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4118B1 -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 - Google Patents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4118B1
KR102154118B1 KR1020200035914A KR20200035914A KR102154118B1 KR 102154118 B1 KR102154118 B1 KR 102154118B1 KR 1020200035914 A KR1020200035914 A KR 1020200035914A KR 20200035914 A KR20200035914 A KR 20200035914A KR 102154118 B1 KR102154118 B1 KR 102154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head
neck
cervical
low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평
Original Assignee
김진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평 filed Critical 김진평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4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4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72Pillows for lying in reclined position, e.g. for read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54Pillows for lying face downw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허제품(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28021호)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좌우 어깨받침부재를 제거하여 제품의 소형화를 이룸으로써, 생산단가를 낮추어 제품의 경제성과 디자인에 세련미를 더하고, 나아가 제품 기능을 확장하는 데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등 부위 및 목 부위를 받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소정의 형상으로 하부받침부재(10)의 중앙 부분에 소정의 높이에 상하좌우로 다수 형성되는 하부받침부재(10);
하부받침부재(10)에 형성되는 소정의 형상이란 3차원적으로 집적된 그물망 공간 형상, 원형과 다각형 기둥의 공간 형상, 기하학적 모양의 공간 형상, 재료의 소밀성에의한 공간 형상 등 공간 형상은 다양하여 헤아릴 수 없다. 여기서는 원형 기둥 공간 형상(11)을 대표적인 실시 예로 들었다. 따라서 3차원적 공간 형상을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부받침부재(10)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받침*재(10)의 후면에 연결되는 상부받침부재(20);
상기 상부받침부재(20)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목 및 머리 부위를 받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받침부재(30);
상기의 하부받침부재(10), 상부받침부재(20), 머리받침부재(30) 그리고 상부받침부재(20)와 머리받침부재(30)의 분리와 결합용 및 머리받침부재의 회전축용으로써 형성되는 똑딱이단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산 역류 식도염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Backrest cervical pillow for gastric acid reflux}
본 발명은 어깨와 목뼈를 보호하는 위산 역류 식도염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산이 역류하는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어깨와 목뼈보호 기능을 갖는 위산 역류 식도염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하루 24시간 중 약 8시간, 즉 일생의 3분의 1은 잠을 자는 데 소비하고 있다. 하루의 생활로 발생한 피로를 수면으로 풀어야만 다음날 건강하게 생활을 할 수 있다. 때문에 숙면을 취하기 위하여 인간은 경추베개를 사용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나무나 도자기를 경추베개로, 유럽에서는 자루에 동물의 털을 넣어 몸을 기대거나 경추베개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기술의 발달로 라텍스나 메모리폼 등의 첨단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나아가 목뼈 보호용, 안마용, 지압용 등 다양한 경추베개를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최근에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폭증하면서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위산 역류성 식도식염은 약을 먹으면 잘 치유되지만, 쉽게 재발하는 현대의 질병으로 식습관을 고치지 않으면 죽을 때까지 안고 가야할 만성적인 질병이다.
의사들은 약을 먹기보다는 어깨에 경추베개나 이불 등을 받쳐 상체의 기울기가 15°이상이 되도록 유지하고 수면을 취하면 위산 역류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환자들에게 권유한다.
이에 환자들은 의사의 권유에 따른 자세 변경을 시도해 보지만 오히려 낭패를 보는 경우가 있다. 한 자세로 오랫동안 잠을 자면 몸이 결리기 때문에 몸을 뒤척이거나 수면 자세를 바꾸게 된다.
이럴 경우 잠결에 경추베개를 놓쳐 경추베개 따로 사람 따로 상황이 발생하게 되는데, 앙와위에서는 목뼈가 뒤로 꺾이고 측와위에서는 목뼈가 측면으로 꺾일 뿐만 아니라 꺾인 머리 때문에 어깨가 짓눌리게 된다.
이런 나쁜 자세가 수면 중에 오랜 시간 동안 계속 되므로, 그 결과 목 디스크나 목 질환 그리고 척추 디스크나 척추질환 등에 노출되어 아주 끔찍한 고통을 겪을 수 있다.
