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9388A -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 Google Patents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9388A
KR20220089388A KR1020200179980A KR20200179980A KR20220089388A KR 20220089388 A KR20220089388 A KR 20220089388A KR 1020200179980 A KR1020200179980 A KR 1020200179980A KR 20200179980 A KR20200179980 A KR 20200179980A KR 20220089388 A KR20220089388 A KR 20220089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
space
user
reflux esophagitis
bac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마마파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마마파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마마파파
Priority to KR102020017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89388A/ko
Publication of KR20220089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3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72Pillows for lying in reclined position, e.g. for rea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는 일단보다 타단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제1공간이 구비되어 제1공간에 제1충전재가 충전되는 등허리받침부, 내부에 제2공간이 구비되어 제2공간에 제2충전재가 충전되고, 일단보다 타단이 긴 높이를 갖도록 등허리받침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부에 하부 방향으로 굴곡지게 침강되는 침강부가 형성되는 상지수용부, 일단보다 타단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도록 상지수용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부에 제2공간이 구비되어 제3공간에 제3충전재가 충전되는 두부받침부 및 침강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지수용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FUNCTIONAL PILLOW FOR PREVENTING REFLUX ESOPHAGITIS AND ARM NUMBNESS}
본 발명은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에 관한 것이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에서 분비된 위산을 비롯한 소화 효소들이 식도로 역류하여 염증성 손상을 일으키는 질환을 의미한다.
최근 현대인들의 잦은 술과 커피의 음용을 비롯한 기름진 식습관으로 인해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에 따르면, 역류성 식도염 환자는 2015년 386만 여명에서 2019년 458만 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
전술한 역류성 식도염을 방지하는 방법 중 하나로 취침 시 상체를 약간 높여 취침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고, 전술한 사실이 알려짐에 따라 경사진 구조를 갖는 역류성 식도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베개가 개발되어 역류성 식도염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방지 기능성베개는 경사진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베개가 다소 강한 경도를 가져 사용시 다소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방지 기능성베개는 사용자의 등부터 머리까지 경사진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 누워 사용하거나 엎드려 누워 사용하는 경우 팔이 신체와 베개 사이에 위치하게 되면 베개에 의해 팔이 압박을 받게되고, 이에 따라, 팔에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되지않고 팔이 저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67651호, 2008.11.03.자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54118호, 2020.09.03.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면 중 역류성 식도염과 팔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팔과 손을 포함하는 상지를 수용하는 상지수용부를 포함하고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는 일단보다 타단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제1공간이 구비되어 제1공간에 제1충전재가 충전되는 등허리받침부, 내부에 제2공간이 구비되어 제2공간에 제2충전재가 충전되고, 일단보다 타단이 긴 높이를 갖도록 등허리받침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부에 하부 방향으로 굴곡지게 침강되는 침강부가 형성되는 상지수용부, 일단보다 타단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도록 상지수용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부에 제2공간이 구비되어 제3공간에 제3충전재가 충전되는 두부받침부 및 침강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지수용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침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져 사용자가 누우면 사용자의 상체를 높인 상태로 지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역류성 식도염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등받침부를 상지수용부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눕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의 상부면을 지표면에 맞닿게 하여 사용자가 엎드려 누울 때 사용자의 손과 팔을 포함하는 상지를 상지수용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베개 사이에서 사용자의 상지가 눌리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의 팔저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등받침부를 상지수용부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 허리 또는 머리 등을 지지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제1개폐수단, 제2개폐수단 및 제3개폐수단이 등허리받침부, 상지수용부 및 두부받침부에 각각 구비되어 제1공간, 제2공간 및 제3공간을 각각 개폐할 수 있고 제1지지부와 제2지지부가 각각 제1공간과 제2공간, 제2공간과 제3공간을 분리함에 따라, 제1 내지 3공간에 충전되는 충전재의 종류와 충전율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의 등받침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의 등받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의 분출방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를 사용자가 사용한 예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등허리받침부(100), 상지수용부(200), 두부받침부(300), 등받침부(400) 및 베개지지부(500)를 포함한다.
등허리받침부(100)는 일단보다 타단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등허리받침부(100)는 하부면과 상부면이 이루는 경사각이 15 내지 30˚가 되도록 일단보다 타단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가져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등허리받침부(100)는 하부면과 상부면이 이루는 경사각이 15 내지 25˚가 되도록 일단보다 타단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가져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등허리받침부(100)는 하부면과 상부면이 이루는 경사각이 18˚가 되도록 일단보다 타단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가져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등허리받침부(100)의 하부면과 상부면이 이루는 경사각이 15˚ 미만이면 경사각이 낮아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에 누울 때 사용자의 상체를 충분히 높이지 못해 사용자의 역류성 식도염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지 못할 수 있다.
