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7761A - 스프링을 이용한 가벽 - Google Patents

스프링을 이용한 가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7761A
KR20220087761A KR1020200178129A KR20200178129A KR20220087761A KR 20220087761 A KR20220087761 A KR 20220087761A KR 1020200178129 A KR1020200178129 A KR 1020200178129A KR 20200178129 A KR20200178129 A KR 20200178129A KR 20220087761 A KR20220087761 A KR 20220087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wall
spring
temporary
bolt
wal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253B1 (ko
Inventor
박재성
Original Assignee
박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성 filed Critical 박재성
Priority to KR1020200178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8253B1/ko
Publication of KR20220087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7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04B2/824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restrained elastically at one surface and inelastically at the oppos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하부에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벽본체,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스프링,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전산볼트, 및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를 마감하도록 되어 있는 마감너트를 포함하는 가벽을 공개한다.

Description

스프링을 이용한 가벽{Temporary wall using spring}
본 발명은 스프링을 통해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가벽에 관한 것이다.
인테리어 등의 목적으로 공간 분리를 위해 가벽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가벽은 임시벽체로서 예컨대, 거실과 현관 사이 또는 거실과 주방 사이 등 다양한 공간 분리를 위해 사용된다.
가벽은 나무 판재, 에어블록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나무 판재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양한 형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의 가벽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10-0701427')에는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가 공개되어 있다.
높이조절형 칸막이 또는 가벽에 대한 다양한 구성 및 형상들이 공개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는 경우 다소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벽을 설치한 후 제거했을 때 가벽의 접착면(천장, 바닥)에 손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벽의 제거시 가벽의 접착면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가벽의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하부에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벽본체(10); 상기 스프링 삽입홀(11)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스프링(30);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전산볼트(40); 및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를 마감하도록 되어 있는, 마감너트(60);를 포함하는, 가벽(1)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은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너트(50); 및 상기 가벽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판(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판의 일부분에는 상기 전산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과 상기 전산볼트의 결합체는 상기 가벽본체의 스프링 삽입홀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통과홀(21)에 통과됨으로써 상기 지지판이 상기 가벽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에 상기 너트가 끼워진 후 상기 마감너트가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통과홀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통과홀의 직경은 상기 전산볼트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때, 가벽 설치천장면 또는 가벽 설치바닥면에는 레일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에는 상기 마감너트가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은, 상기 가벽본체에 결합되는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의 일면의 면적은 상기 패널의 일면과 맞닿는 상기 가벽본체의 일면의 면적보다 크며, 상기 가벽본체에 결합된 패널의 상면은 가벽 설치천장면 또는 가벽 설치바닥면에 맞닿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마감너트는 상기 가벽 설치바닥면 또는 상기 가벽 설치천장면에 맞닿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벽의 제거시 가벽의 접착면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가벽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1)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본체(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과 전산볼트의 결합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너트(6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의 구성결합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벽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2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걸레받이와 가벽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1의 걸레받이와 가벽의 설치 대응 위치를 3차원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와 가벽의 설치 대응 위치를 3차원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벽 설치바닥면에 레일이 형성된 경우의 가벽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가벽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도 15의 가벽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1)을 나타낸 것이다.
가벽(1)은 가벽본체(10), 지지판(20), 전산볼트(40), 너트(50), 및 마감너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벽(1)은 스프링(도 4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각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본체(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가벽본체(10)를 뒤집어 놓은 형태일 수 있다.
가벽본체(10)는 예컨대, 나무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가벽본체(10)의 하부에는 스프링 삽입홀(11)이 스프링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가벽본체(10)의 하부에는 지지판(20)을 가벽본체(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나사홀(12) 및 제2나사홀(1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과 전산볼트의 결합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스프링(30)의 일단부와 전산볼트(40)의 일단부는 고정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고정결합된 스프링(30)과 전산볼트(40)의 결합체는 스프링(30)의 타단부가 가벽본체(10)의 스프링 삽입홀(11)로 삽입됨으로써 가벽본체(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30)의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길이(L1)는 전선볼트(40)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도 3의 (a)의 실시예에서는 전산볼트(40)의 상단부가 전산볼트 본체의 지름보다 작은 기둥이 형성된 모습을 갖고 있을 수 있다. 전산볼트(4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작은 기둥에 스프링(30)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산볼트(40)의 지름은 스프링(30)의 지름과 거의 동일할 수 있다.
