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0066A -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 - Google Patents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0066A
KR20220090066A KR1020200180881A KR20200180881A KR20220090066A KR 20220090066 A KR20220090066 A KR 20220090066A KR 1020200180881 A KR1020200180881 A KR 1020200180881A KR 20200180881 A KR20200180881 A KR 20200180881A KR 20220090066 A KR20220090066 A KR 20220090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gie
driving
compost
fram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8724B1 (ko
Inventor
남재천
Original Assignee
옥천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천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옥천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20018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72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0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0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3Heating or cooling systems arranged inside the recepta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79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gase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05Mixing or agitating manure, du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과 양측에 측벽이 구비되어 가축의 분뇨와 수분조절재가 적재되는 발효장; 상기 측벽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주행레일; 내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으로 네모서리에 하부대차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행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주행레일의 상부에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부대차; 상기 하부대차 사각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상부대차 이동공간의 가로방향 내측변에 설치된 상부대차레일; 일측 내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으로 네모서리에 상부대차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행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대차레일에 왕복이동하는 상부대차; 상기 상부대차의 개방된 공간에 일측이 힌지결합된 구동프레임; 상기 상부대차의 일측에 설치된 유압모터에 의해 상기 구동프레임을 승하강하도록 구성된 유압실린더; 상기 구동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로터리 모터; 상기 구동프레임을 관통되게 삽입되고 하부에 기어박스가 결합된 구동파이프; 상기 로터리모터의 동력을 하부에 있는 기어박스로 전달하는 동력연결수단; 상기 기어박스의 양측에 설치되어 퇴비를 파서 뒤집는 한쌍의 로터리; 상기 상부대차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생성하는 블로워; 상기 구동프레임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된 에어파이프; 상기 블로워와 에어파이프에 연결된 주름관; 상기 에어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히터; 및 상기 하부대차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대차, 상부대차, 로터리모터, 유압실린더, 브로워 및 히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퇴비를 경운하면서 가열된 고압에어를 퇴비원료에 분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A compost agitator reducing moisturizing agent}
본 발명은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대차의 상부에서 구동되는 상부대차에 블로워가 구비되고, 교반기가 설치된 구동프레임을 통해 주름관으로 연결된 에어파이프의 상부에 히터가 구비되어 퇴비를 교반하면서 하강하는 건조한 열풍을 분사하여 퇴비의 건조속도를 높여 수분조절재를 줄이고 퇴비의 부피를 줄이도록 구성된 퇴비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돼지나 소를 사육하는 축산농가가 기업화되면서 축산농가에서는 많은 량의 가축분뇨가 발생되고 있는데, 종래의 소규모 농장에서 발생된 가축의 분뇨와 오폐수는 논밭에 직접 뿌려져 토양의 비료로 사용되어 자연스럽게 순환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었으나 축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과잉생산된 가축의 분뇨와 오폐수는 적절한 처치방법이 없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가축의 배설물에 포함된 유기물이 부패, 분해되는 과정에서 암모니아, 아민류 등의 염기성 성분과 황화수소, 메르켑탄 등의 산성성분으로 구성된 고약한 악취가 발산되어 사람들이 이를 기피하며, 분뇨에는 수인성 전염병균과 회충, 십이지장충 등의 기생충 알이 들어 있을 수 있으므로 배설물을 잘 처리하지 않으면 음식물이나 음료수를 