경추베개 없이 자다가 엄청난 통증과 함께 목을 움직일 수조차 없었던 경험, 짓눌린 어깨의 통증과 결림 현상, 손과 팔이 저릿저릿하며 쥐가 나고 무감각했던 경험을 한번쯤 겪게 된다.
역류성 식도염은 치료가 잘 되기도 하지만 식습관을 고치지 않으면 재발이 잦아 결국에 만성적인 식도염이 되어 평생을 관리해야 하는 질병이 되어 버린다. 평생을 관리해야 한다는 것은 식도염 환자용 등받이, 쿠션, 침대, 매트 등을 평생 사용해야 되는 필요성이 높아지게 된다.
식도염 환자용 등받이, 쿠션, 침대, 매트, 등을 평생 사용해야만 한다는 상황이 사실이라면, 목뼈와 척추 그리고 어깨가 보호되는 제대로 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만약 목뼈와 척추 그리고 어깨가 보호되지 않는, 즉 허술하게 만들어진 경추베개 등을 사용하게 되면, 상상하기도 싫은 끔찍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완치가 어려운 만성 식도염을 치료하다가 더 큰 질병인 목과 척추 디스크 그리고 목과 척추에 관련된 질병에 평생 노출시키는 우를 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말한 경험을 몇 차례 겪고 나서 경추베개와 매트를 결합시켜 경추베개 따로 사람 따로 취침하게 되는 자세를 방지하여 목뼈와 어깨를 보호해야 되는 필요성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일본 등록실용신안 제3098598호에 '흉소방지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흉소방지매트'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목뼈 보호 기능이 없다. 상기 흉소방지매트는 경추베개 따로 사람 따로 눕게 되는 문제를 해결했을 뿐 역C자 타입의 목뼈를 받쳐줄 장치를 구비하지 않았다. 때문에 유용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위험한 제품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앙와위에서는 목뼈가 뒤로 지나치게 꺾이게 된다. 이러한 수면자세는 목과 척추에 아주 나쁜 자세로, 목과 척추 디스크나 목과 척추질환에 노출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측와위에서도 목뼈 보호 기능이 없을 뿐만 아니라 목이 꺾임으로 인하여 짓눌리는 어깨를 보호하는 기능도 없다.
셋째, 앙와위에서 목뼈 보호, 측와위에서 목뼈 보호 기능과 목이 측면으로 꺾임으로 인하여 짓눌리는 어깨를 보호할 기능이 없어 목과 척추 디스크나 질환 등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비용과 자원 낭비가 크다.
왜냐하면, 상기의 흉소방지매트는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몇 십만 원 이상의 고가 매트를 버리고 새로운 매트를 구매해야 하기 때문이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의 환자 수가 약 400만 명이라 할 때, 400만 개의 기존 매트를 버리고 400만 개의 매트를 새로 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10-2007-0081086호는 "뼈마디와 근육이 이완되고, 이로 인하여 신체의 신경조직 및 혈관을 강화시켜 질병예방을 목적으로 하고 있어, 식도염 환자용 매트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목뼈 보호장치를 살펴보면 앙와위에서는 굴곡을 사용하였으며, 측와위에서는 머리가 젖혀지지 않게 보조머리지지부를 두고 있다. 즉 머리가 놓이는 부분의 위치를 높여줌으로써 목뼈가 꺾이지 않게 하고 있다.
이 방법은 앙와위에서 측와위로 잠자리 자세를 바꿀 때마다. 높은 보조머리지지부로 머리를 들어 옮겨 놓아야 하고, 측와위에서 앙와위로 자세를 바꿀 때마다. 수면자가 보조머리지지부에서 머리지지부로 머리를 들어 내려놓아야 한다.
이는 아주 짧은 순간이지만 머리가 절벽으로 떨어지는 스릴을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매일 밤 여러 번 느껴야만 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머리를 들어올리고 내리고 하는 행위를 잠자는 중에 계속해서 반복해야 하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이러한 행위는 의식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수면 자의 숙면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혈지압이 목적이라 위산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의사 권장사항인 15도 각도에 대하여 언급하지도 않았으며 이를 구현한 바도 없다.
