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686A - 셀가이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셀가이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686A
KR20220085686A KR1020210038434A KR20210038434A KR20220085686A KR 20220085686 A KR20220085686 A KR 20220085686A KR 1020210038434 A KR1020210038434 A KR 1020210038434A KR 20210038434 A KR20210038434 A KR 20210038434A KR 20220085686 A KR20220085686 A KR 20220085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guide
unit
steel sheet
shape
ste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8948B1 (ko
Inventor
이재희
이창민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085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08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Abstract

셀가이드 제조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셀가이드 제조장치는 강판이 코일형태로 감긴 강판코일로부터 상기 강판이 풀려지도록 하는 언코일유닛; 상기 언코일유닛으로부터 풀려진 상기 강판을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유닛; 및 상기 성형유닛에 의해서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된 상기 강판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셀가이드가 되도록 하는 절단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셀가이드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CELL GUIDE}
본 발명은 셀가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컨테이너선에 구비된 화물창의 벽에는, 컨테이너를 화물창에 적재하고 화물창으로부터 컨테이너를 꺼내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셀가이드가 용접 등에 의해서 구비된다.
종래의 셀가이드는 단면이 'L'자 형상인 2개의 가이드부재가 소정 간격으로 등을 마주본 상태에서 연결부재가 2개의 가이드부재를 연결하여 이루어졌다.
종래 이러한 구성의 셀가이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강판을 단면이 'L'자 형상이 되도록 구부리고 소정 길이로 절단한 후, 강판을 표면처리하여 가이드부재를 만들며, 표면처리된 강판으로 가이드부재를 연결할 연결부재를 소정 형상으로 만든다. 그리고, 연결부재를 2개의 가이드부재에 용접 등에 의해서 연결하고 도포제를 도포하여 셀가이드를 만들었다. 이 경우, 복수개의 연결부재를 2개의 가이드부재에 용접 등에 의해서 연결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서는 연속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복수개의 공정을 거쳐서 셀가이드를 만들기 때문에, 용접 및 제조 후 교정 공수가 상당히 많이 소모되어 셀가이드 제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셀가이드의 제조시 용접 및 교정 공수를 최소화하여, 셀가이드 제조의 생산성이 높아지고 셀가이드의 제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셀가이드 제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셀가이드 제조장치는 강판이 코일형태로 감긴 강판코일로부터 상기 강판이 풀려지도록 하는 언코일유닛; 상기 언코일유닛으로부터 풀려진 상기 강판을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유닛; 및 상기 성형유닛에 의해서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된 상기 강판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셀가이드가 되도록 하는 절단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성형유닛에서는 롤 포밍(Roll Forming)에 의해서 상기 강판이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유닛은 복수 쌍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포함하는 성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이 복수 쌍의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사이를 차례로 지나면서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성형유닛은 상기 강판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성형부 다음에 위치하여,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된 상기 강판의 직진도와 직각도를 교정하며 잔류응력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교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정부는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된 상기 강판의 면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가압하는 복수개의 교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언코일유닛과 상기 성형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강판의 표면을 처리하는 표면처리유닛;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유닛은 상기 강판에 연마재를 분사하는 연마재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유닛 다음에 구비되어 상기 셀가이드에 도포제가 도포되도록 하는 도포유닛;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유닛은 상기 셀가이드에 도포제를 분사하는 도포제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셀가이드 제조의 생산성이 높아지고 셀가이드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셀가이드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셀가이드 제조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셀가이드 제조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셀가이드 제조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셀가이드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셀가이드 제조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셀가이드 제조장치(100)의 일실시예는 언코일유닛(200), 성형유닛(300) 및, 절단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언코일유닛(200)은 강판(SP)이 코일형태로 감긴 강판코일(CP)로부터 강판(SP)이 풀려지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강판(SP)이 코일형태로 감긴 강판코일(CP)이 코일이송유닛(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언코일유닛(20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된 강판코일(CP)은 언코일유닛(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언코일유닛(20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회전축(SH)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강판코일(CP)의 개방된 중앙부에 코일회전축(SH)이 삽입되도록 강판코일(CP)이 위치하는 것에 의해서, 강판코일(CP)이 언코일유닛(20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언코일유닛(200)은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코일(CP)이 회전되도록 하여 강판코일(CP)로부터 강판(SP)이 풀리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코일회전축(SH)이 연결되는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코일회전축(SH)이 회전되고 강판코일(CP)이 회전되어 강판코일(CP)로부터 강판(SP)이 풀릴 수 있다.
