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350A -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 Google Patents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350A
KR20220085350A KR1020200175339A KR20200175339A KR20220085350A KR 20220085350 A KR20220085350 A KR 20220085350A KR 1020200175339 A KR1020200175339 A KR 1020200175339A KR 20200175339 A KR20200175339 A KR 20200175339A KR 20220085350 A KR20220085350 A KR 202200853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ction
liver
liver diseas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450B1 (ko
Inventor
이대희
유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바이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바이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바이오스
Priority to KR1020200175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45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7533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8450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청각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저하시키고, 간에서의 ADH 농도 및 간과 혈청에서의 ALDH 농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숙취해소 또는 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Hangover reliever comprising Codium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러 문화 발전으로 인해 식습관이 서구화되고 있고, 알코올 섭취 또한 증가하는 실정이다(경제기획원 조사 통계국. 한국의 사회지표. 경제기획원, p164, 1995.). 알코올은 적당히 섭취하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되지만, 지나치게 과량 섭취하게 되면 갈증, 전신권태, 피로감, 기억상실, 복부팽만감, 소화불량, 구토, 설사 및 비타민 결핍 등의 숙취 현상으로 고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숙취현상은 간세포와 체내에 축적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섭취된 에탄올은 소화관을 통해 흡수되어 섭취 후 20-120분 사이에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한다. 흡수된 에탄올은 간을 비롯한 모든 장기들에서 대사되는데 일부는 호흡, 소변 또는 땀으로 배설된다.
간내로 들어온 에탄올은 세포질내의 알코올탈수소효소(ADH: alcohol dehydrogenase)와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 aldehyde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해 아세테이트로 전환되고, 이는 순환계를 통해 간세포 밖으로 배설된다. 즉, 알코올은 간에서 알코올탈수소효소(ADH)와 조효소인 NAD+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며, 아세트알데히드는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와 NAD+에 의해서 아세트산으로 분해된다. 또한 사이토크롬 P-450 type 2E1 (CYP2E1)과 카탈라아제에 의해서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는데, 아세트알데히드와 아세트산은 지질 과산화반응 등을 통해 세포독성, 두통이나 복통, 삼투압 변화에 따른 탈수현상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 다량 섭취 시 체내 대사과정에서 중요한 장기인 간세포의 장애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위장관, 뇌, 신경, 내분비기관, 췌장, 조혈기관 등 신체의 주요기관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지방간, 알코올에 의한 간염, 간 경변 등 다양한 종류의 간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Linder, M.C. Nutrition and metabolism of fats: Nutritional Biochemistry and Metabolism with Clinical Applications. Amsterdam, Elsevier. 79-83, 1991.).
한편, 청각(靑角, sea staghorn, Codium)은 녹조류(Chlorophyta) 갈파래강(Ulvophyceae) 청각과(Codiaceae)의 식물로서 전세계적으로 약 50여 가지의 종류로 분포하며, 식용으로 알려져 있는 해조(海藻)이다. 저조선 부근의 암석에 서식하며, 바닷속의 돌, 바위, 암석, 조개껍질 등에 붙고 매우 깊은 곳에도 서식한다. 비뇨기 질환 및 수종의 치료에 이용되어 왔으며 청각 추출물에는 유해균만을 억제하는 특이한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는 아크릴산(acrylic acid), 항혈액응고 활성물질 등이 함유되어 있을 뿐 아니라, 항암 및 항돌연변이 효과와 면역 활성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는 해조이다. 상기 청각은 특히 위암, 폐암, 구강암, 식도암, 자궁경부암 등 전반적으로 항암효과가 뛰어나다고 밝혀진바 있으나, 알코올의 분해능이나 숙취해소 또는 이를 통한 간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 효과와 관련하여서는 알려진 바 없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없이 인체에 안전한 천연물로서 현대인의 음주 습관에서 크게 문제가 되는 숙취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예의 노력을 하였다. 