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5360A - 향상된 견고성을 갖는 가벽 - Google Patents

향상된 견고성을 갖는 가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5360A
KR20230025360A KR1020220100853A KR20220100853A KR20230025360A KR 20230025360 A KR20230025360 A KR 20230025360A KR 1020220100853 A KR1020220100853 A KR 1020220100853A KR 20220100853 A KR20220100853 A KR 20220100853A KR 20230025360 A KR20230025360 A KR 20230025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frame
temporary wall
wall
ceiling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성
Original Assignee
박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성 filed Critical 박재성
Publication of KR20230025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53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04B2/822Elastic connections, e.g. inflated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04B2/824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restrained elastically at one surface and inelastically at the oppos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가벽본체, 및 상측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측평면은 천장면에 접촉하여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측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가벽본체의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제1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장면은 천장부의 저면이며,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 부분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천장면의 위쪽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날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가 상기 천장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측 프레임이 상기 천장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가벽을 공개한다.

Description

향상된 견고성을 갖는 가벽{Temporary wall with enhanced robustness}
본 발명은 스프링을 통해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가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향상된 견고성을 갖는 가벽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테리어 등의 목적으로 공간 분리를 위해 가벽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가벽은 임시벽체로서 예컨대, 거실과 현관 사이 또는 거실과 주방 사이 등 다양한 공간 분리를 위해 사용된다.
가벽은 나무 판재, 에어블록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나무 판재의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다양한 형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디자인의 가벽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10-0701427')에는 높이조절형 가동경량 칸막이 벽체가 공개되어 있다.
높이조절형 칸막이 또는 가벽에 대한 다양한 구성 및 형상들이 공개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는 경우 다소 복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가벽을 설치한 후 제거했을 때 가벽의 접착면(천장, 바닥)에 손상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가벽의 제거시 가벽의 접착면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가벽의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티비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만큼 견고한 가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회전이 가능하여 인테리어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가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가벽(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벽은,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를 갖는 가벽본체(10);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는 스프링(30);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는 볼트 어셈블리; 및 상기 볼트 어셈블리에 나사결합된 너트(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벽본체(10)의 상기 일측 단부에는 삽입홀(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삽입홀(11)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볼트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30)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벽(1)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벽본체(10)의 상기 타측 단부는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중 어느 하나의 벽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중 다른 하나의 벽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은 압축된 상태의 제1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이 상기 제1길이보다 더 압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너트(50)는 상기 가벽본체(10)의 상기 일측 단부에 밀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1)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삽입홀(11)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30)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삽입홀(11)의 바닥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30)보다 상기 가벽본체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의 일 지점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의 상기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 어셈블리는, 볼트(40) 및 마감너트(60)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볼트(40)의 일단부이고, 상기 마감너트는(60)는 상기 볼트(4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마감너트(6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1)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벽본체(10)의 상기 타측 단부는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중 어느 하나의 벽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마감너트(60)는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중 다른 하나의 벽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은 압축된 상태의 제1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이 상기 제1길이보다 더 압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너트(50)는 상기 가벽본체(10)의 상기 일측 단부에 밀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1)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30)이 제공하는 힘에 의해 상기 가벽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1)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50)가 상기 가벽본체(10)의 상기 일측 단부에 밀착됨으로 인하여, 상기 가벽(1)의 전체 길이가 상기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은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20)은 상기 가벽본체(10)의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20)이 상기 가벽본체(10)의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21)과 상기 삽입홀(11)은 서로 정렬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관통홀(21)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홀(11)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1)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벽본체(10)의 상기 타측 단부는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중 어느 하나의 벽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중 다른 하나의 벽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은 압축된 상태의 제1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이 상기 제1길이보다 더 압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너트(50)는 상기 지지판(20)에 밀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본체(10)은, 유닛가벽본체(100) 및 판재(91, 92, 93)로 구성되며, 상기 가벽본체(10)의 상기 일측 단부는 상기 유닛가벽본체(100)의 일측 단부이고, 상기 가벽본체(10)의 상기 타측 단부는 상기 판재의 타측 단부이며, 상기 유닛가벽본체(100)의 타측 단부는 상기 판재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 유닛가벽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닛가벽은,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를 갖는 유닛가벽본체(100);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는 스프링(30);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갖는 볼트 어셈블리; 및 상기 볼트 어셈블리에 나사결합된 너트(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닛가벽본체(100)의 상기 일측 단부에는 삽입홀(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삽입홀(11)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볼트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30)에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닛가벽본체(100)의 상기 타측 단부에 상기 유닛가벽과 별도로 제공되는 소정의 판재(91, 92, 93)의 일측 단부를 결합하여 형성한 소정의 가벽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판재의 타측 단부는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중 어느 하나의 벽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중 다른 하나의 벽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은 압축된 상태의 제1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이 상기 제1길이보다 더 압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너트(50)는 상기 유닛가벽본체(100)의 상기 일측 단부에 밀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1)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삽입홀(11)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30)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삽입홀(11)의 바닥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 어셈블리는 상기 스프링(30)보다 상기 유닛가벽본체로부터 더 멀리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의 일 지점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스프링의 상기 일단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볼트 어셈블리는, 볼트(40) 및 마감너트(60)를 포함하고,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일단부는 상기 볼트(40)의 일단부이고, 상기 마감너트(60)는 상기 볼트(4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마감너트(6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1)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판재의 상기 타측 단부는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중 어느 하나의 벽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마감너트(60)는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중 다른 하나의 벽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은 압축된 상태의 제1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이 상기 제1길이보다 더 압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너트(50)는 상기 유닛가벽본체(100)의 상기 일측 단부에 밀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1)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된 상태의 스프링(30)이 제공하는 힘에 의해 상기 가벽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1)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50)가 상기 유닛가벽본체(100)의 상기 일측 단부에 밀착됨으로 인하여, 상기 가벽(1)의 전체 길이가 상기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닛가벽은, 관통홀(21)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판(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판(20)은 상기 유닛가벽본체(100)의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20)이 상기 유닛가벽본체(100)의 상기 일측 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21)과 상기 삽입홀(11)은 서로 정렬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30)은 