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8414A -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8414A
KR20220088414A KR1020227011207A KR20227011207A KR20220088414A KR 20220088414 A KR20220088414 A KR 20220088414A KR 1020227011207 A KR1020227011207 A KR 1020227011207A KR 20227011207 A KR20227011207 A KR 20227011207A KR 20220088414 A KR20220088414 A KR 20220088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lay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ou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1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대산 강
보람 편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88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cur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3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01L27/32
    • H01L51/5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굴곡성, 및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판, 제3 점착제층, 보호 필름, 제2 점착제층, 편광층, 제1 점착제층, 및 터치 센서층을 시인 측으로부터 이 순으로 구비하고, 하기 식(1)으로 표시되는 내충격성 지수 A가 200 이상인, 광학 적층체를 제공한다. [식 중, tn는, 터치 센서층으로부터 n번째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나타내고, G'n는, 터치 센서층으로부터 n번째의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고, an는, 터치 센서층 상면으로부터 n번째의 점착제층 하면까지의 거리(㎛)를 tn로 나눈 값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본 발명은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자세한 것은, 굴곡성 표시 패널의 표시면을 커버하는 광학 적층체, 및 상기 광학 적층체를 갖는 굴곡성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굴곡성 표시 장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굴곡성 표시 장치는 곡면 및 굴곡면 등의 평면이 아닌 면 상에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굴곡성 표시 장치는 폴딩하거나 두루마리 형상으로 함으로써,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굴곡성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그 표시면을 커버하는 광학 적층체에도 굴곡성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에는, 제1 기재 필름,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일방의 면에 위치하는 하드 코팅층 및 타방의 면에 위치하는 제2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의 커버 윈도우 기판에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적층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요약). 특허문헌 1의 적층 필름은 표면 경도가 높고, 내찰상성(耐擦傷性)이 우수한 것이다.
특허문헌 2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표시면을 커버하는 투명한 윈도우가 기재되어 있다. 이 윈도우는, 굴곡할 수 있는 유리층과, 유리층과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유리층보다 작은 탄성계수를 갖는 기능성 코팅층을 갖는다(요약). 특허문헌 2의 윈도우는, 유리층을 가짐으로써, 표면 경도가 높고, 내찰상성이 우수하다. 또한, 기능성 코팅층은, 유리층의 일부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에, 유리층에 발생하는 인장 응력을 상쇄하여 유리층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단락 [0086]).
특허문헌 3에는, 절곡(折曲)되는 부분에, 다수의 오목상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절곡 패턴이 형성된 커버 윈도우가 기재되어 있다(청구항 1). 커버 윈도우의 절곡되는 부분은, 이러한 절곡 패턴을 구비하므로 얇게 변형할 수 있어, 굴곡하기 쉬워진다. 특허문헌 3의 커버 윈도우는, 절곡되는 부분에 절곡 패턴이 존재함으로써 굴곡성이 확보되므로, 절곡되지 않는 부분은 높은 강성(剛性)을 갖는 재료로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할 수 있으며, 높은 내충격성도 확보할 수 있다(단락 [0009]).
일본 특허공개 2017-13492호 공보 미국 특허공개 2018/0034001호 공보 한국 특허공개 10-2018-0079093호 공보
표시 장치 중에서도 터치 패널은, 표시 장치의 표면에 터치함으로써 조작된다. 조작의 종류에 따라, 표시 장치의 표면은 마찰될 뿐만 아니라, 두드려질 경우가 있다. 디바이스를 낙하시켰을 때에, 표시 장치의 표면에 물건이 닿을 경우도 있다. 그러므로, 표시 장치에는, 표면에 대한 마찰뿐만 아니라, 시인 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급격하게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도, 견딜 수 있는 내충격성이 요구된다.
특허문헌 1의 적층 필름은, 표시 장치에 대해, 시인 측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이 고려되고 있지 않아, 여전히 내충격성이 충분하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윈도우에 사용되고 있는 유리는, 유연성이 떨어지는 재료이며, 유리층을 갖고 있는 이상, 특허문헌 2의 윈도우는 굴곡성이 불충분하다.
또한, 특허문헌 3에 대해서는, 필름이 절곡되는 부분에 특정하여, 다수의 오목상의 형상을 형성하는 작업은 번잡하며, 제조 비용이 비싸진다. 광학 필름의 일부에 패턴이 형성되었을 경우는, 그 부분의 광투과성이 변화되며, 필름 재료로서 범용성(汎用性)도 저하된다. 또한, 절곡 패턴을 형성한 상태에서는 유연성을 가질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만큼 재료의 강성을 높일 수는 없어, 충분히 높은 내충격성을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우수한 굴곡성, 및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광학 적층체를 갖는, 우수한 굴곡성, 및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전면판, 제3 점착제층, 보호 필름, 제2 점착제층, 편광층, 제1 점착제층, 및 터치 센서층을, 시인 측으로부터 이 순으로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200 이상의, 식
[수 1]
Figure pct00001
[식 중, tn는, 터치 센서층으로부터 n번째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나타내고, G'n는, 터치 센서층으로부터 n번째의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고, an는, 터치 센서층 상면으로부터 n번째의 점착제층 하면까지의 거리(㎛)를 tn로 나눈 값을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내충격성 지수 A를 갖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한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 상기 광학 적층체는, 2000 이상의 내충격 지수 A를 갖는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은, 3 ∼ 100㎛의 두께를 갖는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은, 0.005 ∼ 1.0㎫의 온도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갖는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은,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은, 가교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의 표시면에 적용되는 상기 어느 광학 적층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의 표시면에 적용된 상기 어느 광학 적층체를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굴곡성, 및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 사용하는 편광층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 사용하는 터치 센서층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광학 적층체]
도 1은,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광학 적층체(100)는, 전면판(10), 제3 점착제층(20), 보호 필름(30), 제2 점착제층(40), 편광층(50), 제1 점착제층(60), 및 터치 센서층(70)을 시인 측으로부터 이 순으로 구비한다.
광학 적층체(100)는, 적어도 전면판(10)을 내측으로 한 방향으로 굴곡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굴곡 가능하다는 것은, 전면판(10)을 내측으로 한 방향으로 크랙을 일으키지 않고 굴곡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적층체는,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내충격성과 함께 내굴곡성도 우수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100)는, 전면판(10)을 외측으로 한 방향으로 굴곡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굴곡 가능하다는 것은, 전면판(10)을 외측으로 한 방향으로 크랙을 일으키지 않고 굴곡시킬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광학 적층체의 면 방향의 형상은, 예를 들면 방형(方形) 형상이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방형 형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이다. 광학 적층체의 면 방향의 형상이 장방형인 경우, 장변의 길이는, 예를 들면 10 ∼ 1400㎜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0 ∼ 600㎜이다. 단변의 길이는, 예를 들면 5 ∼ 800㎜이며, 바람직하게는 30 ∼ 5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300㎜이다.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층은, 각부(角部)가 R 가공되거나, 단부(端部)가 노치 가공되거나, 홀 가공되어 있어도 된다.
광학 적층체의 두께는, 광학 적층체에 요구되는 기능 및 적층체의 용도 등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20 ∼ 1,000㎛이며, 바람직하게는 50 ∼ 500㎛이다.
[전면판]
전면판(10)은, 시인 측에서 볼 때, 광학 적층체의 최표면을 구성한다.
전면판(10)은, 광을 투과 가능한 판상체이면 재료 및 두께는 한정되지 않고, 1층만으로 구성되어도 좋고, 2층 이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그 예로서는, 수지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수지판, 수지 시트, 수지 필름 등), 유리제의 판상체(예를 들면 유리판, 유리 필름 등)를 들 수 있다.
전면판(10)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 ∼ 2,000㎛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0 ∼ 1,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50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0 ∼ 100㎛이다.