등허리받침부(100)의 하부면과 상부면이 이루는 경사각이 30˚를 초과하면 경사각이 너무 높아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에 누울 때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등허리받침부(10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의 사용시 사용자의 등 또는 허리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허리 또는 등하부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등허리받침부(100)는 내부에 제1충전재가 수용되는 제1공간(110)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등허리받침부(100)는 내부 제1공간(110)에 제1충전재가 수용된 것일 수 있다.
등허리받침부(100)는 외면에 제1공간(110)을 개폐할 수 있는 제1개폐수단(120)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사용자가 제1개폐수단(120)을 이용하여 제1공간(110)을 개폐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공간(110)에 수용되는 충전재의 종류를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재가 충전되는 정도인 충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제1개폐수단(1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에 사용자가 누울 때 사용자를 압박하지 않도록 등허리받침부(100)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지수용부(200)는 일단보다 타단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도록 등허리받침부(10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지수용부(200)는 일단보다 타단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도록 등허리받침부(10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부면과 하부면이 이루는 경사각이 등허리받침부(1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이루는 경사각과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상지수용부(200)는 내부에 제2충전재가 충전되는 제2공간(210)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지수용부(200)는 내부 제2공간(210)에 제2충전재가 수용된 것일 수 있다.
상지수용부(200)는 외면에 제2공간(210)을 개폐할 수 있는 제2개폐수단(220)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제2개폐수단(2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에 사용자가 누울 때 사용자를 압박하지 않도록 상지수용부(200)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사용자가 제2개폐수단(220)을 이용하여 제2공간(210)을 개폐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2공간(210)에 수용되는 충전재의 종류를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재가 충전되는 정도인 충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상지수용부(200)는 상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굴곡지게 침강되는 침강부(230)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침강부(23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를 사용하여 옆으로 돌아누웠을 때 사용자의 팔과 손을 포함하는 상지를 수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침강부(230)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의 상부면이 지표면을 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에 엎드려 누었을 때 사용자의 팔과 손을 포함하는 상지를 수용하는 것일 수 있다.
침강부(230)는 상지수용부(200)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되, 상지수용부(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침강부(230)가 상지수용부(200)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에 사용자가 누워도 상지수용부(200)의 침강부(230)를 뺀 나머지 부분이 소정 두께를 가져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다.
침강부(230)는 상지수용부(200)의 침강부(230)를 뺀 나머지 부분이 소정 두께를 가져 침강부(230)가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등허리받침부(100)의 타측 단부 높이의 25 내지 40%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지수용부(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등허리받침부(100)의 타측 단부 높이는 등허리받침부(100)의 타단 가장자리 높이, 즉, 등허리받침부(100)의 높이가 가장 높은 부분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침강부(230)가 상지수용부(200)의 하부면으로부터 등허리받침부(100)의 타측 단부 높이의 25% 미만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이격되어 상지수용부(200)에 형성되면 상지수용부(200)의 침강부(230)를 뺀 나머지 부분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할 만한 충분한 강도를 가지지 못할 수 있다.
침강부(230)가 상지수용부(200)의 하부면으로부터 등허리받침부(100)의 타측 단부 높이의 40% 초과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이격되어 상지수용부(200)에 형성되면 상지수용부(200)의 침강부(230)를 뺀 나머지 부분의 두께가 너무 굻어짐에 따라 침강부(230)가 사용자의 팔을 수용할 만큼 충분한 공간을 가지지 못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침강부(230)는 상지수용부(200)의 침강부(230)를 뺀 나머지 부분이 소정 두께를 가져 침강부(230)가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도록 등허리받침부(100)의 타측 단부 높이의 37.5%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지수용부(200)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두부받침부(300)는 일단보다 타단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도록 상지수용부(200)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경사진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두부받침부(300)는 내부에 제3충전재가 수용되는 제3공간(310)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두부받침부(300)는 내부 제3공간(310)에 제3충전재가 수용된 것일 수 있다.