상기 관통홀(21)을 관통하여 상기 삽입홀(11)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1)이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판재의 상기 타측 단부는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중 어느 하나의 벽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볼트 어셈블리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두 개의 외부 벽들 중 다른 하나의 벽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은 압축된 상태의 제1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0)이 상기 제1길이보다 더 압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너트(50)는 상기 지지판(20)에 밀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가벽은 상기 가벽본체(10); 및 상측 프레임(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측평면은 천장면(81)에 접촉하여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측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가벽본체의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제1홈(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장면은 천장부의 저면이며,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 부분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천장면의 위쪽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날개부(313)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가 상기 천장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측 프레임이 상기 천장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부는 복수 개의 날개들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 부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복수 개의 날개들은 서로 일정 간격(d1)으로 이격되어 상기 천장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측면은 벽면(83)에 맞닿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측면에서 상기 천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천장부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천장면을 형성하는 천장재의 일측면(811)과 상기 벽면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상기 날개부가 끼워져 상기 천장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측평면과 상기 상측프레임의 일측면이 각각 상기 천장면 및 상기 벽면에 맞닿아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본체의 상기 상측단부, 및 상기 하측단부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벽은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된, 스프링(30); 일부가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전산볼트(40); 및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마감너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은, 바닥면(82)에 설치되며 상기 마감너트가 끼워지도록 제2홈(321)이 형성된, 하측 프레임(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벽본체의 상기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벽은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된, 스프링(30); 일부가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전산볼트(40); 및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마감너트(60)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너트가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기 제1홈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산볼트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너트; 및 상기 가벽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대응하는 상기 지지판의 일부분에는 상기 전산볼트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과 상기 전산볼트의 결합체는 상기 가벽본체의 스프링 삽입홀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통과홀에 통과됨으로써 상기 지지판이 상기 가벽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에 상기 너트가 끼워진 후 상기 마감너트가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통과홀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통과홀의 직경은 상기 전산볼트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 부분은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측평면 또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가벽은, 가벽본체(10); 및 상측 프레임(310);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가벽본체의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제1홈(3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측평면(314)은 천장면(81)에 맞닿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측면(315)은 벽면(83)에 맞닿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측평면의 모서리 라인들 중 상기 벽면 쪽의 제1모서리 라인(314a, 316a),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측면의 모서리 라인들 중 상기 천장면 쪽의 제2모서리 라인(315a, 316b), 상기 제1모서리 라인의 일끝지점(314p)과 상기 제2모서리 라인의 일끝지점(315p)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제3모서리 라인(316c), 및 상기 제1모서리 라인의 타끝지점과 상기 제2모서리 라인의 타끝지점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제4모서리 라인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대각면(316)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상측프레임의 상기 상측평면과 상기 일측면이 각각 상기 천장면, 및 상기 벽면에 맞닿아 설치되면, 상기 천장면, 상기 벽면, 및 상기 상측 프레임의 대각면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장면은 천장부의 저면이며,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 부분에서 상기 천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천장부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날개부(313)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가 상기 천장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측 프레임이 상기 천장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벽본체의 상기 상측단부, 및 상기 하측단부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벽은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된, 스프링(30); 일부가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전산볼트(40); 및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마감너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벽본체의 상기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벽은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된, 스프링(30); 일부가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전산볼트(40); 및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마감너트(60)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너트가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기 제1홈에 끼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가벽은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제1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단부 및 상기 하측단부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나사 삽입홀(14)이 형성되어 있는, 가벽본체; 상기 제1삽입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마감너트; 상기 나사 삽입홀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제1나사(500); 천장면(81)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제1홈(311)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 프레임(310);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제2홈(321)이 형성되어 있는 하측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나사의 머리부(510)는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마감너트는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다른 하나의 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마감너트의 중심축과 상기 제1나사의 중심축은 서로 동축이며, 상기 제1나사가 상기 어느 하나의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마감너트의 중심축과 상기 제1나사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가벽본체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가벽본체가 서로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삽입홀은 스프링 삽입홀이며, 상기 가벽은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 및 일부가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전산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감너트는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나사의 머리부(510)는 상기 제1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마감너트는 상기 제2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나사가 상기 제1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벽본체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상측 프레임의 저면(317)과 상기 가벽본체의 상기 상측단부 사이가 0(영)보다 큰 소정의 간격(d2)만큼 이격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장면은 천장부의 저면이며,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 부분에서 상기 천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천장부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날개부(313)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가 상기 천장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측 프레임이 상기 천장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벽의 제거시 가벽의 접착면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가벽의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티비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 만큼 견고한 가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이 가능하여 인테리어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가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본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과 전산볼트의 결합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너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의 구성결합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벽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걸레받이와 가벽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1의 걸레받이와 가벽의 설치 대응 위치를 3차원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와 가벽의 설치 대응 위치를 3차원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닥면에 레일이 형성된 경우의 가벽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가벽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도 15의 가벽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이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측 프레임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19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측 프레임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며, 도 19c는 제3실시예에 따른 상측 프레임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도 18과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이 설치된 형태의 상단부만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몰딩 및 상측 프레임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1의 (c)와 같은 상측 프레임의 형상을 갖는 가벽이 설치된 공간 내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천장면에 상측 프레임이 설치된 천창측 공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천장면에 상측 프레임이 설치된 천장측 공간의 사시도이며, 도 2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천장면에 상측 프레임이 설치된 천장측 공간의 사시도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회전 가능한 가벽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5b는 도 25a의 상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1)을 나타낸 것이다.