전면판(10)의 인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다. 전면판(10)의 인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 이하이다. 인장 탄성률이 상기의 하한치 이상이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경우, 전면판에 오목부 등의 결함이 생기기 어려워짐과 함께, 전면판의 강도를 높이기 쉽다. 또한, 인장 탄성률이 상기의 상한치 이하이면, 전면판의 내굴곡성을 향상시키기 쉽다. 인장 탄성률은, MD(Machine Direction, 필름의 성형 방향), 또는 TD(Transverse Direction, MD에 수직 방향)의 적어도 일방에서 상기 범위를 충족시키면 좋고, 양방에서 상기 범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면판(10)이 수지제의 판상체인 경우,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및 폴리스티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및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및 폴리비닐아세탈 등의 폴리비닐계 수지; 폴리설폰 및 폴리에테르설폰 등의 설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케톤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의 케톤계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및 폴리아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고분자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강도 및 투명성 향상의 관점에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제의 판상체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 ∼ 2,000㎛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0 ∼ 1,00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500㎛이며, 100㎛ 이하여도 좋다.
전면판(10)은,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방의 면에 하드 코팅층을 마련하여 경도를 보다 향상시킨 필름이어도 된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상기 수지로 된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기재 필름의 일방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양방의 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드 코팅층을 마련함으로써, 경도 및 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킨 수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예를 들면 자외선 경화형 수지의 경화층이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첨가제는 한정되지는 않고, 무기계 미립자, 유기계 미립자, 또는 이들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전면판(10)이 유리판인 경우, 유리판은, 디스플레이용 강화 유리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리판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 ∼ 1,000㎛여도 된다. 유리판을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표면 경도를 갖는 전면판(10)을 구성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가 표시 장치에 이용될 경우, 전면판(10)은,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윈도우 필름으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전면판(10)은, 터치 센서로서의 기능, 블루 라이트 컷 기능, 시야각 조정 기능 등을 더 갖는 것이어도 된다.
[점착제층]
점착제층은, 전면판(10)과 보호 필름(30)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점착제층(20), 보호 필름(30)과 편광층(5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점착제층(40), 및 편광층(50)과 터치 센서층(7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점착제층(60)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제3 점착제층(20)은, 전면판(10)과 보호 필름(30)에 접하는 점착제층이며, 제2 점착제층(40)은, 보호 필름(30)과 편광층(50)에 접하는 점착제층이며, 제1 점착제층(60)은, 편광층(50)과 터치 센서층(70)에 접하는 점착제층이다. 각 점착제층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좋다.
점착제층은, (메타)아크릴계, 고무계, 우레탄계, 에스테르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와 같은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투명성, 내후성(耐候性), 내열성 등이 우수한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열경화형이어도 된다.
점착제 조성물에 이용되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베이스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부틸, (메타)아크릴산에틸, (메타)아크릴산이소옥틸, (메타)아크릴산2-에틸헥실과 같은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모노머로 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베이스 폴리머에는,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카르복시기, 수산기, 아미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을 갖는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베이스 폴리머만을 포함하는 것이어도 되지만, 통상은 가교제를 더 포함한다. 가교제로서는, 2가 이상의 금속 이온으로서, 카르복시기와의 사이에서 카르복시산 금속염을 형성하는 것; 폴리아민 화합물로서, 카르복시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에폭시 화합물이나 폴리올로서, 카르복시기와의 사이에서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하는 것;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카르복시기와의 사이에서 아미드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이란, 자외선이나 전자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되는 성질을 갖고 있으며, 활성 에너지선 조사 전에 있어서도 점착성을 가져 필름 등의 피착체에 밀착시킬 수 있고,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밀착력의 조정을 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점착제 조성물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자외선 경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 가교제에 더하여, 활성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광중합개시제나 광증감제 등을 함유시킬 경우도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광산란성을 부여하기 위한 미립자, 비드(수지 비드, 유리 비드 등), 유리 섬유, 베이스 폴리머 이외의 수지, 점착성 부여제, 충전제(금속분이나 그 외의 무기 분말 등),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염료, 안료, 착색제, 소포제, 부식 방지제, 광중합개시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유기 용제 희석액을 기재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했을 경우는, 형성된 점착제층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원하는 경화도를 갖는 경화물로 할 수 있다.
점착제층은 점탄성이 높고, 광학 적층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에서는, 점착제층의 특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광학 적층체 최표면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한 광학 적층체의 내충격성을 향상시킨다. 즉, 광학 적층체의 표면에 충격이 가해졌을 경우에도, 터치 센서층이나 광학 적층체가 커버하는 표시 패널의 배선 및 소자 등이 파손되기 어려워진다.
발명자의 검토에 의해, 점착제층의 탄성, 두께 및 위치가 광학 적층체의 내충격성에 관계하는 것이 분명해졌다. 점착제층에 의한 충격 완화 효과는, 점착제층의 탄성률이 낮을수록 커진다. 또한, 점착제층에 의한 충격 완화 효과는, 점착제층이 두꺼울수록 커진다. 그리고, 점착제층에 의한 상기 충격 완화 효과는, 점착제층의 위치가 표시 패널에 가까울수록 유효성이 커진다.
여기에서, 점착제층의 탄성률은 저장 탄성률 G'(㎫)로 표시된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실측치 t(㎛)로 표시된다. 점착제층의 탄성률 및 두께는, 각 층에 대해서, 이들 특성치를 사용하여 특정할 수 있다.
표시 패널로부터의 점착제층의 위치는 제1 점착제층이 가장 가깝고, 제2 점착제층 및 제3 점착제층의 순으로 멀어진다. 각 점착제층은 그 자체가 두께를 갖고, 그 두께는 독립적으로 적절히 결정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준 부위를 결정하여, 단순히 최하층의 기준 부위로부터 각 점착제층의 기준 부위까지의 거리를 비교하는 것만으로는, 표시 패널에 대한 점착제층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대상 점착제층이 표시 패널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는 최하층인 터치 센서층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대상 점착제층의 표시 패널 측면(하면)까지의 거리 d(㎛)에 의해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점착제층의 두께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상기 거리를 대상 점착제층의 두께 t(㎛)로 나눈 특성치 a를 규정한다. 특성치 a=d/t는, 단위 두께의 대상 점착제층을 가정했을 경우에, 그것이 표시 패널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낸다. 또, 제1 점착제층의 a는 1로 정의한다.
점착제층의 충격 완화 성능의 우열 경향은, 이들 특성치를 사용하여 표현하면, 점착제층의 탄성률 G'에 반비례하고, 점착제층의 두께 t에 비례하고, 표시 패널로부터의 거리 a에 반비례한다. 그러면, 점착제층의 충격 완화 성능을 나타내는 특성치로서, t/(a × G')를 생각할 수 있다. 제1 점착제층, 제2 점착제층 및 제3 점착제층에 대해서, 상기 특성치를 합계함으로써, 광학 적층체 전체의 충격 완화 성능을 나타내는 특성치가 얻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후, 이 특성치를 내충격성 지수 A라고 부른다.
또, 편광층 내부 및 터치 센서층 내부에도 점착제층이 존재할 경우가 있지만, 통상 두께 5㎛ 이하로 얇으므로, 광학 적층체의 내충격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내충격성 지수 A를 계산할 때에, 편광층 내부의 점착제층 및 터치 센서층 내부의 점착제층은 고려하지 않는다.
[수 2]
Figure pct00002
[식 중, tn는, 터치 센서층으로부터 n번째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나타내고, G'n는, 터치 센서층으로부터 n번째의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고, an는, 터치 센서층 상면으로부터 n번째의 점착제층 하면까지의 거리(㎛)를 tn로 나눈 값을 나타낸다.]