통해 인체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가축분뇨를 토양에 환원하여 자원화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방안은 가축분뇨 및 축사오폐수를 퇴비화 및 액비화 하여 다시 토양에 환원하는 자연순환하는 방안으로, 축사에서 발생되는 가축분뇨와 오폐수를 고액분리하여, 고형분은, 톱밥, 왕겨 등을 섞어서 부숙시키는 방법으로 퇴비화 한 후 이를 경작지에 살포하여 고형비료로 사용하고, 액성분은 악취가 발산하므로 바로 경작지에 살포할 수 없으므로 일정기간 액비탱크에 보관하여 충분히 부숙시킨 후 악취가 제거되면 액비의 형태로 경작지에 살포하여 농작물 생산의 밑바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가축분뇨의 고형분 처리에는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유기성 폐기물을 퇴비화할 수 있어야 하고, 퇴비의 품질이 향상되어야 한다는 과제가 있는데, 가축분뇨의 퇴비발효기는 크게 밀폐형 교반발효기와 개방형 교반발효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밀폐형 발효기는 소규모 가축농가의 가축분뇨 퇴비화에 주로 이용되고, 그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21692호와 같이 냄새의 유출을 차단하는 밀폐된 탱크에 가축분뇨를 넣고 교반하는 장치이나 밀폐된 탱크 내에서 교반을 하므로 호기성 세균의 번식과 분해작용이 미흡하여 효율성이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개방형 교반발효기는 대단위농가, 가축분뇨 공동처리장 및 전문퇴비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발효기로, 개방형 교반발효기는 교반하거나 뒤집는 기능이 있어 통기성이 확보되어 미생물의 활성화 정도가 높아 퇴비의 균질화를 이룰 수 있고, 유기 폐기물에 왕겨, 톱밥과 같은 수분조절재를 첨가하여 그 혼합물을 함수율 약 65%로 유지한 상태로 발효조에 야적하고 상하류의 통기로 약 2개월간 통기건조와 숙성을 시키는 장치로서, 생분해열을 이용한 고온유지(60-70℃)로 이물질 사멸, 후숙 및 수분 증발 등의 장점이 있으나, 악취가 발생하고, 톱밥, 왕겨와 같은 수분조절재를 다량으로 사용하므로 비용 부담이 크며, 수분조절재가 포함된 퇴비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개방형 교반발효기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42884호의 개방형 교반발효기는, 외부로부터 유기성 폐기물이 투입되는 발효조와, 발효조 내에 발효조의 바닥벽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거더 빔과, 한 쌍의 거더 빔에 구비된 한 쌍의 메인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장치와, 발효조에서 유기성 폐기물이 호기성 발효되면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발효장에서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를 갖는 흡입관과, 흡입관에서 흡입된 가열된 공기를 발효조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구를 갖는 분사관과, 흡입관의 공기를 흡입하여 분사관으로 강제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양측벽에 다수의 공기흡입관(30)이 구비되어 가열된 공기를 취합관으로 모아 송풍장치를 이용해 발효조의 하부에 있는 분사관과 분사구를 통해 퇴비에 분사하여 발효 효율을 높일 수 있다고 하나 발효조의 하부에 설치된 분사구는 발효장의 구조상 퇴비의 무게에 눌려 막히게 되어 강력한 송풍기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충분히 송풍하기 어려우며, 개방형의 교반발효기가 가진 고질적인 문제인 과다한 수분조절재로 인해 비용 부담이 크고, 수분조절재로 인해 퇴비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921692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42884호
가축분뇨를 포함한 유기물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성 세균의 번식과 분해작용을 촉진하고, 고온의 건조공기를 공급하여 수분조절재의 사용량을 줄이고, 퇴비의 부피를 줄여 비용부담과 운송비를 절감하며, 퇴비교반기가 빈틈없이 퇴비뒤집기를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는 퇴비교반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판과 양측에 측벽이 구비되어 가축의 분뇨, 왕겨, 톱밥이 또는 계분으로 구성된 퇴비원료가 적재되는 발효장(110); 상기 측벽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주행레일(130); 내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으로 네모서리에 하부대차구동모터(170)에 의해 회전하는 주행바퀴(180)가 구비되어 상기 주행레일(130)의 상부에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부대차(150); 상기 하부대차(150) 사각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사각형 상부대차 이동공간(210)의 가로방향 내측변에 설치된 상부대차(200)레일; 일측 내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으로 네모서리에 상부대차구동모터(230)에 의해 회전하는 주행바퀴(180)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대차(200)레일의 상부에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부대차(200); 상기 상부대차(200)의 개방된 부분에 일측이 힌지결합된 구동프레임(300); 상기 상부대차(200)의 일측에 설치된 유압모터(270)에 의해 상기 구동프레임(300)을 승하강하도록 구성된 유압실린더(280); 상기 구동프레임(300)의 상부에 설치된 로터리 모터; 상기 구동프레임(300)을 관통되게 삽입되고 하부에 기어박스(370)가 결합된 구동파이프(360); 상기 