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5114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5114A
KR20220095114A KR1020210171652A KR20210171652A KR20220095114A KR 20220095114 A KR20220095114 A KR 20220095114A KR 1020210171652 A KR1020210171652 A KR 1020210171652A KR 20210171652 A KR20210171652 A KR 20210171652A KR 20220095114 A KR20220095114 A KR 20220095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outside air
foreign material
work vehicle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노리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2009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5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52Anti-dus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02M35/02441Materials or structure of filter elements, e.g. fo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6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in vehicles
    • F02M35/161Arrangement of the air intake system in the engine compartment, e.g. with respect to the bonnet or the vehicle front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흡기관 길이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프리 클리너의 눈막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외기 도입부(22)의 상부에는, 엔진에 흡입되는 흡입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 클리너(31)가 배치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31)는, 흡입 공기가 유통하는 흡기관(32)의 도중부에 개재 장착되어 있다. 흡기관(32)의 상류단(흡입 공기의 유통 방향의 상류측의 단)은, 프리 클리너(33)에 접속되어 있다. 프리 클리너(33)의 흡기구로부터 흡기관(32)에 외기가 흡입될 때에, 그 흡입된 외기가 프리 클리너(33)로 정화된다. 프리 클리너(33)의 흡기구에 흡입되는 외기에 이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물 제거 부재(36)에 의해, 그 외기에 포함되는 이물이 제거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WORK VEHICLE}
본 발명은, 콤바인 등의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에는, 배기 터빈식 과급기가 부착된 디젤 엔진을 채용한 기종이 있다.
이 기종에서는,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에 의해, 배기 터빈식 과급기의 터빈이 돌려지고, 터빈의 회전에 수반하여, 컴프레서가 회전함으로써, 엔진으로의 흡입 공기가 압축된다. 압축된 흡입 공기는, 인터쿨러로 냉각됨으로써, 공기 밀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엔진에 공급된다.
흡입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 인터쿨러의 상류측에는, 프리 클리너 및 에어 클리너가 마련되어 있다. 콤바인에서는, 수확 작업 중, 특히 탈곡 장치의 입구 부근에 짚 부스러기가 많이 부유한다. 짚 부스러기 등의 이물이 프리 클리너에 다량으로 흡입되면, 프리 클리너의 눈막힘이 발생한다. 이 눈막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리 클리너가 탈곡 장치의 입구 부근으로부터 가능한 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엔진이 탈곡 장치의 입구 근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프리 클리너가 탈곡 장치의 입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면, 흡기관이 길어져서, 압력 손실이 증대함으로써, 흡기 효율이 저하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9-217793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흡기관 길이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프리 클리너의 눈막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차량은, 엔진과, 엔진에 접속되고, 엔진에 흡입되는 흡입 공기가 유통하는 흡기관과, 흡기구를 갖고, 흡기구부터 흡기관에 흡입되는 외기를 정화하는 프리 클리너와, 흡기구에 흡입되는 외기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 제거 부재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리 클리너의 흡기구로부터 흡기관에 외기가 흡입될 때에, 그 흡입된 외기가 프리 클리너에서 정화된다. 프리 클리너의 흡기구에 흡입되는 외기에 이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물 제거 부재에 의해, 그 외기에 포함되는 이물이 제거된다. 그 때문에, 프리 클리너가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많이 부유하는 부분에 배치되어도, 프리 클리너가 눈막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프리 클리너를 엔진에 근접시켜서, 흡기관 길이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물 제거 부재는, 프리 클리너의 흡기구의 주위를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프리 클리너의 흡기구의 주위가 다수의 구멍을 갖는 원통형의 이물 제거 부재로 둘러싸여 있다. 이에 의해, 프리 클리너에 흡입되는 외기에 구멍보다도 큰 사이즈의 진애 등의 이물이 포함되는 경우, 이물은, 이물 제거 부재의 구멍을 통과할 수 없어 이물 제거 부재의 외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프리 클리너의 흡기구에 흡입되는 외기로부터 이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 제거 부재는, 다수의 그물눈을 구멍으로서 갖고 있어도 되며, 예를 들어 금속망을 원통형으로 가공함으로써 제작되어도 된다.