전면판, 제3 점착제층, 보호 필름, 제2 점착제층, 편광층, 제1 점착제층, 및 터치 센서층을, 시인 측으로부터 이 순으로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충격 완화 성능의 우열은 내충격성 지수 A의 값과 상관성을 갖는다. 즉, 전면판과 편광층 사이에, 보호 필름을 갖는 층 구성에 있어서, 충격 완화 성능의 우열은 내충격성 지수 A의 값과 상관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200 이상의 A를 갖는다. 그래서, 굴곡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양호한 광학 적층체의 충격 완화 성능이 달성된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의 A는, 바람직하게는 266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이며, 2500 이상이어도 좋다.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의 A는, 바람직하게는 25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66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이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000 이상이며, 2500 이상이어도 좋다.
어느 일 형태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의 A는, 예를 들면 6000 이하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658 이하이다.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의 A는, 예를 들면 6000 이하여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80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658 이하이며, 4000 이하여도 좋다.
광학 적층체의 A는, 바람직하게는 2013 ∼ 4658이다. 광학 적층체의 A는, 6000을 초과하여 증대하면, 굴곡 시에 점착제층과 타부재와의 계면 또는 점착제층의 내부에서 박리·응집 파괴가 생길 경우가 있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의 두께는 3 ∼ 10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점착제층이 너무 얇을 경우는, 광학 적층체의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점착제층이 너무 두꺼울 경우는, 광학 적층체의 굴곡성이 저하된다.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7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50㎛이다.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의 온도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005 ∼ 1.0㎫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저장 탄성률이 너무 낮을 경우는, 광학 적층체의 내충격성이 저하된다.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의 상기 저장 탄성률이 너무 높을 경우는, 광학 적층체의 굴곡성이 저하된다.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의 상기 저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0.01 ∼ 0.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0.2㎫이다. 또한, 다른 일 형태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의 상기 저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0.01 ∼ 0.1㎫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 0.09㎫이며, 0.02 ∼ 0.06㎫이어도 좋다.
[보호 필름]
보호 필름(30)은, 제3 점착제층(20)과 제2 점착제층(40) 사이에 위치한다. 보호 필름은, 광학 적층체의 내충격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보호 필름(30)은, 편광층(50)을 보호하는 보호층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보호 필름(30)의 인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다. 보호 필름(30)의 인장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9㎬ 이하이다. 인장 탄성률이 상기의 하한치 이상이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경우, 광학 적층체의 내충격성을 높이기 쉽다. 또한, 인장 탄성률이 상기의 상한치 이하이면, 보호 필름(30)의 내굴곡성을 향상시키기 쉽다. 인장 탄성률은, MD(Machine Direction, 필름의 성형 방향), 또는 TD(Transverse Direction, MD에 수직 방향)의 적어도 일방에서 상기 범위를 충족시키면 좋고, 양방에서 상기 범위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필름(30)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갖는(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면, 쇄상(鎖狀)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環狀)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타)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또는 이들 혼합물, 공중합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30)은, 위상차 필름이나 휘도 향상 필름과 같은 광학 기능을 겸비하는 보호 필름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연신(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 등)하거나, 상기 필름 상에 액정층 등을 형성함으로써, 임의의 위상차치가 부여된 위상차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같은 쇄상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외, 2종 이상의 쇄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환상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 하여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이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환상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환상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과 같은 쇄상 올레핀과의 공중합체(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 카르복시산이나 그 유도체로 변성한 그래프트 중합체, 그리고 그들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환상 올레핀으로서, 예를 들면 노르보르넨이나 다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등의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이용한 노르보르넨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과의 에스테르이다.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공중합물, 수산기의 일부가 다른 치환기로 수식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가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이외의 수지이며, 다가 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과의 중축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가 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를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디메틸 등을 들 수 있다. 다가 알코올로서는, 디올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시클로헥산디메틸나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카보네이트기를 통해 모노머 단위가 결합된 중합체로 이루어진다.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로서는, 폴리머 골격을 수식한 변성 폴리카보네이트라고 불리는 수지,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등이어도 된다.
(메타)아크릴계 수지는,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을 주된 구성 모노머로 하는 수지이다.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메타크릴산메틸과 같은 폴리(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 메타크릴산메틸과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화합물과의 공중합체(예를 들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타)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타)아크릴산메틸과 같은 폴리(메타)아크릴산 C1-6 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가 이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50 ∼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70 ∼ 100중량%)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이용된다.
보호 필름(30)의 두께는, 10㎛ ∼ 200㎛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00㎛, 더 바람직하게는 15㎛ ∼ 95㎛이다. 보호 필름(30)은, 면 내 위상차치 Re(550)가 예를 들면 0㎚ ∼ 10㎚이며, 두께 방향의 위상차치 Rth(550)가 예를 들면 -80㎚ ∼ +80㎚이다.
[편광층]
편광층(50)은, 제2 점착제층(40)과 제1 점착제층(60) 사이에 위치한다. 도 2는, 편광층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편광층(50)은, 편광자(51), 점착제층(52), 1/2 파장판(53), 접착제층(54), 및 1/4 파장판(55)을 시인 측으로부터 이 순으로 구비한다. 편광층은, 소위 원 편광판이어도 된다. 원 편광판의 두께는, 10㎛ ∼ 100㎛일 수 있고, 15㎛ ∼ 70㎛일 수 있고, 20㎛ ∼ 50㎛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이면, 광학 적층체의 내굴곡성과 내충격성을 양립하기 쉽다.
편광층(50)은, 편광자(51)와 제2 접착제층(40) 사이에, 추가적인 보호 필름(비표시)을 갖고 있어도 된다. 추가적인 보호 필름은 보호 필름(30)의 재료로서 예시된 것과 마찬가지인 재료로 구성되고, 접착제층(비표시)을 통해 편광자(51)의 표면에 접착된다.
편광자(51)는, 특정한 방향으로 편광면을 가진 직선 편광의 광을 통과시키는 것이며, 이 편광자(51)를 통과한 광은, 편광자의 투과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직선 편광이 된다. 편광자(51)의 두께는, 예를 들면 1㎛ ∼ 80㎛ 정도이다.
편광자(51)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 등의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 외에, 폴리비닐알코올의 탈수 처리물이나 폴리염화비닐의 탈염산 처리물 등, 폴리엔계 배향 필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광학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일축 연신하여 얻어진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에 의한 염색은,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함으로써 행해진다. 일축 연신의 연신 배율은, 3 ∼ 7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은, 염색 처리 후에 행해도 좋고, 염색하면서 행해도 좋다. 또한, 연신하고 나서 염색해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 팽윤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이 실시된다. 예를 들면, 염색 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물에 침지하여 수세(水洗)함으로써,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 표면의 오염이나 블로킹 방지제를 세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을 팽윤시켜 염색 불균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편광자(51)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6-170368호 공보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액정 화합물이 중합한 경화막 중에, 이색성 색소가 배향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이색성 색소로서는, 파장 380 ∼ 800㎚의 범위 내에 흡수를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기 염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색성 색소로서, 예를 들면, 아조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은, 배향한 채로 중합할 수 있는 액정 화합물이며, 분자 내에 중합성기를 가질 수 있다.
편광자(51)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99% 이상이어도 좋고, 99.9% 이상이어도 좋다. 편광자(51)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99.995% 이하여도 좋고, 99.99% 이하여도 좋다. 시감도 보정 편광도는, 적분구 부착 흡광 광도계(JASCO Corporation 제품 「V7100」(상품명))를 이용하여, 얻어진 편광도에 대하여 「JIS Z 8701」의 2도 시야(C 광원)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행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편광자(51)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를 99.9% 이상으로 함으로써, 초기의 (굴곡 전의) 색상을 뉴트럴로부터 멀어진 위치로 조정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후술하는 굴곡 전후의 반사광의 색상에 관해, a*b* 색도 좌표에 있어서의 a* 좌표축 및 b* 좌표축을 사이에 두어 부호가 변화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편광자(51)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를 99.9% 이상으로 함으로써, 편광자(5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편광자(51)의 시감도 보정 편광도가 95% 미만이면, 반사 방지막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편광자(51)의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4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4%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시감도 보정 단체 투과율은, 적분구 부착 흡광 광도계(JASCO Corporation 제품 「V7100」(상품명))를 이용하여, 얻어진 투과율에 대하여 JIS Z 8701의 2도 시야(C 광원)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행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편광자(51)의 시감도 보정 직교 투과율을 42% 이상으로 함으로써, 편광자(51)의 직교 색상을 용이하게 뉴트럴 측으로부터 멀어진 곳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굴곡 전후에 색변화를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50%를 초과하면 편광도가 너무 낮아져, 반사 방지로서의 기능을 달성할 수 없게 될 경우가 있다.