구동파이프(3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리모터(320)의 동력을 하부에 있는 기어박스(370)로 전달하는 동력연결수단; 상기 기어박스(370)의 양측에 설치되어 퇴비를 파서 뒤집는 한쌍의 로터리; 상기 상부대차(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생성하는 블로워(400); 상기 구동프레임(300)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된 에어파이프(350); 상기 블로워(400)와 에어파이프(350)에 연결된 주름관(420); 상기 에어파이프(350)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히터(430); 및 상기 하부대차(1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전력에 의해 상기 하부대차(150), 상부대차(200), 로터리모터(320), 유압실린더(280), 브로워 및 히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퇴비를 경운하면서 가열된 고압에어를 퇴비원료에 분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교반기가 발효조 내에서 빈틈없이 뒤집기를 하면서 고온의 공기를 유기물에 분사하여 호기성 세균에게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번식과 분해작용을 촉진되고, 건조한 공기를 퇴비를 뒤집으면서 빈틈없이 분사하며 습기를 제거하여 수분조절재의 투입량을 줄여 자재비용과 함께 운송비를 줄이며, 뒤집기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편의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퇴비교반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퇴비교반기의 분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프레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프레임과 로터리의 결합 사시도
이하 상기에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발효장 측벽의 상부에 설치된 레일이 연장된 방향을 길이방향이라고 하고, 양측 레일을 가로지르는 방향을 폭방향이라고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퇴비교반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퇴비교반기의 분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프레임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프레임과 로터리의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퇴비교반장치 발효장의 하부에 설치된 공기공급장치의 분사구가 퇴비원료나 발효장에 출입하는 차량바퀴에 눌려 단단히 막혀 산소공급이 부족하여 호기성 발효가 충분하지 않고, 고액분리기를 거쳐 반입된 가축분뇨의 고형분에 물기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습도를 낮추기 위해 왕겨, 톱밥, 때로는 계분과 같은 수분조절재를 첨가하고 있으나 수분조절재의 분량에 따른 비용이 적지 않고, 다량의 수분조절재가 혼합되면 퇴비의 부피가 그 만큼 커져 야적장이 부족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퇴비교반장치의 자동화를 개선하여 관리부담을 줄이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발효장(110)은 고액분리를 마친 가축의 분뇨가 투입 중에 가축분뇨의 습도를 낮추기 위한 왕겨, 톱밥, 계분 등의 수분조절재와 함께 혼합되어 저장되는 공간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과 양쪽에 측벽(120)이 설치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바닥판 밑에는 다수의 배관이 설치되고 배관에 연결된 다수의 분사구가 설치되며, 송풍기로부터 공기가 압송되어 퇴비 원료의 하부에서 공기가 공급되어 호기성 발효를 촉진하도록 구성되며, 양쪽 측벽의 상부에는 철도의 레일과 유사한 주행레일(130)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일측 주행레일(130)의 양쪽 작업구간 끝부분 외측에 하부대차(150)가 닥아오면 이를 감지하기 위한 하부대차 감지센서(190)가 각각 설치된다. 하부대차 감지센서(190)는 상부대차(200)의 진입신호를 후술하는 콘트롤러(500)에 보내기 위한 것으로, 금속탐지센서, 자력센서, 적외선센서 등 공지된 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주행레일(130)의 상부에는 발효장(110)의 상부를 왕복하도록 구성된 하부대차(150)가 올려진다. 하부대차는 4개의 프레임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내부가 개방된 사각 형상으로 제작되고, 하부대차 프레임의 레일방향 양측면에 하부로 연장된 바퀴 고정판의 네모서리에 설치된 베어링에 축이 삽입된 주행바퀴(180)가 구비되어 주행레일을 따라 구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행바퀴를 구동하기 위한 하부대차구동모터(170)가 주행바퀴(180)의 축에 연결되어 바퀴 고정판의 외측에 설치된다. 하부대차구동모터가 판의 외측에 설치된 것은 로터리(380)에 의해 뿌려진 퇴비가 모터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부대차(150)의 개방된 내부는 상부대차(200)가 설치되는 상부대차 이동공간(210)으로, 개방된의 내부의 폭방향 양측변에는 후술하는 상부대차 구동바퀴(260)가 구르기 위한 상부대차레일판(220)이 결합되는데, 상부대차레일판은 두꺼운 철판이 사용될 수 있고, 일측 상부대차레일판 양단부측에는 상부대차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상부대차 감지센서(250)가 설치되며, 감지센서로는 금속탐지센서, 자력센서, 적외선센서 등 공지된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대차(150)의 일측에는 퇴비교반기의 전력을 공급하고 각종 센서의 신호를 받고 퇴비교반기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500)가 설치된다.