작업 차량은, 식물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예취 장치에 의한 식물의 예취로 다량의 절단 부스러기가 발생하여도, 프리 클리너의 눈막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작업 차량은, 포장에 식립되어 있는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에 추가하여, 예취 장치로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탈곡 장치의 입구 부근에서는, 곡간의 예취에 의해 발생한 절단 부스러기가 많이 부유하지만, 프리 클리너를 탈곡 장치의 입구의 근방에 배치되는 엔진에 근접시켜 배치하여도, 그 절단 부스러기를 이물 제거 부재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프리 클리너가 절단 부스러기에 의해 눈막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 클리너를 엔진에 근접시켜, 엔진의 흡기관 길이를 저감함으로써, 흡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프리 클리너의 눈막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작업 차량이 외기가 도입되는 외기 도입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프리 클리너는, 측면에서 볼 때 외기 도입부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외기 도입부에 도입되는 외기의 기류에 의해, 외기 도입부의 근방에 이물이 떠돌아도, 그 이물을 이물 제거 부재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프리 클리너가 이물에 의해 눈막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 클리너를 외기 도입부의 근방에 배치하고, 프리 클리너를 엔진에 근접시켜, 엔진의 흡기관 길이를 저감함으로써, 흡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프리 클리너의 눈막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프리 클리너는, 평면에서 볼 때 당해 작업 차량의 좌우 방향의 최외측단보다도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작업 차량은, 운전자가 탑승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빈을 더 포함하고, 프리 클리너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캐빈의 루프와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기관 길이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프리 클리너의 눈막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외기 도입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캐빈의 하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프리 클리너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프리 클리너를 좌하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물 제거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콤바인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콤바인(1)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1)의 평면도이다.
콤바인(1)은, 포장을 주행하면서 곡간의 예취 및 곡간으로부터의 탈곡을 행하는 수확기의 일례이다.
콤바인(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강재를 조합한 구조물인 메인 프레임(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콤바인(1)은, 포장 등의 부정지를 주파하는 능력을 갖는 주행 장치로서, 좌우 한 쌍의 크롤러(3)를 채용하고 있다. 메인 프레임(2)은, 그 좌우 한 쌍의 크롤러(3)에 지지되어 있다.
크롤러(3)에는, 구동 스프로킷(4)이 구동륜으로서 구비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킷(4)에는, 차축(5)이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차축(5)에는, 엔진(28)(도 4 참조)의 동력이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전달된다. 엔진(28)은, 배기 터빈식 과급기가 부착된 디젤 엔진이다. 동력 전달 기구는, 예를 들어 HST(Hydro Static Transmission: 정유압식 무단 변속기)나 기어 기구를 포함한다. 엔진(28) 및 동력 전달 기구는, 메인 프레임(2)에 지지되어 있다. 동력 전달 기구는, 메인 프레임(2)의 전단부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차폭 방향)의 중앙부 위에 배치되고, 엔진(28)은, 동력 전달 기구의 후측에 있어서, 동력 전달 기구보다도 우측으로 밀어내어져 배치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2)의 전방이며, 콤바인(1)의 최전부에는, 예취 장치(11)가 마련되어 있다. 예취 장치(11)는, 콤바인(1)의 전진에 수반하여, 포장에 식립되어 있는 곡간을 예취한다.
메인 프레임(2)에는, 탈곡 장치(12), 캐빈(13) 및 그레인 탱크(14)가 지지되어 있다.
탈곡 장치(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2)의 좌측 부분 위에 배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12)는, 예취 장치(11)로 예취된 곡간의 밑동측을 탈곡 피드 체인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하고, 곡간의 이삭 끝측을 급실에 공급하여 탈곡한다.