국내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079942호에는 누었을 때 상체가 지면으로부터 완만한 경사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구로, 등받이부와 받침부재가 접촉되는 더 완만한 기울기의 마찰면이 있어 쿠션과 받침 사이의 밀림을 방지하며, 의료용으로 쓰일 수 있는 메모리폼 경사 등받이 쿠션이 공개되어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20-2016-0004497호는 공기튜브의 팽창량에 따라 경추받침부재 또는 어깨받침부재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국내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76067호는 '수면 중인 사용자의 정상적인 머리 이동선에 대응되는 형상과 경추 받침부재를 일반 경추베개를 사용하도록 구성하여 일자목이나 거북목을 예방하거나 교정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98598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7-0081086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79942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655090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2802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위산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모든 수면 자세에서 식도염 환자의 목뼈와 어깨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위산 역류 방지 및 사용자의 어깨와 목뼈를 보호하는 특허제품(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28021호, 동일인 출원)의 어깨받침부재의 기능을 살려 제품에 내재시킴과 동시에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소형화를 달성하여 제품에 대한 경제성과 외관미를 얻는 데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결합과 분리용으로 사용되어지는 똑딱이단추를 회전축용으로 확대 사용하여 특허제품의 기능을 유용하게 확장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어깨와 목뼈가 보호되는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는 사용자의 등 부위와 어깨 부위 및 목 부위를 받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받침부재와;
상기 하부받침부재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받침재의 후면에 연결되는 상부받침부재와;
상기 상부받침부재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목 및 머리 부위를 받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받침부재와;
상기 머리받침부재를 상부받침부재에 체결하는 똑딱이단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부받침부재는 밀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소프트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받침부재는 사용자의 머리에 따른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받침부재에 다수의 3차원적 공간이 수직 또는 수평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더 형성되어 취침시 공기의 유동으로 인하여 땀이 척추에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똑딱이단추부재는 상기 상부받침부재의 상면 네 모서리에서 대각선을 그어 만나는 중심에 형성되어, 머리받침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축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머리받침부재를 회전시켜 직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머리받침부재의 회전축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질의 상부받침부재를 성형한 인서트성형방법으로 연질의 하부받침부재에 일체로 성형한 후 상,하부받침부재의 연결부위에 소정의 깊이로 장공을 형성하여 베개를 사용할 때 장공에 의해 신축현상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본원특허의 어깨받침부재의 기능을 하부받침부재(10)에 살리면서 불필요한 어깨받침부재를 제거하여 제품을 소형화를 달성한다. 이로 인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료의 절감으로 이어지고, 이는 곧 제품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되며 소비자에게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어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제품의 판매가 증대될 것이다.
둘째, 기존 특허제품은 어깨받침부재로 인하여 제품이 울퉁불퉁하여 미관상 우수하지 못했으나 이를 제거함으로써 제품의 디자인에 세련미를 더할 수 있다.
셋째, 외견상 삼각면체로 타사 제품과 동일해 보이나 경추를 보호하는 기능이 내재되어, 유사하거나 동일한 제품들 간에 비교우위를 점할 수 있어서 판매가 촉진될 것이다.
넷째, 제품이 소형이라 사용, 운반, 보관 등이 편리하다.