이와 같이 강판코일(CP)로부터 풀려진 강판(SP)은 복수개의 이송롤(도시되지 않음)의 회전에 의해서 도2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코일유닛(200)으로부터 이동될 수 있다.
성형유닛(300)은 언코일유닛(200)으로부터 풀려진 강판(SP)을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성형유닛(300)에서 성형되는 셀가이드(CG)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지지부(PS)와, 양 지지부(PS)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되도록 양 지지부(PS)에 연결되는 돌출부(P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셀가이드(CG)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컨테이너(도시되지 않음)를 컨테이너선(도시되지 않음)의 화물창(도시되지 않음)에 적재하고 화물창으로부터 컨테이너를 꺼내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화물창의 벽에 구비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성형유닛(300)에서는 롤 포밍(Roll Forming)에 의해서 강판(SP)이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롤 포밍(Roll Forming)에 의해서 강판(SP)을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하기 때문에, 종래에 용접 등으로 셀가이드(CG)를 제조하는 것보다 용이하게 셀가이드(CG)를 만들 수 있으며, 대량으로 셀가이드(CG)를 만들 수 있다.
성형유닛(300)은 성형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부(3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쌍의 상부롤러(311)와 하부롤러(3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SP)이 복수 쌍의 상부롤러(311)와 하부롤러(312) 사이를 차례로 지나면서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쌍의 상부롤러(311)와 하부롤러(312) 사이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SP)의 이동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셀가이드(CG) 형상에 가까워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 쌍의 상부롤러(311)와 하부롤러(312)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SP)이 복수 쌍의 상부롤러(311)와 하부롤러(312) 사이를 차례로 지나면서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성형유닛(300)은 교정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정부(320)는 강판(SP)의 이동방향으로 성형부(310) 다음에 위치하여, 성형부(310)에서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직진도와 직각도를 교정하며 잔류응력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교정부(32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교정롤러(32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교정롤러(321)는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에 외력이 가해져서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직진도와 직각도가 향상되도록 교정될 수 있다.
한편,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의 적어도 일부에 복수개의 교정롤러(321)에 의해서 영구적인 아닌 일시적인 외력이 각각 가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직진도와 직각도가 교정되도록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이 변형되는 것에 의해서, 강판(SP)이 성형부(310)에서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되면서 강판(SP)에 생성된 잔류응력이 해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잔류응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복수개의 교정롤러(321)의 중 한 교정롤러(321)는, 예컨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가이드(CG)가 양 지지부(PS)와 양 지지부(PS)에 연결되는 돌출부(PR)를 포함하는 경우에, 셀가이드(CG)의 지지부(PS)의 하면에 해당하는,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에 접촉하여, 셀가이드(CG)의 지지부(PS)의 하면에 해당하는,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교정롤러(321)는, 셀가이드(CG)의 지지부(PS)의 상면에 해당하는,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에 접촉하여, 셀가이드(CG)의 지지부(PS)의 상면에 해당하는,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을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교정롤러(321)는 셀가이드(CG)의 돌출부(PR)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에 접촉하여, 셀가이드(CG)의 돌출부(PR)의 외측면에 해당하는,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을 가압할 수 있다.
더불어, 또 다른 교정롤러(321)는 셀가이드(CG)의 돌출부(PR)의 내측면에 해당하는,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에 접촉하여, 셀가이드(CG)의 돌출부(PR)의 내측면에 해당하는,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을 가압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교정롤러(321)가 각각 접촉하여 가압하는,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직진도와 직각도가 교정되며 잔류응력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면,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어떠한 면도 될 수 있다..
이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가이드(CG)의 돌출부(PR)의 일측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해당하는,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들을 가압하여 교정한 후, 셀가이드(CG)의 돌출부(PR)의 타측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해당하는,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들을 가압하여 교정할 수 있다.