상부대차레일판(220)의 상부에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네모서리에 상부대차구동모터(230)에 의해 회전하는 상부대차 구동바퀴(260)가 구비되어 상부대차 이동공간(210)을 왕복하도록 구성된 상부대차(200)가 탑재된다. 상부대차(200)의 상부에는 퇴비를 교반하면서 고압의 공기를 퇴비에 분사하기 위한 압축공기를 생산하는 블로워(400)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하부대차(150)에 연결된 전력선을 상부대차로 연결하기 위한 "ㄱ"자 형상의 전선연결암(680)이 설치되며, 가운데 부분에 사각 형상의 구동프레임(300) 설치공간이 마련된다.
상부대차(200) 내부의 구동프레임(300) 설치공간에는 로터리모터(320)와 퇴비를 교반하는 로터리(380)가 설치된 구동프레임(300)이 삽입 설치되는데, 구동프레임(300)은 상부대차의 구동프레임 설치공간의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양측에 유압실린더(280)가 장착되어 유압에 의해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유압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모터(270)도 구동프레임(300) 위에 설치된다. 로터리모터(320)는 구동프레임(300)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고, 도 5와 같이 수평으로 설치하여 베벨기어 등을 통해 수직으로 전환하여 축봉을 이용해 하부로 전달하거나 벨트나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이용해 하부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프레임(300)의 하부에는 동력전달수단을 커버하기 위한 구동파이프(360)가 결합되고, 구동 파이프의 하단에는 내부에 로터리 축에 연결된 베벨기어나 벨트나 체인의 동력을 로터리 축에 연결시키는 기어나 풀리가 내부 결합된 기어박스(370)가 결합되며, 기어박스(370)의 양측으로 돌출된 로터리축에는 방사형으로 가지가 뻗은 로터리날 고정프레임이 결합되고, "ㄴ"형상으로 절곡된 판으로 이루어져 퇴비원료를 파서 뒤집는 로터리날이 로터리날 고정프레임에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되어 로터리(380)가 구성된다.
구동프레임(300)에 설치된 구동파이프(360)의 측면에는 블로워(400)에서 생산된 고압의 에어를 하부로 보내기 위한 에어파이프(350)가 하부로 연장되어 기어박스 아래로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되고, 상부대차(200)에 설치된 블로워(400)의 고압에어유출구와 구동프레임(300)에 설치된 에어파이프(350)의 상단 사이에 주름관(420)이 연결되며, 에어파이프(350)의 상부에는 고압에어를 가열하기 위해 다수의 열선이 구비된 가열히터(430)가 결합된다. 주름관(420)은 가요성이 있는 관으로, 상부대차(200)에서 구동프레임(300)의 승강동작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이다.
에어파이프(350)의 하단에는 속이 빈 구의 형태로 하부측에 복수의 에어배출홀이 형성된 에어배출 구체(450)가 결합될 수 있다. 에어배출 구체(450)는 퇴비원료와 에어파이프의 마찰을 줄이며 고압에어를 에어파이프(350)의 하부에 넓게 확산되게 할 수 있다.
가열히터(430)에 의해 가열된 건조한 고압에어는 퇴비교반 중에 퇴비의 내부를 뒤집는 중에 분사되어 퇴비의 내부까지 충분한 산소공급으로 호기성 발효를 촉진하고, 내부의 깊숙한 곳까지 습기를 흡수하여 수분조절재 투입량을 줄여 퇴비의 용량을 크게 줄이는 작용을 한다.
하부대차(150)의 상부에서 상부대차(200)가 왕복운동을 하면서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선과, 콘트롤러로 연결된 통신선로를 연결하기 위해, 하부대차(150)의 콘트롤러(500)가 설치된 측면에는 복수의 지지대(630)가 설치되고, 지지대의 상단에는 요홈이 형성된 전선가이드레일(600)이 결합되며, 전선가이드레일(600)의 요홈에는 수평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전선견인고리(650)가 복수의 지점에 삽입되어 전선이 늘어진 상태로 전선의 복수의 지점에 연결되며, 상부대차(200)의 측면에 설치된 "ㄱ"자 형상의 전선연결암(680)이 상부대차가 콘트롤러에서 멀어질때에는 전선견인고리(650)들을 끌면서 겹처진 전선이 펴지며 전선이 연장되고, 콘트롤러에 접근할때에는 전선연결암(680)이 커튼을 걷는 것처럼 전선연결고리들을 쓸어가면서 전선연결고리들 사이가 좁혀지며 전선이 포개지며 전선연결암(680)이 콘트롤러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선을 연결하는 다른 방법으로, 콘트롤러 측에 전선이 자동으로 감기는 로프릴이 설치되어 전선연결암(680)의 왕복이동에 의해 로프릴에 감긴 전선이 풀렸다 자동으로 감기는 방식으로 전선을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발효장(110)의 외부에서 하부대차(150)를 연결하는 전선도 전선가이드레일(600)과 전선견인고리(650)를 이용한 방법이나 로프릴을 이용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콘트롤러(500)는 하부대차(1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전력에 의해 하부대차(150), 상부대차(200), 로터리모터(320), 유압실린더(280), 브로워,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타이머가 포함되어 구성요소의 동작시간을 제어한다.