가벽(1)은 가벽본체(10), 지지판(20), 전산볼트(40), 너트(50), 및 마감너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벽(1)은 스프링(도 4 참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전산볼트(40)는 간단히 볼트(40)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각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본체(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가벽본체(10)를 뒤집어 놓은 형태일 수 있다.
가벽본체(10)는 예컨대, 나무 판재로 구성될 수 있다.
가벽본체(10)의 하부에는 스프링 삽입홀(11)이 스프링의 연장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스프링 삽입홀(11)은 간단히 삽입홀(11)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가벽본체(10)의 하부에는 지지판(20)을 가벽본체(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나사홀(12) 및 제2나사홀(1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과 전산볼트의 결합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스프링과 전산볼트의 결합체는 간단히 스프링-볼트 어셈블리(30+40)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스프링(30)의 일단부와 전산볼트(40)의 일단부는 고정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고정결합된 스프링(30)과 전산볼트(40)의 결합체는 스프링(30)의 타단부가 가벽본체(10)의 스프링 삽입홀(11)로 삽입됨으로써 가벽본체(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30)의 압축되지 않은 상태의 길이(L1)는 전선볼트(40)의 길이(L2)보다 길 수 있다.
도 3의 (a)의 실시예에서는 전산볼트(40)의 상단부가 전산볼트 본체의 지름보다 작은 기둥이 형성된 모습을 갖고 있을 수 있다. 전산볼트(40)의 상단부에 형성된 상기 작은 기둥에 스프링(30)의 일단부가 끼워져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산볼트(40)의 지름은 스프링(30)의 지름과 거의 동일할 수 있다.
도 3의 (b)의 실시예에서는 도 3의 (a)와 달리 전산볼트(40)의 상단부가 전산볼트 본체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전산볼트(40)의 상단부에는 스프링(30)의 일단부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전산볼트(40)의 지름은 스프링(30)의 지름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판(2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지지판(20)에는 스프링(30)과 전산볼트(40)의 결합체가 통과하기 위한 통과홀(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통과홀(21)은 가벽본체(10)의 스프링 삽입홀(11)에 대응되는 위치의 지지판(2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통과홀(21)은 관통홀(21)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판(20)에는 지지판(20)을 가벽본체(10)의 하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1나사홀(22) 및 제12나사홀(2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1나사홀(22) 및 제12나사홀(23)은 가벽본체(10)의 제1나사홀(12) 및 제2나사홀(13)에 대응되는 위치의 지지판(20)에 형성될 수 있다.
가벽본체(10)와 지지판(20)은 제1나사(미도시) 및 제2나사(미도시)를 제11나사홀(22) 및 제12나사홀(23)에 각각 통과시킨 후 제1나사홀(12) 및 제2나사홀(13)에 고정결합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감너트(6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마감너트(60)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마감너트(60)의 저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의 (c)는 마감너트(6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마감너트(60)의 상부에는 전산볼트(40)의 타단부(즉, 스프링(30)과 결합되지 않는 부분)가 고정결합될 수 있도록 전산볼트(4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형태의 제61결합홀(6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마감너트(60)와 상기 전산볼트(40)의 결합체를 볼트 어셈블리(40+60)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의 구성결합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S10)에서, 스프링(30)과 전산볼트(40)의 결합체 중 스프링(30)의 타단부를 가벽본체(10)의 스프링 삽입홀(11)에 삽입할 수 있다.
단계(S11)에서, 지지판(20)의 통과홀(21)에 전산볼프(40)의 타단부를 통과시킴으로써 가벽본체(10)의 하부에 지지판(20)을 배치한 후, 제1나사(71) 및 제2나사(72)를 이용하여 가벽본체(10)와 지지판(20)을 고정결합시킬 수 있다.
단계(S12)에서, 전산볼트(40)의 타단부에 너트(50)를 끼울 수 있다.
단계(S13)에서, 마감너트(60)를 전산볼트(40)의 타단부에 끼워 마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의 직경은 상기 스프링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통과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통과홀(21)의 직경은 전산볼트(40)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지지판(20)이 가벽본체(10)에 고정됨으로써 스프링(30)과 전산볼트(40)의 결합체가 가벽본체(10)와 일체형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벽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가벽(1) 설치전 가벽설치공간(8)과 가벽(1)을 정면으로 바라본 것이다.
각 구성이 모두 결합된 형태의 가벽(1)의 높이(h2)는 가벽설치공간(8)의 천장면(81)과 바닥면(82) 사이의 간격 즉, 천장의 높이(h1)보다 클 수 있다.
가벽 설치자는 가벽본체(10)를 눌러 스프링(30)을 압축시킴으로써 도 7의 (b)와 같이 가벽(1)을 가벽설치공간(8)에 배치할 수 있다.