그러나, 셀가이드(CG)로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면을 교정롤러(321)에 의해서 가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직진도와 직각도가 향상되며 잔류응력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연속으로, 성형유닛(300)의 성형부(310)에서 롤 포밍(Roll Forming)에 의해서 강판(SP)을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한 후, 교정부(320)에서,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의 직진도와 직각도를 교정하고 잔류응력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때문에, 셀가이드(CG)의 제조시 용접 및 교정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셀가이드(CG) 제조의 생산성이 높아지고 셀가이드(CG)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절단유닛(400)은 성형유닛(300)에 의해서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셀가이드(CG)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절단유닛(4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유닛(400)은 절단부재(41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이 절단부재(410) 아래로 소정 길이 만큼 지나간 후에, 절단부재(410)가 하강함으로써,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이 절단되어 셀가이드(CG)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셀가이드 제조장치(100)의 일실시예는 표면처리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면처리유닛(5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언코일유닛(200)과 성형유닛(3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표면처리유닛(500)은 언코일유닛(200)에서 강판코일(CP)로부터 풀려서 이동하는 강판(SP)의 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표면처리유닛(5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재 분사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마재 분사부(510)에서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SP)에 연마재(SD)를 분사하여 강판(SP)의 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마재 분사부(510)에서는 연마재(SD)로 모래 등을 강판(SP)에 분사하여 강판(SP)의 표면을 처리할 수 있다. 표면처리유닛(500)은 강판(SP)에 분사되어 강판(SP)의 표면을 처리한 모래 등의 연마재(SD)는 수거되어 연마재 분사부(510)에서 다시 강판(SP)의 표면에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마재 분사부(510)는 강판(SP) 위와 아래에 각각 구비되어, 강판(SP)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모래 등의 연마재(SD)를 분사함으로써, 강판(SP)의 상면과 하면을 각각 표면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가이드 제조장치(100)의 일실시예는 표면처리유닛(500)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강판(SP)을 별도로 표면처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게 대량으로 셀가이드(CG)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셀가이드 제조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도포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포유닛(6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유닛(400) 다음에 구비되어 셀가이드(CG)에 도포제(PM)가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도포유닛(6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제 분사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포제 분사부(610)에서는 셀가이드(CG)에 도포제(PM)를 분사할 수 있다. 예컨대, 도포제 분사부(610)에서는 도포제(PM)로 프라이머 등을 셀가이드(CG)에 분사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제 분사부(610)는 셀가이드(CG) 위와 아래에 각각 구비되어 셀가이드(CG)의 위와 아래에서 도포제(PM)를 분사하여 도포제(PM)가 셀가이드(CG)에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도포유닛(60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가이드(CG)가 통과하는 통과공간(S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포유닛(600)에는 강판(SP)이나 셀가이드(CG)가 통과공간(SP)에서 이동되도록 복수개의 이송롤(도시되지 않음)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이 도포유닛(600)의 통과공간(SP)에 인입되어 이동할 수 있다. 도포유닛(600)의 통과공간(SP)에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이 인입되어 소정 거리 이동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유닛(400)의 절단부재(410)에 의해서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이 절단되어 셀가이드(CG)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셀가이드(CG)가 도포유닛(600)의 통과공간(SA)에서 도포제 분사부(610)에 도달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포제 분사부(610)에서 도포제(PM)가 분사되어 셀가이드(CG)가 도포제(PM)로 도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가이드 제조장치(100)의 일실시예는 도포유닛(600)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셀가이드(CG)를 별도로 도포하지 않아도 되어, 보다 용이하게 대량으로 셀가이드(CG)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강판코일(CP)로부터의 강판(SP)의 풀림, 강판(SP)의 셀가이드(CG) 형상으로의 성형, 셀가이드(CG) 형상으로 성형된 강판(SP)을 절단하여 셀가이드(CG)로 만는 것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강판(SP)의 표면처리와, 셀가이드(CG)의 도포도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셀가이드(CG)의 제조시 용접 및 교정 공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셀가이드(CG) 제조의 생산성이 높아지고 셀가이드(CG)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셀가이드 제조장치를 사용하면, 셀가이드 제조의 생산성이 높아지고 셀가이드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셀가이드 제조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셀가이드 제조장치 200 : 언코일유닛
300 : 성형유닛 310 : 성형부
311 : 상부롤러 312 : 하부롤러
320 : 교정부 321 : 교정롤러
400 : 절단유닛 410 : 절단부재
500 : 표면처리유닛 510 : 연마재 분사부
600 : 도포유닛 610 : 도포제 분사부
SP : 강판 CP : 강판코일
CG : 셀가이드 PS : 지지부
PR : 돌출부 SH : 코일회전축
SD : 연마재 PM : 도포제
SA : 통과공간

Claims (9)

  1. 강판이 코일형태로 감긴 강판코일로부터 상기 강판이 풀려지도록 하는 언코일유닛;
    상기 언코일유닛으로부터 풀려진 상기 강판을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유닛; 및
    상기 성형유닛에 의해서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된 상기 강판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셀가이드가 되도록 하는 절단유닛;
    을 포함하는 셀가이드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유닛에서는 롤 포밍(Roll Forming)에 의해서 상기 강판이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하는 셀가이드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유닛은 복수 쌍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포함하는 성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이 복수 쌍의 상기 상부롤러와 상기 하부롤러 사이를 차례로 지나면서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되는 셀가이드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유닛은 상기 강판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성형부 다음에 위치하여,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된 상기 강판의 직진도와 직각도를 교정하며 잔류응력이 최소화되도록 하는 교정부를 더 포함하는 셀가이드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셀가이드 형상으로 성형된 상기 강판의 면의 적어도 일부를 각각 가압하는 복수개의 교정롤러를 포함하는 셀가이드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코일유닛과 상기 성형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강판의 표면을 처리하는 표면처리유닛; 을 더 포함하는 셀가이드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유닛은 상기 강판에 연마재를 분사하는 연마재 분사부를 포함하는 셀가이드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유닛 다음에 구비되어 상기 셀가이드에 도포제가 도포되도록 하는 도포유닛; 을 더 포함하는 셀가이드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유닛은 상기 셀가이드에 도포제를 분사하는 도포제 분사부를 포함하는 셀가이드 제조장치.