주행레일(130)의 양단부 측에 설치된 하부대차 감지센서(190)와 상부대차 레일의 일측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상부대차 감지센서 및 콘트롤러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로터리가 탑재되어 경운작업을 하는 상부대차(200)가 상부대차 레일판(220)의 단부에 접근하면 상부대차 감지센서(250)가 상부대차(200)를 인식하여 콘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상부대차의 이동을 중단되고, 하부대차구동모터(170)가 작동되어 일정시간 동안 일정 거리를 전전하며, 하부대차(150)가 멈추면 상부대차(200)가 방향을 바꿔 이동하며 경운작업을 반복하도록 구성되고, 발효장(110)의 일측 끝에 있는 하부대차 감지센서(190)가 하부대차(150)를 인식하면 콘트롤러에 의해 하부대차(150)의 이동과 로터리의 구동이 중단되고, 유압실린더(280)가 구동프레임(300)을 상승시킨 후 하부대차(150)가 후진하고, 발효장의 타측에 설치된 하부대차 감지센서(190)가 하부대차(150)를 인식하면 하부대차의 이동이 중지되고, 구동프레임(300)을 하강시킨 후 교반작업이 반복되도록 구성된다.
퇴비는 발효장에서 호기성 발효가 충분히 이루어진 후에 야적장으로 옮겨져혐기성 발효가 서서히 진행되는 숙성과정을 거치면 퇴비화가 종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퇴비교반기는 발효조 내에서 뒤집기를 하면서 고온의 공기를 퇴비에 빈틈없이 분사하여 호기성 세균에게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성 균의 번식과 분해작용이 촉진되고, 퇴비를 뒤집으면서 건조한 공기를 빈틈없이 분사하며 습기를 제거하여 수분조절재의 투입량과 퇴비의 부피를 줄이고, 뒤집기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퇴비교반의 편의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100 : 퇴비교반기 110 : 발효장
120 : 측벽 130 : 주행레일
150 : 하부대차 170 : 하부대차구동모터
180 : 주행바퀴 190 : 하부대차 감지센서
200 : 상부대차 210 : 상부대차 이동공간
220 : 상부대차레일판 230 : 상부대차구동모터
250 : 상부대차 감지센서 260 : 상부대차 구동바퀴
270 : 유압모터 280 : 유압실린더
300 : 구동프레임 320 : 로터리모터
350 : 에어파이프 360 : 구동파이프
370 : 기어박스 380 : 로터리
400 : 블로워 420 : 주름관
430 : 가열히터 450 : 에어배출 구체
500 : 콘트롤러 600 : 전선가이드레일
630 : 지지대 650 : 전선견인고리
680 : 전선연결암

Claims (4)

  1. 바닥판과 양측에 측벽이 구비되어 가축의 분뇨, 왕겨, 톱밥이 또는 계분으로 구성된 퇴비원료가 적재되는 발효장(110);
    상기 측벽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주행레일(130);
    내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으로 네모서리에 하부대차구동모터(170)에 의해 회전하는 주행바퀴(180)가 구비되어 상기 주행레일(130)의 상부에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하부대차(150);
    상기 하부대차(150) 사각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사각형 상부대차 이동공간(210)의 가로방향 내측변에 설치된 상부대차(200)레일;
    일측 내부가 개방된 사각 프레임으로 네모서리에 상부대차구동모터(230)에 의해 회전하는 주행바퀴(180)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대차(200)레일의 상부에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부대차(200);
    상기 상부대차(200)의 개방된 부분에 일측이 힌지결합된 구동프레임(300);
    상기 상부대차(200)의 일측에 설치된 유압모터(270)에 의해 상기 구동프레임(300)을 승하강하도록 구성된 유압실린더(280);
    상기 구동프레임(300)의 상부에 설치된 로터리 모터;
    상기 구동프레임(300)을 관통되게 삽입되고 하부에 기어박스(370)가 결합된 구동파이프(360); 상기 구동파이프(3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터리모터(320)의 동력을 하부에 있는 기어박스(370)로 전달하는 동력연결수단;
    상기 기어박스(370)의 양측에 설치되어 퇴비를 파서 뒤집는 한쌍의 로터리;
    상기 상부대차(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생성하는 블로워(400);
    상기 구동프레임(300)을 관통하여 하부로 연장된 에어파이프(350);
    상기 블로워(400)와 에어파이프(350)에 연결된 주름관(420);
    상기 에어파이프(350)의 내부에 설치된 가열히터(430); 및
