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5112A -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드릴공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드릴공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5112A
KR20220085112A KR1020200174748A KR20200174748A KR20220085112A KR 20220085112 A KR20220085112 A KR 20220085112A KR 1020200174748 A KR1020200174748 A KR 1020200174748A KR 20200174748 A KR20200174748 A KR 20200174748A KR 20220085112 A KR20220085112 A KR 20220085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
carbon fiber
fiber composite
cooling
drill b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8179B1 (ko
Inventor
김태곤
이석우
김효영
남정수
김성현
신강우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74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81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5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5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2Twist dr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 B23Q11/141Methods or arrangements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in parts of machine tools using a closed fluid circuit for cooling or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4Cooling or lubric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Drill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섬유복합재(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를 드릴링 가공하는 드릴부, 드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냉각유체가 유동하고, 드릴링 가공 시 드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채널부 및 드릴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드릴링 가공 시 발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냉각채널부 및 가열부는 탄소섬유복합재의 층간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드릴공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드릴공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A drill tool, system for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process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드릴공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릴비트의 내부에 냉각채널부를 형성하고 드릴비트의 끝단에 가열부를 형성하여 탄소섬유복합재의 층간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드릴공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소섬유복합재를 드릴링 가공 시, 크게 박리결함(delamination) 및 벽면결함(uncut fiber, fiber pullout 등)이 발생하는데, 이중 박리결함은 층간 파괴 인성(Interlamilar fracture toughness)에 의해 좌우된다.
이에 따라 드릴공구가 탄소섬유복합재를 드릴링 가공하면, 상기한 결함들에 의해 의도치 않은 부산물(=uncut fiber, chip, burr)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품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친다.
층간 파괴 인성(Interlamilar fracture toughness)은 온도에 따라 탄소섬유복합재의 층간 결합력이 결정되므로 드릴링 가공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한 드릴공구의 온도를 조절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서는 드릴비트를 냉각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탄소섬유복합재의 층간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층간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온도를 유지하는 기술은 개시된 바 없다.
따라서, 탄소섬유복합재의 드릴링 가공 시, 의도치 않은 부산물이 생성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127161호(2020.11.10.)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633227호(2016.06.17.)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릴비트의 끝단에 형성되어 발열하는 가열부 및 드릴비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채널부를 통하여 드릴비트를 50℃ 내지 150℃의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탄소섬유복합재의 층간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드릴공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탄소섬유복합재(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를 드릴링 가공하는 드릴비트를 포함하는 드릴부; 상기 드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냉각유체가 유동하고, 상기 드릴링 가공 시 상기 드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채널부; 및 상기 드릴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드릴링 가공 시 발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채널부 및 상기 가열부는 상기 탄소섬유복합재의 층간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릴부는, 상기 드릴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드릴비트의 중심축을 향하여 함입되고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드릴홈; 및 상기 드릴홈과 인접하면서 상기 드릴홈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드릴비트의 외주면인 돌출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드릴비트는 회전하면서 상기 탄소섬유복합재를 드릴링 가공하며, 상기 돌출외주면은 상기 드릴홈과 동일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드릴비트의 끝단에 형성되어 발열함에 따라 상기 드릴링 가공 시 상기 탄소섬유복합재로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채널부는 상기 돌출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출외주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냉각채널부는 상기 드릴홈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드릴홈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각채널부는 상기 드릴비트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상기 돌출외주면과 평행하면서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50℃ 내지 150℃의 온도로 발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제1 항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상기 드릴부에 구비되고 상기 드릴비트와 결합되는 드릴본체; 상기 냉각채널부와 연통하여 상기 냉각채널부로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냉각장치; 상기 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열부가 발열하도록 동작하는 가열장치; 및 상기 냉각장치 및 상기 가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냉각장치 및 상기 가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가열부가 50℃ 내지 150℃의 온도로 발열하도록 상기 가열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드릴부의 온도가 150℃ 이하로 유지되도록 상기 냉각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유체를 상기 냉각채널부의 내부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a) 드릴비트가 탄소섬유복합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계; (b) 상기 드릴비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열부가 가열장치에 의해 발열하는 단계; (c) 상기 드릴비트가 회전하면서 상기 탄소섬유복합재를 드릴링 가공하는 단계; (d) 냉각장치가 상기 드릴비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각채널부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드릴비트와 상기 냉각채널부로 유입되는 칩을 냉각시키는 단계; 및 (e) 제어장치가 상기 냉각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가열부의 온도를 50℃ 내지 150℃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드릴비트의 끝단에 형성되어 발열하는 가열부 및 드릴비트의 내부에 형성되어 냉각유체가 유동하는 냉각채널부를 통하여 드릴비트를 50℃ 내지 150℃의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탄소섬유복합재의 층간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에 구비된 드릴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2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에 구비된 냉각채널부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가 탄소섬유복합재를 가공하는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1.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100)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에 구비된 드릴부를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2의 (a), (b),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에 구비된 냉각채널부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100)는 드릴부(110), 냉각채널부(120) 및 가열부(130)를 포함한다.