다섯째, 통상적으로 결합과 분리용으로 사용되어지는 하나의 똑딱이단추를 결합과 분리 및 회전축용으로 사용하여 특허제품의 기능을 유용하게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깨와 목뼈가 보호되는 위산 역류 식도염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깨와 목뼈가 보호되는 위산 역류 식도염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깨와 목뼈가 보호되는 위산 역류 식도염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를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깨와 목뼈가 보호되는 위산 역류 식도염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3차원적 공간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깨와 목뼈가 보호되는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는 사용자의 등 부위와 어깨 부위 및 목 부위를 받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받침부재(10)와, 상기 하부받침부재(10)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받침부재(10)의 후면에 연결되는 상부받침부재(20)와, 상기 상부받침부재(20)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목 및 머리 부위를 받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받침부재(30)와, 머리받침부재(30)를 상부받침부재(20)에 체결하는 똑딱이단추부재(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깨와 목뼈가 보호되는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는 사용자의 등 부위의 및 목 부위를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유지시킴은 물론 머리 부위를 적정 높이로 유지시켜 주어 역류성 식도염 환자의 위산 역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측와위에서 어깨 높이만큼 가라앉도록 하부받침부재의 밀도를 조절하여 어깨와 목뼈를 보호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등 부위의 일부와 머리 부위를 상체보다 높게 유지시켜 역류성 식도염 증상이 일어나지 않게 하고, 어깨와 목뼈를 보호하여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취침 시 숙면을 취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받침부재(10)는 사용자의 신체 중 등 부위와 어깨 부위를 받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를 갖는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부받침부재(10)는 사용자의 상체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누운 상태를 유지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부받침부재(10)는 사용자의 등 부위를 받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등 부위를 소정의 높이로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역류성 식도염 환자가 위산의 역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받침부재(10) 및 상부받침부재(20)는 역류성 식도염에 의한 위산이 역류되지 않도록 10~30°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되, 바람직한 각도는 15°이다.
한편, 상기 하부받침부재(10) 및 상부받침부재(20)는 사용자의 등 부위 및 목 부위로부터 가해지는 체중에 따라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메모리폼, 라텍스 및 스폰지 등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받침부재(10)는 경도의 측정값이 2-15kgf/314cm2 인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측와위로 수면자세를 변경했을 때 사용자의 어깨 하중에 의해 형태적인 변형이 크게 이루어짐(사용자 각각에 따라 어깨부터 목 부위까지의 넓이만큼 가라앉도록 밀도를 조절함)에 따라 사용자의 어깨와 목뼈를 보다 안정되게 받칠 수 있게 되어 어깨와 목뼈를 보호하게 된다.
상기 하부받침부재(10)는 앙아위에서 특별한 효과를 발휘하지 않으나 측아위에서 수면자의 어깨가 하부받침부재(10)에 닿으면 어깨의 무게로 인하여 한 쪽 어깨넓이(목부위에서 어깨의 끝까지의 크기로 50mm내외)만큼 가라앉고 그 이상은 가라앉지 않도록 발명되어 목뼈인 경추가 척추와 꺽임없이 일직선 상에 놓여져 보호된다.
또한, 상부받침부재(20)는 경도의 측정값이 14-25kgf/314cm2 인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의 머리에 의한 하중에 가해지게 되더라도 형상의 큰 변형 없이 사용자의 목 부위 및 머리 부위를 안정되게 받쳐 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받침부재(10)에는 다수의 3차원적 공간(11)이 수직 또는 수평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취침시 공기의 유동으로 인하여 땀이 척추에 맺히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밀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취침자가 옆으로 누웠을 때 어깨에 의해 머리 위치가 높아져 머리가 머리받침부재(30)에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형성된 것으로, 3차원적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밀도가 낮아져 어깨가 밀작되는 부위에 하중이 집중됨에 따라 그 부위가 눌려지므로 어깨와 머리의 높이가 나아짐에 따라 머리가 머리받침부재(30)에 안정되게 밀착되어 편안하게 취침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3차원적 공간(도 6의 11)을 수직(세로) 방향으로 형성할 때는 하부받침부재(10)의 바닥면으로부터 30mm의 위치(도 6의 11)에서 시작하여 형성하며, 수평(가로) 방향으로 형성할 때는 관통(도 7의 11)되도록 한다.