    상기 하부대차(1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급된 전력에 의해 상기 하부대차(150), 상부대차(200), 로터리모터(320), 유압실린더(280), 브로워 및 히터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하고, 퇴비를 경운하면서 가열된 고압에어를 퇴비원료에 분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레일(130)의 양단부 측에 설치된 하부대차 감지센서(190); 및
    상기 상부대차(200) 레일의 일측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상부대차 감지센서(250);가 더 포함되어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로터리가 탑재된 상부대차(200)가 상부대차(200) 레일의 단부에 접근하면 상부대차 감지센서(250)가 상부대차(200)를 인식하여 이동을 중단하고, 하부대차구동모터(170)가 일정시간 동안 일정거리 전전하며, 하부대차(150)가 멈추면 상부대차(200)가 방향을 바꿔 이동하고, 일측 하부대차 감지센서(190)가 하부대차(150)를 인식하면 하부대차(150)의 이동과 로터리의 구동이 중단되고, 유압실린더(280)가 구동프레임(300)을 상승시킨 후 하부대차(150)가 후진하여 타측 하부대차 감지센서(190)가 하부대차(150)를 인식되면 하부대차(150)의 이동이 중지되고, 구동프레임(300)을 하강시킨 후 로터리 작업이 반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파이프(350)의 하단에는 구의 형태로 속이 비어있고 하부측에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된 에어배출 구체(450)가 결합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가 설치된 하부대차(150)의 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지지대(630);
    상기 지지대(630)의 상단에 결합된 요홈이 구비된 전선가이드레일(600);
    상기 전선가이드레일(600)의 요홈에 삽입되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복수의 전선견인고리(650); 및
    상기 상부대차(200)의 측면에 설치된 "ㄱ"자 형상의 전선연결암(680);을 포함하고,
    상기 콘트롤러에서 연장된 전선이 복수의 전선견인고리(650)에 지지되면서 상기 전선연결암(680)을 통해 상부대차(200)에 전선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



KR1020200180881A 2020-12-22 2020-12-22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 KR102638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881A KR102638724B1 (ko) 2020-12-22 2020-12-22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881A KR102638724B1 (ko) 2020-12-22 2020-12-22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0066A true KR20220090066A (ko) 2022-06-29
KR102638724B1 KR102638724B1 (ko) 2024-02-20

Family

ID=8227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881A KR102638724B1 (ko) 2020-12-22 2020-12-22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4537A (zh) * 2022-10-19 2023-01-13 张龙(Cn) 一种有机肥制备系统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191Y1 (ko) * 1999-07-29 2000-02-15 안태완 사료혼합기
KR20090109223A (ko) * 2008-04-15 2009-10-20 나종광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발효장치 및 처리 방법
KR20090114952A (ko) * 2008-04-30 2009-11-04 김경화 교반장치
KR20100004590A (ko) * 2008-07-04 2010-01-13 주식회사 진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16137B1 (ko) * 2008-04-03 2011-02-17 보성환경산업(주) 안정화 믹서기
KR101065721B1 (ko) * 2011-03-03 2011-09-19 (주)아이엔탑 음식물 및 가축분뇨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46594B1 (ko) * 2013-07-19 2014-01-03 (주)오앤케이테크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456074B1 (ko) * 2014-05-14 2014-10-31 주식회사 크린라이프 음식물쓰레기 압착기 및 이를 적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542884B1 (ko) 2013-08-14 2015-08-10 (주)그린니스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KR101651156B1 (ko) * 2015-07-14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케이글로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80093512A (ko) * 2017-02-13 2018-08-22 (주)에코위드 음식물쓰레기용 압축 처리장치
