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밸브조립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외부면이 케이스(340)와 맞닿을 수 있도록 제1 하우징과 결합된다.
위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제동장치는, 유로의 개폐를 전자식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ABS(Anti-lock brake system)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30)의 제작 시 딥드로잉 공법을 적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의 제동장치에 비해 공정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30)의 3축 자유도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공정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30: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100, 300: 보빈
120, 320: 코일 140, 360: 리드핀
160: 상부케이스 180: 하부케이스
200: 밸브조립체 220: 펌프하우징
302: 결합돌기 305: 보빈 중앙홀
340: 케이스 342: 결합공
345: 케이스 중앙홀 362: 코일연결부
364: 탄성부 366: 고정부
368: 돌출부 380: 핀조립부
500: 단차

Claims (11)

  1. 외주면을 따라 코일(coil)이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engagement protrusion)가 형성된 중공형(hollow type) 보빈(bobbin);
    상기 보빈과 결합하여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리드핀(lead pin);
    상기 보빈의 양 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드핀을 고정시키고 상기 리드핀과 상기 코일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핀조립부(pin assembly unit); 및
    상기 보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보빈의 상부면 및 하부면과 각각 부착되도록 상부 및 하부가 제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절곡(bending)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공(engagement hole)을 구비하되,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면의 폭이 좁아지도록 양측에 단차(step difference)가 형성된 중공형 케이스(cas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coil assembly).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핀은,
    제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길게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고정부(fixing portion);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elastic deformation)될 수 있도록 구성된 탄성부(elastic portion); 및
    상기 탄성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핀조립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코일연결부(coil connecting portio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수직하되,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보빈의 높이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변형 가능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third direction)으로도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에 대하여 사선 방향(diagonal direction)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코일연결부에 감긴 상태에서 저항용접(resistance welding) 또는 솔더링(soldering)을 이용하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핀조립부는,
    상기 보빈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드핀은,
    상기 보빈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제1 방향에 대해서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핀조립부는,
    상기 리드핀과 끼움결합(insertion engagemen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10. 외주면을 따라 코일이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부 및/또는 하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가 형성된 중공형 보빈; 상기 보빈과 결합하여 상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리드핀; 상기 보빈의 양 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드핀을 고정시키고 상기 리드핀과 상기 코일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핀조립부; 및 상기 보빈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고, 상기 보빈의 상부 및 하부면과 부착되도록 상부 및 하부가 제1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을 구비하되,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면의 폭이 좁아지도록 적어도 일측에 단차가 형성된 중공형 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내부에, 상기 리드핀이 압입 또는 솔더링되어 결합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하우징(first housing); 및
    상기 보빈의 내부에 수용되어 유로(oil flow path)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밸브조립체(valve assembly)를 구비하고, 외부면이 상기 케이스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second housing)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핀은,
    상기 리드핀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장치.
KR1020210000214A 2021-01-04 2021-01-04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제동장치 KR102484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214A KR102484448B1 (ko) 2021-01-04 2021-01-04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제동장치
US17/216,521 US11862392B2 (en) 2021-01-04 2021-03-29 Coil assembly for breaking vehicle and brake apparatus having the same
CN202110616648.1A CN114715094B (zh) 2021-01-04 2021-06-02 用于制动车辆的线圈组件和具有其的制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214A KR102484448B1 (ko) 2021-01-04 2021-01-04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9136A true KR20220099136A (ko) 2022-07-13
KR102484448B1 KR102484448B1 (ko) 2023-01-03