상기 3차원적 공간(11)은 중앙에서 좌우로 형성할 때 중앙에서 멀어질 수로 간격을 넓게 하여 하부받침부재(10) 전면에 형성하되, 크기는 10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3차원적 공간을 1줄에서 n줄로 형성할 때 하부받침부재(10)의 바닥으로부터 대략 10~50mm의 높이의 위치에서 수직 공중으로 대략 5~50mm 크기로 밑부분이 폐쇄된 3차원적 공간 형상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10~50mm의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하는 바, 바람직한 높이는 30mm이고 바람직한 간격과 크기는 10mm이다.
하부받침부재(10)의 3차원적 공간 형상(11)의 바람직한 크기는 10mm이나 체중이나 체격에 따라서 그 크기는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3차원적 공간(11)을 원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차원적으로 집적된 그물망 형상, 원형과 다각형 형상, 기하학적 형상, 재료의 소밀성에 의한 형상 등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목 및 머리 부위를 받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받침부재(30)가 상부받침부재(20)의 상면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머리받침부재(30)도 경도의 측정값이 2-15kgf/314cm2 인 소프트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와; 머리지지부의 일측으로 머리지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원형으로 연장형성되어 목부분을 지지하는 목지지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똑딱이단추부재(40)는 상기 상부받침부재(20)의 상면 네 모서리에서 대각선을 그어 만나는 중심에 형성되는데, 수면자가 앙아위에서 측아위로 수면자세를 바꿀 때 본능적으로 수면자는 몸을 웅크림과 동시에 머리를 가슴쪽으로 숙이게 되는 데, 이때 목뼈인 경추와 베개의 각도가 직각을 벗어난다.
이 경우 머리받침부재(30)를 조금 회전시켜 직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머리받침부재(30)의 회전축용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똑딱이단추부재(40) 중 볼록한 부분은 파형베게(30)에 오목한 부분은 상부받침부재(20)에 형성됨으로 머리받침부재(30)를 분리하여 별도로 사용함과 동시에 상,하부받침부재(10,20)를 독서 시에 등받침, 다리받침, 종아리받침 등의 다용도로 사용함에 거추장스럽지 않으면서 베개의 기능이 확장되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상기 하부받침부재(10)와, 상부받침부재(20)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바 우선 경도의 측정값이 14-25kgf/314cm2 인 경질의 상부받침부재(20)를 성형한 후 인서트성형방법으로 경도의 측정값이 2-15kgf/314cm2 인 연질의 하부받침부재(10)를 일체로 성형한다.
이때 상,하부받침부재(10,20)의 하부는 연결되고 상부는 5mm정도 공간(21)을 두는 데, 이는 베개를 사용할 때 상부받침부재가 하부받침부재의 신축작용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어깨와 목뼈가 보호되는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취침하기 위하여 하부받침부재(10)의 상면에 등을 맞대고 눕게 되며, 경추 부위는 머리받침부재(30)의 상면에 접촉된다.
즉, 하부받침부재(10)에는 사용자의 신체 중 등 부위가 맞닿게 되고, 머리받침부재(30)에는 사용자의 신체 중 경추, 즉, 목뼈와 머리 부위가 맞닿게 된다.