점착제층(52)은,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형성된다.
1/2 파장판(53)은, 입사광의 전계 진동 방향(편광면)으로 π(=λ/2)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것이며, 직선 편광의 방향(편광 방위)을 바꾸는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원 편광의 광을 입사시키면, 원 편광의 회전 방향을 반대 방향으로 할 수 있다.
1/2 파장판(53)은, 특정한 파장 λ㎚에서의 면 내 레타데이션치인 Re(λ)가 Re(λ)=λ/2를 만족한다. 이 식은, 가시광역의 어느 파장(예를 들면, 550㎚)에서 달성되어 있으면 된다. 그 중에서도, 파장 550㎚에서의 면 내 레타데이션치인 Re(550)가, 210㎚ ≤ Re(550) ≤ 300㎚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20㎚ ≤ Re(550) ≤ 290㎚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파장 550㎚에서 측정한 1/2 파장판(53)의 두께 방향의 레타데이션치인 Rth(550)는, -150 ∼ 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2 파장판(53)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주름을 방지한다는 효과를 현저하게 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0.5 ∼ 10㎛가 바람직하고, 0.5 ∼ 5㎛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 3㎛가 더 바람직하다. 또, 1/2 파장판(53)의 두께에 대해서는, 면 내의 임의의 5점의 두께를 측정하고, 그들을 산술 평균한 것이다.
1/2 파장판(53)은, 후술하는 보호 필름(51)의 재료로서 예시한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 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1/2 파장판(53)을 수지로 형성할 경우, 그 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1/2 파장판(53)은, 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화합물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그 형상으로부터, 봉상(棒狀) 타입(봉상 액정 화합물)과 원반상(圓盤狀) 타입(원반상 액정 화합물, 디스코틱(discotic) 액정 화합물)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저분자 타입과 고분자 타입이 있다. 또, 고분자란, 일반적으로 중합도가 100 이상인 것을 말한다(고분자 물리·상전이(相轉移) 다이나믹스, 도이 마사오(土井 正男)저, 2페이지, 이와나미 서점, 1992).
본 실시형태에서는, 어느 액정 화합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2종 이상의 봉상 액정 화합물, 2종 이상의 원반상 액정 화합물, 또는 봉상 액정 화합물과 원반상 액정 화합물과의 혼합물을 이용해도 된다.
또, 봉상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표 평 11-513019호 공보의 청구항 1, 또는, 일본 특허공개 2005-289980호 공보의 단락 [0026] ∼ [0098]에 기재된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원반상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7-108732호 공보의 단락 [0020] ∼ [0067], 또는, 일본 특허공개 2010-244038호 공보의 단락 [0013] ∼ [0108]에 기재된 것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2 파장판(53)은, 중합성기를 갖는 액정 화합물(봉상 액정 화합물 또는 원반상 액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광학 특성의 온도 변화나 습도 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액정 화합물은, 2종류 이상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그 경우, 적어도 1개가 2 이상의 중합성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2 파장판(53)은, 중합성기를 갖는 봉상 액정 화합물 또는 중합성기를 갖는 원반상 액정 화합물이 중합에 의해 고정되어 형성된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층은 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에 포함된다.
이 경우, 층이 된 후에는 이미 액정성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
봉상 액정 화합물 또는 원반상 액정 화합물에 포함되는 중합성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기나 환 중합성기 등의 부가 중합 반응이 가능한 관능기가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로일기, 비닐기, 스티릴기, 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타)아크릴로일기가 바람직하다. 또, (메타)아크릴로일기란, 메타아크릴로일기 및 아크릴로일기의 양자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1/2 파장판(53)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된 방법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기판(가기판(假基板)을 포함함)에, 중합성기를 갖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광학 이방성층 형성용 조성물(이하, 단순히 「조성물」이라고 함)을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얻어진 도막에 대하여 경화 처리(자외선의 조사(광조사 처리) 또는 가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제1의 1/2 파장판(53)을 제조할 수 있다.
조성물의 도포로서는,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와이어 바 코팅법, 압출(押出) 코팅법, 다이렉트 그라비아 코팅법, 리버스 그라비아 코팅법, 및 다이코팅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조성물에는, 상술한 액정 화합물 이외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성물에는, 중합개시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사용되는 중합개시제는, 중합 반응의 형식에 따라, 예를 들면, 열중합개시제나 광중합개시제가 선택된다. 예를 들면, 광중합개시제로서는, α-카르보닐 화합물, 아실로인에테르, α-탄화수소 치환 방향족 아실로인 화합물, 다핵 퀴논 화합물, 트리아릴이미다졸 다이머와 p-아미노페닐케톤과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은, 조성물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0.01 ∼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 5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조성물에는, 도공막의 균일성 및 막의 강도의 점에서, 중합성 모노머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또는 양이온 중합성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다관능성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가 바람직하다.
또,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상술한 중합성기 함유의 액정 화합물과 공중합성의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2-296423호 공보 중의 단락 [0018] ∼ [0020]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중합성 모노머의 사용량은, 액정 화합물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1 ∼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3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조성물에는, 도공막의 균일성 및 막의 강도의 점에서,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계면활성제로서는, 종래 공지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불소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계면활성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1-330725호 공보 중의 단락 [0028] ∼ [0056]에 기재된 화합물, 일본 특허출원 2003-295212호 명세서 중의 단락 [0069] ∼ [0126]에 기재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조성물에는, 용매가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아미드(예, N,N-디메틸포름아미드), 설폭시드(예, 디메틸설폭시드), 헤테로환 화합물(예, 피리딘), 탄화수소(예, 벤젠, 헥산), 알킬할라이드(예,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스테르(예,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케톤(예,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에테르(예, 테트라히드로퓨란, 1,2-디메톡시에탄)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알킬할라이드, 케톤이 바람직하다. 또한, 2종류 이상의 유기 용매를 병용해도 된다.
또한, 조성물에는, 편광자 계면 측 수직 배향제, 공기 계면 측 수직 배향제 등의 수직 배향 촉진제, 그리고, 편광자 계면 측 수평 배향제, 공기 계면 측 수평 배향제 등의 수평 배향 촉진제와 같은 각종 배향제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밀착 개량제, 가소제, 폴리머 등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1/2 파장판(53)에는, 액정 화합물의 배향 방향을 규정하는 기능을 갖는 배향막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배향막은, 일반적으로는 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한다. 배향막용 폴리머 재료로서는, 다수의 문헌에 기재가 있으며, 다수의 시판품을 입수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머 재료로서,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폴리이미드, 그 유도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변성 또는 미변성의 폴리비닐알코올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배향막에 대해서는, 국제 공개 제2001/88574호의 43페이지 24행 ∼ 49페이지 8행, 일본 특허 제3907735호 공보의 단락 [0071] ∼ [0095]에 기재된 변성 폴리비닐알코올을 참조할 수 있다.
또, 배향막에는, 통상 공지된 배향 처리가 실시된다. 예를 들면, 러빙 처리, 편광을 비추는 광배향 처리 등을 들 수 있지만, 배향막의 표면 거칠기의 관점에서, 광배향 처리가 바람직하다.