드릴부(110)는 탄소섬유복합재(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를 드릴링 가공한다.
드릴부(110)는 드릴비트(112), 돌출외주면(113) 및 드릴홈(114)을 포함한다.
드릴비트(112)는 드릴본체(111)의 하부에 장착되어 드릴본체(111)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면서 탄소섬유복합재를 드릴링한다.
구체적으로 드릴비트(112)에는 드릴홈(114)과 인접하면서 드릴홈(114)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고 드릴비트(112)의 외주면인 돌출외주면(113)이 형성된다.
드릴비트(112)의 상부는 드릴본체(111)의 하부에 장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되고, 드릴비트(112)의 하부는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특히, 트릴비트(112)의 하단에는 가열부(130)가 형성되어 드릴링 가공 시 발생된 열을 탄소섬유복합재로 전달한다.
상기한 돌출외주면(113) 사이에는 드릴홈(114)이 형성되고, 드릴홈(114)과 동일한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드릴홈(114)은 드릴비트(112)의 외주면으로부터 드릴비트(112)의 중심축을 향하여 함입되고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돌출외주면은 드릴홈(114)의 크기에 따라 달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릴비트(112)는 탄소섬유복합재를 천공하고자 하는 천공홀의 크기에 따라 드릴홈의 크기가 다른 드릴비트가 적용될 수 있다.
냉각채널부(120)는 드릴부(110)의 내부에 형성되어 냉각유체가 유동하고, 드릴링 가공 시 드릴부(110)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킨다. 여기서, 냉각유체는 드릴비트(112)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 냉각유 등일 수 있다.
이를 위한 냉각채널부(1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드릴부(1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변형예들이 도 2의 (a), (b), (c)에 도시되어 있다.
첫번째 변형예로서, 냉각채널부(12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외주면(113)을 따라 형성되고 돌출외주면(113)과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냉각채널부(120)는 드릴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돌출외주면(113)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한 냉각채널부(120)의 형상 및 배치는 드릴링 가공 시 발생하는 열이 집중되는 돌출외주면(113)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두번째 변형예로서, 냉각채널부(120)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홈(114)을 따라 형성되고 드릴홈(114)과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냉각채널부(120)는 드릴부(110)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드릴홈(114)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돌출외주면(113)을 냉각시킨다.
마지막으로 세번째 변형예로서, 냉각채널부(120)는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비트(112)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돌출외주면(113)과 평행하면서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냉각채널부(120)는 관형상을 가짐에 따라 냉각유체가 유동하면서 발열된 드릴비트(112)를 냉각시킨다. 또한, 전술한 냉각채널부(120)는 드릴비트(112)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냉각채널부(120)와 달리, 본 발명에서 냉각채널부(120)는 변형예로서, 드릴비트(112)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칩(chip)의 배출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가열부(130)는 드릴부(110)의 끝단에 형성되고 드릴링 가공 시 발열한다. 구체적으로 가열부(130)는 드릴비트(112)의 끝단에 형성되어 발열함에 따라 드릴링 가공 시 탄소섬유복합재로 열을 전달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가열부(130)는 저항값이 큰 소재로 이루어진 발열소자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냉각채널부(120) 및 가열부(130)는 탄소섬유복합재의 층간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구체적으로 탄소섬유복합재를 드릴링 가공 시, 크게 박리결함(delamination) 및 벽면결함(uncut fiber, fiber pullout)이 발생하는데, 이중 박리결함은 층간 파괴 인성(Interlamilar fracture toughness)에 의해 좌우된다.