이후, 가벽 설치자는 너트(50)를 지지판(20)에 맞닿을 때까지 돌려 가벽(10)의 지지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7의 (c)는 너트(50)가 지지판(20)에 맞닿을 때까지 돌아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가벽이 완전히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스프링(30)이 압축된 정도에 따라 가벽(1)의 전체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가벽설치공간(8)의 천장높이(h1)가 달라지더라도 가벽(1)을 상기 가벽설치공간(8)에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7에 나타낸 디멘젼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구현예에서, h1은 260cm일 수 있다. 이때 가벽본체(10)의 폭, 높이, 및 두께는 각각 20cm, 240cm, 및 3cm일 수 있다. 이때 스프링(30)의 평형 상태에서의 길이는 30cm이고 최대 압축 상태에서의 길이는 10cm일 수 있다. 이때, 전산볼트(40)의 길이는 30cm일 수 있다. 그리고 전산볼트(40)의 지름은 2cm이고, 스프링(30)의 지름도 약 2cm일 수 있다. 이는 예시일 뿐이며, 상술한 요소들의 구체적인 치수는 구체적인 환경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이하, 제2구현예를 제시한다. 상기 제2구현예는 상기 제1구현예와 동일하며, 다만 두 가지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첫째, 가벽본체(10)의 높이가 50cm일 수 있다. 또는 가벽본체(10)의 높이는 전산볼트(40)와 스프링(30)의 어셈블리가 제1홈(311)에 적절히 설치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50cm보다 작을 수도 있다. 둘째, 가벽본체(10)의 높이가 h1보다 너무 작기 때문에 가벽본체(10)만으로는 가벽(1)을 가벽설치공간(8)에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가벽본체(10)의 상단부에 추가적인 도시되지 않은 플레이트(plate)( 또는 폴(pole) 또는 로드(rod))를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벽본체(10)와 상기 플레이트를 결합하여 얻은 가벽 어셈블리의 전체 높이가 240cm 라면, 상기 가벽(1)과 상기 플레이트를 결합한 가벽 어셈블리를 가벽 설치공간(8)에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가벽 설치공간(8)의 높이에 관계없이 설치 가능한 가벽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즉, 가벽(1)의 전체 높이를 1가지~3가지 정도로 제한하여 규격화하여 생산한다. 예컨대 가벽(1)의 전체 높이는 약 10cm ~ 40cm 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의 높이를 다양한 값을 갖도록 여러 종류를 생산할 수 있다. 이제, 가벽 설치공간(8)의 높이에 따라, 가벽(1)의 높이와 플레이트의 높이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조합에 따라 가벽(1)과 플레이트를 결합한 가벽 어셈블리를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완성된 가벽 어셈블리를 가벽 설치공간(8)에 설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가벽(1)을 측면으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의 실시예에서의 미니가벽(100)의 높이(h3)는 도 7의 가벽(1)의 높이(h2)보다 작을 수 있다.
가벽(1)의 완성을 위해, 미니가벽(100)의 양측면에 나무 판재와 같은 판재(91, 92)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미니가벽(100)은 유닛가벽본체(100)이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도 8의 (a)는 미니가벽(100)에 판재(91, 92)가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b)는 미니가벽(100)에 판재(91, 92)가 결합된 후를 나타낸 것이며, 도 8의 (c)는 미니가벽(100)에 판재(91, 92)가 결합된 가벽이 가벽설치공간(8)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미니가벽(100)에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의 판재가 결합됨으로써, 가벽설치공간(8)의 천장높이(h1)에 맞는 가벽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판재는 패널로 지칭될 수도 있다.
패널(91)의 일면의 면적은 상기 패널의 일면과 맞닿는 상기 미니가벽(가벽본체)의 일면의 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미니가벽에 결합된 패널의 상면은 천장면(81) 또는 바닥면(82)에 맞닿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니가벽의 마감너트는 바닥면(82) 또는 천장면(81)에 맞닿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에서, 상기 패널(91), 상기 패널(92), 및 상기 유닛가벽본체(미니가벽)(100)이 서로 결합된 어셈블리를 상기 가벽본체(10)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가벽(1)을 측면으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의 실시예에서의 미니가벽(100)의 높이(h3)는 도 7의 가벽(1)의 높이(h2)보다 작을 수 있다.
도 8과 달리 도 9에서는 하나의 판재(93) 내부에 미니가벽(100)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93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판재(91, 92, 또는 93)를 연장멤버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가벽(1)의 완성을 위해, 미니가벽(100)을 판재(93)의 삽입홈(931)에 삽입할 수 있다.
도 9의 (a)는 미니가벽(100)에 판재(93)가 결합되기 전을 나타낸 것이고, 도 9의 (b)는 미니가벽(100)에 판재(93)가 결합된 후를 나타낸 것이며, 도 9의 (c)는 미니가벽(100)에 판재(93)가 결합된 가벽이 가벽설치공간(8)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 상기 패널(93) 및 상기 유닛가벽본체(미니가벽)(100)이 서로 결합된 어셈블리를 상기 가벽본체(10)인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21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a)는 걸레받이(210)의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b)는 걸레받이(210)의 전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걸레받이(210)의 배면에는 한 개 이상의 고리홀(211~2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걸레받이와 가벽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걸레받이가 가벽에 설치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걸레받이가 가벽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걸레받이(210)의 설치를 위해서 가벽본체(10)의 하단부에는 한 개 이상의 고리부(111, 1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리부의 형태는 고리, 나사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걸레받이(210)에 형성된 고리홀(211, 212)을 가벽본체(10)의 고리부(111, 112)에 걸어 간편하게 걸레받이(210)를 가벽본체(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걸레받이를 통해 가벽(1)의 하단부가 가려짐으로써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1의 걸레받이와 가벽의 설치 대응 위치를 3차원으로 도시한 것이다.