배향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어 있지 않지만, 20㎛ 이하인 경우가 많고, 그 중에서도, 0.01 ∼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1 ∼ 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 ∼ 1㎛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1/4 파장판(55)은, 입사광의 전계 진동 방향(편광면)으로 π/2(=λ/4)의 위상차를 부여하는 것이며, 어느 특정한 파장의 직선 편광을 원 편광으로(또는 원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1/4 파장판(55)은, 특정한 파장 λ㎚에서의 면 내 레타데이션치인 Re(λ)가 Re(λ)=λ/4를 만족한다. 이 식은, 가시광역의 어느 파장(예를 들면, 550㎚)에서 달성되어 있으면 된다. 그 중에서도, 파장 550㎚에서의 면 내 레타데이션치인 Re(550)가, 100㎚ ≤ Re(550) ≤ 160㎚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10㎚ ≤ Re(550) ≤ 150㎚를 만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파장 550㎚에서 측정한 1/4 파장판(55)의 두께 방향의 레타데이션치인 Rth(550)는, -120 ∼ 120㎚인 것이 바람직하고, -80 ∼ 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4 파장판(55)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굴곡 시에 필름의 표리에서의 치수 변화의 차이에 따른 주름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0.5 ∼ 10㎛가 바람직하고, 0.5 ∼ 5㎛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 3㎛가 더 바람직하다. 또, 1/4 파장판(55)의 두께에 대해서는, 면 내의 임의의 5점의 두께를 측정하고, 그들을 산술 평균한 것이다.
1/4 파장판(55)은, 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화합물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상기 1/2 파장판(53)의 재료로서 든 것과 같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중합성기를 갖는 봉상 액정 화합물 또는 중합성기를 갖는 원반상 액정 화합물이 중합에 의해 고정되어 형성된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층이 된 후에는 이미 액정성을 나타낼 필요는 없다.
편광자(51)에 포함되는 층 중, 편광자(51) 이외에, 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은, 1층 또는 2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이 3층 이상 포함될 경우, 주름이 생길 가능성이 있는 층의 수가 많아지므로, 굴곡 시에 주름이 생기기 쉽다고 생각된다.
접착제층(54)은, 접착제로서, 예를 들면,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와 같은 접착제 성분을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수계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편광자(51)에서는, 접착제층(54)을 통해 1/2 파장판(53)과 1/4 파장판(55)을 적층함으로써, 굴곡 시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로서는,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므로,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 및/또는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 조성물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상기 경화성 화합물의 경화 반응을 개시시키기 위한 양이온 중합개시제 및/또는 라디칼 중합개시제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옥세탄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옥세탄환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들 조합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화합물(분자 내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화합물), 라디칼 중합성의 이중 결합을 갖는 그 외의 비닐계 화합물, 또는 이들 조합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과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을 병용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는, 필요에 따라, 양이온 중합 촉진제, 이온 트랩제, 산화 방지제, 연쇄 이동제, 점착 부여제, 열가소성 수지, 충전제, 유동 조정제, 가소제, 소포제,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용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1/2 파장판(53)과 1/4 파장판(55)을 첩합할 경우, 접착제층(54)이 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통해 1/2 파장판(53)과 1/4 파장판을 적층한 후,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접착제층을 경화시킨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의 광원으로서는, 저압 수은등, 중압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케미컬 램프, 블랙 라이트 램프, 마이크로 웨이브 여기(勵起) 수은등,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를 이용할 경우는, 수계 접착제를 통해 1/2 파장판(53)과 1/4 파장판(55)을 적층한 후, 가열 건조시키면 된다.
접착제층(54)의 두께는, 0.5 ∼ 5㎛가 바람직하고, 0.5 ∼ 3㎛가 보다 바람직하다.
접착제층(54)의 온도 3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600㎫ ∼ 4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700㎫ ∼ 35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0㎫ ∼ 3000㎫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1500㎫ ∼ 300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는 단단한 접착제층(54)에서 1/2 파장판(53)과 1/4 파장판(55)을 첩합함으로써, 굴곡 시에 위상차층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한층 방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접착제층(54)의 온도 30℃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편광자(51)에 있어서의 접착제층(54)의 온도 30℃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하기의 방법으로 직접 측정할 수 있을 경우는, 그 측정치로 한다. 한편, 직접 측정할 수 없을 경우는, 접착제층(54)의 형성과 마찬가지인 조건(접착제의 종류, 경화 조건)으로 박리지 상에 접착층 시험편을 형성하고, 이러한 접착층 시험편을 박리지로부터 박리한 것에 대해서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한 저장 탄성률과 같은 값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접착제층(54) 또는 접착층 시험편의 저장 탄성률은, 시판하는 동적 점탄성 장치에 의해 측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IT Keisoku Seigyo. Co., Ltd. 제조 「DVA-220」(상품명)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
터치 센서층(70)은, 시인 측에서 볼 때 최하층에 위치한다. 도 3은, 터치 센서층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터치 센서층(70)은, 투명 도전층(71), 분리층(72), 접착제층(73), 및 기재층(74)을 시인 측으로부터 이 순으로 구비한다.
터치 센서층(70)으로서는, 전면판(10)에서 터치된 위치를 검출 가능한 센서이며, 투명 도전층(71)을 갖는 구성이면, 검출 방식은 한정되지는 않고,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광센서 방식, 초음파 방식, 전자 유도 결합 방식, 표면 탄성파 방식 등의 터치 센서층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저비용, 빠른 반응 속도, 박막화의 면에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층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터치 센서층(70)은,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기재층(74)과, 기재층(74)의 접착제층(73) 측의 표면 상에 마련된 투명 도전층(71)을 구비하는 구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층(74)의 표면 상에 투명 도전층(71)이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는, 기재층(74)과 투명 도전층(71)이 서로 접해 있는 구성이어도 좋고(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 센서층), 기재층(74)과 투명 도전층(71)이 서로 접해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좋다(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2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터치 센서층). 터치 센서층(70)은, 기재층(74), 투명 도전층(71)과는 별도로, 접착층, 분리층, 보호층 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접착층으로서는, 접착제층, 점착제층을 들 수 있다. 터치 센서층(70)의 두께는, 1㎛ ∼ 100㎛일 수 있고, 5㎛ ∼ 50㎛일 수 있고, 10㎛ ∼ 30㎛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이면, 광학 적층체의 내굴곡성과 내충격성을 양립하기 쉽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층의 일례는, 기재층과, 기재층의 표면에 마련된 위치 검출용의 투명 도전층과, 터치 위치 검지 회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층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마련한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전면판(10)의 표면이 터치되면, 터치된 점에서 인체의 정전 용량을 통해 투명 도전층이 접지된다. 터치 위치 검지 회로가, 투명 도전층의 접지를 검지하여, 터치된 위치가 검출된다. 서로 이간(離間)한 복수의 투명 도전층을 가짐으로써, 보다 상세한 위치의 검출이 가능해진다.
투명 도전층은, ITO 등의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도전층이어도 좋고, 알루미늄이나 구리, 은, 금, 또는 이들 합금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층이어도 좋다.
분리층은, 유리 등의 기판 상에 형성되어, 분리층 상에 형성된 투명 도전층을 분리층과 함께, 기판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분리층은, 무기물층 또는 유기물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물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유기물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계 수지 조성물, 에폭시계 수지 조성물, 폴리이미드계 수지 조성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70)은, 투명 도전층(71)에 접하여 도전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보호층은 유기 절연막 및 무기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이들 막은, 스핀 코팅법, 스퍼터링법, 증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70)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1 방법으로는, 우선 유리 기판에 접착층을 통해 기재층(74)을 적층한다. 기재층(74) 상에,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패턴화된 투명 도전층(71)을 형성한다. 열을 가함으로써, 유리 기판과 기재층(74)을 분리하여, 투명 도전층(71)과 기재층(74)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센서층(70)이 얻어진다.