캐빈(13)은, 메인 프레임(2)의 전단부 위에서 우측으로 약간 붙여서 배치되어 있다. 캐빈(13)은, 그 내부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그 공간 내에는,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착좌하는 운전석이나 조작 레버 및 조작 페달 등의 조작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빈(13)의 플로어를 제공하는 저판부(15)는, 동력 전달 기구의 우측에서, 메인 프레임(2)의 우측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그리고, 캐빈(13)은, 저판부(15)보다도 좌측의 부분이 동력 전달 기구의 상방으로 밀어내어지고, 후방부가 엔진(28)의 상방으로 밀어내어져 있다.
캐빈(13)의 우측면에는, 승강구(16)가 형성되고, 그 승강구(16)를 개폐하는 도어(17)가 마련되어 있다. 콤바인(1)의 운전자(예취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는, 도어(17)를 개방하여, 승강구(16)로부터 캐빈(13)에 대하여 타고 내릴 수 있다.
그레인 탱크(14)는, 캐빈(13)의 후방에, 캐빈(13)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14)는, 그 내부에 벼(곡립)를 저류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탈곡 장치(12)에서 곡간으로부터 떨어진 벼는, 그레인 탱크(14)에 반송되어, 그레인 탱크(14) 내에 저류된다. 그레인 탱크(14)에는, 언로더(18)가 접속되어 있으며, 그레인 탱크(14)에 저류된 벼는, 언로더(18)에 의해 반출되어 기외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콤바인(1)의 우측면에 있어서, 캐빈(13)과 그레인 탱크(14) 사이에는, 그것들의 사이에 외부로부터 진애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필터(21)가 마련되어 있다. 방진 필터(21)의 안쪽 부분, 즉 캐빈(13)과 그레인 탱크(14) 사이에 있어서의 방진 필터(21)로 우측으로부터 덮이는 부분에는, 방진 필터(21)를 통과하여 외기가 도입되는 외기 도입부(22)로서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외기 도입부>
도 3은, 외기 도입부(22)의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외기 도입부(22)의 하부에는, 동력 전달 기구에서 사용되는 트랜스미션 오일로부터 이물을 제거하기 위한 오일 필터(23)와, 트랜스미션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트랜스미션 오일 쿨러핀(24)이 전후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그것들의 상방에는, HST에서 사용되는 HST 오일을 냉각하기 위한 HST 오일 쿨러핀(25)이 배치되고, HST 오일 쿨러핀(25)의 우측에는, 엔진(28)으로의 흡입 공기를 냉각하는 인터쿨러 핀(26)이 배치되어 있다.
도 4는, 캐빈(13)의 하방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오일 필터(23), 트랜스미션 오일 쿨러핀(24), HST 오일 쿨러핀(25) 및 인터쿨러 핀(26)의 좌측에는, 라디에이터(27)가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27)의 더욱 좌측에, 엔진(28)이 배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27)에 구비되어 있는 라디에이터 팬이 구동됨으로써, 외기 도입부(22)에 방진 필터(21)를 통과하여 외기가 도입된다.
외기 도입부(22)의 상부에는, 엔진(28)에 흡입되는 흡입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 클리너(31)가 배치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31)는, 흡입 공기가 유통하는 흡기관(32)의 도중부에 개재 장착되어 있다. 흡기관(32)의 상류단(흡입 공기의 유통 방향의 상류측의 단)은, 프리 클리너(33)에 접속되어 있다.
프리 클리너(33)는, 캐빈(13)과 그레인 탱크(14) 사이에 있어서, 방진 필터(21)의 상단보다도 상방, 다시 말해, 외기 도입부(22)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에 소정 간격을 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리 클리너(33)는, 평면에서 볼 때 캐빈(13)의 루프(34)와 그 전체부가 중복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리 클리너(33)는, 좌우 방향(차폭 방향)에 있어서, 콤바인(1)의 최외측 단부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프리 클리너(33)의 좌측면도이다.