그 결과, 청각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다당류의 알코올 분해능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간 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및/또는 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청각" 또는 "sea staghorn"은 녹조류(Chlorophyta) 갈파래강(Ulvophyceae) 청각과(Codiaceae) 청각속(Codium) 식물을 의미하며, 전세계에서 Codium fragile, Codium adhaerens, Codium bursa, Codium tomentosum, Codium vermilara, Codium arabicum, Codium arenicola, Codium australasicum, Codium bulbopilum, Codium capitulatum, Codium convolutum, Codium cuneatum, Codium duthiae, Codium dwarkense, Codium extricatum, Codium galeatum, Codium geppiorum, Codium harveyi, Codium hubbsii, Codium intertextum, Codium isthmocladum, Codium johnstonei, Codium laminarioides, Codium lucasii, Codium mamillosum, Codium muelleri, Codium perriniae, Codium pomoides, Codium setchellii, Codium silvae, Codium spinescens, Codium spongiosum, Codium strangulatum, Codium taylorii, Codium repens, Codium tenue, Codium tomentosum 등의 이름으로 불려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 추출물”은 청각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청각의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청각을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청각을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으며, 알코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청각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Hex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청각유래 다당류”는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부터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된 다당류를 의미한다. 상기 다당류는 상기 추출물 또는 분획물 내의 색소, 지질 및/또는 저분자 단백질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청각유래 다당류”는 유기용매로서 아세톤을 이용하여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부터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을 제거하여 제조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숙취”는 알코올의 과량 섭취에 의해 나타나는 이상 반응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갈증, 안면 홍조, 피부건조, 전신권태, 두통, 피로감, 기억상실, 복부팽만감, 소화불량, 구토, 설사, 비타민 결핍 등의 현상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숙취현상은 간세포와 체내에 축적된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섭취된 에탄올은 소화관을 통해 흡수되어 섭취 후 20-120분 사이에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한다. 흡수된 에탄올은 간을 비롯한 모든 장기들에서 대사되는데 일부는 호흡, 소변 또는 땀으로 배설된다.
간내로 들어온 에탄올은 세포질내의 알코올탈수소효소(ADH: alcohol dehydrogenase)와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 aldehyde dehydrogenase)의 작용에 의해 아세테이트로 전환되고, 이는 순환계를 통해 간세포 밖으로 배설된다. 즉, 알코올은 간에서 알코올탈수소효소(ADH)와 조효소인 NAD+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며, 아세트알데히드는 알데히드 탈수소효소(ALDH)와 NAD+에 의해서 아세트산으로 분해된다. 또한 사이토크롬 P-450 type 2E1 (CYP2E1)과 카탈라아제에 의해서도 아세트알데히드로 산화되는데, 아세트알데히드와 아세트산은 지질 과산화반응 등을 통해 세포독성, 두통이나 복통, 삼투압 변화에 따른 탈수현상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간 질환"은 간에 발생된 질환이나 정상의 경우와 다른 이상 상태를 의미하며, 간염, 지방간, 간 섬유화증, 간경화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간 질환은 알코올성 간 질환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간 보호"는 체내 알코올의 농도를 낮추어주거나, 알코올을 분해하거나, 간 또는 혈청 ADH 또는 ALDH의 농도를 증가시켜 간의 알코올에 대한 해독 작용을 돕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의 유의적 저하(도 2), 간에서의 ADH 농도의 유의적 증가(도 3), 그리고 간 및 혈청에서의 ALDH 농도의 유의적 증가(도 4)를 나타내어, 숙취해소 또는 간 보호에 탁월한 효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인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간 질환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간 질환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저하시키고, 간 및 혈청에서의 ADH 농도와 ALDH 농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하다는 것은, 이를 투여시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투여되는 물질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약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의 경우, 예컨대, 정맥 내 주입, 경피 투여, 피하 주입, 근육 내 주입, 동맥 내 주입 (intraarterial injection), 비강 내 주입 (intranasal injection), 국소 주입 및 복강 주입(intraperitoneal injection) 등으로 투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대상에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인체에 대한 1일 투여량은 일반적으로 0.0001-100 ㎎/㎏이다. 