제2 방법으로는, 우선 유리 기판 상에 분리층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 분리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한다. 분리층(또는 보호층) 상에, 포토리소그래피에 의해 패턴화된 투명 도전층(71)을 형성한다. 투명 도전층(71) 상에,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을 적층하고, 투명 도전층(71)으로부터 분리층까지를 전사(轉寫)하여, 유리 기판을 분리한다. 접착층을 통해 기재층(74)과 분리층을 첩합하고, 박리 가능한 보호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투명 도전층(71)과 분리층과 접착층과 기재층(74)을 이 순으로 갖는 터치 센서층(70)이 얻어진다. 또, 투명 도전층(71)과 분리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기재층(74)에 첩합하는 일 없이, 터치 센서층(70)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터치 센서층의 기재층(74)으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등의 수지 필름을 들 수 있다. 원하는 터프니스를 갖는 기재층을 구성하기 쉬운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터치 센서층의 기재층(74)은, 우수한 내굴곡성을 갖는 광학 적층체를 구성하기 쉬운 관점에서, 두께가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터치 센서층의 기재층(74)은, 두께가, 예를 들면 5㎛ 이상이다.
[광학 적층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점착제층을 사용하여, 전면판과 보호 필름과 편광층과 터치 센서층을 결합함으로써 제조된다. 각각의 층을 결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방의 층의 결합하는 표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타방의 층을 적층하면 좋고, 또는, 양방의 층의 결합하는 표면에 각각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 점착제층끼리를 합해도 좋다.
층의 결합하는 표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점착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해도 좋고, 또는 독립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시트상 점착제를 준비하여, 이것을 표면에 첩부함으로써 형성해도 좋다.
광학 적층체는, 예를 들면, 표시 패널의 표시면에 배치되어, 표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는, 가요성을 갖는 표시 패널의 표시면에 적용하는 용도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다.
[표시 장치]
도 4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표시 장치(200)는, 그 전면(시인 측)에 배치된 광학 적층체(100)와, 표시 패널(80)을 갖는다. 광학 적층체(100) 및 표시 패널(80)은, 일반적으로,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비표시)을 사용하여 결합되어 있다. 표시 패널은, 시인 측 표면을 내측으로 하여 폴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어도 좋고, 시인 측 표면을 외측으로 하여 폴딩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어도 좋고, 권회(卷回)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어도 좋다. 표시 패널의 구체예로서는, 액정 표시 소자, 유기 EL 표시 소자, 무기 EL 표시 소자, 플라스마 표시 소자, 전계 방사형 표시 소자를 들 수 있다.
표시 장치(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 텔레비전, 디지털 포토 프레임, 전자 간판, 측정기나 계기류, 사무용 기기, 의료 기기, 전산 기기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 중, 물질을 배합하는 비율의 단위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제조예 1>
전면판의 제작
일본 특허공개 2018-119141호 공보의 실시예 4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50㎛의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필름을 제작했다.
다관능 아크릴레이트(Miwon Specialty Chemical Co., Ltd. 제품 「MIRAMER M340」(상품명)) 30부,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에 분산된 나노 실리카졸(평균 입자경 12㎚, 고형분 40%) 50부, 에틸아세테이트 17부, 광중합개시제(CIBA사 제품 「이르가큐어 184」(상품명)) 2.7부, 불소계 첨가제(Shin-Etsu Chemical Co., Ltd. 제품 「KY-1203」(상품명)) 0.3부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하고, 폴리프로필렌(PP) 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함으로써,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했다.
PAI 필름의 편방의 표면에 하드 코팅층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용제를 건조시켜, UV 경화함으로써, PAI 필름의 편면 상에 하드 코팅층을 갖는 전면판을 제작했다. 얻어진 전면판은, 두께 60㎛ 및 인장 탄성률 6㎬을 갖고 있었다.
<제조예 2>
원 편광판의 제작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몰% 이상, 두께 20㎛의 폴리비닐알코올(PVA) 필름을 준비했다. 상기 PVA 필름을 30℃의 순수(純水)에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질량비가 0.02/2/100인 수용액에 30℃에서 침지하여 요오드 염색을 행했다(요오드 염색 공정). 요오드 염색 공정을 거친 PVA 필름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질량비가 12/5/100인 수용액에, 56.5℃에서 침지하여 붕산 처리를 행했다(붕산 처리 공정). 붕산 처리 공정을 거친 PVA 필름을 8℃의 순수에서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하고 있는 편광자를 얻었다. PVA 필름의 연신은, 요오드 염색 공정과 붕산 처리 공정에서 행했다. PVA 필름의 총 연신 배율은 5.3배였다. 얻어진 편광자의 두께는 7㎛였다.
얻어진 편광자와, 두께 13㎛의 시클로올레핀폴리머(COP) 필름(Zeon Corporation 제품 「ZF-14」(상품명)), 파장 550㎚에서의 면 내 위상차치가 1㎚)을 수계 접착제를 통해 닙 롤로 첩합했다. 얻어진 첩합물의 단위폭 당의 장력을 430N/m로 유지하면서, 60℃에서 2분간 건조하여, 편면에 COP 필름을 갖는 직선 편광판을 얻었다. 또, 수계 접착제로서는, 물 100부에, 카르복시기 변성 폴리비닐알코올(KURARAY CO., LTD 제품 「Kuraray Poval KL318」(상품명)) 3부와, 수용성 폴리아미드에폭시 수지(Taoka Chemical Company, Limited 제품 「스미레즈 레진 650」(상품명, 고형분 농도 30%의 수용액) 1.5부를 첨가한 것을 이용했다.
1/2 파장판으로서, 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 및 배향막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이용했다.
1/2 파장판의 두께는 2㎛였다. 1/4 파장판으로서, 액정 화합물이 경화된 층 및 배향막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이용했다. 1/4 파장판의 두께는 1㎛였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1/2 파장판과 1/4 파장판을 첩합했다. 직선 편광판에, 두께가 5㎛인 (메타)아크릴계 점착제를 통해, 1/2 파장판과 1/4 파장판과의 적층체를 첩합하여, 원 편광판을 얻었다. 원 편광판의 두께는 30㎛였다.
<제조예 3>
점착제의 제조 및 점착제층의 제작
〔점착제층 A1〕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해지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500ml의 4-neck 반응기에 4-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4-HBA) 25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 50부, 메틸아크릴레이트(MA) 15부,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IBOA) 10부를 각각 투입한 후, 용제로서 아세트산에틸(EAc)을 100부 투입했다.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질소 가스를 1시간 퍼지하고, 혼합물의 온도를 60℃에서 유지했다. 상기의 혼합물이 균일해진 단계에서, 반응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을 상기 혼합물 100부에 대하여 0.07부 투입했다. 약 5시간 반응시켜, 중량 평균 분자량의 약 80만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1을 제조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1의 100질량부와, 가교제(TOSOH CORPORATION 제품 「CORONATE-L」(상품명))의 0.5 질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이형제가 도포된 이형 필름 상에 도포하고, 10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 A1을 얻었다. 점착제층 A1은 저장 탄성률(G') 0.3㎫을 갖고 있었다. 또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점착제 조성물의 도포 두께를 조정함으로써, 점착제층의 두께를 조정했다.
〔점착제층 A2〕
메틸아크릴레이트(MA) 대신에 부틸아크릴레이트(BA)를 사용한 것 이외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 2를 제조했다. 또한, 점착제층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 A2를 얻었다. 점착제층 A2는 저장 탄성률(G') 0.08㎫을 갖고 있었다.
〔점착제층 A3〕
메틸아크릴레이트(MA) 대신에 헥실아크릴레이트(HA)를 사용한 것 이외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 3을 제조했다. 또한, 점착제층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 A3을 얻었다. 점착제층 A3은 저장 탄성률(G') 0.02㎫을 갖고 있었다.