Family

ID=82218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214A KR102484448B1 (ko) 2021-01-04 2021-01-04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제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62392B2 (ko)
KR (1) KR102484448B1 (ko)
CN (1) CN114715094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264A (ko) * 2007-03-29 2008-10-02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자제어장치
KR20100034650A (ko) * 2008-09-24 2010-04-01 주식회사 만도 솔레노이드 코일 결합구조
KR20150061318A (ko) * 2013-11-27 2015-06-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유압제어장치
KR20160041637A (ko) * 2014-10-08 2016-04-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8077A (ja) * 1981-08-07 1983-02-18 Aisin Seiki Co Ltd 調圧バルブ装置
JP2509675Y2 (ja) * 1991-01-07 1996-09-04 ホシデン株式会社 電磁プランジャ
US6362717B1 (en) 1999-07-29 2002-03-26 Kelsey-Hayes Company Coil assembly
US6731192B1 (en) * 2000-11-03 2004-05-04 Delphi Technologies, Inc. Solenoid coil positioning assembly and method
US6633216B2 (en) * 2001-01-12 2003-10-14 Kelsey-Hayes Company Self-locating coil assembly
JP2004347077A (ja) * 2003-05-26 2004-12-09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電磁弁ユニット
JP2007092988A (ja) 2005-09-02 2007-04-12 Advics:Kk 電磁弁
US7513482B2 (en) * 2005-11-11 2009-04-07 Advics Co., Ltd. Actuator for controlling brake hydraulic pressure and solenoid valve thereof
DE102006003491B4 (de) * 2006-01-25 2014-08-28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
DE102007058243A1 (de) 2007-12-04 2009-06-10 Robert Bosch Gmbh Anschlusselement und zugehöriges Fluidbaugruppe
DE102009026816B4 (de) 2009-06-08 2021-09-30 Robert Bosch Gmbh Anschlusselement und zugehörige Fluidbaugruppe
JP5861433B2 (ja) 2011-12-14 2016-02-16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液圧制御装置
DE102013225803A1 (de) 2013-07-16 2015-01-22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ntilspulenmodul und Verfahren zur Kontaktierung eines elektrischen Leiters einer Ventilspule
US11167740B2 (en) * 2017-02-17 2021-11-09 Veoneer Nissin Brake Systems Japan Co., Ltd. Coil assembly and brake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8264A (ko) * 2007-03-29 2008-10-02 주식회사 만도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자제어장치
KR20100034650A (ko) * 2008-09-24 2010-04-01 주식회사 만도 솔레노이드 코일 결합구조
KR20150061318A (ko) * 2013-11-27 2015-06-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유압제어장치
KR20160041637A (ko) * 2014-10-08 2016-04-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솔레노이드 코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15995A1 (en) 2022-07-07
KR102484448B1 (ko) 2023-01-03
CN114715094A (zh) 2022-07-08
US11862392B2 (en) 2024-01-02
CN114715094B (zh)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0564B2 (en) Solenoid control apparatus
US6985060B2 (en) Control unit for vehicle brake system
JP4911221B2 (ja) 車両用ターミナル付きリニアソレノイド
KR102285421B1 (ko) 코일조립체
US11043322B2 (en) Magnetic val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agnetic valve
US20140117266A1 (en) Assembly structrue of electronic control unit and coil assembly of solenoid vavle for electronic brake system
KR20120027019A (ko) 접속 부재 및 관련 유체 어셈블리
US10940848B2 (en) Electric component assembly, and brake fluid pressure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11167740B2 (en) Coil assembly and brake control device
JP4741446B2 (ja) 車載用の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KR102484448B1 (ko) 차량 제동용 코일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제동장치
JP3660302B2 (ja) 電気部品組立体の電気接続構造
EP0830696B1 (en) Component with a rigid and a flexible electrical termination
JP2007134553A (ja) 制御機器のアクチュエータ
JP6572189B2 (ja) 樹脂成形体
WO2023190711A1 (ja) 電気部品組立体、電気部品組立体の製造方法及び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CN112567487A (zh) 线圈组件及包括该线圈组件的电磁阀
KR102668183B1 (ko) 코일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솔레노이드밸브
KR102495130B1 (ko)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조립 구조
JP2011068226A (ja) ハウジング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ハウジング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車両用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JPH05118461A (ja) 電磁弁
JPH09193769A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用圧力制御装置における電気的接続部構造
JPH1024823A (ja) アンチスキッド制御用圧力制御装置における電気接合部構造
JP2023033866A (ja) 電子制御ユニットおよび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328229B1 (ko) 안티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