프리 클리너(33)의 외주에는, 흡기구(35)가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35)로부터 흡입되는 외기가 프리 클리너(33)로 정화되고, 정화된 외기가 흡입 공기로서 흡기관(32)을 에어 클리너(31)를 향해 흐른다.
도 6은, 프리 클리너(33)를 좌하측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프리 클리너(33)의 흡기구(35)의 근방에는, 흡기구(35)에 흡입되는 외기로부터 이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이물 제거 부재(36)가 마련되어 있다. 이물 제거 부재(36)는, 예를 들어 다수의 그물눈을 갖는 금속망을 굴곡시켜서 형성되어 있고, 프리 클리너(33)의 하부 및 흡기관(32)의 상단부에 대하여 좌측 및 후측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프리 클리너(33)의 흡기구(35)로부터 흡기관(32)에 외기가 흡입될 때에, 그 흡입된 외기가 프리 클리너(33)로 정화된다. 프리 클리너(33)의 흡기구(35)에 흡입되는 외기에 이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물 제거 부재(36)에 의해, 그 외기에 포함되는 이물이 제거된다. 그 때문에, 프리 클리너(33)가 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많이 부유하는 부분에 배치되어도, 프리 클리너(33)가 눈막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프리 클리너(33)를 엔진(28)에 근접시켜, 흡기관 길이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콤바인(1)에서는, 예취 장치(11)로 예취된 곡간이 탈곡 장치(12)로 반송되어, 탈곡 장치(12)에서 곡간이 탈곡되기 때문에, 예취 장치(11)에 의한 곡간의 예취로 다량의 절단 부스러기가 발생하고, 그 발생된 절단 부스러기가 탈곡 장치(12)의 입구 부근에 많이 부유한다. 프리 클리너(33)가 탈곡 장치(12)의 입구 근방에 배치되는 엔진(28)에 근접시켜 배치되어도, 그 절단 부스러기를 이물 제거 부재(36)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프리 클리너(33)가 절단 부스러기에 의해 눈막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 클리너(33)를 엔진(28)에 근접시켜, 엔진(28)의 흡기관 길이를 저감함으로써, 흡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프리 클리너(33)의 눈막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프리 클리너(33)는, 측면에서 볼 때 외기 도입부(22)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외기 도입부(22)에 도입되는 외기의 기류에 의해, 외기 도입부(22)의 근방에 이물이 떠돌아도, 그 이물을 이물 제거 부재(36)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프리 클리너(33)가 이물에 의해 눈막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 클리너(33)를 외기 도입부(22)의 근방에 배치하고, 프리 클리너(33)를 엔진(28)에 근접시켜, 엔진(28)의 흡기관(32) 길이를 저감함으로써, 흡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면서, 프리 클리너(33)의 눈막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도 7은,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물 제거 부재(41)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전술한 이물 제거 부재(36) 대신에, 이물 제거 부재(41)가 채용되어도 된다. 이물 제거 부재(41)는, 다수의 그물눈을 갖는 금속망을 원통형으로 둥글게 하여 형성되고, 프리 클리너(33)의 흡기구(3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마련된다.