<제조예 3>
광학 적층체의 제작
〔보호 필름의 준비〕
보호 필름으로서 두께 8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SKC사 제품 「SH82」(상품명))을 준비했다. 이 PET 필름의 인장 탄성률은 기계축 방향에서 5㎬, 횡폭 방향에서 2㎬이었다.
〔터치 센서 패널의 준비〕
ITO인 투명 도전층, 아크릴계 수지인 분리층, 접착제층, 및 COP 필름인 기재층이, 시인 측으로부터 이 순으로 적층된 터치 센서 패널을 준비했다. 투명 도전층, 분리층 및 접착제층의 두께의 합계는 7㎛였다. 기재층의 두께는 13㎛였다.
〔광학 적층체의 제작〕
전면판의 PAI 필름 측 표면, 보호 필름의 표면 및 이면, 원 편광판의 표면 및 이면, 및 터치 센서 패널의 투명 도전층 측 표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했다. 코로나 처리는, 주파수: 20㎑/전압: 8.6㎸/파워: 2.5㎾/속도: 6m/분의 조건으로 행했다. 도 1을 참조하여, 시인되는 측으로부터, 전면판(10), 제3 점착제층(20), 보호 필름(30), 제2 점착제층(40), 편광층(50), 제1 점착제층(60), 및 터치 센서층(70)의 순번이 되도록 각 층을 적층하고, 롤 접합기를 이용하여 첩합하고, 오토클레이브로 양생을 행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층의 두께의 측정 방법>
각 층의 두께는, 접촉식 막두께 측정 장치(Nikon Corporation 제품 「MS-5C」(상품명))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단, 편광자 및 배향막에 대해서는, 레이저 현미경(Olympus Corporation 제품 「OLS3000」(상품명))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저장 탄성률(G')>
점착제층을 150㎛가 되도록 겹쳐쌓아, 샘플을 제작했다. 저장 탄성률(G')은, 레오미터(Anton Parr사 제품 「MCR-301」(상품명))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 조건은, 온도 25℃, 응력 1% 및 주파수 1㎐로 했다.
<인장 탄성률>
부재로부터 장변 110㎜ × 단변 10㎜인 장방형의 소편(小片)을 슈퍼 커터를 이용하여 잘라냈다. 그 다음에, 인장 시험기(Shimadzu Corporation 제품 오토 그래프 「AG-Xplus」(상품명))의 상하 척으로, 척의 간격이 5㎝가 되도록 상기 측정용 샘플의 장변 방향 양단을 사이에 두고, 온도 23℃, 상대습도 55%의 환경 하, 인장 속도 4㎜/분으로 측정용 샘플을 측정용 샘플의 길이 방향으로 인장하고, 얻어지는 응력-변형 곡선에 있어서의 20 ∼ 40㎫ 사이의 직선의 기울기로부터, 온도 23℃, 상대습도 55%에서의 인장 탄성률(㎫)을 산출했다. 이때, 응력을 산출하기 위한 두께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한 층의 두께치를 이용했다.
<광학 적층체의 성능 평가>
〔내충격성 시험〕
광학 적층체로부터, 장변 150㎜ × 단변 70㎜인 장방형의 크기의 소편을, 슈퍼 커터를 이용하여 잘라냈다. 소편의 터치 센서층 측에 점착제층을 마련하여, 아크릴판에 첩합했다. 그리고, 상기 소편을 23℃, 상대습도 55%의 환경에 두고, 평가용 펜을 소편의 전면판의 최표면으로부터 10㎝의 높이에 펜촉이 위치하며 또한 펜촉이 아래를 향하도록 유지하고, 그 위치에서 평가용 펜을 낙하시켰다.
소편의 전면판에는, 터치 센서층의 투명 도전층의 패턴에 있어서의 브릿지의 위치에 표식을 매기고, 평가용 펜은, 펜촉이 표식에 접촉하도록 낙하시켰다. 평가용 펜으로서, 질량이 5.6g이며, 펜촉의 직경이 0.75㎜인 펜을 이용했다. 평가용 펜을 낙하시킨 후의 소편에 대해서, 육안으로의 관찰 및 터치 센서층 기능의 확인을 행해,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를 행했다.
◎(우수): 크랙 없음. 터치 센서층 기능 유지.
○(양호): 크랙 있음. 터치 센서층 기능 유지.
×(불가): 크랙 있음. 터치 센서층 기능 없음.
〔내충격성 지수 A의 산출〕
내충격성 지수 A는, 식(1)에 따라서 산출했다.
〔내측 접힘 굴곡성 시험〕
굴곡성 시험은 온도 25℃에서 행했다. 굴곡 시험기(Covotech사 제품 「CFT-720C」(상품명))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광학 적층체를 평탄한 상태(굴곡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설치하고, 전면판 측이 내측이 되도록, 대향하는 전면판 사이의 거리가 4.0㎜가 되도록(굴곡 반경 2㎜), 광학 적층체를 180° 굴곡시켰다. 그 후, 원래의 평탄한 상태로 되돌렸다. 일련의 조작을 1회 행했을 때를 굴곡 횟수 1회로 세고, 이 굴곡 조작을 반복하여 행했다. 굴곡 속도는 60rpm으로 했다. 굴곡 조작으로 굴곡한 영역에 있어서 크랙이나 점착제층의 들뜸이 발생했을 때의 굴곡 횟수를 한계 굴곡 횟수로서 기록했다. 한계 굴곡 횟수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를 행했다.
◎(우수): 한계 굴곡 횟수가 10만회 이상
○(양호): 한계 굴곡 횟수가 5만회 이상 10만회 미만
△(불량): 한계 굴곡 횟수가 1만회 이상 5만회 미만
×(불가): 한계 굴곡 횟수가 1만회 미만
〔외측 접힘 굴곡성 시험〕
굴곡 시험기(Covotech사 제품 「CFT-720C」(상품명))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광학 적층체를 평탄한 상태(굴곡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설치하고, 전면판 측이 외측이 되도록 굴곡시키는 것 이외는 내측 접힘 굴곡성 시험과 마찬가지로 하여 한계 굴곡 횟수를 기록하고,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 1>
점착제층 A3(두께 50㎛, G'=0.02㎫)을 제3 점착제층(20)에, 점착제층 A3(두께 50㎛, G'=0.02㎫)을 제2 점착제층(40)에, 점착제층 A3(두께 50㎛, G'=0.02㎫)을 제1 점착제층(60)에 사용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대해서 내충격성 지수 A를 산출하고, 내충격성 시험 및 굴곡성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점착제층 A3(두께 25㎛, G'=0.02㎫)을 제3 점착제층(20)에, 점착제층 A3(두께 25㎛, G'=0.02㎫)을 제2 점착제층(40)에, 점착제층 A3(두께 50㎛, G'=0.02㎫)을 제1 점착제층(60)에 사용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대해서 내충격성 지수 A를 산출하고, 내충격성 시험 및 굴곡성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점착제층 A3(두께 25㎛, G'=0.02㎫)을 제3 점착제층(20)에, 점착제층 A3(두께 25㎛, G'=0.02㎫)을 제2 점착제층(40)에, 점착제층 A3(두께 25㎛, G'=0.02㎫)을 제1 점착제층(60)에 사용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대해서 내충격성 지수 A를 산출하고, 내충격성 시험 및 굴곡성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점착제층 A3(두께 10㎛, G'=0.02㎫)을 제3 점착제층(20)에, 점착제층 A2(두께 25㎛, G'=0.08㎫)를 제2 점착제층(40)에, 점착제층 A2(두께 25㎛, G'=0.08㎫)를 제1 점착제층(60)에 사용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대해서 내충격성 지수 A를 산출하고, 내충격성 시험 및 굴곡성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점착제층 A1(두께 10㎛, G'=0.3㎫)을 제3 점착제층(20)에, 점착제층 A2(두께 25㎛, G'=0.08㎫)를 제2 점착제층(40)에, 점착제층 A1(두께 50㎛, G'=0.3㎫)을 제1 점착제층(60)에 사용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대해서 내충격성 지수 A를 산출하고, 내충격성 시험 및 굴곡성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점착제층 A3(두께 10㎛, G'=0.02㎫)을 제3 점착제층(20)에, 점착제층 A1(두께 25㎛, G'=0.3㎫)을 제2 점착제층(40)에, 점착제층 A1(두께 50㎛, G'=0.3㎫)을 제1 점착제층(60)에 사용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대해서 내충격성 지수 A를 산출하고, 내충격성 시험 및 굴곡성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점착제층 A1(두께 10㎛, G'=0.3㎫)을 제3 점착제층(20)에, 점착제층 A1(두께 10㎛, G'=0.3㎫)을 제2 점착제층(40)에, 점착제층 A1(두께 50㎛, G'=0.3㎫)을 제1 점착제층(60)에 사용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대해서 내충격성 지수 A를 산출하고, 내충격성 시험 및 굴곡성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2>
점착제층 A1(두께 25㎛, G'=0.3㎫)을 제3 점착제층(20)에, 점착제층 A1(두께 25㎛, G'=0.3㎫)을 제2 점착제층(40)에, 점착제층 A1(두께 25㎛, G'=0.3㎫)을 제1 점착제층(60)에 사용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대해서 내충격성 지수 A를 산출하고, 내충격성 시험 및 굴곡성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3>
점착제층 A1(두께 10㎛, G'=0.3㎫)을 제3 점착제층(20)에, 점착제층 A1(두께 10㎛, G'=0.3㎫)을 제2 점착제층(40)에, 점착제층 A1(두께 10㎛, G'=0.3㎫)을 제1 점착제층(60)에 사용하여, 광학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대해서 내충격성 지수 A를 산출하고, 내충격성 시험 및 굴곡성 시험을 행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3
[표 2]
Figure pct00004
200 이상의 내충격성 지수 A를 갖는 실시예의 적층체는, 내충격성 시험, 내측 접힘 굴곡성 시험 및 외측 접힘 굴곡성 시험 모두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이에 대해, 내충격성 지수 A가 200에 못 미치는 비교예의 적층체는, 내충격성 시험, 내측 접힘 굴곡성 시험 및 외측 접힘 굴곡성 시험 중 어느 하나의 성능이 떨어졌다.