도 3의 (b)의 실시예에서는 도 3의 (a)와 달리 전산볼트(40)의 상단부가 전산볼트 본체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전산볼트(40)의 상단부에는 스프링(30)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산볼트(40)의 지름은 스프링(30)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지판(20)에는 스프링(30)과 전산볼트(40)의 결합체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통과홀(21)은 가벽본체(10)의 스프링 삽입홀(11)에 대응되는 위치의 지지판(2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판(20)에는 지지판(20)을 가벽본체(10)의 하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1나사홀(22) 및 제12나사홀(2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1나사홀(22) 및 제12나사홀(23)은 가벽본체(10)의 제1나사홀(12) 및 제2나사홀(13)에 대응되는 위치의 지지판(20)에 형성될 수 있다.
가벽본체(10)와 지지판(20)은 제1나사(미도시) 및 제2나사(미도시)를 제11나사홀(22) 및 제12나사홀(23)에 각각 통과시킨 후 제1나사홀(12) 및 제2나사홀(13)에 고정결합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너트(6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마감너트(60)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마감너트(60)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c)는 마감너트(6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마감너트(60)의 상부에는 전산볼트(40)의 타단부(즉, 스프링(30)과 결합되지 않는 부분)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전산볼트(4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태의 제61결합홀(6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의 구성결합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S10)에서, 스프링(30)과 전산볼트(40)의 결합체 중 스프링(30)의 타단부를 가벽본체(10)의 스프링 삽입홀(11)에 삽입할 수 있다.
단계(S11)에서, 지지판(20)의 통과홀(21)에 전산볼프(40)의 타단부를 통과시킴으로써 가벽본체(10)의 하부에 지지판(20)을 배치한 후, 제1나사(71) 및 제2나사(72)를 이용하여 가벽본체(10)와 지지판(20)을 고정결합시킬 수 있다.
단계(S12)에서, 전산볼트(40)의 타단부에 너트(50)를 끼울 수 있다.
단계(S13)에서, 마감너트(60)를 전산볼트(40)의 타단부에 끼워 마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통과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통과홀(21)의 직경은 전산볼트(4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판(20)이 가벽본체(10)에 고정됨으로써 스프링(30)과 전산볼트(40)의 결합체가 가벽본체(10)와 일체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벽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가벽(1) 설치전 가벽설치공간(8)과 가벽(1)을 정면으로 바라본 것이다.
각 구성이 모두 결합된 형태의 가벽(1)의 높이(h2)는 가벽설치공간(8)의 천장면(81)과 바닥면(82) 사이의 간격 즉, 천장의 높이(h1)보다 클 수 있다.
가벽 설치자는 가벽본체(10)를 눌러 스프링(30)을 압축시킴으로써 도 7의 (b)와 같이 가벽(1)을 가벽설치공간(8)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가벽 설치자는 너트(50)를 지지판(20)에 맞닿을 때까지 돌려 가벽(10)의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7의 (c)는 너트(50)가 지지판(20)에 맞닿을 때까지 돌아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가벽이 완전히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스프링(30)을 통한 가벽(1)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천장높이(h1)를 갖는 가벽설치공간(8)이더라도 동일한 가벽(1)을 이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가벽(1)을 측면으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실시예에서의 미니가벽(100)의 높이(h3)는 도 7의 가벽(1)의 높이(h2)보다 작을 수 있다.
가벽(1)의 완성을 위해, 미니가벽(100)의 양측면에 나무 판재와 같은 판재(91, 92)가 결합될 수 있다.
도 8의 (a)는 미니가벽(100)에 판재(91, 92)가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b)는 미니가벽(100)에 판재(91, 92)가 결합된 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의 (c)는 미니가벽(100)에 판재(91, 92)가 결합된 가벽이 가벽설치공간(8)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미니가벽(100)에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의 판재가 결합됨으로써, 가벽설치공간(8)의 천장높이(h1)에 맞는 가벽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가벽(1)을 측면으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실시예에서의 미니가벽(100)의 높이(h3)는 도 7의 가벽(1)의 높이(h2)보다 작을 수 있다.
도 8과 달리 도 9에서는 하나의 판재(93) 내부에 미니가벽(1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93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가벽(1)의 완성을 위해, 미니가벽(100)을 판재(93)의 삽입홈(931)에 삽입할 수 있다.