프리 클리너(33)의 흡기구(35)가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이물 제거 부재(41)로 둘러싸이므로, 도 4에 도시된 이물 제거 부재(36)와 비교하여, 프리 클리너(33)의 흡기구(35)에 흡입되는 외기로부터 이물을 양호하게 제거할 수 있어, 프리 클리너(33)의 눈막힘의 발생을 한층 더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 차량의 일례로서, 작업 장치로서의 예취 장치(11) 및 탈곡 장치(12)를 구비하는 콤바인(1)을 채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당근이나 무, 풋콩, 양배추 등의 야채를 수확하여 반송하는 수확 반송 장치를 작업 장치로서 구비하는 수확기, 모 식부 장치를 작업 장치로서 구비하는 이앙기, 파종 장치를 작업 장치로서 구비하는 직파기, 플라우를 작업 장치로서 구비하는 트랙터, 버킷을 작업 장치로서 구비하는 건설 작업차 등, 다양한 작업 차량에 적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전술한 구성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콤바인(작업 차량)
11: 예취 장치
12: 탈곡 장치
13: 캐빈
22: 외기 도입부
28: 엔진
32: 흡기관
33: 프리 클리너
34: 루프
35: 흡기구
36, 41: 이물 제거 부재

Claims (8)

  1. 엔진과,
    상기 엔진에 접속되고, 상기 엔진에 흡입되는 흡입 공기가 유통하는 흡기관과,
    흡기구를 갖고,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흡기관에 흡입되는 외기를 정화하는 프리 클리너와,
    상기 흡기구에 흡입되는 외기로부터 이물을 제거하는 이물 제거 부재를 포함하는, 작업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제거 부재는, 상기 흡기구의 주위를 둘러싸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다수의 구멍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작업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제거 부재는, 다수의 그물눈을 상기 구멍으로서 갖고 있는, 작업 차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식물을 예취하는 예취 장치를 더 포함하는, 작업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예취 장치는, 포장에 식립되어 있는 곡간을 예취하는 것이며,
    상기 예취 장치로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를 더 포함하는, 작업 차량.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기가 도입되는 외기 도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리 클리너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외기 도입부의 근방에 배치되는, 작업 차량.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클리너는, 평면에서 볼 때 당해 작업 차량의 좌우 방향의 최외측단보다도 좌우 방향의 내측에 배치되는, 작업 차량.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탑승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리 클리너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캐빈의 루프와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작업 차량.
KR1020210171652A 2020-12-29 2021-12-03 작업 차량 KR202200951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219901 2020-12-29
JP2020219901A JP2022104760A (ja) 2020-12-29 2020-12-29 作業車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5114A true KR20220095114A (ko) 2022-07-06

Family

ID=82137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652A KR20220095114A (ko) 2020-12-29 2021-12-03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104760A (ko)
KR (1) KR20220095114A (ko)
CN (1) CN11467995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7793A (ja) 2018-06-15 2019-12-26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17793A (ja) 2018-06-15 2019-12-26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679954A (zh) 2022-07-01
JP2022104760A (ja) 202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5207C (en) Lawn mower
CN109526382B (zh) 轮履复合高地隙再生稻收割机
JP6758217B2 (ja) コンバイン
RU2709763C2 (ru)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ая уборочная машина с вращающимся элеватором
KR20220095114A (ko) 작업 차량
CN106385931A (zh) 一种自走式花生拣拾收获联合作业机
US20230276730A1 (en) Harvesting system based on a platform for agricultural harvesters, and platform for agricultural harvesters
CN212184234U (zh) 联合收割机
CN203378263U (zh) 联合收割机
JP4968377B2 (ja) コンバイン
Looh et al. Development of Small Agricultural Machines in China: 4LZ–0.8 Mini Combine Harvester
CN217160473U (zh) 履带式多行玉米收获机
US11950528B2 (en) Common drive member for weed seed mill of combine harvester
JP7117992B2 (ja) コンバイン
US20230062608A1 (en) Internal drive system for weed seed mill of combine harvester
JP7453074B2 (ja) コンバイン
JP3300470B2 (ja) コンバインの二番処理構造
CN217826004U (zh) 玉米大豆兼做的履带式大豆收获机
JP2023082967A (ja) 作業車両
JP5273788B2 (ja) コンバイン
KR102671318B1 (ko) 콤바인 및 탈곡 장치
JP2593798Y2 (ja) コンバインの動力取出軸配設構造
JP4968396B2 (ja) コンバイン
JP2007110966A (ja) コンバイン
AU2022350657A1 (en) Oscillating chaff pan for weed seed mill of combine harve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