KR101921692B1 (ko) 2016-08-02 2018-11-23 손민혁 슬러지와 가축분뇨와 음식물쓰레기와 음폐수의 교반 소멸장치
KR102098566B1 (ko) * 2020-01-14 2020-04-10 (주)조은이엔티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방법 및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9191Y1 (ko) * 1999-07-29 2000-02-15 안태완 사료혼합기
KR101016137B1 (ko) * 2008-04-03 2011-02-17 보성환경산업(주) 안정화 믹서기
KR20090109223A (ko) * 2008-04-15 2009-10-20 나종광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발효장치 및 처리 방법
KR20090114952A (ko) * 2008-04-30 2009-11-04 김경화 교반장치
KR20100004590A (ko) * 2008-07-04 2010-01-13 주식회사 진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65721B1 (ko) * 2011-03-03 2011-09-19 (주)아이엔탑 음식물 및 가축분뇨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46594B1 (ko) * 2013-07-19 2014-01-03 (주)오앤케이테크 스크류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542884B1 (ko) 2013-08-14 2015-08-10 (주)그린니스 유기성 폐기물의 호기성 발효장치
KR101456074B1 (ko) * 2014-05-14 2014-10-31 주식회사 크린라이프 음식물쓰레기 압착기 및 이를 적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51156B1 (ko) * 2015-07-14 2016-09-21 주식회사 에스케이글로벌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921692B1 (ko) 2016-08-02 2018-11-23 손민혁 슬러지와 가축분뇨와 음식물쓰레기와 음폐수의 교반 소멸장치
KR20180093512A (ko) * 2017-02-13 2018-08-22 (주)에코위드 음식물쓰레기용 압축 처리장치
KR102098566B1 (ko) * 2020-01-14 2020-04-10 (주)조은이엔티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방법 및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94537A (zh) * 2022-10-19 2023-01-13 张龙(Cn) 一种有机肥制备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724B1 (ko)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24972B (zh) 一种规模化养猪场养殖污染综合治理系统及方法
CN106116736B (zh) 规模化养殖场畜禽粪尿及病死畜禽胎盘治理系统及方法
CN105859078B (zh) 异位发酵床畜禽养殖粪污处理系统及其应用
CN105175031B (zh) 一种以高水分畜禽粪便生产有机肥的发酵系统及发酵方法
WO2019071644A1 (zh) 一种基于种养结合的畜禽养殖场污染生态治理系统及方法
KR890002225B1 (ko) 가축 사육용 축사
KR101963750B1 (ko)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발효조 및 가연성 생활쓰레기 고형연료화 설비의 건조장치
CN104876649A (zh) 一种节能环保楼式羊舍粪便收集方法及其设备
CN110981556B (zh) 一种封闭式连续进出料发酵装置及发酵方法
CN108440043B (zh) 一种翻斗装置
KR20220090066A (ko) 수분조절재가 절감되는 퇴비교반기
CN210445231U (zh) 一种多功能畜禽舍粪污自动处理装置
CN111802259B (zh) 一种奶牛场粪便发酵垫料加工系统及方法
CN219972183U (zh) 一种高效养殖粪污异位发酵系统
TWM616916U (zh) 有機液體生物醱酵槽裝置
CN206127148U (zh) 规模化养殖场畜禽粪尿及病死畜禽胎盘治理系统
CN210124200U (zh) 一种发酵床翻耙机
CN108575914B (zh) 一种昆虫转化农业有机废弃物的装置及其使用方法
CN111777434A (zh) 一种畜禽养殖粪污发热微生物腐熟方法及其腐熟装置
JP2000281471A (ja) 堆肥発酵装置
CN208617711U (zh) 一种畜禽粪尿喷淋发酵装置
CN107736310B (zh) 一种畜禽粪便养殖黑水虻的系统及其控制方法
CN112374925B (zh) 一种鸡粪有机肥自动生产设备及其工艺方法
CN207948484U (zh) 一种圈养猪舍用的往复式刮粪装置
CN206529409U (zh) 一种畜禽粪污生物制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033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215

Effective date: 20240112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