이때, 층간 파괴 인성(Interlamilar fracture toughness)은 온도에 따른 최적값이 있으며, 50℃ 내지 150℃의 온도에서 최적값을 가짐에 따라 탄소섬유복합재(CFRP)의 층간 결합력이 가장 강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열부(130)가 50℃ 내지 150℃의 온도로 발열하고, 냉각채널부(120)가 드릴비트(112)의 온도를 150℃ 이하로 유지되도록 냉각유체를 유동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가 탄소섬유복합재를 가공하는 것을 나타낸 일 방향에서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릴비트(112)가 탄소섬유복합재(10)를 드릴링 가공하면, 의도치 않은 부산물(11)(=uncut fiber, chip, burr)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바와 같이 드릴비트(112)의 끝단에 형성된 가열부(130)가 국부적으로 발열되고 냉각채널부(120)가 냉각유체를 유동시켜 드릴비트(112)를 냉각시키면, 탄소섬유복합재(CFRP)의 층간 결합력을 강화시킴에 따라 생성되는 부산물(11)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2.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시스템(50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시스템(500)은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100), 드릴본체(111), 냉각장치(200), 가열장치(300) 및 제어장치(400)를 포함한다.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100)는 구체적으로 전술하였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전술한 바를 참고하도록 한다.
드릴본체(111)는 드릴부(110)에 구비되고 드릴비트(112)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드릴본체(111)는 드릴비트(112)가 고정되고, 드릴비트(112)를 회전시키는 동력부재(예를 들어, 모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장치(200)는 냉각채널부(120)와 연통하여 냉각채널부(120)로 냉각유체를 공급한다.
또한, 냉각장치(200)는 냉각유체의 유량, 유속을 달리 하여 냉각유체를 냉각채널부(120)로 공급하고, 냉각유체의 온오프(on/off)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냉각장치(200)의 동작은 제어장치(40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가열장치(300)는 가열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열부(130)가 발열하도록 동작한다. 구체적으로 가열장치(300)는 가열부(130)로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부(130)가 발열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제어장치(400)는 냉각장치(200) 및 가열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냉각장치(200) 및 가열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장치(400)는 드릴부(110)의 온도가 150℃ 이하로 유지되도록 냉각장치(200)를 제어하여 냉각유체를 냉각채널부(120)의 내부로 유동시킨다.
또한, 제어장치(400)는 가열부(130)가 50℃ 내지 150℃의 온도로 발열하도록 가열장치(300)를 제어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가열장치(300)에 의해 발열하는 가열부(130)의 가공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측정부(미도시) 및 측정부에서 측정된 가열온도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3.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시스템의 제어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a) 드릴비트(112)가 탄소섬유복합재(10)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계, (b) 드릴비트(1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열부(130)가 가열장치(300)에 의해 발열하는 단계, (c) 드릴비트(112)가 회전하면서 탄소섬유복합재(10)를 드릴링 가공하는 단계, (d) 냉각장치(200)가 드릴비트(112)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각채널부(120)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드릴비트(112)와 냉각채널부(120)로 유입되는 칩을 냉각시키는 단계, (e) 제어장치(400)가 냉각장치(200)의 동작을 제어하여 가열부(130)의 온도를 50℃ 내지 150℃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110: 드릴부
111: 드릴본체
112: 드릴비트
113: 돌출외주면
114: 드릴홈
120: 냉각채널부
130: 가열부
200: 냉각장치
300: 가열장치
400: 제어장치
500: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시스템

Claims (10)

  1. 탄소섬유복합재(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를 드릴링 가공하는 드릴비트를 포함하는 드릴부;
    상기 드릴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냉각유체가 유동하고, 상기 드릴링 가공 시 상기 드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는 냉각채널부; 및
    상기 드릴부의 끝단에 형성되고 상기 드릴링 가공 시 발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채널부 및 상기 가열부는 상기 탄소섬유복합재의 층간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부는,
    상기 드릴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드릴비트의 중심축을 향하여 함입되고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드릴홈; 및
    상기 드릴홈과 인접하면서 상기 드릴홈보다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상기 드릴비트의 외주면인 돌출외주면;을 포함하고,
    상기 드릴비트는 회전하면서 상기 탄소섬유복합재를 드릴링 가공하며,
    상기 돌출외주면은 상기 드릴홈과 동일한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드릴비트의 끝단에 형성되어 발열함에 따라 상기 드릴링 가공 시 상기 탄소섬유복합재로 열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채널부는 상기 돌출외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돌출외주면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채널부는 상기 드릴홈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드릴홈과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채널부는 상기 드릴비트의 중심축과 평행하고 상기 돌출외주면과 평행하면서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50℃ 내지 150℃의 온도로 발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8. 제1 항에 따른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상기 드릴부에 구비되고 상기 드릴비트와 결합되는 드릴본체;
    상기 냉각채널부와 연통하여 상기 냉각채널부로 상기 냉각유체를 공급하는 냉각장치;
    상기 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열부가 발열하도록 동작하는 가열장치; 및
    상기 냉각장치 및 상기 가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냉각장치 및 상기 가열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가열부가 50℃ 내지 150℃의 온도로 발열하도록 상기 가열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드릴부의 온도가 150℃ 이하로 유지되도록 상기 냉각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유체를 상기 냉각채널부의 내부로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시스템.