KR1020210038434A 2020-12-15 2021-03-25 셀가이드 제조장치 KR1025489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75479 2020-12-15
KR1020200175479 2020-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686A true KR20220085686A (ko) 2022-06-22
KR102548948B1 KR102548948B1 (ko) 2023-06-29

Family

ID=8221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434A KR102548948B1 (ko) 2020-12-15 2021-03-25 셀가이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89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349B1 (ko) * 2023-08-23 2023-11-24 주식회사 청진 단부재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30m급 셀가이드 철골 구조물 생산 자동화 시스템
KR102606348B1 (ko) 2023-08-09 2023-11-24 주식회사 청진 30m급 셀가이드 철골 구조물 생산 자동화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1815A (ko) * 2009-06-08 2010-12-1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롤 포밍 장치 및 롤 포밍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빔
KR101154958B1 (ko) * 2010-09-30 2012-06-14 문병일 슬림사각덕트 제조기
JP5196945B2 (ja) * 2007-10-22 2013-05-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セルガイド用形鋼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に用いる中間素材
KR20200136722A (ko) * 2019-05-28 202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멤버 성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6945B2 (ja) * 2007-10-22 2013-05-1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セルガイド用形鋼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に用いる中間素材
KR20100131815A (ko) * 2009-06-08 2010-12-16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롤 포밍 장치 및 롤 포밍 방법, 및 이들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빔
KR101154958B1 (ko) * 2010-09-30 2012-06-14 문병일 슬림사각덕트 제조기
KR20200136722A (ko) * 2019-05-28 2020-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멤버 성형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348B1 (ko) 2023-08-09 2023-11-24 주식회사 청진 30m급 셀가이드 철골 구조물 생산 자동화 시스템
KR102606349B1 (ko) * 2023-08-23 2023-11-24 주식회사 청진 단부재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30m급 셀가이드 철골 구조물 생산 자동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8948B1 (ko) 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85686A (ko) 셀가이드 제조장치
CN101479055B (zh) 用于卷绕金属带的方法和装置
US20080276564A1 (en) Method, An Apparatus and A Means For Making A Reinforcement Mesh
CN114623741B (zh) 具有改进伸出度的卷尺
CN103579660A (zh) 卷绕装置
CN102024559A (zh) 角线的绕线装置以及扁立线圈的绕线方法
CN104475448A (zh) 一种预防极薄钢卷“塌芯”缺陷的生产工艺
US5275345A (en) Strip coiler
CN101176968A (zh) 集装箱底横梁生产方法
KR100361850B1 (ko) 압연롤에 의한 선재의 신선가공장치
US11707774B2 (en) Bending method
KR20120049906A (ko) 슬릿 대판 사행 방지 장치
JP2013158784A (ja) スリッターラインにおけるコイル緩み防止方法
US20040261483A1 (en) Bending roll apparatus
KR101984372B1 (ko) 평탄화가 가능한 리코일러 장치
JP2016107296A (ja) セパレーター装置、コイル製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6295175B2 (ja) ロール成形ロ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ロール成形方法
RU2335361C2 (ru) Намат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таной полосы
JP4061091B2 (ja) ベンディング方法およびベンディングロール
KR101917459B1 (ko) 판재 교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제조방법
JP7020468B2 (ja) 鋼板の巻取り方法及び鋼板の製造方法
JP4059737B2 (ja) ロール曲げ成形方法及びロール曲げ成形装置
CN212442639U (zh) 带钢成卷工艺中尾部成形装置
US244285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flat metal tubes
EP329909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geschlitzten buchsenlagerhül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