10: 전면판 20: 제3 점착제층
30: 보호 필름 40: 제2 점착제층
50: 편광층 51: 편광자
52: 점착제층 53: 1/2 파장판
54: 접착제층 55: 1/4 파장판
60: 제1 점착제층 70: 터치 센서층
71: 투명 도전층 72: 분리층
73: 접착제층 74: 기재층
80: 표시 패널 100: 광학 적층체
200: 표시 장치

Claims (8)

  1. 전면판, 제3 점착제층, 보호 필름, 제2 점착제층, 편광층, 제1 점착제층, 및 터치 센서층을, 시인 측으로부터 이 순으로 구비하는 광학 적층체로서,
    200 이상의,

    [수 1]
    Figure pct00005

    [식 중, tn는, 터치 센서층으로부터 n번째의 점착제층의 두께(㎛)를 나타내고, G'n는, 터치 센서층으로부터 n번째의 점착제층의 온도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고, an는, 터치 센서층 상면으로부터 n번째의 점착제층 하면까지의 거리(㎛)를 tn로 나눈 값을 나타낸다.]
    으로 표시되는 내충격성 지수 A를 갖는, 광학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2000 이상의 내충격 지수 A를 갖는, 광학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은, 3 ∼ 100㎛의 두께를 갖는, 광학 적층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의 온도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005 ∼ 1.0㎫인, 광학 적층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은,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적층체.
  6. 제5항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 점착제층은, 가교제를 더 함유하는, 광학 적층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 패널의 표시면에 적용되는, 광학 적층체.
  8.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의 표시면에 적용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20227011207A 2019-10-28 2020-09-28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KR202200884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95594 2019-10-28
JP2019195594 2019-10-28
JPJP-P-2020-148152 2020-09-03
JP2020148152A JP2021071713A (ja) 2019-10-28 2020-09-03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PCT/JP2020/036643 WO2021085000A1 (ja) 2019-10-28 2020-09-28 光学積層体及び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414A true KR20220088414A (ko) 2022-06-27

Family

ID=7571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11207A KR20220088414A (ko) 2019-10-28 2020-09-28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1071713A (ko)
KR (1) KR20220088414A (ko)
CN (1) CN114641814A (ko)
TW (1) TW202117364A (ko)
WO (1) WO20210850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4765A1 (ja) 2020-09-25 2022-03-31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ロジン変性フェノール樹脂、平版印刷インキ、および印刷物
CN114005362B (zh) * 2021-10-29 2023-11-14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3492A (ja) 2015-06-26 2017-01-19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US20180034001A1 (en) 2016-07-27 2018-02-01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for a display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79093A (ko)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한 폴더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8177B2 (en) * 2000-03-15 2003-04-15 Nitto Denko Corporation Transparent shock-absorbing laminate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the same
EP1283106A4 (en) * 2001-03-15 2005-12-14 Mitsui Chemicals Inc LAMINATED BODY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AMINATED BODY
US7208206B2 (en) * 2003-03-10 2007-04-24 Nitto Denko Corporation Glass crack prevention lamin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952337B2 (ja) * 2007-03-30 2012-06-13 Jsr株式会社 耐衝撃粘着積層体及び表示装置
TWI627068B (zh) * 2011-10-14 2018-06-21 Nitto Denko Corp 具有接著劑層之影像顯示裝置用單元及使用該單元的影像顯示裝置
KR102088674B1 (ko) * 2014-11-27 2020-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6085182A1 (en) * 2014-11-27 2016-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JP6638239B2 (ja) * 2015-07-30 2020-01-29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液晶表示装置
CN113540198A (zh) * 2015-10-13 2021-10-22 康宁股份有限公司 可弯曲电子器件模块、制品及其制造方法
KR20170053039A (ko) * 2015-11-05 2017-05-1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JP7042020B2 (ja) * 2016-08-15 2022-03-25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用積層体、及び、フレキシブル画像表示装置
KR20180110924A (ko) * 2017-03-30 2018-10-1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Oled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3492A (ja) 2015-06-26 2017-01-19 東友ファインケム株式会社Dongwoo Fine−Chem Co., Ltd. 積層フィルム及びそ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US20180034001A1 (en) 2016-07-27 2018-02-01 Samsung Display Co., Ltd. Window for a display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79093A (ko) 2016-12-30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한 폴더블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17364A (zh) 2021-05-01
WO2021085000A1 (ja) 2021-05-06
JP2021071713A (ja) 2021-05-06
CN114641814A (zh) 202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8732B1 (ko) 원편광판 및 표시 장치
JP2021008117A (ja) 光学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前面板、並びに画像表示装置
JP7300906B2 (ja) 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KR102443686B1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00081288A (ko) 플렉시블 적층체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JP2020095287A (ja) 積層体
KR20210144755A (ko) 적층체 및 표시 장치
KR20200081287A (ko) 플렉시블 적층체 및 그것을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KR20220088414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JP7422048B2 (ja) 光学積層体
KR20210114869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JP7302999B2 (ja) 光学積層体および該光学積層体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20024364A (ja) 光学積層体
KR102393475B1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JP2022070251A (ja) 積層体
CN111831150A (zh) 触摸传感器面板和光学层叠体
KR102345851B1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WO2021166434A1 (ja) 光学積層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WO2020100468A1 (ja) 光学積層体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表示装置
WO2021200365A1 (ja) 積層体
KR20220126711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 장치
KR20210111687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KR20210111686A (ko) 광학 적층체 및 표시장치
KR20220157367A (ko) 적층체
KR20220159358A (ko) 적층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