예컨대, 가벽본체(10)의 하단부에 두 개의 고리부(111, 11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2a의 경우와 도 12b의 경우 가벽(1)의 전체 높이에서 가벽본체(10)의 높이를 뺀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도 12a의 경우 상기 길이는 L11이고 도 12b의 경우 상기 길이는 L12이며, L11>L12 일 수 있다.
높이에 따라, 도 12a는 두 개의 고리부(111, 112)가 걸레받이(210)의 상단에 형성된 두 개의 고리홀(211, 212)에 각각 걸리도록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 12b는 두 개의 고리부(111, 112)가 걸레받이(210)의 상단에 형성된 두 개의 고리홀(211, 212)보다는 낮은 위치에 형성된 두 개의 고리홀(213, 214)에 각각 걸리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의 실시예 외에도 걸레받이의 높이조절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걸레받이와 가벽의 설치 대응 위치를 3차원으로 도시한 것이다.
걸레받이(220)는 도 10의 걸레받이(110)와 달리 두 개의 홀(221, 22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각 홀(221, 222)에는 가벽본체(10)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리부(121, 122)가 걸릴 수 있는 높이별 칸막이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홀(221, 222)의 복수 개의 칸들 중 원하는 높이의 칸에 고리부(121, 122)를 걸어 걸레받이(220)와 가벽(1)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가벽본체(10)의 고리부(121, 122)는 복수 개가 아니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대응되도록 걸레받이(220)에는 한 개의 홀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의 실시예와 달리, 걸레받이는 전산볼트(40), 너트(50), 및 마감너트(60)를 감싸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어느 방향에서든 전산볼트(40), 너트(50), 및 마감너트(60)가 사용자의 눈에 보이지 않도록 하여 심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바닥면에 레일이 형성된 경우의 가벽 설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벽(1)의 자유로운 이동 및 고정을 위하여 바닥면에는 레일(300)을 배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레일(300)에는 가벽(1)의 마감너트(60)가 이동 가능한 레일홈(311, 31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레일(300)을 A-A 방향으로 잘랐을 경우 레일(300)의 단면은 도 14a와 같을 수도 있고 도 14b와 같을 수도 있다. 이외의 다양한 형태의 레일이 이용가능하다.
레일(300)의 길이는 충분히 길어 복수 개의 가벽(1)들을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디자인으로 가벽을 만들 수 있다. 또는 하나의 가벽(1)에 대응하는 길이의 레일(300)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300)이 바닥면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레일(300)은 천장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가벽(1)은 도 14a와 달리 뒤집어진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가벽(1)은 제1가벽(410) 및 제2가벽(4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과 유사하게, 가벽(1)의 완성을 위해, 미니가벽(100) 상단에 나무 판재(94)가 위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95)이 미니가벽(100)과 나무 판재(94)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가벽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나무 판재(94)의 길이 및 너비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95)의 너비는 나무 판재(94)의 너비와 동일할 수도 있고, 미니가벽(100)의 너비보다는 넓고 나무 판재(94)의 너비보다는 좁을 수도 있다.
도 17은 도 15의 가벽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에서는 미니가벽(100) 하나당 하나의 나무 판재(94)가 고정결합되어 복수 개의 가벽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도 17과 같이 복수 개의 미니 가벽(100)들을 하나의 나무 판재(94)에 고정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95)의 너비는 상기 복수 개의 미니 가벽(100)들을 감쌀만큼 넓을 수 있다.
예컨대, 3개의 미니 가벽(100)들을 하나의 나무 판재(94)에 고정결합시키고, 하우징(95)으로 3개의 미니 가벽들과 하나의 나무 판재(94)의 하단부를 감싸 가벽(430)을 완성시킬 수 있다.
가벽(1)은 일반적으로 공간을 구분하기 위해서, 또는 인테리어를 위해서 설치된다. 벽걸이 티비(TV)의 경우 콘크리트 벽에 구멍을 뚫어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벽( 및 벽지)를 훼손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컨대 전세 또는 월세와 같은 방식으로 주택/아파트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벽걸이 티비를 이용하기 쉽지 않을 수 있다.
벽걸이 티비를 벽의 훼손 없이 설치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가벽(1)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벽이 설치된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가벽(1)의 일 지점(앉았을 때 보기 편한 지점이므로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음)에 티비(6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냈다. 티비(600)의 무게가 있기 때문에, 가벽(1)에 티비(600)를 설치하는 경우 가벽(1)이 견고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가벽(1)을 천장면(81)과 바닥면(82)에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가벽(1)은 도 6에 나타낸 가벽본체(10), 스프링(30), 전산볼트(40), 및 마감너트(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가벽(1)은 천장면(81)과 바닥면(82)에 고정되기 위한 한 쌍의 프레임(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벽본체(10)에는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스프링(30)은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전산볼트(40)는 일부가 스프링(30)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마감너트(60)는 전산볼트(40)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스프링(30), 전산볼트(40), 및 마감너트(60)의 구성은 가벽본체(10)를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측 프레임(300)에 고정하기 위한 리프팅 부재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30), 전산볼트(40), 및 마감너트(60)의 구성이 아닌 단순 볼트의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프레임(300)은 상측 프레임(310) 및 하측 프레임(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서 프레임은 레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상측 프레임(310)과 하측 프레임(320)을 함께 제시하였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상측 프레임(310)만으로 구성되는 가벽(1)이 제공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상측 프레임(310)은 천장면(81)에 접촉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측 프레임(310)에는 가벽본체(10)의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 중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다른 하나의 단부 및 마감너트(60) 중 어느 하나가 끼워지도록 제1홈(311)(도 19a 참조)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가벽본체(10)의 하측단부는 스프링 삽입홀(11)이 형성된 측을 의미이며, 가벽본체(10)의 상부는 스프링 삽입홀(11)이 형성되지 않은 측을 의미할 수 있다.