그러나 상기 본 발명의 항체 또는 그 단편의 용량은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본 발명의 특정한 용도에 따른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 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간 질환 치료 용도(for use in therapy)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유효량을 대상(subject)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 질환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대상"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할 필요가 있는 개체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조류, 파충류, 양서류, 어류,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및/또는 인간 외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또는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식품 조성물이 음료 조성물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제한적인 예로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되는 추가 성분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삼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음료 또는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물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ⅱ)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ⅲ) 본 발명의 청각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혈중 알코올 농도를 저하시키고, 간에서의 ADH 농도와 간 및 혈청에서의 ALDH 농도를 유의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숙취해소 또는 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제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숙취해소 효능을 검증하기 위한 전체적인 실험과정을 요약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시 시간별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3은 간 및 혈청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시 ADH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간 및 혈청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 투여시 ALDH 농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실험 재료 및 방법
1) 시험 물질
청각 (Codium fragile)은 주식회사 알지텍에서 구매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해조류로서 녹조류의 하나인 청각을 원료로 사용하여 숙취해소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제조하였다. 우선 상기 선택된 청각을 건조하고, 건조된 시료를 80% 에틸알코올로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 추출을 수행하고,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펠렛을 80% 에틸알코올을 이용하여 상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 추출 후, 원심분리하여 펠렛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펠렛은 아세톤을 이용하여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을 제거 후, 상온에서 건조하여 건조된 청각 분말을 획득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청각 분말을 증류수를 첨가하여 60℃에서 2시간 교반 추출 후,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펠렛은 다시 증류수를 첨가하여 60℃에서 2시간 교반 추출 후,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상등액을 수득하였다. 상기의 2회에서 수득된 상등액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청각유래 다당류를 획득하였다. 상기 청각유래 다당류를 저농도 시료 군은 250 mg/kg, 고농도 시료 군은 500 mg/kg 농도로 증류수에 녹여 사용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광동 제약 제품을 사용하였다.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25% alcohol을 제조하여 10 mL/kg (body weight) 용량으로 경구투여하였다.
2) 실험동물
본 실험에 사용한 실험동물은 SD-Rat, 5주령, 수컷으로 하나바이오 (경기도 안산, 한국)으로부터 분양받아 ㈜동남의화학연구원 동물사 (동물시설등록증: 제 412호)에서 검역과 순화를 거친 실험동물을 사용하였다. 케이지 당 한 마리씩 사육하였으며, 본 시험 전 전체 개체의 체중을 측정하여 각 군간 평균 체중이 균일하도록 군 분리 후 시험을 개시하였다. 순화 및 실험 기간 중 실험동물 일반 식이인 AIN-93G diet(MP Biomedicals Korea, 한국)를 공급하였으며, 식이와 음수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동남의화학연구원 동물실험윤리위원회 (SEMI 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의 방침 및 법규에 따라 진행되었다 (동물윤리승인번호 : SEMI-20-010).
3) 숙취 해소 효능 검증
숙취 해소 효능 검증은 하기의 표 1과 같이, 각 군당 5마리씩 대조군 (알코올 투여군), 양성 대조군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 250 mg/kg 투여군), 청각유래 다당류 저농도군 (Sample 저농도 250 mg/kg 투여군), 청각유래 다당류 고농도군 (Sample 고농도 500 mg/kg 투여군) 총 4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식이에 의한 알코올 흡수, 분해 차를 저감하기 위해 18시간 절식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조군은 증류수, 시료 저농도, 고농도군은 시험 물질 투여 후 30분 뒤 25% 알코올 (3 g/kg, body weight)을 10 mL/kg 용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JY Choi, JH Kim, GH Kim, CK Kim, and MS Choi, Effect of fermented Hovenia dulcis Thunb fruit water extract on biomarker for liver injury and body weight changes in rats given oral administration of ethanol., Korean Journal of Feed Preservation, 21(3):412-420, 2014.; Yutaka OKUMA, Hisashi ISHIKAWA, Yosio ITO, Yoshioki HAYASHI, Akira ENDO, and Tokinori WATANABE, Effect of extracts from Hovenia dulcis Thunb on alcohol concentration in rat and men administered alcohol, J-State, 48(3), 1995.; CS Na, NC Chung, KH Yang, SH Kim, HS Chung, and MS Dong, Hepatoprotective and blood alcohol lowering effects of fruit peduncle extract of Hovenia dulcis var. Korean in the in vitro and in vivo animal models, YAKHAK HOEJI, 48(1):34-40, 2004.). 전체적인 실험과정은 도 1과 같다.