  10. (a) 드릴비트가 탄소섬유복합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계;
    (b) 상기 드릴비트의 하부에 위치하는 가열부가 가열장치에 의해 발열하는 단계;
    (c) 상기 드릴비트가 회전하면서 상기 탄소섬유복합재를 드릴링 가공하는 단계;
    (d) 냉각장치가 상기 드릴비트의 내부에 형성되는 냉각채널부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기 드릴비트와 상기 냉각채널부로 유입되는 칩을 냉각시키는 단계; 및
    (e) 제어장치가 상기 냉각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가열부의 온도를 50℃ 내지 150℃로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200174748A 2020-12-14 2020-12-14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드릴공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78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48A KR102478179B1 (ko) 2020-12-14 2020-12-14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드릴공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748A KR102478179B1 (ko) 2020-12-14 2020-12-14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드릴공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5112A true KR20220085112A (ko) 2022-06-22
KR102478179B1 KR102478179B1 (ko) 2022-12-19

Family

ID=8221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748A KR102478179B1 (ko) 2020-12-14 2020-12-14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드릴공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1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808A (ja) * 1988-07-30 1990-02-13 Tani Seikiyo Kk ドリル穴明け装置とドリル
KR20050107538A (ko) * 2004-05-07 2005-11-11 이달호 드라이 가공을 위한 윤활 및 냉각홀이 형성된 드릴
US20150328696A1 (en) * 2013-06-28 2015-11-19 Zhuzhou Cemented Carbide Cutting Tools Co., Ltd. Boring Cutter
CN109311101A (zh) * 2016-06-02 2019-02-05 山特维克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与孔切削相关的方法和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1808A (ja) * 1988-07-30 1990-02-13 Tani Seikiyo Kk ドリル穴明け装置とドリル
KR20050107538A (ko) * 2004-05-07 2005-11-11 이달호 드라이 가공을 위한 윤활 및 냉각홀이 형성된 드릴
US20150328696A1 (en) * 2013-06-28 2015-11-19 Zhuzhou Cemented Carbide Cutting Tools Co., Ltd. Boring Cutter
CN109311101A (zh) * 2016-06-02 2019-02-05 山特维克知识产权股份有限公司 与孔切削相关的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8179B1 (ko) 202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7444B1 (ko) 내부 냉각 캐비티를 갖춘 회전 절삭 공구
US8882412B2 (en) Rotary cutting tool having PCD cutting tip
US20080292860A1 (en) Ultrasonic Vibration Cutting Method and a Fiber Reinforced Plastic Member Manufactured by the Method
JP2019076999A (ja) 工作機械の切削液供給装置
JP6165974B2 (ja) 真空穿孔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US20120308319A1 (en) Rotary cutting tool having coated cutting tip and coolant holes and method of fabricating
KR20090003151A (ko) 딥홀 절삭 장치
JP5548530B2 (ja) 工具、および工作機械
KR101230359B1 (ko) 마찰교반용접용 회전 공구
JP2009142984A (ja) 機械加工で発生する切削屑の除去用工具の本体基部
KR20220085112A (ko) 탄소섬유복합재 가공용 드릴공구, 드릴공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109702497A (zh) 一种多场耦合加热辅助钻削装置与方法
US11471957B2 (en) Method and apparatuses related to hole cutting
CN209157240U (zh) 一种同步完成通孔和倒角作业的钻头
CN207386653U (zh) 一种内冷却麻花钻头
CN207592821U (zh) 一种高效数控排钻开料机
CN103949673A (zh) 一种带自调整降温系统和连接头的主轴轴头
CN207533982U (zh) 一种车削加工双头刀杆
CN104647042B (zh) 群钻组件及具有该群钻组件的群钻机
KR20190135166A (ko) 공작기계 열변위 감소 냉각장치
CN207196846U (zh) 管件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CN206632400U (zh) 一种导管钻孔机
JPH09174316A (ja) 深孔ドリル加工装置
CN206464556U (zh) 一种快速装夹刀具
CN108907297A (zh) 一种冷热钻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