하측 프레임(320)은 바닥면(82)에 설치될 수 있다. 하측 프레임(320)에는 가벽본체(10)의 상기 상측단부 및 상기 하측단부 중 다른 하나의 단부 및 마감너트(60) 중 다른 하나가 끼워지도록 제2홈(32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측 프레임(310) 및 하측 프레임(320)은 도 14b의 레일(300)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홈(311) 및 제2홈(321)은 도 14b의 레일홈(312)과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천장면(81)은 천장속 공간(즉, 실링)(90)을 형성하는 천장재(80)의 저면일 수 있다. 천장속 공간(90)은 예컨대 전선이나 시스템 에어컨의 실내기 등이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천장재(80)는 예컨대, 설치부품들(91, 92)에 의해 콘크리트 천장(84)으로부터 이격되어 소정의 높이의 층고를 형성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천장재(80)는 예컨대 석고보드일 수 있다.
또는 천장면(81)은 콘크리트 슬라브(콘크리트 천장)의 저면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콘크리트 슬라브(84) 또는 콘크리트 슬라브(84)와 천장재(80) 사이의 공간(80)을 포함하여, 천장부라고 지칭할 수 있다.
이때, 벽면(83)과 천장재(80)의 일측면(811)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틈을 막기 위하여 몰딩이 시공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몰딩이 시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한 것이다.
몰딩이 시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가벽을 견고히 설치하기 위해서 상측 프레임(310)은 도 19a 또는 도 19b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측 프레임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도 19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측 프레임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며, 도 19c는 제3실시예에 따른 상측 프레임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8 내지 도 19b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상측 프레임(310)은 상측 프레임(310)의 일측면(315)에서 천장면(81) 방향(Z)으로 연장되어 천장속 공간(90)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날개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313)는 구체적으로 벽면(83)과 천장재(80)의 일측면(811)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천장속 공간(90)에 삽입될 수 있다.
날개부(313)는 예컨대, 도 19a와 같이 일체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9a를 참조하여 상측 프레임(310)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하면, 상측 프레임(310)은 날개부(313)를 등받이로 하는 벤치(의자)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측 프레임(310)은 가벽본체(10)의 가로길이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를 본체(310_1)로 하며, 상기 본체(310_1)의 일측면(315)에는 상기 가로길이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 그리고 천장면(81)을 향해 연장되는 직육면체의 얇은 판넬을 날개부로 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도 19b와 같이 날개부(313)는 복수 개의 날개들(313_1, 313_2, ...)을 포함할 수 있다. 날개들(313_1, 313_2, ...)은 서로 일정 간격(d1)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날개들(313_1, 313_2, ...) 각각은 도 19a의 날개부(313)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날개부(또는 복수 개의 날개들)는 상측 프레임(310)과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14a 또는 도 14b의 레일(300)에 날개부(313)가 별도로 고정결합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날개들은 도 19b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도 19c와 같이 정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각 날개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0은 도 18과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벽이 설치된 형태의 상단부만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과 같이 날개부(313)는 상측 프레임(310)의 좌측면에 형성되거나 고정결합될 수도 있지만, 상측 프레임(310)의 우측면에 형성되거나 고정결합될 수도 있다.
또는 도 20과 같이 날개부(313)는 상측 프레임(310)의 상측평면에 고정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날개부(313)는 상측 프레임(310)의 양측면에 고정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8에서는 가벽이 벽면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도 20과 같이, 가벽은 공간의 임의의 지점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날개부를 이용하여 천장면(8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과 같은 날개부를 통해 천장면(81)의 타공을 최소화하고 가벽의 밀림, 및 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천장몰딩 및 상측 프레임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18 및 도 21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벽면(83)과 천장재(80)의 일측면(811) 사이에는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틈을 막기 위하여 몰딩이 시공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21의 (a)는 평몰딩이 시공된 내부 공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1의 (b)는 크라운몰딩(갈매기 몰딩)이 시공된 내부 공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그리고 도 21의 (c)는 평몰딩이 시공된 천장면에 상측 프레임을 설치한 경우의 내부 공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의 (a) 및 도 21의 (b)와 같이 몰딩(410)의 종류는 평몰딩(411), 및 크라운몰딩(412) 등 다양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몰딩이 시공되어 있더라도 설치할 수 있는 가벽의 형태가 필요하다. 예컨대, 도 21의 (c)와 같이 상측 프레임(310)은 상측 프레임(310)과 몰딩(41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1의 (c)와 같은 상측 프레임의 형상을 갖는 가벽이 설치된 공간 내부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천장면에 상측 프레임이 설치된 천장측 공간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천장면에 상측 프레임이 설치된 천장측 공간의 사시도이며, 도 2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천장면에 상측 프레임이 설치된 천장측 공간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22 내지 도 24a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의 가벽본체(10), 전산볼트(40), 및 마감너트(60)가 결합된 형상은 도 18과 같다. 이때, 도 22 및 도 23과 같이 마감너트(60)는 상측 프레임(310)에 형성된 제1홈(311)에 끼워지고 가벽본체(10)의 상측단부는 하측 프레임(320)에 형성된 제2홈(321)에 끼워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마감너트(60)가 하측 프레임(320)에 형성된 제2홈(321)에 끼워지고 가벽본체(10)의 상측단부는 상측 프레임(310)에 형성된 제1홈(311)에 끼워질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측 프레임(310)의 상측평면(314)은 천장면(81)과 맞닿도록 되어 있고, 상측 프레임(320)의 일측면(315)은 벽면(83)에 맞닿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3 및 도 24a를 참조하면, 상측 프레임(310)은 상측평면(314)와 일측면(315) 사이를 연결하는 대각면(3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4a를 참조하면, 대각면(316)은 상측 프레임(310)의 상측평면(314)의 모서리 라인들 중 벽면측 제1모서리 라인(314a, 316a), 상측 프레임(310)의 일측면(315)의 모서리 라인들 중 천장면측 제2모서리 라인(315a, 316b), 제1모서리 라인(314a, 316a)의 일끝지점(314p)과 제2모서리 라인(315a, 316b)의 일끝지점(315p)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제3모서리 라인(316c), 및 제1모서리 라인(314a)의 타끝지점(미도시)과 제2모서리 라인(315a)의 타끝지점(미도시)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제4모서리 라인(미도시)으로 형성되는 면일 수 있다.