Group Time point (min) Treatment
0 30 60 90 120 180
C 5마리 25% EtOH
10 mL/kg
D.W
P 5마리 헛개나무 과병추출물*
L 5마리 Sample 250 dose
H 5마리 Sample 500 dose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인정, 알코올성 손상으로부터 간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는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 (250 mg/kg)로 양성 대조군을 설정함 C: Control, P: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 250 mg/kg 투여군, L: sample 저농도 (250 mg/kg) 투여군, H: sample 고농도 (500 mg/kg) 투여군
4) 혈중 알코올 농도 변화 확인
시간별 혈중 알코올 농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꼬리에서 채혈하여 혈액을 채취하였다. 알코올 투여 전 (0분)에 첫 채혈을 하였으며, 투여 후 30, 60, 90, 120, 180분째에 모든 개체에서 채혈하였다. 시간별로 획득한 혈액은 모두 혈청 분리 시험관 (SST, Serum Seperate Tube)에 담아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후 3,5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serum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serum은 즉시 alcohol assay kit (STA-620, Cell biolabs, USA)를 이용하여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였다.
5) Serum 및 간 조직 내 ADH, ALDH 효소 활성
위 과정에서 혈중 알코올 농도 변화를 확인하여 혈중 알코올 농도가 최고점인 시간대에 부검을 진행하였다. CO2 마취하여 복부대동맥에서 채혈하였으며, 채혈 직후 간 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이때 채취된 혈액 또한 위 4)의 과정과 같이 SST에 담아 serum을 분리하였다. 간 조직은 PBS에 세척하여 ELISA 분석용 전처리를 진행하였다. ADH 농도 측정은 Rat ADH ELISA kit (MBS165142, Mybiosource, USA), ALDH는 Rat ALDH ELISA kit (MBS010987, Mybiosource, USA)를 사용하였으며, ELISA kit 내 manual protocol에 따라 진행하였다.
6) 통계 분석
통계적 검정은 Statview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p<0.05, #p<0.005, †p<0.0001 이하일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정하였다. 각 항목에 대한 유의한 차이에 대한 비교 분석은 t-test one way ANOVA를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2. 실험 결과
1) 시간별 혈중 알코올 농도
도 2는 랫드에 25% 알코올을 섭취시키기 전 (0분)과 후 30 내지 180분까지의 시간별 혈중 알코올 농도 변화를 나타낸 결과이다. 알코올 투여 후 혈중 알코올 농도가 최고점에 도달한 시간은 모든 실험군에서 60분으로 나타났다. 60분 이후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Rat을 이용하여 알코올 함량을 측정하였을 때의 연구 결과 3)과 동일함을 확인하였다.
알코올 투여 후 60분 뒤 혈중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만 섭취한 대조군에서 (100.00 ± 1.92)%로 높았다. 양성 대조군으로 설정한 헛개나무 과병 추출물을 투여한 군은 (82.41 ± 17.74)%로 대조군 대비 p<0.05 유의 수준으로 낮은 알코올 농도를 보였다. 이러한 헛개 나무 과병 추출물의 혈중 알코올 농도 저하 효과는 여러 연구 결과와 동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청각유래 다당류를 250, 500 mg/kg 농도로 투여한 샘플 저농도군과 고농도군은 각각 (88.00 ± 6.96)%, (81.44 ± 13.44)%로 대조군 대비 유의적으로 (p<0.05) 감소하였다. 이는 청각유래 다당류의 투여가 혈중 내 알코올 농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2) 간, 혈청 내 알코올 탈수소 효소 및 알데하이드 탈수소 효소의 농도
알코올은 생체 내에서 30분 이내에 전체 양의 25% 정도가 위에서 흡수되지만, 공복 상태에서 섭취 시에는 2시간 이내 소장으로 운반되어 90% 이상 흡수된다. 소장에서 흡수된 알코올은 간에서 대사되며, 흡수되지 않은 알코올은 폐나 소변, 땀으로 배출된다.
알코올은 간에서 ADH (alcohol dehydrogenase)라는 알코올 탈수소 효소의 촉매 반응으로 인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산화되며, ALDH (aldehyde dehydrogenase)의 촉매 반응으로 acetic acid와 수소로 분해된다.