도 9의 (a)는 미니가벽(100)에 판재(93)가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b)는 미니가벽(100)에 판재(93)가 결합된 후를 나타낸 것이며, 도 9의 (c)는 미니가벽(100)에 판재(93)가 결합된 가벽이 가벽설치공간(8)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2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a)는 걸레받이(210)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b)는 걸레받이(210)의 전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걸레받이(210)의 배면에는 한 개 이상의 고리홀(211~2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걸레받이와 가벽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걸레받이가 가벽에 설치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걸레받이가 가벽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걸레받이(210)의 설치를 위해서 가벽본체(10)의 하단부에는 한 개 이상의 고리부(111, 1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리부의 형태는 고리, 나사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걸레받이(210)에 형성된 고리홀(211, 212)을 가벽본체(10)의 고리부(111, 112)에 걸어 간편하게 걸레받이(210)를 가벽본체(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걸레받이를 통해 가벽(1)의 하단부가 가려짐으로써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1의 걸레받이와 가벽의 설치 대응 위치를 3차원으로 도시한 것이다.
예컨대, 가벽본체(10)의 하단부에 두 개의 고리부(111, 1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2a의 경우와 도 12b의 경우 가벽(1)의 전체 높이에서 가벽본체(10)의 높이를 뺀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도 12a의 경우 상기 길이는 L11이고 도 12b의 경우 상기 길이는 L12이며, L11>L12 일 수 있다.
높이에 따라, 도 12a는 두 개의 고리부(111, 112)가 걸레받이(210)의 상단에 형성된 두 개의 고리홀(211, 212)에 각각 걸리도록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12b는 두 개의 고리부(111, 112)가 걸레받이(210)의 상단에 형성된 두 개의 고리홀(211, 212)보다는 낮은 위치에 형성된 두 개의 고리홀(213, 214)에 각각 걸리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의 실시예 외에도 걸레받이의 높이조절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와 가벽의 설치 대응 위치를 3차원으로 도시한 것이다.
걸레받이(220)는 도 10의 걸레받이(110)와 달리 두 개의 홀(221, 22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각 홀(221, 222)에는 가벽본체(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리부(121, 122)가 걸릴 수 있는 높이별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홀(221, 222)의 복수 개의 칸들 중 원하는 높이의 칸에 고리부(121, 122)를 걸어 걸레받이(220)와 가벽(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가벽본체(10)의 고리부(121, 122)는 복수 개가 아니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대응되도록 걸레받이(220)에는 한 개의 홀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벽 설치바닥면에 레일이 형성된 경우의 가벽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벽(1)의 자유로운 이동 및 고정을 위하여 가벽 설치바닥면에는 레일(300)을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레일(300)에는 가벽(1)의 마감너트(60)가 이동 가능한 레일홈(311, 31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레일(300)을 A-A 방향으로 잘랐을 경우 레일(300)의 단면은 도 14a와 같을 수도 있고 도 14b와 같을 수도 있다.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레일이 이용가능하다.
레일(300)의 길이는 충분히 길어 복수 개의 가벽(1)들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디자인으로 가벽을 만들 수 있다. 또는 하나의 가벽(1)에 대응하는 길이의 레일(300)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300)이 가벽 설치바닥면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레일(300)은 가벽 설치천장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가벽(1)은 도 14a와 달리 뒤집어진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벽(1)은 제1가벽(410) 및 제2가벽(4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과 유사하게, 가벽(1)의 완성을 위해, 미니가벽(100) 상단에 나무 판재(94)가 위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95)이 미니가벽(100)과 나무 판재(94)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가벽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나무 판재(94)의 길이 및 너비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95)의 너비는 나무 판재(94)의 너비와 동일할 수도 있고, 미니가벽(100)의 너비보다는 넓고 나무 판재(94)의 너비보다는 좁을 수도 있다.