도 24a를 참조하면, 상측 프레임(310)이 천장면(81), 및 벽면(83)에 맞닿아 설치되면, 천장면(81), 벽면(83), 및 상측 프레임(310)의 대각면(316)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40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4a에서는 천장면(81)에 시공되는 몰딩을 생략하였지만, 도 21의 (c)와 같이 몰딩(411)이 시공된 경우에도 내부공간(400)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4b에 도시한 상측 프레임(310)은 도 24a의 상측 프레임(310)에 날개부(313)가 더 추가된 것이다. 도 24a의 상측 프레임(310)의 형상에 날개부(313)가 더 추가됨으로써 상측 프레임(310)은 천장면(81)에 더 견고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313)의 형상 및 배치구조는 도 18 내지 도 2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날개부(313)는 복수 개의 날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회전 가능한 가벽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5b는 도 25a의 상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천장면(81)에 설치되는 상측 프레임(310)의 형상과 바닥면(82)에 설치되는 하측 프레임(320)의 형상은 도 14a의 레일의 형상과 같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측 프레임(310)과 하측 프레임(320)의 형상은 도 14b의 레일의 형상과 같을 수도 있다.
가벽본체(10)의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스프링 삽입홀(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나사 삽입홀(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25a를 참조하면, 가벽본체(10)의 하측단부에는 스프링 삽입홀(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도 25b를 참조하면, 가벽본체(10)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그 상측단부에 나사 삽입홀(1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나사 삽입홀(14)에는 제1나사(500)가 나사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나사(500)는 '다보'로 지칭될 수 있다.
제1나사(500)의 머리부(510)는 예컨대, 상측 프레임(310)의 제1홈(311) 및 하측 프레임(320)의 제2홈(321) 중 어느 하나의 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마감너트(60)는 제1홈(311) 및 제2홈(321) 중 다른 하나의 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도 25a 및 도 25b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홈은 상측 프레임(310)의 제1홈(311)일 수 있으며, 상기 다른 하나의 홈은 하측 프레임(320)의 제2홈(321)일 수 있다.
제1나사(500)가 상기 어느 하나의 홈(예컨대, 제1홈(311))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벽본체(10)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측 프레임(310)과 하측 프레임(320)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홈(예컨대, 제1홈(311)))이 형성된 프레임(310)과 가벽본체(10)가 서로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5b를 참조하면, 제1나사(500)가 제1홈(311)에 끼워진 상태에서, 가벽본체(10)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측 프레임(310)의 저면(317)과 가벽본체(10)의 상측단부(15) 사이가 0(영)보다 큰 소정의 간격(d2)만큼 이격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제1나사(500)의 머리부(510)는 가벽본체(10)의 회전을 위하여 예컨대,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5a 및 도 25b의 상측 프레임(310)에도 도 18 내지 도 20과 마찬가지로 날개부(313)가 더 추가됨으로써 상측 프레임(310)이 천장면(81)에 더 견고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다.
이때, 날개부(313)의 형상 및 배치구조는 도 18 내지 도 20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날개부(313)는 복수 개의 날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9)

  1. 가벽본체(10); 및 상측 프레임(310);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측평면은 천장면(81)에 접촉하여 설치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측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가벽본체의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제1홈(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천장면은 천장부의 저면이며,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 부분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천장면의 위쪽 공간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날개부(313)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부가 상기 천장부로 삽입되어 상기 상측 프레임이 상기 천장면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가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복수 개의 날개들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 부분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상기 복수 개의 날개들은 서로 일정 간격(d1)으로 이격되어 상기 천장부로 삽입되는,
    가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측면은 벽면(83)에 맞닿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날개부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측면에서 상기 천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천장부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천장면을 형성하는 천장재의 일측면(811)과 상기 벽면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상기 날개부가 끼워져 상기 천장부에 삽입되도록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측평면과 상기 상측프레임의 일측면이 각각 상기 천장면 및 상기 벽면에 맞닿아 설치되는,
    가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벽본체의 상기 상측단부, 및 상기 하측단부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된, 스프링(30);
    일부가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전산볼트(40); 및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마감너트(60);
    를 포함하는,
    가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벽본체의 상기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스프링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삽입홀에 삽입된, 스프링(30);
    일부가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에 고정결합되어 있는, 전산볼트(40); 및
    상기 전산볼트의 타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마감너트(60);
    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너트가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기 제1홈에 끼워지는,
    가벽.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 부분은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측평면 또는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측면인, 가벽.