본 연구에서는 간, 혈청 속의 ADH와 ALDH 효소의 농도를 알코올 농도 최고점인 60분에 관찰하였다 (도 3 및 4).
2-1) ADH 농도 측정: 간, 혈청
도 3은 알코올 농도 최고점인 60분의 간과 혈청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이다. 간 조직 내 ADH 농도는 알코올을 단독 투여한 대조군에서 (22.19 ± 4.95) ng/mL로 가장 낮은 농도를 나타내었으나, 양성 대조군은 대조군 대비 (32.52 ± 2.66) ng/mL로 p<0.05 유의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시료 저농도군은 (31.14 ± 2.75) ng/mL로 대조군에 비해 농도가 유의 수준으로 증가하였고, 시료 고농도군은 (29.24 ± 2.35) ng/mL로 증가하는 경향만 보였다.
반면, 혈청 내 ADH 농도는 모든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2-2) ALDH 농도 측정 : 간 및 혈청
대조군의 간과 혈청에서는 (3.38 ± 0.09) ng/mL, (1.69 ± 0.02) ng/mL로 낮은 ALDH 농도를 나타내었으며, ADH와 같이 양성 대조군에서는 p=0.08 수준으로 간에서 (3.74 ± 0.09) ng/mL, 혈청에서 (2.08 ± 0.10) ng/mL 유의적으로 (p<0.05) 증가하였다. 한편, 시료 저농도 군은 간과 혈청 내에서 (4.44 ± 0.19) ng/mL, (2.37 ± 0.16) ng/mL로 p<0.001 유의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도 4).
이 결과로 보아 시료가 간, 혈청 내 ALDH 농도를 증가시켜 숙취의 주요 원인인 아세트알데하이드 분해를 촉진하는 것으로 사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어 청각유래 다당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추출물 또는 분획물 내의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보호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4.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어 청각유래 다당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추출물 또는 분획물 내의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 질환은 간염, 지방간, 간 섬유화증 또는 간경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 질환은 알코올성 간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9.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되어 청각유래 다당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추출물 또는 분획물 내의 색소, 지질 및 저분자 단백질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간 질환은 간염, 지방간, 간 섬유화증 또는 간경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간 질환은 알코올성 간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200175339A 2020-12-15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KR102668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39A KR102668450B1 (ko) 2020-12-15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39A KR102668450B1 (ko) 2020-12-15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350A true KR20220085350A (ko) 2022-06-22
KR102668450B1 KR102668450B1 (ko) 2024-05-24

Family

I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539B1 (ko) * 2022-12-16 2023-08-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539B1 (ko) * 2022-12-16 2023-08-09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수면장애 또는 불면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344B1 (ko) 혈당강하용 기능성 여주차의 제조방법
JP5582519B2 (ja) 嗜好性が優れた混合茶飲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15039B1 (ko) 기능성 한방 요구르트의 제조방법
US20210046003A1 (en) Health drink composition for preventing liver damage caused by alcohol while providing excellent hangover relief
KR20120116374A (ko) 혈당강하용 기능성 여주음료의 제조방법
KR100552398B1 (ko) 작두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20040013137A (ko) 치료제
KR101261029B1 (ko) 칠면초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422527B1 (ko) 다이어트용 보조식품 조성물
KR20190003304A (ko) 쌍별귀뚜라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68450B1 (ko)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TWI802101B (zh) 紅肉蘋果和櫻桃李組合物及其在降血糖方面的應用
KR20220085350A (ko)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제
KR102235563B1 (ko) 고함량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피로회복 및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433586B1 (ko)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20070033236A (ko) 엘라그산, 엘라지탄닌과 이를 포함하는 천연식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보호제
KR20180056199A (ko) 모링가추출물을 함유한 다이어트용 껌의 제조방법
KR101241455B1 (ko) 혈당 강하용 두부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4766A (ko)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우울증 또는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및 넓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KR100540498B1 (ko) 아스타잔틴 및 아스파라긴산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제
KR101152272B1 (ko) 숙취해소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24358B1 (ko) 돌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50091770A (ko) 옥덩굴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457306B1 (ko) 피부 개선 및 장 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유산균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64067A (ko) 초피 및 흑호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당뇨병 또는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