사용자의 상체 부위는 가슴 부위가 하부받침부재(10)에 위치하게 되고, 경추 부위는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머리받침부재(30)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하부받침부재
20: 상부받침부재
30: 머리받침부재
40 : 똑딱이단추부재

Claims (5)

  1. 어깨와 목뼈가 보호되는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는 밀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소프트 재질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등 부위와 어깨 부위 및 목 부위를 받치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다수의 3차원적 공간(11)이 수직 또는 수평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취침시 공기의 유동으로 인하여 땀이 척추에 맺히는 것을 방지하고, 밀도를 조절할 수 있는 하부받침부재(10)와;
    사용자의 머리에 따른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받침부재(10)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받침부재(10)의 후면에 연결되는 상부받침부재(20)와;
    상기 상부받침부재(20)의 상면에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의 목 및 머리 부위를 받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지지부와; 머리지지부의 일측으로 머리지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원형으로 연장형성되어 목부분을 지지하는 목지지부로 구성된 머리받침부재(30)와;
    상기 머리받침부재(30)를 상부받침부재(20)에 체결하는 똑딱이단추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똑딱이단추부재(40)는 상기 상부받침부재(20)의 상면 네 모서리에서 대각선을 그어 만나는 중심에 형성되어, 머리받침부재(30)를 조금 회전시켜 직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머리받침부재(30)의 회전축용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경질의 상부받침부재(20)를 성형한 인서트성형방법으로 연질의 하부받침부재(10)에 일체로 성형한 후 상,하부받침부재(10, 20)의 연결부위에 소정의 깊이로 장공(21)을 형성하여 베개를 사용할 때 장공에 의해 신축현상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35914A 2019-11-28 2020-03-24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 KR102154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035 2019-11-28
KR20190156035 2019-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4118B1 true KR102154118B1 (ko) 2020-09-09

Family

ID=7245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914A KR102154118B1 (ko) 2019-11-28 2020-03-24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41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388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더마마파파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598U (ja) 2003-06-16 2004-03-04 伊藤 隆文 むねやけ防止マット
JP3102917U (ja) * 2004-01-21 2004-07-22 明輝 徐 頸椎安定按摩枕
KR20070081086A (ko) 2006-02-09 2007-08-14 문상현 베어 등목 베개
KR100867651B1 (ko) * 2007-05-17 2008-11-10 임희봉 베개
KR20140079942A (ko) 2012-12-20 2014-06-30 박찬희 메모리폼 경사 등받이 쿠션
KR101655090B1 (ko) 2015-03-10 2016-09-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녹내장 환자용 베개
JP3211833U (ja) * 2017-03-02 2017-08-10 森本 高広 携帯用枕
KR101828021B1 (ko) 2017-03-28 2018-02-09 김진평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8598U (ja) 2003-06-16 2004-03-04 伊藤 隆文 むねやけ防止マット
JP3102917U (ja) * 2004-01-21 2004-07-22 明輝 徐 頸椎安定按摩枕
KR20070081086A (ko) 2006-02-09 2007-08-14 문상현 베어 등목 베개
KR100867651B1 (ko) * 2007-05-17 2008-11-10 임희봉 베개
KR20140079942A (ko) 2012-12-20 2014-06-30 박찬희 메모리폼 경사 등받이 쿠션
KR101655090B1 (ko) 2015-03-10 2016-09-0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녹내장 환자용 베개
JP3211833U (ja) * 2017-03-02 2017-08-10 森本 高広 携帯用枕
KR101828021B1 (ko) 2017-03-28 2018-02-09 김진평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388A (ko) 2020-12-21 2022-06-28 주식회사 더마마파파 역류성 식도염 및 팔저림 방지 기능성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2576B2 (en) Therapeutic cushion systems and methods
US8161588B1 (en) Anti-aging pillow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US11596247B2 (en)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KR101577903B1 (ko) 교정 및 치료 효과를 가지는 베개
CN206044204U (zh) 颈椎康护枕
KR101966297B1 (ko) 라운드형 베개
JP2007000397A (ja)
JP2008517686A (ja) 人間工学的枕
KR102154118B1 (ko) 위산 역류 환자용 등받침 경추베개
KR100293245B1 (ko) 인체공학베개
WO2006093429A1 (fr) Oreiller
KR101828021B1 (ko) 위산 역류성 식도염 환자를 위한 목뼈와 어깨보호 기능을 지닌 등받이와 일체화된 베개
KR101149574B1 (ko) 경추 및 척추 지지 베개
KR200404139Y1 (ko) 기능성 베개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KR20040101584A (ko) 높이 조절용 다경도·다탄성체 재질의 건강베개
JP3195617U (ja) 揺動可能な枕
WO2013143346A1 (zh) 枕头高度、角度调节座
KR102639636B1 (ko) 경추 베개
KR102611491B1 (ko) 기능성 방음 베개
KR20020092275A (ko) 다경도 다탄성 해면체 (스폰지)를 이용한 목과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기위한 베개
JP3145217U (ja) 枕および枕セット
KR101835987B1 (ko) 목 디스크 예방용 베개
KR101889221B1 (ko)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