도 17은 도 15의 가벽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서는 미니가벽(100) 하나당 하나의 나무 판재(94)가 고정결합되어 복수 개의 가벽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도 17과 같이 복수 개의 미니 가벽(100)들을 하나의 나무 판재(94)에 고정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95)의 너비는 상기 복수 개의 미니 가벽(100)들을 감쌀만큼 넓을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미니 가벽(100)들을 하나의 나무 판재(94)에 고정결합시키고, 하우징(95)으로 3개의 미니 가벽들과 하나의 나무 판재(94)의 하단부를 감싸 가벽(430)을 완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5)

  1. 하부에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벽본체;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스프링;
    일단부가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전산볼트; 및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를 마감하도록 되어 있는, 마감너트;
    를 포함하는,
    가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너트; 및
    상기 가벽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판;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판의 일부분에는 상기 전산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과 상기 전산볼트의 결합체는 상기 가벽본체의 스프링 삽입홀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통과홀에 통과됨으로써 상기 지지판이 상기 가벽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에 상기 너트가 끼워진 후 상기 마감너트가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가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통과홀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통과홀의 직경은 상기 전산볼트의 직경보다 큰,
    가벽.
  4. 제1항에 있어서,
    가벽 설치천장면 또는 가벽 설치바닥면에는 레일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에는 상기 마감너트가 상기 레일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벽본체에 결합되는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의 일면의 면적은 상기 패널의 일면과 맞닿는 상기 가벽본체의 일면의 면적보다 크며,
    상기 가벽본체에 결합된 패널의 상면은 가벽 설치천장면 또는 가벽 설치바닥면에 맞닿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마감너트는 상기 가벽 설치바닥면 또는 상기 가벽 설치천장면에 맞닿도록 되어 있는,
    가벽.
KR1020200178129A 2020-12-18 2020-12-18 스프링을 이용한 가벽 KR102568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29A KR102568253B1 (ko) 2020-12-18 2020-12-18 스프링을 이용한 가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129A KR102568253B1 (ko) 2020-12-18 2020-12-18 스프링을 이용한 가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7761A true KR20220087761A (ko) 2022-06-27
KR102568253B1 KR102568253B1 (ko) 2023-08-17

Family

ID=8224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129A KR102568253B1 (ko) 2020-12-18 2020-12-18 스프링을 이용한 가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82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1926A (ja) * 1995-10-13 1997-04-28 Comany Kk 間仕切りパネルの圧接装置
JP2001090233A (ja) * 1999-09-24 2001-04-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間仕切パネルの固定構造
JP2007255118A (ja) * 2006-03-24 2007-10-04 Sekisui House Ltd 可動間仕切り装置
KR100794286B1 (ko) * 2007-10-18 2008-01-11 (주)혜덕 조립식 파티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1926A (ja) * 1995-10-13 1997-04-28 Comany Kk 間仕切りパネルの圧接装置
JP2001090233A (ja) * 1999-09-24 2001-04-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間仕切パネルの固定構造
JP2007255118A (ja) * 2006-03-24 2007-10-04 Sekisui House Ltd 可動間仕切り装置
KR100794286B1 (ko) * 2007-10-18 2008-01-11 (주)혜덕 조립식 파티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253B1 (ko) 2023-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64995C (en) Support panel base cover
KR200455273Y1 (ko) 천장패널의 고정구조
EP3228219B1 (en) Cabinet foot system
KR100794286B1 (ko) 조립식 파티션
KR20220087761A (ko) 스프링을 이용한 가벽
US7191565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an assembled type screen
US20040056571A1 (en) Shelf assembly, shelf body, and shelf support
KR200174959Y1 (ko) 다목적 파티션의 높이조절형 받침대
JP4822627B2 (ja) 天井板固定枠を使用した天井構造
KR200239521Y1 (ko) 조립식 바닥부재
KR200417204Y1 (ko) 선반용 지주 고정장치
KR200394182Y1 (ko) 벽걸이형 장식선반
JP7019189B2 (ja) 板材支持具及び間仕切り体
KR20230025360A (ko) 향상된 견고성을 갖는 가벽
KR102350755B1 (ko) 책상용 프레임
KR102133561B1 (ko) 마감패널 고정브라켓
JP2000336880A (ja) 手摺り
KR200436757Y1 (ko) 조립식 칸막이 체결구조
KR200199558Y1 (ko) 붙박이장 구조물의 설치구조
JP2000145038A (ja) 棟瓦用固定具
KR19990040201U (ko) 조립식 파티션
JPH0752255Y2 (ja) 十字状4パーティションの連結構造
JP2020142065A (ja) 棚柱取付構造及び棚柱利用システム
JPH076458Y2 (ja) 金庫、耐火庫等の巾木取付装置
JPS633027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