두부받침부(300)는 외면에 제3공간(310)을 개폐할 수 있는 제3개폐수단(320)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사용자가 제3개폐수단(320)을 이용하여 제3공간(310)을 개폐할 수 있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3공간(310)에 수용되는 충전재의 종류를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전재가 충전되는 정도인 충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제1개폐수단(120), 제2개폐수단(220) 및 제3개폐수단(320)이 등허리받침부(100),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에 각각 구비되어 제1공간(110), 제2공간(210) 및 제3공간(310)을 각각 개폐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충전되는 충전재의 종류 또는 충전율을 각각 달리할 수 있다.
한편, 제1공간(110), 제2공간(210) 및 제3공간(310)에 각각 충전되는 제1 내지 3충전재는 라텍스, 메모리폼, 거위털, 목화솜, 양모, 편백나무, 천연씨앗, 메밀껍질, 폴리프로필렌, 마이크로비즈, 아쿠아비즈, 코루마비즈, 비장탄에어셀 및 엘라스토머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베개의 충전재로 이용되는 소재 또는 물질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두부받침부(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에 사용자가 누울 때 사용자의 머리 및 경추를 포함하는 두부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등허리받침부(100)는 사용자의 등하부와 허리를 지지하고, 두부받침부(300)는 사용자의 머리 및 경추를 포함하는 두부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를 사용자의 하반신을 지지하도록 사용할 때 등허리받침부(100)는 사용자의 둔부와 허벅지를 포함하는 하반신 상부를 지지할 수 있고, 두부받침부(300)는 사용자의 허벅지와 종아리를 포함하는 하반신 하부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두부받침부(300)의 하부면과 상부면이 이루는 경사각은 등허리받침부(100)의 하부면과 상부면이 이루는 경사각과 대응될 수 있다.
즉,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는 하부면과 상부면이 각각 돌출된 부분없이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베개에 사용자가 누우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않으면서 사용자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머리 및 경추를 포함하는 두부를 두부받침부(300)에 위치시키고 상지수용부(200)에 상지를 수용하였을 때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의 하부면 길이의 비는 1: 0.55 내지 0.65: 0.65 내지 0.75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에 사용자가 누웠을 때 사용자의 체중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20) 각각의 두께는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와 두부받침부(300) 길이의 합의 0.6 내지 2%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의 하부면 길이의 비는 1: 0.55 내지 0.65: 0.65 내지 0.75이면 등허리받침부(100)가 하부면의 길이가 가장 길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에 누웠을 때 등허리받침부(100)가 사용자의 등 또는 배를 전체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의 하부면 길이의 비인 1: 0.55 내지 0.65: 0.65 내지 0.75에서 상지수용부(200)에 대응되는 값이 0.55 미만이면 상지수용부(200)에 형성되어 상지를 수용하는 침강부(230)의 공간이 작아져 사용자가 침강부(230)에 상지를 수용하고자 할 때 상지의 수용이 어려울 수 있고 상지의 수용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의 하부면 길이의 비인 1: 0.55 내지 0.65: 0.65 내지 0.75에서 상지수용부(200)에 대응되는 값이 0.65를 초과하면 상지수용부(200)의 하부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상지를 상지수용부(200)에 수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머리 또는 경추를 포함하는 두부가 두부받침부(300)에 위치되지 못하고 침강부(230)에 위치하게 되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의 하부면 길이의 비인 1: 0.55 내지 0.65: 0.65 내지 0.75에서 두부받침부(300)에 대응되는 값이 0.65 미만이면 사용자의 머리 또는 경추를 포함하는 두부를 지지하기 위한 두부받침부(3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길이가 짧아 두부받침부(300)가 사용자의 머리 또는 경추를 포함하는 두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의 하부면 길이의 비인 1: 0.55 내지 0.65: 0.65 내지 0.75에서 두부받침부(300)에 대응되는 값이 0.75를 초과하면 두부받침부(300) 하부면의 길이가 너무 길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보관이 어려울 수 있다.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20) 각각의 두께가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와 두부받침부(300) 길이의 합의 0.6% 미만이면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20)의 두께가 너무 얇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가 사용자를 원활하게 지지하지 못할 수 있다.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20) 각각의 두께가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와 두부받침부(300) 길이의 합의 2%를 초과하면 등허리받침부(100),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20)가 차지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커져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 베개(10)에 누웠을 때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20)의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로 인해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바람직하게,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의 하부면 길이의 비는 1: 0.57 내지 0.63: 0.67 내지 0.73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0.6: 0.7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20) 각각의 두께는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와 두부받침부(300) 길이의 합의 0.75 내지 1%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것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78%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등받침부(400)는 침강부(230)의 침강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지수용부(2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등받침부(400)를 상지수용부(20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의 다리, 허리 또는 머리를 지지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등받침부(400)를 상지수용부(200)로부터 분리하여 상지수용부(200)에 사용자의 손 및 팔을 포함하는 상지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베개지지부(5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에 사용자가 누워 압력이 가해질 때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의 형상이 유지되도록 기능성베개(10)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베개지지부(500)는 등허리받침부(100),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베개지지부(500)는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의 사이와 상지수용부(200)와 두부받침부(300)의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베개지지부(500)는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의 사이 및 상지수용부(200)와 두부받침부(300) 사이 중 적어도 한 곳에 구비되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에 압력이 가해지면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베개지지부(500)는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2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지지부(510)는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 사이에 구비되어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제1지지부(510)는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등허리받침부(100),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제1지지부(510)는 제1공간(110)과 제2공간(210)이 분리되도록 등허리받침부(100)와 상지수용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2지지부(520)는 상지수용부(200)와 두부받침부(300) 사이에 구비되어 상지수용부(200)와 두부받침부(300)를 지지하는 것일 수 있다.