  7. 가벽본체(10); 및 상측 프레임(310);을 포함하며,
    상기 상측 프레임의 하부에는, 상기 가벽본체의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되어 있는 제1홈(3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측평면(314)은 천장면(81)에 맞닿도록 되어 있고,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측면(315)은 벽면(83)에 맞닿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상측 프레임은,
    상기 상측 프레임의 상측평면의 모서리 라인들 중 상기 벽면 쪽의 제1모서리 라인(314a, 316a),
    상기 상측 프레임의 일측면의 모서리 라인들 중 상기 천장면 쪽의 제2모서리 라인(315a, 316b),
    상기 제1모서리 라인의 일끝지점(314p)과 상기 제2모서리 라인의 일끝지점(315p)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제3모서리 라인(316c), 및
    상기 제1모서리 라인의 타끝지점과 상기 제2모서리 라인의 타끝지점이 연결되어 형성하는 제4모서리 라인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대각면(316)을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상측프레임의 상기 상측평면과 상기 일측면이 각각 상기 천장면, 및 상기 벽면에 맞닿아 설치되면, 상기 천장면, 상기 벽면, 및 상기 상측 프레임의 대각면으로 이루어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
  8. 상측단부 및 하측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는 제1삽입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단부 및 상기 하측단부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는 나사 삽입홀(14)이 형성되어 있는, 가벽본체;
    상기 제1삽입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어느 하나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마감너트;
    상기 나사 삽입홀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제1나사(500);
    천장면(81)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제1홈(311)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 프레임(310);
    바닥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 제2홈(321)이 형성되어 있는 하측 프레임(320);
    을 포함하며,
    상기 제1나사의 머리부(510)는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어느 하나의 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마감너트는 상기 제1홈 및 상기 제2홈 중 다른 하나의 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마감너트의 중심축과 상기 제1나사의 중심축은 서로 동축이며,
    상기 제1나사가 상기 어느 하나의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마감너트의 중심축과 상기 제1나사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가벽본체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상측 프레임과 상기 하측 프레임 중 상기 어느 하나의 홈이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가벽본체가 서로 걸리지 않도록 되어 있는,
    가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의 머리부(510)는 상기 제1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마감너트는 상기 제2홈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1나사가 상기 제1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벽본체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상측 프레임의 저면(317)과 상기 가벽본체의 상기 상측단부 사이가 0(영)보다 큰 소정의 간격(d2)만큼 이격되도록 되어 있는,
    가벽.
KR1020220100853A 2021-08-13 2022-08-11 향상된 견고성을 갖는 가벽 KR202300253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07336 2021-08-13
KR1020210107336 2021-08-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5360A true KR20230025360A (ko) 2023-02-21

Family

ID=8520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0853A KR20230025360A (ko) 2021-08-13 2022-08-11 향상된 견고성을 갖는 가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25360A (ko)
WO (1) WO202301830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7920A (en) * 1976-09-28 1981-07-14 Panelfold Doors, Inc. Portable and operable wall systems
US5042555A (en) * 1990-10-01 1991-08-27 Modernfold, Inc. Floor-supported movable wall panel with height adjustment system
JPH0620631U (ja) * 1992-03-28 1994-03-18 コマニー株式会社 間仕切りの仮止め機能付きアジャスター装置
JP3355162B2 (ja) * 1999-11-24 2002-12-09 松下電工株式会社 壁パネル固定具
KR102203132B1 (ko) * 2018-09-21 2021-01-15 대한민국 칸막이벽 간편 설치 부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8300A1 (ko)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6992B2 (en) Wall mountable frame structure for mounting equipment
US7143562B2 (en) Suspension system and structure for securing border ceiling panels
KR100846617B1 (ko) 높이조정이 가능한 전기 배선 덕트
US3570200A (en) Partition panel structures
US6279643B1 (en) Prefabricated furniture
KR20230025360A (ko) 향상된 견고성을 갖는 가벽
CA2863757C (en) Modular walls with seismic-shiftability
KR20190041835A (ko) 가변 타입의 벽체
US20090107083A1 (en) Multicategory Collection of Ceiling/Wall Devices With Familial Appearances
CN109811929A (zh) 一种顶固墙
EP3008257A1 (en) Angled wall conn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840868B2 (en) Shade storage and deployment scheme
KR102568253B1 (ko) 스프링을 이용한 가벽
US10801706B2 (en) Ceiling interface for luminaires
JP2021092056A (ja) 移動も可能な独立したユニット部屋
JP3232361U (ja) ベース家具および壁面家具構造
CN214614795U (zh) 一种调平组件
KR200191073Y1 (ko) 가구용 고정구조
JP6254001B2 (ja) 可動間仕切り
US20230111444A1 (en) Temporary wall and bracket system for temporary wall
KR102416704B1 (ko) 개방형 가구
JP7155828B2 (ja) 収納システム
KR20070095829A (ko) 천장 및 벽체 마감 시스템
JPH09228523A (ja) 可変間仕切壁用支柱と間仕切壁取付構造
KR20220061395A (ko) 가구 선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