제2지지부(520)는 상지수용부(200)와 두부받침부(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등허리받침부(100),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제2지지부(520)는 제2공간(210)과 제3공간(310)이 분리되도록 상지수용부(200)와 두부받침부(300) 사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20)가 각각 제1공간(110)과 제2공간(210) 및 제2공간(210)과 제3공간이 분리되도록함에 따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등허리받침부(100),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에 충전되는 충전재의 종류 및 충전율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분출방지부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분출방지부재(600)는 제1개폐수단(120)으로부터 등허리받침부(100) 내부 제1공간(110) 측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제1개폐수단(120)을 이용해 제1공간(110)을 개방할 때 제1공간(110)에 충전된 제1충전재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분출방지부재(600)는 제2개폐수단(220)으로부터 상지수용부(200) 내부 제2공간(210) 측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제2개폐수단(220)을 이용해 제2공간(210)을 개방할 때 제2공간(210)에 충전된 제1충전재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분출방지부재(600)는 제3개폐수단(320)으로부터 두부받침부(300) 내부 제3공간(310) 측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제3개폐수단(320)을 이용해 제3공간(310)을 개방할 때 제3공간(310)에 충전된 제3충전재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일 수 있다.
분출방지부재(600)는 제1 내지 3개폐수단(120, 220, 320)으로부터 각각 등허리받침부(100),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의 내부 제1 내지 3공간(110, 210, 310)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내지 3공간(110, 210 ,310)을 개폐하는 것일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가 분출방지부재(600)를 더 포함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제1 내지 3공간(110, 210, 310)에 수용된 제1 내지 3충전재의 교체 또는 충진율 조절시 사용자는 제1 내지 3개폐수단(120, 220, 320)을 개방하고 분출방지부재(600)를 개방하여야 제1 내지 3공간(110, 210, 310)을 개방할 수 있다.
분출방지부재(600)는 제1 내지 3공간(110, 210, 310)의 개방시 제1공간(110, 210, 310)에 충전된 제1충전재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벨크로, 버튼 및 지퍼 중에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분출방지부재(600)를 더 포함함에 따라, 제1 내지 3개폐수단(120, 220, 320)을 이용하여 제1 내지 3공간(110, 210, 310)을 개방하여도 내부에 충전된 제1 내지 3충전재가 외부로 급속히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분출방지부재(600)를 더 포함함에 따라, 제1 내지 3개폐수단(120, 220, 320)이 파손 또는 손상을 입더라도 분출방지부재(600)에 의해 제1 내지 3공간이 폐쇄되어 내부에 충전된 제1 내지 3충전재가 외부로 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져 사용자가 누우면 사용자의 상체를 높인 상태로 지지함에 따라 사용자의 역류성 식도염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등받침부(400)를 상지수용부(20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가 옆으로 돌아눕거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의 상부면을 지표면에 맞닿게 하여 사용자가 엎드려 누울 때 사용자의 손과 팔을 포함하는 상지를 상지수용부(200)에 수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베개 사이에서 사용자의 상지가 눌리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의 팔저림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등받침부(400)를 상지수용부(200)로부터 분리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 허리 또는 머리 등을 지지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10)는 제1개폐수단(120), 제2개폐수단(220) 및 제3개폐수단(320)이 등허리받침부(100), 상지수용부(200) 및 두부받침부(300)에 각각 구비되어 제1공간(110), 제2공간(210) 및 제3공간(310)을 각각 개폐할 수 있고 제1지지부(510)와 제2지지부(520)가 각각 제1공간(110)과 제2공간(210), 제2공간(210)과 제3공간(310)을 분리함에 따라, 제1 내지 3공간(110, 210, 310)에 충전되는 충전재의 종류와 충전율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기능성베개,
100: 등허리받침부, 110: 제1공간, 120: 제1개폐수단,
200: 상지수용부, 210: 제2공간, 220: 제2개폐수단, 230: 침강부,
300: 두부받침부, 310: 제3공간, 320: 제3개폐수단,
400: 등받침부,
500: 베개지지부, 510: 제1지지부, 520: 제2지지부,
600: 분출방지부재.

Claims (6)

  1. 일단보다 타단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제1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제1공간에 제1충전재가 충전되는 등허리받침부;
    내부에 제2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제2공간에 제2충전재가 충전되고, 일단보다 타단이 긴 높이를 갖도록 상기 등허리받침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부에 하부 방향으로 굴곡지게 침강되는 침강부가 형성되는 상지수용부;
    일단보다 타단이 상대적으로 긴 높이를 갖도록 상기 상지수용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내부에 제3공간이 구비되어 상기 제3공간에 제3충전재가 충전되는 두부받침부; 및
    상기 침강부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지수용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등받침부;를 포함하는 것
    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허리받침부, 상기 상지수용부 및 상기 두부받침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등허리받침부와 상기 상지수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등허리받침부와 상기 상지수용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등허리받침부, 상기 상지수용부 및 상기 두부받침부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경도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지수용부과 상기 두부받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상지수용부와 상기 두부받침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
    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는
    각각 상기 등허리받침부와 상기 상지수용부 및 상기 두부받침부의 길이의 합의 0.6 내지 2 %에 대응되는 두께를 갖는 것
    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는
    상기 등허리받침부와 상기 상지수용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공간과 상기 제2공간을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상지수용부와 상기 두부받침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공간과 상기 제3공간을 분리하는 것
    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허리받침부와 상기 상지수용부 및 상기 두부받침부는
    상기 제1 내지 3 충진재의 교체 및 충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외면에 상기 제1 내지 3공간을 각각 개폐할 수 있는 제1 내지 3 개폐수단이 각각 구비되는 것
    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강부는 상기 상지수용부에 형성되되, 상기 등허리받침부의 타측 단부 높이의 25 내지 40%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상기 상지수용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
    인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KR1020200179980A 2020-12-21 2020-12-21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KR20220089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980A KR20220089388A (ko) 2020-12-21 2020-12-21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980A KR20220089388A (ko) 2020-12-21 2020-12-21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388A true KR20220089388A (ko) 2022-06-28

Family

ID=82268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980A KR20220089388A (ko) 2020-12-21 2020-12-21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8938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51B1 (ko) 2007-05-17 2008-11-10 임희봉 베개
KR102154118B1 (ko) 2019-11-28 2020-09-09 김진평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651B1 (ko) 2007-05-17 2008-11-10 임희봉 베개
KR102154118B1 (ko) 2019-11-28 2020-09-09 김진평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5134B2 (en) Sleep system
CA3068810C (en) Pillow
JP5047155B2 (ja) 人の頭頸部を支持するためのサポート
US6581229B2 (en) Modular maternity mattress system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JP2012090982A (ja)
KR101922599B1 (ko) 메모리 폼 베개
KR200405706Y1 (ko) 기능성 메모리폼 베개
KR20220089388A (ko)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KR200425981Y1 (ko) 자석이 구비된 메모리폼 베개
KR20040101584A (ko) 높이 조절용 다경도·다탄성체 재질의 건강베개
CN209769898U (zh) 一种可调节舒眠软管枕及床上用品
KR20100133337A (ko) 높이조절코어가 구비된 베개
KR20170079878A (ko) 기능성 베개
CN219579162U (zh) 一种牵引枕
KR200237755Y1 (ko) 경추보호용 목베개
KR200417962Y1 (ko) 다용도 기능성 베개
KR20040101583A (ko) 잠자는 자세에 따라 머리 요입부와 목 받침부의 높이를각각 달리하는 다경도·다탄성체 재질의 건강베개
CN219699551U (zh) 一种枕头
JP3246674U (ja) 異なる厚さを有する枕
KR102471213B1 (ko) 반중력 베개
CN218551982U (zh) 颈椎结构支撑枕
KR200329572Y1 (ko) 높이 조절용 다경도·다탄성체 재질의 건강베개
KR102288134B1 (ko) 기능성 베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